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593B1 -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와 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와 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593B1
KR100314593B1 KR1019990012819A KR19990012819A KR100314593B1 KR 100314593 B1 KR100314593 B1 KR 100314593B1 KR 1019990012819 A KR1019990012819 A KR 1019990012819A KR 19990012819 A KR19990012819 A KR 19990012819A KR 100314593 B1 KR100314593 B1 KR 10031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molding
connecting element
extrusion nozz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136A (ko
Inventor
무라사키류이치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8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Articles with a cross-section var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corrug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1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with parts oscillating relative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용융수지 재료는 제 1 압출노즐(10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압출구멍(10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상기 제 1 압출노즐(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압출구멍(109)을 가지며 상기 제 1 압출노즐(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 2 압출노즐(103)을 통과한다. 제 2 압출구멍(109)은 폭방향으로 피치가 동일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를 갖는 단일의 압출구멍이며, 제 1 압출구멍(102)은 연결부(109c)에 대응하는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와 상기 사각형 개구(109b)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를 구비한 단일의 압출구멍이다. 대면하여 위치된 압출구멍(102, 109)을 상호 교차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압출노즐(101)과 제 2 압출노즐(103)은 상대적으로 진동되며, 면 파스너는 시트형 베이스부재(11)의 표면에 직립한 스템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성형방향의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 헤드부를 구비한 연결요소(12)를 각각 성형할동안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이때, 각각의 연결요소(12)는 그 평면이 평행사변형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Description

성형면 파스너의 성형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와 그 성형장치{MOLDING METHOD OF MOLDED SURFACE FASTNER, MOLDED SURFACE FASTN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MOLD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시트형 베이스부재의 표면에 일체로 독립적으로 연속성형된 성형면 파스너의 성형 방법과, 면 파스너와, 그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미세한 크기로부터 정상적인 크기까지 다양한 크기를 가지도록 성형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기에 적합하며 단일 단계로 간단한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효과적으로 성형될 수 있는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 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은 성형 면 파스너와,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성형 면 파스너는 여러가지 시스템에 의해 제조된다. 전형적인 실시예로는 사출 성형을 갖는 완벽한 배치 시스템에 의해 파스너를 제조하는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다른 전형적인 시스템으로는, 그 외주면상에서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성형 공동을 갖는 다이 휘일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용융수지 재료가다이 휘일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도입되므로써 시트형 베이스부재와 연결요소는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손바닥 형태나 후크형과 같은 공지의 다야한 형태를 구비한 연결 효소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T 형 압출구멍이 측부 대 측부 관계로 압출 다이에 제공되며, 압출구멍은 각각의 T 형 압출구멍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재를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2개의 압출구멍으로부터 용융수지를 동시에 압출하므로써, T 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리브 부재 각각은 시트형 베이스부재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성형되며, 용융수지 성형 재료는 냉각되어 경화된다. 이어서, 상기 리브는 리브의 인출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나 적절히 경사진 각도로 설정된 두께로 절단되며, 상기 시트형 베이스부재는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절단공정후, 상기 시트형 베이스부재는 성형 방향으로 인출되므로, 절단된 연결요소는 필요한 피치로 각각 분리된다. 따라서 성형 면 파스너가 제조된다.
이러한 성형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어 다이휘일상에 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기법에서는 연결요소를 복잡한 형태로 성형하기가 어려운데, 그 이유는 만일 생산성의 개선이 시도될 경우 그 형태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한편, 만일 연결요소의 크기나 형태에 어떤 옵션이 설정된다면, 연속적인 성형을 달성하기가 어려우며, 그 단위공정수가 증가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아지게 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장점과 단점의 차이가 너무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연결 헤드부의 단면 형태에 어떤 옵션을 주기 위해서 압출 다이로부터 시트형 베이스부재의 표면상에 용융수지 성형재료의 리브를 절단한 후에 견인 공정이 가해진다면, 압출 성형단계와 리브 절단 단계와 인출 단계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리브 절단 단계에서는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므로, 그 유지보수를 위해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완전히 새로운 성형 메카니즘으로 성형을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그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으며 다양한 크기로 새로운 형태로 설형될 수 있는 연결요소를 구비한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 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은 성형 면 파스너와 그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시트형 베이스부재와 복수개의 연결요소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 압출장치의 압출 다이를 통해 용융수지 재료의 압출방향으로 하류측에 배치된 제 1 압출노즐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압출구멍으로부터 용융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압출노즐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 재료를 제 1 압출노즐의 전방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압출구멍에 대응하는 제 2 압출구멍을 갖는 제 2 압출 노줄을 통과시키는 단계와, 서로 대면하고 있는 각각의 압출구멍이 상호 횡단하는 방식으로 폭방향으로 제 1 압출노즐과 제 2 압출노즐을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압출구멍과 제 2 압출구멍은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를 포함하며, 나머지 압출구멍은 사각형 개구에 대응하도록 연결요소 성형개구를 포함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복수개의 개구를 가지며 압출장치의 압출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 1 압출노즐과, 각각의 대응 압출구멍이 서로 횡단하도록 제 1 압출구멍의 개구의 갯수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개구를 가지며 그 하류측에 제 1 압출노즐의 전방면에서 자유롭게 미끄럼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된 제 2 압출노즐을 상대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이다.
압출 다이로부터 시트형태로 압출되는 용융수지가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제 2 압출노즐과 제 1 압출노즐을 통과할 때, 용융수지는 연결 헤드부의 팁으로부터 각각의 연결요소의 스템부까지 연속적으로 이동할동안 제 1 압출구멍과 제 2 압출구멍을 진동시키므로써 제 1 및 제 2 압출구멍의 연결 공간을 통해 압출된다. 연결요소가 압출방향으로 성형될 동안, 시트형 베이스부재는 제 1 압출노즐 및 제 2 압출노즐의 베이스부재 성형 개구에 의해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이때, 스템부의 상승하는 베이스 단부는 시트형 베이스부재상에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제 1 압출구멍은 연결요소 성형 개구를 가지며, 제 2 압출구멍은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를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의 각각의 원주는 압출방향으로 하류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압출노즐은 제 1 압출노즐의 전방면상에서 진동된다. 또는 이와는 달리 선택적으로, 제 1 압출구멍은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를 가지며, 제 2 압출구멍은 연결요소 성형 개구를 가지며, 상기 연결요소 성형 개구는 압출방향으로 하류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진 표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 2 압출노즐은 제 1 압출노즐의 전방면에서 진동된다.
제 2 압출노즐의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의 원주는 압출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또는 제 2 압출노즐의 연결요소 성형 개구의 원주가 압출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제 1 압출노즐의 제 1 압출구멍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설정된 형태를 갖는 용융수지가 차단되어 진동하는 제 2 압출노즐의 제 2 압출구멍에 의해 반복가능하게 해제될 때, 제 2 압출노즐의 제 2 압출구멍에 의해 이미 압출된 각각의 연결요소측의 일부는 제 2 압출구멍의 이동에 의해 그 전방면에서 구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일정한 형태의 연결요소를 얻을 수 있다.
