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653B1 - 펄스mag용접용와이어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펄스mag용접용와이어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653B1
KR100321653B1 KR1019980016473A KR19980016473A KR100321653B1 KR 100321653 B1 KR100321653 B1 KR 100321653B1 KR 1019980016473 A KR1019980016473 A KR 1019980016473A KR 19980016473 A KR19980016473 A KR 19980016473A KR 100321653 B1 KR100321653 B1 KR 100321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ess
steel
mag welding
rema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880A (ko
Inventor
도끼히꼬 가따오까
고이찌 야스다
겐지 도끼노리
Original Assignee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모또 간지
Publication of KR1998008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7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Mn as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아아크의 안정화 및 스퍼터 발생의 저감 뿐만 아니라, 슬래그의 발생을 적게 하고, 또한 슬래그 박리를 방지하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와이어의 강은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이고, 또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조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및 그 제조방법 {PULSE MAG WELDING STEEL WIR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용접후 그대로 도장이 실시되는 자동차용 강판 등의 용접시공에 이용하기에 적절한 펄스 MAG (Metal Active Gas) 용접용 강 와이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접시공중의 아아크의 안정화나 스퍼터 발생량의 저감은 말할 것도 없고, 용접에 의해 생기는 슬래그의 형성량을 적게함과 동시에, 슬래그의 박리를 방지하려고 한 것이다.
Ar-CO2혼합가스, Ar-O2혼합가스 또는 Ar-CO2-O2혼합가스를 보호가스로 하는 용접법은, 자동용접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자동차, 조선 및 건축 등의 각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들의 생산성은 용접속도에 크게 좌우된다.
그러나, 실제 용접시공은, 양호한 비이드형상의 확보와 스퍼터의 다발을 방지하기 위해 저속으로 실시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고, 고속에서도 건전한 용접이 가능한 용접용 와이어에 대한 요구는 높다.
종래, 저전류에서의 펄스 용접법과 와이어 조성의 조정에 의해, 얇은 강판의 용접에서의 스퍼터 저감과 비이드형상의 확보에 관한 기술이 일본국 특개소62-296993 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으나, 와이어 조성의 파라미터 K (K = C - 0.06Si - 0.07Mn + 4S + 3N - 0.20) 를 0.04 부터 0.15 의 범위내로 하기 때문에, 피트나 균열 등의 원인이 되는 C, S, N 을 많이 함유시키고, 탈산원소로서 불가결한 Si, Mn 을 저감할 필요가 있으며, 용접금속에 결함을 생기게 하기 쉽다는 것 외에, 도 3 으로부터 펄스 주파수 225 Hz 로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고속용접을 얻기 위해 표 3 의 실시예의 용접조건 및 도 2 로부터, 전극의 세팅이나 용접선으로의 티칭이 번잡한 2 전극에서의 용접시공을 필요로 하며, 또한 낮은 전류 (와이어 송급속도 < 7 m/min) 에서 시공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K (칼륨) 의 부여에 의해 스퍼터 발생량을 저감하는 방법이 일본국 특개평6-218574 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으나, 이 방법은, 그 중 저속의 용접에서의 스퍼터의 저감에는 유효하기는 하지만, 고속 용접에서의 스퍼터 저감과 슬래그의 박리방지에 대해서는 어떤 고려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K (칼륨) 의 스퍼터 저감효과를 고속의 용접에서도 발휘할 수 있고, 게다가 슬래그의 생성량을 억제하고 또한 슬래그 박리를 방지함으로써, 용접후의 도장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펄스 MAG 용접용 강 와이어를, 그의 유리한 제조방법과 함께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와이어 표층에서의 내부 산화층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C-Ti/4) 와 스퍼터 발생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 은 (Si+Mn)/(O×230) 과 슬래그 자연박리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그래서, 발명자들은, K 를 첨가함으로써, 저 스퍼터화를 달성하는 용접용 와이어에 있어서, 그의 스퍼터 저감효과를 고속에서의 용접에서도 확보하면서, 슬래그의 생성량을 억제하며 박리를 저지함으로써 용접후의 도장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서술하는 지견을 얻었다.
