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575B1 - 굴삭기계 - Google Patents

굴삭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575B1
KR100320575B1 KR1019970706749A KR19970706749A KR100320575B1 KR 100320575 B1 KR100320575 B1 KR 100320575B1 KR 1019970706749 A KR1019970706749 A KR 1019970706749A KR 19970706749 A KR19970706749 A KR 19970706749A KR 100320575 B1 KR100320575 B1 KR 100320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lower boom
crosslink
cross link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344A (ko
Inventor
노부미쓰 사쿠마
Original Assignee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74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093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03574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47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574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4196B2/ja
Application filed by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치 류이치
Publication of KR1998070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an additional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more than two arms (boom included), e.g. two-part boom with additional dipper-a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02F3/382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02F3/382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 E02F3/384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the boom being pivotable relative to the frame about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스윙방식의 프론트작업기구(7)를 가지고, 이 프론트작업기구(7)에 있어서의 붐(8)에 있어서의 로워붐(8L)의 기단측(基端側)의 붐푸트의 부분은,스윙포스트(12)에 있어서의 장착부를 구성하는 브래킷(12a)과 어퍼붐(8U)과의 사이에는, 크로스링크(40)가 각각핀(41,42)에 의하여 피봇접속되지만, 크로스링크(40)는 붐(8)의 우측의 측부에 배설되고, 운전실(6)측에는 크로스링크(40)는 배설되어 있지 않다. 이 결과, 크로스링크(40)는 캔틸레버상태로 되어, 붐(8)에 하중의 편재(偏在)가 생기고, 크로스링크(40)의 배설측 쪽의 응력이 높아져, 로워붐(8L)에 횡곡응력(橫曲應力)이 작용한다. 횡곡응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붐용 유압실린더(43)의 위치를 로워붐(8L)의 중심축선 A1의 위치로부터 운전실(6)과는 반대측에 시프트시키는 등에 의한 횡곡하중완화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굴삭기계
굴삭기계, 예를 들면 유압쇼벨은, 하부 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통하여 상부 선회체를 선회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상부 선회체에 오퍼레이터가 탑승하여 조작을 행하는 운전석이 배설되고, 또 붐, 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작업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붐, 암 및 버킷은 유압실린더로 구동되지만, 이들 유압실린더나, 주행용 및 선회용의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액 튜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엔진, 유압펌프, 방향전환밸브 등을 내장(內藏)시킨 기계실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좁은 장소에서 토목작업을 행하는 경우 등에, 선회시에 프론트작업기구가 구축물 등과 충돌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부 선회체의 선회반경을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선회반경이 상부 선회체의 범위내에 수납되도록 구성한, 이른바 초소선회 유압쇼벨이 개발되어 있고, 이 초소선회 유압쇼벨의 대표적인 것은, 일본국 특개평 7(1995)­243223호에 개시(開示)되어 있다. 그래서, 다음에 도 9 내지 도 13에 따라서, 이 공지기술에 의한 초소선회 유압쇼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있어서, (1)은 하부 주행체, (2)는 상부 선회체이다. 하부 주행체(1)는, 좌우의 크롤러(crawler) 벨트(3,3)를 가지는 무한궤도의 주행체로 구성된다. 상부 선회체(2)는, 선회장치(4)를 통하여 하부 주행체(1)상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2)의 프레임(5)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과, 조작레버 그 밖의 조작수단 등을 배설한 운전실(6)이 설치된다. 프론트작업기구(7)는, 붐(8), 암(9) 및 버킷(10)으로 구성되고, 이 프론트작업기구(7)는 상부 선회체(2)측에 배설된다. 여기서, 운전실(6)과 프론트작업기구(7)와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2)의 전방에 있어서, 운전실(6)이 좌측에, 프론트작업기구(7)가 우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11)은 기계실로서, 이 기계실(11)내에는, 프론트작업기구의 구동수단으로서의 유압실린더, 및 주행기구, 선회장치에 있어서의 구동수단으로서의 유압모터 등의 유압액튜에이터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엔진 및 유압펌프, 방향전환밸브나 작동유탱크 등의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계실(11)은 운전실(6)의 후방으로부터 프론트작업기구(7)의 장착부측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프론트작업기구(7)는, 상부 선회체(2)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이 상부 선회체(2)의 프레임(5)에 연결하여 배설된 스윙포스트(12)에 배설되어 있다. 스윙포스트(12)는 프론트작업기구(7)를 스윙동작, 즉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도 11에 붐(8)의 기단부(基端部)에 있어서의 스윙포스트(12)에의 연결부인 붐푸트(boom foot)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스윙포스트(12)는, 상부 선회체(2)의 프레임(5)에 연직(鉛直)방향으로 배설된 스윙축(13)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스윙축(13)은, 유압배관(14)을 끼워 통하게 하기 위하여, 상하로 2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스윙포스트(12)와 상부 선회체(2)와의 사이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스윙작동용 유압실린더가 연결되어 배설되어 있고, 이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면, 스윙포스트(12)는 수평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다.
