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599B1 - 기계적체결차동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적체결차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599B1
KR100310599B1 KR1019980049134A KR19980049134A KR100310599B1 KR 100310599 B1 KR100310599 B1 KR 100310599B1 KR 1019980049134 A KR1019980049134 A KR 1019980049134A KR 19980049134 A KR19980049134 A KR 19980049134A KR 100310599 B1 KR100310599 B1 KR 100310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oil return
gears
bore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325A (ko
Inventor
게오리 쿄카
아드리안 치루덱
Original Assignee
스퇴클; 리히트너
지케이엔 비스코드라이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퇴클; 리히트너, 지케이엔 비스코드라이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퇴클; 리히트너
Publication of KR1999004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12Differential gearings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18Differential gearings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flui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16H48/28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self-locking gears or self-braking gears
    • F16H48/285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self-locking gears or self-braking gears with self-braking intermeshing gears having parallel axes and having worms or helical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7Guidance of lubricant on rotary parts, e.g. using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by centrifugal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3Guidance of lubricant within rotary parts, e.g. axial channels or radial openings i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82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483Axle or inter-axle differ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차동 구동 장치는 구동 하우징 내에서 축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축 보어 내에 두 개의 차축 기어가 배치되는 한편 축 주위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차동 캐리어와, 상기 차동 캐리어 내의 평행 축 원통형 포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동 캐리어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개의 차동 기어를 구비하며, 이 차동 기어 중 제1 그룹은 차축 기어 중 하나와 결합하고 제2 그룹은 차축 기어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며, 상기 차축 기어와 차동 기어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 기어는 치두에서 포켓과 접하여 회전하고, 상기 차동 캐리어는 차축 기어용 보어와 차동 기어용 포켓을 포함한 중심부와 보어 및 포켓을 축방향으로 폐쇄하는 두 개의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부(12)에는 중심부(12)의 단부면(35, 36) 및/또는 덮개부(13, 14)의 내면(37, 38)에 있는 연결 홈(43, 44)을 거쳐 각각의 단부면에서 노출된 포켓(31, 32)의 개방 단부로 연결된 연속 평행축 오일 복귀 보어(41)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계적 체결 차동 장치 {MECHANICAL LOCKING DIFFERENTIAL}
본 발명은 구동 하우징 내에서 축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축 보어 내에 두 개의 차축 기어가 배치되는 한편 축 주위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차동 캐리어와, 상기 차동 캐리어 내의 평행 축 원통형 포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동 캐리어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개의 차동 기어를 구비하며, 이 차동 기어 중 제1 그룹은 차축 기어 중 하나와 결합하고 제2 그룹은 차축 기어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며, 상기 차축 기어와 차동 기어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 기어는 치두에서 포켓과 접하여 회전하고, 상기 차동 캐리어는 차축 기어용 보어와 차동 기어용 포켓을 포함한 중심부와 보어 및 포켓을 축방향으로 폐쇄하는 두 개의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는 차동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차동 구동 장치는 "포우르-트락(Powr-Trak)"이라는 이름으로 출원인에 의해 얼마전에 제공 및 분배되었다. 헬리컬치의 맞물림에서 발생된 마찰력과, 기어에 작용하는 것으로서 치에 작용하는 힘으로 인해 치의 맞물림 사이에서 발생되는 축방향 힘은 체결치를 증가시키게 되는 마찰 손실의 상승을 초래하여 차동 구동 장치의 효율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허용할 수 없는 마모를 피하기 위해서는 맞물린 치 사이, 기어의 단부면 사이, 덮개부 사이 및 하우징 보어 사이의 마찰은 건조 마찰로 변화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신중을 기해 적합한 윤활을 제공해야 한다. 만일 차량이 장기간 운행되지 않은 경우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이 성행하거나 구동 하우징이 미량의 오일만을 내장하고 있다면 종래 기술의 차동 장치는 시동중 일시적으로 건조 마찰이 나타날 수 있다.
