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439B1 - 불량률추정방법, 불량률추정시스템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불량률추정방법, 불량률추정시스템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439B1
KR100305439B1 KR1019980010964A KR19980010964A KR100305439B1 KR 100305439 B1 KR100305439 B1 KR 100305439B1 KR 1019980010964 A KR1019980010964 A KR 1019980010964A KR 19980010964 A KR19980010964 A KR 19980010964A KR 100305439 B1 KR100305439 B1 KR 10030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oefficient
assembled
information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843A (ko
Inventor
다츠야 스즈키
도시지로 오하시
세이이 미야카와
마사아키 아사노
다카시 구보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8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부품을 조립해서 제조하는 제품의 품질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에 있어서 조립시의 조립작업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사전에 추정하는 불량률추정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이 갖는 불량으로 되는 포텐셜을 고정밀도로 추정할 수 없어 현상에서는 검토누락에 의한 제조불량이 다수 발생하여 품질저하의 요인으로 된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품의 조립동작을 분류한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제품을 구성하는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제1 보정계수 및 제품을 구성하는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제2 보정계수를 기억시켜 두고, 평가대상이 갖는 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1 정보, 평가대상이 갖는 피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조립부품을 피조립부품에 조립하는 경우의 표준조립동작을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입력하는 스텝, 입력된 제1, 제2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제1, 제2 보정계수를 추출하는 스텝, 입력된 제3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불량률계수를 추출하는 스텝 및 추출된 불량률계수를 추출된 제1, 제2 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보정하는 것에 의해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스텝을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서, 불량률계수가 높은 부품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적출할 수 있어 조립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은 제품설계,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불량률추정방법, 불량률추정시스템 및 기록매체
본 발명은 가전품, OA제품 등 부품을 조립해서 제조하는 제품의 품질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시의 조립작업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사전에 추정하는 불량률추정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은 실제로 발생한 불량현상이나 고장현상에서 그의 발생원인을 추정하는 방법이 주였다. 제조단계에서 발생한 불량현상내용에서 불량의 원인을 추정하는 방법의 공지예로서는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성1-167631호나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성6-196900호가 있다. 이들은 종래의 불량실적과 그 원인의 데이타를 축적해서 불량패턴과 불량원인의 상관도를 구하고, 그것에 따라 불량원인을 추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마찬가지의 방법을 고장진단에 사용한 예로서는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성7-13617호나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성7-271587호가 있다.
상기 공지예는 모두 불량현상이나 고장현상이 발생했을 때, 실제로 발생한 현상의 내용에 따라 그의 고침이나 수리를 신속하고 적확하게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거의 사상에 따라서 직접적인 원인을 추정하는 기술이다.
한편, 실제로 불량이나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제조하는 제품의 품질평가를 실행하는 방법으로서는 주로 제품의 설계단계에서 사용되는 FMEA(Failure Mode Effect Analysis)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평가자 자신이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 개개의 발생할 수 있는 고장현상」을 추정하고, 각 부품에 대한 고장현상을 표형식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평가자 자신이 「그것이 발생한 경우, 제품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누락이 없는 품질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또, FMECA(Failure Mode, Effect & Criticalty Analysis)와 같이 FMEA에 있어서, 평가자가 추정한 개개의 부품의 고장현상이 발생할 확률(고장률)을 부여하고, 또 그 개개의 부품의 고장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추정되는 제품고장의 중요도를 부여하여 부품 개개의 불량이나 고장의 중요도를 추찰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방법은 모두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현상의 대부분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제품이 갖는 불량으로 되는 포텐셜을 정밀도 좋게 추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현상에서는 검토누락에 의한 제조불량이 다수 발생하고, 품질저하의 하나의 요인으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단계나 제조공정계획단계 등의 제조전의 단계에서 그 제품이 갖는 조립불량포텐셜을 추정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단일품부품과 부조립품을 총칭해서 「부품」이라 기술한다. 따라서, 부품조립작업이라는 것은 부품의 조립작업과 부조립품의 조립작업의 양쪽을 포함한다. 또, 조립되는 부품 또는 부조립품은 총칭해서 「피조립 품」이라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조립불량률추정을 위한 불량률추정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타베이스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타베이스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타베이스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데이타베이스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데이타베이스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데이타베이스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조립불량률추정값의 산출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정계수패턴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불량률추정값의 산출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입력화면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입력화면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출력화면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조립불량률추정값의 산출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조립작업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조립작업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조립작업공정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출력화면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데이타베이스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데이타베이스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처리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처리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조립불량률을 추정하기 위한 수식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인간이 조립작업동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없는 확률(이하, 불확실도라 한다)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정보에 따라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부품조립작업의 동작내용의 정보, 상기 조립부품의 성질에 관한 정보 및 피조립부품의 성질에 관한 정보에 따라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은 부품조립작업의 동작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종류를 결정하고(하이동(下移動)동작, 횡이동동작 등 ; 표준조립동작이라 한다), 상기 결정된 표준조리동작마다 미리 정한 「임의의 작업자조건, 임의의 부품조건, 임의의 작업직장조건」(기준조건이라 한다)하에서 상기 표준조립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 그의 표준조립동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없는 확률의 대소를 나타내는 수치(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라 한다)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평가대상을 이 미리 설정한 표준조립동작요소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켰다.
또, 본 발명은 더욱 조립불량률의 추정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한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동작내용을 표현한 표준조립동작요소에 부가해서, 그의 조립동작의 불확실도에 영향을 주는 조립부품과 피조립품의 성질을 이하에 설명하는 부품조건보정인자로 표현하고, 상기 표현된 부품조건보정인자에 따라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을 산출한다. 즉, 조립부품 및 피조립품이 갖는 성질중에서 인간이 실행하는 조립작업동작의 불확실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이하, 부품조건보정인자라 한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각 영향인자마다 그 영향인자의 조립동작으로의 영향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하, 부품조건보정계수라 한다)를 결정해 두고, 조립불량률추정의 대상의 부품조립작업에 관하여 조립동작내용을 상기 표준조립동작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것에 부가해서 상기 미리 설정한 부품조건보정인자중에서 상기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부품 또는 피조립품이 갖는 성질에 적합한 것을 선출해서 표현한다.
또, 본 발명은 더욱 조립불량률의 추정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한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동작내용을 표현한 표준조립동작요소와 그 조립동작의 불확실도에 영향을 주는 부품조건보정인자에 부가하고, 불량률추정대상의 부품조립작업에 관하여 그 작업의 후공정에서 상기 부품조립작업이 정확하게 적절히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공정이 마련되어 있는지 없는지의 정보를 부가해서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을 산출한다.
또, 본 발명은 더욱 조립불량률의 추정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한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동작내용을 표현한 표준조립동작요소, 그 조립동작의 불확실도에 영향을 주는 부품조건보정인자 및 불량률추정대상의 부품조립작업에 관하여 그 작업의 후공정에서 상기 부품조립작업이 정확하게 적절히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공정이 마련되어 있는지 없는지의 정보에 부가하여 미리 산출한 부품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조립직장의 작업자조건이나 설비의 조건, 환경 등의 조립동작의 불확실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반영한 직장조건영향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하, 직장정수라 한다)에 따라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을 산출한다.
즉, 본 발명은 조립부품의 표준조립동작별의 불량률계수와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보정계수와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보정계수를 미리 기억시켜 두고, 평가대상을 소정의 표준조립동작의 조합으로 표현하고, 상기 조합한 정보와 상기 평가대상으로 되는 조립부품 및 피조립부품의 성질을 입력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서 해당하는 표준조립동작의 불량률계수, 조립부품의 보정계수 및 피조립부의 보정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불량률계수를 조립부품의 보정계수 및 피조립부의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한 값을 가산하는 것에 의해서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것이다.
