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593B1 - 접이 가능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접이 가능한 안전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5593B1 KR101855593B1 KR1020160134014A KR20160134014A KR101855593B1 KR 101855593 B1 KR101855593 B1 KR 101855593B1 KR 1020160134014 A KR1020160134014 A KR 1020160134014A KR 20160134014 A KR20160134014 A KR 20160134014A KR 101855593 B1 KR101855593 B1 KR 1018555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helmet
- tightening
- outer member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6—Ear protection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4—Adjustable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되어 있으며 연질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져 접이 가능한 본체(100);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수축시켜 상기 본체(100)를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주는 조임끈(200); 및 상기 조임끈(20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끈(200)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조임 홀더(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임끈을 이용하여 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건설 근로 현장에서 사용하는 건설산업용 안전모와 자전거, 오토바이, 인라인 등의 레저 스포츠에서 사용하는 스포츠용 안전모 및 지진 재난시 재난 현장에서 신체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재난용 안전모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지진 발생이 증대됨에 따라 가정에서도 지진 등에 의한 위험을 대비한 안전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모는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그 크기와 무게에 의해 휴대가 불편하며 부피가 커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립식 안전모(1)가 개발되었으나(도 2 및 도 3 참조) 안전모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겹쳐져 있는 복수개의 절편(3)의 결합공(6)에 결합핀(2)을 끼우고 이 결합핀(2) 중심으로 절편(3)을 회전이동시켜 도 2의 상태로 만든 후 힌지수단(9)을 매개로 반으로 접혀 있는 연결부(5)를 펼치고 이 연결부(5)의 결합수단(8)에 각 절편(3)의 결합수단(7)을 스냅연결방식으로 결합한 후 충격흡수재(13)를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하여 위치시키고 연결부(5)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수단에 머리끈의 고정수단을 결합한 후 머리끈을 매개로 착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개발된 조립식 안전모는 안전모로 변형하는 과정이 아주 복잡하므로 안전모 사용을 위해서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진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짧은 시간에 안전모로 변형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조립식 안전모(1)는 복잡한 형태 및 과정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고장이 나거나 부품을 분실할 수 있는 우려도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모의 형태로 변형이 빠르고 용이하며, 접이 가능하여 휴대 및 비치가 용이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되어 있으며 연질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져 접이 가능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수축시켜 상기 본체(100)를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주는 조임끈(200); 및 상기 조임끈(20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끈(200)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조임 홀더(300)를 포함하는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제공한다.
상기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를 이루는 연질의 완충 부재는 외부 부재(130)와 내부 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부재(130)의 상부는 원주 방향으로 절개되어 구획된 다수의 분할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외부 부재(130)와 상기 내부 부재(140)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외부 부재(130)의 다수의 분할 형태는 4 내지 2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본체(200)의 상단으로부터 1cm 내지 2cm 이격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접었을 때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시 머리 전체와 귀 및 목의 뒷 부분을 덮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그 두께가 10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조임끈(20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손쉽고 빠르게(약 0.3초 이내) 안전모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지진 재난 시에도 신속하게 안전모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임끈(200)을 조임으로써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본체(100) 내부에 주름이 생겨 완충재의 두께가 두꺼워짐과 동시에 주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충격 완화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재질과 구조가 접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약간의 공간만 있어도 비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안전모 형태로 변형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착용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의 조임 홀더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안전모 형태로 변형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착용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의 조임 홀더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면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안전모 형태로 변형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착용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본체(100), 조임끈(200) 및 조임 홀더(30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상기 본체(100)는 안전모의 본체로서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여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접이 가능하여 착용시 안전모 형태로 변형되고 미착용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이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방되어 본체(100)가 두꺼워지더라도 손쉽게 접이가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4 및 도 5 참조). 