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963Y1 -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 Google Patents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963Y1
KR200474963Y1 KR2020130002718U KR20130002718U KR200474963Y1 KR 200474963 Y1 KR200474963 Y1 KR 200474963Y1 KR 2020130002718 U KR2020130002718 U KR 2020130002718U KR 20130002718 U KR20130002718 U KR 20130002718U KR 200474963 Y1 KR200474963 Y1 KR 200474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liner
outer cover
fixing member
c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414U (ko
Inventor
강명훈
Original Assignee
강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훈 filed Critical 강명훈
Priority to KR2020130002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6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03Helmet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1External coatings, e.g. with light reflect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2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42B3/085Occipital reten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2Suspension devices with restraining or stabilizing means, e.g. nape strap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에 있어서, 코르크를 주재로로 하여 이용자의 두상과 같은 반구 형태로 제작되는 라이너; 고강도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되는 반구형의 고정부재; 및 헬멧의 최외각을 형성하며 내부 소재인 상기 라이너 및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외각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너,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외각커버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외각커버는 상기 라이너 및 상기 고정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라이너 및 고정부재를 감싸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천연 소재인 코르크를 이용한 라이너를 개발하여 헬멧에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착용감이 뛰어난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을 제공한다. 둘째, 코르크 라이너의 외각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고정부재와 외각커버가 분리 형성되도록 하여 커버만의 세탁이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상기 외각커버에는 헬멧을 머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해 주는 장치인 사이징 링이 적용되어 운행시 흔들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CORK HELMET}
본 고안은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르크로 제작된 라이너와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외각커버로 구성되는 헬멧을 제공하며, 상기 외각커버는 밴드를 이용한 조절(Fit) 시스템이 적용되어 운행시 헬멧의 흔들림이나 벗겨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헬멧은 폴리에스티렌 폼(polystyrene foam)을 성형하여 두상 모형으로 제작하고 이를 헬멧의 커버 내부에 장착하여 사고 발생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머리를 보호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특히 충격 흡수재로 발포폴리스타이렌(EPS: Expanded Polystylene)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0. 8. 10. 공개된 공개번호 제10-2010-0088661호, 발명의 명칭 "충격 보호를 위한 가압축식 라이너"는 종래 단일 밀도 폴리스타이렌 발포체 대신 가압축식 라이너를 이용하여 충격 흡수률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기는 하나, 상기 라이너를 발포폴리스타이렌 등으로 제조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을 뿐이어서 그 기술적 한계를 넘어섰다고 보기 어렵다.
물론, 상기 발포폴리스타이렌은 부피에 비해 매우 가볍고 내수성 및 방음, 완충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발포폴리스타이렌은 폐기시 오랜 기간 썩지 않는 문제가 있어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고, 친환경 소재와 달리 착용시 땀흡수 등이 원활치 않아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발포폴리스타이렌은 충격을 받았을 때 공기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발포폴리스타이렌 알갱이들이 터지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머리에 전달되는 파동을 최소화한다. 간혹 외부의 큰 충격을 받아도 멀쩡한 외관을 유지하는 경우가 있으나 한 번 충격을 받은 헬멧은 내부에 보이지 않게 금이 가거나 충격을 흡수를 해주는 발포폴리스타이렌 알갱이가 파손돼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헬멧의 교체는 불가피하다. 또한, 헬멧은 아무런 충격이 없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5년이 경과하면 교체할 것이 권장된다. 왜냐하면 공해와 자외선 및 땀 등으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헬멧의 구성 요소들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헬멧은 단기간 사용 후 교체가 불가피한 안전장비로 그 안전성 못지 않게 사후처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위에서 제기한 문제점과 같이 수명을 다해 폐기되는 헬멧들은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기능할 수밖에 없으므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헬멧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첫째, 천연 소재인 코르크를 이용한 라이너를 개발하여 헬멧에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착용감이 뛰어난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코르크 라이너의 외각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고정부재와 외각커버가 분리 형성되도록 하여 커버만의 세탁이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상기 외각커버에는 헬멧을 머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해 주는 장치인 사이징 링(Sizing Ring)이 적용되어 운행시 흔들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에 있어서, 코르크를 주재로로 하여 이용자의 두상과 같은 반구 형태로 제작되는 라이너; 고강도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되는 반구형의 고정부재; 및 헬멧의 최외각을 형성하며 내부 소재인 상기 라이너 및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외각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너,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외각커버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외각커버는 상기 라이너 및 상기 고정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라이너 및 고정부재를 감싸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라이너는 그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원형 홀이 형성되고, 측면 부위에는 상하로 길게 파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외각커버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각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외각커버의 안쪽으로 탄성이 뛰어난 밴드를 평평하게 소정 두께로 둘러 이용자가 헬멧을 착용할 시 머리 전체를 고정시키는 사이징 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각커버의 양 측면에는 체결구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똑딱이 단추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끈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턱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천연 소재인 코르크를 이용한 라이너를 개발하여 헬멧에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착용감이 뛰어난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을 제공한다.