또는, 조립부품의 표준조립동작별의 불량률계수와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보정계수와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보정계수를 기억하는 수단, 평가대상을 소정의 표준조립동작의 조합으로 표현하고 상기 조합한 정보와 상기 평가대상으로 되는 조립부품 및 피조립부품의 성질을 입력하는 수단 및 상기 입력된 정보에서 해당하는 표준조립동작의 불량률계수와 조립부품의 보정계수와 피조립부의 보정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불량률계수를 조립부품의 보정계수와 피조립부의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한 값을 가산하는 것에 의해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는, 조립부품의 표준조립동작별의 불량률계수,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보정계수,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보정계수 및 평가대상을 소정의 표준조립동작의 조합으로 표현하고, 상기 조합한 정보와 상기 평가대상으로 되는 조립부품 및 피조립부품의 성질이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정보에서 해당하는 표준조립동작의 불량률계수, 조립부품의 보정계수 및 피조립부의 보정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불량률계수를 조립부품의 보정계수 및 피조립부의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한 값을 가산하는 것에 의해서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조립수별의 보정계수를 미리 기억시키고, 상기 평가대상의 조립수에 해당하는 보정계수에 의해 상기 불량률계수를 보정해서 조립불량률을 산출하거나 조립작업이 적절하게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공정의 유무에 대응한 보정계수를 미리 기억시키고, 상기 평가대상에 상기 확인하는 공정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보정계수에 의해 상기 불량률계수를 보정해서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불량률추정시스템을 사용한 조립불량률추정처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조립불량률추정을 위한 불량률추정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계산시스템은 본 발명의 불량률추정시스템(10) 및 2차원CAD시스템이나 3차원CAD시스템이나 부품의 부품명, 부품번호, 재질, 중량, 단가 등의 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정보 데이타베이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설계시스템(20)으로 구성된다.
불량률추정시스템(10)은 키보드, 마우스, 펜입력 타블렛, 기억매체, 네트워크를 거친 입력수단 등으로 구성된 입력수단(1), 디스플레이모니터 등의 표시수단, 인쇄수단, 다른 시스템으로의 네트워크를 거친 출력수단 등으로 구성된 출력수단(2), 본 발명의 추정처리를 실행하는 계산수단(3) 및 불량률을 산출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외부기억장치)(4)로 구성된다. 계산수단(3)은 CPU(32),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31), 각종 데이타를 1차저장하는 RAM(33), 입출력인터페이스부(34) 및 버스선(35)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평가대상으로 되는 제품, 부조립품의 조립작업을 미리 설정된 표준조립동작의 조합으로 표현하고, 각각의 표준조립동작을 갖는 불량률계수를 총합해서 조립불량의 발생률(불량률)을 산출한다. 그리고, 불량률의 추정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임의의 조립작업을 완성시킬 때까지의 조립동작의 수, 조립부품/피조립부품의 조건(예를 들면, 형상, 치수정밀도, 표면정밀도, 크기, 중량, 재질, 기능 등), 조립직장의 조건, 조립완료를 확인하는 공정의 유무를 보정계수로 하는 것에 의해 조립불량의 발생률(불량률)을 산출한다.
즉, 평가대상을 표준조립동작의 조합으로 표현하고, 각각의 표준조립동작이 갖는 불량률계수를 조립동작의 수, 조립부품/피조립부품의 조건, 조립직장의 조건, 조립완료를 확인하는 공정의 유무에 의해 보정한 값을 총합해서 불량률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불량률을 조립작업의 동작내용, 조립부품과 피조립품의 성질, 작업이 적절히 완료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체크공정의 유무 및 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직장의 조건으로 결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조립동작이 있으면 당연 조립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포텐셜(조립불량률계수)가 있고, 주로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것에 영향이 큰 것은 조립동작이다.
이 조립동작이 갖는 조립불량률계수를 증감하는 요소로서, 조립부품 및 피조립품의 성질과 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직장의 조건이 있다.
조립부품 및 피조립품의 성질에 관해서 말하자면, 예를 들면 조립하는 부품이나 조립되는 부품의 형상이 조립하기 어려운 형상이라면 조립동작이 갖는 조립불량계수는 증폭된다.
마찬가지로, 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직장의 조건에 의해서도 조립동작이 갖는 조립불량률계수는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작업에 사용하는 설비가 불량이 나오기 쉬운 것이라면, 동일 조립동작이라도 조립동작이 갖는 불량률계수는 높아지고, 또 직장의 작업자의 기술레벨이 전체적으로 높으면 동일 조립동작이라도 반대로 그 조립동작이 갖는 불량률계수는 낮아진다.
그 밖에, 불량발견포텐셜로서 조립불량률추정대상의 조립작업공정후에 상기 조립작업이 적절히 완료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체크공정이 있다면, 만약 불량이 발생하고 있었다고 해도 그 공정에서 발견되고, 고침대책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최종적으로 불량으로 될 확률은 저하한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불량에 크게 영향을 주는 조립작업의 동작의 내용, 조립부품와 피조립품의 성질, 작업이 적절히 완료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체크공정의 유무 및 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직장의 조건에 따라서 불량률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때문에, 기억수단(4)는 부품의 조립동작의 종류에 대응한 계수, 임의의 조립작업을 완성시킬 때까지의 조립동작의 수(조립수라 한다)에 대응한 계수, 조립부품 및 피조립품의 성질(예를 들면, 형상, 치수정밀도, 표면정밀도, 크기, 중량, 재질, 기능 등)등에 대응한 계수, 조립작업의 후공정에 있어서 조립완료를 확인하는 공정이 마련되어 있던 경우의 계수, 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조립직장의 조건에 대응한 계수, 본 시스템의 불량률의 산출을 실행하는 산술식을 포함한 계산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이들 데이타베이스에 기억되는 계수는 각각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항목일 수록 크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조립불량의 발생실적데이타에 따라 설정한다.
기억수단(4)에 기억되는 계산프로그램에는 이하의 조립불량추정식을 사용한다. 또한, f1( ), f2( )는 함수를 나타낸다.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불량률추정값
= f1(조립동작내용, 부품의 성질, 직장조건, 체크공정의 유무)
= f2(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부품보정계수, 직장계수, 체크공정보정계수)
따라서, 예를 들면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3개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의 조립불량의 발생률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째의 조립동작, 2번째의 조립동작, 3번째의 조립동작 각각이 갖는 불량률계수의 크기를 부품보정계수, 직장계수, 체크공정보정계수에 의해 보정한 값을 가산해서 산출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이들 각각의 동작을 보정하는 부품보정계수, 직장계수, 체크공정보정계수에 의한 보정을 식상에서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다. 예를 들면, 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에 부품보정계수, 직장계수, 체크공정보정계수를 승산하는 방식 또는 가감산하는 방식 또는 지수함수적으로 보정을 부가하는 등 여러가지의 방식이 있다.
또, 하나의 조립동작에 대해서 여러개의 부품보정계수, 직장계수, 체크공정보정계수가 임의의 경우의 보정방법에 대해서도 상기의 조립동작의 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에 모든 부품보정계수, 직장계수, 체크공정보정계수를 곱하는 방식 및 상기의 조립동작의 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에 모든 부품보정계수, 직장계수, 체크공정보정계수를 가산(감산을 포함한다)하는 방식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방법을 선택해도 좋고, 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를 부품보정계수, 직장계수, 체크공정보정계수에 의해 보정하는 것이면 좋다.
그리고, 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정보((a)∼(d))를 입력수단(1)에 의해 입력한다.
우선, 조립작업동작을 미리 준비한 표준조립동작종류와 그의 순번으로 표현한 정보(a)를 입력한다. 즉, 미리 설정되어 있는 표준조립동작요소를 나타내는 기호를 조립작업동작의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준조립동작과 그 동작을 나타내는 기호의 예의 일부를 도 3의 (a)에 도시한다. 이 표준조립동작은 부품조립작업의 동작을 표현하는 데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동작을 선택해서 설정한 것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이동」「횡이동」「압입」 등 몇 종류인지의 표준조립동작을 설정하고 있다. 이 미리 설정된 표준조립동작중에서 불량률을 추정하고자 하는 부품조립작업에 있어서의 동작을 표현한다. 예를 들면, 임의의 부품의 조립동작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압입한다」라는 것이면, 입력할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동작의 정보는 하이동, 횡이동, 압입의 3개의 표준조립동작요소로 표현되고, 동작기호를 사용해서 「↓→C」로 된다.
다음에, 상기 조립작업에 있어서의 조립부품 및 피조립부품에 관해서 조립작업동작의 불확실도(불량의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성질의 조건(b)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형상, 치수정밀도, 표면정밀도, 크기, 중량, 재질, 기능 등을 입력한다. 즉, 조립부품 및 피조립품이 갖는 성질중에서 사람이 실행하는 조립작업동작의 불확실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선택하고, 미리 설정된 그 인자를 나타내는 기호에 따라 입력한다. 또, 필요에 따라 그 인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중량값 등)를 입력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품조건보정인자와 그 인자를 나타내는 기호의 예의 일부를 도 3의 (b)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구멍」, 「작은 구멍」, 「조립완료판정곤란」(부품의 조립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시각적 또는 감촉적 또는 청각적으로 곤란한 부품이나 피조립품의 형상, 성질), 「접촉불가면 있음」(조립부품 또는 피조립품에 기능적, 성능적에서 보아 접촉이 허용되지 않은 부분을 갖는다) 등, 몇 종류의 부품조건보정인자를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조립작업이 절적히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공정이 있는지 없는지의 정보(c)를 입력한다. 확인하는 공정이 있으면 상기 조립동작과 부품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조립불량의 발생률은 저하한다.