독일 특허 제196 16 807호에서는 여러 차축 기어 중 한 차축 기어를 통해 오일을 공급하는 외부 오일 공급 수단과, 차동 기어용 포켓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평행 연장된 추가 평행축 포켓을 구비한 차동 캐리어를 제공함으로써 얼마간 운행되지 않은 후 차량을 시동하는 경우에도 개선된 윤활을 보장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회전하는 차축에 의해 오일이 공급되는 방식으로 된 그러한 외압 에이전트 공급 수단은 복잡한 설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유형의 차동 장치의 윤활을 개선하기 위한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는 데 있다. 제1 해결 방안에 따르면, 중심부의 단부면 및/또는 덮개부의 내면에 있는 연결 홈을 거쳐 각각의 단부면에서 노출된 포켓의 개방 단부로 연결된 연속 평행축 오일 복귀 보어를 중심부에 제공하는 방안이 제안된다. 제2 해결 방안은 차동 기어 중 일그룹의 차동 기어에 상기 차동 기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축방향 오일 복귀 보어와 중심부에는 상기 오일 복귀 보어에 연결되고 상기 일그룹의 차동 기어로부터 원격되어 있는 중심부의 단부면으로부터 노출된 다른 평행축 오일 복귀 보어가 제공되고, 상기 양 오일 복귀 보어는 모두 중심부의 단부면 및/또는 덮개부의 내면에 있는 연결 홈을 거쳐 각각의 단부면으로부터 노출된 포켓의 개방 단부로 연결되도록 하는 방안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설계 방안은 기존의 기본적 설계가 그로 인해 영향을 받거나 어떠한 식으로든 수정되지 않고도 용이하고 저렴하게 이행될 수 있다. 중심부에 여러 종방향 보어를 요하며, 그 보어의 수는 한 쌍의 차동 기어의 수, 만일 필요하다면 중심부 또는 덮개부에 이미 상세히 기술된 유형의 추가 연결 홈 뿐만 아니라, 일그룹의 차동 기어에 있는 종방향 보어의 수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도2의 구획선 A-A를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구획선 B-B를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횡단면도.
도3은 도4의 구획선 A-A에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4는 도3의 구획선 B-B에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횡단면도.
도5는 도6의 구획선 A-A에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6은 도5의 구획선 B-B에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횡단면도.
도7은 도8의 구획선 A-A에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8은 도7의 구획선 B-B에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횡단면도.
도9는 도10의 구획선 A-A에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제5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10은 도9의 구획선 B-B에 따라 취한 차동 장치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차동 캐리어
12 : 중심부
13, 14 : 덮개부
15, 16 : 볼트
17, 18 : 보어
19 : 연결 보어/중심 보어
20, 23, 24 : 내치
21, 22 : 차축 기어
25, 26 : 관통 구멍
27, 28 : 니들 베어링
29 : 플랜지
30 : 링 기어
31, 32 : 포켓
33, 34 : 차동 기어
35, 36 : 단부면
37, 38 : 내면
41, 42, 45, 46, 49, 50 : 오일 복귀 보어
43, 44 : 환상 홈
47, 48 : 홈
양호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오일 복귀 보어의 단부 사이 및 서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포켓의 단부 사이의 연결은 중심부의 단부면 또는 덮개의 내면에 있는 환상 홈에 의해 형성되도록 제안되어 있다. 차동 운동 중 모든 쌍의 차동 기어의 피치 방향 및 회전 방향은 반드시 서로 대응되어 있으므로 상기 홈 중 하나는 한 쌍의 포켓의 가압 단부 및 오일 복귀 보어의 흡입 단부에 연결되며, 한편 중심부의 타단부에 있는 환상 홈은 한 쌍의 포켓의 흡입 단부 및 오일 보귀 보어의 가압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든 쌍의 포켓은 서로 동일 원주 거리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가압 조건이 서로 대응되게 되어 실질적으로 동일 분량의 오일이 모든 오일 복귀 보어를 통해 분배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오일 복귀 보어의 단부 사이 및 한 쌍의 포켓의 단부 사이의 연결은 보어 및 한 쌍의 포켓 사이의 개별 연결 홈에 의해 형성되도록 제안된다. 