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541B1 -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541B1
KR100308541B1 KR1019990013878A KR19990013878A KR100308541B1 KR 100308541 B1 KR100308541 B1 KR 100308541B1 KR 1019990013878 A KR1019990013878 A KR 1019990013878A KR 19990013878 A KR19990013878 A KR 19990013878A KR 100308541 B1 KR100308541 B1 KR 10030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ormula
carbon atoms
polyester fiber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633A (ko
Inventor
손양국
양승철
Original Assignee
조 정 래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 정 래,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조 정 래
Priority to KR101999001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54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E04H15/646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the fixing members being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 작업성이 좋으며 난연성과 UV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TPA법으로 폴리에스터롤 제조하되 중축합반응중에 난연제로 일반식(Ⅱ)의 화합물과 UV안정제로 망간염 및 일반식(Ⅲ)의 화합물을 투입하여 폴리에스터 중합물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방사, 연신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임.
다 음
(R4및 R5는 수소원자 혹은 탄소수 2 ∼ 4 의 ω -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같거나 혹은 다른 라디칼, m은 1 ∼ 5 의 정수)
(R6는 수소 혹은 탄소수 1∼3의 알킬기)

Description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of Nonflammable Polyester Fiber}
본 발명은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라이콜과 다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터에 새로운 반응성 난연제를 공중합시킴으로서 폴리에스터 고유의 물성을 저하시킴이 없이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며 자외선(UV)에 대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는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내약품성등 화학적 성질이 양호하여 섬유, 필름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폴리에스터는 연소되기 쉬운 결점이 있으므로 섬유를 비롯한 여러가지 성형물의 경우에 화재예방의 측면에서 난연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에는 첫째 섬유 표면에 난연제를 처리하는 방법, 둘째 방사시에 난연성 물질을 첨가하여 방사하는 방법, 셋째 중합시 난연성 물질을 첨가하여 공중합하는 방법이 있다. 첫째 방법은 제조비용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며, 둘째 방법은 방사성이 저하되며 원사의 물성도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방법은 난연성의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통상의 폴리에스터 제조과정과 유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주로 브롬(Br)계 난연제와 인(P)계 난연제가 사용되어 진다.
브롬계 난연제를 사용한 발명으로는 일본국 특개 소 제 62-6912 호, 특개소 제 53-46398 호, 특개 소 제 51-28894 호등이 있는바, 브롬계 화합물이 고온에서 열분해되기 쉽기 때문에 효과적인 난연성을 얻으려면 난연제를 다량 첨가해야 하므로 그 결과 고분자물의 색상이 저하되고 내광성이 떨어지며 연소시 유독가스가 발생한다는 문제점등이 있다.
또한 인계 난연제를 사용한 발명으로는 미국 특허 제 3,941,752 호, 제 5,399,428 호, 제 5,180,793 호 및 일본국 특개소 제 50-56488 호등이 있으며 이들 반응형 난연제는 난연 기능을 담당하는 인 원자가 폴리머의 주쇄(main chain, 혹은 back bone)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폴리에스터 섬유의 후가공시 특히 염색가공시에 가수분해로 인하여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일본국 특개소 제 52-47891 호에서는 다음의 화학식(I)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를 에스터 교환반응 및 중축합반응의 임의의 단계에서 투입하여 난연성 폴리에스터를 제조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중축합 반응시간이 지연되어 폴리머의 색상이 악화되며 또 점도가 저하하므로 방사시에 사절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발명은 PET 중합시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이하 DMT)를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레프탈산(이하 TPA)에 의한 중합법에 비해 원가가 많이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다 음
(여기서 R1및 R2는 같거나 다른 기로서 각각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10 의 탄화수소기 및 1가의 에스터 형성 관능기에서 선택된 것이고, R3는 1 가의 에스터 형성 관능기이며, A는 2가 또는 3가의 유기잔기이고, 또 ℓ 및 m은 각각 0 ∼ 4의 정수이고, n은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브롬계 또는 인계 난연제를 사용함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TPA법으로 난연성 폴리에스터를 제조하되 망간포스페이트가 UV 안정성 개선에 효과가 크다는 점에 착안하여서 특정한 인화합물과 망간염을 중축합 반응중에 투입함으로서 방사작업성과 난연성 및 UV 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에스터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터 형성 유도체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바이페닐 디카르복실산, 1,4 -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5 -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이들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등과 1,4 - 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2 ∼ 6 의 알칸디카르복실산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중 경제성과 난연성 폴리에스터의 물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전체 디카르복실산에 대한 테레프탈산의 몰비가 70% 이상이 되게 하는 것이 좋다. 70몰% 미만일 경우는 용융점이나 유리전이온도등이 낮아져 성형성의 문제가 생기거나 일부 고가 공중합 모노머를 사용할 경우 그 제조경비가 너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글라이콜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라이콜, 1,2 - 프로판디올, 1,3 - 프로판디올, 1,3 - 부탄디올, 1,4 - 부탄디올, 1,5 - 펜탄디올, 1,6 - 헥산디올 등의 알칸디올등과 1,4 - 사이클로헥산디올, 1,4 - 사이콜로헥산 디메탄올등의 지환족 디올, 비스페놀 A, 비스페놀 S 등의 방향족 디올과 방향족 디올의 에틸렌 옥사이드 혹은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등이다. 