다음에, 부품의 상기 조립작업에 있어서의 조립부품 및 피조립부품에 관해서, 부품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조립직장의 작업자조건이나 설비의 조건, 환경 등의 조립동작의 불확실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정보(d)를 입력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그 인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직장의 기온이나 습도, 생산로트(lot), 생산라인의 속도 등)를 입력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이적으로 직장마다의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그 직장에 있어서의 조립불량의 평균적인 발생률을 나타내는 수치(직장정수)를 사용해서 산출한다. 여기서, 직장정수라는 것은 미리 결정한 임의의 일정한 조립작업(기준작업이라 한다)을 기준으로 되는 직장에서 실행했을 때의 불량률에 대해서 몇배로 되는지를 나타낸 배율값의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직장정수를 직접 입력하지만, 미리 직장별의 직장정수가 기억수단(241)(직장정수 데이타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장을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이들의 정보를 입력하는 순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순서라도 좋다.
본 시스템에서는 이들 입력이 완료되면 CPU(32)가 기억수단(4)에 기억된 계산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계수를 기억수단(4)에서 RAM(33)으로 추출하고, 이들 정보와 식 2를 사용해서 상기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을 출력한다.
도 2에 도시한 기능블럭도를 사용해서 본 시스템의 내부처리를 더옥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불량률추정시스템(1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계산수단(3)을 설계시스템(20)에서 설계정보 등을 페치하는 데이타페치부(34), 본 발명의 추정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실행부(32), 본 발명의 추정처리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계산프로그램기억부(31) 및 표시수단(2)에 표시된 화면상에서의 지시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36)으로 이루어지는 계산수단(3)으로 표현하고, 기억수단(4)를 각종 데이타베이스로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정보생성부(36)은 프로그램실행부(32)에 있어서 실행해도 좋다.
기억수단(4)에 기억되는 각 데이타베이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은 「하이동」, 「횡이동」 등의 미리 결정한 표준조립동작의 종류마다 설정한 각각의 조립동작을 갖는 작업불량의 발생률을 나타내는 계수「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를 기억하고 있다. 도 4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DB(211)의 데이타예를 도시한다.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는 기준상태하에서 각 단일 표준조립동작의 작업을 실행했을 때, 그 작업동작이 작업불량으로 될 확률의 크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임의의 조립동작의 작업불량으로 되는 확률의 크기를 기준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간단한 조립작업불량이 잘 일어나지 않는 동작이라 고려되는 「하이동」을 기준으로 해서 각 표준조립동작의 불량률계수를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이동」의 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를 기준값1로 해서 다른 표준조립동작이 「하이동동작」에 대해서 몇배 불량으로 되기 쉬운가를 나타내는 배수를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횡이동」의 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는 2이지만, 이것은 「횡이동」이 「하이동」의 2배의 조립불량으로 되기 쉬운 것을 의미한다.
동작순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21)은 여러개의 표준조립동작요소로 표현되는 조립작업의 경우에 동작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업의 복잡함이 증가하기 때문에, 그 조립작업을 구성하는 개개의 조립동작의 순번에 따라서 각각의 동작의 「조립동작별 불량률기본계수」를 크게 하기 위한 보정계수「동작순보정계수」를 기억하고 있다. 도 5에 데이타베이스의 데이타예를 도시한다. 도 5는 1번째의 동작의 동작순계수는 1, 2번째는 1.1, 3번째는 1.2라는 바와 같이 동작순마다 동작순계수를 설정하고 있는 예이다. 다른 예로서는 동작순을 변수로 해서 동작순을 포함한 계수산출식을 본 데이타베이스(221)에 갖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동작순을 n으로 한다면,
동작순보정계수 = n × 1. 1
등과 같은 식을 데이타로 해서 데이타베이스에 갖고 있고,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의 산출시에는 이 식을 리드해서 동작순계수를 계산해서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의 산출에 사용한다.
또, 각 조립동작이 갖는 작업불량의 발생률은 조립하는 부품이나 조립되는 상대 부품이나 그 주변부의 조건에 따라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1)을 마련한다. 즉, 각 조립동작이 갖는 작업불량의 발생률은 조립하는 부품의 크기, 중량, 재질, 맞춤개소수 등의 조립하는 부품의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또, 마찬가지로 피조립품의 성질조건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이상의 점에서 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1)과 피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2)는 조립동작이 갖는 작업불량의 발생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립부품성질인자 및 피조립품성질인자를 설정하고, 각 인자마다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를 보정하기 위한 부품조건보정계수를 기억하고 있다. 도 6에 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1)과 피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2)의 데이타예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정인자마다 보정계수값을 설정하여 기억하고 있다. 또, 상기의 동작순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21)에서의 예와 마찬가지로, 보정계수값이 아니고 계수산출식을 본 데이타베이스(231)에 갖게 해도 좋다.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의 산출시에는 이 식을 리드해서 보정계수를 계산해서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의 산출에 사용한다. 또, 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1)과 피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2)의 데이타베이스의 구조를 다르게 해도 좋다.
또, 각 조립동작이 갖는 작업불량의 발생률은 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직장의 조건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직장정수 데이타베이스(241)을 마련한다. 직장정수 데이타베이스(241)은 직장의 평균적인 불량의 발생률을 나타내는 정수를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직장에 있어서, 직장조건을 제외한 다른 조건이 기준상태하에서 기준작업(본 실시예에서는 하이동작업)을 실행한 경우의 조립불량률을 직장정수로 한다. 도 7에 직장정수 데이타베이스의 데이타예를 도시하지만, 이 예에서는 직장A가 직장정수5(ppm)이고, 직장B가 직장정수10(ppm)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각각의 직장에 있어서 직장조건을 제외한 다른 조건이 기준상태하에서의 하이동작업의 불량률이 직장A에서는 5(ppm)이고, 직장B에서는 10(ppm)이라는 것이다. 즉, 직장정수는 각 직장의 조립작업의 신뢰성의 실력을 나타내는 지표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직장정수는 그 직장에 있어서의 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작업자의 조건, 조립작업에 사용하는 공구 및 지그나 제조라인설비 등의 설비의 조건이나 조립작업직장의 기온, 습도, 밝기, 소음 등의 직장환경조건, 라인속도, 생산로트수 등의 생산조건 등의 영향을 반영한 정수이다.
체크공정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5)는 조립불량률추정대상의 부품조립작업을 실행한 후에 상기 부품조립작업이 적절하게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공정이 있는 경우, 그 때문에 불량률은 저하하므로 그 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기억하고 있다. 도 8에 체크공정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5)의 데이타예를 도시한다. 체크공정보정계수의 계수값이 0.2인 경우, 이것은 이 체크공정에 의해 상기 조립작업에서 조립불량이 발생한 것 중 8할은 상기 체크공정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체크작업의 종류에 따라서 불량적출율이 다른 경우에는 다른 체크공정마다 체크공정보정계수를 설정해도 좋다.
그 밖에 정수데이타베이스(26)은 상기 이외의 종류의 계수나 정수를 기억하고 있다.
입력데이타 및 계산결과데이타기억부(27)은 계산프로그램에 의해 불량률계산에 사용한 입력데이타와 그 입력데이타에 따라 계산프로그램에 의해 계산한 결과를 저장한다.
그런데, 각 데이타베이스에 기억되는 보정계수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정인자의 특성값(예를 들면, 중량인자이면 중량값)의 변화에 따라서 보정계수값도 변화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즉, 보정인자의 항목에 따라서 예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보정계수를 보정인자의 특성값에 관계없이 정수값을 취하도록 하거나(조립완료판정곤란, 접촉불가면 있음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예 2와 같이 스텝함수적으로 보정계수값을 변화하도록 하거나(다점맞춤 등), 예 3과 같이 직선적으로 보정계수값을 변화하도록 하거나(중량 등), 그 밖에 곡선적으로 변화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필요한 특성값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함수에 따라 계수를 산출시키게 된다.