이러한 유형의 연결부는 단일 가공 작동시에는 제공될 수 없지만 연결부가 짧고 작은 체적으로 되어 있어서 신속하게 압력을 형성할 수 있고 유동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단순한 환상 홈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먼저 도1 내지 도6에 대한 상세한 사항을 함께 기술한다. 차동 구동 장치의 차동 캐리어(11)는 구동 하우징(도시 안됨) 내의 두 개의 니들 베어링(27, 28)에 의해 축(A)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야 한다. 차동 캐리어(11)는 중심부(12)와 덮개부(13, 14)로 되어 있다. 플랜지(29)는 덮개부(14) 상에 형성되어 있다. 중심부(12)에는 속도 센서가 구동 하우징(도시 안됨)의 내측에 배치된펄스 발진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링 기어(30)가 배치되어 있다. 반면, 횡단면은 덮개부(13)를 중심부(12)에 클램핑시키기 위한 제1 볼트(15)를 도시하고 있고, 종단면은 덮개부(14)를 중심부(12)로 연결시키기 위한 두 개의 볼트(16)를 도시하고 있다. 중심부(12)는 두 개의 단부로부터 출발하여 보어 중심부(19)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보어(17, 18)를 구비하도록 도시될 수 있다. 보어부(19) 내측에는 차동 캐리어(11)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된 차동 캐리어용 구동축이 삽입되어야 하는 내치(inner toothing, 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구동축은 중공축 형태로 제공된 사이드축 중 하나를 통해 내축(inner shaft)의 형태로 안내되어야 한다. 상이한 구경을 가진 보어(17, 18)에는 사이드축이 삽입될 수 있는 내치(23, 24)를 각각 포함한 사이드축 기어(21, 22)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13, 14)는 니들 베어링(27, 28)이 삽입된 중심부가 관통된 개구(25, 26)를 구비하고 있다. 끼워맞춤 접속된 사이드축 상에서 회전하는 니들 베어링(27, 28)에 의해 차동 캐리어는 구동 하우징의 축(A) 주위로 간접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기도 하고 사이드축이 구동 하우징에 직접 지지되기도 한다. 중심부에는, 종축이 축(A)으로 평행 연장되고 중심부(12)의 제1 단부면(35)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블라인드 단부를 가진 제1 포켓(31)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포켓(31)은 보어(17)를 관통하고, 포켓의 치두(tooth heads) 상에 지지된 제1 그룹의 차동 기어(33)를 수납한다. 상기 차동 기어(33)는 사이드축 기어(21)와 결합한다. 종축이 축(A)으로 평행 연장되고 중심부(12)의 제2 단부면(36)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블라인드 단부를 가진 제2 포켓(32)은 종방향 단면에서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켓(32)은 보어(18)를 관통하고 포켓의 치두 상에 지지된 제2 그룹의 차동 기어(34)를 수납한다. 포켓(32)은 동일한 수만큼 제공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원주상에 분배되어 있어서 서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포켓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 영역에서 차동 기어(33)가 차동 기어(34)에 결합한다. 포켓(31)과 보어(17)는 덮개부(13)에 의해 폐쇄되는 반면, 포켓(32)과 보어(18)는 덮개부(14)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덮개부(13, 14)의 내면(37, 38)은 각각 사이드축 기어(21, 22)용 봉쇄부 및 차동 기어(31, 32)용 봉쇄부를 형성한다. 사이드축 기어(21, 22)가 차동 캐리어(11)에서 대향 방향으로 서로 상대 회전을 하면 각 쌍의 차동 기어(33, 34)의 기어들도 대향 방향으로 서로 상대 회전을 한다. 사이드축 기어(21, 22)와 차동 기어(33, 34)는 헬리컬 치를 포함하는데, 두 개의 사이드축 기어(21, 22)의 헬리컬 치는 서로 상대적인 대향 방향의 피치를 포함하고, 각 쌍의 상호 결합 차동 기어(33, 34)의 차동 기어도 대향 방향의 피치를 포함한다. 헬리컬 치를 구비한 차동 기어(33, 34)는 차동 캐리어(11)에 상대 회전하면 포켓(31, 32)에 접해 있는 영역에서 아르키메데스 나사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으로는 대향 방향의 피치때문에, 또 한편으로는 필연적으로 대향 방향의 회전때문에 서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포켓을 따라 균일한 이동 방향이 달성되며, 차동 캐리어(11)는 실질적으로 대칭인 관계로 그 절대 방향은 중요하지 않다.
