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683B1 - 지지체와절인체를구비한천공/끌질가공공구 - Google Patents

지지체와절인체를구비한천공/끌질가공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683B1
KR100319683B1 KR1019950030910A KR19950030910A KR100319683B1 KR 100319683 B1 KR100319683 B1 KR 100319683B1 KR 1019950030910 A KR1019950030910 A KR 1019950030910A KR 19950030910 A KR19950030910 A KR 19950030910A KR 100319683 B1 KR100319683 B1 KR 100319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led
tool
expansion
tool according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077A (ko
Inventor
베르너클라이네
Original Assignee
빌리 로날드, 슈날쯔지 안드레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리 로날드, 슈날쯔지 안드레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리 로날드, 슈날쯔지 안드레아
Publication of KR96001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6Drill bits characterised by wear resisting parts, e.g. diamond inserts
    • E21B10/58Chisel-type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2/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composed of metals, alloys or metal matrices
    • B23B2222/28Details of hard metal, i.e. cemented carb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2/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composed of metals, alloys or metal matrices
    • B23B2222/84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8Chip 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50Drilling tools comprising cutting inse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6/00Metal tools and implements, making
    • Y10S76/10Soldering and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6Cutters, for shaping comprising cutting edge bonded to tool sh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78Tool of specific divers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5Having stepped cutting edges
    • Y10T408/906Axially spac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8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means to retain Tool to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Drilling Tool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Kniv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1)와 절단체(2)를 구비한 천공 및/또는 끌질 공구에 관한 것이다. 절단체(2)는 공구축(Z)에 평행하고, 재료 브리지(2b)가 남을 정도의 재료 축소부에 의해 형성된 팽창용 이음매(2a)를 구비한다. 제조 및 지지체(1)에의 장착에 있어서는, 절단체(2)가 하나의 유니트의 기능을 충족한다. 공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절단체(2)가 팽창용 이음매(2a)에 의해 개별 기능 유니트를 형성하며, 이것은 응력의 저항에 의한 절단체(2)의 재료소모 감소를 가능하게 해준다.

Description

지지체와 절인체를 구비한 천공/끌질 가공 공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석재, 벽돌 등의 재료를 가공하기 위해, 지지체와, 그지지체의 가공측 단부에 설치되고 경질 금속, 경질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 절인체(切刃體)를 구비한 천공/끌질 가공 공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콘크리트, 석재, 벽돌 등의 재료의 가공에 사용되는 공지의 공구는 관형 또는 원통형의 강철제의 지지체를 구비하며, 이 지지체의 가공측 단부에 경질 금속, 경질 재료 등의 단단한 재료로 된 절인체가 장착되어 있다. 재료의 가공을 위해, 절인체는 지지체의 가공측으로부터 적어도 축선 방향으로, 또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구는 천공 공구 또는 끌질 가공 공구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공구로서 형성되거나 양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공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된다. 천공 공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와, 천공 및 끌질 공구의 양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지지체에는 절삭된 재료를 반출하기 위해, 예컨대 나선 형식의 반출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구가 끌질 용도로만 사용된 경우에는 그러한 반출 수단, 특히 나선 형식의 반출 수단은 필요하지 않다.
절인체 또한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된다. 널리 보급되어 있는 형태는 일종의 절단 판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특정 용도로는. 예컨대 십자형의 절인체로서 구성된 것이 있는데, 이것은 공구 축선의 수직 방향의 횡단면 형상이 십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십자형의 절인체의 경우 십자의 다리부가 서로 상이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든 공구의 공통점은, 절인체를 형상 결합식으로 수납하는 오목부가 지지체에 마련된다는점이다. 이러한 오목부는 절인체의 형태에 맞춰 형성된다. 예컨대, 절단 판 형태의 절인체의 경우에는 지지체의 가공측 단부에 슬릿이 마련되어, 이 슬릿에 절단 판이 밀어 넣어진다. 절인체는 이러한 오목부 내에 납땜 접합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지지체와 절인체의 재료를 전혀 상이한 특성의 것을 사용한 경우, 이들 양 부재의 열팽창 계수가 크게 상이해지게 된다. 이것은 특히 납땜 접합 측면에 큰 응력을 발생시키므로, 이들 부재의 남땜 접합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응력은 한편으로는 납땜 위치에 균열을 발생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절인체를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절인체의 분리 및 파손으로 인한 가공 공구의 고장이 초래될 수 있다.