(1) 스퍼터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K 를 0.0001 ∼ 0.0030 wt% 의 범위로 와이어의 강에 함유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2) 고속 펄스 MAG 용접에서 그 효과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의 강 조성을 C : 0.045 wt%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이 효과의 더 큰 향상을 위해서는, Ca 를 0.0020 wt% 이하만큼 함유시키는 것, 그리고 Ti 를 0.06 wt% 이하 또한 C-Ti/4 가 0.03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한편, K 를 함유하는 강의 와이어에서 슬래그의 생성량을 억제함과 동시에 슬래그의 박리를 방지하는 데에는, 강의 조성을,
Si : 0.10 ∼ 0.50 wt%,
Mn : 1.00 wt% 이상,
O : 0.020 wt% 이하
로 하고, 또 다음 식
(Si+Mn)/(O×230)
이 2.0 이하가 되도록 Si, Mn, O 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4) 또한, Se 를 0.003 wt%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한층 더 저 스퍼터화가 달성된다.
(5) 또한, K 를 강중에 함유시킴에 있어서는, 신선 (伸線) 가공전의 소둔에서 와이어 표층에 내부 산화층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K 를 확산시켜서, 산화물로서 안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이렇게 하여, K 의 부여에 의한 스퍼터의 저감효과를 고속의 MAG 용접에서도 가지면서, 슬래그의 생성량을 억제함과 동시에 슬래그 박리를 방지함으로써, 용접후의 도장결함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에 입각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를,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2. 상기 1 에 있어서, 추가로 Ca 를 0.0001 ∼ 0.0020 wt% 함유하는 강으로 이루어지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3. 상기 1 또는 2 에 있어서, 추가로 Ti 를 0.001 ∼ 0.06 wt%, 또 다음 식 (2)
0.030 ≥ C-Ti/4 (2)
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는 강으로 이루어지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4. 상기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내부 산화층과 K 의 농화층 (濃化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5. 상기 3 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내부 산화층과 K 의 농화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6.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를 함유하며 잔부는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소선의 표면에, 칼륨염 수용액을 도포한후, 소둔을 실시하여, K 및 O 가 각각
K : 0.0001 ∼ 0.0030 wt%,
O : 0.003 ∼ 0.020 wt%,
이고, 또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강 조성의 소선으로 하고, 신선가공을 하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의제조방법.
7. 상기 6 에 있어서, 소둔을 실시한후, 신선가공을 하기 전에, 추가로 산세, 그리고 구리 도금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의 제조방법.
8. 상기 6 또는 7 에 있어서, 소둔을 실시함으로써, 내부 산화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의 제조방법.
먼저, 본 발명에서, 와이어의 강 조성을 상기의 범위로 한정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C : 0.045 wt% 이하
C 는, 용접금속의 강도향상에 유용한 원소이며, 소망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정량의 C 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K 에 의해 전리전압을 낮추고, 아아크를 넓히며, 소프트로 함으로 인한 스퍼터 저감효과를, 고속 펄스 MAG 용접에서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용 C 량을 가능한한 저감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특성을 감안하여, C 는 0.045 wt% 이하에서 함유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Si : 0.15 ∼ 0.50 wt%
Si 는, 주로 탈산제로서 불가결한 원소이며, 0.15 wt% 미만에서는 용착금속의 건전성을 보유할 수 없다. 한편, 용접에서는, 그의 1/3 이 슬래그로 변하지만, Si 의 산화물인 SiO2는 응집함으로써 두껍고, 또한 용착금속과 결합력이 약한 유리질에서 박리성이 풍부한 슬래그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그 첨가량에는 스스로 상한이 있고, 0.50 wt% 를 넘게 첨가하면 슬래그 박리를 증대시킨다. 따라서, Si 량은 0.15 ∼ 0.50 wt%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Mn : 1.0 ∼ 2.0 wt%
Mn 은, 탈산제로서, 또한 고강도, 고인성 (高靭性) 을 얻기 위해 불가결한 원소이다. 또한, 첨가에 의해 Si 의 산화를 저감하고, 슬래그의 유리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함유량이 1.0 wt% 를 만족하지 않으면 그 첨가효과는 떨어지고, 한편 2.0 wt% 를 넘으면 오히려 인성의 열화를 초래하므로, Mn 양은 1.0 ∼ 2.0 wt%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O : 0.003 ∼ 0.020 wt%
