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835B1 - 탱크보호용기 - Google Patents

탱크보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835B1
KR100298835B1 KR1019960058270A KR19960058270A KR100298835B1 KR 100298835 B1 KR100298835 B1 KR 100298835B1 KR 1019960058270 A KR1019960058270 A KR 1019960058270A KR 19960058270 A KR19960058270 A KR 19960058270A KR 100298835 B1 KR100298835 B1 KR 10029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ayer
tank
protective container
suppor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824A (ko
Inventor
요오이치 테즈카
쇼오이치 타나카
마코토 와카기
아키히코 오오사코
카주히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08Shock-absorbers, e.g. impact buffers for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7036Jacke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7043Guards and shields
    • Y10T137/7062Valve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전체길이를 짧게 소형화하여, 낙하시 등의 내충격성을 높인다.
머리부(4)에 밸브(6)를 설치하고, 대략 통형상인 머리부 스커트부(7)에서 보호된 탱크(1)를 보호용기(2)에 수납한다. 머리부 스커트부(7)와 머리부측지지재(11)와의 사이로 머리부 스커트부(7)의 자유단(7a)이 끼워지는 돌기(23c)를 보유하는 수압부재(23)를 설치한다. 머리부측지지재(11)는 3층구조이며, 탱크측으로부터 변형저항이 큰 제1층(14)과 변형저항이 작은 제2, 제3층(15),(16)을 적층한다. 제2층(15)은 제1층 보다 변형저항이 작은 링형상인 외측층(15a)과, 그 중앙공간에 결합하는 더욱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15b) 등으로 형성되며, 제3층(16)은 외측층과 동등한 재질로 한다. 머리부 스커트부(7)에 회전정지부재(20)를 부착하여, 보호용기(2)에 결합한다.

Description

탱크보호 용기
본 발명은, 탱크 특히 UF6탱크를 보관, 수송 등 할때에 이 탱크를 보호하기 위한 탱크보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UF6이 충전된 UF6탱크를 보관, 수송 등 할때에는, 이 탱크는 예컨데, 외장용 보호용기에 수납되어 있다.
UF6탱크(이하, 탱크라고 함)는, 예컨대 대략 캡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의 대략 구면(球面)형상인 단면에는 밸브가 부착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밸브를 보유하는 단면측을 머리부측으로 하고, 이것과 대향하는 단면측을 저부측으로 한다. 또, 탱크의 머리부측과 저부측의 양단면에는, 각각 통형상인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용기는, 탱크의 형상에 따라서 예컨대,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머리부와 저부는 알맞는 정도의 내충격성을 보유하는 적당한 재질(예컨대 오우크재)로 이루어지는 원판형상인 지지재로 폐지되고, 둘레측면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를 출입하게 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의 축선을 함유하는 평면에서 상하로 2분할된 것이 탱크를 봉입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대, 상술한 바와 같은 보호용기는, 탱크가 수납된 상태에서 낙하시험이나 낙하후의 화재시험 등으로 제공되며, 만일의 경우의 안전성이 검사되어 있다. 특히, 낙하시나 화재시 등에 밸브가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용기에는 충분한 충격흡수능력이 요구되어 있고, 그 때문에 보호용기의 머리부측과 저부측에는 소정의 두께로 상술한 지지재가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머리부측을 아래로 한 수직낙하사고 등을 상정한 시험 등에서는, 보호용기는 그 머리부측의 지지재가 국소 변형함으로써, 충격을 분산, 흡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탱크 머리부의 스커트부 내측에 위치하는 밸브가 보호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대, 상술한 바와 같은 보호용기에서는, 머리부측과 저부측의 지지재에 의하여 충격을 분산, 흡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탱크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머리부측과 저부측의 지지재가 두껍게 된다. 그 때문에 보호용기의 전체길이가 길어져서 대형화하기 때문에, 점유공간이 커지고, 제조, 보관이나 수송효율이 나쁘며, 생산원가가 증대한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보다 소형화할 수 있고, 밸브 등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탱크보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탱크보호 용기는, 머리부에 밸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머리부측에 대략 통형상인 머리부 스커트부을 보유하는 탱크를,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한 적어도 머리부측(및 저부측)에 지지재가 설치되어 있는 탱크의 보호용기에 있어서, 머리부 스커트부과 머리부지지재의 사이에 머리부 스커트부의 자유단이 결합하는 돌기부를 보유하는 수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보호용기가 머리부측을 아래로 하여 낙하했을 때, 지면 등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은 수압부재에 의하여 분산흡수되면서 머리부지지재로 전달되므로, 머리부 스커트부의 자유단이 머리부지지재에 침해하거나, 충격하중으로 머리부지지재가 탱크측으로 불룩해지거나 하여 밸브가 머리부지지재에 충돌할 우려가 없어진다. 