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881B1 - 휴대무선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무선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881B1
KR100318881B1 KR1019990011545A KR19990011545A KR100318881B1 KR 100318881 B1 KR100318881 B1 KR 100318881B1 KR 1019990011545 A KR1019990011545 A KR 1019990011545A KR 19990011545 A KR19990011545 A KR 19990011545A KR 100318881 B1 KR100318881 B1 KR 10031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incoming call
identification
stored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네가즈야스
오이가와다케야
니이미도모히로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to KR101999001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무선통신장치에서 복수의 식별부호를 가지고, 이 복수의 식별부호중 발신시에 식별부호를 선택하여 발신처리를 하고, 또는 착신시에 식별부호에 따라서 착신처리를 하며, 복수의 식별부호를 사용자의 생활양식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식별부호를 갖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신회선에 접속된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식별부호를 기억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식별부호중, 하나의 식별부호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이 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식별부호에 따라서 발신하는 발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무선통신장치{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현재 무선통신장치로서 전화, 데이터단말 등이 있다. 이들의 무선통신장치는 자영기지국 또는 공중기지국을 통하여 통신회선망에 접속하기 위하여 각각 고유의 식별부호를 갖고 있다. 통상 이 식별부호를 무선통신장치내의 메모리에 기억하고,각 기지국과의 인증 또는 통신회선망 망측(통신회선망 관리국)과의 인증을 행함으로써 통화가 허가된다.
또 이 식별부호를 부착이탈식의 메모리에 기억하고, 이 부착이탈식 메모리를 무선통신장치에 장착함으로써, 무선통신장치가 그 부착이탈식 메모리에 기억된 식별부호를 갖는 단말로서 기능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선통신장치에서는 어느 것이나 무선통신장치 1대에 대하여 하나의 식별부호가 주어지는 것이다. 즉, 한사람의 사용자가 복수의 식별부호를 분별 사용하는데는 각각 식별부호마다 단말을 구입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한사람의 사용자가 회사와 가정에서 식별부호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회사용의 단말과 가정용의 단말을 구입하거나, 회사용의 부착이탈식 메모리와 가정용의 부착이탈식 메모리를 구입하는 방법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무선통신장치에서 복수의 식별부호를 갖도록 했다. 이 복수의 식별부호중 발신시에 식별부호를 선택하여 발신처리를 한다. 또는 착신시에 식별부호에 따라서 착신처리를 한다. 복수의 식별부호를 사용자의 생활양식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회선에 접속된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식별부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식별부호중, 하나의 식별부호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이 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식별부호에 따라서 발신하는 발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일본에서 실시 예정되고 있는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따라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A타입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A타입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B타입의 외관도.
도 5는 본 발명의 B타입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C타입의 외관도.
도 7은 본 발명의 C타입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식별부호를 기억하는 본체메모리 및 부착 이탈식 메모리의 메모리구조의 설명도.
도 9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의 발신시에 식별부호를 전환하는 제1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의 발신시에 식별부호를 전환하는 제2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의 발신시에 식별부호를 전환하는 제3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챠트.
도 12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의 착신시에 식별부호에 의하여 그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를 전환하는 제1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챠트.
도 13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의 착신시에 식별부호에 의하여 그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를 전환하는 제2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14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의 착신시에 식별부호에 의하여 그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를 전환하는 제2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고주파부
3 : 안테나 4 : 모뎀
5 : TDMA 처리부 6 : 스피치 코덱
7 : PCM 코덱 9 : 표시부
10 : ROM 11 : 작업메모리
12 : 녹음재생회로 13 : 부재중녹음메모리
18 : 버스 22,23 : ID메모리
이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A. 시스템 구성
제1도는 PHS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네트워크(1000)는 기존의 통신회선망이고, 예를 들면 PSTNΟ, ISDNΟ, 휴대전화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터(2000)는 이들 통신회선망의 접속전환제어, 통신회선망간의 접속전환제어 및 PHS에 있어서의 접속교제제어 등 시스템 전체의 관리를 한다.
기지국(3000a∼3000c)은 네트워크(1000)에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3000a)은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이고, 이 통신영역(a)내에 있어서 PHS단말(4000)과 접속가능하다, 기지국(3000b)은 사업소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이고, PBX(Private Branch Exchage)를 통해서 네트워크(1000)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영역(b)내에 있어서 PHS단말(4000)과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3000c)은 가정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이고, 이 통신영역(c)내에 있어서 PHS단말(4000)과 접속가능하다. 상기 PHS단말(4000)을 통신영역(a,b,c)의 어느 영역에 있어서나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PHS단말(4000)은 2개의 단말끼리가 근접하고 있어, 통신영역(d)에 표시된 바와같이 각각 단말의 통신영역이 중복되어 있을 때,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단말끼리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것이다(이하, 단말간 직접통신이라고 한다). 단, 이 단말간 직접통신을 동일기지국(가정 또는 사업소용의 기지국)에 종속하고 있는 단말끼리일 때만 가능하다.
더우기, PHS단말(4000)에 사용되는 식별부호는 가정, 사업소 또는 공중에서 각기 상이하다. 또 단말간 직접통신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부호는 PHS단말(4000)이 종속하고 있는 기지국에 기인하는 것이다.
B. PHS단말구성
상기 PHS단말(4000)은 그 식별부호의 격납형태에 의하여 3개의 타입이 고려된다. 타입 A : PHS단말 본체의 내부메모리에 복수의 식별부호를 기억해 두는 것.
타입 B : PHS단말 본체의 내부메모리에 복수의 식별부호의 일부를 기억시키고, 기타의 식별부호를 본체에 부착 이탈 가능한 메모리에 기억해 두는 것.
타입 C : 식별부호를 기억시킨 부착 이탈 가능한 메모리를 본체에 복수 장착할 수 있는 것.