2.0 ≥ (Si+Mn)/(O×230)
와이어중의 O 는, 슬래그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반면, Fe 의 산화를 증가시켜서 밀착성이 뛰어난 슬래그를 생성하고, 슬래그의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0.003 wt%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함유량이 0.020 wt% 를 넘으면 두꺼운 슬래그를 형성하고, 슬래그 박리의 증대를 초래하므로, O 는 0.020 wt% 이하로 제한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의 조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Si+Mn)/(O×230) 비가 2.0 을 넘게 되면 슬래그와 용착금속의 밀착성이 저하하고, 슬래그의 박리가 증대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Si+Mn)/(O×230) 를 2.0 이하로 하도록 Si, Mn, O 양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K : 0.0001 ∼ 0.0030 wt%
K 는, 스퍼터의 저감에 유효하게 기여하지만 0.0001 wt% 미만에서는 그 첨가효과는 떨어지고, 한편 0.0030 wt% 를 넘으면 용적 (溶滴) 이 불안정하게 되어 큰 입자의 스퍼터의 증대를 초래한다. 따라서, K 양은 0.0001 ∼ 0.0030 wt%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더 적당하게는, 0.0003 ∼ 0.0010 wt%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K 는 비점 (沸点) 이 약 760 ℃ 로 낮고 용강단계에서의 수율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K 를 와이어중에 존재시키는 것은 아주 곤란하였지만, 후술하는 신선 공정에서의 열확산을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상, 필수성분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기타,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은 성분도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Ca : 0.0001 ∼ 0.0020 wt%
Ca 는, 아아크를 안정화시켜 스퍼터의 발생을 저감하는 유용원소이므로 0.0001 wt% 이상 필요하지만, 과잉의 첨가는 오히려 스퍼터량을 증대시키므로, 함유량은 0.0020 wt% 이하로 제한하였다.
Ti : 0.001 ∼ 0.06 wt%
0.030 ≥ C-Ti/4
상술한 바와 같이, K 에 의한 스퍼터의 저감효과를 고속 MAG 용접에서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용 C 량을 저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K 는, 고온에서 탄산염을 형성하기 쉬우므로, 아아크 분위기중의 이산화탄소와 화합하여, 그 만큼 K 량의 감소가 우려되지만, 와이어중의 고용 C 량을 낮게 억제해주면 아아크 분위기중에서의 K 의 탄산염의 형성이 방지되므로, 첨가한 K 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Ti 는, 첨가에 의해 TiC 로서 강중에 석출하고 고용 C 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며, 그 석출물중의 C 는 K 의 탄산염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K 의 저 스퍼터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기 때문에 0.001 wt%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함유량이 0.06 wt% 를 넘으면, 조대한 용적을 형성하고, 큰 입자의 스퍼터량이 증대하므로, Ti 는 0.06 wt% 이하로, 또한 함유 C 량과의 균형으로, 0.030 ≥ C-Ti/4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C 및 Ti 량이 이 범위를 만족하면, 용착금속중의 고용 C 량을 0.030 wt%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Se : 0.003 ∼ 0.2 wt%
Se 는, 한층 나은 저 스퍼터화 및 넓어짐을 가진 비이드형상을 얻는데 유효하게 기여하지만, 함유량이 0.003 wt% 를 만족하지 않으면 그 첨가효과가 떨어지고, 한편, 0.2 wt% 를 넘으면 저 스퍼터화 및 넓어짐을 가진 비이드형상에 대한 효과는 포화에 달하여, 내 (耐) 슬래그 박리성에 대한 악영향이 크므로, Se 는 0.003 ∼ 0.200 wt%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Cr : 0.60 wt% 이하, Ni : 3.0 wt% 이하, Mo : 0.50 wt% 이하, Cu : 3.00 wt% 이하, B : 0.005 wt 이하
Cr, Ni, Mo, Cu 및 B 는, 용접금속의 강도 확보 및 내후성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그러나, 과잉 첨가는 인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각각 상기의 범위에서 함유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Ti, Zr, Al, Nb 및 V 중에서 선택한 적어도 1 종 : 0.30 wt% 이하
Ti, Zr, Al, Nb 및 V 에 대해서는, 용접금속의 강도 확보, 내후성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그러나, 과잉 첨가는 인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단독첨가 또는 복합첨가의 어느 경우도 0.30 wt% 이하에서 함유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특히, 고속에서의 용접에서는, Ti 량을 0.03 wt% 이하로 하고, 용적, 용착금속의 점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뛰어난 비이드형상을 얻을 수 있다.