그리고 추가적으로, 하면(120)이 개방된 이유는 상술한 내용 외에 안전모가 머리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면(110)이 개방된 이유는 상술한 내용 외에 상면(110)이 개폐되는 구조가 되어 상면(110)의 개방된 부분이 폐쇄될 때 손쉽게 안전모 형태로 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여기서 상면이란 본체의 윗면으로 착용시 머리 정수리에 해당되는 부분을 말하며, 하면이란 본체의 아랫면으로 착용시 머리가 삽입되어 머리 둘레를 감싸는 부분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형상은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된 입체형상으로서, 하기 설명할 조임끈(200)에 의해 개방된 상면(110)이 조여졌을 때 머리가 감싸지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된 원통형상, 원뿔대 형상, 원통 형상과 원뿔대 형상에서 일부 변형된 형상(도 4 참조)등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접었을 때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시 머리 전체와 귀 및 목의 뒷 부분을 덮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100)가 이러한 형상을 가질 때 착용을 위해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본체(100)가 머리 전체와 귀 및 목의 뒷 부분까지 감싸게 되어 낙하물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머리 뿐 아니라 귀 및 목부분(척추의 경추 부분)까지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0)는, 착용시 귀에 해당되는 부분에 일정 크기의 개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가 소리를 듣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연질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는 휴대나 비치를 위해 접거나 사용을 위해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신속하게 모양이 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와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모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연질의 완충 부재는 엠보싱이나 공기층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가볍고 접힐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를 이루는 연질의 완충부재는 외부 부재(130)와 내부 부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부재(130)와 내부 부재(140)는 연질의 완충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연질의 완충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부 부재(130)는 상기 내부 부재(140)의 외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부재(130)와 내부 부재(140)는 복수개의 완충재가 접합되어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완충재를 겹쳐서 상기 외부 부재(130)와 상기 내부 부재(140)를 만듦으로써 완충재 사이에 공기층을 최대한 구비하도록 하여 충격 완화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부재(130)만 그 상부가 원주 방향으로 절개되어 구획된 다수의 분할 형태(여기서, 분할 형태는 도 4 및 도 5의 외부 부재 상부의 삼각 형상 부분을 가리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이 수축되어 안전모 형태로 변형될 때 본체(100)의 모양이 머리 형태에 최대한 가깝게 변형되어 착용자의 머리(특히 정수리 부분)를 최대한 감싸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도 6 및 도 7 참조). 만약 정수리 부분이 최대한 감싸지지 않는다면 낙하물에 의해 착용자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분할 형태는 여러 가지 형상이 될 수 있으나 삼각 형상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이 조임끈(200)에 의해 수축되어 안전모 형태로 변형될 때 상기 개방된 상면(110)이 거의 완전히 닫혀 착용자의 정수리 부분을 구멍 없이 완전히 감싸기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며, 또한 본체(100) 외면(즉, 외부 부재(130))이 주름이나 울퉁불퉁한 곳 없이 매끄럽게 모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어 미관상 적합하기 때문이다(도 6 참조).
여기서, 상기 다수의 분할 형태의 수는 4 내지 20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다수의 분할 형태의 수가 4개 미만인 경우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불가능하며 20개 초과하는 경우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머리의 정수리에 해당되는 부분이 너무 많이 열려져 안전성 확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수의 분할 형태의 수는 6 내지 12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다수의 분할 형태의 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본체가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머리가 최대한 감싸지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반구 형상)가 되고, 내부 주름 수에 의한 충격완화 효과도 최대화되며, 제조 공정도 용이하여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도 4 및 도 5는 분할 형태의 수가 8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음).
또한, 상기 본체(100)의 두께는 10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체(100)의 두께가 10mm 미만인 경우 중간 정도의 충격으로도 본체(100)가 찢어질 우려가 있어 완충 효과가 무의미해지며, 20mm 초과하는 경우 안전모 형태로 변형이 어렵고 모양도 변형되어 안전모로서의 본질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조임끈(200)에 의해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머리를 감싸는 부분의 두께가 귀, 뒷목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낙하물의 충격으로 인한 머리 손상의 위험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설명한 본체의 두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머리를 감싸는 부분의 두께와 귀, 뒷목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의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조임끈(200)에 의해 개방된 상면(110)이 수축되어 본체(100)에 주름이 만들어짐으로써 머리를 감싸는 본체의 두께가 보다 두꺼워지고 주름 사이에 공기층이 생겨 보다 안전하게 머리를 보호할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임끈(200)은 조이는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을 수축시켜 상기 본체(100)를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 주며, 풀어주는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상면을 개방시켜 상기 본체(100)가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끈(200)을 조여주는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 중 내부 부재(140)에 주름이 생겨 본체(100)의 두께가 두꺼워짐과 동시에 주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안전모의 충격 완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 조임끈(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임끈(200)은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A)하여 설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본체(200)의 상단으로부터 1cm 내지 2cm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범위 내에서 조임끈(200)에 의해 본체(200)의 상면이 수축하여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머리 형태에 최대한 가깝게 본체가 변형되고 머리가 최대한 감싸지도록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조임끈(200)이 설치되는 방식은 상기 본체(100)의 외부 부재(130)와 내부 부재(140)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부재(130)와 상기 내부 부재(140)에 접하는 일정 공간(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외부 부재(130)의 다수의 분할 형태와 이에 대응하는 내부 부재(140) 사이의 일정 공간)에 조임끈(200)이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터널 공간(내구성이 강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빨대 형상의 터널 공간)이 설치되고, 상기 조임끈(200)이 상기 다수의 터널 공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터널 공간을 설치하는 이유는 조임끈(200)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도 4 및 도 5 참조).