제 1 압출노즐은 압출 다이와 제 1 압출노즐로의 2 압출노즐과 밀착접촉되어 있으므로, 용융수지 재료는 압출장치로부터 직접 압출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방법은 제 2 압출노즐을 통과한 용융수지 성형 재료를 냉각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압출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는 그 폭방향으로 진동하고 있는 제 1 압출노즐과 제 2 압출노즐로 압출되며, 상기 용융수지는 2개의 노즐의 압출구멍들이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압출되며, 연결요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형 베이스부재상에 연속적으로 성형된 후 냉각 및 경화된다.
또한 성형 방법은 원주면상에 시트형 용융수지층을 성형하기 위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각 실린더의 원주면상에서 압출장치로부터 용융수지 재료를 압출하는 단계와, 시트형 용융수지층을 용융수지층의 하류측상에서 냉각 실린더와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 1 및 제 2 압출노즐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압출 다이로부터 시트형태로 압출되는 용융수지는 그 원주면상에서 냉각 수단을 구비한 냉각 실린더의 원주면에 공급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시트형 용융수지층이 성형된다. 이러한 용융수지층은 그 원주면상에서 냉각 실린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중에, 용융수지층은 폭방향으로 진동하고 있는 제 2 압출노즐과 제 1 압출노즐에 공급되며, 필요한 형태를 갖는 연결요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될 동안 베이스부재상에서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출장치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각 실린더의 외주면상에 압출되어 시트형 용융수지층을 성형하는 경우에, 또한 시트형 용융수지층이 용융수지층의 하류측상에서 냉각 실린더의 외주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 1 및 제 2 압출노즐에 도입되는 경우에는, 압출장치로부터 압출됨과 동시에 용융수지층이 냉각된다. 따라서, 재료에 따라 수축 현상이 고려될 수도 있으므로 형상이 쉽게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성형 방법은 연결요소가 성형되지 않는 시트형 베이스부재의 대향 엣지상에 그 축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에서 냉각 실린상에 형성된 앵커부재 성형 공동에 의해 복수개의 앵커 부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 앵커부재가 성형되는 좌우측 엣지부는 차후의 마무리 단계에서 절단 및 제거된다.
하나의 압출구멍의 각각의 연결요소 성형 개구는 T 또는 Y 형태를 취하며, 하나의 압출구멍의 연결요소 성형개구에서의 각각의 헤드부 성형 개구의 팁은 베이스부재 성형개구를 향하여 굴곡된다. 또한, 성형될 각각의 연결요소의 형태와 크기는 진동 속도를 일정하게 하거나 선택적으로 진동 속도를 규칙적으로 변화시키므로써 균일하게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결 헤드부의 돌출 길이는 성형 방향으로 배열된 특정한 갯수의 연결요소에 대해 변화된다.
선택적으로, 진동 속도는 임의로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성형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요소의 연결 헤드부의 돌출 길이도 임의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측방향으로 측부 대 측부 관계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 성형개구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요소 성형개구의 높이는 다른 연결요소 성형개구의 높이와는 달리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재 표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성형된 복수개의 연결요소의 높이도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의 성형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특정한 형태를 갖는 면 파스너가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시트형 베이스부재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복수개의 연결요소를 갖는 성형 면 파스너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요소는 시트형 베이스부재의 표면에 직립되어 있는 스템부와 상기 스템부의 단부로부터 성형 방향으로 전방돌출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헤드부는 그 평면도가 평행사변형 단면을 취하며, 장착은 성형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연장되며, 성형방향으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 연결요소의 각각의 쌍은 거울 대칭형태를 취한다.
종래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T 형 리브가 시트형 베이스부재와 일체로 연속적으로 성형되도록 제조되는 종래의 성형 면 파스너에 있어서, 면 파스너를 냉각한 후에는 단지 리브만 그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피치만큼 절단되며, 베이스부재는 압출 방향으로 인출되므로, 절단에 의해 얻어진 연결요소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며, 각각의 연결 헤드부는 주로 성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성형방향으로 인접한 각각의 연결요소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품으로서의 성형 면 파스너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의 두께는 각각의 연결요소의 스템부의 베이스 단부의 일부에서 확대되며, 베이스부재의 표면은 길이방향으로 약간 굴곡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에서 연결요소의 연결 헤드부의 돌출방향은 주로 성형방향이며, 또한 성형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연결요소는 거울대칭 형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종래 성형 면 파스너에서 필요로 하였던 어떤 특정한 제 2 처리과정은 본 발명의 성형 면 파스너에 가해질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양호하게 균형잡인 안정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성형 면 파스너의 연결요소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0°가 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성형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된 연결 헤드부의 돌출방향의 축선은 동일 직선상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것은 다시 말하면 연결요소의 돌출방향이 하나의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면 파스너는, 다음과 같은 성형 방법 즉, 제 1 압출구멍이 길이방향의 사각형 개구를 갖고 제 2 압출구멍이 연결요소 성형 개구를 가지며 연결요소 성형 개구의 원주가 압출방향으로 하류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 2 압출노즐이 제 1 압출노즐의 전방면에서 진동되는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각도(θ)는 0°< θ ≤ 90°의 범위에 있으며, 연결 헤드부의 돌출방향의 축선은 각각의 스템부(13)의 중앙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상기 각도로 연장되므로, 이에 따라 성형 방향으로 인접배치된 각각의 헤드부는 지그재그 형태가 된다. 이러한 형태의 면 파스너는, 다음과 같은 성형 방법 즉, 제 1 압출구멍이 연결요소 성형개구를 가지며 제 2 압출구멍이 길이방향의 사각형 개구를 가지며 길이방향의 사각형 개구의 각각의 원주가 압출방향으로 하류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 2 압출노즐이 제 1 압출노즐의 전방면상에 진동되는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연결요소의 각각의 형태는 압출구멍의 연결요소 성형개구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연결요소의 수직 단면은 T 형태를 취하며, 이 경우 각각의 연결요소 성형개구의 전체 형태도 T 형태를 취한다. 선택적으로, 연결요소의 수직 단면은 Y 형태를 취하며, 이 경우 연결요소 성형개구의 전체 형태도 Y 형태를 취한다. 각각의 연결 헤드부(14)의 팁은 베이스부재(11)의 표면을 향해 굴곡된다. 이 경우, 연결 헤드부는 스템부로부터 성형방향으로만 돌출되며, 이른바 후크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하방으로 굴곡되며, 또는 연결 헤드부는 스템부로부터 성형방향으로 전후방으로 돌출되며 야자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하방으로 굴곡된다.
