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162B1 -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 - Google Patents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4162B1 KR100324162B1 KR1020010066960A KR20010066960A KR100324162B1 KR 100324162 B1 KR100324162 B1 KR 100324162B1 KR 1020010066960 A KR1020010066960 A KR 1020010066960A KR 20010066960 A KR20010066960 A KR 20010066960A KR 100324162 B1 KR100324162 B1 KR 1003241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styrene resin
- sheet
- weight
- particle size
- average p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J2409/06—Copolymers with sty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A)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 ㎛이고,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B)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또는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A), 평균 입자 크기가 1 ㎛ 내지 10 ㎛이고,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6% 중량% 0.06 중량%의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B) 및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중의 디엔 고무 성분 농도가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평균 입자 크기가 0.1 ㎛ 내지 3 ㎛인 디엔 고무 성분을 함유하는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C)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축 연신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를 개시한 것이다. 상기 폴리스티렌 연신된 시이트는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그 표면 상에 균질하게 형성된 미세한 요철들로 인하여 향상된 점착 방지성을 나타낸다. 심지어 다수의 시이트 또는 이들 시이트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이 적재된 경우에도 이들 시이트는 점착되지 않고 쉽게 분리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리콘 오일에 의해 균일하게 피복될 수 있고 시이트 또는 성형품(formings)으로서 적재시 만족할만한 점착 방지성(blocking resistance)을 나타내며 높은 투명도를 갖는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는 투명성 및 중간부 강도(nerve) 때문에 식품 포장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수지 시이트는 강한 점착성 경향을 나타내므로 그 시이트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 예컨대 컨테이너는 적재시 서로 떼어내기가 어렵다.
이러한 점착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50-746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스티렌 수지 내로 고무 입자들을 혼입시키는 방법, 및 일본 특허 공개 제52-80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의 표면 상에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폴리스티렌 수지 매트릭스에 첨가된 고무 입자들은 이축 연신시 그 표면 상에 돌출되어 연신된 시이트의 점착 방지성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시이트의 이축 연신시 상기 고무 입자들은 편평하게 되므로 표면 상에 돌출되는 고무의 비율을 일정하게 하기가 어렵다. 만족할만한 점착 방지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무의 혼입량을 증가시키면,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고무 함량을 증가시키면 장기간 실행 조작 동안 고무의 스코치(scorching) 또는 첨가된 재생 고무의 스코치 때문에 상기 수지 조성물 내로 이물질이 혼입될 수 있는데, 이것은 시이트의 불량한 외관을 초래하고, 시이트의 균열을 일으킨다.
고무 입자의 크기를, 예를 들면 약 6 ㎛ 내지 10 ㎛로 증가시킴으므로써, 고무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지만, 이 방법은 형성된 이축 연신된 시이트의 표면 거침 또는 광택 저하를 수반한다.
또한, 폴리스티렌 수지에 합성 이산화규소(일본 특허 공고 제6-856호), 또는 이산화규소와 스티렌 그라프트화 고무의 조합물(일본 특허 공고 제6-855호)을 혼입하여 이축 연신시 이산화규소가 시이트의 표면 상에 돌출됨으로써 시이트의 점착 방지성을 개선시키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 이산화규소(굴절율: 1.3 내지 1.45)와 폴리스티렌 수지 매트릭스(굴절율: 1.55 내지 1.59) 간의 굴절율 차이로 인해 이축 연신된 시이트는 투명성 및 광택이 저하된다. 또한, 이산화규소는 폴리스티렌 수지 매트릭스와의 계면 습윤성이 불량하므로 매트릭스로부터 탈락한다. 따라서, 형성된 시이트는 물성이 저하되므로 실용성이 없다.
일본 특허 공고 제47-2180호에는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및 말레인산 무수물 단위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미립자를 함유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필름을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에 도포하면 투명성이 매우 우수한 제품이 제공되지 못한다.
