KR100329021B1 - 연선기용캐리지의다감긴보빈과빈보빈의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연선기용캐리지의다감긴보빈과빈보빈의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021B1
KR100329021B1 KR1019960043384A KR19960043384A KR100329021B1 KR 100329021 B1 KR100329021 B1 KR 100329021B1 KR 1019960043384 A KR1019960043384 A KR 1019960043384A KR 19960043384 A KR19960043384 A KR 19960043384A KR 100329021 B1 KR100329021 B1 KR 10032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rriage
station
empty
convey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833A (ko
Inventor
이사오 우에다
마사키 이츠키
히로후미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하마나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나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나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6004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02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021B1/ko

Link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연선기(撚線機: stranding machine)용 대차(臺車)에 만권(滿卷)보빈(bobbin)과 공(空)보빈을 바꿔싣는 장치는 연선기 케이싱(casing)의 출입구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대차 스테이션과, 대차 스테이션의 한쪽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또한 반송차(搬送車)로부터 공보빈을 이것을 싣고 있는 팰릿(pallet)째 받으며, 다른쪽 반송차로 만권보빈을 이것을 싣고 있는 팰릿째 건네주는 운반 컨베이어와, 대차 스테이션의 다른쪽으로 나란히 배치된 공보빈 대기대(待機臺)와, 운반 컨베이어, 대차 스테이션 및 공보빈 대기대의 상측을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수평 이동체와, 수평 이동체에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또한 운반 컨베이어 및 대차 스테이션의 각각 상측위치에 한쌍의 보빈 협지장치(挾持裝置)를 가지는 승강체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연선기용 캐리지의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의 교환 장치
본 발명은 연선기(撚線機: stranding machine)용 캐리지를 대상으로 하여 다 감긴 보빈(full bobbin)과 빈 보빈(empty bobbin)을 교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선기에 있어서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을 교환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이미 다음과 같은 연선기용 캐리지에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을 교환하는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장치는 연선기 케이싱의 출입구에 근접한 외측에 설치되는 캐리지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상의 정지 캐리지를 매개로 같은 간격을 두고 일단부가 각각 배치되며, 또한 병렬 모양으로 캐리지 스테이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빈 보빈 공급 컨베이어 및 다 감긴 보빈 배출 컨베이어와, 빈 보빈 공급 컨베이어의 일단부, 캐리지 스테이션 및 다 감긴 보빈 배출 컨베이어의 일단부 상측을, 양 컨베이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수평 이동체와, 수평 이동체에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또한 빈 보빈 공급 컨베이어의 일단부 및 스테이션 상의 정지 캐리지에 대응하는 상측 위치에 한쌍의 보빈 유지 장치를 지니는 승강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 보빈 유지 장치가 상기한 위치와 스테이션 상의 정지 캐리지 및 다 감긴 보빈 배출 컨베이어의 일단부의 상측 위치를 나란히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일본 실개평7-6281호 공보 참조).
종래의 상기와 같은 장치는 빈 보빈 공급 컨베이어 및 다 감긴 보빈 배출 컨베이어라는 2개의 큰 컨베이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양 컨베이어는 각각의 일단부가 캐리지 스테이션을 매개로 그 양측에 배치되며, 또한 병렬 모양으로 캐리지 스테이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넓은 바닥 면적을 차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연선기용 캐리지에 대한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을 교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일부를 절취한 전체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일부를 절취한 도 1의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4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고, 운반 컨베이어에 반송차(搬送車)를 옆으로 갖다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일부를 절취한 정면도.
도 5는 빈 보빈(empty bobbin) 적재(積載) 반송차를 운반 컨베이어에 옆으로 갖다대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빈 보빈을 실은 빈 보빈 대기대(待機臺)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팰릿(pallet)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보빈 유지 장치의 일부를 절취한 확대 정면도.
도 9는 보빈 유지 장치의 일부를 절취한 확대 측면도.
