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190B1 - 토션쇽업소버를가지는브리지커플링 - Google Patents

토션쇽업소버를가지는브리지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190B1
KR100300190B1 KR1019980018468A KR19980018468A KR100300190B1 KR 100300190 B1 KR100300190 B1 KR 100300190B1 KR 1019980018468 A KR1019980018468 A KR 1019980018468A KR 19980018468 A KR19980018468 A KR 19980018468A KR 100300190 B1 KR100300190 B1 KR 100300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accumulators
steering
bridge coupling
centrifu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286A (ko
Inventor
뤼디거 힝켈
우베 데르만
롤란트 일리히
호르스트 브라이어
Original Assignee
헬무트 호에
만네스만 작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호에, 만네스만 작스 아게 filed Critical 헬무트 호에
Publication of KR1998008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94Single disk type lock-up clutch, i.e. using a single disc engaged between frict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토크 컨버터의 구동기어에서 피동기어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으며 축방향으로 휠 수 있는 피스톤을 가지는 토크 컨버터의 브리지 커플링은 피스톤을 가지는 입구부 및 상기 토크 컨버너의 터빈 휠을 가지는 출구부에 의해 연결되는 토션 쇽업소버와 함께 형성된다. 토션 쇽업소버에서 작용하는 어큐뮬레이터를 위한 조종부재들이 있고, 상기 조종부재들은 상기 커버부재의 최소한 하나의 원심방향 지지부에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의 한면에서 시작되어 동일한 면의 축방향 지지부에 상대적으로 뻗어 있다. 한편으로 상기 조종부재들은 일정한 깊이로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돌출되고, 상기 깊이에 있어서 상기 부속되는 어큐뮬레이터들은 연장폭을 따라 조종부재와 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조종부재에 배열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상기 조종부재들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와 함께 작용하는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다른 구조부품이 맞물리는 위치에서는 최소한 상기 축방향 지지부에까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맞물림은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돌기들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들에서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위한 축방향 안정부들이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수용하기 위해 있으며, 상기 돌기들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의 폭 전체에 걸쳐 상기 돌기들의 연장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허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Description

토션 쇽업소버를 가지는 브리지 커플링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제1항의 전제부에 의한 브리지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DE 41 35 631 A1을 통해서 토크 컨버터의 구동기어에서 피동기어로 토크를 전달시킬 수 있는 축방향으로 휘는 것이 가능한 피스톤을 가지는 토크 컨버터의 브리지 커플링이 개시되었다. 상기 피스톤은 토션 쇽업소버의 입구부와 연결되고, 출구부는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 휠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입구부는 커버부재로서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 사이에서 작용하는 어큐뮬레이터들을 위한 것이고,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출구부를 향하는 면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은 상기 커버부재 내에서 두 개의 원심방향 지지부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축방향 지지부로 인해 상기 피스톤을 향하는 축 방향 움직임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면을 향하는 어큐뮬레이터들의 영역은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출구부에 의해 축방향으로 안전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구조부품은 소정의 깊이로 상기 커버부재의 원심방향 지지부들 사이로 삽입된다.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쪽으로 휘어 바깥쪽으로 분리되어 나온 브래킷들의 형태인 조종부재들을 가진다. 이와 반대로 상기 내부 지지부는 상기 피스톤에 상기 커버부재를 고정하는 데 이용되는 섹션으로부터 휘어 나오는 브래킷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섹션으로부터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위한 다른 조종부재들이 휘어 나온다.
브리지 커플링에 이렇게 형성된 토션 쇽업소버는 피스톤과 터빈 휠 사이에서 방사상 외부의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축방향 조립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하지만, 상기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로부터 상기 조종부재들의 분리로 인해서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원심력으로 인해 야기되는 레이디얼 파워(radial power)에 저항할 만큼 충분히 고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의 가소성에 의한 변형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상기 피스톤의 원주에 형성되는 칼라가 상기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를 둘러싼다. 그렇게 함으로써 무엇보다도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이 계속해서 방사상 내부를 향해 이동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방사상으로 가장 외부의 영역에 배열될 때만 토크가 매우 많이 전달될 수 있거나 소망하는 감쇠력을 나타내도록 피스톤 행정이 긴 어큐뮬레이터들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 가능한 공간을 더 이상 제한할 필요가 없으려면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입구쪽 및 출구쪽 부품의 조종부재들을 짧게 형성하고, 따라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이 폭 전체가 아니라 영역별로만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및 상기 조종부재들에서의 표면압은 크다. 그러므로 마모현상이 조기에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축방향 구조, 소정의 예정된 토크전달 가능성이 크며, 동시에 마모될 위험이 적을 때 가장 감쇠반응이 허용되도록 브리지 커플링에 토션 쇽업소버를 형성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 제1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특징들을 통해 달성된다.