타입 A
제2도는 타입 A의 PHS단말의 외관도이고, 제3도는 그 블록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1은 제어부이며, 이 제어부(1)에는 버스(18)에 의하여 고주파부(2), 모뎀(4),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처리부(5), 스피치 코덱(6), PCM 코덱(7), 표시부(9), ROM(10), 작업메모리(11), 녹음재생회로(12), 부재중녹음메모리(1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는 ROM(10)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단말 전체의 동작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발착신 처리 등의 통상 통신처리 외에 특히 식별부호의 설정, 조회처리 및 부재중 전화기능의 설정,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식별부호의 설정처리는 발신시에 복수의 식별부호중 어느 식별부호를 사용할 것인가를 설정한다. 이 식별부호 설정처리에 의하여 ROM(10)의 소정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부호중 1개를 판독하여 후술하는 TDMA처리부(5)에 설정한다.
식별부호의 조회처리는 착신시에 복수의 식별부호중 어느 식별부호로 착신했나를 상기 ROM(1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부호와 조회하는 처리이다.
부재중 전화기능의 설정처리는 착신시에 부재중 전화기능을 사용할 것인가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이고, 식별부호마다 설정된다. 부재중 전화기능의 제어처리는 상기 식별부호 조회처리에서 조회된 식별부호에 기인하여 부재중 전화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부재중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에는 키입력부(8)가 접속되어 있다. 키입력부(8)는 발신시에 수동에 의하여 식별부호를 설정하는 식별부호 설정키(8d), 상대방의 가입자 번호 등을 입력하는 텐키(8m)를 구비한 외에, 상대방 가입자번호 등의 발신을 지시하기 위한 발신키(8a), 회선을 절단하기 위한 종료키(8b), 단말간 직접통신 및 내선통신을 지정하는 트랜시버 키(8c), 전화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모드를 지정하는 전화부키(8e), 부재중 전화기능을 설정하는 부재중 전화키(8f), 전회 다이얼한 1터치로 재차 다이얼하는 리다이얼키(8g), 각종 모드에서의 데이터 등록을 지시하는 등록키(8h), 각종 모드에서의 데이터 삭제를 설정하는 삭제키(8i), 통신사업자에 의하여 부여되는 서비스를 지정할 때에 선택하는 선택키(8j), 단말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키(8n)를 갖고 있다.
고주파부(2)는 주파수 변환처리를 하는 것으로서 안테나 스위치(2a), 수신부(2b), PLL 주파수 신디사이저(2c) 및 송신부(2d)를 갖고 있다. 안테나 스위치(2a)는 안테나(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 스위치(2a)는 수신부(2b) 또는 송신부(2d)를 선택함으로써, 신호를 송신/수신의 타이밍에서 수신부(2b)와 송신부(2d)로 분담시킨다.
수신부(2b)는 안테나(3)에서 안테나 스위치(2a)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2단의 믹서에 의하여 수신중간 주파수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송신부(2d)는 모뎀(4)에 입력된 π/4 시프트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방식의 변조파를 도시하지 않은 믹서에서 주파수 변환하고, 안테나 스위치(2a)를 개재하여 안테나(3)로부터 폭사한다. PLL 주파수 신디사이저(2c)는 수신부(2b) 및 송신부(2d)에서의 주파수 변환을 위한 국부발신신호를 출력한다.
고주파부(2)의 수신부(2b) 및 송신부(2d)는 각각 모뎀(4)에 접속되어 있다. 모뎀(4)은 π/4 시프트 QPSK방식의 변복조처리를 하는 것이다.
수신의 경우, 고주파부(2)에 있어서의 수신부(2b)로부터의 수신중간 주파수신호를 복조한다. 이것에 의하여 수신중간 주파수신호를 동상성분 데이터 및 직교성분 데이터로 분리하고, 데이터열로서 TDMA처리부(5)로 전송한다.
송신의 경우, TDMA처리부(5)에서 전송되어 온 데이터열에서 동상성분 데이터 및 직교성분 데이터를 작성하고, π/4 시프트 QPSK방식의 변조를 행하여고주파부(2)의 송신부(2d)에 출력한다.
모뎀(4)에는 TDMA처리부(5)가 접속되어 있다. TDMA처리부(5)는 플레임 동기 및 슬롯의 포맷처리를 하는 것이다.
수신의 경우 모뎀(4)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열(플레임)에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1슬롯분의 데이터를 인출한다. 이중에서 유니크워드(동기신호)를 추출하고, 플레임 동기를 취한다. 더우기 제어데이터부 및 음성데이터부의 스크램블 등을 해제한 후 제어데이터는 제어부(1)에 송신하고, 음성데이터는 스피치 코덱(6)에 전송한다.
송신의 경우 스피치 코덱(6)에서 전송되어 오는 음성데이터에 제어부(1)에서 전송되어 오는 제어데이터 등을 부가하여 스크램블 등을 건다. 이후에 유니크워드 등을 부가하여 1슬롯분의 송신데이터를 작성하여 소정타이밍으로 플레임 내의 소정슬롯에 삽입하여 모뎀(4)에 송출한다.
TDMA처리부(5)에는 스피치 코덱(6)이 접속되어 있다. 스피치 코덱(6)은 디지털 데이터의 부호화/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수신시의 경우, TDMA처리부(5)에서 송신되어 온 ADPCM 음성신호를 PCM 음성신호로 부호화하여 PCM 코덱(7)에 출력한다.
송신시의 경우, PCM 코덱(7)에서 송신되어 온 PCM 음성신호를 ADPCM 음성신호에 복호화하여 TDMA처리부(5)에 출력한다.
스피치 코덱(6)에는 PCM 코덱(7)과 후술하는 부재중 녹음메모리(13)가 접속되어 있다. PCM 코덱(7)은 음성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처리를 행하는 것이다.수신의 경우 스피치 코덱(6)에서 송신되어 오는 PCM 음성신호를 D/A 변환하고,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앰프(14)에 출력하여 스피커(15)를 구동한다.
