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852B1 - 포스포노메틸디펩타이드,이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약제학적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스포노메틸디펩타이드,이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약제학적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852B1
KR100311852B1 KR1019950704199A KR19950704199A KR100311852B1 KR 100311852 B1 KR100311852 B1 KR 100311852B1 KR 1019950704199 A KR1019950704199 A KR 1019950704199A KR 19950704199 A KR19950704199 A KR 19950704199A KR 100311852 B1 KR100311852 B1 KR 100311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compound
aryl
hydroge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1088A (ko
Inventor
위그도르시몽
마르끄비고
Original Assignee
슈테펜엘.네스비트
메렐 파마슈티칼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테펜엘.네스비트, 메렐 파마슈티칼스 인크. filed Critical 슈테펜엘.네스비트
Publication of KR96070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191Dipeptides containing heteroatoms different from O, S, or 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5Protease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도텔린 전환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이에 반응하는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포스포노메틸 진기가 부착되어 있는 디펩타이드 및 이의 동족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스포노메틸디펩타이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포스포노메틸 잔기를 지닌 디펩타이드 및 이의 동족체,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사용된 중간체 및 엔도텔린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엔도텔린 전환 효소를 억제하므로 엔도텔린 생성의 억제에 반응하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발명의 배경
내피세포에서 발견되는, 거대 엔도텔린(Big Endothelin) 펩타이드는 효소인 엔도텔린 전환효소(ECE)에 의해 분해되어 엔도텔린 펩타이드로 된다. 엔도텔린은 21개 아미노산으로된 혈관 수축 인자(vasoconstrictor)이며, 내피세포, 사구체 맥관막 세포, 신장세포 및 상피 세포에 의해서 및 다양한 사람 암세포주와 사람 대식세포에 의해서 생성된다.
생물학적으로, 엔도텔린은 혈관 평활근, 비혈관 평활근, 심장, 신경조직, 신장 및 부신상에서 작용한다. 엔도텔린은 동맥 및 정맥을 수축시키고, 평균 동맥 혈압을 증가시키며, 심장 박출량을 감소시키고, 시험관내에서 심장 수축력을 증가시키며, 시험관내에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사분열을 자극하고, 기니아 피그 기관, 사람 방광 압착 및 시험관내에서 렛트 자궁을 포함한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키고,생체내에서 기도 내성을 증가시키고, 위궤양 형성을 유도하며,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심방의 나트륨 이뇨성 인자의 방출을 자극하고, 바소프레신, 알도스테론 및 카테콜라민의 혈장 수준을 증가시키고, 시험관내에서 레닌의 방출을 억제하며 시험관내에서 고나드로트로핀의 방출을 자극한다(참조: PCT 공개특허공보 WO92/13545).
엔도텔린의 생성 억제제를 사용한 가능한 처방은 심장 혈관 질환(예: 심근 허혈, 울혈성 심부전, 부정맥, 불안정한 앙기나 및 고혈압); 기관지 협착(폐고혈압 및 천식); 뉴론성 작용 질환(뇌 혈관 경련 및 지주막하 출혈); 내분비 질환(자간전증); 신장 질환(급성/만성 신부전); 혈관 질환(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뷰르거 병, 다카야수 동맥염, 레이노 현상 및 당뇨 합병증); 암(특히 폐암); 위 점막 손상(위장병); 및 내독성 쇼크 및 패혈증의 치료를 포함한다[참조: J. Med. Chem. 35(9): 1493-1508 (1992); Neurology 42: 25-31 (1992); and Drug Development Research 26: 361-387 (1992)].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일반식(I)의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체, 이의 수화물, 이의 내부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일반식(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엔도텔린 전환효소의 억제에 의해 개선되는 질환 치료용으로서의 일반식(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H2)m-아릴, R4-C(O)O-CH(R5)-를 나타내거나 내부염이 형성되는 경우 존재하지 않으며, 단 R1및 R2중의 하나가 수소, C1-6알킬 또는 (CH2)m-아릴을 나타내는 경우, 다른 하나는 수소이거나 내부염이 형성되는 경우 존재하지 않고;
R3은 수소, C1-6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또는 (CH2)m-아릴이며;
R4는 C1-10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또는 (CH2)m-아릴이고;
R5는 C1-6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또는 수소이며;
R6은 H이거나 R1및 R2중의 하나가 존재하지 않아 내부염을 형성하는 경우 H2이고;
R7은 CH3또는 H이며;
R8은 H, Br, CH3또는 OCH3이고, 단 R7및 R8중의 하나는 H이며;
Z는 (CH2)m-아릴 또는 C1-12알킬이고;
X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며;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또는 3이고;
n은 1, 2 또는 3이다.
본원에 사용된 특정 용어는 하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탄소수 3 내지 8의 포화 탄소원자 환을 의미한다.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C1-6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티오알콕시, 아리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하이드록시, 할로, 머캅토, 니트로, 카복스알데히드, 카복시, 알콕시카보닐 및 카복스아미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제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C1-6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 t-부틸, n-펜틸, 1-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2-메틸펜틸, 2,2-디메틸프로필, n-헥실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알킬 잔기를 의미한다. C1-10등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낸 탄소원자의 다른 원은 제시된 탄소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을 나타낸다.
일반식(I)의 인돌릴 잔기는 5위치에서 H, Br, CH3또는 OCH3로 치환될 수 있고 [일반식(I)중 R8로 나타냄], 4, 5, 6 또는 7 위치에서 H 또는 CH3로 치환될 수 있다[일반식(I)에서 R7으로 나타냄]. 그러나, R7및 R8중의 하나는 수소이어야 한다.
"아릴"은 페닐, 나프틸,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인다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환이 있는 모노사이클릭 또는 비사이클릭 카보사이클릭 환을 의미한다. 아릴 그룹은 C1-6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티오알콕시, 아미노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하이드록시, 할로, 머캅토, 니트로, 카복스알데히드, 카복시, 카보알콕시 및 카복스아미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쯔비터이온으로서 공지된 "내부염"은 본원의 실시에 1에서 예시한, 양성 및 음성 전하를 띤 분자이다.