둘째, 코르크 라이너의 외각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고정부재와 외각커버가 분리 형성되도록 하여 커버만의 세탁이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상기 외각커버에는 헬멧을 머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해 주는 장치인 사이징 링이 적용되어 운행시 흔들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사시 사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저면 사진이다.
도 11 및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라이너 및 고정부재를 촬영한 사진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사시 사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저면 사진이다. 도 11 및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의 라이너 및 고정부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은 코르크로 제작된 라이너(100)와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되는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와 결합되는 외각커버(3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라이너(100)는 두상과 같은 형태인 반구 형태로 제작되고 그 표면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형 홀(110)이 형성되며, 측면 부위에는 상하로 길게 파인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10)은 이용자가 본 고안의 헬멧을 착용했을 때 통풍이 용이하도록 해 땀을 증발시키고 머리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120)은 상기 홀(1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외에 이용자가 헬멧을 착용했을 때 헬멧과 머리 사이에 공간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사고 발생시 이용자의 머리를 최대한 고정시켜 충격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종래 라이너의 충격 흡수재로 주로 사용되던 발포폴리스타이렌은 폐기시 오랜기간 썩지 않는 문제가 있어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받아 왔으나 본 고안의 라이너(100)는 친환경 소재인 코르크를 이용해 제작됨으로써 폐기 시에도 단기간에 썩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자연 물질이기 때문에 환경에 아무런 악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포폴리스타이렌의 경우 친환경 소재와 달리 착용시 땀흡수 등이 원활치 않아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고안의 라이너(100)는 인체에 무해한 코르크를 사용해 땀 흡수가 용이하고 착용감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발포폴리스타이렌은 충격을 받았을 때 공기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발포폴리스타이렌 알갱이들이 터지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머리에 전달되는 파동을 최소화하므로, 간혹 외부의 큰 충격이 있는 경우 그 외관이 멀쩡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도 헬멧 내부에 보이지 않게 금이 가거나 충격을 흡수를 해주는 발포폴리스타이렌 알갱이가 파손되기 때문에 헬멧의 교체가 불가피하다. 반면 본 고안의 라이너(100)는 친환경 소재인 코르크 자체의 탄성과 충격 흡수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코르크가 찢어지지 않는 이상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라이너(100) 위에 적층되는 형태로 결합되므로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헬멧이 머리에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고정부재(200)의 재질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가 사용되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ABS보다 5배 이상 강한 강도를 낼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겠지만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외각커버(300)와 분리 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이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헬멧 커버만을 교체하거나 외각커버(300)만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각커버(300)는 본 고안의 헬멧의 최외각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 소재인 상기 라이너(100) 및 고정부재(200)를 감싸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외각커버(300)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아래 도면과 달리 헬멧에 창이 없을 수도 있고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도안화되거나 장식물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외각커버(300)는 상기 고정부재(200)와 별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종래 헬멧의 경우 상기 스크랩과 외각커버(3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각커버(300)와 고정부재(200)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할 경우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비용이 과도하게 들고 이로 인하여 유행의 변화에 따른 또는 헬멧 용도의 변화에 따른 외각커버(300)의 교체가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 두 구성요소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각커버(300)를 세탁하는 것도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고안의 헬멧은 상기 고정부재(200)와 외각커버(300)가 분리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외각커버(300)만의 세탁이나 교체가 가능하므로 반사적으로 종래 헬멧에 비하여 변심과 같은 개인적 요인이나 손상과 같은 물리적 요인에 관계없이 장기간 헬멧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각커버(300)의 내부는 밴드를 이용한 사이징 링(Sizing Ring;310)이 적용되어 운행시 헬멧의 흔들림이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사이징 링(310)은 헬멧을 이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해 주는 장치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슬라이더 또는 다이얼이라고도 불리우며, 제조업체에 따라서는 Roc Loc, GPS, Acu-Dial, Half nelson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사이징 링(310)은 상기 외각커버의 안쪽으로 탄성이 뛰어난 밴드를 평평하게 소정 두께로 둘러 이용자가 헬멧을 착용할 시 머리 전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운행시 헬멧의 흔들림이나 헬멧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외각커버(300)의 양 측면에는 본 고안의 헬멧이 이용자의 머리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턱끈(3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8, 도 10에 도시된 턱끈(320)의 모양은 단순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선택에 좇아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턱끈(320)은 상기 외각커버(300)의 측면과 나사나 못 등과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똑딱이 단추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6 또는 도 7에서 외각커버와 턱끈의 경계 부분에 각각 2개씩 동그랗게 도시된 부분 참조). 