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501B1 - 플래쉬메모리장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메모리장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501B1
KR100317501B1 KR1019980060359A KR19980060359A KR100317501B1 KR 100317501 B1 KR100317501 B1 KR 100317501B1 KR 1019980060359 A KR1019980060359 A KR 1019980060359A KR 19980060359 A KR19980060359 A KR 19980060359A KR 100317501 B1 KR100317501 B1 KR 100317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lash memory
planarization
oxide film
moistur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3921A (ko
Inventor
김한민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8006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501B1/ko
Publication of KR2000004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 compositional variation, e.g. multilay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 H01L21/0212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the material being boron or phosphorus doped silicon oxides, e.g. BPSG, BSG or PS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층, 유전체막, 콘트롤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층 및 반사 방지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플래쉬 메모리 셀을 형성하고,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을 형성한 다음 식각하여 상기 플래쉬 메모리 셀 측벽에 스페이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전체 구조 상부에 열산화막, 제 1 PSG막, 제 1 수분 배리어막 및 제 1 평탄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평탄화막 상부에 제 2 PSG막, 제 2 수분 배리어막, 제 2 평탄화막 및 플라즈막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A forming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로팅 게이트의 차지 손실을 억제시켜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자 특성상 플래쉬 메모리는 플로팅 게이트에 전자가 일정량 이상 차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경우에 따라서 프로그램 상태와 소거 상태를 구분한다.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로팅 게이트에 전자를 주입해 준 프로그램 상태에서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지 량이 감소하여 소거 상태로 바뀌어서는 안되는 특성이 요구된다.
도 1(a) 및 1(b)는 종래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 상부에 터널 산화막(12),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층(13), ONO 구조의 유전체막(14), 콘트롤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층(15) 및 반사 방지막(16)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플래쉬 메모리 셀을 형성한다. 이후,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을 형성하고 식각하여 플래쉬 메모리 셀 측벽에 스페이서 산화막(17)을 형성한다. 다음에, PMD 공정을 실시하여 전체 구조 상부에 열산화막(18)을 형성하고, 평탄화를 위하여 BPSG막(19)을 형성한다. 그리고 IMD 공정을 실시하여,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20), 유기 SOG막(21) 및 플라즈마 산화막(22)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절연막 형성이 완료되면 금속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금속배선(2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플래쉬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 막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BPSG막에 침투하면서 BPSG막에 게터링(gettering)되어 있던 나트륨(Na+) 또는 칼슘(Ca+)과 치환반응 하면서 이동 이온을 방출하여 플로팅 게이트 내의 전자를 중화시키므로써 플로팅 게이트 내의 전자를 감소시켜 셀을 프로그램 상태에서 소거 상태로 바뀌게 하여 소자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SG막 형성전에 이동 이온에 대한 게터링 효과가 높은 PSG막(24)을 형성한다. [표 1]은 PSG막의 증착 여부에 따른 배이크(bake) 테스트시의 차지 리텐션 특성을 나타낸다.