프론트작업기구(7)는 붐(8), 암(9) 및 버킷(10)으로 구성되고, 각각 붐용 유압실린더(15), 암용 유압실린더(16) 및 버킷용 유압실린더(17)에 의하여 각각 구동된다. 붐(8) 및 이 붐(8)을 구동하는 붐용 유압실린더(15)의 각각의 일단은 핀(18,19)에 의하여 스윙포스트(12)에 배설된 장착부로서의 브래킷(12a)에 피봇 접속되어 있다. 또, 유압실린더(15)의 타단은 붐(8)에 핀(20)으로 피봇접속되어 있고, 유압실린더(15)를 작동시키면, 붐(8)이 부앙(俯仰)동작한다. 또, 암(9)은 핀(21)에 의하여 붐(8)에 피봇접속되고, 암용 유압실린더(16)의 양단은, 붐(8)과 암(9)에 각각 핀(22,23)에 의하여 피봇접속되고, 유압실린더(16)를 작동시키면, 암(9)은 붐(8)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암(9)의 선단에 버킷(10)이 핀(24)에 의하여 피봇접속되어 있고, 또 버킷용 유압실린더(17)의 양단은 암(9)과 버킷(10)과에 각각 핀(25,26)으로 피봇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유압실린더(17)를 작동시키면, 버킷(10)의 회동동작이 행해진다.
여기서, 붐(8)은 상하로 2분할되어 있다. (8L)은 로워붐(lower boom)이고,(8U)는 어퍼붐(upper boom)이다. 핀(18)에 의하여 스윙포스트(12)에 피봇접속되는 것은, 로워붐(8L)이고, 어퍼붐(8U)은 핀(21)에 의하여 암(9)에 피봇접속되어 있다. 또한, 로워붐(8L)의 선단부와 어퍼붐(8U)의 기단부와는 핀(27)으로 피봇접속되고, 또 붐용 유압실린더(15)를 피봇접속하는 핀(20)은 로워붐(8L)측에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붐푸트부는, 핀(18)을 통하여 로워붐(8L)이 스윙포스트(12)에 연결되는 부위를 말한다.
(28)은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의 사이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크로스링크로서, 이 크로스링크(28)는 파이프형 또는 로드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붐(8)의 좌우의 양측부에 따르도록 2개 배설되고, 각각 일단이 핀(29)에 의하여 스윙포스트(12)에 1쌍 세워 설치된 브래킷(12a,12a) 사이의 부위에 배치되어, 이들 브래킷(12a,12a)에 피봇접속된다. 또, 타단은 어퍼붐(8U)의 기단측 부분, 즉 이 어퍼붐(8U)의 로워붐(8L)에의 연결부 근방에 핀(30)을 사용하여 피봇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최소한 붐(8)의 최대 리프트자세시에 있어서는, 크로스링크(28)의 중심축선, 즉 핀(29,30)을 연결하는 선 X2와, 로워붐(8L)에 있어서의 핀(18)과 핀(27)을 연결하는 선 X1은 교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붐(8)을 부앙동작시켰을 때에, 로워붐(8L)은, 그 스윙포스트(12)에의 피봇접속부인 핀(18)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한다. 또, 이 동작에 연동하여 크로스링크(28)도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지만, 이 크로스링크(28)의 회동중심은 핀(29)이다. 즉,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를 피봇접속하는핀(27)의 궤적 T1및 크로스링크(28)의 타단에 있어서의 핀(30)의 궤적 T2은 모두 원호형의 궤적이지만, 양 원호형 궤적 T1, T2의 중심은 떨어져 있다. 또한, 핀(18,27) 사이의 선 X1(원호형 궤적 T1의 반경)과 핀(29,30) 사이의 선 X2(원호형 궤적 T2의 반경)과는 길이치수도 상위하다. 따라서, 이들 원호형 궤적 T1과 원호형 궤적 T2과의 중심 및 반경이 상위하게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29)의 쪽이 핀(18)보다 선회중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약간 아래쪽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 선 X2의 쪽이 선 X1보다 길게 된다. 이로써, 붐(8)의 부앙동작범위내에 있어서, 붐(8)을 가장 위쪽으로 올린 최대 리프트상태로부터 가장 아래쪽으로 내린 최대 다운상태에 이르기까지의 핀(27,30)의 궤적 T1, T2은 2회 교차한다. 그리고, 붐(8)의 선단부, 즉 어퍼붐(8U)과 암(9)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핀(21)의 궤적 T3은 비(非)원형의 곡선으로 된다.
여기서, 도 9에 있어서, 붐(8)이 실선으로 나타낸 최대 리프트상태는 선회자세이고, 1점쇄선으로 나타낸 붐(8)의 최대 다운상태는 깊이 굴삭하는 자세, 또한 2점쇄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붐(8)의 최대 리치자세이다. 토사의 굴삭을 행할 때에는, 통상은 붐(8)의 최대 리치자세 내지 그 근방에서 지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깊이 굴삭하는 자세에서 버킷(10)이 깊이방향의 위치까지가 굴삭가능범위이다. 이 굴삭시, 특히 최대 리치자세 및 그 근방에서는, 프론트작업기구(7)는 전방으로 크게 뻗은 상태로 되므로, 붐(8)을 구성하는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의 사이의 개방각도는 작고, 즉 붐(8) 전체의 형상에 있어서의 벤딩을 크게 하여 지면에 대한 각도를 가능한 한 깊게 하는 쪽이, 굴삭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선회자세에 있어서는, 프론트작업기구(7)의 전체를 콤팩트하게 접어 넣기 위하여,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의 사이의 개방각도를 가능한 한 크게 하여, 붐(8) 전체의 형상이 직선에 가까운 상태로 한 쪽이, 선회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붐(8)의 동작에 따라서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의 개방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어퍼붐(8U)과 스윙포스트(12)의 브래킷(12a)과의 사이에 크로스링크(28)를 피봇접속하고, 그 크로스링크(28)의 어퍼붐(8U)에의 피봇접속점의 원호형 궤적 T2을 로워붐(8L)의 어퍼붐(8U)에의 피봇접속점의 원호형 궤적 T1과 상위하게 하면, 붐(8)의 부앙동작시에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의 사이의 개방각도가 변화한다. 양 궤적 T1, T2이 교차하는 위치에서의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의 개방각도를 기준으로 하면, 궤적 T1상의 위치가 궤적 T2의 원호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이 개방각도가 기준각도보다 작아지게 되고, 또 궤적 T2중 궤적 T1의 원호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되면, 개방각도는 기준각도보다 커진다.