"입체이성체"는 공간에서 원자의 배향만이 상이한 개개 분자의 모든 이성체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이다. 이것은 거울상 이성체(에난티오머), 기하(시스/트랜스) 이성체 및 서로 거울상이 아닌 하나 이상의 키랄성 중심이 있는 화합물의 이성체(부분입체이성체)를 포함한다. 아미노산의 경우, L/D 또는 R/S는 협회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참조: IUPAC-IU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Nomenclature, Eur. J. Biochem. 138: 9-37 (1984)].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무독성이며 최종 용도에 적합한 약제학적 제형의 제조시 유용한 유도체인 것으로 공지된 산부가염, 금속염 및 아민염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은 일반식(I)의 염기 화합물의 공지된 무독성의 유기 또는 무기 산부가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염을 형성하는 유기산의 예는 모노-, 디- 및 트리카복실산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산의 예에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글리콜산, 락트산, 피루브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르코르브산, 말레산, 하이드록시말레산, 벤조산, 하이드록시벤조산, 페닐아세트산, 신남산, 살리사이클산 및 2-페녹시벤조산이 있다. 적합한 염을 형성하는 다른 유기산은 메탄설폰산 및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과 같은 설폰산이다. 모노- 또는 디-산염은 유리 염기를 수용액 또는 알콜 수용액 또는 적합한 산을 함유하는 다른 적합한 용매중에 용해하고 용액을 증발시켜 분리하거나, 염이 직접 분리리거나 용액을 농축시켜 수득되는 경우에 유기 용매중에서 유리 염기를 반응시키는 표준 기술로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산부가 염은 수용성이고 다양한 친수성 형태이며, 융점이 높고 안정성이 증가된 것으로 입증된 결정성 물질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금속 및 아민 염은 주위 조건하에서 안정한 염이며, 상기 조건에서 양이온은 염의 생물학적 활성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적합한 금속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바륨, 아연 및 알루미늄 염을 포함한다. 나트륨및 칼륨 염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아민 염은 충분히 염기성이어서 안정한 염을 형성하는 아민으로부터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낮은 독성 및 의약 용도에 있어서의 허용성으로 인해 의화학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아민을 포함한다. 이것은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트리알킬아민 및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벤질-베타펜에틸아민, N-에필-피페피딘, 벤질아민 및 디사이클로헥실아민을 포함하는 아민을 포함한다.
"수화물"은 연합된 H2O분자 형태의 물을 지닌 분자이다.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 또는 "치료법"은 환자의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킴을 의미한다.
"환자"는 예를 들면, 랫트, 마우스, 개, 고양이, 기니아 피그, 영장류 및 사람과 같은 온혈 동물을 언급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미 공지되어 있거나 표준 방법 및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시제를 사용하여, 당해 분야에 공지된 유사한 화학 반응을 적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필수적으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하기 반응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기 반응도식에서, 하기 용어는 다음의 의미를 지닌다:
"L"은 이탈 그룹을 의미한다. 적합한 이탈 그룹은 트리플레이트, 알킬 또는 아릴 설포네이프(예: CF3SO2O,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및 할라이드(Br, Cl 또는 I)를 포함한다.
"Pg"는 적절한 보호 그룹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목적하지 않은 화학반응에민감한 질소 또는 산소와 같은 원자에 대한 보호 그룹에 적용된다. 적절한 보호 그룹은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한 문헌[참조: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nd ed., Teodora W. Greene,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1]으로부터 알 수 있다.
R1, R2, R3, X 및 Z는 전술한 의미를 나타낸다. R1', R2', R3' 및 R4'는 각각 보호 그룹(Pg)이다. Pg가 수소를 제외한 R1, R2또는 R3일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디펩타이드 구조는 3급-부틸옥시카보닐(BOC)과 같은 적절한 보호그룹을 갖는아미노산을 적합한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펩타이드 에스테르와 커플링시켜 펩타이드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 잘 공지된 방법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것은 카복실레이트를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로 활성화하거나, 달리는 혼합 무수물방법에 따른 방법을 포함한다. 유리 아민을 생성시키는 BOC의 선택적인 탈보호는 염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포름산의 에테르성 용액을 사용하여 달성시킬 수 있다. 펩타이드 결합의 형성 예는 예를 들면, 본원에서 참조한 문헌(참조: PEPTIDE CHEMISTRY, A PRACTICAL TEXTBOOK, by Miklos Bodansky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1988)에서 찾을 수 있다. 출발물질은 시판되는데, 예를 들어 알드리히사(Aldrich)에서는 디벤질포스파이트, 디에틸포스파이트, 디프로필포스파이트 및 디부틸포스파이트를 공급한다. 스위스연방공화국 소재의 바켐사(Bachem)에서는 BOC-Leu; Leu-OMe, HCI; BOC-Phe-OH; BOC-HomoPhe-OH, BOC-D-Leu, 1120; 및 Trp-OBz, HCl을 시판한다.
R7및 R8중의 하나가 수소이외의 것인 인돌릴 잔기를 지닌 디펩타이드는 Aldrich Chemical Co.(Milwaukee, Wisconsin 소재)로부터 입수한 아미노산(5-브로모트립토판, 5-메톡시트립토판 또는 5-메틸트립토판), Sigma chemical co.(U.S.A.소재)애서 입수한 아미노산(4-메틸트립토판 또는 7-메틸트립토판) 및 Fluke Chemical Co.(Switzerland 소재)에서 입수한 아미노산 (6-메틸트립토판)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응도식 A에 따르면, 포스포노메틸 잔기의 도입은 에이. 포우카드의 방법[참조: A. Foucaud; Synthesis 916 (1982)]의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폰산 에스테르를 이용한다. 하이드록실 작용기는 이탈 그룹(L)(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네이트로서 활성화되며, 일반적으로 R3'로서 나타낸 에스테르로서 이의 카복시-말단이 보호된 디펩타이드(4)의 아미노-말단으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폰산 에스테르(2)는 -60 내지 0 ℃ 범위의 저온에서 비양성자성 용매, 예를 들면 CH2Cl2, 테프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중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네이트로서 활성화된다. 양성자는 입체적으로 차단된 염기(예: 2,6-루티딘) 또는 금속 수소화물(예: 수소화나트륨)로 중화시킨다.
디펩타이드(4)는 0 내지 40 ℃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3일간의 반응시간 동안 비양성자성 용매중 (4)의 용액을 가함으로써 활성화된 포스포노에스테르(3)와 반응시킨다.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형성을 위한 유사 염기도 사용된다. 헥사메틸 포스포르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가함으로써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응도식 B에 나타낸 다른 경로로써, 보호된 중간체(5)를 아미노산 에스테르 (6)과 반응시켜 포스포노메틸아미노산 에스테르(7)를 제조함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에스테르(7)는 탈-에스테르화되고 아미노 에스테르(8)과 커플링되어 보호된 포스포노메틸디펩타이드(1.1)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보호된 중간체(5)를 (3) 및 (4)의 반응에서와 유사한 조건하에 아미노산 에스테르(6)과 반응시켜 포스포노메틸아미노산 에스테르(7)을 제조한다. 에스테르(7)는 수성 메탄올, 수성 메톡시-에탄올 또는 수성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실온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염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리튬으로 탈-에스테르화한다.
