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068B1 -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파이프 진동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파이프 진동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068B1
KR100323068B1 KR1019990045478A KR19990045478A KR100323068B1 KR 100323068 B1 KR100323068 B1 KR 100323068B1 KR 1019990045478 A KR1019990045478 A KR 1019990045478A KR 19990045478 A KR19990045478 A KR 19990045478A KR 100323068 B1 KR100323068 B1 KR 100323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portion
vehicle
silencer
bracke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782A (ko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4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068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72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파이프 진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자동차의 주행시 연결파이프의 절곡부가 진동되면서 이 진동이 차체에 까지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절곡부(131)가 형성되면서 전방소음기(110)와 후방소음기(120)를 서로 이어주는 연결 파이프(130)와; 일측면에 강도보강용 비드(141)가 형성되면서 상기 절곡부(131)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14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브라켓(140)이 연결파이프(130)의 절곡부(131)를 지지하고 있어 자동차 주행시 절곡부(131)가 종래처럼 진동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어 이로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 파이프 진동 방지구조 {Structure for preventing vibration of pipe connecting front muffler and rear muffl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소음기와 후방소음기를 서로 이어주기 위한 연결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연료탱크의 간섭을 받지않기 위해 연결파이프의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절곡부에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하여 절곡부를 지지토록하므로서 차량 주행시 절곡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 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 파이프 진동 방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실린더 엔진으로서, 실린더의 내부로 쵸크밸브의 조절에 의해 흡입된 공기와 무화(霧化)되어 공기중에 부유된 연료가 섞인 혼합기를 엑셀페달과 케이블로 연결된 스로틀밸브를 엑셀페달로 조절하여 실린더내로 흡입시켜 피스톤으로 압축한 다음 점화시키면 급격히 연소하여 고온고압의 가스가 발생된다.
이 고온고압의 가스에 의해 각 실린더가 흡입, 압축, 팽창, 배기행정을 하여 피스톤이 승강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직선운동이 피스톤의 커넥팅로드를 거펴 크랭크축에 의하여 회전운동으로 바뀌어 바퀴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행정을 유발하는 고온고압의 가스는 배기행정을 통하여 배기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기장치는 실린더의 배기가스를 종합하는 배기다기관, 배기가스내의 유해물질을 무해물질로 변환시키는 촉매컨버터,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배기파이프 및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소음기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음기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것으로서 보통 타원형의 통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는 칸막이에 의해 3 - 4 개의 챔버로 구성되어 있고, 글라스 울과 같은 흡음재가 채워져 소리를 줄인다. 상기 소음기의 용량은 엔진배기량의 15 - 20 배 정도로 잡고 있다.
상기 챔버는 흡입 파이프, 연결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배기장치를 거친 배기가스가 흡입 파이프와 연결 파이프를 거쳐 마지막으로 배출파이프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챔버를 통과한 음파의 간섭, 압력변동의 감소, 배기온도의 저하등을 일으켜 점차로 배기가스가 소음되도록 되어 있으며, 소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소음기의 저항이 너무 커지면 엔진의 폭음은 작아지지만 배기행정에 미치는 저항, 즉 배압이 높아져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므로 자동차의 사용목적에 따라 법규에서 정한 범위에 들도록 소음의 정도를 정하고 있다.
상기의 소음기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소음기(10)와 후방소음기 (20)로 구분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강철로 된 연결 파이프(30)로 이어져 있는데, 상기 연결 파이프(30)는 일직선상으로 되어있는 것이 아니고, 소정부위를 구부려서 다수의 절곡부(31)가 형성되어있다.
