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769B1 - 브레이크 배력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769B1
KR100319769B1 KR1019990033320A KR19990033320A KR100319769B1 KR 100319769 B1 KR100319769 B1 KR 100319769B1 KR 1019990033320 A KR1019990033320 A KR 1019990033320A KR 19990033320 A KR19990033320 A KR 19990033320A KR 100319769 B1 KR100319769 B1 KR 10031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pring
valve
front side
plung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298A (ko
Inventor
도비사와요시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도시오
보쉬 브레이크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334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5566B2/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도시오, 보쉬 브레이크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도시오
Publication of KR2000001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력비를 2단계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와 밸브플런저(8)의 수납부(8A)의 바닥부에 걸쳐서 제1 스프링(25)을 탄력 장착하고 있다. 제1 플런저플레이트 (24)의 프론트측의 외주부는, 제2 플런저플레이트(26)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관통시키고 있다. 제2 플런저플레이트(26)는, 제1 스프링(25)보다도 스프링상수가 큰 제2 스프링(28)에 의해 도시한 비작동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면, 리어측으로 팽출한 리액션디스크(33)가 먼저 제1 플런저(24)에 맞닿고, 그 후, 제1 스프링(25)이 압축됨으로써 양 플런저 플레이트(24, 28)의 끝면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의 밟기가 해방된 때에는, 히스테리시스가 실질적으로 영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입력)이 큰 영역에 있어서의 브레이크의 제어성이 양호하게 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배력장치{BRAKE BOOSTER}
본 발명은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배력비를 2단계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레이크 배력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것은 알려져 있다. 즉, 셸내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춤되어 입력축과 연동하는 밸브플런저와, 이 밸브플런저에 있어서의 프론트측의 원통형상부분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맞춤된 제1 플런저플레이트와, 제1 플런저플레이트를 밸브플런저에 대하여 프론트측을 향해 가압하는 제1 스프링과, 출력축의 기부와 밸브보디의 끝면 사이에 개재되어, 출력측에 작용하는 반력을 제1 플런저플레이트와 제1 스프링을 통하여 밸브플런저 및 입력축에 전달하는 리액션디스크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실공평 7 - 8337호 공보).
상기 종래의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비작동상태에서는 제1 플런저 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은, 밸브플런저의 프론트측의 끝면보다도 약간 프론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작동된 때에는, 출력축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리액션디스크가 팽출하여 제1 플런저 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에 맞닿고, 뒤이어 반력의 상승에 동반하여 제1 스프링이 압축되는데 동반하여 리액션디스크는 제1 플런저플레이트 및 밸브플런저의 끝면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리액션디스크가 제1 플런저플레이트 만에 맞닿고 있는 상태에서는 큰 배력비로 출력이 상승하고, 리액션디스크가 제1 플런저플레이트 및 밸브플런저의 양쪽에 맞닿고 있는 상태에서는 작은 배력비로 출력이 상승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장치에서는,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입력)이 작은 영역과 큰 영역에서 2단계로 배력비를 변경할 수가 있다.
그런데,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는, 동일 출력이 얻어질 때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때와 해방시의 입력차가 되는 히스테리시스가 존재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도, 배력비가 큰 영역뿐만 아니라, 배력비가 작은 영역, 즉,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큰 영역에서도 히스테리시스가 생기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큰 영역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가 존재하면, 운전자는 브레이크의 제어성이 나쁘다고 느낀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배력비를 2단계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전제로 한 후,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큰 영역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가 실질적으로 영으로 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요망되고 있었던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 및 종래의 장치의 특성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 : 셸 3 : 밸브보디
4 : 파워피스톤 5 : 다이어프램
6 : 밸브기구 7,11 : 밸브시트
8 : 밸브플런저 22 : 입력축
24 : 제1 플런저플레이트 26 : 제2 플런저플레이트
25 : 제1 스프링 28 : 제2 스프링
31 : 슬리브 32 : 출력축
33 : 리액션디스크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 측의 외주부에 환상의 제2 플런저플레이트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장착함과 동시에, 제1 스프링보다도 스프링상수가 큰 제2 스프링을 제2 플런저플레이트와 밸브플런저 사이에 설치하고,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는, 제2의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을 제1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보다도 리어측으로 위치시키며,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작동된 때의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작은 영역에서는,리액션디스크를 제1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에 맞닿게 하여, 출력축에 작용하는 반력을 제1 플런저플레이트와 제1 스프링을 통하여 밸브플런저에 전달시키도록 구성하고,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작동된 때의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큰 영역에서는, 리액션디스크를 양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에 맞닿게 하여, 출력축에 작용하는 반력을 상기 양 플런저와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통하여 밸브플런저에 전달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작동되면, 출력축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리액션디스크가 리어측으로 팽출하여 먼저 제1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큰 배력비로 출력이 상승한다.