아미노 에스테르(8)는 (7)에서 기원한 탈-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와 커플링시켜 카복실레이트를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로 활성화시키거나, 혼합 무수물을 형성시키거나(예를 들면,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사용),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DPPA)를 사용하여 아실아지드를 형성시킴으로써 보호된 포스포노메틸디펩타이드 (1.1)를 제조한다. 이렇게 형성된 활성 에스테르의 특성에 따라, 아미노 에스테르와의 반응이 -20 내지 40℃ 에서 일어난다. 아실아지드는 -10 내지 10 ℃에서 반응한다. 반응시간은 1시간 내지 3일간으로 다양하다.
다음 보호된 포스포노-메틸디핍타이드(1.1)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탈보호시킬 수 있다. 모든 보호 그룹이 벤질인 경우, 일반식(I)의 완전히 탈보호된 화합물(1.3)은 이상 시스템중 염기성 조건하에서 가수소분해에 의해 편리하게 수득된다. 일반식(I)의 화합물의 부분적 탈보호(1.2 또는 1.4)는 가수소분해, 희석산 또는 희석염기의 작용 또는 트리메틸실릴 할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의 특정예 및 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이 어떠한 방식이든 이들 예시로써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화합물의 다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1
N-(N-포스포노메틸-L-류실)-L-트립토판
단계 A :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L-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5㎖)중 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탄올(372mg)을 새로이 증류한 2,6-루티딘(0.36㎖) 및 -50 ℃로 냉각시킨 트리플산 무수물(0.25㎖)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10㎖)에 서서히 가한다. 이 혼합물을 -50℃에서 10분간 교반하고 온도가 1시간동안 0℃로 가온되도록 한다.
분리없이, 이렇게 형성된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산에 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 에스테르를 0℃에서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5㎖)중 유리 아민으로서의 L-류실-L-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500mg)에 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교반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진공하에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 오렌지색 오일(1.60g)을 수득하고 실리카 겔(55g, 230 내지 400메쉬)상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표제 화합물을 1/1 내지 1/0의 비율로 변하는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혼합물로 용출시킨다. 용매를 증발시켜 무색 오일(240mg)을 수득한다.31P NMR: CDCl3δ(상대적 강도 H3PO4) 27.0ppm에서 다중선(8개 라인) (J=9Hz)
단계 B :
N-(N-포스포노메틸-L-류실)-L-트립토판
에틸 아세테이트(10㎖) 및 탄산수소칼륨(89mg)의 수용액(10㎖)의 이종 혼합물중 목탄상 10% 팔라듐(40mg)및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L-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240mg)을 실온에서 수소하 정상압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촉매를 여과한다. 수성층을 분리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여과 및 동결건조시켜 백색 분말(192mg)을 수득한다. 이 물질을 물(10㎖)중에 재용해하고 수성 염산(N/10, 11㎖)을 서서히 가함으로써 중화시킨다. 수득되는 침전물을 수집하고 진공하 건조시켜 백색 분말로서 표제 화합물(115mg)을 수득한다.
31P NHR: DMSO δ(상대적 강도 H3PO4) 14ppm에서 다중선
C18H26N3O6P, 1.2H20에 대한 원소분석:
실시예 2
N-(N-벤질옥시아이드록시포스피닐메틸-L-류실)-L-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
에틸 아세테이트(5㎖)중에 용해시킨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L-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100mg)(실시예 1, 단계 A)를 목탄상 팔라듐(10%, 15mg)위에서 정상압하 실온에서 8시간 동안 수소화한다. 이 혼합물을 여과하고 이렇게 수득된 고체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70mg)을 수득한다.
31P NMR: CD3OD δ (상대적 강도 H3PO4) 9.6ppm에서 다중선
C23H38N3O6P, 0.5H2O에 대한 원소분석:
실시예 3
N-(N-벤질옥시하이드록시포스피닐메틸-L-류실)-L-트립토판
에탄올(5㎖)중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L-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100mg)(실시예 1, 단계 A)의 용액을 수산화칼륨 수용액(0.30㎖, 1N)으로 처리한다. 실온에서 4일간 계속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된 후, 이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물중에 재용해하며 희석 염산을 첨가하여 침전시킴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회수한다.
실시예 4
N-(N-포스포노메틸-L-류실)-DL-호모트립토판
단계 A :
L-류실-DL-호모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
에틸 4-(β-인돌릴)-2-케토부티레이트를 에탄올중에 용해한 후 과량의 수성농축 암모니아 및 10% Pd/C를 가한다. 이 혼합물을 5bar의 가압장치내에서 수소화 한다.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중 증발시켜 조 물질을 수득하고 이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에서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와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을 사용하여 N-3급-부틸옥시카보닐-류신에 커플링시킨다. 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로 제거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수득한 조 펩타이드를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N-3급-부틸옥시카보닐-L-류실)-DL-호모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를 수득한다. 포름산과 반응시키고 수성 탄산나트륨/에틸 아세테이트로 유리 염기를 추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단계 B :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DL-호모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L-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의 제조에 대해 기술된 방법(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단계 C :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DL-호모트립토판
2-메톡시에탄올중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DL-호모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의 용액을 수산화리튬 수용액(1당량, 2-메톡시에탄올/물: 9/1의 용적비)으로 처리한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산성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단계 D:
N-(N-포스포노메틸-L-류실)-DL-호모트립토판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DL-호모트립토판을 수소화시킨 후 N-(N-포스포노메틸-L-류실)-L-트립토판의 제조에 대해 기술된 방법(실시예 1)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5
N-[N-디-(피발로일옥시메틸)-포스포닐)-류실]-L-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
단계 A :
N-(N-포스포노메틸-L-류실)-L-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포스포노메틸-N-류실)-L-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의 용액을 실온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중 트리메틸실릴 브로마이드로 처리한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사를 물로 처리하고, 여과 및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단계 B:
N-[N-(디-(피발로일옥시메틸)-포스포닐)-류실]-L-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
톨루엔중 N-(N-포스포노메틸-L-류실)-L-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 및 18-크라운-6의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칼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2당량)로 처리한다. 이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요오도메틸피발레이트(2당량)와 반응시킨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며, 건조, 농축 및 실리카 겔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6
N-(N-피발로일옥시메틸옥시하이드록시포스피닐-L-류실)-L-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
에탄올중 N-[N-(디-피발로일옥시메틸)-포스포닐)-류실]-L-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의 용액을 0 ℃에서 냉각시키고 수산화나트륨(1당량)을 적가한다. 15분간 계속 교반하고 반응 혼합물을 1N 염산(1당량)으로 중화시킨다.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잔사를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냉수사이에 분배시킨다. 유기충을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킨다. 포스폰산 모노에스테르를 실리카 겔상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실시예 7
N-(N-포스포노메틸-L-류실)-DL-5-메틸트립토판, 삼칼륨염
단계 A :
DL-5-메틸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메탄올중에 용해된 DL-5-메틸트립토판(2.03g)을 실온에서 4시간동안 디-3급-부틸 디카보네이트(2.17g) 및 트리에틸아민(1.02g)과 반응시킨다. 이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물로 추출한다. 수성층의 pH를 희석 염산으로써 pH 2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며 용매를 증발시켜 백색 고체로서 N-(3급-부톡시카보닐)-DL-5-메틸-트립토판을 수득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아세토니트릴(1/1, 100㎖)의 혼합물중에 용해된 N-(3급-부톡시카보닐)-DL-5-메틸-트립토판(2.72g)을 0℃에서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트(1.80g) 및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수화물(1.31g)과 반응시킨다. 이 혼합물을 벤질 알콜(0.97g)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96mg)을 첨가하기 전에 0℃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한다. 실온에서 1주 동안 계속 교반하고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여과한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5% 수성 시트르산으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수성 중탄산나트륨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며 용매를 증발시켜 조물질을 수득하고 이를 실리카 겔(230 내지 400메쉬, 90g)상에서 정제한다.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4로 용출시켜 백색 고체로서, N-3급-부톡시카보닐)-DL-5-메틸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1.08g)를 회수한다. 이 물질을 포름산중에 현탁하고 실온에서 5시간동안 교반한다. 포름산이 증발된 후 생성된 잔사를 메탄올 및 희석염산의 혼합물중에 용해시키고 증발시켜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단계 B :
N-[N-3급-부톡시카보닐)-L-류실]-DL-5-메틸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
N-(3급-부톡시카보닐)-류신, 수화물(249mg)을 D-L-5-메틸 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344mg)과 염기로서 트리에틸아민(l52mg) 및 커플링제로서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209mg)을 사용하여 실시예 13, 단계 A에 기술된 공정에 따라 커플링시킨다. 조 물질을 백색 고체(472mg)로서 분리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혼합물(329mg)중에서 재결정화시킨다.
단계 C :
N-L-류신-DL-5-메틸트립토판
N-[N-(3급-부톡시카보닐)-L-류실]-DL-5-메틸-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 (321mg)을 전술한 바와 같이 포름산중에서 분해한다. 조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수성 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입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증발시켜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241mg)을 수득한다.
단계 D :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DL-5-메틸-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
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탄올(171mg)을 N-L-류실-DL-5-메틸 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240mg)에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시켜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실리카 겔(85g)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1로 용출시켜 순수한 에틸 아세테이트를 수득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황색 오일(136mg)을 수득한다.
31P NMR: CDCl3δ(상대적 강도 H3PO4) 26.9 및 26.7ppm에서 다중선
단계 E :
N-(N-포스포노메틸-L-류실)-DL-5-메틸트립토판 삼칼륨염
에틸 아세테이트(5㎖)중에 용해된 N-[N-(디벤질옥시포스피닐메틸)-L-류실]-DL-5-메틸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113mg)에 물(5㎖)중 중탄산칼륨(41mg) 및 목탄상 10% 팔라듐(30mg)의 용액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수소하 대기압에서 및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동결건조시켜 베이지식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81mg)을 수득한다.
31P NMR : D2O δ(상대적 강도 H3PO4) 12.2 및 9.8ppm에서 다중선
C19H25N3O6P3K, 2H20에 대한 원소분석 :
계산치 : C : 39.64 H : 5.08 N : 7.30
실측치 : C : 39.39 H : 5.30 N : 7.09
실시예 8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고혈압제로서의 효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하기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숫컷의 스프라그-다울리 랫트(250 내지 300g)을 충분히 공급된 우레탄 (1.25g/kg, 복강내)으로 마취시킨다. 타이곤 카테테르를 우측의 주 경동맥 및 동맥 혈압 측정 및 정맥내 약물 주입을 위한 우측 대퇴 정맥내로 각각 삽입한다. 실험 프로토콜을 개시하기 전 30분간 상기 준비과정이 안정되도록 한다. 동맥압을 데이타 획득 시스템(data acquisition system; Dataflow, Crystal Biotech, U.S.A. 제조원)에 연결된 TA 2000 Gould Stripchart 레코더로 계속 모니터한다.
랫트에 염수 또는 포스포르아미돈 용량(1 내지 100 ㎛ol/kg 범위),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기관 주입물(100㎕/100g, 0.3㎖ 염수로 플러싱시킴)을 정맥에 무작위로 예비처리한다. 5분후, Pro-ET1(1nmol/kg)을 정맥내 거환 주입(10㎕/100g, 0.3㎖ 염수로 플러싱시킴)으로써 투여하고 동맥압에서의 변화를 30분간 기록한다. 어떠한 인공물도 피하기 위하여, 각각의 랫트에서 Pro-ET1을 단지 1회 용량으로 단지 1회 예비처리한다. Pro-ET-1은 고혈압 반응을 유발시키며, 포스포르아미돈은 고혈압 반응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스포그아미돈의 억제 능력에 대해 측정한다.
사람/돼지 Pro-ET1을 Peptide Institute(Osaka, Japan 제조원)로부터 입수하여 0.1% 아세트산중에 용해시킴으로써 10-4M 스톡 용액을 수득하며, 이의 정확한 농도는 7245M-1cm-의 흡광계수를 사유한 280nm에서의 분광폭강법으로 검사할 수 있다. 다음 스톡 용액을 분취량으로 나누고 동결건조시켜 -20 ℃에서 저장한다. 이 펩타이드를 재용해하고 실험 당일에 염수중에 희석시킨다.