상기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가 원주방향으로 중단부 없이 형성되므로 원심력으로 인해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통해 도입되는 레이디얼 파워로 인한 변형에 대하여 강하게 저항한다. 따라서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에는 보강재 또는 심지어 상기 피스톤 원주의 칼라에 의한 보완재는 필요없다. 이로 인해서, 특히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수용하는 커버부재가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출구부로서 작용함으로써 상기 터빈 휠에 배열될 때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은 방사상으로 가장 외부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브리지 커플링의 피스톤이 안정성을 이유로 하여 대개의 경우 원주 영역에서 이미 언급된 칼라를 가지므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칼라의 방사상 영역 안까지 외부로 옮길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동시에 모멘트 전달 가능성이 크면, 결과적으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은 이에 상응하여 피스톤 행정이 길어진다. 물론 이렇게 형성될 때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맞물리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부품은 예를 들어 허브판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입구쪽 구조부품으로서 작용하며, 그 결과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다.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가 원주방향으로 중단됨이 없이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조종부재들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청구항에 의하면 상기 조종부재들은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축방향 지지부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으로 상기 조종부재들은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깊숙이 돌출하는 돌기들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들에 있어서 상기 부속되는 어큐뮬레이터들은 연장폭 전체를 따라 조종부재와 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조종부재에 배열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상기 조종부재들은 어큐뮬레이터들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와 함께 작용하는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다른 구조부품이 맞물리는 위치에까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이 넓은 면적에 걸쳐 상기 조종부재에 의해 압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조종부재들과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의 부속되는 말단부들 사이에서는 표면압이 비교적으로 적게만 나타나기 때문에 마모현상이 비교적 적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조종부재들의 돌기들이 매우 크게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다른 구조부품이 맞물리는 영역을 빈 상태로 유지하므로 상기 구조부품도 최소한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직경에 상응하는 깊이로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에 넓은 면적에 걸쳐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조치를 통해서 상기 구조부품과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사이에서 표면압과 마모가 줄어든다.
상기와 같이 크게 형성되는,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맞물리는 조종부재들의 돌기들은 특허청구항에 의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의 맞은편에서 튀어나오는 브래킷들은 상기 축방향 지지부 쪽으로 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맞물릴 수 있으므로 상기 브래킷들이 휘는 위치에서 상기 조종부재의 횡단면에 병목지점이 형성되고, 이때 상기 횡단면 병목지점은 원주방향으로 각각 두 개의 횡단면 병목지점 사이에 배열되는 어큐뮬레이터들에 압력을 가하는 데 적합하다. 상기 브래킷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의 전체 영역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적당히 길어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브래킷들이 비본질적으로 상기 축방향 지지부의 영역 안으로 돌출하므로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맞물리는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다른 구조부품이 상기 축방향 지지부에 밀착될 정도로 연장되어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의 폭 전체에 압력을 가해지도록 상기 브래킷들의 크기를 제한해야 한다.
대안으로서, 특허청구항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다른 구조부품의 연장방향에 위치하는 면에서 다른 구조부품을 위한, 상기 커버부재의 축방향 지지부의 릴리프 안으로 맞물리는 빈 공간을 가지는 조종부재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종부재들은 추가 구조부품들로서 원주 위로 배열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횡단면에 부분적으로 병목지점을 형성시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삽입된다. 앞에서 언급된 브래킷들에서와는 다르게 상기 조종부재들은 바람직하게 두 개의 조종영역을 연결하는 지점을 가지는 일체형 부재들로서 나타난다.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다른 구조부품이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각각의 조종부재는 최소한 상기 다른 구조부품이 맞물리는 영역에서 빈 공간을 가진다. 예를 들어 딥 드로잉(deep drawing)을 통해 조종부재의 재료와 삽입되는 다른 구조부품과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에서 조종부재의 재료가 밀려남으로써 상기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려난 재료가 상기 커버부재에 상응하는 릴리프 안으로 압입될 수 있음으로써 동시에 상기 조종부재가 상기 커버부재 안에서 고정될 수 있을 때 상기와 같이 재료가 밀려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삽입깊이를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이용하여 다수의 조종부재들을 상기 커버부재 안에서 일정하게 배열하고, 특히 여기에서는 삽입깊이를 일정하게 한다. 상기 스토퍼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면의 자유단들에 배열되는 만곡부에 의해 형성된다. 동시에 상기 스토퍼들은 각각의 조종부재들을 원주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들은 이를 위해서 조종부재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있는 고리들로서 연장된다. 무엇보다도 상기 개별 조종부재들의 위아래 연결은 상기 빈 공간에 상응하는 규격일 때 다른 위치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빈 공간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종부재들을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다른 가능성으로, 상기 조종부재들의 돌기들이 관통하는 데 이용되는 리세스들이 상기 커버부재의 축방향 경계에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들이 관통하는 경우 상기 조종부재들이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면에 의해서 삽입되므로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다른 구조부품의 삽입깊이가 상기 조종부재들에 의해서 줄어들지 않음이 확실해진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돌기들을 이용해서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 횡단면이 작아지므로 이미 설명된 방법으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위한 조종면이 형성된다. 이때 특허청구항에 의하면 상기 돌기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의 각각의 부속되는 원심방향 지지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조종부재들은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되는데, 예를 들어 용접점에 의해서 재료결합 및 인터피팅(interfitting) 또는 인터록킹(interlocking)된다. 상기 조종부재들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의 상대운동을 허용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때 상대운동은 무엇보다도 상응하는 스토퍼들에 의해서 경로에 맞게 제한되어야 한다. 브리지 커플링의 작동시 수반되는 힘이 작용된 상태에서는 이미 상기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서 최적의 상대위치가 나타난다.
