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668B1 - 실제거장치를구비한자수형성기계 - Google Patents

실제거장치를구비한자수형성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668B1
KR100311668B1 KR1019940017740A KR19940017740A KR100311668B1 KR 100311668 B1 KR100311668 B1 KR 100311668B1 KR 1019940017740 A KR1019940017740 A KR 1019940017740A KR 19940017740 A KR19940017740 A KR 19940017740A KR 100311668 B1 KR100311668 B1 KR 10031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movement
removal device
fabric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515A (ko
Inventor
로타쉴링
고트프리트슈미트
Original Assignee
게르트뵈우어;클라우스에게르트
게.엠.파프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트뵈우어;클라우스에게르트, 게.엠.파프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게르트뵈우어;클라우스에게르트
Publication of KR95000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20Arrangements for cutt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물에 대하여 전진/복귀 운동이 가능한 직물 누름기의 운동 범위 내의 위치 결정을 위한 조정 장치와 함께 실 제거 장치를 갖는 자수 형성 기계에 관한 것으로, 직물 누름기의 설정 가능한 상태에 부가하여 실 제거 장치의 이동에 부가적인 구동기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실 제거 장치가 직물 누름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실 제거 장치의 운동은 위치 조정 장치의 구동기에 의해서 안내 가능하며, 이 때 직물 누름기의 운동 범위의 위치 조정을 위한 구동기의 제 1 운동 단계와, 실 제거 장치의 이동을 위한 구동기의 제 2 운동 단계를 행한다.

Description

실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자수 형성 기계의 사시도.
제 2 도는 작업물에 직물 누름기가 놓여져 있고, 실 제거 장치가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3 도는 제 2 도와 동일하면서 직물 누름기가 작업물로부터 들어올려져 있고, 실 제거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도.
제 4 도는 제 2 도 또는 제 3 도와 동일하면서 직물 누름기가 자수 형성시 도달 가능한 상부의 역전 위치의 상부로 들어 올려지고, 실 제거 장치가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직물 누름기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아암
3 : 자수헤드 4 : 실공급기
7 : 직물 누름기 14 : 축
15 : 링크 17 : 가이드
독일 특허 공보 제 DE 29 38 894 C2 호에 따라서, 작업물에 대해 왕복 운동하는 경우 직물 누름기의 운동 범위 내에서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조정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가 공지되어 있다. 직물 누름기는 자수 형성 동작의 종료시, 예를 들어, 절단 동작 후에 후술하는 세움 위치로 들어올릴 수 있는데, 이 위치는 왕복 운동시 도달 가능한 상부의 역전 위치(최대 도달 가능 위치까지 이동하고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가려는 위치)의 상부에 존재한다.
직물 누름기는 자수 형성 장소측에 배치된 지지부에서 선회가 가능하므로 운동의 개시시 궤도를 따라 그 저부가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직물 누름기에는, 직물 누름기와 자수 형성 위치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수평 운동 성분이 작용하게 되고, 적당한 실시예에서, 직물 누름기에서 실의 미끄러짐이 차단되면 절단 동작 후 자수 형성 위치의 상부에서 정지한 위치에 실단부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직물 누름기로 제공되는 실의 안내는 직물 누름기를 상부 역전 위치 중의 바느질 실을 유지하는 기능을 기초로 하여 절단 동작 후 대기 위치에서 실을 꽂을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술한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바느질 실의 상부 선회는 모두 직물 누름기의 수평 운동 성분에 의해서 안내되므로, 자수 형성 위치는 직물 누름기의 최대 이동거리에 의존한다. 상기 특허 공보에 따라 자수 형성 장소측에 배치된 지지 위치에서 선회 가능한 직물 누름기의 경우에, 이 직물 누름기의 선회 운동이 수직 방향의 운동 보다 몇 배 적으므로 바느질 실이 작업물로부터 불완전하게 제거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 DE-OS 28 13 392 호에 의하면, 직물 누름기에 수용되는 바느질 실용의 실 제거 장치를 갖는 자수 형성 기계가 공지되어 있다. 직물 누름기에는 실 제거 장치용 구동기가 압력 수단 실린더의 형태로 고정되어 있고, 이 실린더의 피스톤 봉이 실 제거 장치용 역전 부재로서 작용하는 링크를 통해서 실 제거 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바느질 실은 작업물의 하부에 제거 장치에 의해서 분리된다. 실 제거 장치는 실단부를 높이 들어 올리기 위해 자수 형성 장소의 상부에 놓여있는 위치에서 압력 수단 실린더에 의해 바느질 실의 연장 범위 안에서 운동되고, 파지한 이후에 압력수단 실린더에 배치된 복귀 스트로크 스프링에 의해 최종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바느질 실의 절단은 작업물로부터 들려지는 직물 누름기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작업물 상에 얹은 후에는 실단부의 고장력을 가지고 수행된다.