실시예 9
지주막하 출혈의 치료시 본 발명 화합물의 효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문헌[참조: Life Sciences 49: 841-848 (1991)]에 사용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10
천식 치료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암 ·수의 하틀리기니아 피그에 특이 항원(오브알부민)에 대해 래빗(IgC) 또는 기니아 피그(IgG 또는 IgE) 내에서 제조된 항 혈청을 심장내 주입시켜 수동적으로 감작화시킨다. 화합물을 감작화시킨 기니아 피그에 실험 계획에 다른 화합물 투여 경로, 용량 및 투여시간으로 투여한다. 이 기니아 피그에게 항원성 용액을 분무 주입시켜 챌린지시킨다. 분무주입 후 지치는 시간 및 5분후 치사율을 기록한다. 음성 대조군은 처리하지 않고 수동 감작화시킨 기니아 피그로 구성되며 이 그룹예서의 치사율은 일반적으로 90 내지 100%이다. 클로르페니르아민 및 사이프로헵타딘을 양성 대조군으로서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 11
울혈성 심부전의 치료시 된 발명의 화합물의 효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문헌[참조: Circulation 82(6); 2226-2230 (1990)]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공정은 시험 동물을 본 발명의 화합물로 예비처리함으로써 변형시킨다.
실시예 12
신부전의 치료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문헌[참조: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21: 77-83 (1992)]에 사용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13
랫트의 뇌 조각중에서의 IP1 형성을 통해 시험관내에서 엔도텔린 전환 효소 (ECE)를 검정한다. 이 검정은 ET-1 효과의 마커로서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전환의 자극을 측정함으로써 pro-ET-1으로부터 작용성 ET-1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을 측정한다.
이론적 해석
엔도텔린-1(ET-1)은 용량-의존성 방식으로, ET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한 포스파티딜 이노시톨의 전환을 자극함이 잘 정립되어 있다(참조: Masaki et al., Circulation, 84: 1457, 1991). ET-1의 전구체, 즉 프로엔도텔린-1(pro-ET-1)은 특이적 포스포르아미돈 민감성 프로테아제, 즉 엔도텔린 전환효소(ECE)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한,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전환을 자극할 수 없다. 뇌 조직은 ET-1 수용체 빛 ECE 모두를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Gulali 및 Srimal, Drug Devel. Res., 26 : 361, 1992). 이 검정에 있어서, 브라운 등의 공정(참조: Brown et al., J. Neurochem., 42: 1379, 1984)을 변형시켜 사용한다.
공정
펩타이드 제조
사람/돼지 ET-1 및 pro-ET-1은 Peptide Institute(Osaka, Japan 제조원)에서 시판되며 0.1% 아세트산 용액에 용해시켜 10-4M 스톡 용액을 수득한다. 이 용액의 정착한 농도를 식 C=A/Lε280[여기서, C는 용액중 펩타이드 농도이고, A는 측정된 흡광도이며, L은 용액의 광학적 통과 길이이고, ε280은 용액중 펩타이드의 흡광 계수(pro-ET-1 및 ET-1의 경우 각각 8370 및 7025M-1cm-1이다)이다]를 사용하여, 280nm에서의 분광광도법으로 검사한다. 다음 스톡 용액을 분취량으로 나누어, 동결건조 시키고 -20℃에서 저장한다. 펩타이드를 재용해하고 실험 당일 물중에 희석시킨다(다른 시험용 펩타이드 또한 이 방법으로 제조한다).
조직 제조
체중이 200 내지 300g인 숫컷 스프라그 다울리 랫트(Charles River, France)를 기절시키고, 참수하여 유리판위에서 뇌를 재빨리 재거한다. 선조체를 빠르게 해부하여 주변 조직을 제거하고 Mcllwain 초퍼의 플라스틱 디스크상에 놓는다. 횡조각을 제조하기 위해, 조직을 0.35mm 두께의 조각으로 절단하고, 90°로 회전하여 다시 절단한다. 이 조각을 생리염수[mM: NaCl 118, KCl 5.0, CaCl2 1.3, KH2PO41.0, MgSO41.2, NaHCO32, 글루코스 10, 카보겐(carbogen)으로 가스를 연속해서 공급)중에 현탁시키고 이노시톨포스페이트의 pro-ET- 및 ET-유도된 형성에 대한 검정시 사용한다.
pro-ET-1에 의한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전환의 자극
6마리의 랫트로부터의 뇌 조각을 카보겐으로 가스를 연속 공급한 완충액중에 현탁한다. 예비 항온처리 기간인 60분 동안, 이 조각을 37 ℃에서의 진탕욕중 용기 세트중에 두고 온화하게 교반하여 이것이 침강되지 않도록 한다. 완충액을 매15분마다 바꾼다. 이 시기에 수지(하기 참조) 500㎕를 소형 컬럼내에 두고 용출물 pH가 중성이 될때까지 물로 세정한다. 적절한 용적의 [3H]-myo-이노시톨을 소량의 물과 혼합하고 컬럼에 통과시킨다. 다음 이 수지를 목적하는 농도의 [3H]-myo-이노시톨의 총 용출 용적을 수득하기에 충분한 양의 물로 세정한다.
개개 조각을 5mM 염화리튬을 포함하는 5㎖ 짜리의 평편한 바닥의 바이알에 분배시킨다. 정제된 [3H]-myo-이노시톨의 분취량을 각 바이알에 0.1㎛의 최종 농도고 가하고 이 조직을 진탕욕중 37℃에서 30분간 항온처리한다. 길항제를 10-6M pro-ET-1을 가하기 15분전에, 적절한 바이알중의 최종 농도가 10-5M에 이르도록 가하고, 동 용적의 완충액/용매를 대조군 바이알에 가한다. 각각의 첨가후, 바이알을 온화하게 볼텍싱하고, 카보겐으로 플러싱하여, 뚜껑을 덮고 다시 37℃의 진탕욕에 둔다. pro-ET-1과 함께 30분간 항온처리한 후 클로로포름/메탄올(1:2, v/v) 940㎕를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키고 샘플을 격렬하게 볼텍싱한다. 추가의 클로로포름 및 물(각 310㎕)을 각각의 바이알에 가하고 원심분리로 상을 분리한다. 수성상 750㎕의 분취량을 수거하여 [3H]-myo-이노시톨 모노포스페이트([3H]-IPl)의 형성을 정량한다.