상술한 방식으로 조임끈(200)이 설치되는 경우 본체(100)가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터널공간과 터널 공간 사이의 위치(상기 외부 부재(130)와 접하지 않는 내부 부재(140)의 위치)마다 상기 내부 부재(130)에 주름이 생기고 이러한 주름에 의해 완충 효과가 생기게 되며, 상기 주름의 수가 늘어날 수록 완충효과가 증대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조임끈(200) 설치방식은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기술 중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상기 외부 부재(130)의 다수의 분할 형태와 그에 대응되는 내부 부재)에 복수의 삽입공을 만들어 상기 삽입공에 조임끈(20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미도시). 이외에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관용기술을 채택하여 변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임 홀더(300)는 상기 조임끈(20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끈(200)의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조임 홀더(300)는 상기 조임홀더(300)의 양 홀더 개구(310)를 통해서 상기 조임끈(200)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조임끈(200)에 설치된다.
상기 조임 홀더(300)는 종래 공개된 기술 중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조임 홀더(300)는 조임홀더 본체(41)와 상기 조임 홀더 본체(41)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조임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홀더 본체(41)와 조임부(42)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임부(42)를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장치(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임 홀더(300)는 적어도 일면에 야광 물질로 도포하거나 야광 필름을 접착할 수 있다. 이는 조임 홀더(300)가 어두운 곳에서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빛을 내도록 하여 재난에 의해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나 야간 등에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필요한 경우 랜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랜턴은 상기 조임 홀더(300)의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조임끈(300)의 일단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100)를 안전모 형태로 변형했을 때 전면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재난에 의해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나 야간 등에 조명을 통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설치된 안전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끈(500)은 상기 안전모가 착용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턱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끈은 벨크로 형식으로 탈부착이 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상기 본체(100)의 외면에 외부 커버(미도시)를 접착 등의 방식으로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가 내부 부재(140)와 외부 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외부 부재(130)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기 외부 커버의 역할은 안전모의 미관을 좋게함과 동시에 안전모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외부 커버는 난연성의 두꺼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연두 야광색이나 주황 야광색 등으로 하여 조난시 구조자의 눈에 쉽게 발견될 수 있는 색상을 택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조임끈(200)의 조이는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손쉽고 빠르게(약 0.3초 이내) 안전모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지진 재난 시에도 신속하게 안전모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본체(100)의 재질과 구조가 안전모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약간의 공간만 있어도 비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조임끈(200)을 조임으로써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본체 내부에 주름이 생겨 완충재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충격 완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폐쇄적인 구조의 안전모에 비해 그 개폐되는 구조 상 열기나 땀을 배출시킬 수 있는 미세한 틈들이 존재하게 되어 통풍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1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
2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결합핀
3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절편
4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본체부
5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연결부
6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결합공
7, 8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결합수단
9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힌지수단
11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머리끈
13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충격흡수 부재
100 본체
110 상면
120 하면
130 외부 부재
140 내부 부재
150 개구부
200 조임끈
300 조임 홀더
310 조임 홀더 개구부
500 안전끈
41 조임 홀더 본체
42 조임부
A 본체 상단으로 부터 조임끈이 설치되는 위치까지의 간격
2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결합핀
3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절편
4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본체부
5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연결부
6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결합공
7, 8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결합수단
9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힌지수단