상기 커버부재의 매우 간단한 형성으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에서 중단됨이 없어야 하는 상기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는 고리로서 형성되고, 상기 고리의 내경에는 상기 조종부재들이 있으며, 이때 상기 조종부재들에는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들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는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원심력으로 야기되는 힘은 실제로 방사상 내부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토션 쇽업소버를 상기 터빈 휠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부재 또는 상기 조종부재들에는 상기 터빈 휠의 방향으로 휘어 상기 터빈 휠에 고정되는 브래킷 모양의 변형부들 또는 지지부들이 있다.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면으로부터 삽입된 조종부재들을 가지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들 또는 지지부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되고, 이때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출구쪽 구조부품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역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기능은 같고, 상기 축방향 지지부의 터빈 휠 쪽으로부터 파고 드는 조종부재들을 가지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 또는 지지부들을 상기 조종부재들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바람직한 특성곡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강도를 가지는 다수의 어큐뮬레이터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청구항에 의하면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스프링 세트를 함께 형성하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사이에는 중간부재들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들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에 넓은 면적에 걸쳐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이 상기 조종부재들 또는 상기 토션 업소버의 다른 구조부품과의 간격을 두고 적은 표면압으로 하중을 받게 한다. 상기와 같은 중간부재로서 예를 들어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중심으로 하는 실린더 및 상기 각각 두 개의 어큐뮬레이터들 사이에 있는 볼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의 연장영역에서는 원심력에 의존하는 마찰이 바람직할 때 상기 중간부재들과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는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적은 마찰을 원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부재들을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의 외경보다 크지 않게 형성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된다.
도1은 토션 쇽업소버에 의해 터빈 휠과 연결되는 브리지 커플링을 가지는 토크 컨버터의 종단면 상부의 반쪽 도면;
도2는 도1의 테두리 처진 영역의 확대도;
도3은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어큐뮬레이터의 평면도;
도4는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허브판의 부분도;
도5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조종부재를 가지는 토션 쇽업소버의 커버부재의 도면;
도6은 도2와 같으나 상기 허브판과 커버부재 사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 해 상기 허브판에 스토퍼를 가지는 도면;
도7은 도6과 같으나 상기 커버부재에 스토퍼를 가지는 도면;
도8은 도3과 같으나 두 개의 어큐뮬레이터 사이에 중간부재들로서 실린더들을 가지 는 도면;
도8a는 중간부재로서 볼(ball)을 가지는 도8의 단면도;
도9는 개방면을 통해 삽입된 조종부재들을 가지는 커버부재의 도면;
도10은 도9의 절단선 X-X에 의한 단면도;
도11은 도9와 같으나 다른 세그먼트의 도면;
도12는 도11의 절단선 XII-XII에 의한 단면도;
도13은 도9와 같으나 조종부재들의 위아래로 연결된 다른 구조의 도면;
도14는 도13의 절단선 XIV-XIV에 의한 단면도;
도15는 도13과 같으나 다른 세그먼트의 도면;
도16은 도15의 절단선 XVI-XVI에 의한 단면도;
도17은 폐쇄면을 통해 조종부재들이 삽입된 커버부재의 도면;
도18은 도17과 같으나 조종부재와 커버부재의 용접부를 가지는 도면;
도19는 도17과 같으나 조종부재와 커버부재의 인터록킹부를 가지는 도면;
도20은 도19와 같으나 상기 조종부재의 자유단(自由端)에 형성되는 인터록킹 부를 가지는 도면;
도21은 상기 조종부재에 대하여 상대적 축방향 움직임을 나타내는 커버부재 의 배열의 도면;
도22는 도18과 같으나 직각으로 굽은 부속되는 피스톤을 가지는 도면;
도23은 상기 조종부재를 둘러싸는 고리로서의 커버부재의 도면;
도24는 상기 터빈 휠에 상기 커버부재의 바람직한 고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25는 허브판의 추가 만곡부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컨버터 하우징 2. 축단부(軸端部)
3. 펌프 휠 5. 터빈 휠
7. 스테이터(stator) 8. 리벳 조인트
10. 터빈 허브 12. 내부톱니
14. 피스톤 15. 브리지 커플링
17. 마찰 라이닝부 18. 칼라
20. 리벳 조인트 22. 토션 쇽업소버
24. 입구쪽 구조부품 26. 허브판
28. 출구쪽 구조부품 30. 커버부재
32. 변형부들 34. 조종부재들
36. 어큐뮬레이터 38. 원심방향 지지부들
40. 원심방향 지지부들 42. 커버부재의 개방면
44. 축방향 지지부들 46,48 돌기
49. 축방향 돌기들 50. 축방향 안정부들
56,58 브래킷(bracket)의 자유단들 60,64 연장부
62,66 리세스 70. 빈 공간
72. 릴리프(relief) 74. 압출부
76,78 자유단들 80. 스토퍼들
82,84 만곡부들 86,87 고리들
88,89 리세스 90. 용접부
91. 압출부 94. 지지부
96. 횡 연결부 98. 축방향 스토퍼
100. 프레임 102. 돌출부
104. 릴리프 106,108 스토퍼들
110. 고리 112. 중간부재들
114. 중심축 116. 실린더
118. 촛점부 120. 볼
122. 접선 124. 레이저 용접기
126. 만곡부 128. 자유단
도1에서는 유압 토크 컨버터의 영역이 테두리 처져 나타나 있고, 영역에는 토크를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 1에서 도시되지 않은 피동축에 전달하기 위한 브리지 커플링 15가 있다. 이하에서 상기 토크 컨버터의 전체를 집중적으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토크 컨버너는 종래기술, 예를 들어 DE 44 23 640 A1에서 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1에 도시된 토크 컨버터는 중심축 114의 영역에서 축단부 2를 나타내고, 상기 축단부에 의해서 상기 토크 컨버터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어, 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크랭크 축과 회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축단부 2는 용접 연결에 의해서 회전에 강하도록 상기 컨버터 하우징 1과 연결되고, 상기 컨버터 하우징은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며, 피동기어 쪽에서 터빈 휠 5 및 스테이터 7과 함께 유압 컨버터 서클을 형성하는 펌프 휠 3을 수용한다. 상기 터빈 휠 5는 터빈 허브 10을 가지는 리벳 조인트 8과 연결되고, 상기 터빈 허브쪽에는 도시되지 않은 피동축(driven shaft)과의 회전에 강한 연결을 위한 내부톱니 12가 있다.