도 9에 본 실시예의 불량률추정시스템(10)에 의한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불량률추정값의 산출흐름도를 도시한다.
우선 조립불량률의 추정을 실행하고자 하는 부품조립작업의 작업내용을 분석한다(스텝5).
다음에, 상기 스텝5에서 실행한 분석내용을 불량률추정시스템(10)의 조립불량률추정값 계산프로그램에 있어서 결정된 표준조립동작요소기호와 부품보정요소기호로 표현한다(스텝6).
다음에, 상기 스텝6에 있어서 표준조립동작요소기호와 부품보정요소기호로 표현한 조립불량률추정대상의 부품조립작업내용 등을 입력한다. 또, 체크공정의 유무, 직장정수를 입력한다(스텝7).
즉, 불량률추정시스템(10)을 개시해서 계산수단(3)의 계산프로그램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는 조립불량률추정값 계산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입력수단(1)의 키보드(11)이나 마우스(12), 펜입력 타블렛(13) 등을 사용해서 상술한 도 1에 도시한 입력정보를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입력을 재촉하기 위해서 출력수단(1)의 표시장치(21)에 입력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하고, 그것을 보면서 상기 정보를 입력한다. 도 12, 도 13에 입력인터페이스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또한, 이 스텝에서 상기 조립작업이 절적하게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체크공정이 있는 경우에는 「체크공정 있음」의 정보입력을 한다. 또, 조립불량률추정대상의 부품조립작업을 실행하는 직장의 직장정수 또는 그 조립직장을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도 실행한다. 또, 부품보정의 필요가 없으면 부품보정요소기호의 입력은 불필요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직장정수를 다음과 같이 해서 산출할 수도 있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직장정수라는 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직장에 있어서 보정할 부품보정조건이 없는 상태에서 하이동동작만의 작업을 실행했을 때의 조립불량률이다. 또, 모든 동작별 불량률계수는 기준상태에 있어서의 기준동작(하이동동작)의 불량의 발생률을 기준(계수값1)으로 해서 결정한 것이다. 또, 동작별 불량률계수를 보정하는 보정계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기준상태에 있어서의 기준동작(하이동동작)의 불량의 발생률을 기준(계수값1)으로 해서 결정한 것이다. 이상의 점에서, 과거에 몇대나 조립실적이 있는 조립작업에서 조립작업내용분석을 할 수 있고, 실제의 불량률의 데이타가 있으면 상기 조립실적이 있는 조립작업을 실행한 직장의 직장정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조립불량률추정값계산 프로그램 기동후에 출력수단(1)의 표시장치(21)에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조립불량률의 추정」이나 「직장정수의 계산 및 등록」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직장정수의 계산 및 등록」을 선택한 경우에는 입력인터페이스화면(도 13)이 출력수단(1)의 표시장치(21)에 표시되고, 그곳으로 지금부터 등록하는 직장을 특정하는 코드(명칭 등)를 입력하고, 계속해서 입력인터페이스화면(도 12)에서 상기 직장에서 작업실적이 있는 조립작업의 내용을 표준조립동작요소기호, 부품보정요소기호로 입력하고, 상기 조립작업이 적절히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체크공정이 있는 경우에는 「체크공정 있음」의 정보를 입력하고, 또, 상기 작업의 실제불량률을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직장의 직장정수가 산출된다. 불량실적이 있는 작업이 다수 있는 경우에는 그들 모든 작업에 관한 상기 데이타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각 작업마다 직장정수가 구해지고, 구한 직장정수의 단순평균을 취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상기 직장의 직장정수를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한 직장정수의 단순평균에 의해 상기 직장의 직장정수를 산출한다.
이상의 입력이 완료하면, 상기 스텝7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조립불량률추정값 계산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부품조립작업의 불량률의 추정값을 계산한다(스텝9). 즉, [1], [2]의 처리를 실행한다.
[1]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각종 데이타베이스에서 이하의 각종 계수, 정수를 리드한다.
·상기 입력된 표준조립동작요소기호에 따라 각 조립동작의 불량률계수를 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에서 리드한다. 또, 동작순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21)에서 각 동작의 순번에 따른 동작순 보정계수를 리드한다.
·상기 입력된 부품조건보정요소기호에 따라 각 보정요소의 부품조건보정계수를 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1) 또는 피조립부품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2)에서 리드한다.
·상기에서 「체크공정 있음」의 정보가 입력되면, 체크공정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5)에서 그에 따른 체크공정보정계수를 리드한다.
·상기에서 조립직장을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이 있으면, 직장정수 데이타베이스(241)에서 해당하는 직장의 직장정수를 리드한다.
[2] 계산모델의 생성을 실행한다. 상기 입력된 또는 리드된 각종 계수, 정수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산모델에 따른 계산식을 생성한다. 이 때, 각종 보정계수에 의한 보정방법 예를 들면, 보정계수를 승산할 것인지 가산할 것인지 감산할 것인지 등의 정보는 각종 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에 각 보정인자마다 등록해 두어도 좋고, 계산프로그램상에서 보정인자의 종류에 따라 보정방법을 변경하도록 프로그램해 두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예로서, 예를 들면 모든 보정계수는 가산한다는 규칙에 따라 프로그램작성이나 계수값을 결정한다는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순마다 동작의 불량률계수를 그 동작을 보정하는 부품조건보정계수에 의해 보정하고(보정인자가 없는 경우는 보정을 실행하지 않는다), 그과 같이 보정한 동작순마다의 불량률계수를 모두 합산해서 그것에 「체크공정 있음」이면, 체크공정보정계수를 승산해서 총합적인 불량률계수를 산출하고, 그것에 직장정수를 곱해서 상기 부품조립작업의 상기 직장에 있어서의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이 계산된다.
다음에, 상기 스텝8에서 계산한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을 출력수단(2)의 표시장치(21) 또는 인쇄장치(22) 또는 다른 시스템으로의 출력수단(23)으로 출력한다(스텝9). 표시장치(21)로의 출력화면예를 도 14에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의해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불량률추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단일의 조립작업공정의 조립작업의 조립불량률 추정값산출의 예이지만, 제품의 조립작업전체에 대해서 조립불량률 추정값산출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제품의 조립작업을 구성하는 하나 하나의 작업공정의 작업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동작의 정보나 부품조건보정요소의 정보 등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이들 하나 하나의 작업공정의 조립불량률추정값이 계산되고, 그들을 합산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제품의 조립작업전체에 대해서 조립불량률추정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또, 체크공정의 유무에 관한 정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상기 정보가 없어도 소정의 불량률을 산출할 수는 있다. 또, 직장정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정보도 불필요하게 된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한 구체적인 부품조립작업(커넥터케이블 조립작업)을 예로 해서,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불량률 추정값산출방법을 도 9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표는 입출력인터페이스화면의 1예로서, 입력란에 분석할 항목을 표시한 예이다. 이 예에서는 조립불량률추정값 계산프로그램을 기동해서 입출력인터페이스화면을 보면서 평가대상작업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우선, 부품조립작업을 분석하면(스텝5), 도 15의 조립불량률추정대상의 커넥터케이블 조립작업은 다음의 2개의 작업으로 된다.
[1] 커넥터삽입. 단 삽입력 대(大).
[2] 케이블의 정형
또, 각각의 작업시의 조립부품조건과 피조립품조건을 분석한다. 분석은 입출력인터페이스화면의 입력란에 있는 항목에 대해서 분석을 실행한다. 먼저, [1]「커넥터삽입. 단 삽입력 대.」의 작업에 관해서는 「미세핀 커넥터」이므로 피조립품조건으로서 「미세구멍」이라 분석하고, 또 「장해물에 의해 부착완료상태의 육안확인이 불가능」이므로 「조립완료판정곤란」이라 분석한다. 다음의 작업[2]「케이블정형」에 관해서는 보정할 부품조건은 없다.
다음에, 스텝5에서 분석한 작업을 표준조립동작요소기호와 부품보정요소기호를 사용해서 표현한다(스텝6). 먼저, 조립작업동작을 표준조립동작요소기호로 표현하고, 그 동작요소 하나 하나에 필요한 부품조건보정요소기호를 부여한다. 도 15의 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1] 「커넥터삽입. 단 삽입력 대.」에 관해서는 표준조립동작요소로서 「횡방향이동(기호 : ←)해서 압입(기호 : C)한다」로 표현한다. 즉, 1번째의 동작은 「횡방향이동(기호 : ←)」이고, 2번째의 동작은 「압입(기호 : C)」로 된다.