그래서, 도 12와 같이, 붐(8)의 다운의 동작시에, 최대 리치상태의 직전에 양 궤적 T1, T2이 교차하여, 이 위치로부터 깊이 굴삭하는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사이는 핀(27)의 위치를 궤적 T2보다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의 각도를 작게 한다. 또, 최대 리치상태로부터 선회자세로 향하면,핀(30)의 위치가 궤적 T1보다 외측으로 변위하도록 된다. 최대리치상태에서는, 핀(27)의 위치와 핀(30)의 위치와의 차가 가능한한 커지도록, 궤적 T1과 궤적 T2과의 중심 및 반경을 설정한다. 이로써, 굴삭시의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의 개방각도 (최대 리치상태의 각도 α, 깊이 굴삭하는 상태의 각도 β)가 작고, 붐(8) 전체의 벤딩이 크게 되어, 충분한 굴삭깊이가 얻어진다. 또, 선회자세를 취하게 하면, 로워붐(8L)과 어퍼붐(8U)이 각도 γ가 커져, 직선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 프론트작업기구(7) 전체를 콤팩트하게 접어 넣을 수 있도록 된다. 이결과, 선회반경은, 도 9에 나타낸 S로 되고, 선회반경 S은 상부 선회체(2)의 범위내로 되어, 상부 선회체(2)의 아주 가까운 위치에 구축물 등이 존재하고 있다고 해도, 이 구축물 등이 실질적으로 수직의 벽 등이면, 선회시에 프론트작업기구(7)가 그것에 충돌할 염려는 없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초소선회형의 유압쇼벨에 있어서, 프론트작업기구(7)를 상부 선회체(2)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상부 선회체(2)로부터 내어달도록 배설된 스윙포스트(1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사이드홈 굴삭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유압쇼벨의 전체를 도 13에 나타낸 자세로 하면, 버킷(10)은 상부 선회체(2)에 있어서의 측부 한계의 위치에까지 오프셋되고, 이 상태에서 프론트작업기구(7)를 작동시켜, 버킷(10)에 의하여 굴삭하면서, 소정의 방향으로 차량을 이동시킴으로써, 도로의 측부 등에 따르도록 사이드홈을 원활하게 굴삭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쇼벨은, 통상은 도 10의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로부터 사이드홈 굴삭의 자세를 취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 도면에 화살표 P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포스트(12)를 상부 선회체(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회동시켜, 프론트작업기구(7)를 스윙시키고, 또한 이 상태대로 상부선회체(2) 전체를 이와는 반대의 Q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크로스링크(28)는 붐(8)의 좌우 양측에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링크(28)는 붐(8)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이 크로스링크(28)가 배설되어 있는 위치는 로워붐(8L)측의 낮은 위치이다. 상부선회체(2)에는, 프론트작업기구(7)와 나란히 운전실(6)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 운전실(6)의 전방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조작레버나 조작페달 등, 기계를 조작하는 조작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또, 프론트작업기구(7)를 스윙포스트(12)에 장착하여, 스윙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낸 사이드홈 굴삭자세를 취하게 하면, 크로스링크(28)가 운전실(6)의 직전의 위치로 변위하므로, 이 운전실(6)에 착석하여 기계의 조작을 행하는 오퍼레이터에 있어서 큰 압박감을 주게 되고, 특히 소형의 유압쇼벨, 예를 들면 미니쇼벨과 같이, 상부 선회체(2)의 전체의 형상을 콤팩트하게 형성하려고 하면, 붐(8)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는 크로스링크(28)가 장애로 되어, 조작수단의 조작에 지장을 초래할 염려도 있고, 따라서 소형화에 대한 제약으로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토사(土砂)의 굴삭(掘削) 등의 작업을 행하는 유압쇼벨 등의 굴삭기계에 있어서, 특히 붐을 2분할하고, 또한 크로스링크를 구비함으로써 超小旋回기능을 부여한 굴삭기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굴삭기계의 일예로서의 유압쇼벨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론트작업기구의 붐의 부위를 전방으로부터 본 상태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론트작업기구의 붐의 부위를 전방으로부터 본 상태의 외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붐의 기단부분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붐을 장착하여, 사이드홈 굴삭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유압쇼벨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낸 붐의 붐푸트부에의 장착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낸 로워붐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낸 로워붐의 단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의 스윙방식의 유압쇼벨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스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설명도.
도 12는 크로스링크를 배설한 프론트작업기구의 동작을 나타낸 작용설명도.