상기 터빈 허브 위에는, 축방향으로 변위 및 회전 가능하게 상기 브리지 커플링 15의 피스톤 14가 배열되고, 상기 피스톤은 방사상 외부 영역에 마찰 라이닝부 17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라이닝부를 거쳐 상기 컨버터 하우징 1의 내부설치시 토크가 상기 피스톤 14 위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축방향 보강재를 위한 원주 영역에서 토션 쇽업소버 22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칼라 18을 가진다.
토션 쇽업소버 22는 도2에서 확대되어 있다. 상기 토션 쇽업소버는 리벳 조인트 20에 의해 피스톤 14에 고정되는 허브판 26의 형태로 입구쪽 구조부품 24 및 방사상 변형부 32에 의해 상기 터빈 휠 5에 고정되는 커버부재 30의 형태로 출구쪽 구조부품 28을 가진다.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원심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되는,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심방향 지지부들 38, 40 및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어큐뮬레이터 36을 가지고, 이때 상기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에는 참고번호 38, 상기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에는 참고번호 40을 붙였다. 상기 두 개의 원심방향 지지부들 38 및 40은 상기 터빈 휠 5의 역방향 말단부에서 U-형 횡단면인 축방향 지지부 4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미 언급된 변형부들 32는 상기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 40에서부터 분리되어 나와 상기 터빈 휠 5 쪽을 향해 굽은 후에 상기 터빈 휠에 용접된다.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 38 및 40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을 향하는 각각의 면들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을 위한 조종부재들 34를 가진다. 상기 조종부재들은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면 42를 형성하며, 상기 피스톤 14를 향하는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의 자유단들 76, 78에서 시작되어 돌기들 46, 48이 실질적으로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 38, 40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때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이 축방향으로 상기 축방향 지지부 44와 밀착되어 이어짐으로써 상기 조종부재들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 30에서 우선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 38, 40의 자유단들 76, 78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기 피스톤 14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브래킷들이 휨 과정을 통해서 거의 180。 변형되고, 이때 상기 커버부재 30 안으로 구부러져 도2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커버부재 30 안의 위치를 차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돌기들 46, 4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들 46, 48은 방사상으로 상기 어큐뮬레이터 36의 연장부 안쪽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돌기들 46, 48을 이용해서 상기 커버부재 30과 상기 터빈 휠 5 사이의 어큐뮬레이터들 36에 의한 토크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은 이미 언급된 허브판 26에서 수용된다. 다시 말해서 다음과 같다: 상기 허브판 26은 이의 원주영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 돌기들 49를 가지고, 상기 축방향 돌기들은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돌출하여 거의 상기 커버부재 30의 축방향 지지부 44까지 이른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을 위한 축방향 안정부들 50은 도4에서 더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축방향 돌기들 49에 있다. 상기 축방향 안정부들은 상기 축방향 돌기들 49에서 시작하여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방사상 내부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 안으로 맞물린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은 바람직하게 나사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방향 안정부들 50으로 인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은 움직이지 않게 축방향으로 안정된다. 상기 하우징 1과 피동축 사이의 토크연결을 상기 컨버터 하우징 1의 방향으로 브리지하거나, 상기 피스톤 14가 상기 터빈 휠 5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토크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 14가 축방향으로 움직이고, 그 결과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이 상기 축방향 안정부들 50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움직임에 가담할 수 있어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 38, 40에 상대적으로 움직여지지만 이때 상기 커버부재 30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상기 위치에서 상기 허브판 26의 축방향 돌기들 49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기어 쪽으로부터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이 압력을 받는 것을 언급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2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들 46, 48은 상기 커버부재 30 안 깊숙이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 안으로 방사상 맞물리는 영역 내의 상기 돌기들은 상기 맞물리는 영역에서 어큐뮬레이터들의 연장폭 전체에 걸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허브판 26의 축방향 돌기들 49도 상기 커버부재 30 안 깊숙이 삽입되기 때문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방향 돌기들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의 직경이 가장 큰 영역에 접할 때에도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의 폭 전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상기 토션 쇽업소버 22의 입구쪽 구조부품인 허브판 26 및 상기 토션 쇽업소버 22의 출구쪽 구조부품 28인 커버부재 30의 돌기들 46, 48에 의해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의 넓은 면적에 걸쳐 압력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표면압이 작아진다. 