다음에, 부품조건보정요소이지만 1번째의 「횡방향이동(기호 : ←)」의 부품조건보정요소는 「미세구멍(기호 : ht)」로 표현된다. 또, 「장해물에 의해 부착완료상태의 육안확인이 불가능」이므로, 「압입(기호 : C)」의 부품조건보정요소는 「부착상태확인곤란(기호 : ?)로 표현된다. 또한, 2번째의 동작에는 동작순보정이 필요하지만,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계산프로그램에서는 자동보정된다.
[2] 「케이블정형」은 표준조립동작요소로서 「정형(기호 : d)한다」로 표현한다. 이 동작의 부품조건보정요소는 동작순보정 이외에는 없으므로, 특히 표현할 필요는 없다. 또, 이 동작은 3번째의 동작이므로 계산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동작순보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조립불량률추정값 계산프로그램에 스텝6에서 표현한 요소기호를 입력한다(스텝7).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부품명칭을 부품명칭의 란에 입력하고, 동작순마다 1행씩 표준조립동작요소와 부품조건보정요소를 입력한다.
도 15의 예에서는 우선 동작순 1번째의 동작의 표준조립동작요소기호「←」를 입력하고, 그 동작의 부품조건보정요소「ht」를 피조립품조건란의 「미세구멍/작은 구멍」의 란에 입력한다. 다음에, 2행째에 동작순 2번째의 동작의 표준조립동작요소기호「C」를 입력하고, 그 동작의 부품조건보정요소「?」를 피조립품조건란의 「조립완료판정」의 란에 입력한다. 다음에, 3행째에 동작순 3번째의 동작의 표준조립동작요소기호「d」를 입력한다. 이 동작에 관해서는 보정할 부품조건보정요소는 없기 때문에 부품조건보정요소에 관해서는 입력하지 않는다.
또, 이 예에서는 상기 조립작업이 적절히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체크공정은 없으므로 「체크공정」에 관한 정보입력을 하지 않는다.
또, 평가대상직장의 직장정수가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면, 평가대상직장을 입력한다. 도 15에서는 직장명을 「A」로 입력한 예이다. 평가대상직장의 직장정수가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상기 평가대상직장과 유사하다고 고려되는 직장의 직장정수가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면, 그 직장을 입력해도 좋고, 직장정수를 알고 있으면 직장정수를 직장정수입력란에 직접 입력해도 좋다.
다음에, 조립불량률추정값 계산프로그램에 의해 자동계산을 실행한다(스텝8). 도 15의 입출력인터페이스화면의 입력란에 입력된 각 기호에 대응한 계수값이 각종 데이타베이스에서 리드되고, 그것에 따라 하나 하나의 동작마다 그 동작의 불량발생률을 나타내는 불량률계수가 계산된다.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한 식 4나 식 5를 사용해서 불량률계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도 15의 입출력인터페이스화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순마다 불량률계수가 계산되고, 그들을 합계한 것이 커넥터케이블 조립작업의 불량의 발생률을 나타내는 불량률계수이며 30으로 된다. 한편, 직장「A」의 직장정수를 직장정수 데이타베이스(241)에서 리드하고, 그것을 곱해서 그 직장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의 조립불량률 추정값이 계산된다. 이 예에서는 직장「A」의 직장정수는 5ppm이고, 직장「A」에 있어서의 상기 작업의 추정불량률은 150ppm으로 된다.
또한, 계수값의 각종 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리드는 미리 조립불량률추정값 계산프로그램 개시시 등에 실행해 두고, RAM(33)에 저장해 두어도 좋다. 이 경우, 계산시에는 RAM(33)에서 각 계수값을 리드하게 되어 계산시에 그 때마다 외부의 기억수단(4)로 엑세스할 필요가 없어져 계산시간이 단축된다는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불량률추정시스템(10)의 조립불량률추정값 계산프로그램에 의해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의 계산결과를 출력한다(스텝9).
또한, 도 15의 예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조립부품조건, 피조립품조건으로서 부품종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조립불량에는 크게 나누어서 조립불완전과 부품손상 및 오염의 2종류가 있다.
「조립불완전」은 주로 인간의 작업동작의 흔들림(동작정밀도의 변동)이나 에러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류의 불량사례로서는 커넥터삽입작업의 경우, 「삽입불완전(안쪽까지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않은 상태)」나 「커넥터의 좌우역방향삽입」등이 있다.
한편, 「부품손상 및 오염」은 주로 상기 인간의 작업동작의 흔들림(동작정밀도의 변동)이나 에러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것이지만, 「부품손상 및 오염」으로서 불량으로 되는지의 여부는 동일 손상 및 오염상태라도 부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외관에 노출되는 의장부품은 그 밖의 예를 들면 제품내부의 부품과는 다르고, 약간의 손상이나 오염에도 불량으로 될 수 있는 부품종류이다. 즉, 부품종류 즉 부품의 기능에 따라서는 동일 외력(응력)가 그 부품에 작용해도 불량으로 되는지의 여부는 일률적인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종류마다 그 부품종류가 갖는 외력에 대한 강도(항력)를 나타내는 계수값을 데이타베이스에 갖게 하고, 조립부품 및 피조립품의 부품종류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평가대상부품의 외력에 대한 강도(항력)과 상기 부품의 조립동작시에 부품에 작용하는 외력(응력)의 크기를 비교해서 「부품손상 및 오염」불량으로 되는 확률도 고려해서 추정불량률을 산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불량으로서 「조립불완전」의 불량뿐만 아니라 「부품손상 및 오염」의 불량도 고려해서 불량률을 추정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불량률추정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작업동작은 「위치결정동작」 「위치결정후의 동작」의 반복이라 고려된다. 도 17에 1종류의 조립동작에 의해 완료되는 조립작업「원통의 둥근 구명으로의 하이동삽입작업」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작업은 「하이동동작」이지만, 내용은 「위치결정동작」과 「위치결정후의 동작」으로 성립되어 있다. 또, 도 18에는 2종류의 조립동작에 의해 완료되는 조립작업 「커버조립작업」의 예를 도시하였다. 이 작업은 「경사하이동동작」과 「회전이동동작」의 2가지의 표준동작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각의 표준동작은 「위치결정동작」과 「위치결정후의 동작」으로 성립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준동작중에는 부품을 유지하는 동작이나 전선을 정형하는 동작과 같은 「위치결정동작」만의 동작도 있지만, 대부분의 동작은 「위치결정」을 한 상태에서 「위치결정후의 동작」을 실행하고 있다. 도 19에 작업공정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도 19의 공정1의 부품1의 조립작업은 3가지의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고, 1번째의 동작에서 3번째의 동작까지의 각 동작마다 「위치결정」 「위치결정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작업은 「위치결정」 「위치결정후의 동작」으로 구성되고, 작업불량도 크며, 위치결정시에 발생하는 것과 위치결정후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것의 2가지로 나누어지는 것이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명확하게 되었다.
우선, 위치결정시에 발생하는 불량은 위치결정시의 부품위치나 부품자세의 변동(부정확함)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불량이다. 위치결정이 불충분한 채 본 동작으로 이행하면 본 동작을 실행할 수 없는 불량(작업불완전불량)이 발생하지만, 조립부품이나 피조립품의 결합부의 강도나 본 동작의 동작력에 따라서는 결합부의 손상불량, 변형불량에 이른다. 통상, 작업자는 위치결정이 충분한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위치결정후의 동작으로 이행하므로, 위치결정이 불충분하면 본 동작으로 이행하기 전에 위치결정의 수정을 실행한 상태에서 위치결정후의 동작으로 이행한다. 작업부위를 잘 알아볼 수 없는 등 위치결정확인이 곤란하거나 무심코 위치결정확인을 잊어버렸을 때 상기와 같은 불량이 특히 발생하기 쉽다.
그 밖에, 위치결정후의 동작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조립불량은 위치결정후의 동작의 궤적의 제어불량, 즉 동작궤적의 변동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 및 위치결정후의 동작력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것이 있다. 상기 위치결정후의 동작의 궤적의 제어불량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조립불량은 특히 장구간동작시에 발생빈도가 높다. 한편, 위치결정후의 동작력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조립불량은 조립에 필요한 동작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로서, 특히 압입동작 등 필요동작력이 클 때 또는 동작이나 부품의 성질조건 등에 의해 소정의 동작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빈도가 높다.