도1 및 도2는 오일 운반 시스템이 한 쌍의 포켓(31, 32)으로 인해 선회하여 작동하는 제1 차동 캐리어(11)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오일 운반 시스템은 오일 복귀 보어(41, 42)가 축방향으로 중심부(12)를 관통하는 오일 복귀 보어(41,42)와 내면(37, 38)에 환상 홈(43, 44)을 갖춘 덮개부(13, 14)를 구비한 중심부(12)를 포함하고, 그 환상 홈(43, 44)은 오일 복귀 보어와 축에서부터 동일 거리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포켓(31, 3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가압된 윤활제는 두 개의 환상 홈(43, 44)의 제1 환상 홈에 포집되어 중심부(12)를 통해 대향 축방향으로 오일 복귀 보어(41, 42)를 거쳐 복귀되고 제2 환상 홈(43, 44)을 거쳐 한 쌍의 포켓(31, 32)의 다른 개방 단부로 복귀된다.
도3 및 도4는 제2 실시예의 오일 복귀 시스템을 구비한 제2 차동 캐리어(11)를 도시하고 있다. 중심부의 두 개의 단부면에 있는 연결 홈(47, 48)을 거쳐 평행축 오일 복귀 보어(45, 46)는 중심부(12)에서 두 쌍의 포켓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덮개부(13, 14)의 내면(37, 38)은 완전히 평면으로 되어 있고, 연결 홈(47, 48)을 한정하여 오일 복귀 보어(45, 46)의 단부 사이 및 한 쌍의 포켓(31, 32)의 개방 단부 사이의 짧은 연결 통로를 형성한다. 한 쌍의 포켓(31, 3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가압된 윤활제는 짧은 연결 홈(47, 48)을 거쳐 중심부(12)를 통해 대향 축방향으로 오일 복귀 보어(45, 46) 내로 복귀되고 동일하게 형상화된 연결 홈을 거쳐 상기 한 쌍의 포켓(31, 32)의 개방 단부로 다시 복귀된다.
도5 및 도6은 제3 실시예의 오일 복귀 시스템을 구비한 제3 차동 캐리어(11)를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제1 차동 기어(33)는 차동 캐리어(11)의 중심부(12)에서 보어(50)(그 중 하나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음)의 형태로 포켓(31)의 단부에서 연속되어 있는 동축 관통 보어(49)를 포함한다. 덮개부(13, 14)는 축(A)에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된 환상 홈(51, 52)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그 거리는 환상 홈사이 및 모든 쌍의 포켓의 개방 단부 사이를 연결시키기에 충분하다. 환상 홈은 오일 복귀 보어(49)를 구비하지 않은 차동 기어(34)의 포켓(32)을 오일 복귀 보어(49)를 구비한 차동 기어의 포켓(31)에 연결시킨다. 한 쌍의 포켓(31, 3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가압된 윤활제는 두 개의 환상 홈(51, 52) 중 제1 환상 홈에 포집되고 중심부를 통해 대향 축방향에 있는 오일 복귀 보어(49, 50)를 거쳐 복귀되고 환상 홈(51, 52) 중 제2 환상 홈을 거쳐 한 쌍의 포켓(31, 32)의 다른 개방 단부로 복귀될 수 있다.
