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055B1 - 전체줄기투입형콤바인 - Google Patents

전체줄기투입형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055B1
KR100306055B1 KR1019980027062A KR19980027062A KR100306055B1 KR 100306055 B1 KR100306055 B1 KR 100306055B1 KR 1019980027062 A KR1019980027062 A KR 1019980027062A KR 19980027062 A KR19980027062 A KR 19980027062A KR 100306055 B1 KR100306055 B1 KR 10030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feeder
transmission mechanism
power transmiss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474A (ko
Inventor
다쿠지 세가와
마사나리 미즈모토
쇼이치 나카타니
신조 가시노
유지 다나카
유이치 분노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013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666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07168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50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729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666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7729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666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07729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5058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1999007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Abstract

콤바인의 예취 전처리부(8)에 의한 줄기 예적(刈跡)의 운전부(5)로부터의 시계가 양호하게 되도록, 예취 전처리부(8) 및 피더(6)에 동력을 전동하기 위한 제1 동력전달기구(100)가 피더(6)를 사이에 두고 운전부(5)와 대향 배치된다. 또한, 메인티넌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탈곡장치(3)에 동력을 전동하기 위한 제2 동력전달기구(200)가 탈곡장치(3)를 사이에 두고 낟알 회수탱크(4)와 대향 배치된다.

Description

전체줄기 투입형 콤바인{WHOLE STALK FEEDING TYPE COMBINE HARVESTER}
본 발명은 예취줄기 전체를 탈곡장치에 공급하여 탈곡처리하도록 구성된 전체줄기 투입형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태의 콤바인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개평 9-10317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탈곡장치와 낟알 회수탱크가 좌우로 병렬되는 동시에 낟알 회수탱크의 전방에 엔진과 운전부가 배치되고, 기체 전단부에 있는 예취 전처리부에서 예취된 줄기가 피더에 의해 탈곡장치로 공급된다.
또, 이 종류의 콤바인 전동구조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개평 9-28981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기체의 우측부위에 배치된 가로방향 엔진출력을 탈곡장치와 피더 및 예취 전처리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탈곡장치로의 동력전달기구가 기체의 왼쪽 바깥에 배치되고, 한편 예취 전처리부로의 동력전달기구가 피더의 오른쪽 바깥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는, 예취 수확작업 중 작업자는 운전부에서 예취 전처리부 통과궤적, 즉 예적(刈跡)을 감시하므로서 적절한 예취높이 조절을 행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예취 전처리부 후단과 피더 오른쪽면과 운전부로 둘러싸인 갈고리형 공간에서 밭 표면을 엿보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 갈고리형 공간에, 예취 전처리부로의 동력전달기구가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밭 표면을 엿볼 공간이 작아져 예적감시를 행하기 어려웠다. 특히, 기체 전장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예취 전처리부가 후방으로 당겨질 경우에는 상기 공간이 한층 좁아지게 되었다.
또, 상기 종래의 구성은 예취 전처리부로의 동력전달기구가 운전부 가까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 구동소음이 운전부로 전달되기 쉬운 문제도 있었다.
또, 다음과 같은 문제도 있었다. 예취 전처리부에서 예취된 줄기는 탈곡장치의 전단에 연결된 피더를 통하여 탈곡장치로 공급된다. 이 피더가 기체에 대하여 왼쪽으로 편위되어 배치되는 것에 비해 예취 전처리부는 대략 기체폭 전체에 걸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예취 전처리부는 오른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피더에 지지된다. 그 때문에 예취 전처리부의 중량이 좌우 언밸런스가 되어 피더에 비틀림 하중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좌우 언밸런스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피더의 탈곡장치로의 연결강도를 특히 크게 할 필요가 있고, 두꺼운 부재나 보강부재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중량의 증대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 종류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단점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평면도,
도 3은 탈곡장치의 종단측면도,
도 4는 예취 전처리부 및 탈곡장치로의 동력전달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탈곡장치의 선별부로의 동력전달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a는 카운터축 주위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평면도,
도 6b는 그 분해상태의 횡단면도,
도 7은 예취 전처리부에서 탈곡장치 전방부까지의 개략평면도,
도 8은 탈곡장치 상부를 종단한 정면도,
도 9는 탈곡동체와 선별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탈곡장치 3A:탈곡장치의 제1 측면
3B: 탈곡장치의 제2 측면 4:낟알 회수탱크
5:운전부 6:피더
6A:피더의 제1 측면 6B:피더의 제2 측면
8:예취 전처리부 10:엔진
16:탈곡실 17:탈곡동체
18:선별부 100:제1 동력전달기구
200:제2 동력전달기구 A:탈곡동체의 회전방향
X:탈곡동체의 회전축심 Y: 선별부의 가로폭방향 중심
Z:피더의 가로폭방향 중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취 전처리부의 후단과 피더의 우측면으로 둘러싸인 갈고리형 공간에는 동력전달기구가 없으므로, 여기에서 밭 표면을 엿보기가 쉬워진다.