상기 조건에서 pro-ET-1에 의한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전환의 자극을 축적된 [3H]-IP1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3H]-IP1을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써 [3H]-myo-이노시톨로부터 분리한다. 백개의 BioRad Econo-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컬럼(0.7x15cm)을 Perspex 홀더내에 고정시켜 각각의 컬럼이 2㎖짜리 신틸레미션 계수 바이알의 랙에 직접 용출될 수 있도록 한다. 각 컬럼은 100 내지 200 메쉬의 포르메이트 형태인, AG 1-X8 수지의 50% 현탁액 1㎖를 함유한다. 용출 완충액을 매시가마다 20개 컬럼을 세척하기 위해 고정시킨 연동 펌프를 사용하여 수송한다. 수성상을 가하기 전에, 컬럼중 수지를 10mM 트리스-포르메이트(pH 7.4) 10㎖로 3회 세척한다. 수성상을 가한후, 각 컬럼을 증류수 10㎖로 2회 세척한 다음 6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및 5mM 나트륨 테트라보레이트 10㎖로 세척하여, 용출물을 따라버린다. IP1을 0.1M 포름산중 0.2M 암모늄 포르메이트 8㎖가 들어있는 신틸레이션 바이알내로 용출시킨다. 연속해서, 수지는 0.1M 포름산중 1M 암모늄 포르메이트 10㎖에 이어 2M 포름산 10㎖로 3회 세척하여 재생시킨다. 컬럼을 막고 2M 포름산으로 충전시킨다. 컬럼으로부터 유출된 트리튬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dpm)으로 정량한다.
문헌(참조: Kakamoto 및 Armstrong, J. Biol. Chem. 237: 208, 196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전에 AG 1-X8 수지를 배치-세척한다. 이 세척공정에서, 포름산을 HCl로 교체하며, 아세톤 세척후, 수지를 수분간 전조시킨 다음 1M 포름산 (1:1, 중량/용적)중에 재현틱하여 4 ℃로 저장한다.
결과의 분석
각 실험에서, 3회 측정한다.
블랭크치(조직이 없는 경우) 및 기본치(자극을 안한 경우)를 측정하고 이를 측정한 모든 IP1 변화치에서 감한다. 관측을 표준화시키기 위해, 각 실험에 있어 [3H]-myo-이노시톨(1M, dpm) 25㎕의 활성을 평가하고 측정된 IP1 변화를 106/1M 인자로 곱한다. 다음 최종 자료를 억제제 부재하에서 pro-ET-1 10-6M로 유도된 최대 반응의 평균 %(3회 이상 관측)로서 나타낸다.
10-5M에시 화합물이 pro-ET-1-중재된 효과를 50% 이상 억제하는 경우, 이 억제제를 사용하여 완전한 용량-반응 곡선을 작제하고, 이의 IC50(pro-ET1 10-6M의 효과를 50% 억제하는 농도)을 그래프적으로 측정한다. 이 경우에, ET1의 효과에 있어서 이러한 화합물의 영향을 아는 것이 중요하며, 상기 화합물의 용량-반응 곡선은 pro-ET-1에 대해 기술한 것과 동일한 실험 공정을 사용하여, ET1 10-6M에 대해 작제한다. 다음 ET1 10-6M의 효과를 50% 감소시키는 농도(RC50)를 그래프적으로 측정한다.
3x10-5M 용량의 화합물이 Pro-ET-1 또는 ET-1의 효과를 50% 이상 감소시키지않는 경우, 이 화합물은 IC50또는 RC50, >30㎛로 특성화되며 관측된 최대 감소%를 기록한다.
예를 들어, 포스포르아미돈(참조 화합물)의 경우 IC50=6.4±1.l㎛ 및 RC50>30㎛이며 최대 감소는 75±9%이다.
약리학적 최종 용도를 위해서, 일반식(I)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의 형태로 투여한다. 물론, 화합물의 유효량은 사용지침, 사용된 각 화합물의 개개 효능, 치료되는 질병의 중증도 및 특성 및 치료받는 특정 환자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체중 kg당 약 0.01 내지 약 20mg 용량의 화합물을 전신 투여하여 효과적인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치료요법은 매우 적은 용량에서 개시되어야 한다. 이후 용량을 고체 용량형, 즉 캡슐제, 정제 또는 산제 또는 액체형, 즉 액제 또는 현탁제로서 경구 투여할 수 있다. 화합물을 또한 멸균 액제 또는 현탁제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 활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담체 및 약 5 내지 약 90중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중에 혼입된다. 용어 "약제학적 담체"는 동물에 대한 내투여용의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제형화하는데 유용한 공지의 약제학적 부형제를 말하며, 이것은 실질적으로 무독성이며 사용 조건하에서 비-감작화이어야 한다.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엘릭서르제, 시럽제, 유제, 분산제, 습윤성 산제 및 비등 산제의 제조시 공지된 기술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조정물의 특정 형태의 제조시유용한 것으로 공지된 적합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경구투여이다. 경구투여를 위해 일반식(I)의 화합물을 캡슐제, 환제, 정제, 트로키제, 로렌지제, 융제, 산제, 액제, 현탁제 또는 유제와 같은 고체 또는 액체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고체 단일 용량형은 에를 들어, 계면활성제, 윤활제 및 불활성 충전제(예: 락토즈, 슈크로즈, 인산칼슘 및 옥수수 전분)을 함유하는 전통적인 경질- 또는 연질-외피의 젤라틴 형태일 수 있는 캡슐제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락토즈, 슈크로즈 및 옥수수 전분과 같은 정제 기재를 결합제(예: 아카시아,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 투여후 정제의 파열 및 분해를 보호할 붕해제(예: 감자 전분, 알긴산, 옥수수 전분 및 구아검), 정제 과립의 유동을 향상시키고 타정 다이 및 펀치의 표면에 정제 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윤활제(예: 활성,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염료, 착색제 및 정제의 심미적 질을 향상시키고 환자가 더욱 잘 수용하도록 하는 풍미제와 함께 정제화시킬 수 있다. 경구 액체 용량형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형제는 물 및 알콜(예: 에탄올, 벤질 알콜 및 폴리에틸렌 알콜)과 같은 희석제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계면활성제, 현탁제 또는 유화제 없이 또는 이와 함께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반식(I)의 화합물은 또한 비경구적, 즉 경피내, 정맥내, 근육내 또는 복강내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와 멸균액체 또는 액체 혼합물(예: 물, 염수, 수성 덱스트로즈 및 관련된 당 용액), 알콜(예: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헥사데실알콜), 글리콜(예: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케탈(예: 2,2-디메틸-1,3-디옥솔란-4-메탄올), 에테르(예: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오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글리세라이드 또는 아세틸화된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일 수 있는 약제학적 담체중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계면활성제(예: 비누 또는 세제), 현탁제(예: 펙틴, 카보머, 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 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또는 유화제 및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가하거나 가함이 없이 화합물의 주입가능한 용량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경구용 제형중에 사용가능한 오일의 예에는 석유, 동물, 식물 또는 합성기원의 오일(예: 땅콩 오일, 콩기름, 참깨 오일, 면실유, 옥수수 오일, 올리브 오일, 와셀린 및 무기 오일)이 있다. 적합한 지방산은 올레산, 스테아르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을 포함한다. 적합한 지방산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에틸 올레에이트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이다. 직합한 비누는 지방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을 포함하며 적합한 세제는 양이온성 세제(예: 디메틸 디알킬 암모늄 할라이드, 알킬 피리디늄 할라이드); 음이온성 세제(예: 알킬, 아릴 및 올레핀 설포네이트, 알킬, 올레핀, 에테르 및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및 설포석시네이트), 비이온성 세제(예: 지방아민 옥사미드,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양쪽성 세제(예: 알킬 β-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및 2-알킬이미다졸린 4급 암모늄염)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경구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용액중에 일반식(I)의 화합물 약 0.5 내지 약 25중량%를 함유한다. 방부제 및 완충액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주입 부위에서의 자극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이와같은 조성물은 친수성-친지성 균형(HLB)이 약 12 내지 약 1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같은 제형중 계면활성제의 양은 약 5 내지 약 15중량% 범위이다. 계면활성제는 상기 HLB의 단일성분이거나 바람직한 HLB의 2개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일 수 있다. 비경구용 제형에 사용된 계면활성제의 예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글리콜을 축합시켜 형성시킨,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부류(예: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에틸렌 옥사이드와 소수성 염기의 고분자량 부가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국소투여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기타 부형제가 있거나 없이 경피 흡수를 촉진하는 것으로 공지된 용매[예: 에탄올 또는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를 사용하여, 투여할 화합물의 용액을 단순히 제조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국소투여는 저장기 및 다공성막 형태 또는 고체 매트릭스 변형체의 패치를 사용하여 달성한다.