실 제거 장치의 개시 전에 직물 누름기를 치켜들 필요가 있는 경우, 직물 누름기 및 압력 수단 실린더의 구동기가 차례로 전환되어야 한다. 실 제거 장치의 연결 후 내리기 위해서 직물 누름기의 구동기를 또 다시 스위치 온 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종에 따른 자수 형성 기계에 실 제거 장치를 구성하고 이 실 제거 장치를 직물 누름기의 설정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여 부가적인 구동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동 가능한 것에 있다.
본 목적은 특허 청구 범위 제 1 항의 특징적인 장점에 의해 해결된다.
운동 범위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위치 조정 장치가 제공되며, 그 내부에는 직물 누름기가 들어 올려져 있는 상부의 역전 위치와 직물 누름기가 작업물 상에 설정 가능한 가압력으로 얹혀지는 하부의 역전 위치 사이에서 직물 누름기가 상하 운동 가능하며, 절단 동작 후에 실단부를 작업물의 하부에서 상부로 당기며, 이로써 실단부의 바늘질 작업은 다음의 이음에서 차단된다.
위치 조정 장치의 구동기에 의해 실 제거 장치의 운동이 안내되므로 공지의 두 가지 기능(직물 누름기 및 실 제거 장치의 운동 범위의 위치 조정)을 위한 자수 형성 기계가 하나의 구동기 만으로 만들어지므로, 한편으로는 기술 비용이 최소로 감소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직물 누름기의 운동 범위의 위치 조정에 관련하여 제어수단을 부가시키지 않고 실 제거가 가능하며, 이에 관하여 직물 누름기는 실 제거시 항상 최적 위치에서 유지되고 있다. 이들 장점을 보증하기 위해서 실당김기와 위치 조정 장치의 구동기를 결합해서 구성해야 하므로 구동기의 운동은 조정 동작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실 절단 동작 후 구동시에만 실 제거 장치로 전달된다. 이로써, 양호하게는 스위칭 가능한 커플링 또는 기어와 같은 구동기와 실 제거 장치 간의 전달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이에 대해 위치 조정 장치의 적당한 조정이 배려될 때 구동기에 의한 운동의 이송이 실 제거 장치 상에 우선적으로 가능케 되고 직물 누름기는 실 제거 장치에 제공되는 위치 조정 장치의 위치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위치 조정 장치를 갖는 실 제거 장치의 이러한 협동을 위해서 구동기가 요구되는데, 이 구동기는 실 절단 동작후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라 우선 제 1 운동 단계에서 조정 동작에 의해 소정의 정지 상태로 직물 누름기를 들어 올리고, 이어서 제 2 운동 단계에서 실 제거 장치로 전달해야 할 운동을 발생시킨다.
실 제거 장치 및 직물 누름기의 밀기 동작을 위해, 구동기는 각각의 최종 위치에서 대향하는 통로를 갖는 운동을 양자의 운동 단계에 의해서 발생시킨다.
실 제거의 연결 후 구동기는 제 1 운동 단계에서 각각의 작업물 두께로 직물 누름기의 운동 범위 위치를 적용하도록 독점적으로 작동된다.