또, 예취 전처리부로의 동력전달기구가 운전부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동시에 피더가 제1 동력전달기구와 운전부 사이에 위치되므로서 제1 동력전달기구로부터의 구동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으로서 작용한다.
또, 피더에 대한 예취 전처리부의 치우친 방향과 반대측에 제1 동력전달기구가 위치되므로, 피더에 대한 예취 전처리부의 좌우 중량밸런스의 불균형이 제1 동력전달기구의 중량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예적을 감시하면서 예취 수확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효과는 특히 기체의 전장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예취 전처리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유효하게 된다. 또, 예취 전처리부로의 동력전달기구의 구동소음이 운전부로 전달되기 어렵게 되고, 운전부의 환경이 양호해진다. 또한, 피더에 대한 좌우 중량밸런스가 개선되어, 피더에 부당한 비틀림 하중이 걸리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피더자체의 보강부재, 피더의 탈곡장치로의 연결보강부재 등을 절감할수 있어, 장치 전체가 경량화된다.
상기 종래의 구성으로는, 동력전달기구에 있어서의 벨트 교환이나 점검 등의 메인티넌스 작업을 행할 경우, 탈곡장치나 피더로의 전동계의 메인티넌스는 기체 왼쪽에서 행하고, 한편 예취 전처리부로의 동력전달기구의 메인티넌스는 피더 오른쪽으로 돌아가서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기체에 대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번거롭게 되어 있었다. 특히 예취 전처리부로의 동력전달기구의 메인티넌스 작업은 운전부와 피더와 예취 전처리부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행하지 않으면 안 되어 한층 어려운 작업이 되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1·제2 동력전달기구가 함께 기체에 대하여 같은 쪽 외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메인티넌스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기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할 필요는 없다. 또, 기체 옆의 바깥쪽 넓은 공간에서 메인티넌스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 동력전달기구의 메인티넌스 작업을 경쾌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콤바인은 일반적으로 피더의 가로 폭방향 중심과, 탈곡장치의 탈곡동체 회전축심이 기체 좌우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종류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피더가 기체에 대하여 왼쪽으로 편위되어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예취 전처리부는 기체폭의 대략 전체에 걸쳐 배치된다. 따라서, 피더는 예취폭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오거로 수평이송 합류되어 피더로 이송된 예취줄기의 밀도가, 피더의 가로 폭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된다(컨베이어 상에서는 예취 전처리부 편재측이 줄기밀도가 높은 쪽으로 된다). 예취 줄기가 이와 같은 불균일상태 그대로 탈곡실 전단하부의 중앙으로 공급되면 줄기밀도가 낮은 쪽은 탈곡동체의 긁어모음날개에 의한 탈곡실 내로의 긁어모음이 충분히 행해지는 것에 비해 줄기밀도가 높은 쪽은 긁어모음이 불충분하여 피더 출구에 체류가 생기기 쉽다.
이와 같은 사태를 회피하기 위하여는, 본 발명과 같이 피더의 가로 폭방향 중심을 탈곡동체의 회전축심보다도 엔진 및 운전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편위시키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탈곡동체의 시단부(피더 출구부)에 설치된 날개의 긁어모음 기능이 강력한 쪽과 줄기밀도가 높은 쪽이 기체 정면에서 보아 크게 오버랩한다. 그 때문에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줄기밀도가 높은 쪽의 줄기도, 피더출구에서의 체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 양호하게 피더로부터 탈곡실로 이송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피더가 가로방향으로 편위하므로서 엔진 및 운전부를 기체 내측으로 모을 수 있다. 중량이 큰 엔진을 기체의 좌우 중심쪽에 둘 수 있으므로 기체의 좌우 중량밸런스를 잡기 좋고, 직진성을 높여 조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엔진을 운전석의 아래에 집어 넣으면 기체의 전장이 짧아진다. 그만큼 기체의 좌우 중량밸런스만이 아니라 전후밸런스도 잡기 쉽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탈곡동체의 축심이 탈곡장치 선별부의 가로 폭방향 중심보다도 가로방향으로 편위되고, 또 탈곡동체의 축심보다도 아래쪽에 있어서, 탈곡동체가 편재하는 쪽으로부터 선별부의 가로 폭방향 중심측을 향하여 탈곡동체가 회전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다음 점에서 유리하다.
