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904B1 -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904B1
KR100316904B1 KR1020000008858A KR20000008858A KR100316904B1 KR 100316904 B1 KR100316904 B1 KR 100316904B1 KR 1020000008858 A KR1020000008858 A KR 1020000008858A KR 20000008858 A KR20000008858 A KR 20000008858A KR 100316904 B1 KR100316904 B1 KR 10031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image
breaker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4610A (ko
Inventor
최천우
Original Assignee
최천우
미래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천우, 미래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천우
Priority to KR102000000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9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2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저렴한 비용으로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고, 주차장 입구 및 출구에서 빠른 시간 내에 입차 및 출차시킬 수 있으며, 차량 번호의 오입력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차장 입구에서는 입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촬영 및 인식한 후 이 번호를 기초로 하여 정기 주차 차량과 방문 차량을 판단하고, 정기 주차 차량의 경우에는 차단기를 개방 작동시키는 한편, 방문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 번호를 포함한 주차 관리 데이터들을 주차권에 자동으로 인쇄하며, 주차장 출구에서는 출고되는 차량의 번호를 촬영 및 인식한 후 이 번호를 기초로 하여 정기 주차 차량과 방문 차량을 판단하고, 정기 주차 차량의 경우에는 차단기를 개방 작동시키는 한편, 방문 차량의 경우에는 인식된 차량 번호와 주차권에 인쇄된 차량 번호를 비교 분석한 후, 상기 차량 번호가 동일한 경우에 요금 정산후 차단기를 개방 작동시키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고, 주차 차량을 주차장 입구 및 출구에서 빠른 시간 내에 입차 및 출차시킬 수 있으며, 차량 번호의 오입력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발전하고 국민 개인의 소득이 향상되어 매년 국민 개개인의 자동차 확보율이 증가하고 있고, 동시에 차량의 이용이 매우 빠르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도심지의 주차장 확장과 증설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주차장의 유료화 운영이라는 신종 사업이 등장하고, 또한 유료 주차장 운영시 인력 감축과 도난 방지 및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주차장 사업 관리를 위하여 주차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근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출력을 감지하는 차량 입출력 감지부(110)와, 차량 입출력 감지부(110)에 의해 차량의 입력이 감지되면 현재의 주차장 상황을 통신 인터페이스 어댑터(112)를 통해 주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컴퓨터(114)와, 컴퓨터(114)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와 키보드(116)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 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18)에 표시하고, 또한 프린터(120)를 통해 차량 번호와 현재 시간 및 기타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장치(12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주차장 입구에 차량이 들어오면 차량 입출력 감지장치(110)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어 차량 감지 신호가 주제어장치(122)에 전달된다.
그러면, 주제어장치(122)는 통신 인터페이스 어댑터(112)를 통해 컴퓨터(114)에 현재 주차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주차장이 만차 상태인가를 파악한다.
이후, 차량이 들어갈 공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18)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통보하고, 아울러 차량 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주차 관리원이 키보드(116)를 통해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주제어장치(122)는 관리원이 입력한 차량 번호를 비롯하여 입차 시간과 날짜와 주차권일련번호 및 주차장 고유 번호 등을 프린터(120)를 통해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내용이 인쇄된 주차권을 주차권 발매기를 통해 운전자에게 발급한다.
한편, 정기권 이용자는 전용 해독기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용자가 정기권을 해독기에 삽입하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차량 번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관리원이 현재 정기권 사용 등록 차량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권에 차량 번호가 인쇄되어 있으므로, 타인의 주차권을 가지고는 자차를 출고할 수 없고, 역으로 자차의 주차권을 가지고 타인의 차량을 출고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번호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 주차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주차권 분실시에도 요금 정산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주차 관리원이 차량 번호를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차량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주차 관리원이 주차장 입구에 항상 대기하고 있어야 하므로 주차 관리원의 고용으로 인해 시스템 유지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차량 번호의 입력이 주차 관리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이 주차장 입구에서 오랜 시간동안 대기해야 하며, 이로 인해 주차장 입구의 혼잡 및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된다.
