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673B1 - 정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673B1
KR100316673B1 KR1019940006499A KR19940006499A KR100316673B1 KR 100316673 B1 KR100316673 B1 KR 100316673B1 KR 1019940006499 A KR1019940006499 A KR 1019940006499A KR 19940006499 A KR19940006499 A KR 19940006499A KR 100316673 B1 KR100316673 B1 KR 10031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data
data
recording
handwriting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423A (ko
Inventor
챠타니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2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mage Inpu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목적]
필적 데이타를 여러 형태로 재생할 수 있게 한다.
[구성]
CPU(14)는, 타블렛(10)으로부터 필적 데이타가 입력될 때마다, 타이머(19)로 부터 출력된 시간 정보를 해당 필적 데이타와 함께 RAM(18)에 기억시키고,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는, RAM(18)에 기억된 시간 정보와 필적 데이타를 광자기 디스크(804)에 기록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Handwritten input typ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Mo disk drive}
본 발명은 소형, 휴대용 컴퓨터를 실현하는데 적합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펜 인터페이스(pen interface)를 갖는 필적(hand writing) 입력/재생 기능이 부착된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는, 문자 코드 등의 데이타에 비해 큰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하는 필적 데이타를 유지해야 한다. 즉, 통상, 타블렛(tablet)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는 100 점/초 정도이며, 1 점에 X, Y 좌표 각각 2 바이트씩을 할당하면 1 초당 400 바이트가 필요하게 된다. 1 획(펜이 다운(down)하고부터 업(up)하기 까지)을 평균 0.2 초로 썼다고 하면, 1 획당 필요로 하는 기억 용량은 80 바이트/획이 된다. 1 문자가 평균 8 획 정도로 쓰인다고 하면, 80 x 8 = 640 바이트/문자로 된다. JIS 코드 또는 시프트 JIS 코드에서는, 문자 코드를 2 바이트로표현하기 때문에, 약 300 배의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한다. 필적 데이타를 점을 빼내는 등의 방법으로 압축하고, 필적 데이타 량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그래도 문자 코드와 동등한 기억 용량으로는 보존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적 데이타를 처리하는 휴대용 컴퓨터는. 대용량의 기억장치를 탑재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필적 데이타를 편집 및 일부 소거할 필요성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억 장치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문제를, 종래 사용되고 있는 판독 기록 겸용의 기억 장치를 통해 이하 개별적으로 검토한다.
(1) 자기 테이프를 사용한 경우
랜덤 액세스의 경우에는 액세스 시간에 대해서 충분치 않으며, 기록한 필적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그 재생을 개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었다. 또한, 데이타의 일부분을 소거하고, 다른 데이타로 재기록 하는 등의 처리를 행할 때는 원래의 데이타의 크기 이하로 작게 해야 하는 등의 제약이 있었다.
(2) 자기 하드디스크(hard Disk)를 사용한 경우
기본적으로는, 기록 매체를 추출하고, 교환할 수 없으며, 외부와의 데이타 교환을 위한 호환성이 없고, 용이하게 필적 데이타를 교환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적 대용량의 데이타인 필적 데이터는, 대용량의 기억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용량의 관점에서도 충분하지 않았다.
(3) 반도체 카드형 메모리를 사용한 경우
반도체 메모리의 경우에, 판독 기록 전용 영역 및 판독 기록 겸용 영역의 두가지 영역을 동일 카드 내에 설치하고, 복제 사용이나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 보안프로그램을 판독 전용 영역에 배치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용량이 작고, 필적 데이터를 유지하는데 충분치 않다.
