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690A - 두부 보호용 헬멧 - Google Patents

두부 보호용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690A
KR20200041690A KR1020180122099A KR20180122099A KR20200041690A KR 20200041690 A KR20200041690 A KR 20200041690A KR 1020180122099 A KR1020180122099 A KR 1020180122099A KR 20180122099 A KR20180122099 A KR 20180122099A KR 20200041690 A KR20200041690 A KR 2020004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head
incision
protec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도
Priority to KR102018012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690A/ko
Publication of KR2020004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4Adjusta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 보호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유연성 소재를 사용하여 경량성, 휴대성 또는 형상의 변형을 고려하면서도 레저 스포츠 또는 지진 등의 재난 발생시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두부 보호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부 보호용 헬멧은 유연성 소재로 구성되는 헬멧 본체; 사용자의 후두부 형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 밴드와; 상기 사용자의 두상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헬멧 본체에 결합되며 버클에 의하여 체결되는 턱끈;으로 구성되며, 상기 헬멧 본체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양단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양단에는 통기를 위한 통기홈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부 보호용 헬멧{Helmet for head guard}
본 발명은 두부 보호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유연성 소재를 사용하여 경량성, 휴대성 또는 형상의 변형을 고려하면서도 레저 스포츠 또는 지진 등의 재난 발생시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두부 보호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오토바이 탑승, 인라인 스케이트, 승마와 같은 레져 활동시에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헬멧은 기본적으로 지면이나 기타의 물체와 헬멧이 부딪치는 경우에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뿐만 충격으로 인한 헬멧의 손상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헬멧의 외곽에는 헬멧의 기본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이를 흡수하여 착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적절한 충격 흡수성을 갖도록 제조되는 헬멧 외부쉘이 위치하며, 그 아래에는 외부쉘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헬멧 내부쉘이 위치하여 헬멧쉘로 구성되며, 헬멧쉘 안쪽에는 착용자의 머리와 접촉시에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한 라이너 등이 부착된다.
이중 헬멧쉘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적절한 충격 흡수성을 가져야 하는 반면에, 지나치게 강성이 높으면 충돌시에 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인성 (toughness) 또한 가져야 한다. 이외에도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비중이 적어야 하는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헬멧쉘은 상기와 같은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수지에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과 같은 섬유를 혼합한 것으로서 가공이 용이하며, 높은 강도와 충격 흡수성을 가지면서도 비교적 얇게 제조할 수 있어 상술한 요구조건을 어느 정도 만족하는 재질이다.
그러나, 섬유강화플라스틱은 기본적으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에 비해 인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해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헬멧쉘이 깨어지는 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헬멧쉘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중량의 증가로 인한 착용감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헬멧 외부쉘을 제조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수지 구조(Resin Matrix)가 기본이 되고 물성의 보완을 위하여 각종 유기 및 무기 섬유 또는 부직포, 편성물 등이 수지 구조 속에 완전히 묻혀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의 기술 동향은 이러한 수지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수지 구조를 최소의 두께로 형성하고 어느 일면 혹은 양쪽 면에 섬유, 편성물, 발포재질 등 경량의 재질을 추가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기본적으로 헬멧쉘의 최외곽층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섬유강화플라스틱층을 필수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섬유강화플라스틱층과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다공성 혹은 고탄성 재료 혹은 섬유, 직물, 편성물, 부직포, 발포재, 섬유강화박막재료 등을 도입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층과 병행하여 적층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헬멧쉘은 중량이 어느정도 가벼워지지만 충분히 가벼위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434호의 "경량 헬멧셀"에서는 다공성 발포 플라스틱층으로 형성된 내부 쉘 및 외부 쉘을 포함하는 헬멧 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은 비중이 015 내지 07 g/cc 이며 충격 흡수성이 300G 미만인 압축섬유시트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통기설이 우수하면서도 경량이며 충격 흡수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공성 발포 플라스틱층으로 형성된 내부 쉘 및 압축섬유시트로 형성되는 외부 쉘로서 헬멧의 경량화를 일부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형상이 정형화되어 있는 외부 쉘을 사용함으로써 휴대성 또는 형상 변형성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유연성 소재만으로 두부 보호용 헬멧의 주요한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경량성, 휴대성 또는 형상의 변형을 고려하면서도 레저 스포츠 또는 지진 등의 재난 발생시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두부 보호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부 보호용 헬멧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펼쳐서 보관하거나, 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의 편의성을 제고하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부 보호용 헬멧을 레저 스포츠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두부에 착용하지 않은 경우 펼쳐서 야외 방석으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다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두부 보호용 헬멧에 있어서, 유연성 소재로 구성되는 헬멧 본체; 사용자의 후두부 형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 밴드와; 상기 사용자의 두상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헬멧 본체에 결합되며 버클에 의하여 체결되는 턱끈;으로 구성되며, 상기 헬멧 본체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양단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양단에는 통기를 위한 통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용 헬멧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부 보호용 헬멧은 유연성 소재만으로 두부 보호용 헬멧의 주요한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경량성, 휴대성 또는 형상의 변형을 고려하면서도 레저 스포츠 또는 지진 등의 재난 발생시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부 보호용 헬멧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펼쳐서 보관하거나, 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의 편의성을 제고하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부 보호용 헬멧을 레저 스포츠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두부에 착용하지 않은 경우 펼쳐서 야외 방석으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다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경량 헬멧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보호용 헬멧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보호용 헬멧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두부 보호용 헬멧의 전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부 보호용 헬멧은 유연성 소재로 구성되는 헬멧 본체(10), 사용자의 후두부 형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 밴드(20) 및 사용자의 두상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헬멧 본체(10)에 결합되며 버클(미도시)에 의하여 체결되는 턱끈(30)을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헬멧 본체(10)이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며, 이를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부(40) 및 절개부(40)의 길이방향 양단에 절개홈(41)이 형성되며, 절개부(40)의 양단에는 사용자의 두부에서 발생되는 땀 등을 배출하기 위한 통기홈(50)이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절개부(4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두부 보호용 헬멧을 착용하는 경우 두부의 상단부에서 주름 형태의 기능으로 유연한 변형 및 사용자의 두부 크기 변화에도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개홈(41)은 절개부만으로 두부 보호용 헬멧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개부에서 벌어짐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부(40)의 양단에 절개홈(41)을 구비한다.
여기서, 헬멧 본체(10)을 형성하는 유연성 소재는 EVA(Ethylene Vinyl Acetate)로서, 비교적 유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용자가 두부 보호를 위하여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야외용 방석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유연성 소재로서 가볍고 신축성이 있는 EVA를 사용함으로써 접어서 가방에 휴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기존의 헬멧의 경우 견고한(신축성이 부족한) 외부쉘을 채택함으로써 헬멧 형상의 변형이 거의 불가능하며 가방에 수납하는 경우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두부 보호를 위한 헬멧의 휴대가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신축성을 중심으로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헬멧이 가지고 있는 견고한 외부쉘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두부의 보호 성능은 다소 떨어질 수 있으나, 경량성, 휴대성 또는 형상의 변형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견고한 외부쉘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강점을 가질 수 있으며, 두부 보호용 헬멧이라는 기능과 야외용 방석이라는 다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헤드 밴드(20)는 벨크로 소재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제고하였다.
또한, 턱끈(30)에는 호각(미도시)을 부착함으로써 스프츠 레저의 이용 또는 지진과 같은 재난 발생이 음향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수의 절개부(40) 및 절개홈(41)은 헬멧 본체(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절개홈(41)은 후두부(12) 측에는 거의 직선으로 배치되며, 절개홈은 전면부(11)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절개되는 주 절개부(42) 및 주 절개부의 길이의 절반정도로 절개된 보조 절개부(42)로 형성된다.
또한, 절개부(40)의 양단에 형성되는 통기를 위한 통기홈(50)은 후두부(12)에서 전면부(11)로 복수개 배치되는 반타원형 형상을 가지며, 후두부에서 전면부로 갈수록 단축이 짧아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부 형상에 적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헬멧 본체부(10)의 전면부(11)의 경우 사용자가 두부 보호용 헬멧을 착용하는 경우 햇빛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보호용 헬멧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두부에 두부 보호용 헬멧을 착용하는 경우 절개부(40)이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부 형상에 적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헬멧 본체 11 : 전면부
12 : 후두부 20 : 헤드 밴드
21 : 헤드 밴드 삽입홈 30 : 턱끈
31 : 턱끈 삽입홈 40 : 절개부
41 : 절개홈 42 : 주 절개부
43 : 보조 절개부 50 : 통기홈