도 13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유압쇼벨을 사이드홈굴삭상태로서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붐에 크로스링크를 장착함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운전석에 착석하여 행하는 기계의 조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로스링크를 구비한 초소선회형의 유압쇼벨에 있어서, 운전실에 배설되는 조작수단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붐에 장착되는 크로스링크의 구성을 간략화하는 동시에, 그것에 기인하여 생기는 붐의 횡곡하중(橫曲荷重)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주행체상에 운전석과, 붐, 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작업기구와를 배설한 상부 선회체를 선회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프론트작업기구의 붐을, 장착부에 피봇접속한 로워붐과, 이 로워붐에 피봇접속한 어퍼붐과로 구성하고, 붐을 구동하는 붐용 유압실린더를 로워붐에 접속하고, 장착부와 어퍼붐과의 사이에 크로스링크를 피봇접속한 것에 있어서, 로워붐의 측면에 따르도록 배설된 크로스링크를 붐의 측면에 있어서의 운전석의 배치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설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붐은, 그 중량을 가볍게 하고, 또한 필요한 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로워붐도 어퍼붐 모두 단면이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박스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미니쇼벨 등의 경우에는, 붐에 작용하는 하중도 그다지 크지는 않으므로, 이 붐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폭치수를 그다지 크게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크로스링크에 소요의 강도를 부여해 두면, 로워붐의 좌우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1개만 배설하여, 이른바 캔틸레버상태로 해도, 그 기능상에서 각별한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상부 선회체에 있어서의 운전석이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반대측에 크로스링크를 1개 배설하도록 구성하였다.
붐에 장착되는 크로스링크를 캔틸레버상태로 하면, 붐에 있어서의 하중의 偏在가 생겨, 로워붐에는 횡곡력이 작용하고, 크로스링크가 배설되어 있는 측의 쪽이, 이와는 반대측의 부분보다 응력이 높아진다. 그래서, 이 횡곡응력을 억제 내지 완화하기 위하여, 횡곡하중완화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횡곡하중완화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붐용 유압실린더를 로워붐의 중심선으로부터 크로스링크의 장착측과 반대측에 소정량만큼 변위시킨 위치에 배치하거나, 로워붐의 중립선을 붐푸트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크로스링크 장착부측에 소정량만큼 변위시킨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또, 프론트작업기구를 스윙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사이드홈 굴삭자세를 취하게 했을 때에, 로워붐이 오퍼레이터의 눈앞의 위치로 변위하므로, 크로스링크를 로워붐의 이 면에 배설하지 않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단, 스윙포스트를 배설하지 않은 경우에도, 역시 크로스링크가 운전실측에 장착되어 있으면, 오퍼레이터에 대한 압박감을 주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윙방식 뿐만 아니라, 프론트작업기구를 직접 상부 선회체에 배설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윙포스트를 배설한 경우에 있어서, 버킷의 중심축선을, 상기 붐푸트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운전석과는 반대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사이드홈 굴삭시에 버킷을 더욱 측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붐에 있어서의 로워붐의 붐푸트부의 중심위치에 대하여, 붐의 중심축선을 운전석과는 반대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사이드홈 굴삭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이 붐의 중심축선을 이동시키는 것이,횡곡하중완화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로워붐의 붐푸트부로부터 어퍼붐에의 연결부까지의 중심축선과, 이 로워붐에 피봇접속된 어퍼붐의 중심축선과를 평행으로 배치하고, 이 어퍼붐의 중심축선은 상기 운전석과는 반대방향으로 소정량 변위된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동일하다.
로워붐은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박스구조로 하지만, 크로스링크와 대면하는 측의 측판의 두께를, 이와는 반대측의 측판의 두께보다 크게 함으로써도, 횡곡하중완화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워붐을 구성하는 각 판체의 두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하판을 가장 두껍게 하고, 이어서 크로스링크에 대면하는 측의 측판에 두께를 부여하고, 또한 상판의 순으로 얇게 하여, 크로스링크의 대면측과는 반대측의 측판, 상판의 순으로 얇게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다음에,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리고,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 또는 균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1은 굴삭기계의 일예로서 유압쇼벨의 평면도이고, 이 도 2는 프론트작업기구에 있어서의 붐의 부위를 전방으로부터 본 상태의 외관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기계의 전체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것과 각별한 차이는 없고, 스윙방식의 프론트작업기구(7)를 가지고, 이 프론트작업기구(7)에 있어서의 붐(8)은, 로워붐(8L)과 어퍼붐(8U)과로 구성되고, 로워붐(8L)의 기단측에 있어서의 붐푸트의 부분은, 스윙포스트(12)에 있어서의 장착부를 구성하는 브래킷(12a)에 핀(18)을 사용하여 피봇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12a)과 어퍼붐(8U)과의 사이에는, 크로스링크(40)가 각각 핀(41,42)에 의하여 피봇접속되어 있고, 또 브래킷(12a)과 로워붐(8L)에는, 붐용 유압실린더(43)가, 각각 핀(44,45)으로 피봇접속되어 있다.
단, 크로스링크(40)는, 붐(8)의 한쪽에 1개만 배설되어 있다. 이 크로스링크(40)는, 붐(8)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부에 따르도록 배설되고, 좌측, 즉 운전실(6)이 배치되어 있는 측에는 크로스링크(40)는 배설되어 있지는 않다. 여기서, 크로스링크(40)는 1개밖에 배설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좌우에 배설되는 크로스링크와 비교하여, 보다 강도가 높은 것을 사용한다.