일부 적합한 경피 장치는 미합중국 특히 제3,742,951호, 제3,797,494호, 제 3,996,934호 및 제4,031,894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한쪽 표면을 한정하는 차단막, 다른 한쪽 표면을 한정하는 활성제 투과성 부착층 및 표면사이에 삽인된 활성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기를 포함한다. 한편, 활성제는 투과성 부착층 전체에 분산된 다수의 미세캡슐내에 포함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지, 활성제는 저장기 또는 미세 캡슐로부터 막을 통해 활성제 투과성 부착제로 계속 이동되어 환자의 피부 또는 점막과 접촉한다. 활성제가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경우, 활성제의 조절되고 예정된 방출량이 환자에게 투여된다. 미세 캡슐의 경우, 캡슐화제는 막으로써 또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경피 투여하기 위한 다른 장치에 있어,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점진적으로 일정하게 조절된 속도로써 수송되도록 하는 매트릭스 내에 포함된다. 매트릭스는 확산 또는 미공 유동을 통해 화합물을 방출시킨다. 방출은 속도 조절 양식이다. 막이 필요없는 이와같은 시스템은 미합중국 특허 제3,921,636호에 기술되어 있다. 2가지 이상의 방출 형태가 이 시스템에서 가능하다. 매트릭스에 공극이 없는 경우 확산에 의해 방출이 일어난다. 약제학적으로 효과적인 화합물은 매트릭스 자체내에 용해되거나 이를 통해 확산된다. 약제학적으로 효과적인 화합물이 매트릭스의 공극중 액체상을 통해 수송되는 경우 미공 유동에 의한 방출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수단에 의해 에미로졸 제제내로 혼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제는 국소용 에어로졸로서의 용도를 위해 제조하거나 흡입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제제는 액제 또는 현탁제의 형태일 수 있으며 용매, 추진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제제의 대표적인 예는 문헌[참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pp. 1694-1712(1990)]에 나타나있다.
대부분의 화합물 부류가 치료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므로, 특정의 아속 그룹 및 특정의 특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R1이 H이고, R2가 존재하지 않으며, R6이 H2이고, R3이 H 또는 (CH2)아릴이며, Z가 이소-부틸이고, n이 1인 화합물이바람직하다.

Claims (13)

  1. 일반식(I)의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체, 이의 수화물, 이의 내부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H2)m-아릴 또는 R4-C(0)0-CH(R5)-를 나타내거나 내부염이 형성되는 경우 존재하지 않으며, 단 R1및 R2중의 하나가 수소, C1-6알킬 또는 (CH2)m-아릴을 나타내는 경우, 다른 하나는 수소이거나 내부염이 형성되는 경우 존재하지 않고;
    R3은 수소, C1-6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또는 (CH2)m-아릴이며;
    R4는 C1-10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또는 (CH2)m-아릴이고;
    R5는 C1-6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또는 수소이며;
    R6은 H이거나 R1및 R2중의 하나가 존재하지 않아 내부염을 형성하는 경우H2이고;
    R7은 CH3또는 H이며;
    R8은 H, Br, CH3또는 OCH3이고, 단 R7및 R8중의 하나는 H이며;
    Z는 (CH2)m-아릴 또는 C1-12알킬이고;
    X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며;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또는 3이고;
    n은 1, 2 또는 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H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2가 존재하지 않고, R6이 H2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3이 H 또는 (CH2)-아릴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Z가 이소-부틸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X가 H인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N-(N-포스포노메틸-L-류실)-L--트립토판인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N-(N-벤젤옥시하이드록시포스피닐메틸-L-류실)-L-트립토판, 벤질 에스테르인 화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N-(N-벤질옥시하이드록시포스피닐메틸-L-류실)-L-트립토판인 화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N-(N-포스포노메틸-L-류실)-DL-호모트립토판인 화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N-[N-(디-(피발로일옥시메틸)-포스포닐)-류실]-L-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인 화합물.
  12. 제1항에 있어서, N-(N-피발로일옥시메틸옥시하이드록시포스피닐-L-류실)-L-트립토판, 에틸 에스테르인 화합물.