이중 적정한 폴리머의 물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전체 폴리머 글라이콜 성분중 에틸렌 글라이콜의 몰비가 70% 이상이 되게하는 것이 좋다. 이보다 낮으면 성형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난연제로 사용되는 다음의 일반식(Ⅱ)으로 표시되는 물질의 폴리머내의 함량은 인 원자를 기준으로 500 ∼ 50,000ppm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1,000 ∼ 20,000ppm이다. 인 원자 함량이 500ppm보다 작으면 목적하는 바의 난연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또한 50,000ppm을 초과하게 되면 제조된 폴리에스터의 중합도를 높이기 어려운 문제도 있으며 결정성이 너무 저하되어 섬유나 필름으로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겨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 음
(위식중 R4및 R5는 수소원자 혹은 탄소수 2 ∼ 4의 ω-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같거나 혹은 다른 라디칼기이고, m 은 1 ∼ 5의 정수이다.)
또한 UV 안정제로 사용된 망간염의 함량은 폴리머내의 망간 원자 기준으로 0.1 ∼ 500ppm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0.2 ∼ 200ppm의 범위가 좋다. O.1ppm보다 작으면 목적하는 바의 UV 안정성을 얻기가 어렵고, 500ppm을 초과하게 되면 분산성에 문제가 생기고 이로 인해 방사시에 팩압상승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다음의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인계 물질의 함량은 폴리머에 대한 인원자의 함량이 0.1 ∼ 500ppm의 범위가 좋다. 더욱좋게는 0.2 ∼ 200ppm의 범위가 좋다. 인계 물질의 함량은 망간염과의 반응이 문제가 되지 않는한 많은 량을 첨가해도 괜찮으나 500ppm을 넘게 되면 촉매의 활성을 저하시켜 목적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터를 제조하기가 어렵게 된다.
다 음
(R6는 수소원자 혹은 탄소수 1 ∼ 3의 알킬기이다.)
상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난연제는 에스터화 반응 혹은 중축합반응 임의의 위치에서 투입하나 말단이 카르복실산인 경우에는 에스터화 반응 초기에 무입하는 것이 좋다. 또한 망간 염과 화학식(Ⅲ)으로 표시되는 물질도 임의의 단계에서 투입이 가능하나 중축합 반응중에 투입하는 것이 좋다.
다음 실시예 중에서 난연성 폴리에스터의 극한점도는 페놀과 1,1,2,2, - 테트라클로로에탄의 6 : 4 중량비의 용액에 용해시켜 20℃에서 측정하였으며, 융점 및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열분석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Perkin Elmer DSC 7)로 구했다. 폴리머중의 인 함량은 습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색상은 자동 측색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UV 안정성은 폴리머를 핫 프레스(Hot press)로 필름상으로 형성하여 UV 램프로 20시간 조사후 극한점도를 측정하여 극한점도 보지율로 평가하였다. 또한 난연성은 방사 후 가연하여 편물로 제조하여 정련, 감량, 염색 후 한계산소지수(Lol, KS M 3032, B - 1) 값과 의료용 섬유의 방염성 평가방법인 45° 경사법(KS K O580)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테레프탈산 8000부, 에틸렌 글라이콜 3342부, 촉매로 안티몬 트리옥사이드 4부 및 일반식(Ⅱ)으로 표현되는 물질로는 p가 1이고, R4및 R5는 모두 수소인 9, 10 - 디하이드로 - 9 - 옥사 - 10 - (2,3 - 디칼복시프로필)- 10 - 포스파페나트렌 - 10 - 옥사이드(9, 10 - dihydro - 9 - oxa - 10 -(2,3 - dicarboxypropyl) - 1O - phosphaphenathrene - 1O - oxide)(이하 난연제 A로 표기) 642부를 넣고 통상의 PET 에스터화 반응과 마찬가지로 에스터화 반응시켰으며 이론양의 유출수가 빠져 나온 후(에스터화 반응율 97%), 이에 망간 염으로 망간 아세테이트를 망간원자 기준으로 11ppm,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인계 물질로 인산을 인원자 기준으로 15ppm, 소광제로 티타늄 다이옥사이드를 40부 첨가하여 통상의 PET 중축합법과 마찬가지로 중축합하여 최종적으로 극한점도 0.642dl/g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건조하여 방사, 가연하여 75데니어/24필라먼트의 가연사를 제조하여 이를 인터록 조직으로 편직하여 후가공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인계 물질로 트리메틸 포스페이트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똑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테레프탈산 8650부, 에틸렌 글라이콜 3700부, 촉매로 안티몬 트리옥사이드 4부를 넣고 통상의 PET 에스터화 반응과 마찬가지로 에스터화 반응시켰으며 이론양의 유출수가 빠져 나온 후(에스터화 반응율 97%) 이에 일반식(Ⅱ)으로 표현되는 물질로는 p가 1이고, R4및 R5는 2 - 하이드록시 에틸렌기인 9, 10 - 디하이드록시 - 9 - 옥사 - 10 - (2,3 - 디 - (하이드록시에톡시)카보닐프로필) - 10 - 포스파페난트렌 - 10 - 옥사이드) (9, 10 - dihydroxy - 9 - oxa - 10 - (2, 3 - di - (hydroxyethoxy) carbonylpropyl) - 10 - phosphaphenanthrene - 10 - oxide(이하 난연제 B로 표기)(실제 제품은 65중량% EG용액) 1380부를 넣고, 망간 염으로 망간 아세테이트를 망간원자 기준으로 11ppm,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인계 물질로 인산을 인원자 기준으로 15ppm, 소광제로 티타늄 다이옥사이드를 40부 첨가하여 통상의 PET 중축합법과 마찬가지로 중축합하여 최종적으로 극한점도 0.643di/g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건조하여 방사, 가연하여 75데니어/24필라먼트의 가연사를 제조하여 이를 인터록 조직으로 편직하여 후가공을 실시하였으며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인계 물질로 트리메틸 포스페이트를 첨가한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똑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테레프탈산 8680부, 에틸렌 글라이콜 3400부, 촉매로 안티몬 트리옥사이드 4부를 넣고 통상의 PET 에스터화 반응과 마찬가지로 에스터화 반응시켰으며 이론양의 유출수가 빠져 나온 후(에스터화 반응율 97% ), 소광제로 티타늄 다이옥사이드를 40부 첨가하여 통상의 PET 중축합법과 마찬가지로 중축합하여 최종적으로 극한점도 0.640di/g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건조하여 방사, 가연하여 75데니어/24필라먼트의 가연사를 제조하여 이를 인터록 조직으로 편직하여 후가공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망간 염과 인산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 LOl : 한계 산소 지수
UV 조사후 극한점도
* UV 안정성 = ――――――――――――― × 100(%)
UV 조사전 극한점도
본 발명은 방사시에 팩압을 상승시키지 않으므로 방사작업성이 좋으며 제조된 난연성 폴리에스터사는 색상과 난연성이 우수하고 UV에 대한 안정성도 우수하다.