도7 및 도8은 제4 실시예의 오일 복귀 시스템을 구비한 차동 캐리어(11)를 도시하고 있다. 2개의 제2 차동 기어(34)는 차동 캐리어(11)의 중심부(12)에서 보어(50)(그 중 하나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음)의 형태로 포켓(31)의 단부에서 연속되어 있는 동축 관통 보어(49)를 포함한다. 덮개부(13, 14)는 축(A)에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된 개별 연결 홈(53, 54)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그 거리는 관통 보어(49, 50)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포켓의 개방 단부 사이를 연결시키기에 충분하다. 개별 연결 홈(53, 54)은 오일 복귀 보어(49)를 구비하지 않은 차동 기어(34)의 포켓(32)을 오일 복귀 보어(49)를 구비한 차동 기어의 포켓(31)에 연결시킨다. 한 쌍의 포켓(31, 3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가압된 윤활제는 개별 연결 홈(53, 54)에 포집되고 중심부를 통해 대향 축방향에 있는 오일 복귀 보어(49, 50)를 거쳐 복귀되고 개별 연결 홈(53, 54) 중 제2 개별 연결 홈을 거쳐 한 쌍의 포켓(31, 32)의 다른 개방 단부로 복귀될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제5 실시예의 오일 복귀 시스템을 구비한 차동 캐리어(11)를도시하고 있다. 제1 차동 기어(33)와 제2 차동 기어(34)는 모두 차동 캐리어(11)의 중심부(12)에서 보어(50)의 형태로 포켓(31)의 단부에서 연속되어 있는 동축 관통 보어(49)를 포함한다. 덮개부(13, 14)는 축(A)에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된 개별 연결 홈(53, 54)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그 거리는 관통 보어(49, 50) 사이 및 상기 모든 쌍의 포켓의 개방 단부 사이를 연결시키기에 충분하다. 한 쌍의 포켓(31, 3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가압된 윤활제는 회전과 무관하게 개별 연결 홈(53, 54)에 포집되고 중심부를 통해 대향 축방향에 있는 오일 복귀 보어(49, 50)를 거쳐 복귀되고 개별 연결 홈(53, 54) 중 또다른 개별 연결 홈을 거쳐 한 쌍의 포켓(31, 32)의 다른 개방 단부로 복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그러한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기술될 청구항이 연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조립체는 차축 기어, 두 개의 상호 결합 차동 기어 사이의 차동 운동의 경우 대향 방향의 피치 및 대향 방향의 회전때문에 일종의 아르키메데스 나사로서 간주될 수 있는 포켓 내의 이동 방향이 동일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단은 축방향으로 이동된 윤활제가 중심부의 일단부에 있는 상기 홈을 통해, 서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포켓에 평행 연장된 오일 복귀 보어를 통해, 최종적으로 중심부의 대향 단부에 있는 홈을 통해 서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포켓 안쪽으로 선회되어 이동됨으로써 윤활제가 이탈되는 서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포켓의 가장바람직하지 않은 단부에서 건조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Claims (9)

  1. 구동 하우징 내에서 축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축 보어 내에 두 개의 차축 기어가 배치되는 한편 축 주위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차동 캐리어와, 상기 차동 캐리어 내의 평행 축 원통형 포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동 캐리어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개의 차동 기어를 구비하며, 이 차동 기어 중 제1 그룹은 차축 기어 중 하나와 결합하고 제2 그룹은 차축 기어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며, 상기 차축 기어와 차동 기어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 기어는 치두에서 포켓과 접하여 회전하고, 상기 차동 캐리어는 차축 기어용 보어와 차동 기어용 포켓을 포함한 중심부와 보어 및 포켓을 축방향으로 폐쇄하는 두 개의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는 차동 구동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12)에는 중심부(12)의 단부면(35, 36) 및 덮개부(13, 14)의 내면(37, 38)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있는 연결 홈(43, 44, 47, 48)을 거쳐 각각의 단부면에서 노출된 포켓(31, 32)의 개방 단부로 연결된 연속 평행축 오일 복귀 보어(41, 42, 45, 46)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오일 복귀 보어(41, 42)의 단부 사이 및 포켓(31, 32) 단부 사이의 연결부는 중심부(12)의 단부면(35, 36) 및 덮개부(13, 14)의 내면(37, 38)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있는 환상 홈(43, 44)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오일 복귀 보어(45, 46)의 단부 사이 및 포켓(31, 32)의 단부 사이의 연결부는 중심부(12)의 단부면(35, 36) 및 덮개부(13, 14)의 내면(37, 38)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있는 개별 연결 홈(47, 48)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 장치.