Claims (6)

  1. 두부 보호용 헬멧에 있어서,
    유연성 소재로 구성되는 헬멧 본체;
    사용자의 후두부 형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 밴드와;
    상기 사용자의 두상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헬멧 본체에 결합되며 버클에 의하여 체결되는 턱끈;으로 구성되며,
    상기 헬멧 본체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양단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양단에는 통기를 위한 통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용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소재는 EVA(Ethylene Vinyl Acet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용 헬멧.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밴드는 벨크로 고리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용 헬멧.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끈에는 호각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용 헬멧.
  5.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절개부 및 절개홈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은 후두부 측에는 거의 직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절개홈은 전면부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절개되는 주절개부 및 상기 주절개부의 길이의 절반정도로 절개된 보조절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용 헬멧.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통기를 위한 통기홈은 후두부에서 전면부로 복수개 배치되는 반타원형 형상을 가지며, 후두부에서 전면부로 갈수록 단축이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두부 보호용 헬멧.
KR1020180122099A 2018-10-12 2018-10-12 두부 보호용 헬멧 KR20200041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99A KR20200041690A (ko) 2018-10-12 2018-10-12 두부 보호용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99A KR20200041690A (ko) 2018-10-12 2018-10-12 두부 보호용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690A true KR20200041690A (ko) 2020-04-22

Family

ID=7047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099A KR20200041690A (ko) 2018-10-12 2018-10-12 두부 보호용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6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878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고도 접이식 헬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878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고도 접이식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797B2 (en) Football helmet having improved impact absorption
US6360376B1 (en) Protective hat
US20190216157A1 (en) Protective helmet
EP0638249B1 (en) Protective hat
US9578917B2 (en) Protective helmets
US8069498B2 (en) Protective arrangement
US6681408B2 (en) Impact resistant structure of safety helmet
US20140007324A1 (en) Soft helmet incorporating rigid panels
US9603408B2 (en) Football helmet having improved impact absorption
US6665884B1 (en) Helmet with self-adjusting padding
KR102142990B1 (ko) 가변형 헬멧
US20200163399A1 (en) Football helmet
CN111565805B (zh) 冲击保护系统
US11089826B2 (en) Sports shoulder pads with hybrid foam body pad
GB2202729A (en) Impact protection helmet
US6557186B1 (en) Lightweight protective ear guard
US5657492A (en) Protective head device
JP4172720B1 (ja) 乗車用および作業用ヘルメット
KR20200041690A (ko) 두부 보호용 헬멧
CN214407176U (zh) 一种减震透气的军警防弹头盔
CA2285487A1 (en) Flexbile helmet
US10376001B1 (en) Sports shoulder pads having epaulettes containing slow-response foam inserts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KR102510511B1 (ko) 접이식 헬멧
CN217446829U (zh) 一种安全头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