게다가, 돌기부가 머리부 스커트부의 자유단에 결합되므로 머리부 스커트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압부재는, 상기 머리부 스커트부과 머리부지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저부와, 이 저부의 지름방향 외측에서 상기 머리부 스커트부의 외주면에 따라서 기립하는 측벽부와, 이 측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저부로부터 기립하는 돌기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때문에 내충격성을 향상할 수 있고, 머리부지지재의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작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탱크보호 용기는, 머리부에 밸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머리부측으로 대략 통형상인 머리부 스커트부을 보유하는 탱크를 수납하므로써, 보호하도록 한, 적어도 머리부측(및 저부측)에 지지재가 설치되어 있는 탱크의 보호용기에 있어서, 머리부지지재는 적어도 2층구조로 되며, 머리부 스커트부측의 제1층은 그 전면에 걸쳐서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층은 제1층 보다 변형저항이 적은 링형상인 외측층과, 그 중앙공간에 결합된 외측층보다 더욱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 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용기가 머리부측을 아래로하여 낙하했을 때, 지면 등과 충돌했을 때에 머리부지지재의 제2층이 압축변형을 받아서, 특히 외측층의 내측부분은 보다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방향으로 팽창되므로, 제1층을 탱크측으로 밀어올리는 방향의 압력이 가로방향으로 분산되어, 머리부지지재가 밸브와 충돌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충격성을 향상할 수 있고, 머리부지지재의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작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탱크보호 용기는, 머리부에 밸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머리부측에 대략 통형상인 머리부 스커트부을 보유하는 탱크를,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한 적어도 머리부측(및 저부측)에 지지재가 설치되어 있는 탱크의 보호용기에 있어서, 머리부 스커트부과 머리부지지재의 사이에 머리부 스커트부의 자유단이 결합하는 돌기부를 보유하는 수압부재가 설치되고, 머리부지지재는 적어도 2층구조로 되며, 머리부 스커트부측의 제1층은 그 전면에 걸쳐서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층은 제1층보다 변형저항이 작은 링형상인 외측층과, 그 중앙공간과 결합된 외측층보다 더욱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압부재와 머리부지지재의 상호작용으로, 낙하시 등에 머리부지지재의 탱크방향으로의 변형이나, 머리부 스커트부의 침해을 억제하여 밸브를 보호하며, 머리부 스커트부의 변형도 억제할 수 있고, 충격을 분산흡수 할 수 있다. 게다가 머리부지지재나 저부지지재의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작게하여 이것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머리부지지재에는, 제2층의 외측에 제1층 보다 변형저항이 작으며, 또한 내측층보다 변형저항이 큰 제3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펑크시험(puncture test)등을 할 때에 크게 변형하지 않는 제3층이 존재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 머리부 스커트부 또는 저부 스커트부와 보호용기에 회전정지기구가 각각 결합되므로서, 보호용기내에서 탱크가 상대이동하는 것을 저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보호용기의 탱크의 수납각도가 미리 설정되므로서, 낙하시험 등을 할 때 보호용기가 열린 때에도, 밸브를 개구부로부터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어서 화재가 발생하여도 화염이 직접 밸브에 접촉해서 내열성이 낮은 부분이 손상하는 일이 없다.
머리부지지재에는, 밸브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여 낙하시 등의 밸브의 보호가 더한 층 확실하게 된다.
또한, 탱크는 UF6가 충전된 UF6탱크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탱크를 수납한 보호용기의 길이방향에 따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하는 보호용기의 머리부 스커트부 영역의 횡단면도.
도 3은, 탱크의 머리부 스커트부에 회전정지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표시하는 회전정지부재의 보호용기로의 결합상태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머리부측을 아래로 하여, 탱크가 수납된 보호용기가 낙하했을 때의 머리부 스커트부의 변형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종단면도.