직물 누름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 가능한 실 제거 장치를 갖는 직물 누름기를 구성함으로써 직물 누름기가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 그에 관하여 자수 형성 장소를 위한 수평 부가물없이 운동 가능할 때, 절단 동작후 작업물로부터 바느질 실을 뽑아낼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허 청구 범위의 제 2 항에 의한 구동 부재를 갖는 실 제거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구동기로부터 발생되는 운동은 적당한 기능 부재(직물 누름기, 실 제거 장치) 상으로 차례 차례 전달 가능하다. 이와 함께 특허 청구 범위의 제 3 항에 의한 위치 조정 장치와 똑같이 한정된 아이들 스트로크(idle stroke) 범위를 구비하는 구동 부재가 유리하며, 여기서 구동기에 의해 안내되는 운동의 전달은 각각의 배치된 기능 부재 상에서 차단된다.
특허 청구 범위 제 4 항에 의한 직물 누름봉에 구동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이는 항상 직물 누름기를 위한 설정 가능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실 제거 장치의 구동을 위한 운동은 그 상하 운동시 직물 누름기의 운동 범위의 위치로부터의 크기에 관하여 독립적이다.
특허 청구 범위 제 5 항에서는, 간편한 방식으로 직물 누름봉에 대해 상대적으로 실 제거 장치의 구동에 요구되는 운동이 구동 부재에 가능케 되는 해결책이 제시되었다. 실 제거 장치의 구동이 중지되면, 스프링에 의해서 직물 누름기에 대한 구동 부재의 추종 가능성이 보증된다.
특허 청구 범위 제 6 항 및 제 7 항에서는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의 실시가 제공된다. 특허 청구 범위 제 7 항의 구성은, 직물 누름봉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실 제거 장치를 수용하는 직물 누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그 이유는, 역전 장치가 실 제거 장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술한 원하지 않는 이동 없이, 실 제거 장치를 직물 누름봉 방향으로 안내하여 작업물의 두께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제 1 도에는 하우징(1)을 갖는 단일 헤드 자수 형성 기계가 도시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아암(2)에는 자수 헤드(3)가 제공되어 있다. 이 자수 헤드는 실공급기(4), 각각 하나의 바늘(6)을 갖는 바늘봉(5) 및 직물 누름기(7)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 구동되는 바늘봉(5)은 자수판(9)의 자수 구멍(8; 제 5 도)과 직선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1)은 선반(10) 상에 배치되어 있고, 선반은 상호 수직인 두 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자수틀 운반기(11)를 수용하고 있다. 이 자수틀 운반기는 도시하지 않은 방식으로 작업물(13)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자수틀(12)을 수용하도록 기능한다.
제 2 도 내지 제 5 도에서는 직물 누름기(7)가 도시되어 있다. 자수 헤드(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수 형성 기계의 구동기에 의해 진동식으로 구동하는 축(14)이 지지되어 있고 축에는 링크(15)가 고정되어 있다. 링크는 가이드(17)를 통해서 커플(18)의 한쪽 단부와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은 고정축(20)에서 선회 가능한 조정 레버(19)에 고정되어 있으며, 커플에는 가이드(22)가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22)는 홈구멍(23)을 구비하고 있다. 홈 구멍 내에는 핀(24)이 맞물려 있으며 아암(2)에는 고정축(27) 주위로 선회 가능한 양팔형 레버(28)가 구성되어 있다. 레버(28)의 다른 아암(2)에는 핀(30)이 형성되어 있고, 포크 모양의 단부에는 레버(32)가 맞물려 있고, 그 레버의 다른 단부에는 링크(33)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 링크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구동 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축(34) 상에 고정되어 있다. 레버(28)의 핀(30)은 한쪽 단부가 축에, 그리고 다른쪽 단부가 링크(33)에 맞물려 있는 견인 스프링(35)에 의해 레버(32)의 포크 모양의 단부의 하부에 유지되어 있다.
레버(28)는 아암(2)의 자유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37)를 통해서 직물 누름봉(38) 상에 고정되어 있는 휴대기(39)와 결합되어 있다.