  13. 일반식(3)의 포스포닉 화합물의 이탈 그룹(L)을 일반식(4)의 디펩타이드로 대체하여 일반식(1.1)의 디펩타이드를 수득한 다음 존재할 수 있는 보호 그룹을 제거하거나, 염기의 존재하에 일반식(7)의 에스테르를 탈에스테르화하고 일반식(8)의 아미노 에스테르와 커플링시켜 일반식(1.1)의 보호된 포스포노메틸 디펩타이드를수득한 다음, 존재할 수 있는 보호 그룹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체, 이의 수화물, 이의 내부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H2)m-아릴 또는 R4-C(O)0-CH(R5)-를 나타내거나 내부염이 형성되는 경우 존재하지 않으며, 단 R1및 R2중의 하나가 수소, C1-6알킬 또는 (CH2)m-아릴을 나타내는 경우, 다른 하나는 수소이거나 내부염이 형성되는 경우 존재하지 않고;
    R3은 수소, C1-6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또는 (CH2)m-아릴이며;
    R4는 C1-10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또는 (CH2)m-아릴이고;
    R5는 C1-6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또는 수소이며;
    R6은 H이거나 R1및 R2중의 하나가 존재하지 않아 내부염을 형성하는 경우 H2이고;
    R7은 CH3또는 H이며;
    R8은 H, Br, CH3또는 OCH3이고, 단 R7및 R8중의 하나는 H이며;
    Z는 (CH2)m-아릴 또는 C1-12알킬이고;
    X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며;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또는 3이고,
    n은 1, 2 또는 3이며;
    R1' 및 R2'는 각각 C1-6알킬, (CH2)m-아릴, R4-C(O)O-CH(R5)- 또는 기타 적합한 보호 그룹이고;
    R3'는 C1-6알킬, (CH2)m-사이클로알킬, (CH2)m,-아릴 또는 기타 적합한 보호 그룹이며;
    R4'는 임의의 적합한 보호 그룹이다.
KR1019950704199A 1993-03-30 1994-02-22 포스포노메틸디펩타이드,이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약제학적조성물 KR100311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3400824.4 1993-03-30
EP93400824A EP0618224A1 (en) 1993-03-30 1993-03-30 Phosphonomethyldipeptides
PCT/US1994/001716 WO1994022908A1 (en) 1993-03-30 1994-02-22 Phosphonomethyldipept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1088A KR960701088A (ko) 1996-02-24
KR100311852B1 true KR100311852B1 (ko) 2002-02-28

Family

ID=821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199A KR100311852B1 (ko) 1993-03-30 1994-02-22 포스포노메틸디펩타이드,이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약제학적조성물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2) EP0618224A1 (ko)
JP (1) JP3541230B2 (ko)
KR (1) KR100311852B1 (ko)
CN (1) CN1120844A (ko)
AT (1) ATE192456T1 (ko)
AU (1) AU670866B2 (ko)
CA (1) CA2156742C (ko)
DE (1) DE69424281T2 (ko)
DK (1) DK0691985T3 (ko)
ES (1) ES2148322T3 (ko)
FI (1) FI954656A (ko)
GR (1) GR3034015T3 (ko)
HU (1) HU217836B (ko)
IL (1) IL109128A (ko)
NO (1) NO953877L (ko)
NZ (1) NZ262996A (ko)
PT (1) PT691985E (ko)
TW (1) TW290550B (ko)
WO (1) WO1994022908A1 (ko)
ZA (1) ZA9420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123A (en) * 1994-12-22 1996-12-10 Ciba-Geigy Corporation Certain tetrazole derivatives
US5550119A (en) * 1995-03-02 1996-08-27 Ciba-Geigy Corporation Phosphono substituted tetrazole derivatives as ECE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26714D0 (en) * 1987-11-14 1987-12-16 Beecham Group Plc Compounds
JP2811608B2 (ja) * 1991-04-26 1998-10-15 日本ケミファ株式会社 ホスホン酸アミド誘導体およびエンドセリン変換酵素阻害剤
JPH05105698A (ja) * 1991-06-13 1993-04-27 Takeda Chem Ind Ltd ホスホン酸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691985E (pt) 2000-08-31
EP0691985B1 (en) 2000-05-03
ES2148322T3 (es) 2000-10-16
EP0618224A1 (en) 1994-10-05
NO953877L (no) 1995-11-30
DE69424281D1 (en) 2000-06-08
AU6298994A (en) 1994-10-24
AU670866B2 (en) 1996-08-01
CN1120844A (zh) 1996-04-17
CA2156742A1 (en) 1994-10-13
HU9502852D0 (en) 1995-11-28
KR960701088A (ko) 1996-02-24
FI954656A0 (fi) 1995-09-29
CA2156742C (en) 2001-04-17
GR3034015T3 (en) 2000-11-30
NZ262996A (en) 1996-06-25
IL109128A (en) 1999-09-22
JPH08508480A (ja) 1996-09-10
ZA942091B (en) 1994-10-24
TW290550B (ko) 1996-11-11
IL109128A0 (en) 1994-06-24
HU217836B (hu) 2000-04-28
JP3541230B2 (ja) 2004-07-07
FI954656A (fi) 1995-09-29
WO1994022908A1 (en) 1994-10-13
EP0691985A1 (en) 1996-01-17
DK0691985T3 (da) 2000-08-07
NO953877D0 (no) 1995-09-29
DE69424281T2 (de) 2000-09-21
HUT72465A (en) 1996-04-29
ATE192456T1 (de)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8303B1 (en) Synthetic derivatives of rapamycin as multimerizing agents for chimeric proteins with immunophilin-derived domains
KR880000042B1 (ko) 신규 유기 아마이드 화합물의 제법
KR910000234B1 (ko) 시스, 엔도-2-아자비사이클로[5.3.0]데칸-3-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381256A (ja) レニン阻害剤
NO308999B1 (no) Nye, kjemiske forbindelser, og farmasøytisk preparat inneholdende disse
EP0640617A1 (en) Substituted azepino (2,1-a)isoquinoline compounds
PT88949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inibidores de renina e de composicoes farmaceuticas que os contem
JPH06234737A (ja) 免疫抑制剤としての新規なアミノメチレン−ペプチド類
CA2057786C (en) Amino and nitro containing tricyclic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r ace
JPS6253952A (ja) レニン阻害剤製造用中間体の立体選択的製法
PT91426A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icoes farmaceuticas antiviricas incorporando derivados de acido alfa-aminoboronico
EP0577775A1 (en) Anti-thrombotic peptides and pseudopeptides
EP0728746B1 (en) Azepinone compounds useful in the inhibition of ACE and NEP
KR20010023656A (ko) 골 대사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아르기닌 모의체를함유하는 펩타이드,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약제
JPH01294692A (ja) ジペプチド化合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0311852B1 (ko) 포스포노메틸디펩타이드,이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약제학적조성물
RU2098424C1 (ru) Производные дипептидов или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е сол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антигипертоническ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KR890002085B1 (ko) 디히드로오로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456594A (en) N-Carboxyalkylproline-containing tripeptides
WO1993006127A1 (en) Novel amino acid prodrug renin inhibitors
US5608078A (en) Phosphonomethyldipeptid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H06271533A (ja) 免疫抑制剤としての新規なアミノメチレン誘導体
NZ202232A (en) N-carboxyalkylproline-containing tripeptid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4920144A (en) Derivatives of bicyclic amino acids, agent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as hypotensives
JPH03131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