송신의 경우, 마이크(16)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A/D 변환하고, 변환한 PCM 음성신호를 스피치 코덱(6)에 출력한다. 또 스피커(15) 구동시의 앰프를 제어함으로써 음량을 제어하고, 링거(17)로의 신호를 출력하고, DTMF(Dual Tone Multifreguency) 신호의 발생 및 디코드를 실행한다.
표시부(9)는 각종제어를 위한 입력데이터 및 그 결과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ROM(10)은 제어부(1)의 동작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식별부호로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종류)의 자기의 ID(전화번호, PS-ID 등) 등이 기록되어 있다. 작업메모리(11)는 제어부(1)의 제어에서 취급되는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외에, 키입력부(8)에 의하여 설정되는 각종 조건을 기억하는 것이다. 부재중 녹음메모리 (13)는 부재중 전화기능의 기동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녹음된 메시지와, 수신된 메시지를 녹음한다.
녹음재생회로(12)는 제어부(1)의 제어에 의하여 부재중 녹음메모리(13)에 대한 메시지의 녹음/재생의 제어를 하는 것이다.
타입 B
다음은 타입 B의 단말의 설명을 제4도의 외관도와 제5도의 블록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그리고 타입 A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타입 B의 특징은 단말이 부착이탈 가능한 메모리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식별부호중 일부를 단말의 메모리(ROM(10))에 기억하고, 나머지 식별부호를부착 이탈 가능한 메모리(ID메모리)에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메모리에 1개의 식별부호를 기억하고, ID메모리(20)에 1개의 식별부호를 기억한다.
부착 이탈 가능한 메모리(20)는 적어도 1개의 식별부호를 기억하고 있다 (이하, ID메모리라고 한다). 인터페이스(19)는 ID메모리(20)의 장착상태를 부착 이탈 검출부(19a)에서 검출하여 부착이탈 검출신호를 제어부(1)에 출력한다. 또 인터페이스(19)는 ID메모리(20)가 장착되면 버스(18)에 접속한다.
제어부(1a)는 기본적으로 제3도의 제어부(1)와 동일하고, ROM(10)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단말 전체의 동작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특히 상이한 처리는 식별부호의 설정, 조회처리 및 부재중 전화기능의 설정,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식별부호의 설정처리는 발신시에 복수의 식별부호내 어느 식별부호를 사용할 것인가를 설정한다. 이 식별부호 설정처리에 의하여 ROM(10) 또는 ID메모리(20)의 소정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부호중 1개를 판독하여 후술하는 TDMA처리부(5)에 설정한다. 식별부호의 조회처리는 착신시에 복수의 식별부호중 어느 식별부호로서 착신하였는가를 상기 ROM(10) 또는 ID메모리(2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부호와 조회하는 처리이다.
또 부착 이탈 검출부(19a)로부터의 부착이탈 검출신호에 따라서 ID 메모리(20)의 부착이탈을 인식하고, ROM(10)내의 식별부호와 ID메모리(20)내의 식별부호를 전환한다.
타입 C
다음은 타입 C의 단말의 설명을 제6도의 외관도와, 제7도의 블록도에 따라서설명한다. 그리고 타입 A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타입 C의 특징은 단말이 부착이탈 가능한 메모리를 복수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식별부호를 복수의 부착이탈 가능한 메모리(ID메모리(22,23))에 분할하여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D메모리(22)에 1개의 식별부호를 기억하고, ID메모리(23)에 1개의 식별부호를 기억한다.
ID메모리(22 및 23)는 각각 적어도 1개의 식별부호를 기억하고 있다. 인터페이스(21)는 ID메모리(22 및 23)의 장착상태를 부착 이탈 검출부(21a)에서 검출하여 부착이탈 검출신호를 제어부(1)에 출력한다.
또 인터페이스(21)는 ID메모리(20)가 장착되면 버스(18)에 접속한다.
제어부(1b)는 기본적으로 제3도의 제어부(1)와 동일하고, ROM(10)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단말전체의 동작제어를 하는 것이다. 특히 다른 처리는 식별부호의 설정, 조회처리 및 부재중 전화기능의 설정,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식별부호의 설정처리는 발신시에 복수의 식별부호중 어느 식별부호를 사용할 것인가를 설정한다. 이 식별부호 설정처리에 의하여 ID메모리(22) 또는 ID메모리(23)의 소정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부호중 1개를 판독하여 후술하는 TDMA처리부(5)에 설정한다. 식별부호의 조회처리는 착신시에 복수의 식별부호중 어느 식별부호로 착신하였는가를 상기 ID메모리(22) 또는 ID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부호와 조회하는 처리이다.
또 부착 이탈 검출부(21a)로부터의 부착이탈 검출신호에 따라서ID메모리(22) 및 ID메모리(23)의 부착이탈을 인식하고, ID메모리(22)의 식별부호와 ID메모리(23)내의 식별부호를 전환한다.
C. 단말통신시의 동작
상기 각각의 구성(타입 A, 타입 B, 타입 C)에 의하여 전원입력시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캐리어(소정 주파수전파)를 검색하고, 현재 인입할 수 있는 제어체널을 설정한다.
즉, 이 제어캐리어는 안테나(3)에 의하여 수신되고, 고주파부(2)의 수신부(2b)에서 중간주파수로 주파수 변환된다. 이 수신중간 주파수신호는 모뎀(4)에서 π/4 시프트 QPSK 복조처리를 하여 데이터열로 변환된다. 이 데이터열은 TDMA처리부(5)에서 동기를 취한 후에 제어데이터가 제어부(1)에 전송된다. 이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제어부(1)가 발신 또는 착신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통신시에는 상기 제어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통신채널의 할당요구를 한다. 이것에 의하여 할당된 통신채널을 사용하여 소정절차에 의하여 기지국과의 통신로를 접속한다. 그리고 이 기지국을 통하여 상대방 가입자번호를 입력하여 상대방 단말이 응답하면 통신이 시작된다.