종래의 탈곡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일본 특개평 9-238554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탈곡동체의 회전축심과 선별부의 가로 폭방향 중심이 가로방향으로 대략 일치한다. 또, 예취 전처리부가 기체 가로폭과 대략 같은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탈곡실로부터 받이망을 통하여 선별부로 누하하는 탈곡처리물이, 탈곡동체의 회전에 의한 힘으로, 가로방향으로 치우쳐서 선별부로 공급되기 쉽다. 이 때문에 선별부에서의 가로방향으로의 처리물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어 선별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수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탈곡처리물이 탈곡실로부터 선별부로 누하될 때, 탈곡동체의 회전에 의해 회전 아래쪽으로 치우쳐서 공급되지만, 이 치우친 측에 선별부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선별부의 가로폭에 관하여 비교적 균일하게 탈곡처리물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선별부에 있어서 수평방향에서의 탈곡처리물 분포의 치우침이 억제되고, 선별부의 가로폭을 한껏 사용하여 효율좋은 선별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나타내지 않았을 때에는 기체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의 각 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예취줄기 전체를 투입하여 탈곡처리하는 범용의 전체줄기 투입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장치(1)로 주행하는 주행기체(2)에 탈곡장치(3)와 낟알회수탱크(4)가 좌우에 병렬되어 탑재된다. 낟알회수탱크(4)의 전방에는 운전캐빈(운전부의 일례; 5)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장치(3)의 전단부에는 줄기이송용 피더(6)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피더(6)는 유압실린더(7)에 의해 요동 지지점(P) 주위에서 승강된다. 이 피더(6)의 전단에는예취 전처리부(8)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 운전캐빈(5) 내에는 운전석(9)이 설치된다. 이 운전석(9)의 후부 아래쪽에 엔진(10)이 위치되어 있다. 엔진(10)은 가로설치형이고, 엔진(10)의 출력부가 기체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부(8)는 심어져 있는 줄기를 일으켜 세우면서 기체 후방으로 긁어 모으는 회전릴(11), 긁어 모은 줄기를 예취하는 바리캉형 예취장치(12), 예취한 줄기를 후방으로 재치반송하는 벨트식 프론트 컨베이어(13), 예취줄기를 예취폭의 한 곳에 모으는 오거(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더(6)에는 슬랫형 컨베이어(slat conveyor; 15)가 내장되어 있다. 컨베이어(15)는 오거(14)로 모은 예취줄기를 탈곡장치(3)의 탈곡실 전단부로 긁어 모아 공급한다.
도 3은 탈곡장치(3)의 상세구조를 도시한다. 16은 피더(6)의 종단에 연통된 탈곡실이다. 탈곡실(threshing chamber; 16)의 전후측 벽에 걸쳐 전후방향으로 동시에 수평으로 탈곡동체(threshing cylinder; 17)가 축지지되어 있다. 탈곡실(16)의 아래쪽에는 요동선별 및 풍(風)선별을 행하는 선별부(18)가 배치된다. 받이망(concave; 19)은 탈곡동체(17)의 하측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받이망(19)은 탈곡실(16)로부터 선별부(18)로 처리물을 누하 공급한다. 탈곡실(16)의 전방부는 선별부(18)의 전방벽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엔진(10)은 탈곡장치(3)의 왼쪽면에서 보아 탈곡실(16)의 전방돌출부분의 아래쪽에 위치된다. 