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231B1 -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전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2231B1 KR102482231B1 KR1020200159944A KR20200159944A KR102482231B1 KR 102482231 B1 KR102482231 B1 KR 102482231B1 KR 1020200159944 A KR1020200159944 A KR 1020200159944A KR 20200159944 A KR20200159944 A KR 20200159944A KR 102482231 B1 KR102482231 B1 KR 1024822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lmet
- hard
- circumference
- hard hat
- bending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8—Soft caps; Hoods with protection against blow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42B3/085—Occipital retention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05—Linings with additional protection for the neck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이 착용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전모 본체; 상기 안전모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되고, 독립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에어셀이 형성되는 에어쿠션; 상기 안전모 본체의 상측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충격성을 갖는 경질캡; 상기 안전모 본체에서 상기 경질캡의 둘레와 대응되는 위치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굽힘가이드와, 상기 제1굽힘가이드 하부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안전모 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굽힘가이드로 이루어진 이중굽힘수단;을 포함하여, 가압 또는 외부 충격 시, 상기 이중굽힘수단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가 접철되도록 하면서, 상기 경질캡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의 중앙부를 볼록한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전모 본체; 상기 안전모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되고, 독립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에어셀이 형성되는 에어쿠션; 상기 안전모 본체의 상측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충격성을 갖는 경질캡; 상기 안전모 본체에서 상기 경질캡의 둘레와 대응되는 위치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굽힘가이드와, 상기 제1굽힘가이드 하부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안전모 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굽힘가이드로 이루어진 이중굽힘수단;을 포함하여, 가압 또는 외부 충격 시, 상기 이중굽힘수단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가 접철되도록 하면서, 상기 경질캡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의 중앙부를 볼록한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이 착용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안전모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각종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건설산업용 안전모, 자전거, 오토바이 및 인라인 등의 레저 스포츠에서 사용하는 스포츠용 안전모 및 지진과 같은 재난 발생 시 재난 현장에서 사용하는 재난용 안전모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모는 낙하물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충격 발생 시, 그 충격을 견뎌내기 위해 강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 반구형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안전모는 크기가 커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무겁기 때문에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많은 안전모를 한꺼번에 옮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해 보기 위하여, '휴대가능한 조립식 안전모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 특허등록번호: 10-1167457)'에서는 겹쳐져 있는 복수 개 절편의 결합공에 결합핀을 끼우고 이 결합핀 중심으로 절편을 회전 이동시킨 후, 힌지수단을 매개로 반으로 접혀있는 연결부를 펼치고, 연결부의 결합수단에 각 절편의 결합수단을 스냅 연결방식으로 결합한 후 충격흡수재를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하여 위치시키고 연결부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수단에 머리끈의 고정수단을 결합한 후 머리끈을 매개로 착용하는 안전모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립식 안전모는 안전모 형태로 조립하는 과정이 아주 복잡하므로 안전모를 착용하는데 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짧은 시간에 안전모 형태로 조립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식 안전모는 복잡한 조립과정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고장이 나거나 부품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조립식 안전모의 경우, 부품의 결합이 완벽하지 않아 조립식 안전모를 착용하더라도, 낙하물이나 외부 충격이 착용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착용자가 쓰러지거나 다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낙하물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착용자의 머리에 직접적인 충격 및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머리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에 대한 기술개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이 착용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내충격성을 갖는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모 본체; 상기 안전모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되고, 독립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에어셀이 형성되는 에어쿠션; 상기 안전모 본체의 상측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충격성을 갖는 경질캡; 및 상기 안전모 본체에서 상기 경질캡의 둘레와 대응되는 위치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굽힘가이드와, 상기 제1굽힘가이드 하부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안전모 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굽힘가이드로 이루어진 이중굽힘수단;을 포함하여, 가압 또는 외부 충격 시, 상기 이중굽힘수단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가 접철되도록 하면서, 상기 경질캡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의 중앙부를 볼록한 형상으로 유지하며, 상기 안전모 본체는 상기 제2굽힘가이드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굽힘되고, 상기 제1굽힘가이드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굽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에어쿠션은, 심부 및 상기 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날개부 