도 10 내지 도 20은 연선기용 캐리지에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을 교환하는 조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운반 컨베이어에 최초의 빈 보빈을 팰릿째 수취함과 동시에, 캐리지 스테이션 상에 빈 캐리지를 대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운반 컨베이어 상의 빈 보빈을 좌측의 보빈 유지 장치로 유지하여스테이션 상의 정지 캐리지로 옮기고, 다른쪽 운반 컨베이어 상에 남은 팰릿을 반송차에 의해 완전히 옮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빈 보빈을 실은 캐리지가 연선기 케이싱 내로 보내지고, 또한 빈 한쌍의 보빈 유지 장치가 운반 컨베이어 및 캐리지 스테이션 상으로 되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운반 컨베이어에 2번째의 빈 보빈을 팰릿째 수취하고 캐리지 스테이션 상에 빈 캐리지를 대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운반 컨베이어 상의 빈 보빈을 좌측의 보빈 유지 장치로 유지하여 스테이션 상의 정지 캐리지로 옮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빈 보빈을 캐리지 스테이션 상의 캐리지에 그대로 잔존시키어 한 쌍의 보빈 유지 장치를 빈 보빈을 넘는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빈 한쌍의 보빈 유지 장치를 함께 운반 컨베이어 및 캐리지 스테이션의 상측 위치로 되돌려서 강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우측의 보빈 유지 장치에 의해 캐리지 상의 빈 보빈을 유지하여 빈 보빈 대기대로 옮기고, 다른쪽 캐리지 스테이션 상에 남은 빈 캐리지가 연선기 케이싱 내로 완전히 보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은 연선기 케이싱 내로 보내진 캐리지가 우선 연선기로 보내지고, 권취 상태가 된 보빈을 실어서 스테이션으로 되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좌측의 보빈 유지 장치에 의해 다 감긴 보빈을, 우측의 보빈 유지장치에 의해 빈 보빈을 각각 유지하여, 다 감긴 보빈을 운반 컨베이어 상의 팰릿에, 빈 보빈을 캐리지 스테이션 상의 캐리지로 각각 옮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0은 양 보빈 유지 장치의 다 감긴 보빈 및 빈 보빈에 대한 유지 상태를 해제하고, 신축부재를 늘려서 운반 컨베이어를 상승시킴으로써, 운반 컨베이어로부터 다 감긴 보빈을 수취한 반송차가 완전히 떠나가는 한편, 빈 보빈을 실은 캐리지가 연선기 케이싱 내로 보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선기 케이싱
2 : 출입구
3 : 캐리지 스테이션
4 : 반송차
5 : 보빈
5A : 빈 보빈(empty bobbin)
5B : 다 감긴 보빈(full bobbin)
6 : 팰릿
7 : 운반 컨베이어
8 : 빈 보빈 대기대
9 : 캐리지
10 : 수평 이동체
11, 12 : 보빈 유지 장치
13 : 승강체
본 발명에 의한 연선기용 캐리지에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을 교환하는 장치는 연선기 케이싱 출입구의 외측에 설치되는 캐리지 스테이션과, 캐리지 스테이션의 한쪽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또한 도래한 반송차(搬送車)로부터 빈 보빈을 이것을 싣고 있는 팰릿(pallet)째 받으며, 다른쪽으로 출발하는 반송차로 다 감긴 보빈을 이것을 싣고 있는 팰릿째 건네주는 운반 컨베이어와, 캐리지 스테이션의 다른쪽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빈 보빈 대기대(待機臺)와, 운반 컨베이어, 캐리지 스테이션 및 빈 보빈 대기대의 상측을 연선기 케이싱에 대한 캐리지의 출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수평 이동체와, 수평 이동체에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운반 컨베이어 및 캐리지 스테이션의 각각 상측 위치에 한쌍의 보빈 유지 장치를 지니는 승강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 보빈 유지 장치가 운반 켄베이어 및 캐리지 스테이션의 상측 위치와 캐리지 스테이션 및 빈 보빈대기대의 상측 위치를 나란히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지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연선기용 캐리지의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을 바꿔실을 수 있다.