또한, 필적 데이타를 처리하는 휴대용 컴퓨터는, 사용자가 필적 데이타를 다양한 방법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입력된 것과 같은 속도로 재생하는 리얼타임(real time) 재생, 10 획 단위로의 일괄 재생 및, 10 초 단위마다 일괄 재생 등의 여러 형태로의 재생이 가능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필적 데이터를 여러 형태로 재생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가능한 대용량 기억 장치를 탑재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필적 데이타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예를 들어, 제 1 도의 타블렛(10)]과,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시간 정보 발생 수단[예를 들어, 제 1 도의 타이머(19)]과, 일시 기억 수단[예를 들어, 제 1 도의 RAM(18)]과, 입력 수단으로부터 필적 데이타가 입력될 때마다, 시간 정보 발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시간 정보와 해당 필적 데이타를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 수단[예를 들어, 제 1 도의 CPU(14)]와,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시간 정보와 필적 데이타를 디스크형의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재생 수단[예를 들어, 제 1 도의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입력 수단으로 필적 데이타가 입력될 때마다, 시간 정보 발생 수단에서 출력된 시간 정보와 해당 필적 데이타가 디스크형의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따라서, 필적 데이타를 여러 형태로 재생할 수 있음과 동시에, 랜덤 액세스 가능한 대용량 기억 장치를 탑재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기록 재생 수단으로서 자계 변조 직접 중복 기재(direct overwriter) 방식에 의해서 데이타를 기록하는 소위 미니 디스크(MD : 상표명)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타블렛(10)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제 3 도의 펜(30) 참조] 등에 의해서 눌려진 위치의 XY 좌표값에 대응한 데이타를 출력하는 압력 감지 형태의 타블렛이다. 타블렛(10)의 출력 데이타는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칭함)(12)에 공급된다.
마이컴(12)은, CPU(14)와, 이 CPU(14)가 이용하는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된 ROM(16)과,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18)과, 외부의 주변 장치와,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타이머(19)와, CPU(14)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0)를 통해서 공급된 데이타를 디스크에 기록하고,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입출력 인터페이스(20)에 공급한다.
LCD(액정 표시 장치) 드라이버(22)는, 마이컴(12)으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타에 기초하여, LCD(24)를 구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LCD(24)의 표시 내용이 마이컴(12)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의 한 구성 예를 도시한다. 제 2 도의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는 원래, 퍼스널 오디오 기기(휴대용, 거치형, 차량 탑재형)의 용도로 개발된 미니 디스크(상표명) 시스템을 기초로 설계되어 있다. 미리 디스크 시스템은 직경 64㎜ 판독(재생) 전용형의 광디스크, 판독 기록 겸용형 즉 재기록 가능한 MO(광자기) 디스크, 또는, 판독 기록 겸용(즉, 재기록)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을 갖는 부분 ROM(partial ROM)(하이브리드) 디스크 중 어느 하나를, 카트리지(W x L x H = 72 ㎜ x 68 ㎜ x 5 ㎜) 내에 수납한 기록 매체로 사용한다. MO 디스크 또는 부분 ROM 디스크에 대해서는 자계 변조 직접 중복 기재 기록 방식에 의해 데이타를 기록하고, 판독 전용형의 광디스크의 경우에는 CD(Compact Disk)와 마찬가지 원리에 의해 목적 트랙(track)의 피트 열(pit row)에서의 광 회절 현상을 이용하여 재생 신호를 검출하며, 판독 기록 겸용형의 광자기 디스크의 경우에는 목적 트랙으로부터의 반사광의 편광각(Kerr 회전각)의 차이를 검출하여 재생 신호를 검출하고, 부분 ROM 디스크의 경우, 판독 전용 영역에 대해서는 목적 트랙의 피트 열에서의 광의 회절 현상을 이용하므로써 재생 신호를 검출하고, 판독 기록 겸용 영역에 대해서는 목적 트랙으로부터의 반사광 편광각(Kerr 회전각)의 차이를 검출하여 재생 신호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미니디스크 시스템이라 칭하는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는, 퍼스널 오디오 기기로서의 개발 과정에 의해, 각각의 회로 소자의 집적화 또는 각각의 기구 부품의 최적화를 도모하고, 장치 전체의 소형, 경량화를 달성함과 동시에, 저소비 전력화에 의해 배터리 동작(operation)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3.5 인치 MO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기억 용량(140 Mbytes)을 가지며, 기록 매체의 교환이 가능하다는 특징과 함께, 양산 효과에 의해, 다른 MO 디스크 드라이브와 비교할 때, 장치 본체 또는 기록 매체의 제조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피스널오디오 기기로서 이용에 있어 성취된 실제의 결과에 기초하여 높은 신뢰성도 충분히 증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는 판독 기록 겸용형 즉, 재기록 가능한 광자기(MO) 디스크(804)를 사용한다.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는 I/O 인터페이스(20)를 통해 CPU(14)에 의해 제어되고, CPU(14)로부터 판독 지시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의 데이타를 판독하여 CPU(14)로 보내고, CPU(14)로부터 기록 지시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804)에 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제 2 도의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에서는 스핀들 모터(802)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광자기 디스크(804)에 대해, 광학 픽업(806)에 의해 레이저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기록 데이타에 따른 변조 자계를 자기 헤드(808)를 통해 인가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 트랙을 따라 자계 변조 중복 기재 기록을 행하고, 광자기 디스크(804)의 목적 트랙을 광학 픽업(806)에 의해 레이저 광으로 트레이스함으로써 자기 광학적으로 데이타를 재생한다.