성형 방향으로 각 스템부의 두께와 성형방향으로 상호인접하여 배치된 연결요소의 각 헤드부의 돌출 길이는 성형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변화된다. 선택적으로, 성형방향으로 각 스템부의 두께와 성형방향으로 상호인접하여 배치된 연결요소의 각 헤드부의 돌출 길이는 성형 방향으로 임의로 변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연결요소를 성형하기 위해, 제 1 노즐과 제 2 노즐의 진동 속도는 규칙적으로 또는 임의로 변화된다. 또한, 성형방향에 수직하게 상호인접하여 배치된 베이스부재로부터 그 상부까지 연결요소의 높이는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면 파스너는 측부 대 측부 관계로 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 성형개구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요소 성형개구의 높이가 다른 연결요소 성형개구의 높이와는 다른 성형 방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성형 방법과 성형 면 파스너는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성형 장치에 의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시트형 베이스부재와 복수개의 연결요소를 연속적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 장치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압출노즐을 갖는 제 1 압출노즐과, 상기 제 1 압출구멍에 대응하는 제 2 압출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1 압출노즐의 전방면에 배치된 제 2 압출노즐과, 대응의 압출구멍이 상호교차되도록 상기 제 1 압출노즐과 제 2 압출노즐을 진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제 1 압출구멍과 제 2 압출구멍은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를 포함하는 압출구멍이며, 나머지 압출구멍은 상기 사각형 개구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연결요소 성형 개구를 포함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진동 수단은 링크를 통해 제 1 압출노즐이나 제 2 압출노즐에 연결된 크랭크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진동 수단은 제 1 압출노즐이나 제 2 압출노즐에 고정된 캠 접촉자와, 상기 캠 접촉자와 접촉되는 캠을 포함한다. 이러한 진동 수단들은 기계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제 1 압출노즐과 제 2압출노즐의 상대적인 진동 동작이 매우 정확해지고 명확해진다. 또한, 각각의 진동 수단은 진동 수단의 진동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므로, 진동 동작이 규칙적으로 임의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압출구멍은 연결요소 성형개구를 포함하고, 제 2 압출구멍은 길이방향의 사각형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형 개구의 원주는 압출방향의 하류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압출노즐은 진동 수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압출노즐로부터 압출되는 연결요소에서, 성형방향으로 인접배치된 각각의 연결 헤드부의 돌출방향으로 축선은 각각의 스템부의 코너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경사져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압출구멍은 길이방향의 사각형 개구를 가지며, 제 2 압출구멍은 연결요소 성형개구를 가지며, 연결요소 성형개구의 원주는 압출방향의 하류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압출노즐은 진동수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압출노즐로부터 압출된 연결요소에 있어서, 성형방향으로 정렬배치된 복수개의 연결 헤드부의 돌출방향으로의 축선은 동일한 축선이다.
또한, 측방향으로 측부 대 측부 관계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 성형개구중 적어도 하나의 성형개구의 높이는 나머지 연결요소 성형개구의 높이와 상이하다. 이 경우, 성형 방향으로 수직으로 인접배치된 일부 연결요소의 높이를 나머지 연결요소의 높이와 상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들은 크기가 다양한 루프에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압출노즐은 압출장치의 다이와 직렬로 배치되며, 제 2 압출노즐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 성형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은 제 2 압출노즐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 경우, 냉각수단으로서 냉각 실린더를 채택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냉각 탱크도 가능하다.
상술한 성형 시스템을 위한 성형장치에 있어서, 냉각 실린더는 압출장치의 다이와 대면하며, 냉각 실린더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상에서 상기 제 1 압출노즐과 제 2 압출노즐은 베이스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간극으로 냉각 실린더의 외주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출장치로부터의 용융수지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각 실린더의 원주면상에 압출되며, 시트형 용융수지층은 원주면상에 성형된다. 그후, 시트형 용융수지층은 용융수지층의 하류측상에서 냉각 실린더의 원주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 1 및 제 2 노즐로 유입된다. 이 경우, 용융수지층의 냉각은 압출장치로부터 압출과 시작되기 때문에, 재료에 따라 면파스너는 상당히 수축되며 쉽게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앵커부재 성형 공동은 축방향으로 냉각 실린더의 좌우측 원주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앵커부재는 연결요소가 성형되는 측의 대향면상에서 성형된 베이스부재의 대향측 엣지부를 따라 성형될 수 있다.
성형 장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결요소가 성형될 수 있다. 특히, 압출구멍의 각각의 연결요소 성형개구가 T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각각의 성형된 연결요소의 형태도 T 형태를 취하게 된다. 압출구멍의 연결요소 성형개구가 Y 형태를 취하는 경우, Y 형 연결요소가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압출구멍의 각각의 연결요소에서 헤드부 성형개구가 베이스부재 성형개구를 향하여 굴곡될 때, 성형된 연결요소는 스템부로부터 성형방향의 한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성형방향으로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야자수 나무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하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물론 서술될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의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도 2 는 성형 면 파스너의 평면도.
도 3 은 성형 면 파스너의 측면도.
도 4 는 성형 면 파스너용 성형장치의 개력적인 배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성형 장치의 용융수지 재료 압출부의 확대도.
도 6 은 성형장치의 주요부분의 정면도.
도 7 은 성형장치의 압출부의 측면도.
도 8 은 성형장치의 제 1 압출노즐과 제 2 압출노즐의 압출구멍의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 는 다른 실시예의 용융수지 압출부를 확대한 도면.
도 10 은 다른 실시예의 압출부를 포함하는 성형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 은 다른 실시예의 압출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진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a 및 도 13b 는 본 발명의 성형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 원리의 제 1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a 및 도 14b 는 성형 원리의 제 2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a 및 도 15b 는 성형 원리의 제 3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 는 성형 원리의 제 4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a 및 도 17b 는 성형 원리의 제 5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 는 성형 원리의 제 6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a 및 도 19b 는 성형 원리의 제 7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 은 다른 실시예의 성형 면 파스너를 도시한 도면.
도 21 은 또 다른 실시예의 성형 면 파스너를 도시한 도면.
도 22 는 다른 실시예의 성형 면 파스너를 도시한 도면.
도 23 은 또 다른 실시예의 성형 면 파스너를 도시한 도면.
도 24 는 성형방향으로 두께가 다른 연결요소가 혼합성형된 성형 면 파스너 의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25 는 측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의 높이가 서로 다른 성형 면 파스너의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26 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27 은 성형 면 파스너의 부분평면도.
도 28 은 다른 실시예의 성형 면 파스너의 부분사시도.
도 29 는 또 다른 실시예의 성형 면 파스너의 부분사시도.
도 30 은 성형방향으로 두께가 다른 연결요소가 혼합성형된 성형 면 파스너 의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31 은 측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의 높이가 서로 다른 성형 면 파스너의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32a 및 도 32b 는 본 발명의 성형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 원리의 제 1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3a 및 도 33b 는 성형 원리의 제 2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4a 및 도 34b 는 성형 원리의 제 3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5a 및 도 35b 는 성형 원리의 제 4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6a 및 도 36b 는 성형 원리의 제 5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7a 및 도 37b 는 성형 원리의 제 6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8a 및 도 38b 는 성형 원리의 제 7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9a 및 도 39b 는 성형 원리의 제 8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0 은 본 발명의 성형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1 은 성형장치의 제 1 및 제 2 압출노즐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42 는 성형장치의 주요 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3 은 성형장치에서 압출장치의 다이 전방에 배치된 냉각 실린더의 정면도.