수신시에는 안테나(3)를 통해서 수신된 전화는 수신부(2b)에서 중간주파수로 주파수 변환된다. 이 수신중간 주파수신호는 모뎀(4)에서 복조되어 데이터열로 변환된다. 그리고 TDMA처리부(5)에서 스크램블 등을 해제한 후에 제어데이터는 제어부(1)에 전송되고, 음성데이터(ADPCM신호)는 스피치 코덱(6)에 전송된다. 이 음성데이터는 스피치 코덱(6)에서 복호화되어서 PCM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PCM신호는 PCM 코덱(7)에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되어서 앰프(14)를 통해 스피커(15)로부터 방음된다.
송신시에는 마이크(16)에서의 음성신호는 PCM 코덱(7)에서 A/D변환되고, 스피치 코덱(6)을 ADPCM 부호화한다. 이 부호화 음성데이터를 TDMA 처리부(5)에서 스크램블 등을 걸은 후에 소정타이밍의 슬롯에 삽입한다. 그리고 모뎀(4)에서 π/4 QPSK 변조처리를 한후, 송신부(2d)에서 1.9G㎐대로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3)로부터 폭사한다.
D. 식별부호의 종류 및 조합
PHS에서 사용되는 식별부호
① 자영기지국에 부여된 자영가입자번호 더우기 실제로는 단말에서의 착신/발신을 상정하고 있다. 이때문에 단말은 자영기지국 ID번호(CS-ID)와 단말 ID번호(PS-ID)를 사용하여 자영기지국과 접속함으로써 이 자영가입자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② 공중기지국을 통해서 통신을 하기 위하여 부여된 공중가입자번호.
③ 내선통신 또는 단말간 직접통신을 하기 위하여 부여된 단말번호.
더우기 실제로 단말간 직접통신을 행할 때는 기지국과의 종속관계를 표시하므로 CS-ID의 일부(시스템 호출부호)와 함께 사용한다. 즉, 상대방단말을 호출할 때에는 이 시스템 호출부호에 단말번호를 부여하고 사용한다.
더우기 자영가입자번호 및 공중가입자번호는 통신사업자에 의하여 부여되는 소위 전화번호이다. 자영가입자번호는 제1도의 자영기지국(3000c 또는 3000b)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에 부여되었다.
이 자영가입자번호는 사실상 자영기지국(3000c 또는 3000b)에 부여되고 있다. 공중가입자번호는 공중기지국(3000a)을 통하여 호출하는 것이 가능한 단말(4000)에 부여되어 있다.
단말번호는 사용자에 의하여 부여되는 것이고, 자영기지국(3000c 또는 3000b)을 통하여 내선통신 또는 단말(4000)끼리 통신을 할 때에 사용한다.
이들 식별부호의 복수의 조합으로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몇 개를 대표로서 열거한다. 더우기 상기 단말의 타입에 의하여 조합에 특징이 있는 것이 있다.
타입 A
(1) 자영가입자번호 + 공중가입자번호 + 단말번호(시스템부호를 포함)
(2) 복수의 자영가입자번호
(3) 복수의 공중가입자번호
(4) 복수의 단말번호(시스템번호를 포함)
타입 B
단말본체 ID메모리
(1) 자영가입자번호 공중가입자번호 + 단말번호(시스템부호를 포함)
(2) 공중가입자번호 자영가입자번호 + 단말번호
타입 C
(1) 자영가입자번호 + 공중가입자번호 + 단말번호(시스템부호를 포함)
(2) 복수의 자영가입자번호
(3) 복수의 공중가입자번호
(4) 복수의 단말번호(시스템부호를 포함)
타입 A는 단말 본체의 ROM(10)내에서 복수의 식별부호를 선택한다. 타입 C는 각각 식별부호를 기억한 복수의 부착이탈 가능한 ID메모리(22, 23)를 선택한다. 이때문에 타입 A와 타입 C와는 동일 매체로부터 선택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타입 B는 단말본체 ROM(10)과 부착이탈 가능한 ID메모리(20)에서 선택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단말을 옥내에서 사용하는 것을 중시하면 (1)측이 최적하다. 단말을 옥외에서 사용하는 것을 중시하면 (2)측이 최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의하여 최적한 기억방법이 상이하다. 더우기 타입 C에 있어서 1개의 ID메모리를 단말본체에 고정하고, 기타의 ID메모리를 부착이탈 하도록 하면 타입 B와 동일하게 된다.
상기 조합은 일례이고, 이것들을 다시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에 단말본체의 ROM(10)의 일부, 또는 ID메모리(20,22,23)의 메모리 구조를 제8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8도에 있어서 PS-ID 및 CS-ID는 단말 자신의 ID 및 기지국 자신의 ID이다. 이것은 단말과 기지국과 무선회선을 접속할 때에 사용된다. 가입자번호는 소위 전화번호이고, 공중기지국을 통하여 무선통신을 실행할 때에 사용된다. 단말번호는 사용자에 의하여 단말에 주어진 번호이다. 이 단말번호에 의하여 자영기지국을 통한 내선통신시 또는 단말간 직접통신시에 상대방 단말을 호출하는 또는 상대방 단말에서 호출될 때에 사용한다. 또한 이 단말번호에는 자기단말번호와 상대단말번호가 기억되어 있다. 시스템부호는 단말간 직접통신을 실행할 때에 이 시스템부호에 단말번호를 부가하여 호출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 시스템부호는 자영기지국의 CS-ID의 일부이다. 사용자영역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E. 발신동작
다음에 발신동작시에 있어서 이들 식별부호의 선택방법을 설명한다. 이 선택방법에 있어서도 여러종류의 케이스가 있다.
케이스 1 : 사용자가 단말본체의 키입력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전환한다.
케이스 2 : 기지국에서의 인입전파에 의하여 공중 또는 자영가입자번호를 전환한다. 이것은 공중가입자번호 및 자영가입자번호를 갖는 것에서만 있는 특징이다.