일본 특허 공고 제55-7471호에는 내부에 미립자 중합체를 분산시킨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조성물은 불투명, 반투명 또는 소윤된 시이트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이축 연신된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스티렌 수지 매트릭스와, 이 폴리스티렌 수지 매트릭스의 굴절율과 유사한 굴절율을 갖는 가교된 스티렌계 수지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이축 연신시 표면 상에 미세한 요철을 균일하게 갖는 이축 연신된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교된 미립자들은 연신시 편평해지지 않고, 연신된 시이트의 표면 상에 미세한 돌기들을 형성한다. 그 결과,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는 실리콘 오일 피복 성능이 향상되고, 외관의 악화, 첨가된 이산화규소로 인한 균열 또는 첨가된 고무의 스코치 및 투명성 저하가 방지되며, 점착 방지성이 개선되므로 심지어 다수 시이트를 적재시키는 경우에도 각각의 시이트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은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A)와, 평균 입자 크기가 1 ㎛ 내지 10 ㎛이고 형성된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B)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축 연신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은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A)와, 평균 입자 크기가 1 ㎛ 내지 10 ㎛인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B)와, 평균 입자 크기가 0.1 ㎛ 내지 3 ㎛인 디엔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C)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축 연신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는 이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중에 함유된 디엔 고무 농도가 형성된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0.1 중량%(100 ppm 내지 1000 ppm)이도록 첨가한다. 상기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6 중량% 내지 0.06 중량%(60 ppm 내지 600 ppm)의 양으로 첨가한다.
성분 (A)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의 양은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90 중량% 내지 약 9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로 사용할 수 있는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는 스티렌, 알킬스티렌(예, o-, m- 또는 p-메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p-이소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또는 p-t-부틸스티렌), α-알킬스티렌(예, α-메틸스티렌 또는 α-에틸스티렌), α-할로스티렌(예, o-, m- 또는 p-클로로스티렌, o-, m- 또는 p-브로모스티렌, 또는 o-, m- 또는 p-플루오로스티렌), 2치환, 3치환, 4치환 또는 5치환된 클로로스티렌, 2치환, 3치환, 4치환 또는 5치환된 브로모스티렌, 또는 2치환, 3치환, 4치환 또는 5치환된 플루오로스티렌, 및 α- 또는 β-할로스티렌(예, α-클로로스티렌, α-브로모스티렌, β-클로로스티렌 또는 β-브로모스티렌)과 같은 스티렌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이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무수말레인산과 같이 스티렌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의 평균 분자량은 200,000 내지 35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B)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는 매트릭스로 사용된 폴리스티렌 수지의 굴절율과 유사한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 크기는 통상 1 ㎛ 내지 10 ㎛인 것이 일반적이고, 3 ㎛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6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 크기가 1 ㎛ 미만인 경우, 지나치게 미세한 미립자는 재응집하여 수지 매트릭스 내에서 불충분하게 분산되는데, 이것은 종종 피쉬 아이(fish eye)를 형성하고 시이트 외관을 악화시킨다. 평균 입자 크기가 10 ㎛를 초과하는 경우, 조립질(組粒質) 입자들은 외관을 손상시키고 연신시 시이트 균열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있어서,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는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0.1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0.01 중량% 내지 0.06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양이 각각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전술한 하한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연신시 표면 상에 형성되는 돌기 수가 너무 적게 되므로 연신된 시이트, 특히 적재 시이트로 성형된 제품의 점착 방지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미립자의 양이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입자들은 재응집하여 시이트의 투명성 및 외관을 저화시키고, 연신시 시이트의 균열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는 1 분자 내에 1개의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과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가교제의 공중합체로서 얻을 수 있는데, 상기 화합물과 가교제는 모두 라디칼 중합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화합물의 예로는 스티렌 및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모노비닐 화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예로는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현탁 중합, 분산 중합 및 에멀션 중합과 같이 입자 형태의 중합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용액 중합 또는 괴상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있다.