P : 0.030 wt% 이하, S : 0.035 wt% 이하, N : 0.010 wt% 이하
P, S 및 N 은, 용접금속의 인성을 저하시키므로, 아주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각 P : 0.030 wt% 이하, S : 0.035 wt% 이하, N : 0.010 wt% 이하에서 허용할 수 있다.
또한, K 와 O 는 별도로 하고, 상기의 적절한 성분 조성을 목표치로 조제한 용강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주조로 빌렛 (billet) 으로 하여, 그후 열간압연에 의해 소선으로 한다.
이어서, 소둔 후, 산세, 구리 도금 및 신선 가공을 실시하여 제품의 와이어로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소둔 공정에서, 소선의 표층부 (表層部) 에 내부 산화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내부 산화층중에 K 를 함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K 는, 비점이 약 760 ℃ 로 낮고 용강단계에서의 수율이 현저하게 낮으므로, K 를 와이어중에 존재시키는 것은 아주 어렵지만, 신선 공정중의 열확산을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K 를 함유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소둔 처리에서의 분위기로는, 질소가스 등의 불활성 분위기가 바람직하며, 이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와이어가 가진 수분, 표면의 산화막 또는 분위기중에 함유되는 미량의 산화성 가스 (CO2, H2O, O2) 에 의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선의 표층에 내부 산화층을 형성시키고, 이 내부 산화층으로 K 를 확산시켜, 산화물로서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K 의 부여에 대해서는, 최종 제품으로의 도포 또는 신선 윤활제로부터 부여하는 수단도, K 의 안정성, 균일성에는 약간 모자란다고 하더라도, 유효한 수단이다.
그 후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산세, 구리 도금 및 신선 가공을 실시하여 제품으로 하면 된다.
실시예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이 되는 강 블룸 (Cu 는 그 후의 도금에 의한 부착량을 함유한다) 을, 열간압연으로 5.5 ∼ 7.0 ㎜ø 의 소선으로 한 후, 냉간 신선으로 선직경을 2.0 ∼ 2.8 ㎜ø 로 하였다. 이어서, 2 ∼ 30 % 의 시트르산3칼륨 수용액을 도포한 후, O2: 200 ppm 이하, CO2: 0.1 % 이하의 N2분위기중 (노점 : -2 ℃ 이하) 에서 750 ∼ 950 ℃ 로 가열하여, 선직경, 칼륨염 농도 및 가열온도·시간의 조정에 의해, 와이어의 내부산화에 의한 산소량과 칼륨량을 조정하고, 계속 산세, Cu 도금 및 냉간 신선 가공을 실시하여 1.2 ㎜ø 의 용접용 강 와이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용접용 강 와이어를 이용하여, 겹침 필렛 용접을 행했을 때의 스퍼터 발생량 및 슬래그 박리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용접은 Ar-20%CO2혼합가스를 보호가스로 하여 20 l/min 흘려보내고, 펄스 전원 (피크 전류 Ip=460A, 베이스 전류 Ib=60A, 펄스 피크폭 Tp=1.1ms) 을 이용하여, 평균전류 : 280A (주파수 500 Hz, 와이어 송급속도 9 ∼ 11 m/min), 전압 : 30V, 용접속도 : 150 c/min 으로 하고, 실제의 용접형상에 가까운 3.2 ㎜ 의 얇은 강판의 겹침 필렛 용접을 행하였다.
