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951B1 - 모자 - Google Patents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951B1
KR101803951B1 KR1020160011385A KR20160011385A KR101803951B1 KR 101803951 B1 KR101803951 B1 KR 101803951B1 KR 1020160011385 A KR1020160011385 A KR 1020160011385A KR 20160011385 A KR20160011385 A KR 20160011385A KR 101803951 B1 KR101803951 B1 KR 10180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ze
cap
strap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426A (ko
Inventor
이승우
강한옥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몬티스세이프티월드와이드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몬티스세이프티월드와이드그룹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몬티스세이프티월드와이드그룹
Priority to US15/343,74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119081A1/en
Publication of KR2017005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8Soft caps; Hoods with protection against blow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5Soft caps; Hoods fastened under the chin, e.g. bonnets
    • A42B1/062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고, 사이즈 조절을 간단하고 미세하게 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제공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하는 모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자{HEADGEAR}
본 발명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고, 모자의 착용 사이즈를 간단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캡부와, 이 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얼굴부분으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의 직접적인 유입을 차단하는 챙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캡부의 하단부에는 캡의 둘레 면을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사이즈 조절부가 부착된다.
이러한 모자는 대부분의 경우 직물 등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장식적인 미감을 표현하는 하나의 소품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자는 캡부가 직물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 부분을 완전하게 보호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골프 또는 야구 등과 같은 운동을 하거나 경기를 관람할 때 골프공이나 야구공과 같은 단단한 물체가 날아와 머리에 충격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격을 모자가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물체들로 인하여 머리에 충격을 받으면 뇌 손상 등과 같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모자는 사이즈 조절부를 이용하여 사이즈를 조절할 때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거나, 아니면 조절부를 완전히 풀어 크기를 조절한 다음 조절부를 다시 고정해야하므로 사이즈 조절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42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자의 착용 사이즈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게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자의 내부 둘레면 전체를 오므리거나 벌려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제공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 을 포함하는 모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제공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 상기 본체부를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조절하는 사이즈 조절부를 포함하는 모자를 제공한다.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본체부의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땀을 흡수하는 밴드부가 제공되고,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본체부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하드캡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드캡은 플라스틱, FRP, 카본, 비철금속(경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드캡은 그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통풍구가 형성되고, 하드캡의 내측 면에는 완충부재가 더욱 제공된다.
상기 사이즈 조절부는 본체부의 하단부 둘레면을 따라서 설치되는 조절끈과, 상기 조절끈의 양쪽 끝단부에 연결되어 조절끈을 감거나 풀어주어 조절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본체부의 하단부 둘레면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절 다이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 양측 면에는 연결고리가 연결되고, 이 연결고리에는 턱끈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자는 본체부의 내부에 하드캡 형태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수단이 제공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흡수하여 모자 착용자의 머리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충격흡수수단은 본체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내장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충격흡수수단을 분리하여 사용하고 야구나 골프 등을 할 때에는 충격흡수수단을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목적으로 모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하단부 둘레의 사이즈를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조절하는 사이즈 조절부가 제공되어 모자의 크기를 간단하면서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사이즈 조절을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조절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됨으로 사이즈 조절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때 밴드부 전체 둘레면을 내측으로 오므리거나 외측으로 벌려 모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사이즈가 조절되어 모자를 착용했을 때 밴드부가 머리 전체 둘레면에 밀착되어 착용감을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내부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사이즈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에 턱끈이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2)에 연결되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챙부(4)와, 상기 본체부 (2)내부에 제공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 및 챙부(4)는 야구모자로 불리는 통상적인 모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실시 예에서는 본체부(2)에 챙부(4)가 제공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지만 챙부(4)가 없는 모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체부(2)는 직물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하부면이 개방부로 이루어진 대략적인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챙부(4)는 직물 또는 얇은 합성수지판 외측을 직물이 감싼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본체부(2)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하드캡(6)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드캡(6)은 하부면이 개방부로 형성된 대략적인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드캡(6)은 플라스틱,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유리섬유), 카본, 비철금속(경금속)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범위 내에서 얇은 두께를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모자 착용성을 좋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드캡(6)에는 그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통풍구(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드캡(6)의 내측 면에는 모자 착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충격을 더욱 약화시키는 완충부재(12)가 더욱 제공된다.
완충부재(12)는 직물 또는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드캡(6)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하드캡(6)은 본체부(2)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하드캡(6)을 본체부(2) 내부에 끼운 상태로 모자를 착용하거나 또는 하드캡(6)을 본체부(2)에서 빼낸 상태로 모자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의 내측면 하단부를 따라서 땀을 흡수하는 밴드부(14)가 제공되는데, 이 밴드부(14)를 이용하여 하드캡(6)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 지지할 수도 있다.