직물 누름봉(38)은 가압축(40)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가압축의 상단부에는 샤프트(42)에 대향하여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41)가 구성되어 있다. 헤드(41)에는 수직으로 뻗어 있는 슬릿(43)에 의해 직물 누름봉(38)의 벽부에 돌출하는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41)의 하부는 스프링(45)의 시스템을 위해 작용하고, 그 스프링을 통해서 가압축(40)은 박스(47)에 고정되며, 상단부에는 직물 누름봉(38)이 마찬가지로 고정되어 있다.
제 5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물 누름봉(38)의 상기 단부에는 유지부(48)가 고정되어 있고, 이 유지부에는 회전 스프링(49)을 통해서 고정되는 링크(50)가 선회식으로 결합되고, 지지체(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링크(50)의 자유 단부는, 직물 누름기(52)가 용이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수용하고 있다. 직물 누름기는 수직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53)을 구비하고 있으며, 직물 누름기(52)를 안내하는 이 긴 구멍에는 지지체(5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핀(54)이 고정되어 있다.
직물 누름기(52)에는 실 제거 장치(55)가 선회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실 제거 장치는 직물누름기(52)의 저부(57)까지 연장되어 있는 실수용기(58)를 구비하며, 바느질 실의 자유 단부는 바느질 실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포크 모양으로 개방되어 있다. 여기에 대향하여 고리(59)로 구성되는 실수용기(58)의 측면은 실 제거 장치에 있어서 바느질 실을 위한 윤곽면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실 제거 장치(55)는 지지체(51)에 선회 가능하게 수요되어 있는 두 아암형의 역전 부재(62)의 아암(61)에 의해서 고정된다. 역전 부재(62)의 다른 아암(63)은 직물 누름봉(38)으로부터 연장된 가압축(40)의 샤프트(42)의 하부와 접촉한다.
직물 누름봉(38)이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 도시된 위치로 될 때, 가압축(40)의 돌기(44)는 레버(65)의 캠(64)의 작용 범위에 있으며, 그 레버는 고정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고, 또한 가이드(67)를 통해서 고정축(69) 상에 배치되어 있는 레버(70)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레버(70)의 대향 단부는 기어 래크(72)와 결합되어 있고, 이 기어 래크는 모터(75)의 축(74) 상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73)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대향 바퀴(76)에서 지지되어 있다.
부재(68, 70 및 72 내지 76)에 의해서, 부재(18, 19, 22 내지 29 및 37)를 포함하는 위치 조정 장치(79)에 있어서, 작업물(13)에 대해서 직물 누름기(52)의 상대적인 이동 범위를 위치 조정하기 위한 위치 조정 장치(79)용으로 구동기(78)가 제공된다. 위치 조정 장치(79)는 조정 레버(19)에 결합된 부재(40, 64 내지 67)에 의해 형성되는 기어(80)를 통해서 실 제거 장치(55)용의 역전 부재(62)와 결합되어 있다. 실 제거 장치(55)와, 역전 부재(62)와, 기어(80)에 의해서 실 제거 장치(81)가 형성된다.
직물 누름기(7)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자수 동작 전에 작업물(13)이 자수틀(12)로 삽입되면, 조작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스위치를 통해서 구동기(78)를 스위치 온하며, 이 경우 스위치에 의해서 미리 선택 가능한 방향으로, 다음의 스위치의 조작 시간에 의해 결정 가능한 작업량으로 구동기(78)가 스위치 온된다. 모터(75)의 축(74)에 고정된 피니언(73)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기어 래크(7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서 레버(70)가 그의 고정축(69)에서 선회하는 운동이 발생한다. 이 선회 운동은 가이드(68)를 통해서 조정 레버(19)로 전달되고, 조정 레버에 의해서 커플(18) 상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커플(18)은 가이드(17)에 대해 상대적인 선회 운동을 하게 되며, 이 때 커플(18)은 구동기(78)의 작용 방향에 따라서 가이드(22)를 직물 누름봉(38)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또한 직물 누름봉(38)으로부터 전진시키며, 이 때 선회 운동이 레버(28)로 전달된다. 핀(24)은 이 운동 중에 회전 모멘트에 의해서 제 2 도 및 제 3 도에 따라 긴 구멍(24)의 레버측 단부에 접촉 유지되어 있고, 여기서 회전 모멘트는 레버(28)의 핀(30)에 결합된 견인 스프링(53)에 의해 레버(28)로 전달된다.