그 후,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의 상승에 동반하여 반력도 상승함으로, 제1 스프링이 압축되고, 그에 동반하여 리액션디스크는 제1 플런저플레이트뿐만 아니라 제2 플런저플레이트에도 맞닿는다. 이 상태로부터 작은 배력비로 출력이 상승한다.
그런데, 리액션디스크는, 상술한 배력비로 출력이 상승하는 영역, 즉,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큰 영역에서는, 브레이크페달의 밟기를 해방하면, 밸브 플런저에 연동한 밸브기구에 의해 유체회로가 전환되어 출력은 즉시 저하한다. 그렇지만, 이 때에는 제2 플런저플레이트와 밸브플런저는 제2 스프링을 통하여 연동하고 있으므로, 리어측으로 팽출한 리액션디스크가 프론트측으로 되돌아올 때까지는 입력은 저하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작은 배력비로 출력이 상승하는 영역에서는, 히스테리시스는 실질적으로 영으로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입력)이 큰 영역에 있어서의 브레이크의 제어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타의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사용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도시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 1에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셸(2) 내에는, 개략 원통형상의 밸브보디(3)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밸브보디(3)의 외주부에는, 접시형상의 파워피스톤(4)을 부착하고 있으며, 또, 이 파워피스톤(4)의 배면에 고무제의 다이어프램(5)을 팽팽히 설치하고 있다. 이 다이어프램(5)에 의해 셸(2) 내를 프론트측의 정압실(A)과 리어측의 변압실(B)로 구획형성하고 있다.
상기 밸브보디(3)에는, 상기 정압실(A)과 변압실(B) 사이의 유체회로를 전환하는 종래의 공지의 밸브기구(6)를 설치하고 있다. 밸브기구(6)는, 밸브보디(3)에 형성된 환상의 제1 밸브시트(7)와, 이 제1 밸브시트(7)보다도 내측에서 상기 밸브보디(3)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밸브플런저(8)와, 밸브플런저(8)의 리어측의 끝부에 형성된 환상의 제2 밸브시트(11)와, 양 밸브시트(7, 11)에 도 1의 우측으로부터 스프링(12)에 의해 위치하는 밸브체(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밸브시트(7)와 그것에 접하고 이격하는 밸브체(13)의 환상의 시트부에 의해 진공밸브(1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진공밸브(14)보다도 외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3)에 형성된 축방향의 정압통로(15)를 통하여 정압실(A)에 연통시키고 있으며, 이 정압실(A)은, 셸(2)의 프론트측의 벽면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부압 도입관을 통하여 흡기매니폴드에 연통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 제2 밸브시트(11)와 그것에 접리하는 밸브체(13)의 환상의 시트부에 의해 대기밸브(16)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밸브(14)보다도 내주측에서, 대기밸브(16)보다도 외주측으로 되는 중간부분의 공간은, 밸브보디(3)에 형성된 반경방향의 변압통로(17)를 통하여 변압실(B)에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대기밸브(16)보다도 내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의해 구성된 대기통로(18)와 그곳에 설치된 필터(21)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시키고 있다.
밸브플런저(8)는,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춤되어 있고, 밸브플런저(8)의 리어측의 끝부에는 입력축(22)에 연결되어 있다. 이 입력측(22)에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페달이 연결되어 있다. 밸브플런저(8)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키부재(23)를 걸어 맞춤시키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 밸브 플런저(8)가 밸브보디(3)의 내주부로부터 리어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는, 밸브플런저(8)의 프론트측의 부분과 그 주변의 구성을 개량함으로써, 배력비를 2단계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큰 영역에 있어서의 히스테리시스를 실질적으로 영이 되도록 한 것이다.