제조예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제조
물 1,860 g, 폴리비닐 알코올 10 중량% 수용액 218 g, 스티렌 1,350 g, 디비닐 벤젠 20.4 g 및 라우로일퍼옥사이드 13.5 g을 배트(vat)에 넣고, 균질화 혼합기(homomixer)로 5,000 rpm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여 미분된 소적들을 함유하는 단량체 제제를 제조하였다.
물 1,120 g 및 폴리비닐 알코올 10 중량% 수용액 123 g을 5ℓ 들이 4 목 플라스크에 넣고, 그 내부를 질소 기체로 교체시킨 뒤, 온도를 70℃로 상승시켰다. 여기에, 앞서 제조한 단량체 제제를 2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그 혼합물을 80℃에서 4 시간 동안 방치하여 중합 및 숙성을 진행시켰다. 형성된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 일 동안 방치하였다. 상청액을 제거한 후, 잔류 내용물을 열기(hot-air) 건조기에서 50℃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분말 및 벌크를 커피 미분쇄기에서 분쇄한 후, 풍력 분급기(NPK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인 미소형 분급기)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평균 입자 크기가 4.3 ㎛인 중합체 비이드를 얻었다.
성분 (C)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는, 얻어지는 수지가 0.1 ㎛ 내지 3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디엔 고무 성분을 함유하도록, 괴상 중합 및 현탁 중합과 같은 종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중의 디엔 고무 성분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1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디엔 고무 성분의 예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2-클로로-1,3-부타디엔, 1-클로로-1,3-부타디엔 및 피페린과 같이 1개 이상의 공역 1,3-디엔을 포함하는 디엔중합체를 들 수 있다.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중에 함유된 디엔 고무 성분은 평균 입자 크기가 0.1 ㎛ 내지 3 ㎛,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2.5 ㎛이다. 입자 크기가 0.1 ㎛ 미만인 경우, 연신된 시이트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고무 돌기의 크기는, 특히 시이트를 적재시키고 압착시켰을 때 상기 표면에 점착 방지성을 부여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평균 직경이 3 ㎛을 초과하는 큰 입자는 표면 거침도 및 투명성의 저하를 일으킨다. 상기 수지 조성물 중의 디엔 고무 성분의 농도는 0.006 중량% 내지 0.06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04 중량%이다. 고무 성분 농도가 0.006 중량% 미만인 경우, 실리콘 오일은 상기 시이트의 표면 상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없다.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들의 양이 증가되어 고무 성분 농도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경우, 이들 입자의 응집물이 증가하여 시이트의 표면을 거칠게 한다. 고무 성분 농도가 0.06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투명성은 저하된다.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중에 함유된 고무 성분과 관련하여 앞에서 사용한 '평균 입자 크기'라는 용어는, 샘플 수지의 초박 구간을 촬영한 투과 현미경 사진에서 고무상 중합체 입자 1000개에 대해 측정한 원 환산 입자 직경(돌출된 입자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을 하기 수학식에 대입하여 얻은 평균 입자 크기(D)를 의미한다:
상기 식 중,
ni는 원 환산 입자 직경(Di)을 갖는 고무 중합체 입자의 수를 나타낸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윤활제, 가소제 및 착색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이트화하여 연신시키고자 하는 수지 조성물은 헨쉘(Henschel) 혼합기, 트윈-실린더 혼합기 등에서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와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를 건식 혼합하거나, 또는 다량의 유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매스터(master) 펠릿을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와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 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10℃ 내지 135℃,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25℃의 온도에서 연신시킨다. 각 방향(종방향 및 횡방향)의 연신비는 일반적으로 2 내지 5이다. 각 방향의 연신비는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연신된 시이트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01 nm 내지 0.1 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의 표면은, 디메틸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고 오스왈드(Ostwald) 점도가 20℃에서 100 cSt 내지 200,000 cSt인 실리콘 오일, 또는 유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방무제(anti-fogging agent) 또는 대전 방지제와 같은 첨가제와 함께 사용하여 제조한 상기 실리콘 오일의 에멀션으로 균일하게 피복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의 적당한 도포량은 손으로 만져보아 건조함을 느낄 정도인 약 10 mg/m2내지 약 150 m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실시예
실시예에 있어서, 평균 입자 크기는 코울터(Coulter) 계수기로 측정한 50% 부피의 평균 입자 직경이다. 형성되는 연신된 시이트의 특성들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이 등급 분류하였다.