도 44 는 제 3 실시예의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 면 파스너의 부분사시도.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베이스 부재 12 : 연결요소
14 : 헤드부 101 : 압출노즐
102 : 압출구멍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형태의 연결요소를 구비한 성형 면 파스너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2 는 면 파스너의 평면도이고, 도 3 은 그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은 본 발명의 성형장치에 의한 성형 방향을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요소(12)는 시트형 베이스부재(11)의 한쪽 표면에 연속적으로 각각 일체로 성형되며, 각각의 연결요소(12)는 시트형 베이스부재(11)의 표면에 직립한 스템부(13)와, 상기 스템부(13)의 팁으로부터 성형방향의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 헤드부(14)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스템부(13)와 연결 헤드부(14)는 그 각각의 쌍이 성형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연장되는 장측을 갖는 평행사변형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요소의 전체 형태는 T 형태를 취하며, 성형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연장되는 각각의 연결 헤드부(14)의 돌출방향의 축선은 각각의 스템부(13)의 중앙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설정된 각도를 가지므로, 성형방향으로 상호인접한 연결요소(12)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된다. 또한, 인접한연결요소(12)는 상호 거울대칭관계로 배치된다. 한편, 성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인접한 연결요소(12)는 동일한 형태로 배치되며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실시예의 형태를 취하는 본 발명의 성형 면 파스너(10)는 하기에 서술되는 본 발명의 성형 방법과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효과적으로 성형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의 전형적인 성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 는 성형장치의 성형부를 도시한 사시확대도이고, 도 6 은 성형부의 정면도이며, 도 7 은 성형부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제 1 압출노즐과 제 2 압출노즐의 압출구멍의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 는 다른 실시예의 성형부를 도시한 사시확대도이고, 도 10 은 변형된 성형부의 정면도이고, 도 11 은 변형된 성형부의 측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진동 메카니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제 1 압출노즐(101)과 제 2 압출노즐(103)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압출노즐(101)은 압출장치(110)의 다이를 포함하며, 압출방향으로 상기 제 1 압출노즐(101)의 압출구멍(102)의 전방면에서 제 2 압출노즐(103)은 자유롭게 미끄럼가능한 방식으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압출노즐(103)은 제 1 압출노즐(101)의 압출구멍(102)과 접촉될 동안 회전방향으로 왕복 운동(진동)을 실행한다. 따라서, 압출구멍(102)을 포함하는 전방 중앙부의 수평영역에서, 제 1 압출노즐(101)은 제 2 압출노즐(103)이 안내되도록 삽입되는 미끄럼 홈(104)을 갖는다.
제 2 압출노즐(103)은 상기 미끄럼 홈(104)에 삽입되는 사각 형상을 갖는다. 싱기 제 2 압출노즐(103)의 한쪽 단부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링크(105)를 통해 크랭크축(106)에 연결된다. 크랭크축(106)을 도시않은 구동원으로 설정속도로 회전시키므로써, 미끄럼 홈(104)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 제 2 압출노즐(103)은 미끄럼 홈(104)에서 측부로부터 측부로 미끄러진다. 도 12 는 제 2 압출노즐(103)의 작동가능한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05')의 한쪽 단부는 작동기구에서 제 2 압출노즐(103)의 한쪽 단부에 직접 고정되어 연결되 로드(105')의 다른쪽 단부에 캠 접촉 롤러(105')가 연결되며, 상기 캠 접촉 롤러(105'a)는 디스크 캠(106')의 캠 홈(106'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2 압출노즐(103)의 측방향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패널(107)은 미끄럼 홈(104)을 배제한 제 1 압출노즐(101)의 전방면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압 패널(107)은 사각형 프레임 몸체로 제조되며, 각각의 비스(108)에 의해 제 1 압출노즐(101)에 고정된다. 또한, 제 2 압출노즐(103)의 미끄럼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도 9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안내 홈이 형성되어 제 1 압출노즐(101)의 상단부 엣지부를 따라 연장되며, 대응의 가압 패널(107)부분에서 미끄럼 안내 홈(107a)이 형성되며, 제 2 압출노즐(103)의 양측면의 대응부분에서, 제 1 및 제 2 융기부(103a, 103b)가 형성되어 각각의 미끄럼 안내홈(104a, 107a)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1 및 제 2 융기부(103a, 103b)를 각각의 미끄럼 안내홈(104a, 107a)에 삽입하므로써, 제 2 압출노즐(103)은 제 1 압출노즐(10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압출노즐(101)의 압출구멍(102)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출노즐(101)의 폭방향으로 동일피치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와, 상기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하단부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는 T 형태를 취하며, 이러한 T 형태는 도 1 에 도시된 연결요소(12)의 스템부(13)를 성형하는 스템부 성형개구(102a-1)와, 상기 스템부 성형개구(102a-1)의 상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헤드부 성형개구(102a-2)를 포함한다.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T 형 상부면은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원형의 아치형태로 형성된다.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는 복수개의 스템부 성형개구(102a-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슬릿 형태를 취하며, 그 수직 크기는 성형 베이스부재(11)의 두께와 동일하다.
한편, 도 8 에 도시된 제 2 압출노즐(103)의 압출구멍(109)은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와 동일한 피치로 배치되며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와, 각각의 사각형 개구(109b)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슬릿형 연결부(109c)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09c)는 제 1 압출구멍(102)의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와 연결되도록 위치되며, 그 수직 크기는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09c)도 베이스부재(11)를 위한 성형개구이다.
선택적으로,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압출노즐(103)의 압출개구(109)는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를 가지며, 이는 슬릿형 연결부(109c)없이 빗의 이(teeth of a comb)처럼 배치된다.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의 높이는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높이와 동일하며,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슬릿형 연결부(109c)는 그 상단 엣지에서 수평으로 절단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압출노즐(101)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원주는 압출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압출노즐(101)은 압출장치(110)의 전방면에 고정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2 압출노즐(103)은 제 1 압출노즐(101)의 전방면과 접촉할 동안 수평으로 왕복된다. 이와 같은 왕복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진동기구는 제 2 압출노즐(103)에 연결되며, 그 압출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의 바닥면에 연속하고 성형방향으로 압출성형된 상기 베이스부재(11)를 안내하기 위해 제 1 압출노즐로부터 압출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안내부(101a)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9 를 참조하여 면 파스너 성형장치에 의해 도 1 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 성형 면 파스너(10)를 성형하는 원리가 서술될 것이다. 압출장치(110)로부터의 용융수지 재료는 제 1 압출노즐(101)의 압출구멍(102)을 통과한다. 이때, 제 2 압출노즐(103)은 제 1 압출노즐(101)의 전방면을 접촉할 동안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왕복운동한다.
이제, 제 2 압출노즐(103)은 도 13 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제 2 압출구멍(109)의 사각형 개구(109b)가 제 1 압출구멍(102)의 헤드부성형개구(102a-2)의 단부에 도달된 후에도 동일한 방향으로 그 미끄럼 동작을 지속한다(도 14A 참조). 헤드부 성형개구(102a-2)의 한쪽에서 돌추부를 횡단하는 횡단면적은 스템부 성형개구(102a-1)에 도달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제 2 압출구멍(109)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압출노즐(103)의 일부에 의해 통과가 저지되는 용융수지 재료는 점진적으로 그 양이 증가되므로, 연결 헤드부(14)의 한쪽에서 돌출부의 형태는 예리한 단부를 갖는 쐐기형태를 취하게 된다(도 15B 참조).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의 미끄럼 방향으로 후방 단부가 헤드부 성형개구(102a-2)의 단부를 통과하여 도 1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부 성형개구(102a-2)로 계속 미끄러질 때, 헤드부 성형개구(102a-2)와 스템부 성형개구(102a-2)는 순서대로 미끄럼 방향으로 사각형 개구(109b)의 후방 단부에 의해 폐쇄된다. 도 17B 및 도 1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요소(12)는 평면도에서 성형방향으로 횡단 축선각(θ)을 갖도록 성형된다. 이때 상기 횡단 축선각(θ)은 제 2 압출노즐(103)의 미끄럼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제 2 압출노즐(103)이 스템부 성형개구(102a-1)를 횡단하기 위해 계속 이동할 때, 먼저 사각형 개구를 관통하는 수지의 양이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사각형 개구(109b)가 스템부 성형개구(102a-1)상에 중첩될 때(도 16 참조), 연결 수지 압출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평행사변형 단면을 갖는 스템부(13)와 헤드부(14)가 성형된다.