11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머리끈
13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충격흡수 부재
100 본체
110 상면
120 하면
130 외부 부재
140 내부 부재
150 개구부
200 조임끈
300 조임 홀더
310 조임 홀더 개구부
500 안전끈
41 조임 홀더 본체
42 조임부
A 본체 상단으로 부터 조임끈이 설치되는 위치까지의 간격
Claims (8)
-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되어 있으며 연질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져 접이 가능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수축시켜 상기 본체(100)를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주는 조임끈(200); 및
상기 조임끈(20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끈(200)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조임 홀더(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외부 부재(130)와 내부 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부재(130)와 상기 내부 부재(140) 중 상기 외부 부재(130)만 그 상부가 원주 방향으로 절개되어 구획된 다수의 분할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임끈(200)을 조여 안전모 형태로 변형 시 상기 외부 부재(130)는 매끄러운 모자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내부 부재(140)는 주름이 생겨 충격 완화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안전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130)의 다수의 분할 형태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내부 부재(14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조임끈(200)이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터널 공간이 설치되고,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다수의 터널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외부 부재(130)의 다수의 분할 형태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내부 부재(140)에 복수의 삽입공을 설치하고, 상기 삽입공에 상기 조임끈(20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130)의 다수의 분할 형태는 6 내지 1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안전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1cm 내지 2cm 이격하여 설치되는 접이 가능한 안전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연질의 완충 부재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접었을 때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시 머리 전체와 귀 및 목의 뒷 부분을 덮도록 하는 접이 가능한 안전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그 두께가 10mm 내지 20mm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4014A KR101855593B1 (ko) | 2016-10-17 | 2016-10-17 | 접이 가능한 안전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4014A KR101855593B1 (ko) | 2016-10-17 | 2016-10-17 | 접이 가능한 안전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1823A KR20180041823A (ko) | 2018-04-25 |
KR101855593B1 true KR101855593B1 (ko) | 2018-05-04 |
Family
ID=6208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4014A KR101855593B1 (ko) | 2016-10-17 | 2016-10-17 | 접이 가능한 안전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559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8071A (ko) | 2020-02-25 | 2021-09-02 | 김재욱 | 공기주입식 휴대용 안전헬멧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1964B1 (ko) * | 2019-11-18 | 2021-07-01 | 문만호 | 안전모 |
CN112120340A (zh) * | 2020-10-13 | 2020-12-25 | 佛山职业技术学院 | 一种折叠头盔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67324B2 (ja) * | 2008-12-01 | 2014-04-09 | 株式会社リード | 折りたたみ式の携帯用安全帽子 |
-
2016
- 2016-10-17 KR KR1020160134014A patent/KR1018555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67324B2 (ja) * | 2008-12-01 | 2014-04-09 | 株式会社リード | 折りたたみ式の携帯用安全帽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8071A (ko) | 2020-02-25 | 2021-09-02 | 김재욱 | 공기주입식 휴대용 안전헬멧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1823A (ko) | 2018-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25954B2 (en) | Customizable head protection | |
US20110179557A1 (en) | Helmet pro system | |
KR101855593B1 (ko) | 접이 가능한 안전모 | |
KR102142990B1 (ko) | 가변형 헬멧 | |
KR101576364B1 (ko) | 접이식 헬멧 | |
HK1120708A1 (en) | Helmet | |
KR101946913B1 (ko) | 접이 가능한 안전모 | |
US20190029357A1 (en) | Foldable helmet | |
US20050081279A1 (en) | Elastic headwear | |
US20060174396A1 (en) | Hard hat sun shade | |
JP2010084314A (ja) | 頭保護用帽子 | |
KR102197046B1 (ko) | 재난 보호용 헬멧 | |
JP2010185147A (ja) | 収納型ヘルメット | |
KR102108440B1 (ko) | 플렉서블 냉매봉을 이용한 밴드 | |
KR102438020B1 (ko) | 가변형 헬멧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6166009B1 (ja) | ヘルメット | |
KR101772773B1 (ko) | 분리 가능 헬멧 | |
JP7152790B2 (ja) | 安全帽 | |
KR102271964B1 (ko) | 안전모 | |
KR102488059B1 (ko) | 방재모 만들기 용품 및 이를 이용한 방재모 제작방법 | |
JP6074103B1 (ja) | 組み立て式携帯保護帽。 | |
JP3173311U (ja) | ヘルメット機能を備えた物入れ | |
KR200474963Y1 (ko) |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 |
KR101750704B1 (ko) | 충격 흡수용 머리 보호대 | |
KR200462391Y1 (ko) |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