발생되는 음력과 관련된 전술한 단점은 절인체의 치수를 선택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보다 치수가 큰 가공 공구에 예컨대 증가하는 두께의 절인체를 장착함으로써 어느 정도 방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치로는 전술한 단점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며, 이러한 조치의 결과 또 다른 단점들이 발생한다는 부담이 있다. 그러한 또 다른 단점으로는, 예컨대 절인체를 수용하는 오목부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지지체의 가공측 단부의 강도가 저하된다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공구의 치수에 맞게 지지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추가의 장치를 준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의 관점에서도 새로운 단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실로 본질적인 단점은 절인체의 재료의 경제성, 즉 적정한 비용을 등한시할 수 없다는 점이다. 가공 공구의 치수가 커질수록 절인체의 두께가 증가되기 때문에 공구의 비용이 상당히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비용 상승에 있어서, 절인체의 비용은 재료 필요량의 증가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상승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즉, 재료의 양이 2배가 되면 비용은 2배가 되는 것이 아니라 수배가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DE-PS 401 188 로부터, 단일의 연속적인 절인체가 사용되지 않고 지지체의 직경에 걸쳐 균등하게 분할된 다수의 절인체가 설치된 보다 큰 치수의 공구가 공지되어 있다. 이 공구에 의하면, 표면이 점진적으로 얇아짐에 따라 그리고 상이한 열팽창 계수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하므로, 개개의 절단 판의 두께가 보다 작은 치수로 정해질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절인체의 재료 비용의 측면예서 확실히 유리하긴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료 비용에 대하여 얻어지는 장점은 공지의 가공 공구의 제조 비용이 상승된다는 점 때문에 상쇄된다. 즉, 하나의 절인체가 아닌 다수의 절인체를 각각 위치 결정하고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료 비용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가공 상의 측면에서도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유효 수명이 긴 가공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천공/끌질 가공 공구는 절인체에 그 공구 축선에 평행하게 절인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팽창 접속부를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접속부는, 예컨대 공구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절인체를 기능적 부분으로 분할하여, 절인체의 각 부분이 개별적인 절인체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발생되는 응력의 관측은 개별 분할 부분의 응력을 관측하는 것이다. 즉, 절인체의 치수의 측정은 절인체의 공구 축선의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절인체의 전체 폭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분할 부분의 폭만 고려하여 측정한다. 따라서, 절인체의 두께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절인체의 재료 비용이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절인체 전체의 비용이 상당히 저하된다. 팽창 접속부는 절인체를 지지체에 설치하기 이전에 절인체의 개별 분할 부분 사이를 연결하므로, 절인체의 개별 부분을 단일체의 절인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제조 비용의 추가 지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발생되는 제조 기술 상의 장점은, 절인체용의 오목부가 상이한 치수의 가공 공구에 대하여도 항상 동일해질 수 있다는 점으로, 일정한 두께의 절인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절인체의 오목부의 그 균일한 치수가 상당히 작아질 수 있어, 보다 큰 가공 공구의 경우에도 지지체의 가공측 단부의 강도 저하가 배제된다.
절인체는 지지체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을 위해 일체의 구조체로서 간주되며, 개개의 분할 부분의 지지체로의 고정은 납땜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접속부는 절인체를 지지체에 고정시킨 이후에는 더이상 적극적인 작용은 하지 않으며, 개개의 분할 부분을 기능적으로 구성하는 데에기여한다.
팽창 접속부는 절인체의 재료를 얇게 함으로써 남겨지는 하나 이상의 잔존웹에 의해 구성된다. 재료를 얇게 함으로써 남겨지는 웹은 절인체의 두께의 중간에 위치한다. 재료가 얇아졌을 때의 윤곽은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인체의 측면에 대한 팽창 접속부의 이행부는 직각 또는 둔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둔각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 절인체의 측면에 대하여 재료를 얇게 한 잔존 웹은 V 자형으로 개방되는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재료를 얇게 하여 팽창 접속부를 형성하는 데에 따른 장점은, 절인체를 지지체에 결합하는 데에 필요한 땜납 수납 저장소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땜납용의 공간이 너무 작아 불충분한 결합이 유발되었던 종래의 단점이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팽창 접속부의 땜납 저장소로서의 기능은 대략 2가지의 장점이 있다. 그 하나는 절인체의 제작자가 미리 팽창 접속부에 땜납을 채워 넣을 수 있어 절인체와 땜납이 완전한 하나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공 공구의 제조가 보다 단순화된다. 또 다른 하나는 가공 공구에 팽창 접속부를 제조함으로써 땜납이 팽창 접속부에 공급되는 것으로, 그 결과 종래 방법에 비해 땜납의 위치 설정이 보다 단순해질 수 있다.