또한, 상기 사각형 개구(109b)가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스템부 성형개구(102a-1)를 통과할 때, 사각형 개구(109b)를 통과하는 수지의 양은 헤드부성형개구(102a-2)의 다른쪽에서 돌출부 형태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되며, 중첩부와 평행사변형 단면의 일부가 형성된다(도 18 참조). 마지막으로, 사각형 개구(109b)가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를 완전히 통과할 때, 단일의 연결요소(12)의 성형이 완료된다(도 19). 이때, 단일 연결요소(12)의 횡단각(θ)을 갖는 장측과 성형방향에 대해 평행한 단측에 의해 평행사변형 형태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각형 개구(109b)의 원주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경사면과 성형방향 사이의 경사각(θ')은 횡단각(θ)보다 크게 설정되며, 따라서 도 16 내지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압출노즐(103)의 사각형 개구(109b)이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에 인접한 사각형 개구(109b)의 미끄럼 방향으로 후방 단부 엣지와 제 1 압출노즐(101)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를 횡단하여 이동할 때, 사각형 개구(109b)로부터 이미 압출된 용융수지는 사각형 개구(109b)의 후방 단부에 의해 뭉개지므로, 평형상태가 우수하고 안정한 형태를 갖는 연결요소가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이 완료되어 단일의 연결요소(12)가 성형되었을 때, 제 2 압출노즐(103)은 이전의 미끄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중, 평행사변형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연결요소(12)는 횡단방향으로 이전의 미끄럼중 성형된 연결요소(12)를 횡단하는 형태로 대칭거울상으로 단일의 열(row)로 성형된다. 연결요소(12)가 이러한 방식으로 성형될 때, 제 2 압출노즐(103)의 각각의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의 원주방향 내측면이 압출방향으로 향해 점진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제 1 압출노즐(101)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재료는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를 통과한 후에도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의 원주에 의해 무너지지 않고 필요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단일의 연결요소(12)에 대해, 성형의 시작부터 마지각까지는 물론이거니와 차후 연결요소(12)의 성형중에도, 제 1 압출노즐(101)의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는 그 전체 길이를 통해 제 2 압출노즐(103)의 연결부(109c)와 연결되며,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로부터 압출된 시트형 베이스부재(11)는 동일한 성형 폭으로 연결요소(12)의 성형과 함께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연결부(109c)의 측부 길이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폭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의 측방향 길이보다 길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 2 압출노즐(103)이 그 왕복 운동을 반복할 때마다, 측방향으로 단일의 열(row)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12)와 본 발명의 성형 면 파스너(10)가 연속적으로 성형되며, 이들은 필요한 길이와 필요한 갯수의 연결요소(12)를 구비한 베이스부재(11)를 포함한다. 연결요소가 성형방향에 대해 일정한 횡단각(θ)으로 지즈재그방식으로 배치된 성형 면 파스너에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파스너(10)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모든 연결요소는 동일한 경사각(θ)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압출노즐로부터 압출되어 연속적으로 성형되는 성형 면 파스너(1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각 실린더(111)의 원주면에 도입되어, 절반 회전을 통해 수용된 후, 픽업 롤러(112)에 의해 픽업되어 공급 롤러(113)를 통해 차후 정지부나 권취부로 이송된다.
도 20 내지 도 25 는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면 파스너(10)의 다양한 연결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연결요소(12)의 형태는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형태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취하는 제 1 압출노즐(101)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은 Y 형태의 연결요소를 얻기 위해, 단순히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형태는 Y 형태로 제조된다. 또한,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자수나무와 같은 형태의 연결요소를 얻으려는 경우에,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형태는 야자수나무 형태로 제조되며, 연결 헤드부(14)가 도 22 및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1)의 표면을 향해 굴곡되는 경우,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형태는 그러한 형태로 제조된다.
또한, 성형 장치에서 진동속도가 제어장치(106a)에 의해 규칙적으로 변화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요소(12)의 연결 헤드부(14)와 스템(13)의 성형방향으로의 각각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의 높이를 변화시키므로써 높이가 다른 연결요소를 다르게 동시성형할 수도 있다. 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다른 연결요소(12a, 12b)가 시트형 베이스부재(11)상에 성형되는 경우, 이들은 결합되는 암형부재의 루프의 높이가 다르다 할지라도 서로를 보완하며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연결력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는 전형적인 실시예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규칙적인 변화없이 제어장치(106a)에 의해 진동 속도의 제어부에서 진동 속도를 임의로 변화시키는 경우, 성형방향으로 상호인접한 연결요소(12)는 그 두께를 임의로 변화시킨다.
도 26 내지 도 31 에 도시된 성형 면 파스너(10)는 이들은 본 발명의 성형장치의 제 1 실시예와는 상이한 본 발명의 성형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의해 성형된다. 이와 같은 성형 면 파스너(10)는 상술한 파스너와는 달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지 않지만, 각각의 모든 연결요소(12)는 성형방향에 평행하게 직선상에 배치된다. 즉, 각 연결요소(12)의 연결헤드부(14)는 성형장치와 평행하게 돌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먼, 예를 들어 도 26 및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방향으로 상호인접한 연결요소(12)는 직선상에 배치되어 평행사변형태로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거울대칭상으로 성형된다. 그러나, 각각의 평행사변형의 장측은 성형방향에 평행하다. 또한, 각각의 단측은 성형방향에 대해 일정한 횡단각(θ)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성형방향으로 상호인접한 상기 단측은 상술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지그지그 상태를 취한다. 도 28 내지 도 31 에 따르면,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술의 실시예와 유사한 다양한 형태를 갖는 연결요소(12)를 성형할 수도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연결요소(12)의 모든 형태는 본 발명의 성형방법과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특이한 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연결요소(12)는 독립적으로 시트형 베이스부재(11)의 표면상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각각의 연결요소(12)의 전체 형태는 라운드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리브 절단과 베이스재료 드로잉에 의해 얻었던 종래 연결요소에 비해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한다. 도 26 내지 도 31 에 도시된 연결요소의 형태는 제 1 실시예의 장치에서 제 1 압출노즐(101)과 제 2 압출노즐(103)을 대체하므로써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성형은 제 1 압출노즐(101)의 압출구멍의 일부가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2b)를 갖도록 제조되고 제 2 압출노즐(103)의 압출구멍(109)의 일부가 연결요소 성형개구(109a)가 되도록 실행되어야 한다.