즉, 맨처음에 연선기로 빈 보빈을 공급할 때에는 운반 컨베이어에 도래한 반송차로부터 빈 보빈을 이에 실려 있는 팰릿째 수취하고, 동시에 캐리지 스테이션에 운반 컨베이어로 옮겨실린 빈 보빈과 나란하게 되도록 빈 캐리지를 대기시킨다. 빈 보빈과 캐리지를 나란히 늘어놓으면, 운반 컨베이어의 상측 위치에 있는 보빈 유지 장치에 의해 빈 보빈을 유지하고, 한 쌍의 유지 장치를 캐리지 스테이션 및 빈 보빈 대기대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유지 상태를 해제하고 빈 보빈을 스테이션 상의 캐리지로 실은 후, 먼저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운반 컨베이어 및 캐리지 스테이션의 상측 위치에 되돌려 보낸다. 그리고 운반 컨베이어 상에 남은 빈 팰릿을 대기 반송차로 되돌려 보낸다. 한편, 스테이션 상의 캐리지에 실은 빈 보빈은 그것에 연선이 권취되도록 하기 위해 캐리지에 의해 연선기 케이싱의 출입구에서 케이싱 내로 보내진다.
이어서, 다시 도래한 반송차로부터 빈 보빈을 이것에 실려있는 팰릿째 운반 컨베이어로 수취하고, 동시에 캐리지 스테이션에 운반 컨베이어로 옮겨실린 빈 보빈과 나란하게 되도록 빈 캐리지를 대기시킨다. 빈 보빈과 캐리지를 나란히 늘어 놓으면, 운반 컨베이어의 상측 위치에 있는 보빈 유지 장치에 의해 빈 보빈을 유지하고, 한 쌍의 보빈 유지 장치를 캐리지 스테이션 및 빈 보빈 대기대의 상측에 오도록 이동시켜서 유지 상태를 해제하고, 빈 보빈을 스테이션 상의 캐리지에 실어그대로 남겨둔 후, 먼저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운반 컨베이어 및 캐리지 스테이션의 상측 위치로 되돌린다. 캐리지 스테이션 상측의 보빈 유지 장치에 의해 캐리지상의 빈 보빈을 유지한 뒤, 한 쌍의 보빈 유지 장치를 캐리지 스테이션 및 빈 보빈 대기대의 상측으로 오도록 이동시켜 유지 상태를 해제하고 빈 보빈을 대기대에 싣는다. 그리고, 스테이션 상의 빈 캐리지를 연선기 케이싱의 출입구에서 케이싱 내로 공급하여, 우선은 연선기로 보내지고 권취 상태가 된 보빈을 실어서 스테이션으로 되돌린다. 그래서, 캐리지 스테이션 및 빈 보빈 대기대의 상측 위치에 있는 한 쌍의 보빈 유지 장치에 의해 다 감긴 보빈 및 빈 보빈을 유지하여 양 보빈 유지 장치를 운반 컨베이어 및 캐리지 스테이션의 상측에 오도록 이동시키고 나서 유지 상태를 해제하여 다 감긴 보빈을 운반 컨베이어의 팰릿상에 빈 보빈을 캐리지 스테이션 상의 캐리지에 각각 싣는다. 그리고, 운반 컨베이어로부터 이미 도래되어 있는 반송차로 다 감긴 보빈을 건네고, 다른쪽 빈 보빈을 실은 캐리지를 연선기 케이싱의 출입구에서 케이싱 내에 보내준다. 이후 운반 컨베이어에 의한 2번째의 빈 보빈을 수취하고 나서 지금까지의 작업을 되풀이함으로써 캐리지에 대한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의 바꿔싣기를 순차적으로 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향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전(前)」이란 동도면의 좌측을, 「후(後)」는 동도면의 우측을, 「좌(左)」는 앞쪽을 향해서 좌측을, 「우(右)」란 같은 식으로 우측을 각각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연선기용 캐리지에 다 감긴 보빈과 빈보빈을 교환하는 장치는 연선기 케이싱(1) 출입구(2)의 외측에 설치되는 캐리지 스테이션(3)과, 캐리지 스테이션(3)의 한쪽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또한 도래한 반송차(4)에서 빈 보빈(5A)을 이것을 싣고 있는 팰릿(6)째 받으며, 다른쪽으로 출발하는 반송차(4)로 다 감긴 보빈(5B)을 이것을 싣고 있는 팰릿(6)째 건네주는 운반 컨베이어(7)와, 캐리지 스테이션(3)의 다른쪽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빈 보빈 대기대(8)와, 자유롭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운반 컨베이어(7), 캐리지 스테이션(3) 및 빈 보빈 대기대(8)의 상측을 연선기 케이싱(1)에 대한 자주(自走) 캐리지(9)의 출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수평 이동체(10)와, 수평 이동체(10)에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또한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의 각각 상측 위치에 한 쌍의 보빈 유지 장치(11),(12)를 지니는 승강체(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 유지 장치(11),(12)가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의 