1. 박리성(점착 방지성)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를 열성형기(FK-0431-01, 천야 제철소 제품) 상에서 컨테이너(상부 개구 직경: 90 mm, 밀폐된 하부 직경: 60 mm, 높이: 50 mm)로 성형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20개의 컨테이너를 적재시켜 가압 하에 다이 절단기로 절단하였다. 상기 적재물에 2 kg의 하중을 부과한 상태의 높이(h)와 이 하중을 제거한 상태의 높이(ho)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에 따른 회복율(%)을 계산하였다:
성형된 제품들의 박리성을 회복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A 등급 내지 D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A 30% 이상
B 20% 이상 내지 30% 미만
C 10% 이상 내지 20% 미만
D 10% 미만
2. 투명성
스가 테스트 인스트루먼트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의 탁도(hase) 측정기를 사용하여 두께가 180 ㎛인 시이트의 탁도를 측정하였다. 투명성을 탁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A 등급 내지 D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A 1% 이하
B 1% 초과 내지 1.5% 이하
C 1.5% 초과 내지 2.0% 이하
D 2.0% 초과
3. 시이트 표면 상의 돌기 수
동경 정밀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인 2차원 표면 조도(粗度) 측정계 'Surfcom'을 사용하여 높이가 0.2 ㎛ 내지 1 ㎛이고 길이가 20 cm인 샘플 시이트의 돌기 수를 측정하였다:
A 151개 이상
B 101개 내지 150개
C 51개 내지 100개
D 50개 이하
4. 실리콘 오일 마크
A4 크기의 시이트 10개를 차례로 적재하고, 그 위에 10 kg의 하중을 12 시간 동안 부과하였다. 그 A4 시이트 면적을 100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지도 모양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육안으로 측정하였다:
A 5% 이하
B 5% 초과 내지 25% 이하
C 25% 초과 내지 50% 이하
D 50% 초과
5. 스코치(scorching)
크기가 0.2 mm 이상인 모든 피쉬 아이 중에서 착색 및 오염을 비롯한 수지 스코치로 인한 피쉬 아이의 비율을 50 배율의 확대경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측정하였다:
A 5% 이하
B 5% 초과 내지 25% 이하
C 25% 초과 내지 50% 이하
D 50% 초과
실시예 1∼4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를 평균 입자 크기가 8 ㎛인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SBX-8, 세키스이 플라스틱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와 표 1에 나타낸 양으로 혼합하고, 형성된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서 압출하여 시이트를 성형하였다. 이 시이트를 125℃의 온도에서 각 방향에 대해 연신비 2.5로 이축 연신하여 두께 180 ㎛의 이축 연신된 시이트를 얻었다. 연신된 시이트의 표면을 40 mg/m2의 도포량으로서 실리콘 오일로 피복하였다. 이 시이트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3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중에 함유된 고무 성분의 농도와 고무 성분의평균 입자 크기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형성된 시이트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된 시이트 중 어떤 것도 모든 특성 요건을 만족시키지는 못하였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
첨가제: | |||||||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 | |||||||
평균 입자 크기(㎛) | 8 | 8 | 8 | 8 | |||
첨가량(중량%) | 0.05 | 0.09 | 0.1 | 1 | |||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 |||||||
고무 성분의 평균 입자 크기(㎛) | 10 | 2.5 | 1.0 | ||||
고무 성분의 첨가량(중량%) | 0.15 | 0.2 | 0.05 | ||||
특성: | |||||||
박리성 | B | A | A | A | B | A | D |
투명성 | A | A | B | B | C | B | A |
돌기 수 | B | A | A | A | B | B | D |
실리콘 오일 마크 | A | A | A | A | B | A | D |
스코치로 인한 피쉬 아이의 수 | A | A | A | A | C | C | A |
실시예 5∼8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입자 크기가 다양한 고무 성분의 함량이 6 중량%인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MC6560, 셰브론 케미칼 컴파니 제품)와 혼합하여,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중의 고무 농도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도록 하였다. 이 혼합물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세키스이 플라스틱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인 테크노폴리머(Technopolymer), 또는 니뽄 페인트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인마이크로겔(Microgel))와 표 2에 나타낸 양으로 혼합하였다. 형성된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서 압출하여 시이트를 성형시키고, 125℃의 온도에서 각 방향에 대해 연신비 2.5로 이축 연신하여 180 ㎛ 두께의 이축 연신된 시이트를 얻었다. 연신된 시이트의 표면을 도포량 40 mg/m2으로서 실리콘 오일로 피복하였다. 그 시이트의 특성을 표 2에 수록하였다.