각각에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제1시트지와, 홈이 형성되지 않은 제2시트지를 상호 대응되게 위치시켜 가접합한 후, 상기 홈에 에어를 주입한 다음, 상기 심부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몰드로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심부에 형성된 홈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되고, 상기 날개부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몰드로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날개부에 형성된 홈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됨으로써, 상기 에어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셀은, 상기 에어쿠션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셀의 내부에는, 스펀지가 충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안전모 본체의 내측 상부와 상기 에어쿠션 사이에 충격흡수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전모 본체의 외면에 방염천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안전모에 따르면, 안전모 본체의 상측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경질캡과, 안전모 본체의 내면 중 경질캡의 둘레와 대응되는 위치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굽힘가이드 및 제1굽힘가이드 하부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안전모 본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굽힘가이드로 이루어진 이중굽힘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가압 또는 외부 충격 발생 시, 상기 이중굽힘수단에 의해 안전모 본체가 접철되면서 경질캡에 의해 안전모 본체의 중앙부를 볼록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중굽힘수단을 통해 안전모 본체가 외측으로 굽히면서 내측으로도 굽히는 이중굽힘이 가능하므로, 안전모의 부피를 줄인 후 적층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하물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내충격성을 갖는 경질캡에 의해 안전모 본체의 볼록한 중앙부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전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전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후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내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내부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뒷목보호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밴드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의 제조과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에 스펀지가 삽입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질캡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굽힘수단의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가압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중굽힘 변형된 안전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전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후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내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내부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뒷목보호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밴드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의 제조과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에 스펀지가 삽입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질캡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굽힘수단의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가압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중굽힘 변형된 안전모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후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내부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내부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본체(100), 에어쿠션(300), 경질캡(500) 및 이중굽힘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안전모 본체(100)는 착용자의 머리가 착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수용부(110)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안전모 본체(100)는 안전모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착용자의 머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반구 또는 타원형의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양측에는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후 안전모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한 쌍의 스트랩(120)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스트랩(120)은 연결구(121)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양측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120)의 단부에는 체결구(122)가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트랩(120) 간 상호 체결 또는 체결 해제가 가능하며, 이러한 체결구(122)에는 호루라기 또는 피리와 같은 위험알림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재난에 의해 고립된 경우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스트랩(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착용자의 턱, 머리 등의 크기에 맞게 상기 스트랩(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1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후방에는 목의 뒷부분과 어깨 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뒷목보호대(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뒷목보호대(130)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 7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목보호대(130)는 보호대결합구(131)에 의해 안전모 본체(100)의 후방 하측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보호대결합구(131)는 뒷목보호대(130)를 충분히 당기거나 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신축성의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하단 내측의 둘레방향을 따라 엔드밴드(1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엔드밴드(140)는 안전모 본체(100)의 하단 내측에서 헤드밴드결합구(210)를 받침으로써, 헤드밴드(200)를 안전모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리벳(R)이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안전모 본체(100)나 뒷목보호대(130)에는 RF(radio frequency)칩이 구비되어 안전모 착용자의 위치 