잔존 웹은 절인체의 공구 축선에 평행한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속적인 웹의 경우, 잔존 웹은 절인체의 공구 축선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된다. 단속적인 웹의 경우, 복수 개의 웹은 공구 축선에 평행하게 전체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예컨대 절인체의 각 단부 영역에 하나씩 2개의 잔존 웹으로 분할된다.
팽창 접속부에 필요한 특성이 보장되도록, 공구 축선의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잔존 웹의 두께가 절인체의 공구 축선의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두께의 약 0.1 내지 0.5 배이다. 이러한 구성의 잔존 웹에 의해, 개개의 분할 부분이 기능적으로 서로 분리됨으로써, 절인체 전체를 개개의 기능성 유닛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절인체의 공구 축선의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폭을 대략 균등하게 분할하는 복수 개의 팽창 접속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팽창 접속부를 설치하여 3개의 분할 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 3개의 분할 부분의 경우, 중간의 분할 부분은 중심 팁(centering tip)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접속부의 설치에 의해, 특히 각각의 용도에 맞게 절인체를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중심 팁을 향하여 둔각을 이루는 가공측 단추의 절인 선단(切刃先端)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치수의 통상의 절인체에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접속부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서, 팽창 접속부는 특정 형태의 절인체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인체에 매우 날카로운 절인 선단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팽창 접속부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가공측 절인 선단이 서로 각도를 이루도륵 형성됨으로써 팽창 접속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의 이행부의 방향은 동일하지 않다. 또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공측 절인 선단은 팽창 접속부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공구 측선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보다 날카로운 형태의 절인체를 구성하기 위해, 절인체는 팽창 접속부의 영역에서 오프셋된 절인 선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가공측 절인 선단의 팽창 접속부의 영역에는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계단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특히 두드러진 중심 팁에 의해 가공 공구의 중심 맞춤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가공측 절인 선단이 팽창 접속부의 영역에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각도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 이때, 각도의 크기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절인체의 외측 영역도 마찬가지로 절인 선단이 합류하는 팁을 구비할 수 있다.
가공 공구를 저렴하게 제조하기 위해, 절인체는 절단 판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다 큰 치수의 가공 공구 또는 큰 효과를 요구하는 가공 공구와 관련하여, 절인체는 십자형 절인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접속부는, 절인체를 소결에 의해 제조할 때에 확산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팽창 접속부에 의해 분리된 영역에 상이한 재료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재료 특성이 공구의 특징 용도에 합치되는 절인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절인체의 외측 분할 부분에는 높은 경도를부여하는 반면, 중앙의 분할 부분에서는 인성이 강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예컨대 소결에 의한 제조시 적절한 합금 첨가물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공구는 지지체(1)와 절인체(2)를 구비한다. 절인체(2)는 지지체(1)의 오목부(1a) 내에 형상 결합식으로 수납된다. 절인체(2)는 공구 축선(Z)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팽창 접속부(2a)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팽창 접속부(2a)는 재료를 얇게하여 웹(2b)을 남김으로써 형성된다. 절인체(2)의 가공측 단부에 절인 선단(2c)이 설치되며, 이 절인 선단(2c)은 중심 팁(2d)을 향해 둔각을 이루면서 연장하고 또한 팽창 접속부(2a)의 양측에서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인체(2)의 폭은 팽창 접속부(2a)에 의해 3개의 부분으로 구분된다.