즉, 밴드부(14)는 하단부가 본체부(2)의 내측면 하단을 따라서 재봉으로 고정되고 상단부는 자유단부로 이루어지므로, 하드캡(6)을 본체부(2) 내부에 끼우고 하드캡(6)의 하단부 둘레를 밴드부(14) 내측면에 끼우면, 하드캡(6)은 본체부(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지지된 상태로 그 하단부는 밴드부(14)에 고정 지지되어 하드캡(6)을 본체부(2)에 더 튼튼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드캡(6)으로 인하여 야외 활동 시 또는 골프나 야구를 할 경우, 또는 골프나 야구 등과 같은 경기를 관람할 때 공이 머리 쪽으로 날아와 충격을 가하여도 하드캡(5)이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모자 착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자는 롤러블레이드나 스케이트보드 등을 탈 경우에도 착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하드캡(6)으로 인하여 모자 착용 자가 넘어져 머리 쪽에 충격이 가해져도 하드캡(6)이 그 충격을 흡수하여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자는 야외 활동을 하거나, 또는 골프나 야구경기 및 관람을 하거나, 또는 롤러블레이드나 스케이트보드 등을 탈 때에는 하드캡(6)을 본체부(2)에 끼운 상태로 모자를 착용하고, 그 이외에는 하드캡(6)을 본체부(2)에서 분리하여 일반적인 형태의 야구모자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자에는 본체부(2)를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조절하는 사이즈 조절부(16)가 더 제공된다.
사이즈 조절부(16)는 본체부(2)의 하단부 내측 둘레면 또는 밴드부(14)룰 따라서 설치되는 조절끈(18)과, 이 조절끈(18)의 양쪽 끝단부에 연결되어 조절끈(18)이 감기거나 감겨있던 조절끈(18)이 풀리면서 조절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본체부(2)의 하단부 둘레의 크기 또는 밴드부(14)의 둘레 크기를 조절하여 모자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절 다이얼(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사이즈 조절부(16)의 구조 및 조절 다이얼(20)의 작동과, 이로 인한 조절끈(18)의 조절 등은 등산화 등에 제공된 신발끈 조임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03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7681호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사이즈 조절부(16)를 구성하는 조절끈(18)은 본체부(2)의 하단부 내측 둘레면 또는 밴드부(14)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조절끈(18)은 도 2, 도 4, 도 5에서와 같이 밴드부(14)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조절 다이얼(20)은 중앙부가 힌지핀(22)으로 힌지 고정되어 제자리에서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절 다이얼(2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내부의 권취드럼(미도시)에 조절끈(18)이 감기면서 조절끈(18)이 오므려져 둘레 사이즈가 작아지면서 도 5에서와 같이 밴드부(14)를 내측으로 오므려 밴드부(14)의 둘레 사이즈도 작아진다.
이 상태에서 모자의 착용사이즈를 늘리려면, 먼저 조절 다이얼(20)을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힌지핀(22)에 지지된 상태로 조절 다이얼(20)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권취드럼의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조절끈(18)을 당기면 권취드럼에 감긴 조절끈(18)이 풀리고, 이 상태에서 밴드부(14)를 본체부(2) 쪽으로 누르면 밴드부(14)의 둘레 사이즈도 늘어난다.
이러한 사이즈 조절부(16)를 통하여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조절다이얼(20)을 조절하여 밴드부(14)의 둘레 사이즈를 작거나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자의 사이즈 조절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고, 또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모자 사이즈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 모자 착용자의 머리둘레 크기에 따라서 그에 맞도록 미세하게 조절하여 모자 착용감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자에 턱끈(24)이 연결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체부(2)의 하단부 양측 면에는 연결고리(26)가 각각 연결되고, 이 연결고리(26)에는 턱끈(24)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턱끈(24)은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선단부에는 연결고리(26)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또 다른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본체부(2)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본체부(2)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 턱끈(24)은 서로 분리 결합되는 버클(28)이 제공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턱끈(24)은 예를 들어 자전거용 헬멧에 제공된 턱끈과 같이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턱끈(24)이 제공된 모자는 예를 들어 운동 또는 승마 또는 롤러블레이드나 스케이트보드 등을 탈 때 착용할 수 있다. 이때 턱끈(24)으로 인하여 모자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이외에는 턱끈(24)을 본체부(2)의 연결고리(26)에서 분리하여 턱끈이 없는 형태의 모자로 착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자는 본체부(2) 내부에 하드캡(6)을 내장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이때 모자 사이즈가 맞지 않으면 사이즈 조절부(16)를 이용하여 본체부(2) 또는 밴드부(14)의 사이즈를 조절하고 착용하면 된다.