무엇보다도 상기 축방향 돌기들 49가 깊숙이 맞물리게 된다. 상기 돌기들 46, 48은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 38 및 40 사이의 전달영역, 상기 축방향 지지부 44 안까지만 돌출할 뿐 상기 축방향 지지부의 연장부의 영역 안으로는 돌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커버부재 30에서는 상기 허브판 26의 축방향 돌기들 49가 축방향으로 깊숙이 맞물림에도 불구하고, 상기 피스톤 14가 터빈 휠 쪽의 말단위치를 차지해야 할지라도 상기 축방향 돌기들 49와 축방향 지지부 44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6에 의한 토션 쇽업소버 22는 실질적으로 도2에 의한 토션 쇽업소버에 상응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축방향 돌기들 49는 또한 방사상 내부로 끌어 당겨지고, 원주방향에서 볼 때 두 개인 상기 축방향 돌기 49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유극을 가지는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 40의 각각의 연장부 60이 맞물리기 위한 각각의 리세스 62가 나타난다. 그럼으로써 상기 토션 쇽업소버 22의 입구쪽 구조부품 24인 허브판 26 및 출구쪽 구조부품 28인 커버부재 30 사이에서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도7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 30은 이의 축방향 지지부 44에 상기 허브판 26의 축방향 돌기 49의 연장부 64를 관통시키기 위한 리세스 66을 가진다. 상기 허브판 26의 연장부 64는 상기 커버부재 30의 리세스 66 안에서 원주방향으로 유극을 가지므로, 여기에서도 상기 유극에 의해 상기 토션 쇽업소버 22의 출구쪽 구조부품 28과 마주보고 위치하는 입구쪽 구조부품 24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상기 토션 쇽업소버 22에 있는 어큐뮬레이터들 36은 상기 두 개의 축방향 돌기들 49 사이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다수의 어큐뮬레이터 36일 수도 있으며, 이때 자주 변하는 특성곡선의 굴곡에 바람직하게 강도가 다양한 어큐뮬레이터들 36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은 바람직하게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실린더들 116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중간부재들 112를 이용해서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들은 방사상으로 비교적 큰 중간섹션을 통해서 두 개의 어큐뮬레이터들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방사상으로 비교적 작은 말단섹션을 통해서 이웃하는 어큐뮬레이터들 안으로 맞물린다. 상기 실린더들 116이 방사상으로 어느 정도 크게 형성되면, 특히 원심력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이 변형될 때 상기 실린더들의 방사상 외부가 상기 커버부재 30에 스치므로 상기 중간부재들 112는 원심력에 의존하는 마찰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실린더들이 방사상으로 작게 형성되면, 상기 실린더들 116 대신에 볼 120(도8a)이 상기 두 개의 어큐뮬레이터들 36의 말단부들 사이에 배열될 때 마찬가지로 발생될 상기와 같은 마찰작용이 방지된다.
도9 내지 도12는 상기 커버부재 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커버부재에 있어서 이의 개방면 42로부터 조종부재들 34가 삽입된다. 상기 조종부재들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만곡부 82, 84를 가지고, 상기 만곡부들은 상기 조종부재 34가 상기 커버부재 30 안으로 삽입되는 깊이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말단부들에 인접함으로 상기 말단부들이 상기 조종부재들 34를 위한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상기 만곡부들 82, 84는 바람직하게 고리들 86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고리들은 상기 커버부재 30의 원주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따라서 개별 조종부재들 34를 서로 연결시킨다. 그럼으로써 상기 조종부재들 34가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게 된다.
최대한의 강도를 위해서 상기 조종부재들 34는 상기 커버부재 30의 축방향 지지부 44에 상응하는 면에 형성된다. 그러나 충분한 축의 공간을 사용하고, 상기 허브판 26의 축방향 돌기들 49가 맞물릴 수 있기 위해서 상기 조종부재들 34는 상기 축방향 돌기들 49를 위한 각각 하나의 빈 공간 70을 가진다. 상기 커버부재 30의 축방향 지지부 44는 상기 조종부재 34가 맞물리는 위치에 릴리프 72를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 안으로 상기 조종부재 34의 압출부 74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서 얻어지는 장점들에 추가해서 상기 커버부재 30 내에서 상기 조종부재들 34의 회전도 안정된다.
이미 설명된 기능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들 34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 38 및 40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돌기들 46, 48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36에 접근하는 데 효과적이다.
도13 내지 도16에 의한 커버부재의 실시예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9 내지 도12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원칙이 적용되지만, 여기에서는 개별 조종부재들 34의 연결이 고리 87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는 상기 커버부재 30의 원심방향 지지부들 38 및 40 사이의 중간에서 방사상으로 축방향 지지부 44 안의 상응하는 릴리프 72 안에서 연장된다. 상기 고리 87은 하나의 조종부재 34가 있는 위치에서 상기 조종부재를 위해 원주방향으로 중단부를 가진다. 상기 고리 87은 상기 커버부재 30의 축방향 지지부 44 안의 상응하는 압출부 91 안으로 압착됨으로써 안정성을 얻는다. 이밖에도 이를 통해서 상기 허브판 26에 부속되는 축방향 돌기 49를 삽입하기 위해 소망되는 빈 공간 70이 만들어진다.