이 엔진(10)중, 기체내측의 일부는 탈곡실 전방돌출부분의 아래쪽 공간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동체(17)는 원통형상의 직동(直胴)부분(17A) 선단부에 테이퍼형상의 동(胴)부분(17B)이 연달아 설치되어 구성된다. 테이퍼 동부분(17B)에는 두갈래의 나선형상 긁어모음 날개(20)가 설치된다. 직동부분(17A)의 외주면에는 나선탈곡이빨(21)이 부착되어 있다. 이 나선탈곡이빨(21)에는 독립탈곡이빨(22)이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선별부(18)에는 요동선별케이스(23), 풍구(grain winnowing device; 24), 조선용(粗選用) 보조블로어(25), 1번물(番物)을 회수하기 위한 수평이송 스크류 컨베이어(26), 2번물을 회수하기 위한 수평이송 스크류 컨베이어(27), 2번물을 풍선별하기 위한 보조블로어(2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받이망(19)으로부터 누하 공급된 탈곡처리물이 요동선별케이스(23)로 보다 후방으로 요동이송되면서 체질(篩)선별 및 풍선별처리(winnowing)를 받는다. 선별회수된 낟알이 수평이송 스크류 컨베이어(26) 및 수직이송 스크류 컨베이어(29)를 통하여 낟알회수탱크(4)로 보내진다. 선별이 불충분한 2번물은 수평이송 스크류 컨베이어(27) 및 수직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를 통하여 요동선별케이스(23)의 전방부로 환원되어 재차 선별처리된다. 또, 선별부(18)의 후방에는 탈곡실(16)의 종단으로부터 배출된 짚부스러기류를 세단하는 초퍼(31)가 배치되어 있다. 32는 이 초퍼(31)의 상방에 배치되는 배진(排塵)블로어이다. 배진블로어(32)는 선별부(18)의 종단부근의 먼지를 흡인하여 초퍼(31)의 세단짚 방출경로(33)로 보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출력축(10a)으로부터 취출된 동력은, 주행계, 예취탈곡작업계, 및 낟알반출계의 3계통으로 분기된다. 주행계의 분기동력은 벨트전동기구(35)를 통하여 트랜스미션 케이스(36)로 전달되어 좌우의 크롤러주행장치(1)를 구동시킨다. 낟알반출계의 분기동력은 벨트전동기구(37)를 통하여 낟알회수탱크(4) 저부에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로 전달되고, 그후 스크류식 언로더(38)가 구동되게 된다.
예취탈곡작업계의 분기동력은 제1 카운터축(카운터축의 일예; 41)으로 벨트전동기구(42)를 통하여 전달된다. 제1 카운터축(41)은 탈곡장치(3)의 전방에 배치되고, 탈곡실(16)의 전단 돌출부분으로부터 아래쪽에 형성된 공간부에 횡가(橫架)되어 있다(도 3). 이 제1 카운터축(41)으로 전달된 동력은 탈곡장치(3)의 전방에 배치된 카운터 케이스(43)에 입력된다.
예취탈곡작업계의 분기동력은 카운터케이스(43)로부터 예취 전처리부(8) 및 피더(6)로 전달되는 동력(이 동력의 전동계가 제1 동력전달기구(100)에 상당) 및 카운터 케이스(43)로부터 탈곡장치(3)로 전달되는 동력(이 동력의 전동계가 제2 동력전달기구(200)에 상당)이 된다. 제2 동력전달기구(200)는 더 상세하게는 탈곡동체(17)로 전달되는 탈곡동체 전동계(200A) 및 선별부(18)로 전달되는 선별부 전동계(200B)로 구성된다.
카운터 케이스(43)로부터는 제1 카운터축(41)과 동축심 형상으로 또 이와 반대방향으로 탈곡동체 구동용 제1 출력축(44)이 왼쪽에 연달아 돌출되어 있다. 탈곡장치(3)의 전면에는 탈곡동체 구동용 기어케이스(45)가 부착되어 있다. 이 기어 케이스(45)로부터 왼쪽으로 돌출된 입력축(46)과 상기 제1 출력축(44)은 벨트전동기구(47)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케이스(45)로 전달된 동력이 기어케이스(45)에 내장된 기어변속기구(48)를 통하여 3단으로 변속되고, 베벨기어기구(49)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또 크게 감속되어 탈곡동체(17)로 전달된다(제2 동력전달기구(200)의 탈곡동체 전동계(200A)).
카운터 케이스(43)의 왼쪽면으로부터는 제2 출력축(51)도 왼쪽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출력축(51)으로부터 취출된 동력은 다시 전후로 분기된다. 한 쪽 분기동력은 탈곡장치(3)의 선별부(18)로 전달된다(제2 동력전달기구(200)의 선별부 전동계(200B)). 다른 쪽 분기동력은 피더(6) 및 예취 전처리부(8)로 전달된다(제1 동력전달기구(100)).