각 층별 두께 배이크 테스트 결과
MTO(18) PSG(24) BPSG(19) 10시간 20시간 40시간 70시간
1000 0 4500 148033 195700 259309 30237
1000 100 3500 3 3 4 4
배이크 테스트는 300℃의 온도에서 실시하였으며, 배이크 테스트 결과는 8M 플래쉬 메모리 셀 중 차지 손실로 인하여 패일된 비트 수를 나타낸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PSG막(19) 형성 전 PSG막(24)을 형성하게 되면, 배이크 테스트 공정에서 차지 리텐션 특성이 상당히 향상되어 있음을 아 수 있다. 그러나 차지 손실을 완전히 억제하지는 목하고, 8M 비트당 3 내지 4비트씩 진행성 차지 손실을 보이고 있다. 이는 어느 층에선가 수분이 BPSG막과 PSG막에 침투되어 오면서 BPSG막, PSG막에 함유되어 있던 나트륨(Na+), 칼슘(Ca+) 등과 치환반응 되면서 이동 이온을 방출하여 플로팅 게이트 내의 전자를 중화시키므로써 플로팅 게이트 내의 전자를 감소시켜 프로그램 상태에서 소거 상태로 바뀌게 하여 소자의 오동작을 일으키게 한다. 이때, BPSG막과 PSG막으로 침투하는 수분은 SOG막(21) 내의 수분 및 BPSG막(19) 내의 수분이 소오스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MD 공정 및 IMD 공정시 수분에 대한 배리어 특성이 우수한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막과 이동 이온에 대한 게터링 효과가 우수한 PSG막을 이용하므로써 플로팅 게이트에 주입되어 있는 전자가 중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지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층, 유전체막, 콘트롤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층 및 반사 방지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플래쉬 메모리 셀을 형성하고,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을 형성한 다음 식각하여 상기 플래쉬 메모리 셀 측벽에 스페이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전체 구조 상부에 열산화막, 제 1 PSG막, 제 1 수분 배리어막 및 제 1 평탄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평탄화막 상부에 제 2 PSG막, 제 2 수분 배리어막, 제 2 평탄화막 및 플라즈막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1(b)는 종래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1 : 기판 202 : 터널 산화막
203 : 플로팅 게이트 204 : 유전체막
205 : 콘트롤 게이트 206 : 반사 방지막
207 : 스페이서 산화막 208 : 열산화막
209 : 제 1 PSG막 210 : 제 1 수분 배리어막
211 : 제 1 평탄화막 212 : 제 2 PSG막
213 : 제 2 수분 배리어막 214 : 제 2 평탄화막
215 : 플라즈마 산화막 216 : 금속 배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1) 상부에 터널 산화막(202),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층(203), ONO 구조의 유전체막(204), 콘트롤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층(205) 및 반사 방지막(206)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플래쉬 메모리 셀을 형성한다. 이후,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을 형성한 후 식각하여 플래쉬 메모리 셀 측벽에 스페이서 산화막(207)을 형성하고, PMD 공정을 실시하여 전체 구조 상부에 열산화막(18)을 형성한다. 다음에, 플로팅 게이트에 주입된 전하는 외부의 이동 이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동 이온에 대한 게터링 효과가 우수한 제 1 PSG막(209)을 형성하고 제 1 수분 배리어막(210)을 형성한다. 제 1 수분 배리어막(210)으로는 수분에 대한 배리어 특성이 우수한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SiON)막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막을 이용한다. 이후, 전체 구조 상부에 제 1 평탄화막(예를 들어, BPSG막; 211)을 형성한다.
IMD층은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막(213) 형성 전 먼저, 게터링 효과가 우수한 제 2 PSG막(212)을 먼저 형성하고, 제 2 수분 배리어막(예를 들어,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막; 213), 제 2 평탄화막(예를 들어; SOG막; 214) 및 플라즈마 산화막(21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금속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금속배선(216)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PSG막(209,212)의 인 농도는 3∼6%로 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PSG막(209,212)은 TEOS와 TMP를 소오스로 한 APCVD 방법으로 증착하거나 플라즈마 CVD 방식으로 증착한다. 만약, 제 1 및 제 2 PSG막(209,212)을 플라즈마 CVD 방식으로 증착하는 경우에는 SiH4, O2(또는, N2O), PH3를 소오스 가스로 사용하며, 후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제 1 수분 배리어막(210)을 동일한 챔버 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수분 배리어막(210, 213)은 SiON 또는 SiN을 이용하여 1000Å 이상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리고, 평탄화 및 갭-필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제 2 평탄화막(214)으로는 유기 SOG막 및 무기 SOG막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데, 무기 SOG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500℃ 이상에서 큐링 공정을 실시하여 무기 SOG막의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제 1 평탄화막(211)으로 무기 SOG막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500℃ 이상에서 큐링 공정을 실시하여 무기 SOG막의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제 2 PSG막 (212) 대신 SiON막을 3000Å 이상의 두께로 형성한 다음 무기 SOG막(214)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PMD층을 제 1 PSG/제 1 SiON/BPSG의 적층 구조(209/210/211)로 형성하고, IMD층을 제 1 PSG/제 1 SiON/SOG/플라즈마 산화막의 적층 구조 (212/213/214/215)로 형성하므로써, SOG막(214) 내의 수소이온의 움직임을 IMD층에서부터 효과적으로 블럭킹할 수 있다. 