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060Y1 - 안전모자 - Google Patents

안전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060Y1
KR200477060Y1 KR2020140007836U KR20140007836U KR200477060Y1 KR 200477060 Y1 KR200477060 Y1 KR 200477060Y1 KR 2020140007836 U KR2020140007836 U KR 2020140007836U KR 20140007836 U KR20140007836 U KR 20140007836U KR 200477060 Y1 KR200477060 Y1 KR 200477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ember
skin
cap
pane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열
정만택
Original Assignee
정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열 filed Critical 정진열
Priority to KR2020140007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4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corrugated or ribbed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2/00Manufacturing helmets by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2C2/002In-mould 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으로 부터 머리를 보호함과 아울러 가벼우면서도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된 안전모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안전모자는 다수개의 판넬을 서로 봉제하여 머리 부분에 씌워지는 캡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되, 상기 판넬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가 포삽되게 서로 합포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모자{SAFETY CAP}
본 고안은 안전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으로 부터 머리를 보호함과 아울러 가벼우면서도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된 안전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안전모자는 인체의 머리로 충돌하는 물체로부터 불의의 안전사고를 사전 예방할 수 있도록 모자 자체의 재질을 경질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질 안전모자는 하드한 상태이므로 무겁고, 투박한 모양을 하고 있어 외관상 미려하지 않으며, 또한 부피가 커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현대인은 생활의 변화에 따른 야외 활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로부터 별도의 안전장치 없이 단순한 직물로 된 모자를 사용하며 이에 따른 안전사고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종래의 안전모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868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모자 착용부의 후부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되어 탈부착이 되도록 공기 주입구를 갖춘 에어백 구조로 형성된 것이며, 이는 사용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어백의 손상이 많아지고 그에 따른 안전성이 저하되며, 불의의 사고는 사용자의 머리 전체 어느 곳에 국한됨이 없으며, 또한 착용 전 에어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0522호에 개시되어 있는 모자의 외면과 내면에 자외선차단 필름을 접착하거나 자외선 차단코팅층을 형성하여 자외선 차단 층이 형성된 것이며 외부로부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모자 자체의 재질을 경질화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삽입하여 모자를 제조함으로써, 머리를 보호함과 아울러 가벼우면서도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한 안전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그 목적은 머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누구나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되고, 모자 내부에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생산성이 우수하여 원가 절감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한 안전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모자에 있어서, 다수개의 판넬을 서로 봉제하여 머리 부분에 씌워지는 캡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되, 상기 판넬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가 포삽되게 서로 합포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판형의 발포물로 구성되되, 상기 충격흡수부재에는 일정구간이 타공되어 공기가 소통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넬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포삽시킨 다음, 외피와 내피의 가장자리를 열성형에 의해 합포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넬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포삽시킨 다음, 외피와 내피의 가장자리를 봉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넬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포삽시킨 다음, 외피와 내피의 가장자리를 고주파 또는 접착제를 통해 부착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넬의 사이는 직물지로 구성된 연결부재를 통해 봉제방식으로 연결하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넬의 사이는 탄성직물지 또는 고무줄로 구성된 연결부재를 통해 봉제방식으로 연결하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부의 내부면에는 머리 둘레에 밀착되어 모자가 머리에 지지될 수 있도록 환형의 헤어밴드부가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삽입하여 모자를 제조함으로써, 머리를 보호함과 아울러 가벼우면서도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판넬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신장되게 구성되기 때문에, 캡부를 머리에 착용하면 머리 사이즈에 맞게 캡부가 신장되어 머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누구나 착용할 수 있고, 충격흡수부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모자 내부에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 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판넬을 봉제방법, 열성형방법 및 고주파 및 접착제 접착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여 원가 절감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에서 충격흡수부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에서 판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서 판넬을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는 모자에 있어서, 다수개의 판넬(110)을 서로 봉제하여 머리 부분에 씌워지는 캡부(100)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즉, 캡부(100)는 일명 크라운이라 불리우는 것으로, 모자를 머리에 고정하기 위해 착용자의 머리에 덮여 씌어지는 부분이다. 