여기서, 실시예 2에서는 이들 각 불량포텐셜을 평가하는 데에 적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시스템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불량률추정시스템(도 1)과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이기는 하지만, 표준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이나 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1)에 기억하는 정보, 그 정보를 취급하기 위한 계산프로그램이 다르다.
도 21은 그의 표준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에 기억하는 정보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제1 특징은 하나의 표준조립동작에 대해서 상술한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 궤적제어불량 불량률계수, 필요동작력불량 불량률계수의 3종류의 불량률계수를 설정한 점이다. 제2 특징은 동일 종류의 동작이라도 임의의 기준 이상의 위치결정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동작과 그렇지 않은 동작을 구별해서 표준조립동작의 동작종류로 한 점이다. 예를 들면, 동일 하이동동작이라도 위치결정정밀도가 높은 하이동과 그렇지 않은 하이동에서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의 설정을 변경하고 있다. 또한, 도 21에서는 「위치결정정밀도가 높은 하이동」인 경우의 위치결정불량률계수를 「1」(기준)으로 해서 각 불량률계수를 설정하고 있다. 즉, 「위치결정정밀도가 높은 하이동」의 위치결정불량 발생포텐셜에 대해서 몇배의 불량으로 되기 쉬운지를 나타내는 배수를 설정한다.
한편, 도 22는 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1)과 피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2)에 기억하는 정보로서, 표준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과 마찬가지로 각 보정인자마다 3종류의 보정계수값을 설정하여 기억하고 있다.
그 밖에, 이들 정보를 취급하는 계산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후동작시의 궤적제어불량의 발생포텐셜과 동작력부족불량의 발생포텐셜은 임의의 한정된 보정조건일 때 특히 높아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계산프로그램은 평가대상의 작업을 구성하는 동작에 대해서 임의의 특정 보정요소가 부가되었을 때에만 궤적제어불량 발생포텐셜 또는 동작력부족불량 발생포텐셜을 계산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장구간동작인 것을 나타내는 보정요소가 부가된 동작에 대해서는 위치결정 불량포텐셜에 부가해서 궤적제어불량 발생포텐셜을 계산하는 것으로 하고, 또 동작력이 큰 것을 나타내는 보정요소가 부가된 동작에 대해서는 위치결정 불량포텐셜에 부가해서 동작력부족불량의 발생포텐셜을 계산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조립동작에 부가된 보정요소의 종류에 의해 그 동작이 위치결정 불량포텐셜 이외에 궤적제어불량 발생포텐셜 또는 동작력부족불량 발생포텐셜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필요에 따라서 위치결정불량 발생포텐셜 이외에 궤적제어불량 발생포텐셜 또는 동작력부족불량 발생포텐셜을 계산하는 것으로 하였다.
다음에, 도 23, 도 24에 도시한 구체적인 부품조립작업을 예로 해서 부품조립작업의 조립불량률추정값 산출방법을 설명한다. 도 23의 (a), 도 23의 (b), 도 24의 (a), 도 24의 (b)는 직경a의 원통형의 조립부품을 둥근 구멍에 삽입하는 작업이지만, 각각 피조립부의 조건을 변경한 것이다. 도 23의 (a)는 피조립부인 둥근 구멍의 삽입가이드부의 직경(모서리잘라냄부의 외주경)이 작은 것, 즉 높은 위치결정정밀도가 요구되는 하이동작업이다. 한편, 도 23의 (b)는 피조립부인 둥근 구멍의 삽입가이드부의 직경(모서리잘라냄부의 외주경)이 큰 것, 즉 높은 위치결정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 위치결정에 배려하지 않아도 좋은 하이동작업이다. 도 24의 (a)는 피조립부인 둥근 구멍의 삽입가이드부의 직경(모서리라냄부의 외주경)이 작고 높은 위치결정정밀도가 요구되는 하이동작업으로서, 둥근 구멍의 깊이가 더욱 깊고 장구간삽입작업이 요구되는 하이동작업이다. 도 24의 (b)는 피조립부인 둥근 구멍의 삽입가이드부의 직경(모서리잘라냄부의 외주경)이 크고 높은 위치결정정밀도는 요구되지 않고 위치결정에 배려하지 않아도 좋은 하이동작업이지만, 삽입직경a와 구멍직경c의 클리어런스는 작고 끼워맞춤이 곤란한 통상보다 큰 삽입력이 요구되는 하이동작업이다. 우선, 상기 도 23의 (a), 도 23의 (b), 도 24의 (a), 도 24의 (b)의 각각의 조립작업의 불량발생포텐셜을 나타내는 불량률계수의 산출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 23의 (a), 도 23의 (b), 도 24의 (a), 도 24의 (b)의 작업예에 관해서는 후공정에서의 체크공정은 없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23의 (a)의 작업은 높은 위치결정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하이동으로서, 장구간동작이나 큰 동작력을 필요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보정요소가 없으므로, 작업분석은 「위치결정하이동」(기호 : ↓’)로 된다. 그리고, 이 작업분석결과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를 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에서 리드한다. 이 경우, 「위치결정하이동」(기호 : ↓’)이므로, 도 21에서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는 「1」로 된다. 또, 이 경우는 장구간동작이나 큰 동작력을 필요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보정요소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궤적제어불량 불량률계수 및 동작력부족불량 불량률계수의 계산은 실행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도 23의 (a) 작업의 합계의 불량률계수는 「1」로 된다. 구체적인 불량률은 이 불량률계수「1」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직장정수를 승산해서 산출된다.
다음에, 도 23의 (b)의 작업은 삽입가이드부의 직경이 크고 위치결정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하이동으로서, 장구간동작이나 큰 동작력을 필요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보정요소가 없으므로, 작업분석은 단지 「하이동」(기호 : ↓)로 된다. 그리고, 이 작업분석결과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를 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에서 리드한다. 이 경우, 「하이동」(기호 : ↓)이므로, 도 21에서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는 「0.1」로 된다. 또, 이 경우는 장구간동작이나 큰 동작력을 필요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보정요소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궤적제어불량 불량률계수 및 동작력부족불량 불량률계수의 계산은 실행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도 23의 (b) 작업의 합계의 불량률계수는 「0.1」로 된다. 구체적인 불량률은 이 불량률계수「1」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직장정수를 승산해서 산출된다.
다음에, 도 24의 (a)의 작업은 삽입가이드부의 직경이 작고 높은 위치결정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하이동으로서, 장구간삽입이므로 동작이 「위치결정하이동」(기호 : ↓’)이고 그의 보정요소가 「장구간삽입」(기호 : lh)으로 작업분석된다. 그리고, 이 작업분석결과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를 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에서 리드한다. 이 경우, 「위치결정하이동」(기호 : ↓)이므로, 도 21에서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는 「1」로 된다. 또, 이 경우에는 장구간삽입의 보정요소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피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2)에서 장구간삽입의 위치결정불량 보정요소계수「1」을 리드한다(도 22 참조). 또, 장구간삽입이므로 궤적제어불량 불량률계수를 계산한다. 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에서 궤적제어불량 불량률계수「1」을 리드한다(도 21 참조). 다음에 피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2)에서 장구간삽입보정에 의한 궤적제어불량 보정계수「2」를 리드한다(도 22 참조). 또한, 이 경우는 큰 동작력을 필요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보정요소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작력부족불량 불량률계수의 계산은 실행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도 24의 (a)의 작업의 불량률계수는 우선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가 1×1로 「1」, 궤적제어불량 불량률계수가 1×2로 「2」로 되고, 합계 「3」으로 된다. 구체적인 불량률은 이 불량률계수「3」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직장정수를 승산해서 산출된다.
마지막으로 도 24의 (b)의 작업은 삽입가이드부의 직경이 크고, 위치결정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하이동으로서, 보정요소가 없으므로 작업분석은 단지 「하이동」(기호 : ↓)이고, 「끼워맞춤곤란」이라는 보정조건이므로 동작이 「하이동」(기호 : ↓)이고, 그의 보정요소가 「끼워맞춤곤란」(기호 : th)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이 작업분석결과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를 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에서 리드한다. 이 경우, 「하이동」(기호 : ↓)이므로 도 21에서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는 「0.1」로 된다. 또, 이경우는 「끼워맞춤곤란」의 보정요소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피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2)에서 「끼워맞춤곤란」의 위치결정불량 보정요소계수「1」을 리드한다(도 22 참조). 또, 「끼워맞춤곤란」즉 동작력이 큰 동작이므로 동작력부족불량 불량률계수를 계산한다. 조립동작별불량률계수 데이타베이스(211)에서 동작력부족불량 불량률계수「1」을 리드한다(도 21 참조). 계속해서, 피조립부품조건보정계수 데이타베이스(232)에서 「끼워맞춤곤란」의 보정에 의한 동작력부족불량보정계수「5」를 리드한다(도 22 참조). 또한, 이 경우는 장구간동작을 나타내는 보정요소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궤적제어불량 불량률계수의 계산은 실행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도 24의 (b)의 작업의 불량률계수는 우선 위치결정불량 불량률계수가 0.1×1로 「0.1」, 동작력부족불량 불량률계수가 1×5로 「5」로 되고, 합계 「5.1」로 된다. 구체적인 불량률은 이 불량률계수「5.1」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직장정수를 승산해서 산출된다.