케이스 3 : 구조에 의하여 전환한다. 이것은 부착이탈식 ID메모리를 갖는 것에만 있는 특징이다. 즉, 타입 B 또는 타입 C에 적용할 수 있다.
케이스 1은 키입력부(8)를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식별부호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신한다. 이 케이스 1을 제9도에 도시한다. 그리고 제9도의 예에서는 2개의 식별부호(자영가입자번호 또는 공중가입자번호)에서 1개의 가입자번호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하여 어느편의 가입자번호를 사용하여 발신할 것인가가 결정되고, 이 가입자번호를 송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요금부과대상이 결정된다. 여기에서 자영가입자번호는 실제로는 자영기지국에 부여된 번호이고, 단말은 자영기지국의 CS-ID를 지정함으로써 자영가입자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즉, 제9도에서는 우선 요금부과대상으로 할 가입자번호(자영가입자번호 또는 공중가입자번호)를 키입력부(8)의 식별부호 설정키(8d)를 조작하여 지정한다(스텝 101, 102). 스텝 101에 있어서 자영가입자번호가 선택되면 메모리(단말본체 ROM(10) 또는 ID메모리(22,23))에 기억되어 있는 자영기지국용 CS-ID 및 PS-ID를 판독하여(스텝103), 자영기지국과의 링크정보로서 TDMA처리부(5)에 세트한다(스텝 104). 또 스텝 102에 있어서, 공중가입자번호를 선택하면 작업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공중기지국용 CS-ID와 메모리(ROM(10) 또는 ID메모리(20,22,23))에 기억되어 있는 PS-ID를 판독하여 공중기지국과의 링크정보로서 TDMA처리부(5)에 세트한다(스텝 105, 106). 그리고 발신자정보로서 메모리(단말본체 ROM(10) 또는 ID메모리(20,22,23))에 기억되어 있는 공중가입자번호를 판독하여 TDMA처리부(5)에 세트한다(스텝 107, 108).
이것에 의하여 자영기지국(3000c,3000b)이나 공중기지국(3000a)의 어느쪽 기지국과 통신회선을 접속할 것인가가 결정된다. 그리고 호출하고 싶은 상대방 가입자번호가 입력되어(스텝 109), 키입력부(8)의 발신키(8a)가 조작되면 스텝 104 또는 스텝 106에서 세트된 CS-ID에 기준하여 각각의 기지국과 링크를 확립한다. 또한 자영기지국에 대해서는 상대가입자번호를, 공중기지국에 대해서는 발신자 식별정보와 상대 가입자번호를 소정절차에 따라서 각각의 기지국에 발신한다(스텝 108).
케이스 2는 기지국에서의 전화를 인입함으로써 현재 접속가능한 기지국을 특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요금부과대상이 되는 가입자번호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발신한다. 이 케이스 2를 제10도에 도시한다. 그리고 제10도의 예에서는 가정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 가입자번호(실제는 이 가정기지국의 CS-ID를 지정함으로써 선택한다), 사업소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 가입자번호(실제는 이 사업소기지국의 CS-ID를 지정함으로써 선택한다), 또는 공중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 가입자번호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10도에서는 현재 접속가능한 기지국의 제어채널을 인입함으로써, 그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정보(CS-ID)를 추출한다(스텝 201). 이 CS-ID에 기준하여 현재 접속가능한 기지국이 어느 기지국(가정, 사업소 또는 공중)인가를 인식한다(스텝 202, 203). 그리고 스텝 203에서 가정기지국이라고 인식이 되면 ROM(10) 또는 ID메모리(20,22,23)에서 가정기지국용 CS-ID를 판독하여(스텝 204), 발신정보로서 TDMA처리부(5)에 세트한다(스텝 205). 또 스텝 203에서 사업소기지국 이라고 인식되면 ROM(10) 또는 ID메모리(20,22,23)에서 사업소기지국용 CS-ID를 판독하여(스텝 206), 발신정보로서 TDMA처리부(5)에 세트한다(스텝 207). 또 스텝 202에서 공중기지국이라고 인식되면 RAM(11)에서 공중기지국용 CS-ID를 판독하여 발신정보로서 TDMA처리부(5)에 세트하고(스텝 208, 209), ROM(10) 또는 ID메모리(20,22,23)에서 발신자정보로서 공중가입자번호를 판독하여 TDMA처리부(5)에 세트한다(스텝 210, 211).
다음에 발신정보가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호출할 상대의 가입자번호를 입력하고(스텝 212), 키입력부(8)의 발신키(8a)가 조작되면 각각의 기지국과 링크가 확립된다. 이때 자영기지국과 링크가 확립되면 상대가입자번호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공중기지국과 링크가 확립되면 상대가입자번호와 발신자정보를 송신한다(스텝213). 이 경우 가정기지국 또는 사업소기지국은 발신자정보로서 기지국에 부여되어 있는 자영가입자번호를 발신한다.
케이스 3은 부착이탈식 메모리의 장착상태에 의하여 식별정보를 전환하는 것이다.이 케이스를 제11도에 도시한다. 또 제11도의 예에서는 단말본체의 ROM(10)에 자영 CS-ID를 기억하고, ID메모리(20)에 단말간 직접통신용의 시스템 호출부호(자영 CS-ID의 일부)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ID메모리(20)를 단말본체에 장착한다.
제어부(1a)는 부착 이탈 검출부(19a)에서의 부착이탈 검출신호에 따라서 ID메모리(20)의 장착상태를 판단한다(스텝 401). 이 스텝 401에서 ID메모리(20)가 장착상태라고 판단하면 ID메모리(20)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 호출부호를 판독하여 TDMA처리부(5)에 세트한다(스텝 402, 403). 스텝 401에서 ID메모리(2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본체의 ROM(10)에서 자영 CS-ID를 판독하고 TDMA처리부(5)에 세트한다(스텝 404, 405). 그리고 ID메모리(20)에서의 시스템 호출부호를 세트할 때, 예를 들면 3자리의 상대단말번호를 입력시켜서 ROM(10)에서의 자영 CS-ID를 세트했을 때는 상대가입자번호를 입력시킨다(스텝 406). 그리고 키입력부(8)의 발신키(8a)가 조작되면 ID메모리(20)가 장착되어 있을 때는 시스템부호에 상대단말부호를 부가하여 단말간 직접통신용의 캐리어를 사용하여 발신한다. 또 ROM(10)에서 자영 CS-ID를 세트했을 때는 자영기지국과 링크를 확립함과 동시에 상대가입자번호를 발신한다.