여기서, 캡부(100)의 전방으로는 챙부(200)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는 중간급의 안전을 요하는 장소에서 착용하여 충격으로 부터 머리를 보호함과 아울러 가벼우면서도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기 판넬(110)이 내피(111), 외피(112) 및 충격흡수부재(113)의 소프트한 부재로 이루어지면서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넬(110)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가 포삽되게 서로 합포시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판넬(110)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를 포삽시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게 구성되는 한편, 판넬(110)이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디자인적으로 다양한 모양을 연출하여 모자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피(111)는 착용시 이마 및 머리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착용감이 부드럽고 땀 흡수력이 양호한 면직물 또는 통풍성이 우수한 망사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외피(112)는 착용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직물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재(113)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판형의 발포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발포고무, 스폰지, 발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부재(113)에는 일정구간이 타공(113a)되어 공기가 소통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은 상기 충격흡수부재(113)의 타공(113a) 부분을 통해 외부 공기가 모자 내부로 유입되고 머리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어 통기성이 우수한 모자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110)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를 포삽시킨 다음, 내피(111)와 외피(112)의 가장자리를 열성형(A)에 의해 합포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판넬(110)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를 개재시킨 다음, 내피(111)와 외피(112)의 가장자리를 얇게 열성형시켜 내피(111)와 외피(112)의 가장자리가 서로 접착되게 함으로써,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가 포삽되면서 합포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110)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를 포삽시킨 다음, 내피(111)와 외피(112)의 가장자리를 봉제(B)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판넬(110)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를 개재시킨 다음, 내피(111)와 외피(112)의 가장자리를 서로 봉제(B)하여 내피(111)와 외피(112)의 가장자리가 서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가 포삽되면서 합포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110)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를 포삽시킨 다음, 내피(111)와 외피(112)의 가장자리를 고주파 또는 접착제(C)를 통해 부착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판넬(110)은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를 개재시킨 다음, 내피(111)와 외피(1112)의 가장자리를 고주파(B)를 조사하거나 접착제(B)를 도포하여 내피(111)와 외피(112)의 가장자리가 서로 부착되게 함으로써, 내피(111)와 외피 (112)사이에 충격흡수부재(113)가 포삽되면서 합포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판넬은 상술한 바와 같이 봉제방식, 열성형방식 및 고주파 또는 접착제 부착방식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여 원가절감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110) 사이에는 연결부재(120)를 개재하여, 각 판넬(110)이 연결부재(120)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판넬(110)의 사이는 직물지(121)로 구성된 연결부재(12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판넬(110) 사이에 직물지(121)를 개재한 다음, 판넬(110)의 단부와 직물지(121)의 단부를 서로 봉제(D)하여 결합시켜줌으로써, 상기 판넬(110)이 직물지(121)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판넬(110) 사이를 연결하는 직물지(121)를 통해 모자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머리에서 발생되는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어 통기성이 우수한 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직물지(121)를 통해 판넬을 연결하여 용이하게 캡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직물지(121)는 망사지 내부에 통기공이 형성된 직물지를 포삽하여 제조함으로써 통기성이 우수하게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판넬(110)의 사이는 탄성직물지 또는 고무줄(122)로 구성된 연결부재(12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판넬(110) 사이에 탄성직물지 또는 고무줄(122)을 개재한 다음, 판넬(110)의 단부와 탄성직물지 또는 고무줄(122)의 단부를 서로 봉제(D)하여 결합시켜줌으로써, 상기 판넬(110)이 탄성직물지 또는 고무줄(122)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캡부(100)를 머리에 착용하면, 판넬(11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직물지 또는 고무줄(122)이 신장되어 캡부의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누구나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탄성직물지 또는 고무줄(122)를 통해 판넬(110)을 연결하여 용이하게 캡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캡부(100)의 내부면에는 머리 둘레에 밀착되어 모자가 머리에 지지될 수 있도록 환형의 헤어밴드부(13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캡부(100)를 머리에 착용하면 상기 헤어밴드부(130)가 머리의 둘레를 가압하기 때문에 캡부(100)가 머리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캡부에는 미도시된 턱끈이 구성되어, 턱끈을 통해 모자가 머리에 고정되게 구성됨으로써, 모자가 머리에서 벗겨지는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는 외피, 내피 및 충격흡수부재의 소프트한 부재로 구성되는 판넬을 서로 연결하여 모자를 제조하기 때문에, 가볍고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는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의 안전, 골프장의 운동자 및 캐디들의 안전, 등산하는 사람들의 안전, 유아 및 아동들이 보행기나 자전거를 탈 때의 안전, 겨울철 빙판길을 보행할 때의 안전 및 기타 일정한 안전을 필요로 하는 곳의 안전에 유용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자는 상술한 사이클 모자(베레모) 형태 뿐만 아니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야구모자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절모 형태 등 공지된 머리에 착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모자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캡부 110: 판넬
111: 내피 112: 외피
113: 충격흡수부재 120: 연결부재
130: 헤어밴드부 200: 챙부