탈곡장치(3)의 선별부(18)로의 분기동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계통의 전동벨트(52, 53)에 의해 전달된다. 한 쪽의 전동벨트(52)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풍구(24)와 보조블로어(25)가 구동된다. 다른 쪽 전동벨트(53)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1번물 반송용 수평이송 스크류 컨베이어(26), 2번물 반송용 수평이송 스크류 컨베이어(27), 보조블로어(28), 요동선별케이스(23)의 요동구동축(23a), 초퍼(31), 및 배진블로어(32)가 구동된다.
도 4에 돌아가서, 제2 출력축(51)으로부터 다른 쪽의 분기동력은 우선 벨트전동기구(58)를 통하여 피더(6)의 요동축심(P)과 동심으로 배치된 입력축(57)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피더(6)의 컨베이어(15)가 구동된다. 입력축(57)으로 전달된 동력은 피더(6)의 왼쪽 바깥에 배치된 체인전동기구(59)에도 전달된다. 체인전동기구(59)로부터의 동력은 피더 전방부의 제2 카운터축(60)으로 전달된다. 그로부터 이 동력은 체인전동기구(61)를 통하여 오거(14)로 전달되는 동시에 벨트전동기구(62)를 통하여 예취장치(12)로 전달된다. 또, 제2 카운터축(60)으로 전달된 동력의 일부는 벨트식 무단변속기구(63) 및 체인전동기구(64)를 통하여 회전릴(11)로 전달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6) 및 예취 전처리부(8)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기구(100)는 기체의 왼쪽 바깥에 집중 배치된다. 즉, 피더(6)의 기체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제1 측면(6A) 및 제2 측면(6B)이라고 하면 운전캐빈(5)은 제1 측면(6A; 도 2 상측)에, 한편 제1 동력전달기구(100)는 제2 측면(6B; 도 2 하측)에 임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동력전달기구(100)의 메인티넌스가 기체 왼쪽 옆 바깥의 넓은 공간에서 쉽게 행해진다. 게다가 운전석(9)의 작업자가 예취 전처리부(8)의 배후로부터 밭 표면의 예적을 감시할 때 피더(6) 및 예취 전처리부(8)로의 전동기구(100)가 시계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탈곡장치(3)의 기체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제1 측면(3A) 및 제2 측면(3B)이라고 하면 낟알회수탱크(4)는 제1 측면(3A; 도 2 상측)에, 한편 제2 동력전달기구(200)는 제2 측면(3B; 도 2 하측)에 임하고 있다. 즉, 제1 동력전달기구(100)나 제2 동력전달기구(200) 모두 기체 왼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동력전달기구(100)의 메인티넌스 작업과 제2 동력전달기구(200)의 메인티넌스 작업 사이에 작업자가 기체 좌우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고, 집중적인 메인티넌스가 가능하다.
또, 도 4의 65는 피더(6)의 컨베이어(15)나 오거(14)에 막힘 등이 발생한 때에 피더(6)의 입력축(57)을 역전구동시키는 전동모터이다. 막힘 등이 발생한 때에는 전동모터(65)는 엔진시동용 셀·모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피니온·기어(66)를단시간 동안만 진출 맞물림시켜 입력축(57)을 역전구동시킨다.
도 6a에는 상기 제1 카운터축(41) 주위의 상세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1 카운터축(41)의 우단부(엔진(10)측 단부)는 지지프레임(71)에 볼트 고정된 통형상 지지브래킷(72)에 베어링(73)을 통하여 회전 자유로이 지지된다. 지지브래킷(72)으로부터 돌출된 제1 카운터축(41)에는 상기 벨트전동기구(42)에 있어서의 수동풀리(74)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 수동풀리(74)는 제1 카운터축(41)에 키 연결되는 허브(74a)와, 여기에 착탈 자유롭게 볼트 연결된 풀리본체(74b)로 구성된다. 허브(74a)는 워셔(75) 및 죔너트(76)를 통하여 축단으로부터 가압되므로서 제1 카운터축(41)에 키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브래킷(72)은 허브(74a)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71)의 개구(77)에 지지프레임(71)의 기체안쪽(왼쪽)으로부터 삽입관통된다. 