즉, 밸브플런저(8)에 있어서의 프론트측의 부분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수납부(8A)로 되어 있고, 이 수납부(8A)내에는, 환봉형상으로 형성된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에 있어서의 축방향 리어측의 부분을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맞춤하고 있다.
수납부(8A)에 있어서의 프론트측의 끝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서스토퍼부(8B)로 되어, 한편,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축방향의 중앙측에는 환상돌기(24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환상돌기(24A)와 그것에 대향하는 수납부(8A)의 바닥부에 걸쳐서 소정의 세트하중의 제1 스프링(25)을 탄력 장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플런저 플레이트(24)는, 밸브플런저(8)에 대하여 항상 프론트측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이 도 1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서는, 제1 플런저 플레이트 (24)는, 그 환상 돌기(24A)가 스토퍼부(8B)에 맞닿는 전진 끝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리어측의 끝면과 그것에 대향하는 수납부 (8A)의 바닥부는 이격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에 있어서의 환상 돌기(24A)보다도 프론트측의 외주부가, 수납부(8A)보다도 프론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에 있어서의 프론트측의 외주부에는, 환상의 제2 플런저플레이트(26)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장착하고 있다. 제2 플런저 플레이트(26)의 리어측의 끝부의 외주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길게 늘여서 플랜지부(26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26A)와, 밸브플런저(8)의 외주부에 끼워 부착한 링(27) 사이에 제2 스프링(28)을 설치하고 있다.
이 제2 스프링(28)의 스프링상수는, 상기 수납부(8A) 내에 탄력 장착한 제1스프링(25)의 스프링상수보다도 큰 것을 채용하고 있으며,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있지 않은 자연상태로 플랜지부(26A)와 링(27)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프론트측의 끝면(24B)이 제2 플런저플레이트(26)를 약간 관통하고 있고, 따라서,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프론트측의 끝면(24B)은 제2 플런저플레이트(26)의 프론트측의 끝면(26B)보다도 약간 프론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돌출량은, 도 1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리어측의 끝면과 그것에 대향하는 수납부(8A)의 바닥부가 이격된 치수보다도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2 플런저플레이트(26)의 리어측의 끝면과 수납부(8A)에 있어서의 스토퍼부(8B) 사이에 간극이 유지되어 있다.
상기 양 플런저플레이트(24, 26)의 외측에는, 리어측의 내주부가 소직경으로 되는 단부착식 슬리브(31)를 배치하고 있으며, 이 단부착식 슬리브(31)에 있어서의 리어측의 외주부를 기밀을 유지하여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끼워부착하고 있다. 이 단부착식 슬리브(31)에 있어서의 프론트측의 내주부에, 상기 제2 플런저 플레이트(26)의 프론트측의 외주부를 리어측으로부터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 있다. 또한, 이 단부착식 슬린브(31)는 실질적으로 밸브보디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정압실(A)내에는, 종래 공지의 출력축(32)을 배치하고 있으며, 이 출력축(32)에 있어서의 리어측의 기부에 형성된 오목함몰부(32A)를 상기 단부착식 슬리브(31)의 외주부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장착하고 있다. 또, 출력축(32)의오목함몰부(32A)내에는 원반형상의 리액션디스크(33)를 수납하고 있으며, 이 리액션디스크(33)는 출력축(32)의 오목함몰부(32A)의 바닥부와 단부착식 슬리브(31)의 프론트측의 끝면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출력축(32)의 선단(프론측의 끝부)은, 셸(2)의 프론트측의 축부를 관통시켜서 외부에 돌출시킴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에 연동시키고 있다.