제2도,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지지체(1)를 생략하고 제1도의 절인체(2)만을 도시한 것으로, 재료를 얇게하여 형성한 잔존 웹(2b)을 구비한 팽창 접속부(2a)와, 중심 팁(2d)을 형성하는 절인 선단(2c)을 포함한다. 확대 도시된 제2b도에는 팽창 접속부(2)의 웹(2b)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평면도로서의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접속부(2)의 웹(2b)은 절인체(2)의 두께의 중심에 위치하며, 그 부분은 제2c도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제3도는, 예컨대 재료를 얇게하여 2개의 잔존 웹(3b)을 형성함으로써 생성된 팽창 접속부(3a)를 구비한 절인체(3)를 도시한 것이다. 절인 선단(3c)은 둔각을 이루면서 연장되어 중심 팁(3d)을 형성하며, 팽창 접속부(3a)의 영역에 서로 각도를이루면서 인접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제3b도에는 팽창 접속부(3a)의 잔존 웹(3b)의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3b) 부분은 절인체(3)의 두께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며, 이것은 제3c도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제4도 및 제4a도는 2개의 팽창 접속부(4a)와 잔존 웹(4b)을 구비한 절인체(4)를 도시한 것이다. 절인 선단(4c)은 둔각을 이루면서 연장되어 중심 팁(4d)을 형성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인체(4)의 후단부는 오목면 형태로 만곡되어 있다.
제5도 및 제5a도는 2개의 팽창 접속부(5a)와 잔존 웹(5b)을 구비한 절인체(5)를 도시하고 있다. 절인 선단(5c)은 둔각을 이루면서 연장되어 중심 팁(5d)을 형성한다. 절인체(5)의 후단부는 볼록면 형태로 만곡되어 있다.
절인체(3, 4, 5)의 절인 선단(3c, 4c, 5c)의 팽창 접속부(3a, 4a, 5a)에 바로 인접한 영역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절인 선단(3c, 4c ,5c)의 팽창 접속부(3a, 4a, 5a)에 바로 인접한 영역은 공구 축선선에 대해 둔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절인체(4, 5)의 후단부의 구성은, 지지체와 절인체(4, 5)간의 적정 위치 결정을 위해 중심을 맞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것은 공구의 제조 및 사용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제조시에 특히 납땜 작업을 위한 적정 위치를 결정하기가 쉬워진다. 공구의 사용시에는 중심을 향하는 힘 성분이 발생하여 납땜 접합부의 전단 응력을 감소시킨다.
제6도 및 제6a도는 2개의 팽창 접속부(6a)와 잔존 웹(6b)을 구비한 절인체(6)를 도시하고 있다. 절인 선단(6c)에는 팽창 접속부(6a)의 영역에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된 계단부가 형성되고 중심 팁(6d)이 형성된다.
제7도 및 제7a도에는 2개의 팽창 접속부(7a)와 잔존 웹(7b)을 구비한 절인체(7)가 도시되어 있다. 절인 선단(7c)은 팽창 접속부(7a)의 영역에서 반대 방향으로 각도를 이룸으로써 중심 팁(7d)을 형성하고 있다.
제8도 및 제8a도에 따른 절인체(8)는 십자형 커터로서 형성된다. 재료를 얇게하여 남은 웹(8b)을 구비한 4개의 팽창 접속부(8a)는 절인체(8)를 4개의 다리부(8c)와 1개의 중심 팁(8d)으로 구분한다.
제9도 및 제9a도에 따른 절인체(9)는 다리부(9c)와 기부(9e) 사이에 잔존 웹(9b)을 구비한 팽창 접속부(9a)를 포함한다. 기부(9e)에는 중심 팁(9d)이 배치된다.
제10도, 제10a도, 제11도 및 제11a도에 도시된 절인체(10, 11)의 팽창 접속부(10a, 11a)에는 웹(10b, 11b)이 설치되어 있다. 제10도에 따른 절인체(10)의 경우, 팽창 접속부(10a) 사이의 부분은 절인체 평면의 내측에서 가공 방향을 향하여 재료를 얇게하여 남겨진 것이다. 제11도에 따른 절인체(11)의 경우, 팽창 접속부(11a) 사이의 부분은 절인체 평면의 내측에서 가공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재료를 얇게하여 남겨진 것이다. 또한, 제1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인체(11)에는 측방 부분(11e)의 팽창 접속부(11a)를 향하는 이행부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팽창 접속부(11a)는 양측의 측방 부분(11e)에 대하여 V자형으로 개방된다. 절인체(10, 11)의 중간의 부분에는 중심 팁(10d. 11d)이 형성된다.