또한, 도 20은 실시예 2에 설명한 시스템의 출력예로서, 상술한 위치결정불량, 궤적제어불량, 동작력부족불량마다의 불량률계수가 표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2의 방법에 의하면, 위치결정불량, 궤적제어불량, 동작력부족의 각각의 발생포텐셜을 나누어서 빈틈없이 불량률추정을 할 수 있으므로, 불량률의 추정정밀도가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위치결정불량, 궤적제어불량, 동작력부족의 각각의 발생포텐셜이 출력되므로, 평가대상의 작업중에서 어떠한 동작이 어떠한 불량포텐셜을 갖고 있는 것을 정량적으로 알 수 있고, 추정생산전의 설계단계에 있어서, 보다 적확하게 개량할 포인트의 제시도 가능하게 된다. 또, 각각의 발생포텐셜의 크기와 부품조건보정계수종류의 조합에 의해 불량현상의 추정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설계단계, 제조공정계획단계 등의 제품생산전에 그 제품의 조립작업의 조립불량률의 추정값을 부품조립작업마다 정밀도 높게 추정할 수 있으므로, 불량률계수가 높은 부품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적출할 수 있고, 그들을 개량하는 것에 의해 효율좋게 효과적으로 조립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면 신뢰성이 높은 제품설계,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7)

  1. 제품의 조립동작을 분류한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제1 보정계수 및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제2 보정계수를 기억시켜 두고,
    평가대상이 갖는 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1 정보, 상기 평가대상이 갖는 피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립부품에 조립하는 경우의 표준조립동작을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입력하는 스텝,
    상기 입력된 제1, 제2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제1, 제2 보정계수를 추출하는 스텝,
    상기 입력된 제3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불량률계수를 추출하는 스텝 및
    상기 추출된 불량률계수를 상기 추출된 제1, 제2 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보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방법.
  2. 제품의 조립동작을 분류한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제1 보정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제2 보정계수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립부품에 조립할 때까지 사용하는 상기 표준조립동작수별의 제3 보정계수를 기억시켜 두고,
    평가대상이 갖는 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1 정보, 상기 평가대상이 갖는 피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립부품에 조립하는 경우의 표준조립동작을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입력하는 스텝,
    상기 입력된 제1, 제2 정보 및 상기 입력된 제3 정보에서 산출한 상기 표준조립동작의 수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제1, 제2, 제3 보정계수를 추출하는 스텝,
    상기 입력된 제3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불량률계수를 추출하는 스텝 및
    상기 추출된 불량률계수를 상기 추출된 제1, 제2, 제3 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보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방법.
  3. 제품의 조립동작을 분류한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제1 보정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제2 보정계수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립부품에 조립하는 경우의 상기 표준조립동작의 순번별의 제3 보정계수를 기억시켜 두고,
    평가대상이 갖는 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1 정보, 상기 평가대상이 갖는 피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립부품에 조립하는 경우의 표준조립동작을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입력하는 스텝,
    상기 입력된 제1, 제2, 제3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제1, 제2, 제3 보정계수를 추출하는 스텝,
    상기 입력된 제3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불량률계수를 추출하는 스텝 및
    상기 추출된 불량률계수를 상기 추출된 제1, 제2, 제3 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보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품이 상기 피조립부품에 적절하게 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공정의 유무에 대응한 제4 보정계수를 기억시켜 두고,
    상기 조립부품이 상기 피조립부품에 적절하게 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공정이 있는 경우, 상기 추출한 불량률계수를 상기 제4 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또 보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품 또는 상기 피조립부품의 성질은 형상, 치수정밀도, 표면정밀도, 크기, 중량, 재질, 기능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조립동작은 위치결정조립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률계수는 적어도 궤적제어불량에 관한 불량률계수와 동작력부족불량에 관한 불량률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는 적어도 궤적제어불량에 관한 보정계수와 동작력부족불량에 관한 보정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방법.
  9. 제품의 조립동작을 분류한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제1 보정계수 및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제2 보정계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평가대상이 갖는 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1 정보, 상기 평가대상이 갖는 피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립부품에 조립하는 경우의 표준조립동작을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된 제1, 제2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제1, 제2 보정계수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입력된 제2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불량률계수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된 불량률계수를 추출된 제1, 제2 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보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갖는 연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시스템.
  10. 제품의 조립동작을 분류한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제1 보정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제2 보정계수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립부품에 조립할 때까지 사용하는 상기 표준조립동작수별의 제3 보정계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평가대상이 갖는 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1 정보, 상기 평가대상이 갖는 피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립부품에 조립하는 경우의 표준조립동작을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된 제1, 제2 정보와 상기 입력된 제3 정보에서 산출한 상기 표준조립동작의 수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제1, 제2, 제3 보정계수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입력된 제3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불량률계수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된 불량률계수를 상기 추출된 제1, 제2, 제3 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보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갖는 연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시스템.
  11. 제품의 조립동작을 분류한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조립부품의 성질별의 제1 보정계수,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피조립부의 성질별의 제2 보정계수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림부품에 조립하는 경우의 상기 표준조립동작의 순번별의 제3 보정계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평가대상이 갖는 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1 정보, 상기 평가대상이 갖는 피조립부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조립부품을 상기 피조립부품에 조립하는 경우의 표준조립동작을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된 제1, 제2, 제3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제1, 제2, 제3 보정계수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입력된 제3 정보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불량률계수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된 불량률계수를 상기 추출된 제1, 제2, 제3 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보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갖는 연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조립부품이 상기 피조립부품에 적절하게 부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공정의 유무에 대응한 제4 보정계수를 기억시켜 두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조립부품이 상기 피조립부품에 적절하게 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공정이 있는 경우, 상기 추출한 불량률계수를 상기 제4 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또 보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시스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품 또는 상기 피조립부품의 성질은 형상, 치수정밀도, 표면정밀도, 크기, 중량, 재질, 기능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시스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조립동작은 위치결정조립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시스템.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률계수는 적어도 궤적제어불량에 관한 불량률계수와 동작력부족불량에 관한 불량률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시스템.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는 적어도 궤적제어불량에 관한 보정계수와 동작력부족불량에 관한 보정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률추정시스템.