도 6은, 머리부측을 아래로하여, 탱크가 수납된 보호용기가 낙하했을 때의 머리부지지재의 변형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보호용기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회전정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 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1) ------------------------------- 탱크,
(2) --------------------------- 보호용기,
(4) ----------------------------- 머리부,
(6) ------------------------------- 밸브,
(7) -------------------- 머리부 스커트부,
(8) ---------------------- 저부 스커트부,
(11) ---------------------- 머리부지지재,
(12) ------------------------ 저부지지재,
(14) ----------------------------- 제1층,
(15) ----------------------------- 제2층,
(15a) --------------------------- 외측층,
(15b) --------------------------- 내측층,
(16) ----------------------------- 제3층,
(20) ---------------------- 회전정지부재,
(23) -------------------------- 수압부재,
(23c) ----------------------------- 돌기.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탱크를 수납한 보호용기의 축선방향에 따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보호용기의 머리부 스커트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머리부 스커트부과 회전정지기구 등을 표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 4는 보호용기의 하부의 절반과 상부의 절반의 결합구조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머리부측을 아래로하여 탱크가 수납된 보호용기가 낙하했을 때의 머리부 스커트부의 변형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6은 머리부측을 아래로하여 탱크가 수납된 보호용기가 낙하했을 때의 머리부지지재의 변형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UF6탱크(이하, 단지 탱크라함)(1)는, 그 보관이나 수송 등을 할 때에 보호용기(2)내에 밀폐상태로 수납되고, 더욱이 그 외측을 도면에 표시하지 않는 프레임으로 체결되어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탱크(1)는 예컨대 대략 캡슐형상으로 되며, 원통형상인 주측면(3)의 양단면이 각각 대략 볼록한 곡면형상인 머리부(4) 및 저부(5)로 되어 있다. 수납상태에있어서의 탱크(1) 및 보호용기(2)의 길이방향의 공통된 중심축선을 0으로하고, 머리부(4)상의 중심축선(0)으로부터 떨어진 주측면에 접근하여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1)에는, 더욱이 주측면(4)의 양단측 연장선상에 각각 대략 원통형상인 머리부 스커트부(7) 및 저부 스커트부(8)가 연결되며, 머리부 스커트부(7)는 밸브(6) 및 머리부(4)보다 앞쪽으로 연재하여 밸브(6) 및 머리부(4)를 보호하고, 저부 스커트부(8)는 플러그(9) 및 저부(5)보다 돌출하여 연재하여, 플러그(9) 및 저부 (5)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머리부 및 저부 스커트부(7),(8)는 각각 그 자유단의 지름이 감소되어 약간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보호용기(2)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나타내며, 그 머리부측에는 원판형상인 머리부지지재(11)가 설치되며, 저부측에는 똑같이 원판형상인 저부지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쪽지지재(11),(12)사이에는 대략 원통형상인 단열재(13)가 설치되며, 이 단열재(13)는 예컨대 페놀릭폼 등의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탱크(1)의 주면의 영역에 연재하여, 그 양단부가 머리부지지재(11)와 저부지지재(12)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 머리부지지재(11)와 저부지지재(12)는 동일한 구조를 보유하고 있고, 머리부지지재(11)는, 예컨대 탱크(1)측으로부터 중심축선(0)방향 외측으로 동일 외경의 제1층(14), 제2층(15), 제3층(16)이 적층된 3층구조로 이루어지며, 각각 완충재로 된다.
제1층(14)은, 대략 원판형상을 이루며, 변형저항이 큰 재질(예컨대 오우크재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층(15)은, 대략 링형상인 외측층(15a)과, 이 외측층(15a)의 중공부와 결합하는 소경인 대략 원판형상인 내측층(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층(15a)은 제1층(14)보다 변형저항이 작은 재질(예컨대 발사재 등)로 형성되며, 내측층(15b)은 예컨대 페놀릭폼 등의 유연성이 높은 재질, 즉 외측층(15a)보다도 더욱 변형저항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제3층(16)은, 대략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외측층(15a)과 동등한 비교적 변형저항이 작은 재질(예컨대 발사재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저부 지지재(12)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용기(2)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선(0)을 함유하는 평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 상부의 절반(2a), 하부의 절반(2b)으로 되어 있다. 각 절반(2a),(2b)는 그 접합면이 서로 결합하는 계단형상인 층계부(18a), (18b)로 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1)가 드나들때에 상부의 절반(2a)과 하부의 절반(2b)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2 내지 도 4에 표시하듯이, 머리부 스커트부(7)에는, 탱크(1)의 회전정지부재(20)가 부착되어 있고, 이 회전정지부재(20)는, 예컨대 밴드형으로 탱크(1)의 둘레면을 따르는 반원호 형상에서 그 길이방향 양단에 평면형상인 결합편(20a), (20a)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 회전정지부재(20)의 내주면에는 핀(20b)이 설치되어, 머리부 스커트부(7)의 둘레방향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적당수의 구멍(21)중 어느 것에 결합되고, 회전정지부재(20)은 머리부 스커트부(7)에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정지부재(20)의 결합편(20a),(20a)은, 상하부의 절반(2a),(2b)의 층계부(18a),(18b)의 한쪽의 접합면에 형성된 홈(18c)과 결합되므로서, 탱크(1)가 보호용기(2)내에서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에 있어서, 머리부 스커트부(7)의 자유단부(7a)에는,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에서 대략 링형상으로 형성된 수압부재(2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압부재(23)는 대략 L자형상 단면에 있어서, 머리부 스커트부(7)의 자유단부(7a)와 머리부지지재(11)의 사이에 개재하는 평면형상인 저부(23a)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주측단부에는 저부(23a)과 대략 직교하여 돌출되는 측벽(23b)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머리부 스커트부(7)의 주측면과 단열재(13)와의 사이로 연재하게 된다.