그리고 지지브래킷(72)의 단부에 형성된 부착 플랜지(72a)가 지지프레임(71)의 내측면(좌측면)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메인티넌스 때문에 제1 카운터축(41)을 지지프레임(71)으로부터 해체하는 작업이, 다음 방법으로 용이해진다. 우선, 작업자는 카운터케이스(43)를 왼쪽의 지지프레임(78)으로부터 왼쪽 바깥으로 해체한다. 여기서, 제1 카운터축(41)과 제1 출력축(44)은 스플라인 끼워맞춤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카운터케이스(43)를 해체하더라도 제1 카운터축(41)은 지지프레임(71)에 유지되어 남는다. 다음에 수동풀리(74)의 허브(74a)와 풀리본체(74b) 사이의 볼트 고정을 해제하는 동시에 지지프레임(71)과 지지브래킷(72)의 볼트 고정을 해제한다. 그 후 제1 카운터축(41)을 왼쪽(도면 아래쪽)으로 빼내므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허브(74a) 및 지지브래킷(72)을 부착한 채 제1 카운터축(41)을 지지프레임(71)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상기한 구조는 제1 카운터축(41)의 오른쪽 바깥에 다른 장치 등이 위치되기 때문에 제1 카운터축(41)을 오른쪽으로 빼낼 수 없을 때 특히 유효하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운터축(41)과 제1 출력축(44)의 스플라인 끼워맞춤부(S)는 카운터케이스(43) 내에 위치되어 있다. 또, 제1 카운터축(41)중 이 카운터케이스(43) 내에 돌입된 부분이 실 칼라(79) 및 실 링(80)을 통하여 유밀(油密) 밀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서 카운터케이스(43) 내의 윤활유가 베어링을 통과해 스플라인 끼워맞춤부(S)에도 유입되기 때문에 카운터케이스(43) 내의 윤활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탈곡동체(17)의 전후축심(회전축심에 상당; X), 선별부(18)의 가로 폭방향 중심(Y), 및 탈곡동체(17)의 가로 폭방향 중심(Z)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서로의 위치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6)의 가로 폭방향 중심(Z)은 탈곡동체(17)의 전후축심(X)보다 낟알회수탱크(4)와 반대측으로 편위되어 있다. 또, 운전캐빈(5)의 후단이 탈곡동체(17)의 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즉, 측면에서 보아 운전캐빈(5)의 후방부가 탈곡장치(3)의 전방부와 오버랩된다(도 1).
피더(6)의 종단에는 옆으로 길고 동시에 네모꼴의 출구(6a)가 개구되어 있다. 이 출구(6a)는 탈곡실(16)의 시단부에 있어서의 하부에 임하여 설치된다. 탈곡동체(17)의 전후축심(X)이 상기 선별부(18)의 가로 폭방향 중심(Y)보다 낟알회수탱크(4)와 반대측으로 편위되어 배치된다.
상기의 편위관계에 있어서는 피더(6)가 예취 전처리부(8)에 대하여 기체 왼쪽으로 편기한다. 이 때문에, 피더(6)를 향해 합류되는 줄기의 양은 기체의 오른쪽이 왼쪽보다 많아지며, 동일하게 피더(6) 내에서 이송되는 줄기의 밀도도 기체 오른쪽이 왼쪽보다 높아진다.
한편, 탈곡동체(17)의 시단부(피더(6)의 출구(6a)에 임하는 쪽)에 설치되는 긁어모음날개(20)는 피더출구(6a)의 기체오른쪽(도 8에서는 왼쪽이 된다)과 크게 중복된다. 그 때문에 피더출구(6a)의 기체 오른쪽에서의 긁어모음 작용이 피더출구(6a)의 기체 왼쪽보다 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더출구(6a)에 있어서 탈곡동체측에서의 긁어모음 기능도 기체오른쪽이 강하므로 피더(6)에 의해 이송되는 줄기의 분포가 기체 오른쪽으로 기울더라도, 줄기밀도가 높은 오른쪽 줄기도 잔류됨 없이 탈곡실 시단부로 긁어 모여진다.
따라서, 피더(6)에 의해 반송되는 줄기가 가로방향에서 불균일하게 되더라도 피더출구(6a)에서 잔류되지 않고 원활 양호하게 줄기를 탈곡실(16)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 피더(6)가 수평방향으로 편위된 만큼, 엔진(10) 및 운전캐빈(5)을 기체 내측으로 당길 수 있다. 중량이 큰 엔진(10)을 기체 좌우 중심측에 둘 수 있으므로 기체의 좌우 중량밸런스를 잡기 쉽고 기체의 직진성을 높여 조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곡동체(17)의 회전방향(A)은 기체 정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이다. 즉, 탈곡동체 축심(X)보다 아래에서, 회전방향(A)이, 탈곡동체(17)가 편재하는 쪽으로부터 선별부(18)의 가로 폭방향 중심(Y)을 향하고 있다.