셸(2)의 프론트측의 벽면과 밸브보디(3)에 걸쳐서는 리턴스프링(34)을 탄력 장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파워피스톤(4)이나 밸브보디(3) 등은, 통상은 도시하는 비작동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상기 키부재(23)를 셸(2)의 내벽면에 맞닿게 하여 밸브보디(3)에 대한 밸브플런저(8)의 자유로운 우행을 규제하고, 다음에 입력축(22) 및 밸브플런저(8)가 작동된 때에 즉시 상기 밸브기구(7)에 의한 유체회로의 전환동작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서는, 양 플런저플레이트(24, 26)의 프론트측의 끝면(24B, 26B)은, 단부착식 슬리브(31)의 프론트측의 끝면보다도 약간 리어측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들은, 리액션디스크(33)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다. 또,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프론트측의 끝면(24B)은, 제2 플런저플레이트(26)의 프론트측의 끝면(26B)보다도 약간 프론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이 때에는 제2 스프링(28)은 압축되어 있지 않고, 제2 플런저플레이트(26)를 밸브플런저(8)의 프론트측의 끝부(스토퍼부(8B))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플런저플레이트(26)의 플랜지부(26A)는, 밸브플런저(8)의 스토퍼부(8B)와 단부착식 슬리브(31)의 단부 끝면과의 중간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서는, 진공밸브(14)는 개방되어 있으며, 한편, 대기밸브(16)는 폐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압실(A) 및 변압실(B)에는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작동설명)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페달이 밟혀지면, 입력축(22) 및 밸브플런저(8)가 전진되므로, 대기밸브(16)가 개방되는 한편, 진공밸브(14)가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변압실(B)에 대기가 도입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된다.
그러면, 출력축(32)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에 의해 리액션디스크(33)가 리어측으로 팽출하여,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프론트측의 끝면(24B)에 맞닿는다. 이 시점은, 도 2에 A로 도시되는 시점이며, 일반적으로 점핑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점핑의 시점의 배력비는, 리액션디스크(33)와 맞닿는 단부착식 슬리브(31)의 끝면의 면적을 S1로 하고,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프론트측의 끝면(24B)의 면적을 S2로 하였을 때에, (S1+S2) / S2로 구해진다. 그 후, B의 시점까지 상기 배력비로 출력이 증가한다.
다음에,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입력)의 상승에 동반하여 리액션디스크(33)가 더 리어측으로 팽출함으로써, 상기 제1 스프링(25)이 압축되어서, 제1 플런저플레이트(24)가 수납부(8A)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후퇴된다.
이것에 동반하여,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프론트측의 끝면(24B)은 제2 플런저플레이트(26)의 프론트측의 끝면(26B)과 동일평면상으로 되며, 따라서, 그들 양 부재(24, 26)의 프론트측 끝면(24B, 26B)에 리액션디스크(33)가 맞닿는다. 이 시점은, 도 2에 B로 도시한 시점이다.
이 B의 시점 이후의 배력비는, 그 이전의 배력비보다도 작은 것으로 된다. B의 시점으로부터 전부하상태로 되는 C의 시점까지의 배력비는 다음의 수식으로 구해진다. 즉, 리액션디스크(33)와 맞닿는 제2 플런저플레이트(26)의 끝면(26B)의 면적을 S3 으로 하고, 리액션디스크(33)와 맞닿는 단부착식 슬리브(31)의 프론트측의 끝면의 면적을 상기 S1, 또한 제1 플런저플레이트(24)의 끝면(24B)의 면적을 상기 S2로 했을때에, (S1+S2+S3) / (S2+S3)로 된다.