Claims (8)

  1. 모자에 있어서,
    다수개의 판넬을 서로 봉제하여 머리 부분에 씌워지는 캡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되, 상기 판넬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가 포삽되게 서로 합포시켜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판형의 발포물로 구성되되, 상기 충격흡수부재에는 일정구간이 타공되어 공기가 소통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판넬의 사이는 탄성직물지 또는 고무줄로 구성된 연결부재를 통해 봉제방식으로 연결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포삽시킨 다음, 외피와 내피의 가장자리를 열성형에 의해 합포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포삽시킨 다음, 외피와 내피의 가장자리를 봉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포삽시킨 다음, 외피와 내피의 가장자리를 고주파 또는 접착제를 통해 부착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자.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내부면에는 머리 둘레에 밀착되어 모자가 머리에 지지될 수 있도록 환형의 헤어밴드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자.
KR2020140007836U 2014-10-28 2014-10-28 안전모자 KR200477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36U KR200477060Y1 (ko) 2014-10-28 2014-10-28 안전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36U KR200477060Y1 (ko) 2014-10-28 2014-10-28 안전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060Y1 true KR200477060Y1 (ko) 2015-05-04

Family

ID=5343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36U KR200477060Y1 (ko) 2014-10-28 2014-10-28 안전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767A (ko) *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휴먼텍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신체 보호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80691A (ko) 2021-11-30 2023-06-07 최희원 보호대 부착 안전 헬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41Y1 (ko) * 2001-07-27 2001-11-22 프로캡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땀 흡수 모자
KR200272650Y1 (ko) * 2002-01-11 2002-04-20 주식회사 다다실업 이중 구조의 챙을 가진 모자
KR200326155Y1 (ko) * 2003-06-03 2003-09-06 이주원 머리 보호용 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41Y1 (ko) * 2001-07-27 2001-11-22 프로캡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땀 흡수 모자
KR200272650Y1 (ko) * 2002-01-11 2002-04-20 주식회사 다다실업 이중 구조의 챙을 가진 모자
KR200326155Y1 (ko) * 2003-06-03 2003-09-06 이주원 머리 보호용 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767A (ko) *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휴먼텍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신체 보호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2015B1 (ko) * 2020-07-16 2022-12-27 주식회사 휴먼텍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신체 보호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80691A (ko) 2021-11-30 2023-06-07 최희원 보호대 부착 안전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131B1 (ko) 이중구조 크라운을 가진 모자
US20060123526A1 (en) Inner layer of cover for bulletproof helmet
KR200477060Y1 (ko) 안전모자
US20090260131A1 (en) Headwear with panels coupled by adhesion and sewing
JP2009120983A (ja) 乗車用および作業用ヘルメット
KR20140086070A (ko) 쿨 헬멧
KR200440784Y1 (ko) 공간부가 형성된 양면모자
JP5994732B2 (ja) 帽子用保護具及び帽子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KR200430641Y1 (ko) 안전모
KR200441032Y1 (ko) 충격을 방지해주는 챙
KR100753489B1 (ko) 통풍모자
JP2001336020A (ja) インナキャップ付ヘルメット
KR200468171Y1 (ko) 땀흡수부재 탈부착 모자
KR101102367B1 (ko) 사이즈조절부가 형성된 모자
KR20240000491U (ko) 원단 안전 모자
JP2006124896A (ja) 帽子及びヘルメット
KR200326155Y1 (ko) 머리 보호용 모자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CN217791611U (zh) 可变形帽子
KR200474537Y1 (ko) 착용감이 우수한 밀리터리 모자
CN213720204U (zh) 一种原生态木质帽
KR20130002206U (ko) 통풍효과를 높인 모자
KR200451809Y1 (ko) 차양모자
CN207136345U (zh) 一种儿童综合应急安全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