더우기 상기 케이스 1∼3에서 설명한 예에 있어서 단말본체 ROM(10) 또는 ID메모리(20,22,23)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은 일례에 불과하다. 이 외에도 상기 조합의 섹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조합이 있다. 이 케이스 1∼3은 이 조합에 의하여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에서는 1개의 메모리에 1개의 식별부호를 대응시켰지만, 1개의 메모리에 복수의 식별부호를 대응시켰을 때는 그 복수의 식별부호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 선택하는 식별부호에 의하여 부호형태가 상이할 때는 그것에 대응한 형상으로 기억해야만 한다.
F. 착신동작
이 착신동작도 여러가지 예가 고려된다. 예를 들면 1개의 단말로 복수의 착신이 가능하므로 어느 착신을 우선하는가, 또 착신을 받고 싶지 않은 가입자번호에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에 어떻게 할 것인가(부재중 전화기능으로 보아서), 주로 이러한 문제가 있다.
타입 α : 미리 착신시의 처리를 키조작에 의하여 설정해 둔다. 통상착신과 부재중 전화기능과의 설정.
타입 β : 스케쥴(시간)에 의하여 착신시의 처리를 설정해 둔다.
타입 α의 설명
제12도는 이 타입 α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챠트이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가입자번호마다 미리 대기상태(「대기」, 「부재중 전화」, 「착신거부」)를 작업메모리(11)에 설정해 둔다. 또 여기서는 간단히 하기 위하여 2개의 가입자번호(자영가입자번호 및 공중가입자번호)에 의한 착신처리에 따라 설명한다. 또 공중가입자번호에서의 착신은 단말 자신에 착신한다. 그러나 자영가입자번호에 착신할 경우는 자영기지국에 착신한 후에 단말이 호출된다.
제어부(1,1a,1b)는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입자번호에서의 대기상태로부터 각각의 가입자번호마다 착신이 있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501). 여기에서 착신이 있다고 판단되면 현재 다른 자영가입자번호 또는 공중가입자번호에 기준하여 통화중인가를 판단한다(스텝 502). 통화중이 아니면 자영가입자번호에서의 착신인가를 판단한다(스텝 503). 즉, TDMA처리부(5)에서 추출된 제어데이터중의 가입자번호와 단말내부의 ROM(10) 또는 부착이탈식 ID메모리(20,22,23)내의 가입자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어느쪽의 착신인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자영가입자번호에 대한 착신이라고 판단되면 작업메모리(11)에 기억된 자영가입자번호에 대한 대기상태가 「대기」인가를 판단한다(스텝 504). 「대기」라고 판단되면 자영가입자번호에 대한 취지의 착신이라는 것을 표시부(9)에 표시함(스텝 505)과 동시에 자영가입자번호용의 호출음을 발생시킨다(스텝 506). 그리고 사용자가 키입력부(8)의 통신키를 조작함으로써 통신을 시작한다(스텝507).
한편, 스텝 504에서 대기상태가 「대기」가 아닐 때, 작업메모리(11)의 기억내용에 기준하여 대기상태가 「부재중 전화」인가를 판단한다(스텝 508). 여기에서 「부재중 전화」가 설정되어 있으면 회선을 접속함과 동시에 녹음재생회로(12)에 의하여 부재중녹음메모리(13)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응답메시지를 판독하고, 스피치 코덱(6), TDMA처리부(5), 모뎀(4), 고주파부(2)를 통하여 안테나(3)에서 기지국으로 향하여 송신신호를 발신한다(스텝 50). 그리고 상대단말이 이것에 응답하여 기지국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언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에 표시한 순서를 역행한 순서로 그 전언메시지가 부재중녹음메모리(13)에 녹음된다.
또 스텝 508에 있어서 「부재중 전화」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대기상태가 「착신거부」라고 판단하여 기지국에 착신거부신호를 송신한다(스텝 510).
상기 스텝 503에서 착신이 자영가입자번호에 대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착신이 공중가입자번호에 대한 것이므로 제12B도의 스텝 515에서 작업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공중가입자번호에 대한 대기상태가 「대기」인가를 판단한다(스텝 515). 「대기」라고 판단되면 스텝 516에서 공중가입자번호로 착신된 취지를 표시부(9)에 표시하는 동시에, 스텝 517에서 공중가입자번호의 호출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스텝 518에서 사용자가 입력부(8)의 통신키를 조작함으로써 통신이 시작된다.
스텝 515에 있어서 「대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 519에서 작업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대기상태가 「부재중 전화」인가를 판단한다(스텝 519). 「부재중 전화」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 520에서 회선을 접속함과 동시에 녹음재생회로(12)에 의하여 부재중녹음메모리(13)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응답메시지를 판독하고, 스피치 코덱(6), TDMA처리부(5), 모뎀(4), 고주파부(2)를 통하여 안테나(3)에서 기지국에 향하여 송신신호를 발신한다. 그리고 상대단말이 이것에 응답하여 기지국을 통해서 입력되는 전언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에 표시한 순서를 역행하는 순서로 당해 전언메시지가 부재중 녹음메모리(13)에 녹음된다.
또 스텝 519에 있어서 「부재중 전화」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대기상태가 「착신거부」라고 판단하여 기지국에 착신거부신호를 송신한다(스텝 521).