도17은 커버부재 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커버부재에서는 상기 터빈휠 쪽으로부터 조종부재 34의 삽입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부재 안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돌기 46, 48은 상기 축방향 지지부 44 안의 리세스들 88, 89를 관통해서 상기 돌기들 46, 48 사이의 횡 연결부 96이 프레임(frame) 100에, 그리고 상기 리세스들 88, 89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상기 축방향 지지부 44에 닿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지지부들 94에 의해 상기 터빈 휠 5에 고정되는 조종부재들 34의 횡 연결부 96은 상기 커버부재 30을 위한 축방향 스토퍼 98로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도18에 의한 커버부재 30 및 조종부재 34는 프레임 100 및 횡 연결부 96 사이에 축방향으로 용접부 90을 가지며, 연결을 위해서는 도19 및 도20에서와 같은 형태의 연결도 마찬가지로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때 도19에서는 상기 커버부재 30의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 38은 릴리프 104를 가지고, 상기 릴리프 안으로 상기 조종부재 34의 돌출부 102가 원심방향으로 압입된다. 도20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부재 30의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 40에 이웃하는 조종부재 34의 돌기 48은 원심방향 압입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다가 이미 언급된 원심방향 지지부 40은 상기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 38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응하는 영역에서 비교적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2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30은 변형부 94를 이용하여 터빈 휠 5에 고정된 조종부재 34에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재 34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커버부재 30의 축 상대운동의 가능성이 허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종부재 34의 돌기들 46 및 48 사이의 횡 연결부 96은 터빈 휠 쪽의 스토퍼 108로서 작용하며, 도21에서와 같이 상기 허브판 26에 부속되는 면 또는 상기 피스톤 14에 상응하는 면은 각각 스토퍼 106으로서 작용한다. 특히 상기 피스톤 14의 움직으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 30이 상기 두 개의 스토퍼 106 및 108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22에서는 도18에서와 동일한 커버부재 30 및 조종부재 34의 실시예 이외에 피스톤 14가 나타나 있고, 상기 피스톤은 직각으로 굽은 커버부재 및 조종부재가 방사상으로 가능한 한 바깥으로 넓게 배열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토크 전달가능성이 클 경우 강도가 약하며 피스톤 행정이 긴 어큐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토션 쇽업소버 22가 낮은 진동수를 필터 제거하는 데에도 적합해진다.
도23은 상기 커버부재 30이 고리 110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고리는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 38로서 작용하며, 이로 인해 상기 어큐뮬레이터 36에서 회전수로 인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수용하게 한다. 상기 고리 110의 내면에서는 돌기들 46, 48을 가지는 조종부재들 34가 고정되고, 이때 내부 돌기들 48의 영역에서는 상응하는 분할 및 방사상 내부로의 압력으로 인해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 40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의 안정성은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 38의 안정성보다는 비록 낮지만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의 원심력으로 인한 부하도 마찬가지로 훨씬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커버부재 30이 최소한의 기술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2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 30은 상기 터빈 휠 5를 향하는 면에서의 굴곡 및 상기 터빈 휠의 굴곡으로 인해 상기 회전축 114 주위로 뻗어 있는 접선을 따라서 상기 터빈 휠 5에 배열된다. 상기 선의 방사상 내부에서는 상기 커버부재 30과 터빈 휠 5 사이의 간격은 휨으로 인해 넓어진다. 상기 간격의 형성으로 인해 앞에서 언급된 접선 122 의 방사상 내부에는 도24에서 도식화된 레이저 용접기 124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광선을 위한 촛점부 118이 생겨난다. 그럼으로써 어떤 경우에도 상기 커버부재 30은 접선 122의 영역에서만 반드시 터빈 휠 5와 용접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열되는 용접영역이 최소한의 크기로 감소되므로 상기 터빈 휠 5 및/또는 상기 커버부재 30에서 지체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템퍼 경화(temper-hardening)에 있어서도 상기한 부품들 중 어느 것에서도 단점을 예상할 수 없다.
도2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쪽의 구조부품으로서 작용하는 다른 형태의 허브판 26을 고려해 볼 수 있고, 이때 상기 허브판 26의 각각의 축방향 돌기 49는 상기 출구쪽 구조부품 28, 즉 커버부재 30 안으로의 삽입깊이가 최대인 위치에 굴곡부 126을 구비한다. 상기 굴곡부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 돌기의 자유단 128이 휘여 상기 허브판 26 중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부분 위로 배열되며, 상기 굴곡부 126은 바람직하게 상기 자유단 128이 상기 축방향 돌기 49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유단 128은 각각 상기 축방향 돌기 49와 같이 어큐뮬레이터 36을 위한 최소한 하나의 축방향 안정부 50을 가지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허브판 26의 형성으로 인해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허브판 26의 형성은 특히 직경이 큰 어큐뮬레이터 36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한 설명 참조

Claims (28)

  1. 토크 컨버터의 구동기어에서 피동기어로 토크를 전달시키는, 축방향으로 휠 수 있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가지는 입구부품 및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 휠을 가지는 출구부품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입구부품 및 출구부품들 중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구조부품들에서 하나의 구조부품이 상기 토션 쇽업소버의 다른 구조부품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되어 상기 다른 구조부품을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위한 두 개의 원심방향 지지부들 사이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삽입시키는 커버부재로서 상기 구조부품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어큐뮬레이터들을 위한 것인 토션 쇽업소버와, 상기 개방면의 역방향의 말단부의 원심방향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들 중 최소한 하나의 지지부에서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을 위한 최소한 하나의 조종부재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 쪽으로 휘어 분리되는 형태를 취하는 축방향 지지부를 가지는 토크 컨버터의 브리지 커플링에 있어서,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38)는 원주방향으로 중단부 없이 뻗어 있으며,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40)와 