하기에 도 32 내지 도 39 를 참조하여 이제 도 26 에 도시된 형태를 취하는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 원리에 대해 서술될 것이다. 압출장치(110)로부터 압출된 성형수지는 제 1 압출노즐(101)의 압출구멍(102)을 통과할 것이다. 이때, 제 2 압출노즐(103)은 고정상태에서 제 1 압출노즐(101)의 전방면과 접촉될 동안 측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이제, 제 2 압출구멍(109)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9a)의 헤드부 성형개구(109a-2)가 제 1 압출구멍(102)의 사각형 개구(102b)의 단부에 도달된 후에도 제 2 압출노즐(103)은 도 32 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그 방향으로 계속 미끄러진다(도 33A 참조). 스템부 성형개구(109a-1)가 사각형 개구(102b)에 도달될 때가지, 헤드부 성형개구(109a-2)의 한쪽에서의 돌출부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므로, 용융수지재료의 양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연결 헤드부(14)의 한쪽에서 돌출부의 형태는 예리한 단부를 포함하는 쐐기형태를 취하도록 성형되며, 상기 쐐기 형태에서 그 단측은 성형방향에 대해 일정한 횡단각(θ)을 가지며 그 장착은 성형방향에 평행한 직선으로 된다(도 34B).
도 35A 에 있어서, 제 2 압출노즐(103)의 스템부 성형개구(109a-1)가 사각형개구(102b)를 횡단하기 위해 그 미끄럼 운동을 계속할 때, 수지 압출방향에 대해 각도(θ)로 경사진 평행사변형 단면을 갖는 스템부는 사각형 개구(102b)를 통과하는 용융수지에 의해 성형되며, 연결 헤드부(14)는 사각형 개구(102b)의 폭으로 성형방향으로 선형압출이 자속된다(도 36 및 도 37 참조). 상기 횡단각(θ)은 제 2 압출노즐(103)의 작동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연결요소 성형개구(109a)가 동일한 방향으로 그 미끄럼 동작을 계속하여 그 스템부 성형개구(109a-1)가 사각형 개구(102b)를 통과할 때, 사각형 개구(102b)를 통과하는 수지의 양은 중첩부와 헤드부 성형개구(109a-2)의 다른쪽에서의 돌출부의 형태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되며, 평행사변형의 단면의 일부가 형성된다(도 38). 헤드부 성형개구(109a-2)가 사각형 개구(102b)를 완전히 통과하였을 때, 단일의 연결요소(12)가 완전히 성형된다(도 39 참조).
상술한 동작이 완료되어 연결요소(12)가 성형될 때, 제 2 압출노즐(103)은 상기 미끄럼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방향으로의 이러한 이동중, 이미 성형된 연결요소(12)와는 거울대칭인 것으로 가정되며 이전의 미끄럼 동작중 성형된 연결요소의 역방향 형태를 갖는 평행사변형의 횡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연결요소(12)는 그 장측이 성형방향에 평행하게 성형된다.
따라서, 제 2 압출노즐(103)이 그 왕복운동을 반복할 때마다, 측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결요소(12)와 베이스부재(11)는 성형방향에 평행인 연결헤드부(14)의 장측과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장치와 유사하게, 제 2 압출노즐(103)로부터 압출되어 연속적으로성형되는 성형 면 파스너(10)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각 실린더(111)의 원주면에 도입되어, 절반 정도 회전한 후에, 픽업 롤러(112)에 의해 픽업되어 공급 롤러(113)를 통해 다음 단계나 권취부로 이송된다.
도 40 내지 도 4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성형방법을 실현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0 은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배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41 은 성형장치의 제 1 및 제 2 압출노즐이 배치되는 방법을 도시학는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42 는 각각의 압출노즐의 확대단면도이며, 도 43 은 압출장치의 다이의 전방면에 배치된 본 실시예의 냉각 실린더의 정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냉각실린더(114)는 설정된 간극으로 압출장치(110)의 압출다이(110a)와 대면하여 제공된다. 압출 다이(110a)의 팁 부분의 하부면에는 제 2 압출노즐(123)과 상기 제 2 압출(123)의 작동기구가 조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고정된 측의 제 1 압출노즐(121)의 압출구멍(122)은 독립적으로 배치된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22b)를 가지며, 제 2 압출노즐(123)의 압출구멍(129)은 연결요소 성형개구(129a)를 갖는다. 각각의 사각형 개구(122b)와 연결요소 성형개구(129a)는 절단된 팁을 가지므로, 제 1 실시예에서 연결부(109c)와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에 대응하는 압출구멍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 제 1 압출노즐(121)은 제 1 실시예의 장치에서 가압 패널(107)에 대응하는 가압 보드(127)가 일체로제공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도 4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압출노즐(123)은 상기 가압 보드(127)와 제 1압출노즐(121) 사이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1 실시예의 장치에서 연결부(109c)와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에 대응하는 압출구멍은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시트형 베이스부재(11)가 도 4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실린더(114)에 대해 시트형 베이스부재(11)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극(D)을 형성하므로써 연결요소(12)와 함께 연속적으로 성형되기 때문이다. 또한, 냉각은 냉각 실린더(114)의 원주면상에서 회전하면서 제 1 및 제 2 노즐(121, 123)이 통과하여 성형이 실행되는 시기에 이미 시작되었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는 이와 같은 대형 수축이 그 재료에 따라 성형 제품의 폭 방향으로 성형제품에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4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냉각 실린더(114)의 원주면의 단부에서는 앵커부재(15)를 성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동(115)이 설정된 피치로 그 원주방향으로 2열로 형성된다. 앵커부재(15)를 성형하기 위한 서로 인접한 2열의 공동(115)은 지그재그 형식으로 상호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장치에 의해, 압출다이(110a)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는 냉각 실린더(114)의 원주면에 직접 도입되므로, 그 점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냉각 실린더(114)의 원주면에 고착되어 실린더(114)의 회전에 의해 다이(110a)의 하부로 안내되며, 고정측에서 제 1 압출노즐(121)의 압출구멍(122)을 통과한 후에, 그 일부는 냉각 실린더(114)의 축선과 평행하게 왕복운동하는 제 2 압출노즐(123)의 압출구멍(129)을 통과한다. 이때, 도 2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취하는 본 발명의 성형 면 파스너(10)는 상술한 성형 원리에 따라 성형된다.