이렇게 본체부(2) 내부에 하드캡(6)이 내장된 상태로 모자를 착용하고 야외 활동을 하거나 또는 골프나 야구를 하거나 또는 롤러블레이드나 스케이트보드 등을 타거나 또는 골프경기나 야구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이때 공이 머리 쪽으로 날아와 충격을 가하거나 또는 모자 착용자가 넘어져 머리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에너지는 먼저 1차적으로 본체부(2)에서 흡수하고, 2차적으로 본체부(2) 내부에 위치한 하드캡(6)에서 충격 대부분을 흡수한 다음, 3차적으로 완충부재(12)에서 잔여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에너지를 소멸시키거나 최소화시켜 착용자의 머리를 충격에너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승마 또는 롤러블레이드나 스케이트보드 등을 탈 경우에는 본체부(2)의 하단부 양측면에 형성된 연결고리(26)에 턱끈(24)을 연결한 다음, 모자를 착용하고 턱끈(24)의 버클(28)을 서로 체결하여 턱끈(24)을 착용자의 턱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로 착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턱끈(24)을 연결하고 모자를 착용하면 승마를 할 때, 또는 롤러블레이드나 스케이트보드 등을 탈 때 모자가 벗겨지지 않으며, 낙마하거나 넘어져도 모자 착용자의 머리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야외 활동을 하거나 또는 골프나 야구를 하거나 또는 골프경기나 야구경기를 관람할 때에는 턱끈(24)을 분리한 상태로 모자를 착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부(2) 내부에서 하드캡(6)을 분리하고 통상적인 모자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모자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머리에 모자 사이즈가 맞지 않으면 사이즈 조절부(16)를 이용하여 본체부(2) 또는 밴드부(14)의 사이즈를 조절하고 착용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본체부 4: 챙부
6: 하드캡 8: 통풍구
10: 절개홈 12: 완충부재
14: 밴드부 16: 사이즈 조절부
18: 조절끈 20: 조절 다이얼
22: 힌지핀 24: 턱끈
26: 연결고리 28: 버클

Claims (12)

  1. 삭제
  2. 직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 하단부를 따라서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는 자유단부로 이루어진 밴드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제공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 및
    상기 본체부를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조절하는 사이즈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형상을 따르면서 박막의 두께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밴드부의 내측과 본체부 사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하드캡과, 상기 하드캡 내측면 중앙부에 부착되어 하드캡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방사형의 형태로 형성된 완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즈 조절부는 상기 밴드부의 자유단부 상부 쪽 내부를 따라서 삽입되고 그 양쪽 끝단부는 본체부 외부로 노출되는 한 줄로 이루어진 스트링 형태의 조절끈과,
    상기 본체부 외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조절끈의 양쪽 끝단부가 고정되어 조절끈을 감거나 풀어주어 조절끈의 둘레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다이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다이얼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권취드럼에 조절끈이 감겨 조절끈의 둘레 사이즈가 작아지면서 밴드부의 자유단부 둘레면을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오므려 밴드부의 둘레 사이즈를 축소시키고,
    상기 조절다이얼을 조작하여 상기 권취드럼의 구속된 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를 본체부 쪽으로 누르면 조절끈의 둘레 사이즈가 늘어나면서 밴드부의 자유단부 둘레 사이즈가 커지도록 구성된 모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드캡은 플라스틱, FRP, 카본, 비철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드캡은 그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통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직물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9. 삭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챙부가 더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턱끈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턱끈은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KR1020160011385A 2015-11-04 2016-01-29 모자 KR101803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43,743 US20170119081A1 (en) 2015-11-04 2016-11-04 Headg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660 2015-11-04
KR20150154660 2015-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426A KR20170052426A (ko) 2017-05-12
KR101803951B1 true KR101803951B1 (ko) 2017-12-01

Family

ID=5874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385A KR101803951B1 (ko) 2015-11-04 2016-01-29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9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63Y1 (ko) * 2013-04-10 2014-10-31 강명훈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63Y1 (ko) * 2013-04-10 2014-10-31 강명훈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426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35300A1 (en) Protective ball cap
US5790988A (en) Protective headgear
US8205272B2 (en) Protective head guard
US8631518B1 (en) Shock absorbing, stretchable fabric, head cap for receipt under a head protection helmet
RU2718524C1 (ru) Облегающий защитный шлем со встроенной системой крепления и съемным щитком для глаз
EP0638249A2 (en) Protective hat
US20110047680A1 (en) Batting Helmet Having Localized Impact Protection
US20140007324A1 (en) Soft helmet incorporating rigid panels
EP2775876B1 (en) A protective insert for an item of headwear
US20080022438A1 (en) Headwear with Interwoven Gripping Fibers
US20150013050A1 (en) Protective ball cap
US20130219593A1 (en) Hat with protective band
US20190216155A1 (en) Protective soft helmet
US3230544A (en) Headgear having a neck protecting flap
US20170119081A1 (en) Headgear
US20050044611A1 (en) Apparatus for enhancing absorption and dissipation of impact forces for sweatbands used in connection with helmets
US20100186151A1 (en) Hockey-Coaching Helmet Systems
US5974593A (en) Batting helmet with circumferential elastic head band
EP2181735B1 (en) Headguard with temple protecting scallop that does not cover the ears
US11590028B2 (en) Selectively attachable visors for field masks
US10531698B2 (en) Soft athletic helmet and rear closure mechanism
US20190387827A1 (en) Shade Hat for Helmets
KR101803951B1 (ko) 모자
CN213128263U (zh) 一种带护目镜的安全帽
NZ517015A (en) A convertible h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