광학 픽업(806)은,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레이저 광원, 콜리미터 렌즈, 대물 렌즈, 편광 빔 스프리터, 원통형 렌즈 등의 광학 부품 및, 소정의 배치로 분할된 광검출기 등으로 구성되고, 광자기 디스크(804)를 사이에 끼고 자기 헤드(808)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송 모터(810)에 의해 위치된다.
광학 픽업(806)은, 광자기 디스크(804)에 데이타를 기록할 때, 자기 헤드 구동 회로(809)에 의해 자기 헤드(808)가 구동되며, 기록 데이타에 따른 변조 자계가 인가되는 광자기 디스크(804)의 목적 트랙에 조사함으로써 열자기 기록에 의해 데이타를 기록한다.
또한, 광학 픽업(806)은, 목적 트랙에 조사한 레이저광을 검출함으로써, 예를 들어, 비점수차법에 의해 포커스 에러를 검출하고, 또한 예를 들어 푸시-풀법에 의해 트레킹 에러를 검출하는 동시에, 광자기 디스크(804로부터 데이타를 재생할 때, 목적 트랙으로부터의 반사광의 편광각(Kerr 회전각)의 차이를 검출하여 재생 신호를 생성한다.
광학 픽업(806)의 출력은, RF 회로(812)에 공급된다. RF 회로(812)는, 광학 픽업(806)의 출력으로부터 포커스 에러 신호 또는 트래킹 에러 신호를 추출하고, 서보 제어 회로(814)에 공급하는 동시에, 재생 신호를 2진화하고, 어드레스 디코더(816)에 공급한다. 어드레스 디코더(816)는 공급된 2진화 재생 신호로부터 어드레스를 디코드하고, EFMㆍCIRC 인코더/디코더(818)에 출력함과 동시에, 어드레스에 관련한 2진화 재생 데이타 이외의 2진화 재생 데이타를 EFMㆍCIRC 인코더/디코더(818)에 공급한다.
서보 제어 회로(814)는 예를 들어, 포커스 서보 제어 회로, 트래킹 서보 제어 회로, 스핀들 모터 서보 제어 회로 및, 트레드(sled) 서보 제어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포커스 서보 제어 회로는, 로커스 에러 신호가 "0"으로 되도록, 광학 픽업(806)의 광학계의 포커스를 제어한다. 트레킹 서보 제어 회로는, 트래킹 에러 신호가 "0"으로 되도록, 광학 픽업(806)의 이송 모터(810)를 제어한다.
또한, 스핀들 모터 서보 제어 회로는, 디스크(804)를 소정의 회전 속도(예를 들어, 일정 선속도)로 회전 구동하도록 스핀들 모터(802)를 제어한다. 또한, 트레드 서보 제어 회로는, 시스템 콘트롤러(820)에 의해 지정되는 디스크(804)의 목적트랙의 위치에 자기 헤드(808) 및 광학 픽업(806)을 이송 모터(810)에 의해서 이동시킨다.