제12A도로 돌아가서 스텝 502에 있어서 통화중인 경우, 금회의 착신이 자영가입자번호에 대한 착신인가를 판단한다(스텝 511). 그리고 자영가입자번호에 의한 착신이라고 판단이 되면 가입자번호의 대기상태가 「대기」인가를 작업메모리(11)의 기억내용에 기준하여 판단한다(스텝 512). 이 스텝 512에서 「대기」라고 판단이 되면 표시부(9)에 표시한 표시를 함과(스텝 513) 동시에, 발신자에 대하여 통화중이라는 취지를 표시하는 응답신호를 송출한다(스텝 514).
스텝 512에 있어서, 대기상태가 「대기」가 아닌 때는 상술한 바와같이 대기상태 「부재중 전화」 또는 「착신거부」에 기준하여 부재중 응답(스텝 508,509) 또는 착신거부신호의 송신을 한다(스텝 508, 510).
스텝 511에 있어서 자영가입자번호에서의 착신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공중가입자번호에서의 착신이므로, 스텝 522에 진출하고, 공중가입자번호에서의 대기상태가 「대기」인가를 작업메모리(11)의 기억내용에 기준하여 판단한다(스텝 522). 이 스텝 522에서 「대기」라고 판단이 되면, 표시부(9)에 공중가입자번호에 의한 착신이 있었던 것을 표시하는 표시를 함과(스텝 523) 동시에 발신자에 대하여 통화중이라는 취지를 표시하는 응답신호를 송출한다(스텝 524).
스텝 522에 있어서, 대기상태가 「대기」가 아닌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재중 전화」 또는 「착신거부」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519,521).
타입 β의 설명
제13도 및 제14도는 이 타입β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3도는 스케줄과 각각의 가입자번호의 대기상태와의 관계를 표시한 상태도이다(작업메모리(11)의 일부에 대응한다). 제14도는 그 작업메모리(11)의 내용에 따라서 동작하는 동작 플로챠트이다. 더 간단히 하기 위하여 타입 A와 동일하게 2개의 가입자 번호의 예로 설명한다. 또,실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1개를 개인용(P로 나타낸다), 또 하나를 비지니스용(W로 나타낸다) 가입자번호라고 하고, 스케줄 a에 응하여 자동전화응답(sleep라고 표시함)과 통상착신(wake up라고 표시함)을 전환하는 것을 설명한다. 제13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작업메모리(11)내의 스케줄이 스케줄a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자. 수면시간중은 개인용 가입자번호 및 비지니스용 가입자 번호에 대한 착신을 「sleep」로 설정되어, 업무시간중은 개인용 가입자번호를 「sleep」에 설정하고, 비즈니스용 가입자번호를 「wake up」에 설정한다. 또, 업무시간중이라도 회의중은 비지니스용 가입자 번호를 「sleep」로 변경한다. 그리고 개인적인 시간중은 개인용 가입자번호를 「wake up」에 설정하고, 비지니스용 가입자번호를 「sleep」으로 설정한다. 더우기, 「sleep」시의 응답메시지는 스케줄의 내용에 따라 변경된다. 예를 들면 수면중이면 「현재 취침중이므로 메시지를 부탁드립니다.」, 회의중이면 「현재 회이중이므로 메시지를 부탁드립니다」가 출력된다. 이 작업메모리(11)의 설정내용에 따라서 제14도의 플로챠트가 실행된다. 대기중에 착신이 발생하면(스텝601), 이 착신이 개인용 가입자번호에 대한 착신인가를 단말본체의 ROM(10) 또는 부착이탈식 1D메모리(20,22,23)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가입자번호에 기준하여 판단한다(스텝 602). 여기에서 개인용 가입자번호에 대한 착신일 경우 스텝 603에서 개인용 가입자번호가 「wake up」(통상착신)의 대기통신인지의 여부를 작업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서 판단한다.
그리고 통상착신이라고 판단되면, 개인용 가입자번호에 대하여 착신된 취지를 표시부(9)에 표시함과(스텝 604) 동시에 개인용 가입자번호에 착신한 것을 표시한 호출음을 발생한다(스텝 605) . 그리고 이것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8)의 통신키를 조작함으로써 통화가 시작된다.
한편 스텝 603에 있어서, 대기상태가 「sleep」이면 스텝 607로 진행하고, 녹음재생회로(12)에 의하여 부재중 녹음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의 응답메시지를 판독하여 발신자에 송신한다. 그리고, 이것에 응답하여 발신자가 전언메시지를 입력하면 부재중 녹음메모리(13)에 기억한다.
또, 스텝 602에 있어서 개인용 가입자 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비지니스용 가입자번호에 착신되었다고 판단되어서 작업메모리(11)의 비지니스용 가입자번호에 대응하는 대기 상태가 「wake up」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608). 여기에서 「wake up」이라고 판단되면, 비지니스용 가입자번호에 착신된 취지를 표시함과(스텝 609) 동시에 스텝 610에서 비지니스용 가입자번호에 착신된 것을 표시하는 호출음을 발생한다(스텝 610). 그리고 이것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8)의 통신키를 조작함으로써 통신이 시작된다.
한편 스텝 608에 있어서, 대기상태가 「sleep」이면 스텝 612로 진행하고, 녹음재생회로(12)에 의하여 부재중 녹음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의 응답메시지를 판독하여 발신자에게 송신한다. 그리고 이것에 응답하여 발신자가 전언메시지를 입력하면 부재중 녹음메모리(13)에 기억한다.