  4. 구동 하우징 내에서 축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축 보어 내에 두 개의 차축 기어가 배치되는 한편 축 주위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차동 캐리어와, 상기 차동 캐리어 내의 평행 축 원통형 포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동 캐리어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개의 차동 기어를 구비하며, 이 차동 기어 중 제1 그룹은 차축 기어 중 하나와 결합하고 제2 그룹은 차축 기어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며, 상기 차축 기어와 차동 기어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 기어는 치두에서 포켓과 접하여 회전하고, 상기 차동 캐리어는 차축 기어용 보어와 차동 기어용 포켓을 포함한 중심부와 보어 및 포켓을 축방향으로 폐쇄하는 두 개의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는 차동 구동 장치에 있어서,
    차동 기어(33) 중 일그룹의 차동 기어에는 상기 차동 기어(33)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축방향 오일 복귀 보어(49)가 제공되고, 상기 중심부(12)에는 상기 오일 복귀 보어(49)에 연결되고 상기 일그룹의 차동 기어(33)로부터 원격되어 있는 중심부(12)의 단부면(36)으로부터 노출된 다른 평행축 오일 복귀 보어(50)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양 오일 복귀 보어(49, 50)는 모두 중심부(12)의 단부면(35,36) 및 덮개부(13, 14)의 내면(37, 38)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있는 연결 홈(51, 52)을 거쳐 각각의 단부면에서 노출된 포켓(31, 32)의 개방 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측에서의 차동 기어(33)에서의 복수의 오일 복귀 보어(49)의 단부 및 중심부(12)에서의 복수의 오일 복귀 보어(5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사이와 타측에서의 포켓(33, 34)의 단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는 중심부(12)의 단부면(35, 36) 및 덮개부(13, 14)의 내면(37, 38)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있는 환상 홈(51, 5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일측에서의 차동 기어(33)에서의 복수의 오일 복귀 보어(49)의 단부 및 중심부(12)에서의 복수의 오일 복귀 보어(5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사이와 타측에서의 포켓(31, 32)의 단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는 중심부(12)의 단부면(35, 36) 및 덮개부(13, 14)의 내면(37, 38)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있는 개별 연결 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포켓(31, 32)은 쌍으로 서로 관통되고 오일 복귀 보어의 수는 서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포켓(31, 32)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포켓(31, 32)은 쌍으로 서로 관통되고 오일 복귀 보어의 수는 서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포켓(31, 32)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중 다른 일그룹의 차동 기어에는 상기 차동 기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축방향 오일 복귀 보어가 제공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제1 오일 복귀 보어에 연결되고 상기 다른 일그룹의 차동 기어로부터 원격되어 있는 상기 중심부의 단부면으로부터 노출된 평행축 제2 오일 복귀 보어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양 오일 복귀 보어는 모두 상기 중심부의 단부면과 상기 덮개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연결 홈을 거쳐 각각의 단부면에서 노출된 상기 포켓의 개방 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 장치.
KR1019980049134A 1997-11-17 1998-11-16 기계적체결차동장치 KR100310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0834A DE19750834C1 (de) 1997-11-17 1997-11-17 Mechanisches Sperrdifferential
DE19750834.0 1997-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325A KR19990045325A (ko) 1999-06-25
KR100310599B1 true KR100310599B1 (ko) 2001-12-20

Family

ID=784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134A KR100310599B1 (ko) 1997-11-17 1998-11-16 기계적체결차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80076A (ko)
JP (1) JP3272310B2 (ko)
KR (1) KR100310599B1 (ko)
DE (1) DE19750834C1 (ko)
GB (1) GB23313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2490B2 (en) * 2001-05-02 2003-07-15 Baker Hughes Incorporated Well pump gear box hydrodynamic washer
JP3685115B2 (ja) * 2001-09-11 2005-08-17 豊田工機株式会社 遊星歯車装置
DE10147681A1 (de) * 2001-09-27 2003-04-10 Daimler Chrysler Ag Zahnradpaarung und deren Verwendung
DE102005040253B3 (de) * 2005-08-24 2007-05-03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Differentialanordnung zur variablen Drehmomentverteilung
WO2007071115A1 (en) * 2005-12-23 2007-06-28 Xiaochun Wang An inter-axle split-torque limited-slip differential
US8016356B2 (en) 2006-07-31 2011-09-13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Gears and coupling apparatus using the gears