스퍼터 발생량의 목표치는, 0.50 g/min 이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특히 0.35 g/min 이하를 양호 (○), 0.35 g/min 초과 0.50 g/min 이하를 가 (△), 0.50 g/min 초과를 불가 (×) 로 하였다.
슬래그 자연박리율의 목표치는 20% 이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특히 10% 이하를 양호 (○), 20% 이하 10% 초과를 가 (△), 20% 초과를 불가 (×) 로 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는, 각각, (C-Ti/4) 와 스퍼터 발생량의 관계 및 (Si+Mn)/(O×230) 과 슬래그 자연박리율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조성을 본 발명의 적정 범위내로 제어함으로써,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에서의 용접에서도 스퍼터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래그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적합예 23 ∼ 2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Se 의 첨가에 의해 스퍼터 저감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7 은, C 량이 0.05 wt% 초과, C-Ti/4 가 0.030 초과이기 때문에, 스퍼터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28 은, Si 량이 0.50 wt% 초과, 비교예 29 는 Mn 량이 1.00 wt% 미만이기 때문에, 충분한 슬래그 밀착성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30 은, Ca 량이 0.0020 wt% 초과이기 때문에, 스퍼터가 다발하였다. 비교예 31 은, Ti 량이 0.06 wt% 초과이기 때문에, 스퍼터가 다발하였다. 비교예 32 및 33 은, (Si+Mn)/(O×230) 이 2.0 을 넘었기 때문에, 충분한 슬래그의 밀착성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34, 35 는, C-Ti/4 가 0.030 초과이기 때문에, 스퍼터가 다발하였다. 비교예 36 및 37 은, K (칼륨) 가 0.0001 % 미만이기 때문에, 스퍼터가 다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펄스 MAG 용접에서, 아아크 안정성이 뛰어나고, 스퍼터 발생량이 극히 적으며, 또한 슬래그의 발생이 적고 또한 박리되기 어렵고, 게다가 평탄하고 뛰어난 비이드형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를,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2.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Ca : 0.0001 ∼ 0.0020 wt%,
    를,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3.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Ti : 0.001 ∼ 0.06 wt%,
    를, 다음 식 (1) 및 식 (2)
    2.0 ≥ (Si+Mn)/(O×230) (1)
    0.030 ≥ C-Ti/4 (2)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4.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를,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와이어에 내부 산화층과 K 의 농화층을 갖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5.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Ti : 0.001 ∼ 0.06 wt%,
    를, 다음 식 (1) 및 식 (2)
    2.0 ≥ (Si+Mn)/(O×230) (1)
    0.030 ≥ C-Ti/4 (2)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와이어에 내부 산화층과 K 의 농화층을 갖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6.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를 함유하며 잔부는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소선의 표면에, 칼륨염 수용액을 도포한 후, 소둔을 실시하여, K 및 O 가 각각
    K : 0.0001 ∼ 0.0030 wt%,
    O : 0.003 ∼ 0.020 wt%,
    이고, 또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강 조성의 소선으로 하고, 신선 가공을 실시하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의 제조방법.
  7.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를 함유하며 잔부는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소선의 표면에, 칼륨염 수용액을 도포한 후, 소둔을 실시하여, K 및 O 가 각각
    K : 0.0001 ∼ 0.0030 wt%,
    O : 0.003 ∼ 0.020 wt%,
    이고, 또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강 조성의 소선으로 하고, 이어서 산세, 그리고 구리 도금하고, 신선 가동을 실시하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의 제조방법.
  8.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를 함유하며 잔부는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소선의 표면에, 칼륨염 수용액을 도포한 후, 소둔을 실시하여, K 및 O 가 각각
    K : 0.0001 ∼ 0.0030 wt%,
    O : 0.003 ∼ 0.020 wt%,
    이고, 또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내부 산화층이 형성된 강 조성의 소선으로 하고, 신선 가공을 실시하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의 제조방법.