EFMㆍCIRC 인코더/디코더(818)는, 인터페이스(800)를 통하여 공급된 데이타에 대해, 에러 정정용의 부호화 처리 즉, CIRC(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기록에 적합한 변조 처리 즉,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EFMㆍCIRC 인코더/디코더(818)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타는 자기헤드 구동 회로(809)에 기록 데이터로서 공급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809)는, 기록 데이타에 따른 변조 자계를 디스크(804)에 인가되도록, 자기 헤드(808)를 구동한다.
시스템 콘트롤러(820)는, 인터페이스(800)를 통하여 CPU(14)로부터 기록 명령을 수신할 때, 기록 데이타가 디스크(804)의 기록 트랙에 기록되도록, 디스크(804)형의 기록위치 제어를 수행한다. 이 기록 위치의 제어는 EFMㆍCIRC 인코더/디코더(818)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타의 디스크(804)형의 기록 위치를 시스템콘트롤러(820)에 의해 관리하고, 시스템 콘트롤러(820)로부터, 디스크(804)의 기록트랙의 기록 위치를 지정하는 제어 신호를 서보 제어 회로(814)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재생시에 있어서, EFMㆍCIRC 인코더/디코더(818)는, 입력된 2진화 재생 데이타에 대하여, EFM 복조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에러 정정을 위한 CIRC 복호화 처리를 행하고, 인터페이스(800)에 출력한다.
또한, 시스템 콘트롤러(820)는,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CPU(14)로부터 판독 명령을 수신할 때, 재생 데이타가 연속적으로 얻어지도록 디스크(804)의 기록 트랙에 대한 재생 위치를 제어한다. 이 재생 위치의 제어는, 재생 데이타의 디스크형의 위치를, 시스템 콘트롤러(820)에 의해 관리하고, 디스크(804)의 기록 트랙상의 재생 위치를 지정하는 제어 신호를 서보 제어 회로(814)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된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모든 구성 요소를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해 놓은 본 발명에 의한 소형 정보 처리 장치(1000)의 한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804)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804C)는 정보 처리 장치(1000)의 슬롯(40)에 장착된다. LCD(24)의 화면상에 타블렛(10)이 배치되고, 펜(30)에 의해 지시된 점의 좌표가 마이크로컴퓨터(12)에 공급된다. LCD(24)의 화면의 앞쪽의 좌단에는 이젝트 버튼(36) 및 전원 버튼(38)이 설치된다. 이젝트 버튼(36)이 조작되면, 디스크(804)를 수납한 카트리지(804C)의 슬롯(40)에서부터 배출되고, 전원 버튼(38)에 조작되면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된다.
또한, LCD(24)의 화면의 하단부에는, 재생 모드 선택 버튼(60), 입력 모드버튼(61), 재생 시작 버튼(62), 재생 정지 버튼(63) 및, 재생 일시 정지 버튼(64)이 아이콘으로서 표시된다. 재생 모드 선택 버튼(60)은, 펜(30)에 의해 최초로 지시되면 10 획 단위의 일괄 재생 모드로 되고, 다음에, 펜(30)에 의해서 지시되면 리얼타임 재생 모드로 되고, 다음에, 펜(30)에 의해서 지시되면 10초 단위의 일괄재생 모드로 되며, 그 다음 펜(30)에 의해서 지시되면 최초의 10 획 단위 일괄 재생 모드로 되돌아간다. 즉, 순환적으로 동작한다. 입력 모드 버튼(61)이 펜에 의해 지시되면 입력 모드로 된다. 재생 개시 버튼(62)이 펜(30)에 의해서 지시되면, 재생이 개시된다. 재생 정지 버턴(63)이 펜(30)에 의해 지시되면, 재생이 정지된다. 재생 일시 정지 버튼(64)이 펜(30)에 의해 지시되면, 재생이 일시 정지된다.