Claims (1)

  1. 적어도 1종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와 적어도 1종 이상의 글라이콜 혹은 그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로부터 폴리에스터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난연제로서 다음 일반식(Ⅱ)의 화합물을 폴리머내 함량이 인원자 기준으로 500 ∼ 50,000ppm이 되도록 투입하고, UV 안정제로서 망간 염을 폴리머내 함량이 망간원자 기준으로 0.1 ∼ 500ppm이 되도록 그리고 일반식(Ⅲ)의 인계화합물을 폴리머내 함량이 인원자 기준으로 0.1 ∼ 500ppm이 되도록 투입하여 중축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다 음
    (식(Ⅱ)에서 R4및 R5는 수소원자 혹은 탄소수 2 ∼ 4의ω-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같거나 혹은 다른 라디칼이고, m은 탄소수 1 ∼ 5의 정수이다.)
    다 음
    (식(Ⅲ)에서 R6는 수소원자 혹은 탄소수 1 ∼ 3의 알킬기이다.)
KR1019990013878A 1999-04-19 1999-04-19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KR10030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878A KR100308541B1 (ko) 1999-04-19 1999-04-19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878A KR100308541B1 (ko) 1999-04-19 1999-04-19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633A KR20000066633A (ko) 2000-11-15
KR100308541B1 true KR100308541B1 (ko) 2001-09-29

Family

ID=1958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878A KR100308541B1 (ko) 1999-04-19 1999-04-19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123B1 (ko) 2004-12-30 2011-05-26 주식회사 효성 난연성이 우수한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432B1 (ko) * 2001-01-19 2003-06-18 주식회사 효성 고분자량의 난연성 폴리에스터 중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5779B1 (ko) * 2004-12-30 2006-08-25 주식회사 효성 난연성 폴리에스터 분섬사의 제조방법
KR100615781B1 (ko) * 2004-12-31 2006-08-25 주식회사 효성 차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이용한 섬유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123B1 (ko) 2004-12-30 2011-05-26 주식회사 효성 난연성이 우수한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633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666B1 (ko) 방염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KR100764378B1 (ko) 난연성 폴리에스터 중합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중합물 및 섬유
KR101404983B1 (ko) 난연성을 갖는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4207230A (en) Block copolyesters which crystallize rapidly
KR100308541B1 (ko)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KR100737977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4043981A (en) Copolyesters derived from ethoxylated 3,5-dibromo-4-hydroxybenzoic acid
KR100866822B1 (ko)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KR19990006227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100341940B1 (ko) 난연성 폴리에스터의 제조방법
KR100370274B1 (ko) 난연성 폴리에스터 중합물의 제조방법
KR0175691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H0797436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
KR100470298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섬유
KR0170068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100236755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H01103650A (ja) 改質ポリエステル組成物
KR102499138B1 (ko) 염기성 염료 가염성 부직포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KR930011322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950002610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20020080105A (ko) 난연성 폴리에스터의 제조방법
JP2007119571A (ja) 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及び弾性繊維
KR20000020667A (ko) 고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JP3150211B2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1163962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