또한, 성형 면 파스너(10)의 성형과 동시에, 앵커부재(15)가 도 4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실린더(114)에 형성된 앵커부재 성형용 공동(115)을 사용하여 연결요소(12)가 성형되지 않는 반대쪽의 시트형 베이스부재(11)의 표면상에서 면 파스너의 폭방향으로 양단부에 성형된다. 각각의 앵커부재(15)의 형태는 단일의 선형 형태이지만, 인접한 앵커부재(15)의 각각의 쌍이 그 팁을 향해 베이스 단부로부터 상호 분리되는 경사진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부재(15)가 성형되는 베이스부재(11)의 일부는 절단되어 하기 마무리 단계에서 제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압출노즐(123)이 왕복운동함에도 불구하고, 제 2 압출노즐(123)은 고정되고, 제 1 압출노즐(121)이 왕복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압출노즐(121)과 제 2 압출노즐(123)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으므로 이들은 상호 횡단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작동속도를 임의로 제어하고 변화시키기 위해 압출노즐(123)의 작동속도를 변화시키고 제어하는 제어부(106a)가 제 2 압출노즐(123)의 작동기구에 제공되는 경우, 단위시간당 스템부 성형개구(129a-1)와 헤드부 성형개구(129a-2)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의 양은 성형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방향으로 두께가 다른 연결 헤드부(14)를 갖는 연결요소(12)의 집단은 베이스부재(11)의 동일한 표면상에 성형방향으로 혼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서 제 2 압출노즐(123)에 열을 지어 측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29a)의 높이가 제멋대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경우, 도 3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 베이스부재(11)의 폭방향으로 측부 대 측부 관계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12)의 높이는 상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출노즐(101, 121, 103, 123)의 왕복속도를 변화시키고 제어하는 동시에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 129a)의 높이를 열(row)에서 측방향으로 상이하게 하므로써, 연결헤드부(14)의 성형방향으로의 두께와 연결요소(12)의 높이가 다른 연결요소(12)를 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면 파스너에 있어서, 시트형 베이스부재에 성형된 연결요소(12)는 독립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베이스부재와 함께 베이스부재상에서 압출되는 연결요소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리브 부재가 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리브가 주어진 피치로 면 파스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된 후 베이스부재가 각각의 연결요소로 분리되어 인출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종래 성형 면 파스너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면 파스너(10)는 탁월한 촉감을 가지며, 또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연결요소(12)는 베이스부재(11)의 동일한 표면에 혼합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크기가 다른 루프가 혼합배치되는 대응의 루프부재에 대해서도 필요한 연결비율과 연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 파스너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와 성형방법을 사용하여 단일 단계로 연속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성형장치와 방법에 비해, 장치의 공간 감축성과 생산성이 개선되며,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동일한 종류의 성형장치를 일부만 개선하기 때문에 비용의 부담도 감소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36)

  1. 시트형 베이스부재(11)와 복수개의 연결요소(12)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 면 파스너(10)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
    압출장치의 압출 다이를 통해 용융수지 재료의 압출방향으로 하류측에 배치된 제 1 압출노즐(10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압출구멍(102)으로부터 용융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압출노즐(101)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 재료를 제 1 압출 상기 제 1 압출구멍(102)에 대응하며 노즐(101)의 전방면에 배치되어 제 2 압출구멍(109)이 설치된 제 2 압출 노줄(103)을 통과시키는 단계와,
    서로 대면하고 있는 각각의 압출구멍(102, 109)이 상호 횡단하는 방식으로 폭방향으로 제 1 압출노즐(101)과 제 2 압출노즐(103)을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1 압출구멍(102)과 제 2 압출구멍(109)은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2b, 109b)를 포함하며, 나머지 압출구멍(109, 102)은 사각형 개구(102b, 109b)에 대응하도록 연결요소 성형개구(109a, 10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출구멍(102)은 연결요소 성형 개구(102a)를 가지며, 제 2 압출구멍(109)은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를 가지며,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9b)의 각각의 원주는 압출방향으로 하류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압출노즐(103)은 제 1 압출노즐(101)의 전방면상에서 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압출구멍(102)은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2b)를 가지며, 제 2 압출구멍(109)은 연결요소 성형 개구(109a)를 가지며, 상기 연결요소 성형 개구(109a)는 압출방향으로 하류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진 표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 2 압출노즐(103)은 제 1 압출노즐(101)의 전방면에서 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압출노즐(101)과 직렬인 제 2 압출노즐(103)은 압출 다이와 밀착접촉되며, 용융수지 재료는 압출장치로부터 제 1 압출노즐(101)로 직접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압출노즐(103)을 통과하는 용융수지 재료를 냉각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원주면에 시트형 용융수지층을 성형하기 위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각 실린더의 원주면상에 압출장치로부터 용융수지재료를 압출하는 단계와, 용융수지층의 하류측에 냉각 실린더(114)와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 1 및 제 2 압출노즐(101, 103)에 시트형 용융수지층을 도입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연결요소(12)가 성형되지 않은 시트형 베이스부재(11)의 대향 엣지부상에 복수개의 앵커부재(15)를 축방향으로 좌우측 원주부에서 냉각 실린더(114)에 형성된 앵커부재 성형개구(115)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압출구멍(102, 109)의 각각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는 T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압출구멍(102, 109)의 각각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는 Y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압출구멍(102, 109)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에서의 각각의 헤드부 성형 개구(102a-2, 109a-2)의 팁은 베이스부재 성형개구를 향하여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단계에서 진동 속도는 규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단계에서의 진동 속도는 임의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측부 대 측부 관계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의 높이는 나머지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의 높이와는 상이하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방법.
  14. 시트형 베이스부재(11)와 연속적으로 일체성형된 복수개의 연결요소(12)를 갖는 성형 면 파스너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요소(12)는 시트형 베이스부재(11)의 표면에 직립되어 있는 스템부(13)와 상기 스템부(13)의 단부로부터 성형 방향으로 전방돌출된 헤드부(14)를 포함하며, 성형방향으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 연결요소(12)의 각각의 쌍은 거울 대칭형태를 취하며, 성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인접하여 배치된 연결요소의 각각의 쌍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돌출되는 연결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 파스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θ)는 0°이며, 성형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된 연결 헤드부(14)의 돌출방향의 축선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 파스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θ)는 0°< θ ≤ 90°의 범위에 있으며, 연결 헤드부(14)의 돌출방향의 축선은 각각의 스템부(13)의 중앙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상기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 파스너.
  17. 제 14 항에 있어서, 연결요소(12)의 수직 단면은 T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 파스너.
  18. 제 14 항에 있어서, 연결요소(12)의 수직 단면은 Y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 파스너.
  19.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헤드부(14)의 팁은 베이스부재(11)의 표면을 향해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 파스너.
  20. 제 14 항에 있어서, 성형방향으로 각각의 스템 두께와 성형방향으로 상호인접배치된 연결요소(12)의 연결 헤드부(14)의 돌출 길이는 성형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 파스너.
  21. 제 14 항에 있어서, 성형방향으로의 각각의 스템 두께와 성형방향으로 상호인접배치된 연결요소(12)의 연결 헤드부(14)의 돌출 길이는 성형방향으로 임의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 파스너.
  22. 제 14 항에 있어서, 성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상호인접하여 배치된 베이스부재(11)로부터 상부까지의 연결요소(12)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 파스너.