프론트작업기구(40)를 작동시켜 작업을 행하면, 로워붐(8L)에는, 그 축선방향에 향하여 압축하는 방향 (굴삭작업시)이나 신장하는 방향 (크레인작업시)으로 힘이 작용한다. 로워붐(8L)의 축선방향으로 압축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크로스링크(40)에는 신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로워붐(8L)에 크로스링크(40)측으로 벤딩되려고 하는 벤딩모멘트가 작용하여, 로워붐(8L)중, 크로스링크(40)측에는 축방향에서 압축방향의, 반대측에는 신장방향의 횡곡에 의한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축방향의 응력과 횡곡에 의한 응력이 크로스링크(42)측은 방향이 일치하므로, 합성응력이 커지고, 반(反)크로스링크(40)측은 역으로 상쇄되어 합성응력은 작아진다. 또, 로워붐(8L)에 신장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크로스링크(40)는 그 반력으로 압축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역시 로워붐(8L)에는 벤딩모멘트가 작용하여, 횡곡응력이 생긴다. 이 경우는, 힘의 방향이 반대이지만, 역시 로워붐(8L)중의 크로스링크(40)에 가까운 쪽의 축응력은 커진다. 따라서, 프론트작업기구를 작동시키면, 항상 로워붐(8L)에는 횡방향으로의 벤딩력이 작용하고, 또한 이 벤딩력과 축력(軸力)의 합성력은, 크로스링크(40)에 가까운 측이 최대로 된다.
이와 같은 횡곡응력을 해소하고, 내지는 완화하기 위하여, 횡곡하중완화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횡곡하중완화수단으로서는, 붐용 유압실린더(43)를 이용한다. 이 붐용 유압실린더(43)가 1개 배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은, 붐(8)의 좌우의 중심선에 따르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응력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하여, 붐용 유압실린더(43)의 위치를 로워붐(8L)의 중심축선 A1의 위치로부터, 운전실(6)과는 반대측으로 시프트시켜, 이 유압실린더(43)의 로워붐(8L)의 축선 A2을 △d1만큼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로워붐(8L)에 대한 유압실린더(43)의 구동력의 작용점이 중심축선 A1을 사이에 두고, 크로스링크(40)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므로, 이 유압실린더(43)의 배치에 의하여, 크로스링크(40)에서 캔틸레버상태로 하는 것에 의한 로워붐(8L)에 작용하는 횡곡응력과 밸런스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로써, 로워붐(8L)에 생기는 응력, 특히 로워붐(8L)의 크로스링크(40)가 직접 대면하는 측판 및 그 근방부분에 횡곡응력이 집중하지 않도록 응력의 분산이 도모된다.
이상과 같이, 크로스링크(40)는, 붐(8)의 한쪽으로서, 프론트작업기구(7)와 함께 상부 선회체(2)에 있어서의 운전실(6)을 배설한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만 배치하고 있으므로, 운전실(6)에 착석하여 오퍼레이터가 기계의 조작을 행하는 때에, 압박감이 없어져 원활하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도 13에 나타낸 상태와 동일한 자세에 의하여, 붐(8)의 측면이 운전실(6)의 대략 정면에 면하는 상태로 되는 사이드홈 굴삭자세를 취하게 하였을 때에, 이 붐(8)의 측판부로부터 돌출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 미니쇼벨 등의 소형의 기계에 있어서는, 운전실(6)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작수단의 배치스페이스도 좁다. 따라서, 사이드홈 굴삭을 행할 때에 있어서, 운전실(6)측에 돌출하는 부재가 있으면, 일부의 조작수단의 동작에 간섭할 우려도 있지만, 크로스링크를 붐(8)의 이 쪽의 측판부에 배설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일으킬 우려도 없다. 이 결과, 굴삭기의 보다 한층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3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붐(50)을 구성하는 로워붐(50L)의 중심축선 A1에 대하여, 붐용 유압실린더(43)의 축선 A2을 운전실(6)과는 반대측에 △d1만큼 시프트시키는 점은,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로워붐(50L)의 붐푸트부, 즉 로워붐(50L)의 스윙포스트(12)의 좌우 1쌍으로 이루어지는 브래킷(12a,12a) 사이에 배설된 핀(18)에의 연결부분으로부터 그 대략 전길이에 걸쳐 일직선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축선 A1에 대하여, 어퍼붐(50U)의 중심축선 A2을 평행으로 하고, 또한 상부선회체(2)에 있어서, 운전실(6)이 배치되어 있는 측, 즉 크로스링크(40)가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간격 △d2만큼 변위된 위치로 한다. 이로써, 어퍼붐(50U)으로부터 선단측의 중심축선을 로워붐(50L)의 중심축선 A1으로부터 △d2만큼 바깥방향, 즉 운전실(6)과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어퍼붐(50U)의 중심축선 A3을 로워붐(50L)의 중심축선 A1에 대하여 △d2만큼 시프트시키는데 있어서는, 어퍼붐(50U)을 구성하는 박스의 좌우의 측판(50UL,50UR)의 형상을 변경하고 있다. 즉, 로워붐(50L) 및 어퍼붐(50U)은 모두 박스구조체로 이루어지고, 또한 필요한 강도의 상위때문에, 어퍼붐(50U)의 쪽이 로워붐(50L)보다 단면형상이 작게 되어 있고, 폭방향의 치수도 단축되어 있다. 그래서, 어퍼붐(50U)을 구성하는 좌우의 측판(50UL,50UR)중, 우측, 즉 운전실(6)과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크로스링크(40)가 배설되어 있는 측의 측판(50UR)을 똑바로 연재(連在)시키고, 이와는 반대측, 즉 좌측의 측판(50UL)은 그 로워붐(50L)에의 연결부 근방으로부터 측판(50UR)방향으로 향하여 크게 커브됨으로써, 어퍼붐(50U)에 소정의 폭치수를 부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면, 로워붐(50L)의 중심(重心)위치로부터, 크로스링크(40)의 배설위치까지의 간격과, 붐용 유압실린더(43)까지의 간격과의 차가 적어지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되므로, 로워붐(50L)은 크로스링크(40)와 붐용 유압실린더(43)와에 의하여, 대략 양 지지상태 내지 그에 가까운 상태로 되므로, 로워붐(50L)에 횡곡응력이 생기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있어서는, 크로스링크를 붐에 캔틸레버상태로 함으로써 로워붐에 작용하는 횡곡응력을 완화하는 동시에, 버킷의 오프셋량을 크게 행할 수 있어, 사이드홈 굴삭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작업기구(60)를 구성하는 붐(61)은, 로워붐(61L)과 어퍼붐(61U)과로 구성되고, 스윙포스트(12)와 어퍼붐(61U)과의 사이에는 크로스링(62)이 각각 핀(63,64)으로 연결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제2의 각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런데, 로워붐(61L)의 중심축선 A1은, 붐푸트부, 즉 로워붐(61L)의 스윙포스트(12)에 있어서의 좌우 1쌍으로 이루어지는 브래킷(12a,12a) 사이에 배설된 핀(63)에의 연결부분으로부터 그 대략 전길이에 걸쳐 일직선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축선 A1에 대하여, 어퍼붐(61U)의 중심축선 A2은 평행으로 되고, 또한 상부선회체(2)에 있어서, 운전실(6)이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 즉 크로스링크(62)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간격 △d2만큼 변위된 위치로 되어 있다. 이로써, 어퍼붐(61U)으로부터 선단측, 즉 암(65) 및 버킷(66)의 중심축선이 로워붐(61L)의 중심축선 A1으로부터 △d2만큼 바깥방향으로 벗어나게 된다.