탈곡동체(17)의 축심(X)은 선별부(18)의 가로 폭방향 중심(Y)보다 낟알회수탱크(4)와 반대측으로 변위되어 설치된다. 탈곡동체(17)의 상기 회전방향(A)은 탈곡동체 축심(X)보다 아래에서, 탈곡동체(13)가 편재하는 쪽으로부터 선별부(18)의 중심(Y) 쪽을 향하고 있다.
탈곡처리물은 탈곡실(16)로부터 받이망(19)을 통해 선별부(18)로 누하 공급될 때에는 탈곡동체(17)의 회전에 의해 회전 아래쪽으로 치우쳐져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이 치우친 측에 선별부(18)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선별부(18)의 가로폭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탈곡처리물이 공급된다. 또, 탈곡실(16)의 종단에서 배출되는 짚부스러기도 탈곡동체(17)의 회전방출작용을 받기 때문에 기체의 좌우방향 중심측으로 치우쳐져 방출되고, 좌우의 크롤러 주행장치(1) 사이로 배출되기 쉽게되어 있다.
탈곡장치(3)의 좌우측판 중, 낟알회수탱크(4) 측의 측판(81)은 전체적으로 대략 연직으로 형성된다. 다른 쪽 측판(82)은, 탈곡실(16)에 대응하는 상부측판부분(82u)보다, 선별부(18)에 대응하는 하부 측판부분(82d)이 탈곡장치(3)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 즉, 탈곡장치(3)의 상부가 기체옆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하부 측판부분(82d)의 외측에 선별부(18) 각 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선별부 전동계(200B)가 배치되고, 탈곡장치(3)의 상부 돌출부분의 아래쪽 공간에 이 전동계(200B)의 대략 전체가 수용된다. 이로 인하여 기체의 수평방향이 소형화된다.
본 발명의 따라, 예적을 감시하면서 예취 수확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효과는 특히 기체의 전장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예취 전처리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유효하게 된다. 또, 예취 전처리부로의 동력전달기구의 구동소음이 운전부로 전달되기 어렵게 되고, 운전부의 환경이 양호해진다. 또한, 피더에 대한 좌우 중량밸런스가 개선되어, 피더에 부당한 비틀림 하중이 걸리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피더자체의 보강부재, 피더의 탈곡장치로의 연결보강부재 등을 절감할수 있어, 장치 전체가 경량화된다.
또한, 각 동력전달기구의 메인티넌스 작업을 경쾌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줄기밀도가 높은 쪽의 줄기도, 피더출구에서의 체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 양호하게 피더로부터 탈곡실로 이송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중량이 큰 엔진을 기체의 좌우 중심쪽에 둘 수 있으므로 기체의 좌우 중량밸런스를 잡기 좋고, 직진성을 높여 조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엔진을 운전석의 아래에 집어 넣으면 기체의 전장이 짧아진다. 그만큼 기체의 좌우 중량밸런스만이 아니라 전후밸런스도 잡기 쉽게 된다.
또, 선별부에 있어서 수평방향에서의 탈곡처리물 분포의 치우침이 억제되고, 선별부의 가로폭을 한껏 사용하여 효율좋은 선별을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기체 전단부에 배치된 예취 전처리부(8);
    탈곡장치(3);
    상기 탈곡장치(3)의 탈곡실(16) 내에, 기체 전후방향을 따른 회전축심(X)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탈곡동체(17);
    상기 예취 전처리부(8)에서 예취된 줄기를 상기 탈곡장치(3)로 공급하는 피더(6);
    상기 탈곡장치(3)와 좌우로 병렬 배치되는 낟알회수탱크(4);
    상기 낟알회수탱크(4)의 전방에 배치되는 엔진(10) 및 운전부(5); 그리고
    상기 예취 전처리부(8) 및 상기 피더(6)에 구동력을 전동하는 제1 동력전달기구(100);로 구성된 전체줄기 투입형 콤바인에 있어서,
    기체 좌우방향의 일측에는 상기 엔진(10), 상기 운전부(5), 그리고 상기 낟알회수탱크(4)가 배치되고,
    기체 좌우방향의 타측에는 상기 제1 동력전달기구(100)와 상기 탈곡장치(3)에 구동력을 전동하는 제2 동력전달기구(200)가 배치되며,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에 걸쳐 연달아 설치된 카운터축(41)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카운터축(41)에 전달되는 상기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이 상기 제1 동력전달기구(100)와 상기 제2 동력전달기구(200)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줄기 투입형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6)의 가로 폭방향 중심(Z)은 상기 탈곡동체(17)의 상기 회전축심(X)에 대하여, 상기 엔진(10) 및 상기 운전부(5)와 반대측으로 편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줄기 투입형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10)은 상기 운전부(5)의 운전석(9)의 아래쪽에 들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줄기 투입형 콤바인.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동체(17)의 상기 회전축심(X)은 상기 탈곡장치(3)의 선별부(18)의 가로 폭방향 중심(Y)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편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탈곡동체(17)의 회전방향(A)은 상기 탈곡동체(17)의 상기 회전축심(X)보다 아래쪽 영역에서 있어서 상기 탈곡동체(17)의 상기 회전축심(X)으로부터 상기 선별부(18)의 상기 가로 폭방향 중심(Y)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줄기 투입형 콤바인.