셋째, 차량 번호를 오입력할 우려가 항상 내재되어 있으므로, 차량 출고시 오입력된 차량 번호가 인쇄된 주차권으로 요금을 정산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도난 차량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불편함 내지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고, 주차 차량을 주차장 입구 및 출구에서 빠른 시간 내에 입차 및 출차시킬 수 있으며, 차량 번호의 오입력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된 번호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장 입구에서는 입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촬영 및 인식한 후 이 번호를 기초로 하여 정기 주차 차량과 방문 차량을 판단하고, 정기 주차 차량의 경우에는 차단기를 개방 작동시키는 한편, 방문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 번호를 포함한 주차 관리 데이터들을 주차권에 자동으로 인쇄하며, 주차장 출구에서는 출고되는 차량의 번호를 촬영 및 인식한 후 이 번호를 기초로 하여 정기 주차 차량과 방문 차량을 판단하고, 정기 주차 차량의 경우에는 차단기를 개방 작동시키는 한편, 방문 차량의 경우에는 인식된 차량 번호와 주차권에 인쇄된 차량 번호를 비교 분석한 후, 상기 차량 번호가 동일한 경우에 요금 정산후 차단기를 개방 작동시키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 수단(10,10')과, 차량 감지 수단(10,10')으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가 출력된 경우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12,12')와, 카메라(12,12')에서 촬영된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 인식 수단(14)과, 번호 인식 수단(14)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한 주차 관리 데이터들(연월일, 입차 시각, 영수증 일련번호 등)을 주차권에 인쇄한 후 발급하는 주차권 발급기(16)와,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도록 개방 및 차단 작동되는 차단기(18,18')와,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인식한 차량 번호를 기 저장된 차량 번호(입고 및 출고시), 및 주차권에 인쇄된 차량 번호(출고시)와 비교하는 비교 수단(20)과, 차량의 영상 및 번호를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한편,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 수단(10,10')은 각각 3개의 루프 코일(10a,10b,10c)로 이루어지는바, 루프 코일(10c)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면 카메라(12 또는 12')가 작동되고, 루프 코일(10a)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면 차단기(18 또는 18')가 개방되며, 루프 코일(10b)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면 차단기(18 또는 18')가 차단된다.
그리고, 주차권 발급기(16)에서 발급되는 주차권은 일회용 및 재생용 모두 사용 가능하며, 번호 인식 수단(14)과 비교 수단(20)은 제어 유닛(22)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주차 관리 방법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고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T10)와, 차량 감지 신호에 따라 입고 차량을 촬영하는 입고측 영상 촬영 단계(ST20)와, 촬영된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ST30)와, 입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가 기등록된 정기 주차 차량인지 또는 방문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T40)와, 정기 주차 차량의 경우에는 이 차량의 입고가 가능하도록 차단기를 개방하는 한편, 방문 차량의 경우에는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한 주차 관리 데이터들을 주차권에 인쇄하여 발급하는 단계(ST50)와, 방문 차량의 입고가 가능하도록 차단기를 개방하는 단계(ST60)와,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T70)와, 차량 감지 신호에 따라 출고 차량을 촬영하는 출고측 영상 촬영 단계(ST80)와, 촬영된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ST90)와, 출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가 기등록된 정기 주차 차량인지 또는 방문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T100)와, 정기 주차 차량의 경우에는 이 차량의 출고가 가능하도록 차단기를 개방하는 한편, 방문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제시한 주차권에 인쇄된 차량 번호와 상기 출고되는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이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T110)와, 방문 차량의 주차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ST120)와, 요금 정산이 끝난 방문 차량의 출고가 가능하도록 차단기를 개방하는 단계(ST13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ST30,ST90)는 템플레이트 매칭(TEMPLATE MATCHING)법,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법, 그물망해석(MESH ANALASYS)법, 리스트 민 스퀘어(LEAST MEAN SQUARE)법 등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으로, 상기 방법중에서 리스트 민 스퀘어법을 이용한 경우를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스트 민 스퀘어법은 단계(ST20,80)에서 획득된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선택하는 번호판 추정 단계(ST31,91)와, 선택된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글자를 구분하는 번호판 글자 구분 단계(ST33,93)와, 차량의 번호 영상을 수집하여 분할하고 이를 일정한 수의 메쉬로 만들어 평균치를 구하는 분할 영상 평균치 산출 단계(ST35,95)와, 상기 평균치로 리스트 민 스퀘어 알고리즘을 통해 각 메쉬에 연결될 웨이트값을 결정하는 웨이트 결정 단계(ST37,97)와,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 번호 화상의 메쉬값과 웨이트값을 곱하여 출력하는 출력값 산출 단계(ST39,99)로 구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 입고시의 경우에는, 루프 코일(10c)이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면(ST10), 이 신호에 의해 카메라(12)가 작동되어 입고되는 차량의 영상을 획득한다(ST20).