상기 착신동작에서는 2개의 가입자번호에 의하여 착신을 전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자영가입자번호와 공중가입자 번호 또는 단말간 직접통신용의 1D번호를 전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공중기지국을 통하여 발신/착신을 공중가입자번호에 의하여 실행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센터(2000)에 공중가입자번호와 PS-1D와의 대응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면 PS-1D에 의해서 발신/착신이 실행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무선통신장치에서 복수의 식별부호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7)

  1.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때에 필요한 식별부호가 복수 할당된 휴대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별부호 중 몇 개를 기억하고, 상기 휴대무선통신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고정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식별부호의 나머지를 기억하고, 상기 휴대무선통신장치에 부착 이탈 가능한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과,
    상기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장착부와,
    상기 고정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중 하나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이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식별부호에 따라서 발신하는 발신수단과,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호출신호에 포함되는 식별부호가 상기 고정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 중의 어느 쪽인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이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착신처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2.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때에 필요한 식별부호가 복수 할당된 휴대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식별부호 중 적어도 1개를 기억하는 복수의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을 동시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장착부와,
    이 장착부에 장착된 복수의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부호 중 1개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이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식별부호에 따라서 발신하는 발신수단과,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호출신호에 포함되는 식별부호가 상기 복수의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 중의 어느 쪽인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이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착신처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별부호는 적어도 제 1 통신네트워크에 있어서 해당 휴대무선통신장치에 할당된 제 1 식별부호와, 상기 제 1 통신네트워크와는 다른 제 2 통신네트워크에 있어서 해당 휴대무선통신장치에 할당된 제 2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네트워크는 복수의 공중기지국을 갖는 공중통신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2 통신네트워크는 프라이비트기지국을 갖는 프라이비트통신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네트워크는 프라이비트기지국을 갖는 프라이비트통신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2 통신네트워크는 복수의 공중기지국을 갖는 공중통신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부호는 상기 고정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상기 제 2 식별부호는 상기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부호는 제 1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상기 제 2 식별부호는 제 2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 중 1개는 통신네트워크의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다른 단말간에서 직접 통신하기 위한 식별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수단은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식별부호를 발호자식별정보로서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수동조작키를 갖고, 이 키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식별부호 중 1개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이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부착 이탈검출수단과, 이 부착 이탈검출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면 해당 부착 이탈식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를 지정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별부호는 각각 소정의 통신네트워크에 있어서 해당 휴대무선통신장치에 할당된 식별부호이고,
    상기 지정수단은 수신한 제어채널 중의 기지국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채널의 전파를 출력하고 있는 기지국이 어느 통신네트워크에 속하는 것인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식별부호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이한 착신통지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통지는 식별부호에 대응하는 심벌을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통지는 식별부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착신통지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각 식별부호마다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통지후의 소정의 키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호출신호를 송신한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을 개시하는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식별부호마다 착신처리방법을 지정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갖고, 이 기억수단에 기억의 정보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착신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처리방법은 적어도 착신통지, 자동응답 또는 통신거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각 식별부호마다 착신처리방법을 지정하는 상기 정보는 또한 스케줄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케줄을 기억하는 스케줄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이 스케줄기억수단에 기억된 스케줄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따라서 착신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22.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때에 필요한 식별부호가 복수 할당된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별부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각 식별부호마다 착신처리방법을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해당 무선통신장치를 지정하는 식별부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식별부호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부호 중 어느 쪽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이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해당 판별결과에 대응하는 식별부호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던 방법으로 착신처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발신할 때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식별부호 중 어느 쪽인가를 발호자식별정보로서 상대방번호와 함께 송신하는 수단과,
    발신에 앞서서 발호자식별정보로서 송신하는 식별부호를 상기 복수의 식별부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처리방법은 적어도 착신통지, 자동응답 또는 통신거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지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각 식별부호마다의 착신처리방법을 스케쥴에 대응시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2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식별부호마다 착신처리방법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이 설정수단에 의한 설정내용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착신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처리방법은 적어도 착신통지, 자동응답 또는 통신거부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각 식별부호마다의 착신처리방법을 스케쥴에 대응시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무선통신장치.
KR1019990011545A 1999-04-02 1999-04-02 휴대무선통신장치 KR10031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545A KR100318881B1 (ko) 1999-04-02 1999-04-02 휴대무선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545A KR100318881B1 (ko) 1999-04-02 1999-04-02 휴대무선통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772A Division KR960003161A (ko) 1994-06-30 1995-06-30 복수의 식별부호를 갖는 무선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8881B1 true KR100318881B1 (ko) 2002-01-04

Family

ID=3753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545A KR100318881B1 (ko) 1999-04-02 1999-04-02 휴대무선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475A (ko) 2020-03-05 2021-09-16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회로 기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2149A (ja) * 1985-03-15 1986-09-20 Nec Corp 自動車電話機
WO1994008433A1 (en) * 1992-10-01 1994-04-14 Ab Nordictel Digital mobile telephone system in which each subscriber is assigned a telephone number and sever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2149A (ja) * 1985-03-15 1986-09-20 Nec Corp 自動車電話機
WO1994008433A1 (en) * 1992-10-01 1994-04-14 Ab Nordictel Digital mobile telephone system in which each subscriber is assigned a telephone number and sever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475A (ko) 2020-03-05 2021-09-16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회로 기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1244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codes
JP2528001B2 (ja) セルラ―・コ―ドレス電話機で呼を送受信する方法
US20040208167A1 (en) Internet telephone apparatus and internet telephone system
KR100196442B1 (ko) 통신장치
JP3522759B2 (ja) 移動無線通信装置
US6608889B2 (en) Telephone having convenience feature data transfer capability
KR100318881B1 (ko) 휴대무선통신장치
GB2311911A (en) Telephone wi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JPH07235980A (ja) 携帯電話装置
JP3252524B2 (ja) 携帯電話機及び無線チャネル設定方法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JPH08322087A (ja) 無線通信端末
JP351382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管理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H0818205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携帯情報端末
JP2004120788A (ja) 携帯電話装置
JPH10257197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0148811B1 (ko)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H0897903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JPH11136351A (ja) 通信端末装置
JPH08289370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および通信端末
JPH06296155A (ja) 無線電話装置
JP3482726B2 (ja) 簡易型携帯電話機
KR20020085492A (ko) 발신음을 음악으로 대체하여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방법
JPH10257140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機器および親機
JPH10304442A (ja) 電話装置及び着信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