또, 저부(23a)의 내주측 단부에는, 저부(23a)과 대략 직교하여 돌출되는 돌기(23c)가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돌기(23c)는 그 외주측의 면에서 머리부 스커트부(7)의 자유단부(7a)를 결합시키고 있다. 이 돌기(23c)는, 머리부 스커트부(7)의 자유단부(7a)를 결합할 수 있으면 좋고, 예컨데, 머리부 스커트부(7)의 자유단부(7a)의 두께와 동등한 높이 이고, 측벽(23b)보다 매우 짧은 길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압부재(23)는, 낙하시험할 때 등으로 밸브(6)가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밸브(6)보다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되어 있으므로, 우선 탱크(1)의 보호용기(2)내로 수납하기 전에 탱크(1)의 머리부 스커트부(7)에 대하여,밸브(6)가 회전정지부재(20)와 반대측의 위치에서 한쌍의 결합편(20a),(20a)으로부터 대략 90°의 각도위치로 되도록 핀(20b)을 적당한 구멍(21)에 결합하여, 회전정지부재(20)를 부착한다. 또, 수압부재(23)를 머리부 스커트부(7)의 자유단부(7a)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회전정지부재(20)의 각 결합편(20a),(20a)을 상하부의 절반(2a),(2b)의 층계부(18b)(또는 (18a))에 형성된 결합홈(18c)에 결합시켜서, 하부의 절반(2b)내로 탱크(1)를 수납하며, 결합 층계부(18a),(18b)에서 결합하여 양쪽 절반(2a), (2b)를 폐쇄한다.
그리고, 보호용기(2)의 외주를 도면에 표시하지 않는 프레임 등으로 체결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탱크(1)는, 보호용기(2)내로 수납되어서 체결고정된 상태에서 보관이나 수송등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낙하시험이나 사고 등으로 이 탱크(1)는 수납된 보호용기(2)가 예컨대 그 머리부측을 아래으로 한 수직자세로 낙하된 경우, 낙하되는 보호용기(2)전체의 관성력은 머리부지지재(11)가 지면 등과 충돌했을 때에 변형하므로서 흡수된다.
이때, 머리부지지재(11)에 있어서는, 지면 등과 탱크(1)와의 사이에서 압축되어서 변형하게 되지만, 탱크(1)의 관성력에 의하여 머리부 스커트부(7)은,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자유단부(7a)에서 수압부재(23)를 개재하여 머리부지지재(11)를 눌러서 변형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자유단부(7a)는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으므로, 지지부재(23)의 저부(23a)에 대하여 지름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눌러져서 돌기(23c)에 결합되고, 머리부 스커트부(7)의 자유단부(7a) 근방이 만곡하여 측벽(23b)과 접촉함으로써 머리부 스커트부(7)의 자유단부(7a) 부근의 만곡이 억제되며, 더욱 관성력에 의하여 머리부 스커트부(7)의 주측면이 측벽(23b)을 눌러서 내측으로 큰 커브로 약간 만곡하는 정도로 머무르게 된다(도 5참조).
