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351B1 -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351B1
KR0171351B1 KR1019960043190A KR19960043190A KR0171351B1 KR 0171351 B1 KR0171351 B1 KR 0171351B1 KR 1019960043190 A KR1019960043190 A KR 1019960043190A KR 19960043190 A KR19960043190 A KR 19960043190A KR 0171351 B1 KR0171351 B1 KR 017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discharge pipe
durability
vibrating body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691A (ko
Inventor
부유석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4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35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소음기를 통해서 배기가스가 배출됨에 따라 상당한 압력을 받는 소음기의 배출파이프의 용접부가 지속적인 진동압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는등 내구성에 한계가 있었지만 이것을 테스트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구성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음기(30)의 형상에 따라 소음기 외주를 움켜잡으며 착탈교체가능한 소음기 죔쇠(11)가 설치되는 지그(10); 상기 지그(10)에 설치된 소음기(30)의 배출파이프(31) 외주를 움켜잡는 파지구(24)가 설치된 진동체(23); 그리고 상기 진동체(23)와 복수개의 판스프링(22)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파이프(31)를 통해 소음기(3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기가 연결설치되는 압력판(21)으로 구성하여 소음기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실린더 엔진으로서, 실린더의 내부로 쵸크밸브의 조절에 의해 흡입된 공기와 무화(霧化)되어 공기중에 부유된 연료가 섞인 혼합기를 액셀페달과 케이블로 연결된 스로틀밸브를 액셀페달로 조절하여 실린더내로 흡입시켜 피스톤으로 압축한 다음 점화시키면 급격히 연소하여 고온고압의 가스가 발생된다.
이 고온고압의 가스에 의해 각 실린더가 흡입, 압축, 팽창, 배기행정을 하여 피스톤이 승강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직선운동이 피슨톤의 커넥팅로드를 거쳐 크랭크축에 의하여 회전운동으로 바뀌어 바퀴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행정을 유발하는 고온고압의 가스는 배기행정을 통하여 배기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기장치는 실린더의 배기가스를 종합하는 배기다기관, 배기가스내의 유해물질을 무해물질로 변화시키는 촉매컨버터,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배기파이프 및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소음기(머플러)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음(消音)기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것으로서, 보통 타원형의 통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는 칸막이에 의해 3-4개의 챔버로 구성되어 있고, 글라스 울과 같은 흡음재가 채워져 소리를 줄인다.
소음기의 용량은 엔진배기량의 15-20배 정도로 잡고 있다.
상기 챔버는 흡입 파이프, 연결 파이프 및 배출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배기장치를 거친 배기가스가 흡입 파이프와 연결 파이프를 거쳐 마지막으로 배출 파이프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챔버를 통과한 음파의 간섭, 압력변동의 감소, 배기온도의 저하 등을 일으켜 점차로 배기가스가 소음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소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소음기의 저항이 너무 커지면 엔진의 폭음은 작아지지만 배기행정에 미치는 저항, 즉 배압(back press)이 높아져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므로 자동차의 사용목적에 따라 법규에서 정한 법위에 들도록 소음의 정도를 정하고 있다.
소음기의 소음효과는 손실되는 에너지가 많을수록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엔진의 출력에 여유가 있는 배기량이 큰 엔진을 탑재한 차일수록 주행시의 엔진의 배기음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소음기는 항상 배기가스에 의해 상당한 압력을 받기 때문에 그 내구성에 한계가 있다.