비교예 4∼7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의 고무 농도 및 고무 평균 입자 크기와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평균 입자 크기 및 첨가량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형성된 시이트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5 | 실시예6 | 실시예7 | 실시예8 | 비교예4 | 비교예5 | 비교예6 | 비교예7 | |
첨가제: | ||||||||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 ||||||||
고무 성분의 평균 입자크기 (㎛) | 0.6 | 0.6 | 1.4 | 2.3 | 8.5 | 4.0 | 1.0 | 0.5 |
고무 성분의 첨가량(중량%) | 0.08 | 0.04 | 0.03 | 0.01 | 0.1 | 0.2 | 0.05 | 0.05 |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 | ||||||||
평균 입자 크기(㎛) | 6 | 6 | 6 | 6 | - | - | 50 | 0.1 |
첨가량(중량%) | 0.01 | 0.05 | 0.01 | 0.05 | - | - | 0.02 | 0.02 |
특성: | ||||||||
박리성 | A | A | A | A | B | B | D | D |
투명성 | B | B | B | B | C | D | D | C |
돌기 수 | A | A | A | A | B | B | B | C |
실리콘 오일 마크 | A | A | A | A | D | B | D | D |
스코치로 인한 피쉬 아이의 수 | A | A | A | B | B | B | B | B |
앞에서 충분히 설명 및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 연신된 시이트는 표면 상에서 미세한 요철을 균일하게 가지므로 실리콘 오일을 그 위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상기 시이트는 향상된 점착 방지성을 나타내는 한편, 투명성을 유지하고, 고무 성분의 열적 열화로 인한 이물질에 의해 종래에 야기되었던 시이트 외관의 악화 및 균열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심지어 상기 시이트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을 적재한 경우에도 이들 시이트는 점착되지 않고 쉽게 분리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일 없이 본 발명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면이 실리콘 오일에 의해 균일하게 피복될 수 있고, 시이트 또는 이것으로 제조된 성형품으로서 적재시 만족할만한 우수한 점착 방지성을 나타내며, 투명성이 높은 향상된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를 제공한다.