상측 위치와 캐리지 스테이션(3) 및 빈 보빈 대기대(8)의 상측 위치를 나란히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연선기 케이싱(1)에는 양측에 보빈 착탈 장치가 대향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크레이들(cradle)(14)과, 플라이어(flyer)(15)와 동조하여 회전하며, 플라이어(15)에 의해 꼬여진 연선(T)을 떠맡는 캡스턴(capstan)(16)과, 캡스턴(16)에 의해 떠맡게 된 연선(T)을 크레이들(14)에 장착되어 있는 빈 보빈(5A)에 한쪽단에서 순차적으로 나사 모양으로 이끌도록 왕복 안내하는 횡단 롤러(17)와, 크레이들(14)의 아래쪽으로 배치된 캐리지 승강용 리프터(18)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들 전체를 둘러싸는 케이싱(1)이 완전 밀봉되어 있고, 또한 플라이어(15)의 축심 방향으로 캐리지(9)가 출입할 수 있도록 케이싱(1)에는 도어를 구비한 출입구(2)가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자유롭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운반 컨베이어(7)는 기판(19)과, 기판(19)의 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측벽(20)과, 양 측벽(20)의 전후부를 관통하고 양단에 풀리(21)를 지니는 전후축(22)과, 양측 전후의 풀리(21)에 걸쳐놓인 한 쌍의 벨트(23)와, 전후축(22)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벽(20)의 중간을 관통하고, 양단에 벨트지지 롤러(24)를 지니는 3개의 중간축(25)과, 후축(22)에 체인 스프로킷(sprocket) 전동 기구(26)를 매개로 회전 동력을 부여하는 가역(可逆) 모터(27)와, 기판(19)의 하면에 연결된 팬터그래프(pantograph) 형상의 신축 부재(28)와, 가역 모터(70)에 의해 작동되는 피드(feed) 장치(71)에 의해 상측의 스프로킷(72)에서 내려지기도 하고 올려지기도 할 수 있도록 선단이 기판(19)의 후부에 장치된 승강 체인(73)을 구비하고 있다(도 3, 도 4및 도 5참조).
빈 보빈 대기대(8)는 그 상세한 것이 도 6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횡단면 H형의 캐리지 본체(29)와, 캐리지 본체(29)의 하단 양측에 평행하게 고착된 캐리지 본체(29)의 폭보다 긴 직사각형 판(30)으로 이루어지며, 캐리지 본체(29)의 한 쌍의 플랜지(29a)끼리의 간격은 보빈(5)의 플랜지(31)의 직경보다 작고, 보빈(5)이 빈 보빈 대기대(8)로 굴러 가지 않은 상태로 실어지도록 되어 있다.
팰릿(6)은 그 상세한 것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후의 프레임 부재(32)와, 전후의 프레임 부재(32) 사이에 끼워져서 이들에 고착된 좌우측의 측방 프레임 부재(33)와, 전후의 프레임 부재(32) 사이에 개재되며 또한 좌우측의 측방 프레임 부재(33)에 고착된 2개의 개재 프레임(34)과, 이들에 붙여진 1장의 바닥판(35)과, 전후의 프레임 부재(32)의 외측에 배치되며, 양측의 절곡부(36a)의 단부가 전후의 프레임 부재(32)의 양단면에 고착된 전후의 범퍼(36)와, 전측의 프레임 부재(32)와 전측의 범퍼(36) 한가운데끼리의 사이 및 후측의 프레임 부재(32)와 후측의 범퍼(36) 한가운데끼리의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양쪽에 고착된 스페이서(37)와, 상반(上半)에 외측 상향으로 경사진 안내부(38a)를 일체로 가지며, 또한 수평부(38b)의 대략 외측 절반분(外半分)이 측방 프레임 부재(33)의 상면에, 이 양단부에 있어서의 나머지 대략 내측 절반분(內半分)이 전후의 개재 프레임(34)의 상면에 각각 고착된 좌우 한쌍의 횡단면 L형 보빈 유지 부재(38)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보빈 유지 부재(38)의 수직벽(38c)끼리의 간격은 보빈(5) 양측의 플랜지(31)의 외면 끼리의 간격과 거의 같게 이루어지며, 또한 전후 한 쌍의 개재 프레임(34)끼리의 간격이 보빈(5)의 플랜지(31)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보빈(5)이 팰릿(6)으로 굴러가지 않은 상태로 실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은 빈 보빈 대기대(8)의 경우와 같다. 또, 전후의 프레임 부재(32), 측방 프레임 부재(33), 개재 프레임(34) 및 스페이서(37)는 목제(木製)이지만, 바닥판(35), 범퍼(36) 및 보빈 유지 부재(38)는 금속제이다.