즉, 배기가스가 배출됨에 따라 상당한 압력을 받는 배출파이프의 용접부가 지속적인 진동압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는등 내구성에 한계가 있었지만 이것을 테스트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구성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생각해낸 것으로, 소음기에 주기적으로 진동압을 가하여 그 내구성을 테스트하므로써 내구성의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한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기가 고정설치되는 지그; 상기 소음기의 배출파이프를 움켜잡는 파지구가 설치된 진동체; 그리고 상기 진동체와 판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진동기가 연결설치되는 압력판으로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를 구성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리사
시도
도 2는 소음기가 설치된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그11 : 소음기 죔쇠
21 : 압력판22 : 판스프링
23 : 진동체24 : 파지구
30 : 소음기31 : 배출파이프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과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에 소음기를 설치하여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소음기(30)의 형상에 따라 소음기 외주를 움켜잡으며 착탈교체가능한 소음기 죔쇠(11)가 설치되는 지그(10); 상기 지그(10)에 설치된 소음기(30)의 배출파이프(31) 외주를 움켜잡는 파지구(24)가 설치된 진동체(23); 그리고 상기 진동체(23)와 복수개의 판스프링(22)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파이프(31)를 통해 소음기(3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기가 연결설치되는 압력판(21)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판스프링(22)은 후(厚)형 판스프링(22b)의 상/하에 박(薄)형 리프(leaf) 판스프링(22a)을 결합하여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박형 리프 판스프링(22a)을 상기 압력판(21)과 진동체(23)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배출파이프(31)를 잡는 파지구(24)는 둘로 갈라져 형성된 것으로서, 상파지구(24a)는 진동체(23)에 결합되고, 하파지구(24b)는 상기 상파지구(24a)에 끼워진 배출파이프(31)를 완전히 움켜잡기 위한 자물쇠로서 상파지구(24a)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파지구(24a)(24b)의 배출파이프 접촉부에는 플라스틱 보호구(24c)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10)는 상판(12)과 하판(13)이 복수개의 기둥(14)에 의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판(12)과 하판(13)에 소음기 죔쇠(11)가 대향설치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소음기 죔쇠(11)는 상/하판(12)(13)에 볼트에 의해 착탈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소음기(30)를 고정설치하는 지그(10)와 고정설치된 소음기(30)의 배출파이프(31)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기에 연결설치된 압력판(21), 상기 배출파이프(31)를 잡는 파지구(24)가 설치된 진동체(23) 및 상기 압력판(21)과 진동체(23)를 이어주는 판스프링(22)으로 된 진동수단으로 소음(消音)기 내구성 테스트장치를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테스트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그(10)의 소음기 죔쇠(11)에 소음기(3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소음기(30)의 배출파이프(31)에 진동수단의 상파지구(24a)를 끼운후 하파지구(24b)를 상기 상파지구(24a)에 볼트로 결합한 상태에서 진동기를 작동시키면 진동기의 진동압이 압력판(21)에 의해 판스프링(22)을 통해 배출파이프(31)에 전달되면서 배출파이프(31)에 진동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판스프링(22)중 박형 리프 판스프링(22a)에 의해 진동체(23)에 진동압이 유연하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주행중 배기가스에 의해 지속적인 진동압이 가해지는 배출파이프(31)에 동일하게 진동압을 가하므로써 배출파이프(31)의 용접부(40) 이탈 등의 소음기(30)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조향휠 내구성 테스트장치에 의한 소음기에 진동압을 가하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이처럼 지속적인 진동압을 소음기에 가하여 내구성을 테스트하므로써 소음기의 내구성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가스의 소음(騷音)을 낮추는 소음(消音)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음기에 진동압을 가하여 그 내구성을 테스트하고자 한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소음기 형상에 따라 착탈교체가능한 소음기 죔쇠(11)가 설치된 지그(10); 상기 지그(10)에 설치된 소음기(30)의 배출파이프(31) 외주를 움켜잡는 파지구(24)가 설치된 진동체(23); 그리고 상기 진동체(23)와 판스프링(22)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파이프(31)를 통해 소음기(3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기가 연결설치되는 압력판(2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후(厚)형 판스프링(22b)의 상/하에 박(薄)형 리프(leaf) 판스프링(22a)을 결합하여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박형 리프 판스프링(22a)을 상기 압력판(21)과 진동체(23)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24)는 진동체(23)에 고정설치된 상파지구(24a)와 상기 배출파이프(31)에 설치된 상기 상파지구에 결합되는 하파지구(24b)로 분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KR1019960043190A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KR0171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190A KR0171351B1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190A KR0171351B1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691A KR19980023691A (ko) 1998-07-06
KR0171351B1 true KR0171351B1 (ko) 1999-05-15

Family

ID=1947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190A KR0171351B1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3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691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9218B2 (ja) 車両の排気消音装置
US4080945A (en) Structure of V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0171351B1 (ko) 자동차의 소음기 내구성 테스트장치
EP0542749B1 (en) Noise cancellation apparatus
KR20010019246A (ko) 자동차의 소음기
KR100323068B1 (ko) 자동차의 전,후방 소음기 연결파이프 진동 방지구조
JP3213852B2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US4081959A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thermal reactor to an engine proper
JPS60198320A (ja) 自動二輪車用多気筒エンジンの排気装置
KR100312346B1 (ko) 차량의 배기파이프 고정용 행거러버 보호구
KR100323069B1 (ko) 자동차의 전방 소음기 구조
KR100925929B1 (ko) 엔진 부밍 소음 저감타입 차량의 배기 장치
KR19980018776U (ko)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KR100398156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2371230B1 (ko) 차량용 머플러 유닛의 발전장치
KR100528212B1 (ko) 히트 프로텍터 체결부의 구조
KR100318070B1 (ko) 소음 저감형 배기 매니폴드 커버
JPS6183406A (ja) 排気マフラ−
KR100333293B1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장착구조
JP2937930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SU1390390A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KR19980075947A (ko) 자동차용 소음기
JP2003314272A (ja) 排気系における球面ジョイント構造
KR20050039224A (ko) 자동차의 배기계구조
KR20010037791A (ko) 자동차의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