제 4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필적 데이타 처리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CPU(14)는 설치된 광자기 디스크 즉, RAM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필적 데이타 화일을 오픈한다(스텝 S1). 그후, CPU(14)는 사용자로부터의 펜(30)에 의한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2). 사용자에 의한 입력 지시가 모드 변경 지시인 경우에, 필적 입력 모드로의 변경 지시가 있을 때(스팁 S3, S4), CPU(14)는 입력 모드로 되게 하고(스텝 S5), 필적 재생 모드로의 변경 지시가 있을 때(스텝 S3, S6), CPU(14)는 재생 모드로 되게 하고(스텝 S7), 필적 편집 모드로의 변경 지시가 있을 때(스텝S3, S8), CPU(14)는 편집 모드로 되게 한다(스텝 S9). 사용자에 의한 모드 변경 지시가, 필적 입력 모드로의 변경 지시, 필적 재생 모드로의 변경 지시 및, 필적 편집 모드로의 변경 지시 중 어느 것도 아닌 때, CPU(14)는, 에러 처리를 행하며(스텝 S10), 필적 데이타 화일을 클로즈한다(스텝 S11).
사용자가 편집 모드를 지시한 때(스텝 S3, S12), CPU(14)는 필적 편집 처리를 행하며(스텝 S13), 사용자가 입력 모드를 지시했을 때(스텝 S3, S12), CPU(14)는 필적 입력 처리를 행하며(스텝 S14), 사용자가 재생 모드를 지시했을 때(스텝 S3, S12), CPU(14)는 필적 재생 처리를 행한다(스텝 S15).
사용자가 화일 클로즈를 지시했을 때(스텝 S3), CPU(14)는 필적 데이타 화일을 클로즈한다(스텝 S16).
제 5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필적 데이타 입력 처리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CPU(14)는 펜(30)이 타블렛(10)에 착지하면(스텝 S21의 YES), 타이머(12)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시각을 판독하고, RAM(18)에 기억하고(스텝 S22), 펜(30)이 타블렛(10)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펜(30)이 트레이스하는 좌표값 즉, 필적 데이타를 RAM(18)에 기억한다(스텝 S23 및 S24).
다음에, CPU(14)는, 펜(30)이 타블렛(10)으로부터 분리되면(스텝 S24의 YES), 타이머(12)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시각을 판독하고, RAM(18)에 기억한다(스텝 S25). 그리고, CPU(14)는, 펜(30)이 트레이스한 좌표값 즉, 필적 데이타와 그 전후의 시각 정보를 RAM(18)으로부터 판독하고, 광자기 기록 장치(8)의 디스크(804)상의 필적 데이타 파일에 기록한다. 제 7 도는 상기와 같이 디스크(804)상에 기록되는 필적 데이터 화일의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고,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펜-다운시의 타임 스탬프(시각 정보)와 펜-업 시의 타임 스탬프 사이에 필적 데이타 즉 펜 좌표값 열이 배치된다.
제 6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필적 데이타 재생 처리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CPU(14)는 타이머(19)를 "0"으로 세트하는 동시에, 획 인덱스를 "0"으로 세트하고(스텝 S31), 펜(30)에 의한 재생 모드 선택 버튼(60)에 대한 지시로부터, 선택된 재생 모드를 판단한다(스텝 S32).
10 획 단위의 일괄 재생이 선택된 때, CPU(14)는, 디스크(804)로부터 10 획 단위의 필적 데이타를 판독하고, k=k'+9로 되는 필적 데이터{S(k'), ...S(k)}를 판독하며, RAM(18)에 기억하고, k'=k+1로 한다(스텝 S33). 단, k'는 직전에 표시한 필적 데이타의 획 인덱스이고, S(k)는 제 k 번째의 필적 데이터이다. 그리고, CPU(14)는, t-t' ≥△t로 되기까지 대기하고(스텝 S34), 필적을 LCD(24)에 표시한다(스텝 S39). 단, t는 타이머(19)가 출력하는 시각이며, t'는 직전에 필적 표시한 때의 시각이며, △t는 일괄 재생시의 타임 간격이다. 제 14 도는 10 획 단위 일괄 재생의 최초 10 획 표시 예를 나타내고, 제 15 도는 10 획 단위 일괄 재생의 최초 10 획 표시로부터 일정 간격 시간 경과후의 다음 10 획 표시 예를 나타내며, 제 16 도는 10 획 단위 일괄 재생의 2번째의 10 획 표시로부터 일정 간격 시간 경과후의 다음의 10 획 표시 예를 나타내며, 제 17 도는 10 획 단위 일괄 재생의 3번째의 10 획 표시로부터 일정 간격 시간 경과후의 나머지의 필적 모두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리얼타임 재생이 선택되었을 때, CPU(14)는 1 획 단위의 필적 데이타를 디스크(804)로부터 판독하며, RAM(18)에 기억하고, k'=k'+1로 한다(스텝 S35). 그리고, CPU(14)는,
로 되기까지 대기하고(스텝 S36), 필적을 LCD(24)에 표시한다(스텝 S39). 단, T(k)는 S(k)에 대한 타임 스탬프이다. 제 8 도 내지 제 13 도는 각각 리얼타임 재생의 제 1 획, 제 2 획, 제 3 획, 제 10 획, 제 20 및 최종 획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10초 일괄 재생이 선택되었을 때, CPU(14)는 10초 단위의 필적 데이타를 디스크(804)로부터 판독하고, T(k)-T(k') 〉10초인 필적,
을 RAM18)에 기억하고, k'=k'+1로 한다 (스템 S37). 그리고, CPU(14)는 t-t' ≥△ t로 되기까지 대기하고(스텝S38), 필적을 LCD(24)에 표시한다(스텝 S39). 제 18 도는 10초 단위 일괄 재생의 최초 10초 단위의 표시 예를 나타내며, 제 19 도는 10초 단위 일괄 재생의 최초 10초 단위 다음의 10초 사이에서 1획 단위의 입력밖에 없었던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하며, 제 20 도는 10초 단위 일괄 재생의 최후 10초간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스텝(S32 내지 S39)의 처리는, 재생 정지 버튼(63) 또는 재생 일시 정지 버튼(64)이 지시되기까지 또는 화일이 종료되기까지(스텝 S40의 YES) 반복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8) 등의 입출력 장치와 RAM(18) 사이의 데이타 전송을 CPU(14)의 제어 하에 행하고 있는데, DMAC(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를 설치하고, 이 DMAC가 CPU(14)를 통하지 않고, 직접.입출력 장치와 RAM(18)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해도 된다. 