이처럼 구동기(78)에 결합되어 있는 레버(28)는 구동기(78)의 기어 래크(72)가 제 2 도에 있어서 왼쪽으로 이동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면, 가이드(37)를 통해서 직물 누름봉(38)으로 운동이 전달되며, 이 운동으로 직물 누름봉(38)은 작업물(13)로부터 지금까지의 위치보다 위로 들어 올려진다. 동시에 운동을 레버(28)로 전달하는 위치 조정 장치(79)의 일부인 조정 레버(19)에 의해 가이드(67)는 직물 누름봉(38)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서 레버(65)에서는 가압축(40) 방향으로 선회 운동이 전달된다. 위치 조정 장치(79)에 의해 최대로 유지 가능하게 되는 직물 누름봉(38)의 상부 종료 위치에는 레버(65)의 캠(64)이 가압축(40)의 돌기(44)와 접촉하지만, 압력축(40)에 대해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반대로 구동기(78)의 기어 래크(72)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레버(28)는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고, 가이드(67)는 직물 누름봉(38)으로부터 이격되며, 이 결과 직물 누름봉(38)은, 그 이전의 위치와 비교하여 하강하게 되고, 레버(65)의 캠(64)은 압력축(40)의 돌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어서 구동기(78)에 의해 위치 조정 장치(79)를 거쳐서 직물 누름봉(38)의 위치, 및 직물 누름기(52)의 위치가 작업물(13)에 대해서 조정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서 직물 누름기(52)의 운동 범위가 작업물의 두께에 최적으로 되며, 또한 직물 누름기(52)의 운동 범위 내에서, 직물 누름기(52)는 자수 운동중 자수 형성시에 작업물로부터 위로 들려지는 상부 역전 위치와, 작업물 상에 놓여지는 하부 역전 위치 사이를 상하 운동한다.
자수 형성시에 직물 누름기(5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은, 구동기(78)를 정지시킨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자수 형성 기계에 의해서 축(14)을 거쳐셔 행해지며, 이 때 축은 그 회전축을 진동하게 한다. 이 진동 운동은 링크(15)와 가이드(17)를 통해서 커플(18)로 전달되고, 또한 커플(18)로부터 가이드(22), 레버(28) 및 가이드(37)를 통해서 직물 누름봉(38)으로 전달된다. 직물 누름봉에 의해서 직물 누름기(52)는 바늘봉(5)에 대해서 운동하는 관계로 상하 운동을 한다.
자수 동작의 종료시에, 직물 누름기(52)는 그 하부 역전 위치에서 정지되고, 바느질 실 및 보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서 제 5 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집게실은 자수판(9)의 하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실 제거 장치에 의해서 절단된다. 절단 동작의 종결시에, 구동기(78)는 제 1 운동 단계에서 재봉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든가,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자가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되며, 이 결과 모터(75)는 피니언(73)을, 미리 설정 가능한 회전수로, 제 2 도에 의한 기어 래크(72)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운동시, 우선 직물 누름봉(38)은 그 상부의 종료 위치로 들어 올려지고, 이 때 레버(65)는 그 캠(64)에 의해서 가압축(40)의 돌기(44)와 접촉하게 된다. 구동기(78)의 기어 래크(72)를 더 왼쪽으로 이동시켜서,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것에 의해서, 레버(65)의 선회 운동은 구동기(78)의 제 2 운동 단계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계속되며, 이어서 레버(65)의 캠(64)을 거쳐서 힘이 가압축(40)의 돌기(44)에 대해 작용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가압축(40)은 스프링(45)의 작용에 의해서 직물 누름기(5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압축(40)의 샤프트(42)의 하부가 역전 부재(62)의 아암(63)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역전 부재는 가압축(40)의 하향 운동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고, 다른 아암(61)에 의해서 실 제거 장치(5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 운동이 전달된다. 실 제거 장치(55)가 선회하면 제 5 도에서 연장 상태가 도시된 바느질 실은 실 제거 장치(55)의 실수용기(58)으 고리(59)에 접촉하게 되며, 실 제거 장치(55)가 다시 외측으로 선회하여 제 3 도에 도시된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 이 운동시에 바늘(6)의 긴 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운동 성분에 의해 바느질 실은 자수판(9)의 자수 구멍(8), 작업물(13), 직물 누름기(52)의 하부(57)에 설치된 바늘 관통 개구로부터 잡아 당겨진다. 실 제거 장치(55)의 종료 위치에서, 바느질 실의 실단부는 제 5 도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물(13)의 상부에 존재한다.