반송차(4)는, 소위 AGV(AUTOMATIC GUIDED VEHICLE)라 불리는 것으로, 옮겨싣는 컨베이어(39)를 구비하고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이 컨베이어(39)에는 체인 컨베이어가 이용되고 있다.
연선기 케이싱(1)의 전면에 대향하여, 운반 컨베이어(7) 및 빈 보빈대기대(8)를 포함하는 길이를 지니며, 또한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모양이며, 연선기 케이싱(1)의 폭방향으로 뻗어 있는 기계 프레임(40)이 세워져 있다. 기계 프레임(40)은 4코너의 4개의 기둥(41)과, 길이방향으로 존재하는 각 2개의 기둥(41)의 양 단부에 각각 가로막도록 되어 있는 막대(42)와, 폭방향으로 존재하는 각 2개의 기둥(41)의 양단부에 각각 가로 막도록 되어 있는 횡측 개재 프레임(43)과, 양 막대(42)의 상면에 장치되며 또한 이들보다 약간 짧은 레일(74)을 구비하고 있다.
수평 이동체(10)는 기계 프레임(40)의 약간 상측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뻗으며 또한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에 걸치는 직사각형 모양의 수평판(46)과, 수평판(46)의 중심선보다 앞쪽의 좌우에 설치된 베어링(47)과, 양 베어링(47)에 받쳐지며 또한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의 중심선의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양단부에 각각 승강 체인으로 감아 올리고 감아 내리는 스프로킷(48)을 지니는 회전축(49)과, 회전축(49)의 후방에서 수평판(46)에 설치되며 또한 체인 스프로킷 전동 기구(50)를 매개로 회전축(49)에 회전 동력을 부여하는 가역 모터(51)와, 수평판(46)의 전후부에서 중심선 상으로 열려진 관통공의 상하 테두리에 각각 수직으로 고착된 가이드통(52)과, 회전축(49)과 평행하게 되도록 그 전방에서 수평판(46) 상에 고정되며 또한 피스톤 로드(45)의 선단이 막대(42)의 우단부에 입상형으로 설치된 브래킷(44)에 고정되어 있는 유체압 실린더(55)와, 수평 판(46) 하면의 좌우전후로 설치되어 레일(74)에 자유롭게 접촉 이동하도록 걸쳐져 있는 다리(75)를 구비하고 있다.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의 상측 위치에 한쌍의 보빈 유지 장치(11),(12)가 존재할 때에는 피스톤 로드(45)는 돌출상태에 있다(도 4 및 도 9 참조).