이것에 대하여, 종래의 구조와 같이 수압부재(23)가 없는 구조라면, 머리부스커트부(7)의 자유단부(7a)의 끝가장자리가 머리부지지재(11)와 직접 접촉하고 있으므로, 자유단부(7a)의 끝가장자리가 관성력으로 머리부지지재(11)내로 침해하게 되고, 게다가 그 응력으로 주변의 머리부지지재(11)가 탱크(1)측으로 팽창하므로, 밸브(6)와 머리부지지부재(11)가 충돌할 우려가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머리부지지재를 두껍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자유단부(7a)가 내측으로 만곡하여 있으므로, 충돌시에 머리부 스커트부(7)가 크게 만곡하여 밸브와 충돌할 우려도 있다.
그 점에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용기(2)가 지면등과 충돌했을 때, 탱크(1)의 관성력은 수압부재(23)의 저부(23a) 전체에서 받고, 더욱이 돌기(23c) 및 측벽(23b)에서 일부의 하중을 받게 되므로, 머리부지지재(11)의 관성력에 의한 부하가 좁은 영역에 집중되는 일없이 수압부재(23)에서 널리 분산흡수되어, 머리부 스커트부(7)이 머리부지지재(11)내로 침해하거나, 머리부 스커트부(7)가 크게 만곡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머리부지지재(11)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밸브(6)를 손상할 우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머리부지지재(11)가 지면 등과 충돌하여 변형할 때, 내측의 제1층(14)에 대하여 제2층(15) 및 제3층(16)이 보다 변형저항이 작은 재질이므로, 쉽게 변형하게 된다. 특히 제2층(15)의 내측층(15b)은 외측층(15a)이나 제3층(16)보다도 더욱 유연성에 풍부한 재질이므로,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층(15a)은 내측부분이 내측층(15b) 방향으로 변형하여 외측부분 보다 압축되게 되며, 게다가 제3층(16)의 중앙부분도 내측층(15b)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외측층(15a)이나 제3층(16)의 중앙부분의 팽창은 내측층(15b) 전체로 확산흡수되고, 제1층(14)을 탱크(1)측으로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집중하는 일 없이 머리부지지재(11)의 압상작용이 크게 억제된다.
따라서, 밸브(6)등과 머리부지지재(11)가 충돌하는 등에 의하여 손상할 우려가 없어진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의 구조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동등한 두꼐의 단층으로 머리부지지재를 구성한다고 하면, 지면등과의 충돌시에 탱크(1)의 머리부 스커트부(7) 등에서 압압된 머리부지지재의 중앙부분이 전체의 탱크(1)방향으로 팽창하게 되고, 밸브(6)와 충돌하기 쉽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발생한다.
또, 보호용기(2)가 그 머리부측을 아래로 하여 수직이 아닌 경사된 자세에서 낙하된 경우에 있어서는, 보호용기(2)의 머리부지지재(11)의 단부와 충돌할 때의 부하가 집중하게 되지만, 그때의 수압부재(23)나 머리부지지재(11)에 의한 충격의변형흡수의 원리는, 수직낙하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여, 수압부재(23)에 의하여 탱크(22)의 수압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머리부지지재(11)가 국부적으로 변형되고, 또한, 머리부 스커트부(7)이 깊이 침해하여 밸브(6)와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 수압부재(23)의 돌기(23c)에 의하여 머리부 스커트부(7)가 크게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머리부지지재(11)를 3층구조로 함으로써, 낙하나 충돌시 등에 머리부지지재(11)의 중앙부가 전체에 탱크(1)측으로 크게 팽창하여 밸브(6)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머리부지지재(11)의 두께를 종래의 보호용기와 같이 두껍게 하지 않고 내충격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낙하시 등의 밸브(6)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저부지지재(12)에 대해서도, 3층구조로 함으로써, 동일한 이유에서 보호용기(2)가 저부측을 아래로하여 낙하된 경우의 내충격성을 향상 할 수 있고, 게다가 그 두께를 비교적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용기(3)의 중심축선(0)에 따른 전체 길이를 종래의 보호용기 보다 짧게 할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조, 보관, 수송 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되며 경제적이다.
더욱이, 보호용기(2)내의 탱크(1)는 회전정지부재(20)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이 저지되고, 게다가 밸브(6)는 상하부 절반(2a),(2b)의 결합 층계부(18a),(18b)로부터 각도적으로 약 90°떨어진 가장 먼 위치에 있으므로, 보호용기(2)의 낙하시 등의 충격에서 상하부 절반(2a),(2b)이 빗나가서 열린 경우라도, 밸브(6)가 개구로부터 노출되지 않으며, 화재 등이 발생해도 화염이 개구로부터 직접 밸브(7)와 접촉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그 때문에 밸브(6)의 내열성이 낮은 부분이 손상을 받는 일도 없고, 밸브(6)의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한, 머리부지지재(11)와 저부지지재(12)는 반드시 3층구조로 할 필요는 없고, 제1층(14) 및 제2층(15)으로 된 2층구조라도 좋고, 더욱이 제2층(15) 또는 제3층(16)을 부가한 4층 이상의 구조라도 좋다.