실 제거 과정이 종료된 후에, 구동기(78)의 기어 래크(72)는 다시 우측으로 제 1 운동 단계로 이동하고, 그 결과 레버(65)의 캠(64)에 의해서 가압축(40)에 작용하는 힘이 완전히 사라진다. 가압축(40)은 스프링(45)의 작용으로 그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만, 캠(64)은 가압축(40)의 돌기(44)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실 제거 장치(55)는 제 5 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선회 복귀하게 된다.
자수틀(12)을 제거하여 작업물(13)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직물 누름기(52)는 실 제거 장치가 통과하는 그의 상부의 종료 위치로부터 이하에서 대기 위치로 지칭되는 세움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를 위해서, 축(34)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운동은 링크(33)와 레버(32)를 통해서 레버(28) 상으로 전달되며, 레버(28)는 축(34)의 회전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 선회 운동시에, 레버(28)의 아암(29)은 가이드(37)를 통해서 직물 누름봉(38)을 상부로 잡아 당긴다. 레버(28)의 이 이동시에 위치 조정 장치(79)는 구동기(78)를 통해서 정지되기 때문에, 레버(28)의 아암(25) 상의 핀(24)은 가이드(22)에 있는 긴구멍(23)의 대향 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레버(28)는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로 된다.
직물 누름봉(38)에 있는 가압축(40)의 구성에 의해 가압축은 대기 위치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가압축(40)의 돌기(44)는 레버(65)의 캠(64)의 작용 범위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우연한 실 제거 과정이 방지된다.
자수틀(12)을 교환한 이후에 링크(33)와 이와 함께 레버(32)는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구동기(78)의 기어 래크(72)는 제 1 운동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물의 두께에 적합한 직물 누름기(52)의 운동 범위와 관계되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직물 누름기(52)가 이 위치에서 도달 가능한 하부의 역전 위치에 도달하면, 자수 동작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작업물에 대해서 전진/복귀 운동이 가능한 직물 누름기의 운동 범위 내의 위치 조정을 위한 위치 조정 장치와, 실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에 있어서, 실 제거 장치는 직물 누름기(5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실 제거 장치의 이동은 상기 위치 조정 장치(79)의 구동기(78)에 의해서 안내 가능하며, 이 때 직물 누름기(52)의 운동 범위의 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기(78)의 제 1 운동 단계와, 실 제거 장치(55)의 이동을 위한 구동기(78)의 제 2 운동 단계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실 제거 장치(81)는 위치 조정 장치(79)에 결합되는 기어(80)를 구비하며, 이 기어에 의해서 구동기(78)의 제 2 운동 단계에서 실 제거 장치(55)로 운동을 안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위치 조정 장치(79) 및 기어(80)는 아이들 스트로크 범위를 가지며, 그 아이들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구동기(78)에 의해서 생성되는 운동이 이후에 배치되는 기능 부재(직물 누름기: 52, 실 제거 장치: 55)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 제거 장치(55)와 결합되어 있는 기어(80)의 구동 부재(가압축: 40)는 직물 누름봉(38)의 운동에 추동 가능하게 직물 누름봉(38)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40)는 직물 누름봉(38)의 연장 방향으로 그 직물 누름봉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스프링(45)의 작용에 의해서 직물 누름기(52)에 대해서 미리 설정 가능한 상대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직물 누름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실 제거 장치용의 역전 부재를 가지며, 상기 위치 조정 장치(79)의 구동기(78)는 구동 부재(40)를 거쳐서 역전 부재(62)에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역전 부재(62)는 직물 누름기(52)의 저부(57)에 대향하는 측면인 실 제거 장치(55)의 아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수 형성 기계.