상기처럼 연결파이프(30)의 소정부위에 절곡부(31)를 형성하는 이유는 자동차의 배기장치는 차체의 플로어판넬(도면중 미도시) 저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플로어판넬에는 배기장치뿐만 아니라 연료를 보관하기 위한 연료탱크(도면중 미도시)도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 파이프(30)가 일직선으로 뻗어있게 되면 연료탱크를 설치할 수가 없기 때문에 즉, 연료탱크의 간섭을 받지 않으려면 부득이 연결파이프(30)에 절곡부(31)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처럼 연결 파이프(30)에 절곡부(31)를 형성하다 보면 자동차가 주행시 상기 절곡부(31)에 진동이 발생되며, 이 진동은 차체로 그대로 전달되어 소음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소음기와 후방소음기를 이어주는 연결파이프의 절곡부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진동을 최소화 하므로써 소음 저감을 이룰수 있는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 파이프 진동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면서 전방소음기와 후방소음기를 서로 이어주는 연결 파이프와; 일측면에 강도보강용 비드가 형성된 브라켓으로 구성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결파이프의 절곡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의해 자동차 주행도중 절곡부가 진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배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실시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부분 확대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이 실시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브라켓을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 전,후방 소음기 130 : 연결파이프
131 : 절곡부 140 : 브라켓
141 : 비드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이 실시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이 실시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브라켓을 예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예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전방소음기(110)와 후방소음기(120)를 연결파이프(130)로 서로 이어주되 상기 연결파이프(130)에는 다수의 절곡부(131)가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31)에는 비드(141)가 형성된 브라켓(140)의 양단을 용접하여 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브라켓(140)을 사용하여 자동차 주행시 연결파이프(130)의 절곡부(131)에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즉, 종래에는 자동차 주행시에 연결파이프(30)의 절곡부(31)가 떨리면서 진동음이 발생되고, 이 진동음은 다시 차체로 유입되면서 심각한 소음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절곡부(131)에 대각선 방향으로 브라켓(140)을 용접으로 설치하므로서 상기 브라켓 (140)이 절곡부(131)를 지지하여 자동차 주행중에도 절곡부(131)가 진동되지 않아 이로인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40)은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비드(141)를 형성하여 강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브라켓(140)에 형성된 비드(141)는 브라켓(1140)을 연결파이프(130)의 절곡부(131)에 용접 설치시 위치설정이 용이한 것으로서 다시말하면 상기 절곡부(131)에 브라켓(140)을 접면시킨 상태에서 연결파이프(130)를 약간 이동시키거나 또는 브라켓(140)을 약간 이동시키면 도 3 내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파이프(130)의 일측이 브라켓(140)에 형성된 비드(141)에 걸려 더이상 이동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이상태에서 용접작업을 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방소음기와 후방소음기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연결파이프의 절곡부에 브라켓을 설치하므로서 주행중에 절곡부가 진동되지 않아 이로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절곡부(131)가 형성되면서 전방소음기(110)와 후방소음기(120)를 서로 이어주는 연결 파이프(130);
    일측면에 강도보강용 비드(141)가 형성되면서 상기 절곡부(131)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14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 파이프 진동방지 구조
KR1019990045478A 1999-10-20 1999-10-20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파이프 진동 방지구조 KR100323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78A KR100323068B1 (ko) 1999-10-20 1999-10-20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파이프 진동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78A KR100323068B1 (ko) 1999-10-20 1999-10-20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파이프 진동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782A KR20010037782A (ko) 2001-05-15
KR100323068B1 true KR100323068B1 (ko) 2002-02-09

Family

ID=1961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478A KR100323068B1 (ko) 1999-10-20 1999-10-20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파이프 진동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23A (ko) * 2002-04-15 2003-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기계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4U (ja) * 1991-06-24 1993-01-08 カルソニツク株式会社 排気管のダンパー装置
JPH09166012A (ja) * 1995-12-15 1997-06-24 Isuzu Motors Ltd 排気管の騒音低減装置
KR19990026973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자동차 배기장치의 배기파이프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4U (ja) * 1991-06-24 1993-01-08 カルソニツク株式会社 排気管のダンパー装置
JPH09166012A (ja) * 1995-12-15 1997-06-24 Isuzu Motors Ltd 排気管の騒音低減装置
KR19990026973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자동차 배기장치의 배기파이프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782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9218B2 (ja) 車両の排気消音装置
US7243757B2 (en) Exhaust muffler
KR20080025250A (ko) 자동차 배기계의 전방 마운트 구조
KR100323068B1 (ko)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파이프 진동 방지구조
KR20130106834A (ko) 소형 쿨롱 댐퍼
CN206917703U (zh) 一种汽车催化消声器总成
KR100323069B1 (ko) 자동차의 전방 소음기 구조
KR100311131B1 (ko) 자동차용 배기관의 레조네이터
KR20010019246A (ko) 자동차의 소음기
KR0171351B1 (ko)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KR101794845B1 (ko) 배기파이프의 장착구조
KR200416973Y1 (ko) 소음저감용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JP2937930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H05248235A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200149118Y1 (ko) 방음을 위한 물 순환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배기장치의 주 소음기
JPH0614012Y2 (ja) スタンド式マフラ
KR19980018776U (ko)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JPS62121821A (ja)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KR200144499Y1 (ko) 진동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소음기
KR20050039224A (ko) 자동차의 배기계구조
KR0132791Y1 (ko) 차량용 배기관 고정장치
CN1087809C (zh) 车辆消声器
KR0178930B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H051529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H01227812A (ja) 排気装置における膨張室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