같이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부재(30)의 개방면(42)과 축방향 지지부(44) 사이에서 연장되는 조종부재들(34)을 수용하는 데 이용되고, 한편으로 상기 조종부재들은 일정한 깊이로 상기 커버부재(30) 안으로 돌출되고, 상기 깊이에 있어서 상기 부속되는 어큐뮬레이터들(36)은 연장폭을 따라 조종부재(34)와 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조종부재에 배열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상기 조종부재들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36)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30)와 함께 작용하는 상기 토션 쇽업소버(22)의 다른 구조부품(24)이 맞물리는 위치에서는 최소한 상기 축방향 지지부(46, 48)에까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때 맞물림은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어큐뮬레이터들(36)을 위한 축방향 안정부들(50)이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수용하기 위해 있는 돌기들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들은 상기 어큐뮬레이터들(36)의 폭 전체에 걸쳐 상기 돌기들(46, 48)의 연장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46, 48)은 상기 커버부재(30)의 개방면(42)에서 시작하여 상기 축방향 지지부(44)의 방향으로 뻗어 있으나, 최소한 상기 토션 쇽업소버(22)의 다른 구조부품이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축방향 지지부를 덮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재들(34)의 돌기들(46, 48)은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38, 40)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커버부재(30)의 개방면(42)에서 본래 튀어나온 브래킷들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들이 휨으로써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38, 40)에 각각 이웃하도록 배열되어 이에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들(38, 40)의 전환부 영역에서 자유단들(56, 58)을 가지는 상기 돌기들(46, 48)이 상기 축방향 지지부(44) 안으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의 개방면(42)에 상응하는 말단부의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40)에는 상기 터빈 휠(5) 쪽으로 휘고 나서 상기 터빈휠에 고정되는 변형부들(32)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쇽업소버(22)의 구조부품들(24, 28)에서 하나의 구조부품은 상기 다른 구조부품(24, 28) 위로 배열되는 연장부(60, 64)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는 소정의 원주방향 유극을 가지고 상기 다른 구조부품(24, 28)에서 형성되는 리세스(62, 64) 안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재들(34)은 상기 커버부재(30)의 개방면(42)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재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토션 쇽업소버(22)의 다른 구조부품(28)의 연장방향에 위치하는 면에는 다른 구조부품(28)을 위한 빈 공간(70)을 가지고, 상기 빈 공간은 상기 커버부재(30)의 축방향 지지부(44)의 릴리프(72) 안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재들(34)의 빈 공간(70)은 각각 상기 커버부재(30)의 릴리프(72) 안으로의 압출부(7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재들(34)은 각각 상기 커버부재(30) 안으로의 삽입깊이를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8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80)는 상기 커버부재(30)의 개방면(42)의 자유단(76, 78)에 배열되는 만곡부들(82, 8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들(80)은 개별 조종부재들(34)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고리들(8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의 상기 터빈 휠(5) 방향 면으로부터 상기 축방향 지지부(44) 내에 형성된 리세스들(88, 89)에 의해 돌기들(46, 48)과 함께 상기 커버부재(30) 안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3. 제1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조종부재들(34)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최소한 하나의 지지부(94)가 분할되어 상기 터빈 휠(5) 쪽으로 휜 다음 상기 터빈 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4. 제1항, 제2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재들(34)의 돌기들(46, 48)은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부재(30)에 부속되는 각각의 원심방향 지지부(38, 4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재들(34)의 돌기들(46, 48)은 각각 축방향 스토퍼(98)로서 작용하는 상기 커버부재(30)의 프레임(100)에 배열되는 횡 연결부(9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재(34)는 상기 커버부재(30)와 재료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재(34)의 최소한 하나의 돌기(46, 48)에 상기 커버부재(30)에 이웃하는 원심방향 지지부(38, 40) 쪽으로 튀어나오는 최소한 하나의 돌출부(102)가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원심방향 지지부(38, 40)의 상응하는 릴리프(104) 안으로 인터록킹식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는 각각의 운동방향으로 부속되는 스토퍼(106, 108)에 닿을 때까지 상기 조종부재(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의 외부 원심방향 지지부(38)는 고리(11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고리의 내경에는 상기 조종부재들(34)이 있으며, 상기 조종부재들에서 상기 돌기들(46, 48)이 내부 원심방향 지지부(40)를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와 함께 작용하는 상기 토션 쇽업소버(22)의 다른 구조부품(28)은 상기 피스톤(14)에 고정되는 허브판(2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4)은 외부 원주에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칼라(1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쇽업소버(22)는 중간부재들(11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어큐뮬레이터들(3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들(112)은 상기 어큐뮬레이터(36)를 중심으로 하는 실린더(11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들(112)은 상기 어큐뮬레이터(36)를 중심으로 하는 실린더(12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터빈 휠(5)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상기 터빈 휠에서 레이저 용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는 둔각을 이루는 배열 때문에 터빈 휠(5)과 함께 레이저 광선을 위한 촛점부(1l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와 함께 작용하는 다른 구조부품(24)은 축방향 지지부(50)를 가지고, 상기 축방향 지지부의 자유단(128)이 상기 커버부재(30) 안의 매우 깊숙한 위치에 도달한 후 소정의 각도만큼의 만곡부(12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126)는 상기 어큐뮬레이터(36)의 연장부 영역에서 만곡부(126) 앞의 구조부품(28)의 축방향 돌기(49)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자유단(128)의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커플링.