KR1019940017740A 1993-07-23 1994-07-22 실제거장치를구비한자수형성기계 KR100311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24741A DE4324741C2 (de) 1993-07-23 1993-07-23 Stick- oder Nähmaschine mit einer Einrichtung zum Fadenwischen
DEP4324741.5 1993-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15A KR950003515A (ko) 1995-02-17
KR100311668B1 true KR100311668B1 (ko) 2001-12-28

Family

ID=649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740A KR100311668B1 (ko) 1993-07-23 1994-07-22 실제거장치를구비한자수형성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748775A (ko)
KR (1) KR100311668B1 (ko)
CN (1) CN1043260C (ko)
DE (1) DE432474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3095B (en) * 1997-05-09 1999-07-01 Barudan Co Ltd Suppresser of sewing machine
DE19918169A1 (de) * 1999-04-21 2000-10-26 Zsk Stickmasch Gmbh Höheneinstellung eines Stoffdrückers
JP4507273B2 (ja) * 2004-07-07 2010-07-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ワイパー装置
CN103046250A (zh) * 2012-12-31 2013-04-17 浙江凯泽路亚绣花机有限责任公司 刺绣机独立压脚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1446A (en) * 1978-04-03 1979-10-12 Mitsuo Nishina Method of embroidery by s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375A (en) * 1966-10-07 1969-02-04 Jacobs Machine Corp Thread control
DE2813392A1 (de) * 1978-03-28 1979-10-04 Freire P Ind Universalfadenabschneider und zusatzvorrichtungen zur anbringung an naehmaschinen
DE2938894C2 (de) * 1979-09-26 1981-10-01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lautern Stickmas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1446A (en) * 1978-04-03 1979-10-12 Mitsuo Nishina Method of embroidery by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260C (zh) 1999-05-05
DE4324741C2 (de) 1996-01-25
CN1105722A (zh) 1995-07-26
KR950003515A (ko) 1995-02-17
DE4324741A1 (de) 1995-01-26
JPH0748775A (ja) 199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5628A (en) Sewing machine with separate drive sources for components thereof
CN214422841U (zh) 一种分离式平缝机
JPH08397B2 (ja) 切断刃の研削および案内装置
KR100311668B1 (ko) 실제거장치를구비한자수형성기계
KR950012455B1 (ko) 기둥형 재봉기의 실 절단장치
JP2011229751A (ja) ミシン
US4848254A (en) Sewing machine with multidirectional upper and lower feed devices
JPS6350036B2 (ko)
US452388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workpiece
JPS6348554B2 (ko)
JPH04504805A (ja) 揺動可能なステッチ形成ユニットを備えたミシン
JPH0231792A (ja) 自動ミシン
US5555831A (en) Festooning machine
JP3920980B2 (ja) 目とび機構を備えたミシン
US5179904A (en) Cycle sewing machine
US4582010A (en) Upper feed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3980031A (en) Trimm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CN102234881B (zh) 缝纫机
JP2800591B2 (ja) ミシン
EP0737618B1 (en) Automatic machine for wrapping sweets or the like
CN114990794B (zh) 一种同一电机控制压脚压力、抬压脚和剪线的缝纫机
US20230279595A1 (en) Sewing machine
CN214168335U (zh) 一种机械手缝纫机
JPS5838591A (ja) 自動ミシン用送り装置
JP3943692B2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