여기서, 어퍼붐(61U)의 중심축선 A2을 로워붐(61L)의 중심축선 A1에 대하여 △d2만큼 시프트시키는데 있어서는, 어퍼붐(61U)을 구성하는 박스의 좌우의 측판(61UL,61UR)의 형상을 변경하고 있다. 즉, 로워붐(61L) 및 어퍼붐(61U)은 모두 박스구조체로 이루어지고, 또한 필요한 강도의 상위 때문에, 어퍼붐(61U) 쪽이 로워붐(61L)보다 단면형상이 작게 되어 있고, 폭방향의 치수도 단축되어 있다. 그래서, 어퍼붐(61U)을 구성하는 좌우의 측판(61UL,61UR)중, 우측, 즉 운전실(6)과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이고, 크로스링크(62)가 배설되어 있는 측의 측판(61UR)을 똑바로 연재시키고, 이와는 반대측, 즉 좌측의 측판(61UL)은 그 로워붐(61L)에의 연결부 근방으로부터 측판(61UR)방향에 향하여 크게 커브됨으로써, 어퍼붐(61U)에 소정의 폭치수를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로워붐(61L)에 연결된 어퍼붐(61U)은, 그 중심축선 A2이 로워붐(61L)의 중심축선 A1에 대하여 △d2만큼 크로스링크(62)의 배설측에 시프트되어 있으므로, 붐(61) 전체의 중심위치 및 크로스링크(62)에 의하여 캔틸레버상태로 된 로워붐(61L)의 중심위치까지 크로스링크(62)의 배설측으로 시프트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로워붐(61L)에 대한 벤딩모멘트가 작아져, 그 정도만큼 로워붐(61L)에 작용하는 횡곡응력이 완화되고, 따라서 이 어퍼붐(61U)의 중심축선 A2을 시프트시킴으로써, 횡곡하중완화수단이 구성된다. 이 결과, 붐(61)의 부앙동작시에 있어서의 로워붐(61L)의 동작도 원활해 지고, 또한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것에 따른 로워붐(61L)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쇼벨의 프론트작업기구(60)를 사이드홈 굴삭자세를 취하게 하였을 때에, 붐푸트부로부터 버킷에 이르기까지의 프론트작업기구의 중심축선을 일치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중심축선의시프트량 △d3만큼 버킷(66)의 오프셋량이 증대한다. 이 결과, 사이드홈 굴삭을 행할 때에 차량을 주행시키면, 구축물 등의 직근위치라도, 하부주행체(1) 등이 이와 같은 구축물 등과 접촉할 우려가 없어져, 작업의 원활성이 확보된다.
또한 박스구조체를 구성하는 강판 등의 판체는, 그 외형 형상이 가능한 한 똑바른 쪽이 강도가 양호하게 된다. 강판 등을 벤딩가공하면, 그 만큼 왜곡이 생겨, 강도가 저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퍼붐(61U)을 구성하는 좌우의 측판(61UL,61UR)중, 한쪽의 측판(61UR)은 벤딩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만큼 어퍼붐(61)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 그 가공도 용이해 지므로, 전체로서의 어퍼붐(61U)의 제조코스트를 저감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퍼붐의 축선을 로워붐의 축선에 대하여 시프트시키는 것이 아니고, 붐푸트부의 중심위치 C에 대하여 로워붐(70L)의 중심축선 A1을 크로스링크 (도시는 생략함, 단, 도면상에서는 크로스링크는 우측에 위치함)의 배설측에 시프트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동일하다. 즉, 로워붐(70L)은, 스윙포스트(12)를 구성하는 1쌍의 브래킷(12a,12a) 사이에 끼운 핀(71)에 연결되어 있지만, 로워붐(70L)을 핀(7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로워붐(70L)에는 보스부(72)를 연재시키고, 이 보스부(72)에 부시(73)를 통하여 핀(7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보스부(72)는 브래킷(12a,12a)에 의하여 규제되어, 핀(71)의 축선방향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붐푸트부의 중심위치 C는, 브래킷(12a,12a) 사이의 중간의 위치, 즉 보스부(72)의 핀(71)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위치이다.