승강체(13)는 수평 이동체(10)의 수평판(46)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또한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을 포함하는 길이로 수평 이동체(10)의 수평판(46)의 중심선의 전후양측에 평행하게 존재하는 한쌍의 수평 가이드바(56)와, 좌우 한쌍의 가이드통(52)으로 끼워진 가이드 포스트(57)를 각각 지니며 또한 양 수평 가이드바(56)에 걸쳐져 이들에 고정된 고정 블록(58)과, 양 스프로킷(48)에서 풀어져서 그 하단이 각 고정 블록(58)에 장착된 승강 체인(59)으로 이루어진다(도 4 참조).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는 도 8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함께 운반 컨베이어(7) 상의 팰릿(6) 및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정지 캐리지(9)에 각각 실려있는 보빈(5)의 양 플랜지(31)의 상측 위치에 있어서 중앙으로 열려진 관통공에 의해 양 수평 가이드바(56)에 자유롭게 접촉 이동하도록 끼워져 있는 접촉 이동 블록(60)과, 양 수평 가이드바(56)의 전후로 대향하는 각 한쌍의 접촉 이동 블록(60)의 상면에 걸쳐져 고정되어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수평판(61)과, 대향하는 각 한쌍의 수평판(61)의 외측면 중앙에 고착되어 아래쪽으로 뻗으며 또한 하단부에 보빈(5)의 중앙 수평 관통공(62)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원형 돌기(63)를 지니는 매달린 판(64)과, 각 한 쌍의 매달린 판(64)의 상단 근처에 대향하여 설치된 한쪽의 양다리형 장착부(65)가 실린더 바닥의 귀(耳)(66)에, 다른쪽의 돌출형 장착부(67)가 피스톤 로드(68)의 양다리형 선단부에 각각 핀고정되어 있는 유체압 실린더(69)와, 한 쌍의 매달린 판(64)의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를 각각 규제하도록 양 수평가이드바(56)에 걸쳐 고정된 내외 스토퍼(76),(77)를 구비하고 있다. 보빈(5)을 유지할 때, 피스톤 로드(68)는 퇴입(退入)되고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보빈(5)이 운반 컨베이어(7),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캐리지(9) 및 빈 보빈 대기대(8)에 실린 상태가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어떻게 실었는지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시한 것으로, 항상 3개에 보빈(5)을 싣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하의 설명에 의해 분명해진다.
이어서, 도 3, 도 5 및 도 10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연선기용 캐리지에 대해서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을 교환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① 맨처음에 연선기로 빈 보빈을 공급할 때에는 피드 장치(71)에 의해 승강체인(73)을 상승시키고, 신축 부재(28)를 연장하여 운반 컨베이어(7)를 상승시키며, 그 전단에, 옮겨싣는 컨베이어(39) 상에 팰릿(6)과 함께 빈 보빈(5A)을 실은 반송차(4)를 횡방향으로 갖다 댄다(도 3 참조). 운반 컨베이어(7)를 상승시키는 것은 반송차(4)의 옮겨싣는 컨베이어(39)의 상면 레벨이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정지 캐리지(9)의 상면 레벨보다 높기 때문이다.
② 이어서, 반송차(4)의 옮겨싣는 컨베이어(39) 및 운반 컨베이어(7)를 동시에 작동시켜서, 반송차(4)로부터 빈 보빈(5A)을 팰릿(6)째 운반 컨베이어(7)로 옮겨싣는다. 운반 컨베이어(7)가 이들을 완전히 수취하면, 양 컨베이어(39),(7)를 정지하여 신축부재(28)를 그전대로 줄인다. 이 때, 캐리지 스테이션(3)에는 운반 컨베이어(7) 상의 빈 보빈(5A)과 나란히 서도록 빈 캐리지(9)를 대기시킨다. 빈 보빈(5A)과 캐리지(9)를 나란히 늘어놓으면, 양자의 상측 위치에 강하 대기하고 있는 한 쌍의 보빈 유지 장치(11),(12)(도 10 참조)의 각 매달린 판(64)을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이동시키고, 빈 보빈(5A)을 유지한 뒤, 승강체(13)에 의해 양 보빈 유지 장치(11), (12)를 상승시켜, 빈 보빈(5A)을 매단 상태에서 수평 이동체(10)를 양 보빈 유지 장치(11),(12)가 캐리지 스테이션(3) 및 빈 보빈 대기대(8)의 상측으로 오도록 이동시키고,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를 강하시켜(도 11 참조), 각 매달린 판(64)을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이동시켜 유지 상태를 해제하고, 빈 보빈(5A)을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캐리지(9)에 싣는다.
한편, 빈 보빈(5A)이 좌측의 보빈 유지 장치(11)에 의해 유지되어 운반 컨베이어(7)보다 상승되면, 운반 컨베이어(7) 상에 남은 빈 팰릿(6)은 대기하고 있는 반송차(4)로 되돌려진다. 그래서, 빈 팰릿(6)를 실은 반송차(4)는 빈 팰릿(6)을 필요로 하는 다른 연선기까지 이동하게 된다.