여기서, S2 < (S2+S3)이므로, B의 시점 이후의 배력비는, 그 이전의 A로부터 B까지의 영역의 배력비보다도 작게 되며, 따라서, 운전자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은, 상술한 A로부터 B 까지의 영역에서는 작게 감지되고, 다음에 B 이후의 영역에서는 그 이전에 비교하여 크게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전부하상태로 되는 C의 시점 이후는, 배력비 1로 축력이 증대되게 되며, 따라서, 전부하상태로 되는 C 이후의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은, 그 이전에 비교하여 큰 것으로 감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고서부터 전부하점(C)으로 될때 까지의 사이에 배력비를 2단계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동개시후의 A로부터 B로 도시한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작은 영역에서는, 운전자에 대하여 작은 브레이크 반력이 전달되며,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큰 B로부터 C의 영역에서는 운전자에 대하여 큰 브레이크 반력이 전달되게 되고, 그 후에 브레이크 반력이 가장 크게 되는 전부하점(C)으로 이행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이 증대되는 후반의 영역에 있어서 운전자에 안심감이 있는 브레이크 반력을 전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동개시되고서부터 전부하점에 이르기까지의 브레이크 반력의 변동을 원활한 변동으로 하여 운전자에게 감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배력비가 작고, 또한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입력)이 큰 영역에 있어서, 진공밸브(14) 및 대기밸브(16)가 함께 폐쇄되는 서보밸런스상태로부터 브레이크페달의 밟기가 해방되면, 진공밸브(14)가 개방되므로 즉시 출력은 저하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리액션디스크(33)가 양 플런저(24, 26)의 프론트측의 끝면(24B, 26B)에 맞닿고 있으며, 브레이크 반력은 제2 스프링(28)과 제1 스프링(25)을 통하여 밸브플런저(8) 및 입력축(22)에 전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은 즉시 저하하지만, 팽출된 리액션디스크(33)가 프론트측으로 되돌아 가기까지 입력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것은, 배력비가 작게 되는 B로부터 C의 영역에 있어서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을 때와 해방시에 있어서 입력과 출력과의 관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B와 C를 연결하는 직선만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B로부터 C의 영역에 있어서는, 동일 출력이 얻게 되는 경우의 입력의 차이가 되는 히스테리시스는, 실질적으로 영으로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배력비가 작게 되는 B로부터 C의 영역에 있어서는, 서보밸런스상태로부터 브레이크페달의 밟기를 해방하면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이 저하한다. 즉,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배력비가 크게 되는 A로부터 B의 영역뿐만 아니라, 배력비가 작게 되는 B로부터 C의 영역에 있어서도 히스테리시스가 존재함으로, 이와 같은 종래의 것으로는,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크게 되는 B로부터 C의 영역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제어성이 나뿌다는 결점이 지적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크게 되는 B로부터 C의 영역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를 실시적으로 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브레이크의 제어성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배력비가 크게되는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입력)이 작은 영역(A로부터 B의 영역)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의 밟기를 해방한 때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직선(D)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이 저하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A로부터 B의 영역에서는, 종래와 동일하게 히스테리시스가 생기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패달의 답력(입력)이 큰 영역에 있어서의 브레이크의 제어성이 양호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구조에 관해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상세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한 수정과 변경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Claims (2)

  1. 셸내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춤되어 입력축과 연동하는 밸브플런저와, 이 밸브플런저에 있어서의 프론트측의 원통형상부분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춤된 제1 플런저플레이트와, 제1 플런저플레이트를 밸브플런저에 대하여 프론트측으로 향하여 가압하는 제1 스프링과, 출력축의 기부와 밸브보디의 끝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서, 출력축에 작용하는 반력을 제1 플런저플레이트와 제1 스프링을 통하여 밸브플런저 및 입력축에 전달하는 리액션디스크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외주부에 환상의 제2 플런저플레이트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장착함과 동시에, 제1 스프링보다도 스프링상수가 큰 제2 스프링을 제2 플런저플레이트와 밸브플런저 사이에 설치하고,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는, 제2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을 제1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보다도 리어측에 위치시키며,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작동된 때의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작은 영역에서는, 리액션디스크를 제1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에 맞닿게 하여, 출력축에 작용하는 반력을 제1 플런저플레이트와 제1 스프링을 통하여 밸브플런저에 전달시키도록 구성하고,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작동된 때의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큰 영역에서는, 리액션디스크를 양 플런저플레이트의 프론트측의 끝면에 맞닿게 하여, 출력축에 작용하는 반력을 상기 양 플런저와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통하여 밸브플런저에 전달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런저에 있어서의 원통형상부분의 프론트측 끝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뻗는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밸브플런저의 원통형상부내에 위치하는 제1 플런저플레이트의 축방향 중앙측의 외주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이 플랜지부와 상기 원통형상부분의 바닥부에 걸쳐서 탄력 장착하고 있으며,