로워붐(70L)은 박스구조로 되어 있고, 또 이 로워붐(70L)에 연설된 보스부(72)는 핀(71)에 연결하기 위하여, 핀삽통공을 로워붐(70L)의 중심축선 A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천공하는 비(非)박스구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로워붐(70L)은, 그 선단측으로부터 보스부(72)에 이르기까지의 전체구성을 균일한 것으로 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붐푸트부의 중심위치 C에 대하여, 로워붐(70L)의 중심축선 A1을 크로스링크(72)의 배설측에 △D만큼 시프트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로써도, 버킷의 오프셋량을 증대시키고, 또 붐 전체의 중심위치를 크로스링크의 배설측으로 시프트하므로 횡곡응력의 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링크를 붐의 한쪽에 배설하여, 붐을 캔틸레버상태로 하였을 때에, 붐, 특히 로워붐에 대한 횡곡응력을 완화하여, 로워붐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이 로워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횡곡하중완화수단으로서는, 로워붐의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로워붐(80)(어퍼붐, 암도 동일)은 경량이고, 구조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박스구조로 되어 있다. 즉, 로워붐(80)의 단면형상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로워붐(80)은, 4매의 강판 등의 판체(81a∼81d)로 구성되고, 이들 각 판체(81a∼81d)를 용접수단에 의하여 고착하여, 박스구조체가 형성된다. 이 박스를 구성하는 각 판체(81a∼81d)중, 판체(81a)는 로워붐(80)의 하판을 구성하는 것이며, 이 하판(81a)에는 붐용 유압실린더가 연결되어 있다. 또 판체(81b)는 상판이고, 이 상판(81b)은 하판(81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판체(81c)는, 로워붐(80)의 측판중, 우측판으로 되는 것이고, 이 우측판(81c)에 따르도록 크로스링크(82)가 배설된다. 그리고, 판체(81d)는 좌측판이고, 이 좌측판(81d)은 운전실에 대면하는 측의 측판이다.
도 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로워붐(80)을 구성하는 각 판체(81a∼81d)의 두께는 모두 상이하다. 가장 두께가 있는 것은 하판(81a)이고, 다음으로 우측판(81c)이고, 또한 좌측판(81d)이고, 상판(81b)은 가장 얇게 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론트작업기구의 작동시에는, 로워붐(80)에는, 그 축선방향에 향하여 압축하는 방향 (굴삭작업시)이나 신장하는 방향 (크레인작업시)으로 힘이 작용하지만, 어느 방향으로 힘이 작용해도, 로워붐(80)에는 축력과 함께 횡곡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로워붐(80)에 작용하는 곡력과 축력의 합성력은, 크로스링크(82)에 가까운 쪽, 즉 우측판(81c)의 부위가 최대이고, 좌측판(81d)에서는 거의 합성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로워붐(80)중, 우측판(81c)에 대해서는 그 두께 치수를 크게 하여,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좌측판(81d)은, 강도에 관한 요구가 높지 않으므로, 경량화 및 재료의 절약 등의 관점에서 얇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로워붐(80)을 구성하는 4매의 판체(81a∼81d)를 각각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서 두께 치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크로스링크(83)의 캔틸레버 상태에 기인하여 생기는 로워붐(80)의 횡곡방향에 대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모든 판체(81a∼81d)에 대하여 필요 이상의 두께를 부여하고 있지 않으므로, 로워붐(80)이 전체를 각별히 중량화하는 것은 아니다.
또, 로워붐을 구성하는 각 판체의 각각은, 폭방향에 있어서는 균일한 두께의 것으로 하였지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판(83c)은 균일하게 두께가 있는 것으로 하고, 또 좌측판(83d)도 균일하게 얇은 것으로 하고, 하판(83a) 및 상판(83b)은, 횡곡하중의 작용이 큰 우측판(83c) 근처가 가장 두껍고, 좌측판(83d)으로 향함에 따라서 두께를 폭방향에 향하여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붐에 크로스링크를 장착함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운전석에 착석하여 행하는 기계의 조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없어지고, 또 이와 같이 크로스링크를 캔틸레버상태로 하고, 또한 붐용 유압실린더를, 로워붐의 중심선으로부터 크로스링크의 장착측과 반대측의 소정량만큼 변위시킨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붐을 구동하였을 때에, 로워붐에 횡곡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 내지 억제할 수 있어, 붐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이 벤딩응력의 작용의 반복에 의한 로워붐의 변형의 방지가 도모된다.

Claims (9)

  1. 하부주행체상에 운전석과, 붐, 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작업기구와를 배설한 상부 선회체를 선회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프론트작업기구의 붐을, 장착부에 피봇접속한 로워붐과, 이 로워붐에 피봇접속한 어퍼붐과로 구성하고, 붐을 구동하는 붐 구동용 유압실린더를 로워붐에 접속하고, 상기 장착부와 어퍼붐의 사이에 크로스링크를 피봇접속한 것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링크를 상기 붐의 측면에 있어서의 운전석의 배치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하고,
    상기 붐에는, 이 붐 작동시에 크로스링크에 의한 횡곡하중(橫曲荷重)을 완화하는 횡곡하중완화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곡하중완화수단은, 상기 붐용 유압실린더를, 상기 로워붐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크로스링크의 장착측과 반대측에 소정량만큼 변위시킨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곡하중완화수단은, 상기 로워붐의 중심축선을 붐푸트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상기 크로스링크 장착부측에 소정량만큼 변위시킨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스윙포스트를 배설하고, 이 스윙포스트에, 상기 로워붐, 상기 붐용 유압실린더 및 크로스링크의 일단을 피봇접속하는 장착부를 배설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중심축선을, 상기 붐프트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운전석과는 반대방향에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붐에 있어서의 로워붐의 붐푸트부의 중심위치에 대하여, 로워붐의 중심축선을 상기 운전석과는 반대방향에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워붐의 붐푸트부로부터 어퍼붐에의 연결부까지의 중심축선과, 이 로워붐에 피봇접속된 어퍼붐의 중심축선과를 평행으로 배치하고, 이 어퍼붐의 중심축선은 상기 운전석과는 반대방향으로 소정량 변위시킨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붐의 단면(斷面)을 대략 사각형상의 박스구조로 하고, 크로스링크와 대면하는 측의 측판의 두께를, 그와는 반대측의 측판의 두께보다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굴삭기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워붐은, 하판을 가장 두껍게 하고, 이어서 크로스링크에 대면하는 측의 측판에 두께를 부여하고, 또한 상판의 순으로 얇게 하여, 크로스링크의 대면측과는 반대측의 측판, 상판의 순으로 얇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계.