③ 이어서, 한쌍의 보빈 유지 장치(11),(12)를 원래의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동시에 빈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를 먼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의 상측 위치로 되돌리고(도 12 참조), 그리고 강하한다. 한편,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캐리지(9)에 매달리게 된 빈 보빈(5A)은 캐리지(9)에 의하여 연선기 케이싱(1)의 출입구(2)에서 케이싱(1) 안으로 보내져서, 소정의 조작에 의해 이에 연선(T)이 권취된다.
④ 이어서, 다시 도래한 반송차(4)에서 빈 보빈(5A)을 이것을 싣고 있는 팰릿(6)째 운반 컨베이어(7)로 수취한다. 캐리지 스테이션(3)에는 운반 컨베이어(7)상으로 옮겨 실린 빈 보빈(5A)과 나란하게 되도록 먼저 빈 보빈(5A)을 연선기로 보낸 캐리지(9)를 대기시킨다(도 13 참조).
⑤ 이어서, 좌측의 보빈 유지 장치(11)에 의해 빈 보빈(5A)을 유지한 뒤,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를 상승시켜,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정지 캐리지(9) 및 빈 보빈 대기대(待機臺)(8)의 상측으로 오도록 이동시키고 나서 강하시켜(도 14 참조), 유지 상태를 해제하고 빈 보빈(5A)을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캐리지(9)에 싣는다.
⑥ 이어서, 빈 보빈(5A)을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캐리지(9)에 그대로 잔존시켜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를 빈 보빈(5A)을 넘는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킨다(도 15 참조). 또, 양 보빈 유지 장치(11),(12)의 상승 시간의 높이는 항상 이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⑦ 이어서, 빈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를 함께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의 상측 위치로 되돌려서 강하시킨다(도 16 참조).
⑧ 이어서, 우측의 보빈 유지 장치(12)에 의해 캐리지(9) 상의 빈 보빈(5A)을 유지한 뒤,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를 상승시켜, 빈 보빈(5A)을 매단 상태에서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를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정지 캐리지(9)와 빈 보빈 대기대(8)의 상측에 오도록 이동시키고 나서 강하시키고(도 17 참조), 유지 상태를 해제하여 빈 보빈(5A)을 빈 보빈 대기대(8)에 싣는다. 한편, 빈 보빈(5A)이 들어 올려짐으로써 캐리지 스테이션(3) 상에 남은 빈 캐리지(9)는 연선기 케이싱(1) 안으로 보내진다.
⑨ 연선기 케이싱(1) 안으로 보내진 캐리지(9)는 우선 연선기로 보내지고 권취 상태로 만든 보빈(5B)을 실어, 캐리지 스테이션(3)으로 되돌려진다(도 18 참조).
⑩ 이어서, 좌측의 보빈 유지 장치(11)에 의해 다 감긴 보빈(5B)을, 우측의 보빈 유지 장치(12)에 의해 빈 보빈(5A)을 각각 유지하여,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를 상승시킨다(도 5 참조). 다 감긴 보빈(5B) 및 빈 보빈(5A)를 매단 양 보빈 유지 장치(11),(12)를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의 상측에 오도록 이동시키고 나서 강하시켜(도 19 참조), 유지 상태를 해제하여 다 감긴 보빈(5B)을 운반 컨베이어(7)의 팰릿(6)에, 빈 보빈(5A)을 캐리지 스테이션(3) 상의 정지 캐리지(9)에 각각 싣는다.