    또, 상기 제2 플런저플레이트에 있어서의 리어측 끝부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플런저에 있어서의 원통형상부분의 외주부에 링을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스프링은, 이 링과 제2 플런저플레이트의 플랜지부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비작동상테에 있어서는, 제1 플런저플레이트의 플랜지부가 상기 밸브플런저의 스토퍼부에 리어측으로부터 맞닿는 동시에, 자연상태의 제2 스프링의 프론트측 끝부는 상기 밸브플런저의 스토퍼부보다도 프론트측에 위치하여, 제2 플런저플레이트의 리어측의 끝면이 밸브플런저의 스토퍼부로부터 이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19990033320A 1998-08-28 1999-08-13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319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334098A JP3695566B2 (ja) 1998-08-28 1998-08-28 ブレーキ倍力装置
JP98-243340 1998-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298A KR20000017298A (ko) 2000-03-25
KR100319769B1 true KR100319769B1 (ko) 2002-01-05

Family

ID=1710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320A KR100319769B1 (ko) 1998-08-28 1999-08-13 브레이크 배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92783B1 (ko)
KR (1) KR100319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131B1 (ko) * 2002-03-20 2007-11-0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1150B4 (de) * 1998-09-09 2009-02-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mit Panikbremsfunktion
JP4366733B2 (ja) * 1998-10-02 2009-11-18 ボッシュ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DE19916579B4 (de) * 1999-04-13 2004-01-29 Lucas Industries P.L.C., Solihull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mit veränderlichem Kraftübersetzungsverhältnis
US6516705B2 (en) * 1999-12-14 2003-02-11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brake booster with two-part air valve and method of assembling
KR20010077767A (ko) * 2000-02-08 2001-08-20 밍 루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EP1206644B1 (en) * 2000-03-01 2006-01-18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brake booster with two-part air valve and method of assembling
FR2819771B1 (fr) * 2001-01-22 2003-06-20 Delphi Tech Inc Amplificateur de force de freinage a double rapport d'amplification pour vehicules atomobiles
EP1373039B2 (de) * 2001-02-15 2010-06-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übertragungseinrichtung für einen bremskraftverstärker
JP3943880B2 (ja) * 2001-09-18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US6584883B2 (en) * 2001-10-09 2003-07-01 Delphi Technologies, Inc. Pneumatic brake booster
KR100412242B1 (ko) * 2001-11-09 2003-1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가식 브레이크 부스터
FR2900115B1 (fr) * 2006-04-19 2009-01-16 Bosch Gmbh Robert Servofrein a rapport d'assistance variable, organe d'assistance et organe de sortie d'un tel servofrein.
JP5617815B2 (ja) * 2011-10-25 2014-11-05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負圧式倍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55429A1 (de) * 1967-07-26 1971-11-04 Teves Gmbh Alfred Bremskraftverstaerker
JPH078337A (ja) 1993-06-24 1995-01-13 Ibiden Co Ltd 収納家具
GB9313612D0 (en) * 1993-07-01 1993-08-18 Lucas Ind Plc Brake booster
US5794506A (en) * 1996-08-09 1998-08-18 Jidosha Kiki Co., Ltd. Reaction mechanism for brake boo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131B1 (ko) * 2002-03-20 2007-11-0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298A (ko) 2000-03-25
US6192783B1 (en) 200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769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853636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H0437019Y2 (ko)
KR20030024585A (ko) 배력장치
KR910000891B1 (ko) 공압 부스터
KR20020074076A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US6209441B1 (en) Brake booster
US5907990A (en) Brake booster having a reaction force mechanism
JPH1159399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KR100197182B1 (ko) 배력장치
JP3509276B2 (ja) 倍力装置の弁機構
JP2000071971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JPH1044973A (ja) 倍力装置
JP2004521800A (ja) ブレーキ倍力装置用ブレーキ力伝達装置
JP3785985B2 (ja) 倍力装置の弁機構
JP2803361B2 (ja) 倍力装置
JP2606909B2 (ja) 負圧倍力装置
JP3744852B2 (ja) 負圧式ブレーキ倍力装置
JP4478847B2 (ja) 倍力装置
JPH0811705A (ja) 倍力装置の弁機構
JPH1029510A (ja) ブレーキ装置
JPH0347014Y2 (ko)
JPH0541105Y2 (ko)
JPH1059164A (ja) 倍力装置
JP3905203B2 (ja) 気圧式倍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