제1도는 지지체와 절인체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 공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절인체를 도시한 도면.
제2a도는 제2도의 절인체의 평면도.
제2b도는 제2도의 A 부분의 확대도.
제2c도는 제2a도의 B 부분의 확대도.
제3도는 절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3a도는 제3도의 절인체의 평면도.
제3b도는 제3도의 C 부분의 확대도.
제3c도는 제3a도의 D부분의 확대도.
제4도 내지 제11a도는 절인체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체
2 ,3, 4, 5, 6, 7, 8, 9, 10, 11 : 절인체
2a, 3a, 4a, 5a, 6a, 7a, 8a, 9a, 10a, 11a : 팽창 접속부
2b, 3b, 4b. 5b, 6b, 7b, 8b, 9b, 10b. 11b : 잔존 웹
2c, 3c, 4c, 5c, 6c, 7c : 절인 선단
2d, 3d, 4d, 5d, 6d, 7d : 중심 팁
Z : 공구 축선

Claims (17)

  1. 콘크리트, 석재, 벽돌과 같은 재료를 가공하기 위해,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가공측 단추에 설치되고 경질 금속, 경질 재료와 같은 재료로 형성된 절인체(2, 3, 4, 5, 6, 7, 8, 9, 10, 11)를 구비하는 천공/끌질용 가공 공구에 있어서.
    상기 절인체(2, 3, 4. 5, 6, 7, 8, 9, 10, 11)는 그 공구 축선(Z)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절인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팽창 접속부(2a, 3a, 4a, 5a, 6a, 7a, 8a, 9a, 10a, 1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접속부(2a, 3a. 4a. 5a, 6a, 7a, 8a, 9a, 10a, 11a)는 재료를 얇게하여 남은 하나 이상의 잔존 웹(2b, 3b, 4b, 5b, 6b, 7b, 8b, 9b, 10b, 11b)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절인체(2)의 공구 축선(Z)에 평행한 길이를 따라 잔존 웹(2b)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4. 제2항에 있어서, 절인체(3)의 공구 축선(Z)에 평행한 길이를 따라 2개 이상의 분할된 잔존 웹(3b)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구 축선(Z)에 수직 방향으로측정된 잔존 웹(2b, 3b, 4b, 5b, 6h, 7b, 8b, 9b, 10b, 11b)의 두께는 절인체(2, 3, 4, 5, 6, 7, 8, 9, 10, 11)의 공구 축선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 두께의 0.1 내지 0.5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인체(2, 3, 4, 5, 6, 7, 10, 11)의 공구 축선(Z)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 폭을 균등 분할하는 복수 개의 팽창 접속부(2a, 3a, 4a, 5a, 6a. 7a, 10a, 11a)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7. 제6항에 있어서, 2개의 팽창 접속부(2a, 3a, 4a, 5a, 6a, 7a, 10a, 11a)에 의해 3개의 분할 부분으로 절인체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중앙의 분할 부분에 중심 팁(2d, 3d, 4d, 5d, 6d, 7d, 10d, 11d)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인체(2 ,3, 4, 5, 6, 7)에는 중심 팁(2d, 3d, 4d, 5d, 6d, 7d)을 향하여 둔각을 이루는 가공측 절인 선단(2c, 3c, 4c, 5c, 6c, 7c)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10. 제9항에 있어서, 가공측 절인 선단(3c, 4c, 5c)은 팽창 접속부(3a, 4a, 5a)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11. 제10항에 있어서, 가공측 절인 선단(3c, 4c ,5c)은 팽창 접속부(3a, 4a, 5a)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공구 축선(Z)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12. 제9항에 있어서, 절인체(6, 7)는 팽창 접속부(6a, 7a)의 영역에서 오프셋된 가공측 절인 선단(6c, 7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13. 제12항에 있어서, 가공측 절인 선단(6c)의 팽창 접속부(6a)의 영역에는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된 계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14. 채12항에 있어서, 가공측 절인 선단(7c)은 팽창 접속부(7a)의 영역에서 반대 방향으로 각도를 이루며 오프셋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인체(2, 3, 4, 5, 6, 7, 9, 10, 11)는 절단 판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인체(8)는 십자형 절인체로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인체(2. 3. 4, 5. 6, 7, 8, 9, 10, 11)의 개개의 분할 부분은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공구.