KR1019980018468A 1997-05-23 1998-05-22 토션쇽업소버를가지는브리지커플링 KR100300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1642A DE19721642C1 (de) 1997-05-23 1997-05-23 Überbrückungskupplung mit einem Torsionsschwingungsdämpfer
DE19721642.0 199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286A KR19980087286A (ko) 1998-12-05
KR100300190B1 true KR100300190B1 (ko) 2001-11-22

Family

ID=783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468A KR100300190B1 (ko) 1997-05-23 1998-05-22 토션쇽업소버를가지는브리지커플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34426A (ko)
JP (1) JP3001853B2 (ko)
KR (1) KR100300190B1 (ko)
DE (1) DE19721642C1 (ko)
ES (1) ES2161575B1 (ko)
FR (1) FR2763660B1 (ko)
GB (1) GB23254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8575B1 (fr) * 1999-01-15 2001-03-02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904850B4 (de) * 1999-02-05 2007-07-12 Zf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FR2816686B1 (fr) * 2000-11-13 2003-04-11 Valeo Dispositif d'amortissement de vibration en torsion pour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3148590A (ja) * 2001-11-12 2003-05-21 Yutaka Giken Co Ltd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付き流体伝動装置
JP4530750B2 (ja) * 2004-07-21 2010-08-25 株式会社ユタカ技研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付き流体伝動装置
US20070044493A1 (en) * 2005-08-23 2007-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electronics components employing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with selected portions of expansion structures coated with polytetrafluorethylene
JP2008157293A (ja) * 2006-12-21 2008-07-10 Valeo Unisia Transmission Kk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DE102007034053A1 (de) 2007-07-20 2009-01-22 Zf Friedrichshafen Ag Hydrodynamische Kupp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Betreiben
JP5202718B1 (ja) * 2011-12-05 2013-06-05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DE102013202661B4 (de) * 2012-03-01 2023-12-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wandler mit einem Turbinenkolben
US9322463B2 (en) * 2014-04-25 2016-04-26 Valeo Embrayages Hydrokinetic torque coupling device with centered lock-up clutch friction disc,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9860A1 (de) * 1980-08-07 1982-03-04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JPS63175347U (ko) * 1986-11-21 1988-11-14
JPH0624604Y2 (ja) * 1987-02-16 1994-06-29 株式会社大金製作所 トルクコンバ−タ−用ロツクアツプダンパ−
JPH0756328B2 (ja) * 1990-10-29 1995-06-14 株式会社大金製作所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装置
JP2938219B2 (ja) * 1991-05-29 1999-08-23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自動変速機の動力伝達装置
FR2692642B1 (fr) * 1992-06-18 1994-08-19 Valeo Embrayage de verrouillage et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étique comportant un tel embrayag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DE4423640C2 (de) * 1993-12-22 1997-08-21 Fichtel & Sachs Ag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mit Überbrückungskupplung
US5769195A (en) * 1995-06-09 1998-06-23 Exedy Corporation Lock-up clutch for a torque conver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61575B1 (es) 2002-08-01
GB2325498A (en) 1998-11-25
US5934426A (en) 1999-08-10
KR19980087286A (ko) 1998-12-05
JPH10331945A (ja) 1998-12-15
FR2763660A1 (fr) 1998-11-27
JP3001853B2 (ja) 2000-01-24
GB2325498B (en) 2001-12-12
GB9811047D0 (en) 1998-07-22
ES2161575A1 (es) 2001-12-01
FR2763660B1 (fr) 2002-06-14
DE19721642C1 (de) 199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190B1 (ko) 토션쇽업소버를가지는브리지커플링
JP2009520168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外縁部に取り付けられたクラッチおよびクラッチをトルクコンバータ内に組み付けるための方法
US6688441B1 (en) Hydrokinetic coupling appliance
US6079530A (en)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particulary for a motor vehicle
US6926131B1 (en) Hydrokinetic coupling applian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KR20150028987A (ko) 비틀림 진동 댐퍼
JP2001500238A (ja) 自動車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を有する流体動力カプリング装置
US20050023103A1 (en) Damper mechanism for a lockup clutch
US5655635A (en) Torsional damper for a torque converter
US7207888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ing device for motor vehicle clutch
US6378676B1 (en)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for locking engagement
US6106400A (en)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nds of elastic members in a damper mechanism
KR101878198B1 (ko) 저강성 댐퍼가 채용된 3-웨이 방식의 토크 컨버터
US7093701B2 (en) Bridging clutch for a clutch apparatus which has a hydrodynamic circuit in a clutch housing
GB2335969A (en) A bridging coupling with a tilting piston
US6712186B1 (en) Compact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WO1989010503A1 (en) Damper disc
US6287205B1 (en) Dual mass damping flywheel,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US6736247B2 (en) Hydrokinetic coupl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US6056092A (en) Torque converter with bridge coupling and vibration damper between bridge coupling and turbine hub
KR102659110B1 (ko) 스포크 로터리 시일
KR102349101B1 (ko) 토크 컨버터용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US7360633B2 (en) Lockup device of hydraulic torque transmission device
US6584873B1 (en) Dual mass damping flywheel,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KR101960014B1 (ko) 저강성 댐퍼가 채용된 3-웨이 방식의 토크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