  17. 조립부품의 표준조립동작별 불량률계수,
    조립부품의 성질별 보정계수,
    피조립부의 성질별 보정계수 및
    평가대상을 상기 표준조립동작의 조합으로 표현하고 상기 조합한 정보와 상기 평가대상으로 되는 조립부품 및 피조립부품의 성질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정보에서 해당하는 표준조립동작의 불량률계수, 조립부품의 보정계수 및 피조립부의 보정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불량률계수를 조립부품의 보정계수 및 피조립부의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한 값을 가산하는 것에 의해서 평가대상의 조립불량률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19980010964A 1997-03-31 1998-03-30 불량률추정방법, 불량률추정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0305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79576 1997-03-31
JP7957697 1997-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843A KR19980080843A (ko) 1998-11-25
KR100305439B1 true KR100305439B1 (ko) 2001-10-29

Family

ID=1369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964A KR100305439B1 (ko) 1997-03-31 1998-03-30 불량률추정방법, 불량률추정시스템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6108586A (ko)
KR (1) KR100305439B1 (ko)
CN (1) CN110397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586A (en) * 1997-03-31 2000-08-22 Hitachi, Ltd. Fraction defective estimating method, system for carrying out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US6526326B2 (en) 1997-03-31 2003-02-25 Hitachi, Ltd. Fraction defective estimating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an assembly fraction defective of an article
JP3739201B2 (ja) * 1998-03-06 2006-01-25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の相関解析方法及び装置、半導体チップ歩留まり調整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4317605B2 (ja) * 1998-09-29 2009-08-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不良率評価方法および不良率評価システム
US6532426B1 (en) * 1999-09-17 2003-03-11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different scenarios for operating and designing equipment
US6751343B1 (en) * 1999-09-20 2004-06-15 Ut-Battelle, Llc Method for indexing and retrieving manufacturing-specific digital imagery based on image content
JP3847644B2 (ja) * 2002-03-19 2006-11-22 株式会社ジャストシステム 設計支援装置、設計支援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DE102004029222A1 (de) * 2003-06-24 2005-02-17 Omron Corp. Verbesserungsunterstützungssystem
JP4322615B2 (ja) * 2003-09-30 2009-09-02 株式会社東芝 三次元配置調整cadシステムを備えた部品情報処理装置、部品情報処理方法および部品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244768B2 (ja) * 2003-09-30 2009-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不良影響度評価方法および設計支援システム
JP4500063B2 (ja) * 2004-02-06 2010-07-1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予測方法および予測プログラム
US8019554B2 (en) * 2005-03-30 2011-09-13 Ethicon, Inc. Predictive indicator model
JP4755441B2 (ja) * 2005-04-25 2011-08-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設計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
JP4967430B2 (ja) * 2006-04-11 2012-07-04 オムロン株式会社 不具合管理装置、不具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548842B1 (en) * 2009-01-07 2013-10-0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ssessing delivery affectivity in quality function deployment
US10438143B2 (en) 2015-09-28 2019-10-0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ollaborative decision engine for quality function deployment
US11198182B2 (en) 2019-01-30 2021-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of additively printing on workpieces
US11426799B2 (en) 2019-01-30 2022-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Powder seal assembly for decreasing powder usage in a powder bed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US11144034B2 (en) 2019-01-30 2021-10-12 General Electric Company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CAD models for additively printing on workpieces
US11344979B2 (en) 2019-01-30 2022-05-31 General Electric Company Build plate clamping-assembly and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of additively printing on workpieces
US11465245B2 (en) 2019-01-30 2022-10-11 General Electric Company Tooling assembly for magnetically aligning components in an additive manufacturing machine
US11173574B2 (en) 2019-01-30 2021-11-16 General Electric Company Workpiece-assembly and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of additively printing on workpieces
US11407035B2 (en) 2019-01-30 2022-08-09 General Electric Company Powder seal assembly for decreasing powder usage in a powder bed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US11285538B2 (en) 2019-01-30 2022-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Tooling assembly and method for aligning components for a powder bed additive manufacturing repair process
US11498132B2 (en) 2019-01-30 2022-11-15 General Electric Company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of calibrating for additively printing on workpieces
US11458681B2 (en) 2019-01-30 2022-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Recoating assembly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machine
US11298884B2 (en) 2019-06-07 2022-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of pretreating and additively printing on workpieces
CN114935703B (zh) * 2022-07-26 2022-11-29 成都市克莱微波科技有限公司 一种变频组件自动测试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699A (ja) * 1995-04-26 1996-11-12 Hitachi Ltd 製造不良解析支援システム、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不良解析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6872A (en) * 1971-10-14 1975-04-08 Industrial Nucleonics Corp Pro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integral-action set-point optimization using statistically-variable gain control responsive to fraction defective
US3875383A (en) * 1973-03-29 1975-04-01 Industrial Nucleonics Corp Control system for average value setpoint
JPS6433415A (en) 1987-07-27 1989-02-03 Kobe Steel Ltd Disposal method for disposal waste and disposer for ash of incinerated disposal waste
JPH01167631A (ja) * 1987-12-24 1989-07-03 Toyota Motor Corp ワークの手直し方法
GB2242765B (en) * 1988-12-19 1993-04-28 Digital Equipment Corp Attribute inductive data analysis
US5239456A (en) * 1990-07-30 1993-08-24 The Foxboro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with opimum setpoint determination
US5301118A (en) * 1991-11-18 1994-04-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nte carlo simulation design methodology
US5351202A (en) * 1992-02-27 1994-09-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valuation and ranking of manufacturing line non-numeric information
JP3511632B2 (ja) * 1992-12-24 2004-03-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実装工程不良要因分析方法
JPH07141005A (ja) * 1993-06-21 1995-06-0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713617A (ja) * 1993-06-29 1995-01-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不具合事象の原因推定方法
US5544256A (en) * 1993-10-22 1996-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defect classification system
JPH07271587A (ja) * 1994-03-31 1995-10-20 Fuji Heavy Ind Ltd 故障診断装置
DE4446966A1 (de) * 1994-12-28 1996-07-04 Itt Ind Gmbh Deutsche Informationssystem zur Produktionskontrolle
US5539652A (en) * 1995-02-07 1996-07-23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test simulation in electronic circuit design
US5971586A (en) * 1995-04-21 1999-10-26 Sony Corporation Identifying causes of semiconductor production yield loss
US5956251A (en) * 1995-06-28 1999-09-21 The Boeing Company Statistical tolerancing
JP3106919B2 (ja) * 1995-08-02 2000-11-06 ヤマハ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の試験方法、試験装置およびウエハプローバ
JPH0962309A (ja) 1995-08-23 1997-03-0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工場診断装置
NL1003315C2 (nl) * 1996-06-11 1997-12-17 Europ Semiconductor Assembly E Werkwijze voor het inkapselen van een geïntegreerde halfgeleiderschake- ling.
JPH1033415A (ja) 1996-07-19 1998-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3634085B2 (ja) 1996-09-02 2005-03-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実装工場診断システム
US5773315A (en) * 1996-10-28 1998-06-30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duct wafer yield prediction method employing a unit cell approach
US6473703B1 (en) * 1996-11-20 2002-10-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manufacturing process utilizing control charts with specified confidence intervals
US6108586A (en) * 1997-03-31 2000-08-22 Hitachi, Ltd. Fraction defective estimating method, system for carrying out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US5910011A (en) * 1997-05-12 1999-06-08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rocesses using multiple parameters of a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system
US5946214A (en) * 1997-07-11 1999-08-31 Advanced Micro Devices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estimating fabrication yield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memory blocks with redundant rows and/or columns
US6281026B1 (en) * 1997-11-14 2001-08-28 Niigata Seimitsu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699A (ja) * 1995-04-26 1996-11-12 Hitachi Ltd 製造不良解析支援システム、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不良解析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517A (zh) 1998-12-02
US6553273B1 (en) 2003-04-22
CN1103979C (zh) 2003-03-26
US20040083019A1 (en) 2004-04-29
KR19980080843A (ko) 1998-11-25
US6108586A (en) 2000-08-22
US6401000B1 (en) 2002-06-04
US6895350B2 (en)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439B1 (ko) 불량률추정방법, 불량률추정시스템 및 기록매체
US6625511B1 (en) Evaluation method and its apparatus of work shop and product quality
US6973358B2 (en) Defect influence degree evaluation method and design support system
CN106682350B (zh) 一种基于三维模型的多属性决策质量检测方法
WO2003044452A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a user taking measurements using a coordinate measurement machine
Moroni et al. Early cost estimation for tolerance verification
Filz et al. Data-driven analysis of product state propagation in manufacturing systems using visual analytics and machine learning
Wells et al. A framework for variation visualization and understanding in complex manufacturing systems
US11138805B2 (en) Quantitative quality assurance for mixed reality
US20200364390A1 (en) Designing product assemblies utilizing information expressing which components are arranged in direct contact derived from digital models
JP3570211B2 (ja) 不良率推定方法、不良率推定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ain et al. Dynamic optimization of process quality control and maintenance planning
US202402024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dynamic ergonomic risk
JP3024350B2 (ja) 製造性自動評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0283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aintenance control of instrument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surface properties
Cheldelin et al. Mixed-model assembly quality: An approach to prevent human errors
Loose et al. Variation source identification in manufacturing processes based on relational measurements of key product characteristics
JP4218669B2 (ja) 製造職場の評価方法
JP2001273025A (ja) 作業不良発生度評価方法並びに製造職場の不良の起こし易さ評価方法及びその装置
JP4277434B2 (ja) 不良率推定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112236798A (zh) 用于在生产产品的情形中的质量保证的方法以及计算设备和计算机程序
US6526326B2 (en) Fraction defective estimating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an assembly fraction defective of an article
Gayton et al. APTA: advanced probability-based tolerance analysis of products
JP2800714B2 (ja) 部品コスト見積り方法および部品コスト見積り装置
Traband et al. CAD-directed Programming of a Vision-based Insp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