KR1019970706749A 1996-01-31 1996-12-19 굴삭기계 KR100320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74696A JPH09209388A (ja) 1996-01-31 1996-01-31 掘削機械
JP96-35745 1996-01-31
JP03574496A JP3304743B2 (ja) 1996-01-31 1996-01-31 掘削機械
JP03574596A JP3344196B2 (ja) 1996-01-31 1996-01-31 スイング式掘削機械
JP1996-35746 1996-01-31
JP96-35746 1996-01-31
JP1996-35744 1996-01-31
JP96-35744 1996-01-31
JP1996-35745 1996-01-31
PCT/JP1996/003709 WO1997028315A1 (fr) 1996-01-31 1996-12-19 Pelle hydraul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344A KR19980703344A (ko) 1998-10-15
KR100320575B1 true KR100320575B1 (ko) 2002-04-22

Family

ID=2728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749A KR100320575B1 (ko) 1996-01-31 1996-12-19 굴삭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19569A (ko)
EP (1) EP0818582A4 (ko)
KR (1) KR100320575B1 (ko)
CN (1) CN1078286C (ko)
WO (1) WO1997028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22316A1 (en) * 2003-04-17 2004-10-28 Silvatech Global Systems Ltd. Swing boom pivot mechanism
KR20080107584A (ko) * 2007-06-07 2008-12-11 흥진산업(주) 주조공법으로 제작된 굴삭기 아암 프론트 및 그 제작 방법
CN101869254A (zh) * 2010-05-28 2010-10-27 华南农业大学 一种液压式凉果腌制原料挖提机
EP2700752A4 (en) * 2011-04-20 2014-12-3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BOOM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6110242B2 (ja) * 2013-07-09 2017-04-05 日立建機株式会社 荷重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DE102017121516A1 (de) * 2017-09-15 2019-03-21 Liebherr-France Sas Baggerausleger und Bagger
NL2024981B1 (en) * 2020-02-24 2021-10-14 Hudson I P B V Electric drive of mobile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64A (ja) * 1993-06-25 1995-01-13 Komatsu Zenoah Co 超小旋回パワショベ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9089A (en) * 1978-10-12 1984-03-27 Dresser Industries, Inc. Boom arm with rock deflection feature
US4358240A (en) * 1980-12-19 1982-11-09 J. I. Case Company Asymmetric backhoe
JPS6171643U (ko) * 1984-10-15 1986-05-15
JPS62202130A (ja) * 1986-02-28 1987-09-05 Kubota Ltd バックホウ
JPH0284857U (ko) * 1988-12-16 1990-07-02
US5240366A (en) * 1990-02-21 1993-08-31 J. C. Bamford Excavators Limited Loader vehicle
EP0671511B1 (en) * 1994-03-07 2000-01-2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wing type excav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64A (ja) * 1993-06-25 1995-01-13 Komatsu Zenoah Co 超小旋回パワショ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19569A (en) 2000-02-01
EP0818582A1 (en) 1998-01-14
KR19980703344A (ko) 1998-10-15
EP0818582A4 (en) 2001-04-04
CN1179806A (zh) 1998-04-22
WO1997028315A1 (fr) 1997-08-07
CN1078286C (zh) 2002-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563B1 (ko) 건설 기계의 선회대
US6854951B2 (en) Vertical lift type arm device
KR100483334B1 (ko) 굴삭작업기
KR100320575B1 (ko) 굴삭기계
JP4296182B2 (ja) 掘削作業機のアーム
JP4532725B2 (ja) 掘削旋回作業車のブーム用方向切換弁
EP2290163A1 (en) Construction machine
JP3730590B2 (ja) トラクタの作業機昇降装置
JP3967501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H09100552A (ja) クローラフレームの拡縮装置
US6699000B2 (en) Machine having a working arm
JPH09209388A (ja) 掘削機械
JP3304743B2 (ja) 掘削機械
JP3344196B2 (ja) スイング式掘削機械
CN216787251U (zh) 滑移装载机的工作装置和滑移装载机
JP4742195B2 (ja) バックホー
CN114250813A (zh) 滑移装载机的工作装置和滑移装载机
JP2001214467A (ja) 旋回式建設機械
JPH10266265A (ja) 建設機械のクローラフレームの拡縮装置およびその拡縮方法
GB2611078A (en) Boom assembly
JP2000204592A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取付構造
JP2002339404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266765B2 (ja) 旋回作業機
JP2024052003A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JP3459353B2 (ja) 旋回作業機の旋回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