파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피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구조 활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단, 상기 안전모 본체(100)는 발포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경량화될 수 있으며, 예컨대 EVA나 우레탄 등에 의한 발포폼으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하측 내부 둘레를 따라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밴드(2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밴드(200)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은 상기 헤드밴드(200)는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수용부(110)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반구형의 띠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자가 낙하물 등과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하고, 특히 착용자 머리 둘레를 따라 끼워져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상기 안전모 본체(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헤드밴드(20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헤드밴드결합구(210)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며, 이러한 헤드밴드결합구(210)와 안전모 본체(100) 사이를 리벳(R)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에어쿠션(300)은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독립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에어셀(34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에어쿠션(300)은 원형의 심부(310)와, 상기 심부(3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 날개부(320) 각각에 복수 개의 홈(h)이 형성된 제1시트지(300a)와, 상기 제1시트지(300a)에 밀착되어 접합되는 제2시트지(300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쿠션(300)은 심부(310) 및 상기 심부(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날개부(320) 각각에 복수 개의 홈(h)이 형성된 제1시트지(300a)와, 홈이 형성되지 않은 제2시트지(300b)를 상호 대응되게 위치시켜 가접합한 후, 상기 제1시트지(300a)와 제2시트지(300b) 사이의 홈(h)에 에어를 주입하고, 상기 심부(310)에 형성된 홈(h)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몰드(m1)로 상기 심부(310)를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심부(310)에 형성된 홈(h)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되고, 상기 날개부(320)에 형성된 홈(h)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몰드(m2)로 상기 날개부(320)를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날개부(320)에 형성된 홈(h)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됨으로써,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홈(h)이 독립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에어셀(340)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에어셀(340)은 상기 에어쿠션(3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외부 영향에 의해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에어쿠션(300)에는 심부(310)의 일정 지점에서부터 날개부(320)의 일정 지점까지 절개된 절개부(33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절개부(330)에 의해 상기 에어쿠션(300)을 반구 또는 돔 형태로 만들 때 구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쿠션(300)의 제조과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에어쿠션(300)은 홈(h)이 형성된 제1시트지(300a)와 홈이 형성되지 않은 제2시트지(300b)를 준비하는 제1단계(S10), 상기 제1시트지(300a)와 제2시트지(300b)를 가접합한 후 상기 홈(h)에 에어를 주입하는 제2단계(S20), 심부(310)에 형성된 홈(h)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몰드(m1)로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심부(310)에 형성된 홈(h)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되는 제3단계(S30) 및 날개부(320)에 형성된 홈(h)에 대응되는 제2몰드(m2)로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날개부(320)에 형성된 홈(h)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되어 독립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에어셀(340)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제1단계는 홈(h)이 형성된 제1시트지(300a)와, 홈이 형성되지 않은 제2시트지(300b)를 준비하는 단계이다(S10).
말하자면, 제1단계는 심부(310)와, 상기 심부(310)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된 날개부(320) 각각에 복수 개의 홈(h)이 형성된 제1시트지(300a)와, 상기 제1시트지(300a)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면서 홈이 형성되지 않은 제2시트지(300b)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제2단계는 상기 제1시트지(300a)와 제2시트지(300b)를 겹쳐 가접합한 후 상기 제1시트지(300a)와 제2시트지(300b) 사이의 홈(h)에 에어를 주입하는 단계이다(S20).
즉, 제2단계에서는 상기 제1시트지(300a)에 형성된 홈(h)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제2시트지(300b)와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가접합하고, 상기 제1시트지(300a)의 홈(h)이 형성된 부분에 에어를 주입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3단계는 상기 심부(310)에 형성된 홈(h)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몰드(m1)로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심부(310)에 형성된 홈(h)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되는 단계이다(S30).
상기 제1시트지(300a)와 제2시트지(300b) 사이의 홈(h)에 에어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심부(310)에 형성된 홈(h)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몰드(m1)를 가압하고 고주파에 의해 상기 심부(310)의 홈(h)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접합하고 구획하여 상기 심부(310)에 독립적으로 구획된 에어셀(34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심부(310)에 형성되는 상기 에어셀(340)은 중심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에어셀과, 원형의 에어셀을 중심으로 외측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에어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단계는 상기 날개부(320)에 형성된 홈(h)에 대응되는 제2몰드(m2)로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날개부(320)에 형성된 홈(h)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되어 독립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에어셀(3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S40).