KR1019950030910A 1994-11-28 1995-09-20 지지체와절인체를구비한천공/끌질가공공구 KR100319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42266.0 1994-11-28
DE4442266A DE4442266A1 (de) 1994-11-28 1994-11-28 Werkzeug mit Trägerkörper und Schneidkör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77A KR960017077A (ko) 1996-06-17
KR100319683B1 true KR100319683B1 (ko) 2002-04-22

Family

ID=653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910A KR100319683B1 (ko) 1994-11-28 1995-09-20 지지체와절인체를구비한천공/끌질가공공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735648A (ko)
EP (1) EP0715055B1 (ko)
JP (1) JP3652761B2 (ko)
KR (1) KR100319683B1 (ko)
CN (1) CN1073916C (ko)
AT (1) ATE198225T1 (ko)
CA (1) CA2163686C (ko)
DE (2) DE4442266A1 (ko)
DK (1) DK0715055T3 (ko)
FI (1) FI107242B (ko)
HU (1) HU2154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3810A (en) 1995-07-29 1997-03-05 Black & Decker Inc Masonry drill bit
DE19709771B4 (de) * 1997-03-10 2008-03-20 Drebo Werkzeugfabrik Gmbh Gesteinsbohrer
DE19910580C1 (de) * 1999-03-10 2000-07-27 Tigra Hartstoff Gmbh Schaftfräserrohling aus Hartwerkstoff
AU1542601A (en) * 1999-11-26 2001-06-04 Anglo Operations Limited Rotary drill bit insert
DE10043428A1 (de) * 2000-09-04 2002-03-14 Hilti Ag Gesteinsbohrer
DE10122299C2 (de) * 2001-05-08 2003-11-13 Tracto Technik Verfahren zum Felsbohren
EP1302290B1 (de) 2001-10-12 2008-07-02 Robert Bosch Gmbh Bohrwerkzeug
AU2003232030A1 (en) * 2002-04-30 2003-11-17 Iqbal Singh Spade-type drill bit having helical configuration
AT6617U1 (de) * 2002-08-06 2004-01-26 Plansee Tizit Ag Bohrer, insbesondere steinbohrer
US6817429B2 (en) 2002-10-03 2004-11-16 Jimmie Sollami Roof bit carbide blade
GB2400337A (en) * 2003-04-10 2004-10-13 Black & Decker Inc A cutting plate for a drill bit
DE102006000108A1 (de) * 2006-03-06 2007-09-13 Hilti Ag Hartstoffschneide
DE102006035306A1 (de) 2006-12-22 2008-06-26 Hilti Ag Drehschlagbohrer mit Hartstoffeinsatz
US20090148250A1 (en) * 2007-12-05 2009-06-11 Wayne Chappell Drill Bit
US7861807B2 (en) 2008-12-03 2011-01-04 Black & Decker Inc. Drill bit including one piece cutting head
US8702357B2 (en) * 2009-02-10 2014-04-22 Kennametal Inc. Multi-piece drill head and drill including the same
US8827606B2 (en) * 2009-02-10 2014-09-09 Kennametal Inc. Multi-piece drill head and drill including the same
US8667866B2 (en) * 2009-12-31 2014-03-11 Diamond Innovations, Inc. Machining tool blank and method of forming
US9539652B2 (en) 2010-04-30 2017-01-10 Kennametal Inc. Rotary cutting tool having PCD cutting tip
US8926237B2 (en) 2011-07-11 2015-01-06 Kennametal Inc. Multi-piece twist drill head and twist drill including the same
EP2669033B1 (en) 2012-05-29 2015-11-04 Black & Decker Inc. Cutting head for a drill bit.