2층구조로 한 경우, 낙하시 등에 머리부지지재의 제2층이 압축변형을 받아서, 특히 외측층의 내측부분은 보다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방향으로 팽창하므로, 제1층을 탱크측으로 밀어올리는 방향의 압력이 가로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2층구조로 하는 것은, 펑크시험(직경 150㎜의 기둥형상 시험대에 대하여 1m의 높이 위치로부터 보호용기(2)를 낙하시키는 시험)할때에 외측의 층에 크게 변형하지 않는 층이 잔존하고 있는 쪽이 유리한 점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또, 4층 이상으로 하면, 각 지지재(11),(12)의 두께가 증가하여 종래의 지지재의 두께로 접근하게 되므로, 발명의 이점이 작아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7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탱크(1)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정지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보호용기(2)내로 수납된 상태에서 밸브(6)의 위치가 특정되어 있다. 그리고, 머리부지지재(11)의 밸브(6)와 대향하는 중심축선(0)방향의 위치로 오목부(2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오목부(25)는 제1층(14)으로 새겨들어가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충돌시 등에 밸브(6)가 머리부지지재(11)와 충돌할 우려가 더욱 작아지며, 안정성이 보다 향상하다.
또, 회전정지부재(20)와 상하부의 절반(2a),(2b)과의 결합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편(20a)과 결합홈(18c)일 필요는 없고, 예컨대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호형상인 회전정지부재(28)에 나사 등으로 고정된 핀(29)을 상하부의 절반(2a),(2b)의 층계부(18a 또는 18b)의 한쪽에 형성된 결합구멍(30)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 결합홈(18c)이나 결합구멍(30)은 반드시 층계부(18a) 또는 층계부(18b)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상하부의 절반(2a),(2b)의 둘레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회전정지부재(20)는 저부 스커트부(8)에 설치해도 좋은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한, 상술된 실시형태에서는, 머리부지지재(11)와 저부지지재(12)의 양쪽을 동일한 3층구조로 하고, 탱크(1)의 머리부(4)(밸브(6)를 보유하는 측)를 어느 방향으로 하여 보호용기(2)내로 수납하여도 좋도록 하였지만, 머리부(4)의 수납방향을 특정하면, 한쪽의 지지재(머리부지지재(11))만을 본 발명에 의한 2층 이상의 구조로 하고, 다른쪽의 지지재(저부지지재(12))는 1층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수압부재(23)는 머리부 스커트부(7)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머리부지지재(11)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부의 절반(2a)과 하부의 절반(2b)에 따라서, 수압부재(23)가 분할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탱크(1)로서 UF6이 충전된 UF6탱크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탱크의 보호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탱크보호용기는, 머리부 스커트부와 머리부지지재의 사이에, 머리부 스커트부의 자유단이 결합하는 돌기부를 보유하는 수압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호용기가 머리부측을 아래로하여 낙하되어 지면등과 충돌했을 때의 충격은 수압부재에 의하여 분산흡수되면서 머리부지지재에 전달되어, 머리부 스커트부가 머리부지지재로 침해하거나, 하중으로 머리부지지재가 탱크측으로 팽창하거나 하여 밸브가 머리부지지재와 충돌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 돌기부가 머리부 스커트부의 자유단과 결합하므로 머리부 스커트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충격성을 향상할 수 있는 데다가 머리부지지재의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탱크보호용기는, 머리부지지재가 적어도 2층구조로 되며, 제2층은 제1층보다 변형저항이 작은 링형상인 외측층과 그 중앙공간과 결합되고 또한 외측층 보다 더욱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낙하되어 지면 등과 충돌했을 때에, 머리부지지재의 특히 외측층의 내측부분은 보다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 방향으로 불룩해지므로, 제1층을 탱크측으로 밀어올리는 압력이 분산흡수되고, 머리부지지재가 밸브와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충격성을 향상할 수 있는 데다가 머리부지지재의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작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탱크의 보호용기는 머리부 스커트부과 머리부지지재의 사이로 수압부재가 설치되고, 머리부지지재는 적어도 2층구조로 되며, 제2층은 