제4단계를 통하여 심부(310) 뿐만 아니라 날개부(320)에도 에어셀(34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어셀(340)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의 에어가 유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셀(340)에 스펀지(350)가 삽입된 예시도를 나타낸 도 11에서와 같이 홈(h)에 스펀지(350)를 삽입한 상태로 에어를 주입하여 에어셀(340)을 형성함으로써, 스펀지(350) 자체의 다공성 특성을 이용하여 스펀지(350) 내부에 에어가 존재하도록 하여 에어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에어셀(340)의 배치의 일례로서, 심부(310)와 날개부(320)로 구성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그 배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즉, 심부(310)없이 날개부(320)만 구비되는 배치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내측 상부와 상기 에어쿠션(300) 사이에 충격흡수재(4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재(400)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격흡수재(400)는 안전모 본체(100)의 내측 중앙부의 내면과 에어쿠션(300) 중앙부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작용을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충격흡수재(400)의 상면에는 상기 안전모 본체(100)를 중심으로 상기 경질캡(500)과 결합시키기 위한 리벳(R)이 삽입될 수 있는 리벳홈(410)이 함몰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재(400)에는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내부 상측 중앙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에 절개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안전모 본체(100) 내면과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홈(미도시) 또는 미끄럼방지돌기(미도시)가 다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충격흡수재(400)는 가압 또는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서 하중에 의해 압축되고, 압축된 하중이 제거되면 형상이 복원될 수 있도록 고무소재 또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경질캡(500)은 안전모 본체(100)의 상측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질캡(500)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캡(500)은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상측 중앙부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볼록한 원형판 형상을 갖는다.
상기 경질캡(500)의 외측 둘레에는 일정 간격마다 리벳(R)이 통과되는 리벳통과홀(5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리벳통과홀(510)을 통해 리벳(R)이 상기 경질캡(5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끼워지면서 안전모 본체(100) 또는 안전모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재(400)와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상측 중앙부 외면에 설치되는 상기 경질캡(500)을 통하여, 낙하물과 같은 외부 충격이 안전모에 가해지더라도 안전모 본체(100)의 상측 중앙부의 볼록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착용자에게는 직접적인 충격을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질캡(500)은 수직 낙하물에 대하여 내충격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질캡(500)은 외부 충격에도 깨지거나 손상되지 않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강화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폴리카보네이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깨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내충격성을 갖는 강화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경질캡(500)의 표면에는 빛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재 또는 야광재가 시트 형식으로 인쇄된 식별시트(520)가 부착 또는 인쇄되어 시야 확보가 어려운 공간에서 식별을 용이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상기 이중굽힘수단(600)은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내면 중 상기 경질캡(500)의 둘레와 대응되는 위치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굽힘가이드(610)와,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 하부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단턱진 제2굽힘가이드(62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중굽힘수단(600)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상기 이중굽힘수단(600)을 이루는 제1굽힘가이드(610)와 제2굽힘가이드(62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4(a)는 안전모 본체(100)의 외부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b)는 도 14(a)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14(c)는 도 14(a)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안전모 본체(100)를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제1영역(100a)과 제2영역(100b)으로 차례대로 구분되고, 상기 제2굽힘가이드(620)에 의해 제2영역(100b)과 제3영역(100c)으로 차례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안전모를 적층하여 보관하기 위해 가압하거나 낙하물 등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제2굽힘가이드(620)를 중심으로 상기 안전모 본체(100)가 내측으로 굽힘되면서 제2영역(100b)과 제3영역(100c)으로 접철되고,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를 중심으로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상부가 