이 경우 이용자는 외각커버(300)와 별도로 턱끈(320)만을 교환하거나 세탁할 수 있으며, 턱끈(320)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턱끈(320)을 분리한 후 헬멧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턱끈(320)은 이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추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라이너
110: 홀
120: 홈
200: 고정부재
300: 외각커버
310: 사이징 링
320: 턱끈

Claims (5)

  1.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에 있어서,
    코르크를 주재로로 하여 이용자의 두상과 같은 반구 형태로 제작되는 라이너;
    고강도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되는 반구형의 고정부재; 및
    헬멧의 최외각을 형성하며 내부 소재인 상기 라이너 및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외각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너,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외각커버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외각커버는 상기 라이너 및 상기 고정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라이너 및 고정부재를 감싸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그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원형 홀이 형성되고, 측면 부위에는 상하로 길게 파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외각커버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외각커버의 안쪽으로 탄성이 뛰어난 밴드를 평평하게 소정 두께로 둘러 이용자가 헬멧을 착용할 시 머리 전체를 고정시키는 사이징 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커버의 양 측면에는 체결구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똑딱이 단추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끈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턱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KR2020130002718U 2013-04-10 2013-04-10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KR200474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718U KR200474963Y1 (ko) 2013-04-10 2013-04-10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718U KR200474963Y1 (ko) 2013-04-10 2013-04-10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14U KR20140005414U (ko) 2014-10-20
KR200474963Y1 true KR200474963Y1 (ko) 2014-10-31

Family

ID=5228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718U KR200474963Y1 (ko) 2013-04-10 2013-04-10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951B1 (ko) * 2015-11-04 2017-12-01 유한회사 몬티스세이프티월드와이드그룹 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130A (ja) * 1997-07-14 1999-02-09 Takatsugu Oizumi 安全ヘルメット
KR200420923Y1 (ko) 2006-04-05 2006-07-06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제전기능을 가지는 안전모
US20060168712A1 (en) 2005-01-31 2006-08-03 Mazzoccoli Jeff C Universal safety cap
JP2006299440A (ja) 2005-04-18 2006-11-02 Tanizawa Seisakusho Ltd 保護帽及びそのライナー用防塵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130A (ja) * 1997-07-14 1999-02-09 Takatsugu Oizumi 安全ヘルメット
US20060168712A1 (en) 2005-01-31 2006-08-03 Mazzoccoli Jeff C Universal safety cap
JP2006299440A (ja) 2005-04-18 2006-11-02 Tanizawa Seisakusho Ltd 保護帽及びそのライナー用防塵カバー
KR200420923Y1 (ko) 2006-04-05 2006-07-06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제전기능을 가지는 안전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951B1 (ko) * 2015-11-04 2017-12-01 유한회사 몬티스세이프티월드와이드그룹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14U (ko)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797B2 (en) Football helmet having improved impact absorption
US6360376B1 (en) Protective hat
US9603408B2 (en) Football helmet having improved impact absorption
EP2822410B1 (en) Helmet
WO2007070462A3 (en) Protective headgear
US20170224042A1 (en) Head protective insert technology for significantly reducing subconcussive level impacts to protective headgear used in contact and collision sports
US20030140401A1 (en) Impact resistant structure of safety helmet
KR200474963Y1 (ko)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JP2009120983A (ja) 乗車用および作業用ヘルメット
AU2018307936A1 (en) Protective sports headgear
US20140259313A1 (en) Protective Helmet
US20180064198A1 (en) Helmet
JP2005163228A (ja) 保護帽
CN214407176U (zh) 一种减震透气的军警防弹头盔
US20140345028A1 (en) Water hat
KR200477060Y1 (ko) 안전모자
JP2021147731A (ja) ヘルメット
KR200441032Y1 (ko) 충격을 방지해주는 챙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US20090106877A1 (en) Headwear appearing hidden pattern effect
KR20100012015A (ko) 구명안전복
KR100753489B1 (ko) 통풍모자
JP2002339140A (ja) 頭部保護キャップ
KR20200041690A (ko) 두부 보호용 헬멧
JP3169206U (ja) 帽子用衝撃緩和イン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