Claims (5)
- 하기 (A) 성분 내지 (C)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축 연신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A)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B) 평균 입자 크기가 1 ㎛ 내지 10 ㎛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6 중량% 내지 0.06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및(C)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중의 디엔 고무 성분 농도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0.1 중량%가 될 정도의 양으로 존재하는, 평균 입자 크기가 0.1 ㎛ 내지 3 ㎛인 디엔 고무 성분을 함유하는 고무 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내지 350,000인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3 ㎛ 내지 10 ㎛인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3 ㎛내지 6 ㎛인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양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0.06 중량%인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1994-00035855 | 1994-03-07 | ||
JP3585594 | 1994-03-07 | ||
JP22998894A JP3207053B2 (ja) | 1994-09-26 | 1994-09-26 | 2軸延伸ポリスチレン系樹脂シート |
JPJP-P-1994-00229988 | 1994-09-26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4477A Division KR100339282B1 (ko) | 1994-03-07 | 1995-03-06 | 이축연신된폴리스티렌수지시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24162B1 true KR100324162B1 (ko) | 2002-02-16 |
Family
ID=263748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4477A KR100339282B1 (ko) | 1994-03-07 | 1995-03-06 | 이축연신된폴리스티렌수지시이트 |
KR1020010066960A KR100324162B1 (ko) | 1994-03-07 | 2001-10-30 |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4477A KR100339282B1 (ko) | 1994-03-07 | 1995-03-06 | 이축연신된폴리스티렌수지시이트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2) | KR100339282B1 (ko) |
CN (1) | CN1112052A (ko) |
TW (1) | TW37822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3726B1 (ko) * | 2003-10-30 | 2007-12-07 |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CN1321151C (zh) * | 2005-06-03 | 2007-06-13 | 广东华业包装材料有限公司 | 一种双向拉伸聚苯乙烯薄膜的生产方法 |
JP5343391B2 (ja) * | 2007-07-17 | 2013-11-13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 |
CN106459449B (zh) * | 2015-04-14 | 2021-04-27 | 电化株式会社 | 苯乙烯系双轴拉伸片材、带防雾剂层的双轴拉伸片材、包装容器及加热烹调方法 |
-
1995
- 1995-03-04 TW TW084102054A patent/TW37822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3-06 KR KR1019950004477A patent/KR1003392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3-07 CN CN95100984A patent/CN1112052A/zh active Pending
-
2001
- 2001-10-30 KR KR1020010066960A patent/KR1003241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32389A (ko) | 1995-12-20 |
CN1112052A (zh) | 1995-11-22 |
KR100339282B1 (ko) | 2002-11-18 |
TW378225B (en) | 2000-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94247A (en) | Impact-resistant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 | |
KR0150240B1 (ko) | 고무-변성 스티렌 중합체의 팽창성 발포 비이드 | |
KR100324162B1 (ko) | 이축 연신된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 | |
KR100311756B1 (ko) | 스티렌계수지조성물 및사출- 및압출-성형품 | |
JP2868523B2 (ja) | 高い衝撃強度を有するポリマー組成物 | |
US5902845A (en) | Rubber-modified styrenic resin composition and its molded article | |
JPS6231017B2 (ko) | ||
US6388019B1 (en) | Styrenic resin composition for biaxially stretched sheet | |
EP0718361A1 (en) | Antiblocking agent master batch and oriented polyolefin resin film using the same | |
JPH07323474A (ja) |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 |
JP4313889B2 (ja) | 二軸延伸スチレン系樹脂シート | |
US3994992A (en) | Biaxially oriented polymeric sheet having attenuated blocking tendencies and a method of attenuating | |
EP0718360A1 (en) |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oriented film and oriented film of the composition | |
JP3207053B2 (ja) | 2軸延伸ポリスチレン系樹脂シート | |
JP2002020564A (ja) |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延伸シート | |
JP3538882B2 (ja) | 空洞含有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 |
JPH10338781A (ja) |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 |
JPS5943059B2 (ja) | 透明性を改良した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 |
JPH10251419A (ja) | 二軸延伸スチレン系樹脂シートおよび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 |
JP3351124B2 (ja) |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表面改質剤 | |
JP3219485B2 (ja) | スチレン系樹脂二軸延伸シート | |
DE19743504A1 (de) | Kautschukmodifizierte Styrolharzmasse und Formkörper daraus | |
JP3590149B2 (ja) | 二軸延伸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軸延伸フィルム | |
JP3228659B2 (ja) | 2軸延伸ポリスチレン系樹脂シート | |
JPS62240331A (ja) | スチレン系樹脂延伸シ−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