⑪ 이어서, 신축부재(28)를 늘려서 운반 컨베이어(7)를 상승시키고, 이것에 횡방향으로 갖다댄 반송차(4)에 그 옮겨싣는 컨베이어(39)와 운반 컨베이어(7)를 상기 ②와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다 감긴 보빈(5B)이 운반 컨베이어(7)에서부터 건네진다. 한편, 빈 보빈(5A)을 실은 캐리지(9)는 연선기 케이싱(1)의 출입구(2)에서 케이싱(1) 내로 보내진다(도 20 참조). 이후 ④에서 ⑪까지의 작업이 같은 식으로 반복되어, 캐리지(9)에 다 감긴 보빈(5B)과 빈 보빈(5A)을 교환하는 교환이 순차적으로 행하여진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양 보빈 유지 장치(11),(12)의 상승시의 높이는 항상 보빈(5)을 넘도록 되어 있지만, 보빈(5)을 넘을 필요가 없을 때는 이보다 낮은 높이라도 좋다. 또한, 양 보빈 유지 장치(11),(12)의 개폐는 동시에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지만, 개폐가 필요한 보빈 유지 장치만을 작동시키는 식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연선기용 캐리지에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을 교환하는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장치에 비해 생산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연선기 케이싱(1) 출입구(2)의 외측에 설치되는 캐리지 스테이션(3)과, 캐리지 스테이션(3)의 한쪽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또한 도래한 반송차(4)로부터 빈(empty) 보빈(5A)을 이것을 싣고 있는 팰릿(6)째 받으며, 다른쪽으로 출발하는 반송차(4)로 다 감긴(full) 보빈(5B)을 이것을 싣고 있는 팰릿(6)째 건네주는 운반 컨베이어(7)와, 캐리지 스테이션(3)의 다른쪽으로 나란히 배치된 빈 보빈 대기대(待機臺)(8)와, 운반 컨베이어(7), 캐리지 스테이션(3) 및 빈 보빈 대기대(8)의 상측을 연선기 케이싱(1)에 대한 캐리지(9)의 출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수평 이동체(10)와, 수평 이동체(10)에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의 각각 상측 위치에 한 쌍의 보빈 유지 장치(11),(12)를 지니는 승강체(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 보빈 유지 장치(11),(12)가 운반 컨베이어(7) 및 캐리지 스테이션(3)의 상측 위치와 캐리지 스테이션(3) 및 빈 보빈 대기대(8)의 상측 위치를 나란히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기용 캐리지의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의 교환 장치.
KR1019960043384A 1996-09-25 1996-09-25 연선기용캐리지의다감긴보빈과빈보빈의교환장치 KR10032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384A KR100329021B1 (ko) 1996-09-25 1996-09-25 연선기용캐리지의다감긴보빈과빈보빈의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384A KR100329021B1 (ko) 1996-09-25 1996-09-25 연선기용캐리지의다감긴보빈과빈보빈의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833A KR19980023833A (ko) 1998-07-06
KR100329021B1 true KR100329021B1 (ko) 2002-09-27

Family

ID=6632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384A KR100329021B1 (ko) 1996-09-25 1996-09-25 연선기용캐리지의다감긴보빈과빈보빈의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43B1 (ko) 2007-08-29 2008-11-13 케이비전선 주식회사 신선기용 권취기의 보빈 자동교체 및 권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43B1 (ko) 2007-08-29 2008-11-13 케이비전선 주식회사 신선기용 권취기의 보빈 자동교체 및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833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733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0678596B1 (ko) 천정 반송차 시스템
US4778325A (en) Shelf service apparatus in the form of a crane
CN113086580B (zh) 一种具有限位功能的电梯导轨自动生产加工设备
JP2013155044A (ja) 板材保管棚
JP3357771B2 (ja) 地下立体駐車装置
KR100329021B1 (ko) 연선기용캐리지의다감긴보빈과빈보빈의교환장치
JP2000191106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2000302248A (ja) 長尺物積載装置及び長尺物の積載方法
KR0134954B1 (ko) 로울형상 자재의 격납장치
CN114014216A (zh) 一种细长型材电磁吊装自动堆放设备
EP1752398B1 (en) Apparatus for loading/unloading ceramic products to/from roller storage boxes
JP2887583B2 (ja) 撚線機用台車への満巻・空ボビン載せ替え装置
KR100856302B1 (ko)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US3593869A (en) Crane apparatus with hoist means located between spaced platforms
JPH0826420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昇降台駆動装置
CN214517551U (zh) 一种轮毂铸造生产用模具中转装置
CN211392935U (zh) 一种组装流水线
KR20000074115A (ko) 강판코일의 포장용 보호판 이송장치
KR100554971B1 (ko) 타이어 스트립의 운반 및 적재 자동화장치
CN216336404U (zh) 一种细长型材电磁吊装自动堆放设备
JPH11139557A (ja) 鋼材積込装置
JPH01203105A (ja) コンテナ移送装置
KR20030086653A (ko) 상자 이송적재 장치
CN115535799A (zh) 一种三向进出提升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