US20080090692A1 (en) * 2006-10-17 2008-04-17 Gates Luther H Transfer case center differential
DE102007004710B4 (de) * 2007-01-31 2012-09-2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irnraddifferenzial
JP4811329B2 (ja) * 2007-04-17 2011-11-0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差動制限装置及び差動制限装置の製造方法
DE102007043437B3 (de) * 2007-09-12 2009-06-25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Sperrdifferential mit Stirnverzahnung
AT506456B1 (de) 2008-02-25 2009-09-15 Oberaigner Paul Roman Verteilergetriebe
EP2131069B1 (en) * 2008-06-05 2011-09-21 Jtekt Corporation Differential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0042792A1 (de) * 2010-10-22 2012-04-26 Man Diesel & Turbo Se System zur Erzeugung mechanischer und/oder elektrischer Energie
RU2463501C1 (ru) * 2011-04-06 2012-10-10 Андрей Леонидович Шпади Самоблокирующийся дифференциал
WO2016053590A1 (en) * 2014-10-02 2016-04-07 Eaton Corporation Gear tooth crowning arrangement
CN205818939U (zh) * 2016-06-08 2016-12-21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全地形车及其传动机构
US10813807B2 (en) * 2016-06-29 2020-10-27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systems with hollow rotary actuators
JP6781094B2 (ja) * 2017-03-30 2020-11-04 武蔵精密工業株式会社 差動装置
DE102018222527A1 (de) * 2018-12-20 2020-06-25 Zf Friedrichshafen Ag Planetengetriebe
KR102580470B1 (ko) * 2020-12-08 2023-09-20 주식회사 재성테크 감속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1853A (en) * 1985-01-09 1988-06-21 Tractech, Inc. Differential with equal depth pinion cavities
US5295923A (en) * 1992-11-17 1994-03-22 Zexel-Gleason Usa, Inc. Lubrication modification for parallel-axis differential
JPH0798051A (ja) * 1993-04-28 1995-04-11 Tochigi Fuji Ind Co Ltd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US5711737A (en) * 1994-09-11 1998-01-27 Tochigi Fuji Sangyo Kabushiki Kaisha Differential apparatus
JP3411416B2 (ja) * 1994-10-13 2003-06-03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平行軸差動歯車装置
JP3221476B2 (ja) * 1994-11-16 2001-10-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平行軸差動歯車装置
DE69628473T9 (de) * 1995-01-12 2005-02-24 Tochigi Fuji Sangyo K.K. Differentialvorrichtung mit Schmierölnuten
US5624344A (en) * 1995-05-01 1997-04-29 Zexel Torsen Inc. Lubrication system for a parallel-axis differential
US5885181A (en) * 1997-07-29 1999-03-23 Tractech Inc. Helical gear differential including lubrication passage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31336A (en) 1999-05-19
GB9824840D0 (en) 1999-01-06
JPH11190416A (ja) 1999-07-13
DE19750834C1 (de) 1998-10-29
KR19990045325A (ko) 1999-06-25
JP3272310B2 (ja) 2002-04-08
US6080076A (en) 2000-06-27
GB2331336B (en) 1999-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599B1 (ko) 기계적체결차동장치
US8348800B2 (en) Vehicle power transmission device
US8727928B2 (en) Vehicle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0237846B1 (ko) 개량형 탬덤구동 차축
CN101201082B (zh) 用于引导流体沿机动车变速箱中的流路流动的装置
US5404963A (en) Power divider lubrication in tandem driving axles
KR100284598B1 (ko) 윤활 통로 수단을 갖는 나선형 기어 차동장치
KR100361873B1 (ko) 차동장치
EP0616668B1 (en) Camming differential with oil pump means
KR19990082985A (ko) 내접기어 장치
JPH0325602B2 (ko)
GB2383611A (en) Rotary vane-type machine
EP0361716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gerotor pumps
JP4048343B2 (ja) 遠心クラッチの潤滑機構
EP0553916B1 (en) Motor vehicle gearbox with forced lubrication of the idle gear wheels
JPS6242151Y2 (ko)
RU2021918C1 (ru) Раздаточная коробка автомобиля
EP0930981B1 (en) Driving arrangement for a servo pump and a gearbox in a vehicle
JPH02248742A (ja) 遊星歯車減速装置
JPS608094Y2 (ja) エンジンにおけるデイストリビユ−タおよびオイルポンプ駆動ギヤ部の潤滑機構
JPH11257469A (ja) 潤滑装置
KR19980039740U (ko) 수동 변속기의 인풋 베어링 리테이너
JPH063132Y2 (ja) 内燃機関における燃料噴射ポンプの駆動部に対する潤滑装置
CN114704616A (zh) 一种耐磨惰轮垫片及耐磨倒挡惰轮结构
CN117098918A (zh) 内齿轮流体机及用于制造内齿轮流体机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