외측으로 굽힘되면서 제1영역(100a)과 제2영역(100b)으로 접철됨으로써, 이중 접철 또는 이중 굽힘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내면 일정 높이에서 그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가압 또는 낙하물에 의한 외부 충격 시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를 중심으로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제1영역(100a)과 제2영역(100b)이 외측으로 굽혀지면서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중앙부와 상기 경질캡(500)이 상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굽힘가이드(620)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 하부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다단지게 형성되면서 외부로 돌출된 단턱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영역(100b)과 제3영역(100c) 사이에서 접힘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가압 또는 낙하물에 의한 외부 충격 시, 상기 제2굽힘가이드(620)를 중심으로 상기 안전모 본체(100)가 내측으로 굽히면서 제2영역(100b)과 제3영역(100c)으로 접철되어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영역(100a)과 제3영역(100c)의 두께보다 상기 제2영역(100b)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얇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2굽힘가이드(620)를 중심으로 상기 안전모 본체(100)가 내측으로 굽히면서 상기 제2영역(100b)과 제3영역(100c)으로 접철되도록 하고,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영역(100a)과 제2영역(100b)이 외측으로 굽혀지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이중 굽힘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제1영역(100a)과 제3영역(100c)의 두께가 5mm일 때, 제2영역(100b)의 두께는 4mm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가압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중굽힙 변형된 안전모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와 제2굽힘가이드(620)로 이루어진 상기 이중굽힘수단(600)에 의해 접철되어 부피가 작아진 안전모의 형태 확인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된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와 제2굽힘가이드(620)의 구성은,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도 상기 제2굽힘가이드(620)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와 상기 제2굽힘가이드(620)가 접철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무방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외면에 방염천을 부착하여 불에 타는 것을 어렵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모 본체(100)의 상측 중앙부를 감싸도록 경질캡(500)이 설치되고,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내면 중 상기 경질캡(500)의 둘레와 대응되는 위치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굽힘가이드(610)와,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 하부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안전모 본체(100)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굽힘가이드(620)로 이루어진 이중굽힘수단(600)이 구비됨으로써, 가압 또는 외부 충격 발생 시, 상기 제2굽힘가이드(620)을 중심으로 상기 안전모 본체(100)가 접철되도록 하면서, 이어서 상기 제1굽힘가이드(610)를 중심으로 상기 경질캡(500)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중앙부를 상시 볼록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이중 굽힘이 이루어지는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중굽힘수단(600)을 통해 상기 안전모 본체(100)가 외측으로 굽혀지면서 내측으로도 굽혀져 이중굽힘이 가능하므로, 안전모의 부피를 줄인 후 적층할 수 있어 보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경질캡(500)으로 인해 낙하물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안전모 본체(100)의 상측 중앙부의 볼록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안전모 착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안전모 본체
100a: 제1영역
100b: 제2영역
100c: 제3영역
110: 수용부
120: 스트랩
121: 연결구
122: 체결구
123: 길이조절구
130: 뒷목보호대
131: 보호대결합구
140: 엔드밴드
200: 헤드밴드
210: 헤드밴드결합구
300: 에어쿠션
300a: 제1시트지
300b: 제2시트지
310: 심부
320: 날개부
330: 절개부
340: 에어셀
350: 스펀지
400: 충격흡수재
410: 리벳홈
500: 경질캡
510: 리벳통과홀
520: 식별시트
600: 이중굽힘수단
610: 제1굽힘가이드
620: 제2굽힘가이드
h: 홈
m1: 제1몰드
m2: 제2몰드
R: 리벳
100a: 제1영역
100b: 제2영역
100c: 제3영역
110: 수용부
120: 스트랩
121: 연결구
122: 체결구
123: 길이조절구
130: 뒷목보호대
131: 보호대결합구
140: 엔드밴드
200: 헤드밴드
210: 헤드밴드결합구
300: 에어쿠션
300a: 제1시트지
300b: 제2시트지
310: 심부
320: 날개부
330: 절개부
340: 에어셀
350: 스펀지
400: 충격흡수재
410: 리벳홈
500: 경질캡
510: 리벳통과홀
520: 식별시트
600: 이중굽힘수단
610: 제1굽힘가이드
620: 제2굽힘가이드
h: 홈
m1: 제1몰드
m2: 제2몰드
R: 리벳
Claims (7)
- 안전모 본체;
상기 안전모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되고, 독립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에어셀이 형성되는 에어쿠션;
상기 안전모 본체의 상측 중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충격성을 갖는 경질캡; 및