KR1019980027062A 1998-03-19 1998-07-06 전체줄기투입형콤바인 KR100306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70131 1998-03-19
JP7013198A JPH11266653A (ja) 1998-03-19 1998-03-19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98-71685 1998-03-20
JP07168598A JP3435057B2 (ja) 1998-03-20 1998-03-20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7729498A JPH11266656A (ja) 1998-03-25 1998-03-25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7729398A JPH11266655A (ja) 1998-03-25 1998-03-25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98-77295 1998-03-25
JP98-77294 1998-03-25
JP07729598A JP3435058B2 (ja) 1998-03-25 1998-03-25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98-77293 1998-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474A KR19990076474A (ko) 1999-10-15
KR100306055B1 true KR100306055B1 (ko) 2001-11-15

Family

ID=2752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062A KR100306055B1 (ko) 1998-03-19 1998-07-06 전체줄기투입형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06055B1 (ko)
CN (1) CN108790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9774B (zh) * 2005-07-14 2013-12-04 株式会社久保田 全秆喂入型联合收割机的脱粒装置及全秆喂入型联合收割机
JP2007151439A (ja) * 2005-12-02 2007-06-21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掻き込みリール
JP4148978B2 (ja) * 2007-01-11 2008-09-10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CN102084755B (zh) * 2007-03-13 2014-10-22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WO2016035545A1 (ja) * 2014-09-02 2016-03-10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CN105052401B (zh) * 2015-07-30 2017-01-25 四川刚毅科技集团有限公司 用于收割机上的变直径螺旋绞龙
CN107343421B (zh) * 2016-05-05 2022-07-29 卓斐(东营)农业科技研究院有限公司 电动收割机及其工作方法
WO2018179635A1 (ja) * 2017-03-30 2018-10-0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11328532B (zh) * 2018-12-19 2023-01-31 爱科公司 谷物清理系统、联合收割机和谷物清理方法
KR102572276B1 (ko) * 2023-01-25 2023-08-28 김상길 콤바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184A (ko) * 1983-06-15 1985-02-26 미노 시게가스 콤바인 수확기
KR890015666A (ko) * 1988-04-05 1989-11-25 미노시게까스 전간투입형 콤바인의 예취전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327A (ja) * 1995-12-20 1997-06-30 Seirei Ind Co Ltd 枝梗処理装置付きコンバイン
CN1071989C (zh) * 1996-01-25 2001-10-03 洋马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184A (ko) * 1983-06-15 1985-02-26 미노 시게가스 콤바인 수확기
KR890015666A (ko) * 1988-04-05 1989-11-25 미노시게까스 전간투입형 콤바인의 예취전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9572A (zh) 1999-09-29
KR19990076474A (ko) 1999-10-15
CN1087901C (zh)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257B1 (en) Shielding means for an elevator of a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US10306834B2 (en) Chopper and spreader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KR100306055B1 (ko) 전체줄기투입형콤바인
JP2010220563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WO2010095473A1 (ja) コンバイン
KR20120050927A (ko) 콤바인
CN108882680B (zh) 脱粒筒
JP3435057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KR20140003348A (ko) 탈곡 장치
RU2279206C2 (ru)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JP3435058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EP3277071B1 (en) Drive system for combine harvester processor and method of providing such
CN107426967B (zh) 脱粒筒
JPH11266653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5382853B2 (ja) コンバイン
JP2021023130A (ja) コンバイン
JP2014233237A (ja) コンバイン
JPH11266661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5763457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GB2057843A (en) Combine harvester
JPH11266656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H11266655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CN115666224A (zh) 收获机以及脱谷装置
JP2004041020A (ja) コンバイン
CN115605078A (zh) 脱谷装置以及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