또한, 재기록 가능한MO 디스크(804)를 대신하여, 부분 ROM 디스크를 사용하고, 이 판독 전용 영역에 복제 사용 또는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 보안 프로그램을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한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외관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필적 데이타 처리 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필적 데이타 입력 처리 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필적 데이타 재생 처리 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필적 데이타 파일의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8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리얼타임 재생의 제 1 획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9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리얼타임 재생의 제 2 획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0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리얼타임 재생의 제 3 획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1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리얼타임 재생의 제 10 획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2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리얼타임 재생의 제 20 획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3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리얼타임 재생의 최종 획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4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10 획 단위 일괄 재생의 최초 10 획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
제 15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10 획 단위 일괄 재생의 최초 10 획 표시로부터 일정 간격 시간 경과 이후의 다음의 10 획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6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10 획 단위 일괄 재생의 2 번째의 10 획 표시로부터 일정 간격 시간 경과 이후의 다음의 10 획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7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10 획 단위 일괄 재생의 3 번째의 10 획 표시로부터 일정 간격 시간 경과 이후의 나머지 필적 모두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8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10 초 단위 일괄 재생의 최초 10 초 단위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9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10 초 단위 일괄 재생의 최초의 10 초 단위 다음의 10 초 동안 1 획 단위의 입력밖에 없었던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20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10 초 단위 일괄 재생의 최후의 10 초 동안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8 :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 10 : 타블렛
12 : 마이크로컴퓨터 14 : CPU
24 : LCD 30 : 펜
804 : 광자기 디스크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면, 입력 수단에서 필적 데이타가 입력될 때마다, 시간 정보 발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시간 정보와 해당 필적 데이타를 디스크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필적 데이터를, 예를 들어, 1획마다 리얼타임 재생, 10 획 단위의 일괄 재생 및, 10 초 단위의 일괄 재생 등의 여러 형태로 재생할 수 있으며, 기입시의 사고 과정을 재현할 수 있는 동시에, 랜덤 액세스 가능한 대용량 기억 장치를 탑재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기록 재생 수단으로서 자계 변조 직접 중복 기재 방식에 의해 데이타를 기록하는 소위 미니 디스크(MD)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필적 데이타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시간 정보 발생 수단,
    일시 기억 수단,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필적 데이타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시간 정보 발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시간 정보와 해당 필적 데이타를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 수단 및,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시간 정보와 상기 필적 데이타를 디스크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기록 재생 수단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한 시간 정보 및 필적 데이타에 기초하여, 소정수의 획 단위의 필적 데이타를 일괄 재생하는 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기록 재생 수단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한 시간 정보 및 필적 대이타에 기초하여, 1 획 단위의 필적 데이타씩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기록 재생 수단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한 시간 정보 및 필적 데이타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분의 필적 데이타를 일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19940006499A 1993-03-31 1994-03-30 정보처리장치 KR100316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368693A JP3225498B2 (ja) 1993-03-31 1993-03-31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93-073686 1993-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423A KR940022423A (ko) 1994-10-20