제1층보다 변형저항이 작은 링형상인 외측층과 그 중앙공간과 결합된 외측층보다 더욱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압부재와 머리부지지재의 상호작용으로 낙하시 등에 머리부지지재의 탱크방향으로의 변형이나 머리부 스커트부의 침해를 억제하여 밸브를 보호하며, 머리부 스커트부의 변형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미리부지지재나 저부지지재의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작게하여 이것을 달성할 수 있으며, 보호용기의 전체길이가 작아져서 소형화할 수 있고, 제조, 보관, 운반이 효율적으로 되며, 게다가 제조 및 운반 등의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 머리부지지재에는 제2층의 외측으로 제1층보다 변형저항이 작고 또한 내측층보다 변형저항이 큰 제3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낙하시 등에 크게 변형하지 않는 제3층이 존재하므로, 펑크시험 등 할때에 보다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 머리부 스커트부 또는 저부 스커트부과 보호용기에 회전정지기구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보호용기 내에서 상기 탱크가 상대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므로, 보호용기로의 탱크의 수납각도가 미리 설정됨으로써 낙하시험 등 할때, 보호용기가 열린 때라도, 밸브를 개구부로부터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여도 화염이 직접 밸브와 접촉하여 내열성이 낮은 부분이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 머리부지지재에는, 밸브와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낙하시 등의 보호가 한층 확실하게 된다.

Claims (9)

  1. 머리부에 밸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머리부측으로 대략 통형상인 머리부 스커트부을 보유하는 탱크를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한, 머리부측 또는 머리부측 및 저부측에 지지재가 설치되어 있는 탱크의 보호용기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스커트부과 머리부지지재의 사이에, 상기 머리부 스커트부의 자유단이 결합하는 돌기부를 보유하는 수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기.
  2. 머리부에 밸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머리부측에 대략 통형상인 머리부 스커트부를 보유하는 탱크를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한, 머리부측 또는 머리부측 및 저부측에 지지재가 설치되어 있는 탱크의 보호용기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지지재는 2층 이상의 구조로 되며, 머리부 스커트부측의 제1층에 뒤따르는 제2층은 이 제1층보다 변형저항이 적은 링형상의 외측층과, 그 중앙공간에 결합되고 또한 외측층보다 더욱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기.
  3. 머리부에 밸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머리부측에 대략 통형상인 머리부 스커트부를 보유하는 탱크를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한, 머리부측 또는 머리부측 및 저부측에 지지재가 설치되어 있는 탱크의 보호용기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스커트부와 머리부지지재의 사이에, 상기한 머리부 스커트부의 자유단이 결합하는 돌기부를 보유하는 수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머리부지지재는 2층 이상의 구조로 되고, 머리부 스커트부측의 제1층에 뒤따르는 제2층은 이 제1층보다 변형저항이 적은 링형상인 외측층과 그 중앙공간과 결합되고 또한 외측층보다 더욱 변형저항이 작은 내측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머리부지지재에는, 상기 제2층의 외측에 상기 제1층보다 변형저항이 작으며 또한, 상기 내측층보다 변형저항이 큰 제3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지지재에는, 상기 제2층의 외측에 상기 제1층보다 변형저항이 작으며 또한, 상기 내측층보다 변형저항이 큰 제3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스커트부 또는 저부 스커트부와 상기 보호용기 등에 회전정지기구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용기 내에서 상기 탱크가 상대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스커트부 또는 저부 스커트부와 상기 보호용기등에 회전정지기구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용기 내에서 상기 탱크가 상대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스커트부 또는 저부 스커트부와 상기 보호용기 등에 회전정지기구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용기 내에서 상기한 탱크가 상대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지지재에는 상기한 밸브와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기.