또한, BPSG막 자체의 수분 확산에 의해 PSG막에 게터링되어 있던 이동 이온과 BPSG막이 치환반응하여 플로팅 게이트에 주입되어 있는 전자를 중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지 리텐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이온에 대한 게터링 효과를 갖는 PSG막과 수분에 대한 배리어 특성이 우수한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막을 PMD 공정과 IMD 공정에 적용하므로써, 플래쉬 메모리 장치에서의 차지 손실을 억제하여 소자의 신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층, 유전체막, 콘트롤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층 및 반사 방지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플래쉬 메모리 셀을 형성하고,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을 형성한 다음 식각 하여 상기 플래쉬 메모리 셀 측벽에 스페이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전체 구조 상부에 열산화막, 제 1 수분 배리어막 및 제 1 평탄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평탄화막 상부에 제 2 수분 배리어막, 제 2 평탄화막 및 플라즈막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분 배리어막은 1000Å 이상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분 배리어막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막 및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막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탄화막은 BPSG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탄화막은 유기 SOG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평탄화막은 무기 SOG막을 형성한 후 500℃ 이상의 온도에서 큐링 공정을 실시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80060359A 1998-12-29 1998-12-29 플래쉬메모리장치제조방법 KR100317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359A KR100317501B1 (ko) 1998-12-29 1998-12-29 플래쉬메모리장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359A KR100317501B1 (ko) 1998-12-29 1998-12-29 플래쉬메모리장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921A KR20000043921A (ko) 2000-07-15
KR100317501B1 true KR100317501B1 (ko) 2002-02-19

Family

ID=1956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359A KR100317501B1 (ko) 1998-12-29 1998-12-29 플래쉬메모리장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01B1 (ko) * 2001-06-15 2007-08-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2003068879A (ja) * 2001-08-27 2003-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30792B1 (ko) * 2010-11-19 2015-06-22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배리어성 필름, 가스 배리어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JP5803937B2 (ja) * 2010-12-06 2015-11-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EP2660041B1 (en) * 2010-12-27 2015-06-17 Konica Minolta, Inc. Gas-barrier film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2653A (en) * 1987-09-25 1989-03-28 Nec Corp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H03270256A (ja) * 1990-03-20 1991-12-02 Nippon Precision Circuits Kk 半導体装置
JPH04102329A (ja) * 1990-08-22 1992-04-03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2653A (en) * 1987-09-25 1989-03-28 Nec Corp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H03270256A (ja) * 1990-03-20 1991-12-02 Nippon Precision Circuits Kk 半導体装置
JPH04102329A (ja) * 1990-08-22 1992-04-03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921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19113A1 (en) Method for self-aligned shallow trench isol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0677869B1 (en) Planarization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integrated circuits, particularly fo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US7579237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26482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100317501B1 (ko) 플래쉬메모리장치제조방법
US7858491B2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JP444540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660604B1 (en) Method of forming double junction region and method of forming transfer transistor using the same
CN1212468A (zh) 自对准漏接触p沟mos快速存储器及其制造工艺
KR920001640B1 (ko) 불휘발성 반도체장치
KR100997781B1 (ko) 이이피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95690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43636B1 (ko) 플래쉬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US20050032310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94391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9030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93597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26477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20095691A (ko) 플레쉬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100277893B1 (ko) 비휘발성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100521435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전 유전체막 형성 방법
KR10048092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7217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62145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45178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