이와 같이 영상이 획득되면, 번호 인식 수단(14)에서는 획득된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전면 중앙 하부에 위치하는 번호판의 영역을 선택하고(ST31), 선택된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글자를 구분하며(ST33), 차량의 번호 영상을 수집하여 분할하고 이를 일정한 수의 메쉬로 만들어 평균치를 구한다. 즉 차량 번호 영상을 이진화하여 흰 부분을 '1'로, 검은 부분을 '-1'로 표현한 후, 글자를 특정 개수로묶어 그 묶음의 평균치를 구한다(ST35).
이어서, 상기 평균치로 리스트 민 스퀘어 알고리즘을 통해 각 메쉬에 연결될 웨이트값을 결정하고(ST37), 상기와 같이 웨이트값이 결정되면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 번호 화상의 메쉬값과 웨이트값을 곱하여 이를 인식 결과로써 출력한다(ST39).
상기 단계(ST31∼ST39)에 따라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제어 유닛(22)은 입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가 기등록된 정기 주차 차량인지 또는 방문 차량인지 여부를 비교 수단(20)을 통해 판단한다(ST40).
이때, 상기 정기 주차 차량 여부의 판별은 입고 차량의 차량 번호가 기 저장되어 있는 정기 주차 차량의 차량 번호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따라 판별할 수 있으며, 정기 주차 차량의 차량 번호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ST40)에서 입고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으로 판단되면 제어 유닛(22)은 차단기 개방 신호를 출력하여 차단기(18)를 즉시 개방하고, 입고 차량이 방문 차량으로 판단되면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한 주차 관리 데이터들(연월일이 포함된 입차 시각, 기기 번호, 영수증 일련 번호 등)을 주차권에 인쇄한 후 이 주차권을 주차권 발급기(16)를 통해 발급한다(ST50).
이어서, 루프 코일(10a)에 의해 차량 통과가 감지되면, 제어 유닛(22)은 방문 차량의 입고가 가능하도록 차단기(18)를 개방하여 입고 관리를 완료한다(ST60).
다음으로, 차량 출고시의 경우에는, 루프 코일(10c)이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감지 신호를 출력하면(ST70), 이 신호에 의해 카메라(12')가 작동되어 출고되는 차량을 촬영한다(ST80).
이와 같이 차량의 영상이 획득되면, 번호 인식 수단(14)에서는 단계 ST91에서 ST99를 실행하여 출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한 후 이 인식 결과를 출력한다.
이어서,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제어 유닛(22)은 비교 수단(20)을 통해 출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가 기등록된 정기 주차 차량인지 또는 방문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T100), 출고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으로 판단되면 차단기 개방 신호를 출력하여 차단기(18')를 즉시 개방하며, 출고 차량이 방문 차량으로 판단되면 운전자가 제시한 주차권에 인쇄된 차량 번호와 단계(ST90)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이 결과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한다(ST110).
상기 단계 ST110에서 차량 번호가 일치하면, 운전자가 방문 차량의 주차 요금을 정산한 후(ST120), 차단기(18)를 개방하여 출고 차량의 출고가 가능하도록 하고(ST130), 만약의 경우 차량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도난 차량으로 간주하여 주차 관리원이 확인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요금 정산을 자동화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차량의 영상 및 차량 번호 등의 자료가 저장되는 부분은 정기적으로 백업받아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수배중인 도난 차량의 리스트를 입력받는 경우 주차장을 이용하는 도난 차량을 적발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입고 차량의 차량 번호가 주차권에 자동으로 인쇄되기 때문에 차량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주차장 입구에 주차 관리원을 상주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인건비를 포함한 시스템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차량의 입고 관리(및/또는 출고 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주차장 입구(및/또는 출구)에서 차량이 대기해야 하는 시간이 감소되어 입구(및/또는 출구)에서의 혼잡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입고 차량의 차량 번호가 주차권에 자동으로 인쇄되기 때문에 차량 번호가 주차권에 오입력될 우려가 전혀 없다.