KR1019960058270A 1995-11-28 1996-11-27 탱크보호용기 KR100298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958795A JP3317114B2 (ja) 1995-11-28 1995-11-28 タンク保護容器
JP95-309587 1995-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824A KR970026824A (ko) 1997-06-24
KR100298835B1 true KR100298835B1 (ko) 2002-09-26

Family

ID=1799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270A KR100298835B1 (ko) 1995-11-28 1996-11-27 탱크보호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99685A (ko)
EP (1) EP0777238B1 (ko)
JP (1) JP3317114B2 (ko)
KR (1) KR100298835B1 (ko)
CN (1) CN108201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9040B2 (en) * 2004-02-03 2007-03-13 Dynetek Industries Ltd. Composite impact assembly
US7624753B2 (en) * 2004-08-10 2009-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ntainer for gas storage tanks in a vehicle
DE102008037569A1 (de) * 2008-10-13 2010-06-02 Daher Lhotellier Csi Anordnung zum Transport von insbesondere UF6
CN101844654B (zh) * 2010-04-13 2012-01-18 无锡新龙科技有限公司 具有塑钢复合结构的储罐的制造工艺
JP5152269B2 (ja) * 2010-08-02 2013-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貯湯タンクユニット等のケーシングユニット
US9702631B2 (en) * 2011-01-06 2017-07-11 Generative Technology Operatives, Llc Systems and methods to insulate components of industrial infrastructure
JP5549630B2 (ja) * 2011-03-30 2014-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貯湯タンクユニットおよび給湯機
US8679607B2 (en) 2012-07-12 2014-03-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amable article
JP6067622B2 (ja) * 2014-06-26 2017-01-25 明星工業株式会社 屋外設置物の保護装置
CN106429048A (zh) * 2015-08-13 2017-02-22 中核新能核工业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天然六氟化铀运输的容器
CN106927149B (zh) * 2015-12-29 2018-07-27 中核新能核工业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天然六氟化铀运输容器的隔热罩
DE102016000071B3 (de) * 2016-01-07 2017-04-13 Daher Nuclear Technologies Gmbh Transportanordnung
DE102016216310A1 (de) 2016-08-30 2018-03-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umhüllenden Schutzstruktur
CN107758071A (zh) * 2017-09-27 2018-03-06 刘道灵 一种石墨烯存储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9288A (en) * 1930-09-29 1933-05-16 Oliver L Link Water cooler
US2339082A (en) * 1939-11-18 1944-01-11 Wallace R Kromer Beverage handl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2542543A (en) * 1947-01-08 1951-02-20 Losee Products Co Electrically heated water tank
US2604888A (en) * 1949-04-11 1952-07-29 Piatt Products Corp Water heater
US2673010A (en) * 1950-07-14 1954-03-23 James R Barrow Pressure tank
DE2311162A1 (de) * 1973-03-07 1974-09-12 Transnuklear Gmbh Behaelter zum transport radioaktiver stoffe
DE2837631A1 (de) * 1978-08-29 1980-03-20 Nuklear Service Gmbh Gns Transportabschirm- und/oder lagerabschirmbehaelter
DE3028424C2 (de) * 1980-07-26 1984-05-30 Transnuklear Gmbh, 6450 Hanau Stoßdämpfer
GB2089272B (en) * 1980-12-12 1984-09-26 Noell G G Gmbh Storage support for spent fuel elements from nuclear power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010C (zh) 2002-04-03
JP3317114B2 (ja) 2002-08-26
JPH09150885A (ja) 1997-06-10
US5799685A (en) 1998-09-01
EP0777238B1 (en) 2000-09-20
CN1154938A (zh) 1997-07-23
EP0777238A1 (en) 1997-06-04
KR970026824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835B1 (ko) 탱크보호용기
JPH0253595B2 (ko)
TW201524804A (zh) 包括用於放射性材料運送之封裝體及封裝體支撐框架的總成
US20100089927A1 (en) Pressurised gas container
US6648543B2 (en) Device for a space vessel
JP6902141B2 (ja) キャスクの製造方法
JPS6234320Y2 (ko)
JPS6326439A (ja) 緩衝装置
KR102482231B1 (ko) 안전모
JP4344406B2 (ja) 自動車のハイドロニューマチックサスペンション用のダイヤフラム式の球または蓄圧器
US4254727A (en) Shock-crush subfoundation
JP2018040667A (ja) キャスク
JPH0920388A (ja) タンク保護容器
CN110541351A (zh) 抗震装置以及桥梁
KR102595296B1 (ko) 바닥설치용 볼라드
JP7348107B2 (ja) キャスク用緩衝体
JP7394173B1 (ja) 車体側部構造
JP6919023B2 (ja) 緩衝構造体
JP3940769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耐震支持装置
KR101800338B1 (ko) 철도차량 충격흡수장치
JP6722553B2 (ja) 緩衝構造体
JPH0626474Y2 (ja) 二隻の船の間に介在させて用いる防舷用膨張式ゴムボ−ト
KR200490522Y1 (ko) 고임목
JPS6217429Y2 (ko)
JPS61450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