상기 안전모 본체에서 상기 경질캡의 둘레와 대응되는 위치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굽힘가이드와, 상기 제1굽힘가이드 하부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안전모 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굽힘가이드로 이루어진 이중굽힘수단;을 포함하여,
가압 또는 외부 충격 시, 상기 이중굽힘수단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가 접철되도록 하면서, 상기 경질캡에 의해 상기 안전모 본체의 중앙부를 볼록한 형상으로 유지하며,
상기 안전모 본체는 상기 제2굽힘가이드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굽힘되고, 상기 제1굽힘가이드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굽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본체의 내측 상부와 상기 에어쿠션 사이에 충격흡수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은,
심부 및 상기 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날개부 각각에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제1시트지와, 홈이 형성되지 않은 제2시트지를 상호 대응되게 위치시켜 가접합한 후, 상기 홈에 에어를 주입한 다음, 상기 심부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몰드로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심부에 형성된 홈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되고, 상기 날개부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몰드로 가압하면서 고주파에 의해 상기 날개부에 형성된 홈을 제외한 부분이 접착됨으로써, 상기 에어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은,
상기 에어쿠션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의 내부에는,
스펀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본체의 외면에 방염천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197331A JP7152790B2 (ja) | 2020-06-03 | 2020-11-27 | 安全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29 | 2020-06-03 | ||
KR20200067229 | 2020-06-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0257A KR20210150257A (ko) | 2021-12-10 |
KR102482231B1 true KR102482231B1 (ko) | 2022-12-28 |
Family
ID=7886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9944A KR102482231B1 (ko) | 2020-06-03 | 2020-11-25 | 안전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22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3579A (ko) * | 2022-11-18 | 2024-05-27 |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 가변형 헬멧 및 그 제조방법 |
US20240315374A1 (en) * | 2023-03-22 | 2024-09-26 | DoubleThree, LLC | Helmet and chin strap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1018Y1 (ko) * | 2007-05-01 | 2008-07-17 | 김덕진 | 안전모자 |
JP2014227613A (ja) * | 2013-05-20 | 2014-12-08 | 辰也 伊藤 | 保護カバー |
JP2016035117A (ja) * | 2014-08-01 | 2016-03-17 | ミドリ安全株式会社 | 折り畳みヘルメ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7457B1 (ko) | 2011-05-09 | 2012-07-26 | 김원호 | 휴대가능한 조립식 안전모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30062076A (ko) * | 2011-12-02 | 2013-06-12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2중 충격 감쇄형 안전모 |
-
2020
- 2020-11-25 KR KR1020200159944A patent/KR1024822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1018Y1 (ko) * | 2007-05-01 | 2008-07-17 | 김덕진 | 안전모자 |
JP2014227613A (ja) * | 2013-05-20 | 2014-12-08 | 辰也 伊藤 | 保護カバー |
JP2016035117A (ja) * | 2014-08-01 | 2016-03-17 | ミドリ安全株式会社 | 折り畳みヘルメ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0257A (ko) | 2021-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82231B1 (ko) | 안전모 | |
US10517346B2 (en) | Helmet with multiple protective zones | |
US3877076A (en) | Safety hat energy absorbing liner | |
US3447163A (en) | Safety helmets | |
US6481023B2 (en) | Suspension for protective headgear | |
US4496054A (en) | Corner protector for containerized article | |
US10433609B2 (en) | Layered materials and structures for enhanced impact absorption | |
US20140020158A1 (en) | Multilayer impact attenuating insert for headgear | |
JP5949666B2 (ja) | 折り畳みヘルメット | |
US9565886B2 (en) | Protective headgear | |
JP7152790B2 (ja) | 安全帽 | |
JP2007092198A (ja) | 携帯用頭部保護帽子 | |
KR101855593B1 (ko) | 접이 가능한 안전모 | |
KR102197046B1 (ko) | 재난 보호용 헬멧 | |
US20160242486A1 (en) | Impact diverting helmet system | |
KR101601882B1 (ko) | 하드 케이스 여행가방 | |
KR102118712B1 (ko) | 간이 보호 모자 | |
JP6940071B2 (ja) | 簡易保護帽 | |
JP2014234563A (ja) | 帽子用保護具及び帽子 | |
TWM611831U (zh) | 氣囊式防護頭套 | |
KR101167457B1 (ko) | 휴대가능한 조립식 안전모 및 이의 제조방법 | |
JP3122726U (ja) | ヘルメット | |
KR20220112466A (ko) | 헬멧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71964B1 (ko) | 안전모 | |
CN212590595U (zh) | 缓冲撞击大帽檐透气安全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