따라서, 차량 출고시 주차권에 오입력된 차량 번호로 인해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 주차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주차권 분실시에도 요금 정산이 가능한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입고 또는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감지 수단과;
    상기 차량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에서 촬영된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 인식 수단과;
    상기 번호 인식 수단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한 주차 관리 데이터들을 주차권에 인쇄한 후 발급하는 주차권 발급 수단과;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는 차단기를 개방 및 차단 작동시키는 차단 수단과;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인식한 차량 번호를 기 저장된 차량 번호와 비교함과 아울러, 주차권에 인쇄된 차량 번호와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차량의 영상 및 번호를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한편,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2. 입고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차량 감지 신호에 따라 입고 차량을 촬영하는 입고측 영상 촬영 단계와;
    촬영된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와;
    입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가 기등록된 정기 주차 차량인지 또는 방문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기 주차 차량의 경우에는 이 차량의 입고가 가능하도록 차단기를 개방하는 한편, 방문 차량의 경우에는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한 주차 관리 데이터들을 주차권에 인쇄하여 발급하는 단계와;
    방문 차량의 입고가 가능하도록 차단기를 개방하는 단계와;
    출고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차량 감지 신호에 따라 출고 차량을 촬영하는 출고측 영상 촬영 단계와;
    촬영된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와;
    출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가 기등록된 정기 주차 차량인지 또는 방문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기 주차 차량의 경우에는 이 차량의 출고가 가능하도록 차단기를 개방하는 한편, 방문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제시한 주차권에 인쇄된 차량 번호와 상기 출고되는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차량 번호를 비교하여 이 결과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방문 차량의 주차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와;
    요금 정산이 끝난 방문 차량의 출고가 가능하도록 차단기를 개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에는 리스트 민 스퀘어(LEAST MEAN SQUARE)법이 사용되는 주차 관리 방법.
KR1020000008858A 2000-02-23 2000-02-23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1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858A KR100316904B1 (ko) 2000-02-23 2000-02-23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858A KR100316904B1 (ko) 2000-02-23 2000-02-23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610A KR20000024610A (ko) 2000-05-06
KR100316904B1 true KR100316904B1 (ko) 2001-12-22

Family

ID=1964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858A KR100316904B1 (ko) 2000-02-23 2000-02-23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278B1 (ko) * 2000-06-01 2003-08-09 주식회사 이카드솔루션스 주차관리 시스템
KR20030008147A (ko) * 2002-12-11 2003-01-24 이종철 소형카메라를 장착한 휴대용 주차 요금 계산기
KR100686550B1 (ko) * 2005-08-12 2007-02-2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685723B1 (ko) * 2005-09-01 2007-02-2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차량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주차장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611887B1 (ko) * 2006-03-13 2006-08-11 수원시시설관리공단 이미지 저장방식을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장치 및 그운영방법
KR100801935B1 (ko) * 2006-05-12 2008-02-12 주식회사 라이크텍 차량 번호 인식을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2636B1 (ko) * 2008-02-26 2009-10-19 고창준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CN108824900A (zh) * 2018-05-23 2018-11-16 苏州工业园区职业技术学院 一种立体车库的自动挪车系统
KR102429203B1 (ko) * 2020-07-20 2022-08-04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용 어닝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400A (ja) * 1996-03-27 1997-10-03 Nippon Denki Ido Tsushin Kk 駐車場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400A (ja) * 1996-03-27 1997-10-03 Nippon Denki Ido Tsushin Kk 駐車場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610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987B2 (ja) 車種判別装置を要しない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US6747687B1 (en) System for recognizing the same vehicle at different times and places
US7104447B1 (en) Parking meters, systems and methods of parking enforcement
US76795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traffic ticket printing parking meters
KR101280874B1 (ko) 하이패스 다차로의 위반차량 매칭 시스템
US6040785A (en) Mixed lock type toll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toll collection of vehicles on toll road
US6966489B2 (en) Tolling information exchange method and system
KR100316904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H10275257A (ja) 駐車管理システム
CN111275833A (zh) 基于etc的停车场收费方法、etc天线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6166659A (en) Toll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determination of a towed vehicle
CN107516433B (zh) 停车场停车控制方法及装置
JP2003203254A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用監視盤
KR100738993B1 (ko)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126091A (ja) 乗員顔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通行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3187279A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KR102528989B1 (ko) 지능형 주차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3036569A1 (en) Car park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entry and exit
JP6154621B2 (ja) 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JP2004303164A (ja) 車種判別システム、車種判別制御装置、及び車種判別方法
JP2005157776A (ja) 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駐車場管理方法、駐車場管理装置、盗難車両捜索プログラム、盗難車両捜索方法および盗難車両捜索装置
JP2017182404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374390B1 (ko) 주차요금 정산 시스템
JPH04182900A (ja) 軸重違反車両検出システム
JP2000030097A (ja) 車両の入退場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