KR100316673B1 true KR100316673B1 (ko) 2002-02-19

Family

ID=1352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499A KR100316673B1 (ko) 1993-03-31 1994-03-30 정보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93557A (ko)
EP (1) EP0618538B1 (ko)
JP (1) JP3225498B2 (ko)
KR (1) KR100316673B1 (ko)
DE (1) DE6942253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8607A (en) * 1994-09-30 1998-06-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hand annotation and drawings incorporating sound and for compressing and synchronizing sound
US6151611A (en) * 1997-10-31 2000-11-21 Hewlett-Packard Company System for editing graphical data based upon relative time of entry
US6550683B1 (en) * 2000-02-24 2003-04-22 Telxon Corporation Hand held portable device with multiple functions
TWI267823B (en) * 2002-04-01 2006-12-01 Sony Corp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to and from a magneto-optical storage medium
KR101277055B1 (ko) * 2007-04-03 2013-06-20 스틸라 스타일즈, 엘엘씨 인터랙티브 콤팩트 및 화장품 케이스 그리고 그 용도
US10528249B2 (en) * 2014-05-23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partial handwritten con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5367A (ja) * 1988-11-04 1990-05-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形情報検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170U (ja) * 1983-08-24 1985-03-1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メモ装置
US5157737A (en) * 1986-07-25 1992-10-20 Grid Systems Corporation Handwritten keyboardless entry computer system
JP3017740B2 (ja) * 1988-08-23 2000-03-13 ソニー株式会社 オンライン文字認識装置およびオンライン文字認識方法
US5267327A (en) * 1990-03-30 1993-11-30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handwriting of a user so it can be translated into block characters
JP3095145B2 (ja) * 1990-06-14 2000-10-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5367A (ja) * 1988-11-04 1990-05-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形情報検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2537T2 (de) 2000-06-29
KR940022423A (ko) 1994-10-20
JPH07134763A (ja) 1995-05-23
EP0618538A1 (en) 1994-10-05
EP0618538B1 (en) 2000-01-12
US5493557A (en) 1996-02-20
JP3225498B2 (ja) 2001-11-05
DE69422537D1 (de) 200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501014A (ja) データカードのための光記録方法
KR100314542B1 (ko) 기록매체및정보처리장치
EP061858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316673B1 (ko) 정보처리장치
US6816446B2 (en) 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residual space on optical recording medium
CN101053036B (zh) 记录装置、记录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
JPH06203479A (ja) 記録媒体及びナビゲーシヨンシステム
JP3604161B2 (ja) 違法コピー排除方法
JP275162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350976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記録装置
US5715220A (e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herein recording starting and ending dates and times are generated and recorded during a program recording mode, and starting and ending dates and times are displayed during a reproducing mode
JPS61243994A (ja) 情報記録方法
KR19980084908A (ko)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광 디스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광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931964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295521A (ja) 情報処理装置
JPH06290505A (ja) 情報処理装置
JPH06291976A (ja) 情報処理装置
JPH06318387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および記録装置
JPH06295537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および記録装置
JP2001101849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1130U (ja) 追記型の光ディスク装置
JPH027252A (ja) 光磁気カード
JP20032030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H06290002A (ja) 記憶装置
JPH0753128Y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