  23. 시트형 베이스부재(11)와 복수개의 연결요소(12)를 연속적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 장치(100)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압출노즐(102)을 갖는 제 1 압출노즐(101)과,
    상기 제 1 압출구멍(102)에 대응하는 제 2 압출구멍(109)을 가지며 상기 제 1 압출노즐(101)의 전방면에 배치된 제 2 압출노즐(103)과,
    대응의 압출구멍(102, 109)이 상호교차되도록 상기 제 1 압출노즐(101)과 제 2 압출노즐(103)을 진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제 1 압출구멍(102)과 제 2 압출구멍(109)은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길이방향 사각형 개구(102b, 109b)를 포함하는 압출구멍이며, 나머지 압출구멍(109,102)은 상기 사각형 개구(102b, 109b)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연결요소 성형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링크(105)를 통해 제 1 압출노즐(101)이나 제 2 압출노즐(103)에 연결된 크랭크 메카니즘(1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제 1 압출노즐(101)이나 제 2 압출노즐(103)에 고정된 캠 접촉자(105a')와, 상기 캠 접촉자(105a')와 접촉되는 캠(1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진동 수단의 진동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10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제 1 압출구멍(102)은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를 포함하고, 제 2 압출구멍(109)은 길이방향의 사각형 개구(109b)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형 개구(109b)의 원주는 압출방향의 하류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압출노즐(103)은 진동 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제 1 압출구멍(102)은 길이방향의 사각형 개구(102b)를 가지며, 제 2 압출구멍(109)은 연결요소 성형개구(109a)를 가지며, 연결요소 성형개구(109a)의 원주는 압출방향의 하류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압출노즐(103)은 진동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측부 대 측부 관계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중 적어도 하나의 성형개구의 높이는 나머지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의 높이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30. 제 23 항에 있어서, 제 1 압출노즐(101)은 압출장치의 다이와 직렬로 배치되며, 제 2 압출노즐(103)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 성형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은 제 2 압출노즐(103)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냉각 실린더(114)는 압출장치의 다이와 대면하며, 냉각 실린더(114)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상에서 상기 제 1 압출노즐(101)과 제 2 압출노즐(103)은 베이스부재(11)의 두께와 동일한 간극으로 냉각 실린더(114)의 외주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32. 제 23 항에 있어서, 냉각 실린더(114)는 압출장치의 다이와 대면하며, 냉각 실린더(114)의 회전방향 하류측에서 제 1 압출노즐(101)과 제 2 압출노즐(103)은 베이스부재(11)의 두께와 동일한 간극으로 냉각 실린더(114)의 원주면과 대면하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앵커부재 성형개구(115)는 축방향으로 냉각 실린더(114)의 좌우측 원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34. 제 23 항에 있어서, 압출구멍(102, 109)의 각각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는 T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35. 제 23 항에 있어서, 압출구멍(102, 109)의 각각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는 Y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36. 제 23 항, 제 34 항, 제 3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출구멍(102, 109)의 각각의 연결요소 성형개구(102a, 109a)에서 헤드부 성형개구(102a-2, 109a-2)의 팁 부분은 베이스부재 성형개구(102c, 109c)를 향해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성형장치.
KR1019990012819A 1998-04-13 1999-04-12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와 그 성형장치 KR100314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01363 1998-04-13
JP10136398A JP3505084B2 (ja) 1998-04-13 1998-04-13 成形面ファスナーの成形方法、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136A KR19990083136A (ko) 1999-11-25
KR100314593B1 true KR100314593B1 (ko) 2001-11-17

Family

ID=1429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819A KR100314593B1 (ko) 1998-04-13 1999-04-12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와 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20048648A1 (ko)
EP (1) EP0950363B1 (ko)
JP (1) JP3505084B2 (ko)
KR (1) KR100314593B1 (ko)
CN (1) CN1077020C (ko)
BR (1) BR9901714A (ko)
DE (1) DE69905786T2 (ko)
HK (1) HK1022667A1 (ko)
ID (1) ID22412A (ko)
TW (1) TW4318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6281A (en) * 1998-06-16 2000-05-23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products and their production
CA2474995C (en) 2003-07-07 2011-11-22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method of configuring control information there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thereof
TW200618999A (en) * 2004-12-08 2006-06-16 Spring Rich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hook fasteners
US20080239405A1 (en) * 2007-03-27 2008-10-02 Clarence Thornton Double sided fax machine
EP3112125A1 (en) * 2015-07-02 2017-01-04 FRANK KUNSTSTOFFTECHNIK GmbH Extrus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ore versatile extrudates
JP6422135B2 (ja) * 2017-02-15 2018-11-14 株式会社内藤ハウス 面ファスナ及びこの面ファスナを用いた壁面施工法
US20220386746A1 (en) * 2021-06-04 2022-12-08 Yi-Wen Tang Fastening stra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0478A (fr) * 1960-12-28 1962-11-30 Fabrication continue de feuilles et de tubes de structure lacunaire, et notamment réticulée
US3422648A (en) * 1961-10-02 1969-01-21 Jerome H Lemelson Extrusion apparatus
NL285479A (ko) 1961-11-14
US3266113A (en) * 1963-10-07 1966-08-16 Minnesota Mining & Mfg Interreacting articles
US3594865A (en) * 1969-07-10 1971-07-27 American Velcro Inc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shapes in molding recesses formed in moving endless wire dies
FR2082591A5 (en) * 1970-03-20 1971-12-10 Velcro France Separable plastic fixing bands - prepd by continuous extrusion and subvision
US4001366A (en) * 1972-01-03 1977-01-04 Ingrip Fasteners Inc. Method for making self-gripping devices having integral trains of gripping elements
US3932090A (en) * 1973-01-31 1976-01-13 Ingrip Fasteners, Inc. Adjustable extrusion apparatus for producing thread-like products
US4344654A (en) 1979-01-29 1982-08-17 Apezynski Frederick A Wheel trim retention
US4725221A (en) * 1986-05-23 1988-02-16 John H. Blanz Company, Inc. Improved machine for continuously producing an element of a separable fastener
JPH07106164B2 (ja) 1986-07-30 1995-11-15 株式会社クラレ 雄面ファスナー
US5011642A (en) * 1987-06-05 1991-04-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extruded article
US6066281A (en) * 1998-06-16 2000-05-23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products and their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55661A1 (en) 2001-12-27
DE69905786D1 (de) 2003-04-17
HK1022667A1 (en) 2000-08-18
EP0950363B1 (en) 2003-03-12
EP0950363A1 (en) 1999-10-20
CN1077020C (zh) 2002-01-02
KR19990083136A (ko) 1999-11-25
DE69905786T2 (de) 2003-12-04
CN1234330A (zh) 1999-11-10
JPH11290104A (ja) 1999-10-26
ID22412A (id) 1999-10-14
TW431868B (en) 2001-05-01
BR9901714A (pt) 2000-09-26
JP3505084B2 (ja) 2004-03-08
US6706229B2 (en) 2004-03-16
US20020048648A1 (en)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177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and molding method and molding apparatus of the same
CN1079219C (zh) 制造表面扣件的方法和装置
US5851467A (en) Molded surface faste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980000866A (ko) 성형 면파스너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999067A (en) Method for making a hermaphrodite hook and loop fasteners
KR100314593B1 (ko) 성형 면 파스너의 성형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와 그 성형장치
US6066281A (en) Fastener products and their production
US6357087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and molding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therefor
CN1108998A (zh) 表面搭扣的制造方法
CN100345653C (zh) 利用激光器形成具有用于模制钩环紧固元件的型腔的模具的方法以及钩环紧固系统的钩紧固元件
CN100438798C (zh) 整体模制的表面搭扣件及其连续生产方法和连续生产设备
JP2001008712A (ja) 成形面ファスナーの成形装置と成形面ファスナー
US20030115724A1 (e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XPA99003389A (en) Method of molding of bolted surface brazier, molded surface brazier manufactured by the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of mi
JPS62248626A (ja) フイルム伏材料
CA116803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asteners
JP2898126B2 (ja) 係止片群担持連続体
JPH042793Y2 (ko)
JPS61238203A (ja) スライドフアスナ−用連続ジグザグ状エレメントの成形装置
JPH06339970A (ja) 横断面形状が変化する長尺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1087011A (ja) 成形面ファスナーとそ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JPS60217126A (ja) 不均一断面製品の押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