  9.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Ca : 0.0001 ∼ 0.0020 wt%,
    Ti : 0.001 ∼ 0.06 wt%,
    를, 다음 식 (1) 및 식 (2)
    2.0 ≥ (Si+Mn)/(O×230) (1)
    0.030 ≥ C-Ti/4 (2)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10.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Ca : 0.0001 ∼ 0.0020 wt%,
    를,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와이어에 내부 산화층과 K 의 농화층을 갖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11.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O : 0.003 ∼ 0.020 wt%,
    K : 0.0001 ∼ 0.0030 wt%,
    Ca : 0.0001 ∼ 0.0020 wt%,
    Ti : 0.001 ∼ 0.06 wt%,
    를, 다음 식 (1) 및 식 (2)
    2.0 ≥ (Si+Mn)/(O×230) (1)
    0.030 ≥ C-Ti/4 (2)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함유하며, 잔부는 실질적으로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와이어에 내부 산화층과 K 의 농화층을 갖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
  12. C : 0.045 wt% 이하,
    Si : 0.15 ∼ 0.50 wt%,
    Mn : 1.0 ∼ 2.0 wt%,
    를 함유하며 잔부는 Fe 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소선의 표면에, 칼륨염 수용액을 도포한 후, 소둔을 실시하여, K 및 O 가 각각
    K : 0.0001 ∼ 0.0030 wt%,
    O : 0.003 ∼ 0.020 wt%,
    이고, 또 다음 식 (1)
    2.0 ≥ (Si+Mn)/(O×230) (1)
    을 만족하는 내부 산화층이 형성된 강 조성의 소선으로 하고, 이어서 산세, 그리고구리 도금하고, 신선 가공을 실시하는 펄스 MAG 용접용 와이어의 제조방법.
KR1019980016473A 1997-05-09 1998-05-08 펄스mag용접용와이어및그제조방법 KR100321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9473A JPH10305389A (ja) 1997-05-09 1997-05-09 パルスmag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97-119473 1997-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880A KR19980086880A (ko) 1998-12-05
KR100321653B1 true KR100321653B1 (ko) 2002-04-17

Family

ID=1476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473A KR100321653B1 (ko) 1997-05-09 1998-05-08 펄스mag용접용와이어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305389A (ko)
KR (1) KR100321653B1 (ko)
TW (1) TW3933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50B1 (ko) 2004-10-14 2009-09-21 다이도 토쿠슈코 카부시키가이샤 용접 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9177B2 (ja) * 2017-01-30 2020-06-10 日鉄溶接工業株式会社 薄鋼板のパルスmag溶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50B1 (ko) 2004-10-14 2009-09-21 다이도 토쿠슈코 카부시키가이샤 용접 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05389A (ja) 1998-11-17
KR19980086880A (ko) 1998-12-05
TW393356B (en) 200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380B1 (ko) 탄산가스 실드 아크용접용 강(鋼)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용접 방법
JP2002239725A (ja) 鋼板の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JP2007118068A (ja) 厚鋼板の狭開先突合せ溶接方法
JPS5950992A (ja) 溶接ワイヤ
KR100321653B1 (ko) 펄스mag용접용와이어및그제조방법
JP3941528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3465647B2 (ja) パルスco2溶接用鋼ワイヤ
JP3951593B2 (ja) Mag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mag溶接方法
JP3945396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方法
JP2007118069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JP5280060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JP3906827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方法
JP3525191B2 (ja) Co2 ガス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69322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方法
JP4529482B2 (ja) 隅肉溶接方法
JP2001353592A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
JP3941756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の鋼素線
KR100501984B1 (ko) 정극성 mag 용접용 강 와이어 및 이것을 사용한 정극성 mag 용접 방법
JP3463574B2 (ja) 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149239A1 (ja) 正極性mag溶接用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正極性mag溶接方法
JPH1119794A (ja) Mag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41755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方法
JPH0994694A (ja) ステンレス鋼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00158182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1799317C (ru) Состав электродного покрыти дл холодной сварки чугу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