CN104385318A (zh) * 2014-09-16 2015-03-04 苏州市汇峰机械设备有限公司 使用寿命长的切片机刀具
CN104191440A (zh) * 2014-09-16 2014-12-10 苏州市汇峰机械设备有限公司 耐磨性好的切片机刀片
CN104440973A (zh) * 2014-09-16 2015-03-25 苏州市汇峰机械设备有限公司 降低成本的切片机刀具
CN104290107A (zh) * 2014-09-16 2015-01-21 苏州市汇峰机械设备有限公司 高韧性的切片机刀片
EP3569351A1 (en) * 2018-05-14 2019-11-20 AB Sandvik Coromant Veined tool blank and drill
USD922841S1 (en) 2019-05-06 2021-06-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hisel
USD922842S1 (en) * 2019-05-06 2021-06-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hisel
USD923447S1 (en) 2019-05-06 2021-06-2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hisel
USD922840S1 (en) 2019-05-06 2021-06-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hisel
USD921465S1 (en) 2019-05-06 2021-06-0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ortar knif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188C (de) 1922-05-07 1924-08-26 Jacques Kellermann & Co Spielzeug mit aus pyrophorem Metall und Reibrad gebildeter Funkvorrichtung
DE671959C (de) * 1937-08-25 1939-02-17 Meutsch Voigtlaender & Co Vorm Mit Hartmetallschneiden versehenes Werkzeug, insbesondere Gesteinsschlagbohrer
US2614813A (en) * 1949-07-08 1952-10-21 Ingersoll Rand Co Rock drilling tool
US2784943A (en) * 1952-11-03 1957-03-12 Sandvikens Jernverks Ab Rock drill bit with cutting insert
DE2952295A1 (de) * 1979-12-24 1981-07-02 Beck, Dieter, 2110 Buchholz Bohrkrone eines gesteinsbohrwerkzeuges
DE3742661A1 (de) * 1987-12-16 1989-07-13 Hawera Probst Kg Hartmetall Gesteinsbohrer
SE469395B (sv) * 1988-07-28 1993-06-28 Sandvik Ab Borrkrona med haardmetallskaer
DE4114271A1 (de) * 1991-05-02 1992-11-05 Hilti Ag Bohr- und meisselwerkzeug mit grundkoerper und schneidkoerper
US5197556A (en) * 1991-06-17 1993-03-30 Gte Valenite Corporation Roof drill brazing shim
US5630478A (en) * 1995-06-07 1997-05-20 Credo Tool Company Masonry drill bit and method of making a masonry drill b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07242B (fi) 2001-06-29
FI955662A0 (fi) 1995-11-24
DK0715055T3 (da) 2001-01-15
JPH08224729A (ja) 1996-09-03
EP0715055B1 (de) 2000-12-20
HUT73841A (en) 1996-09-30
CA2163686C (en) 2000-08-08
KR960017077A (ko) 1996-06-17
HU9503393D0 (en) 1996-01-29
FI955662A (fi) 1996-05-29
DE4442266A1 (de) 1996-05-30
JP3652761B2 (ja) 2005-05-25
US5735648A (en) 1998-04-07
DE59508909D1 (de) 2001-01-25
CA2163686A1 (en) 1996-05-29
ATE198225T1 (de) 2001-01-15
CN1073916C (zh) 2001-10-31
HU215426B (hu) 1998-12-28
EP0715055A2 (de) 1996-06-05
CN1132135A (zh) 1996-10-02
EP0715055A3 (de) 199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683B1 (ko) 지지체와절인체를구비한천공/끌질가공공구
US6725756B2 (en) Two-piece metal punch construction
KR101148598B1 (ko) 절삭 공구
JPH02224978A (ja) 中空ドリル工具
JP4464953B2 (ja) 切削工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54345A (ja) ハニカム構造体成形用口金の製造方法
HU216525B (hu) Üreges magfúró üreges hengeres hordozótesttel
JPS60238202A (ja) 超硬ラインバ−
JPS6312891Y2 (ko)
JP2001347504A (ja) 底切刃を有する付け刃ルータビット
JPS62241606A (ja) 切削用ドリル
KR200193312Y1 (ko) 다이아몬드 팁 드릴
JPH05329707A (ja) 超高圧焼結体チップ付きの工具素材および切削工具
JP2001162417A (ja) ドリル工具
JPH0217767Y2 (ko)
JPH0242792Y2 (ko)
JP2004066391A (ja) 深穴工具
KR19990064519A (ko) 구멍모따기용 절삭공구
JP3000263U (ja) ダイヤモンドブレード
JPH0630330Y2 (ja) ガンドリル
JPH0733516U (ja) バニシングドリル
JPH0715227U (ja) リーマ
SU798289A1 (ru) Породоразрущ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H09239317A (ja) セラミック接合型超音波ホ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20035A (ja) ローラ・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