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792B1 -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792B1
KR100298792B1 KR1019980007001A KR19980007001A KR100298792B1 KR 100298792 B1 KR100298792 B1 KR 100298792B1 KR 1019980007001 A KR1019980007001 A KR 1019980007001A KR 19980007001 A KR19980007001 A KR 19980007001A KR 100298792 B1 KR100298792 B1 KR 100298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recording medium
detected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327A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792B1/ko
Priority to US09/258,421 priority patent/US6069864A/en
Publication of KR1999007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시에 상기 기록매체로 부터 검출되는 워블신호에 의하여, 검출되는 재생신호가 왜형되어 데이타 복원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타의 기록시에 해당 기록면에서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재생시 영향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기록데이타에 따른 신호를 미리 변조기록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는, 기록을 위해 구동회전하는 광 디스크로 부터 검출입력되는 신호(워블 신호, 또는 워블신호+고주파신호)로 부터 워블신호를 검출하는 대역통과 필터(200); 입력되는 채널비트 스트림을 상기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에 따라 변조시켜 광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기록신호 변조부(300); 및 상기 광 구동신호에 의해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에 입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원래의 기록 데이타 복원시에,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재생에러 확률을 저감(低減)시켜 에러복원 또는 재독출시간을 제거하여, 보다 신뢰성있는 데이타 복원과 재독출없는 빠른 데이타의 접근이 가능하게 하며, 재생시 워블신호가 혼입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 디스크 매체 드라이버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기록된 광 기록매체의 판독시에 정상적인 고주파(RF) 신호만이 독출되므로, 이러한 디스크 매체 드라이버에도 매체의 호환성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본 발명은, 데이타 기록시에 광기록매체로 부터 검출되는 저주파의 워블(wobble)신호에 따라 기록신호가 변조기록되도록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시에 상기 기록매체로 부터 검출되는 워블신호에 의하여, 검출되는 재생신호가 왜형되어 데이타 복원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타의 기록시에 해당 기록면에서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재생시의 영향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기록데이타에 따른 신호를 미리 변조기록함으로써, 재생시 깨끗한 데이타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는 CD가 보급되면서 일반화되었으며,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규격이 나오면서 더욱 기대가 되고 있다. 광 디스크에는 재생 전용의 CD-ROM, DVD-ROM 등 외에, 1회 기록 가능한 CD-R, DVD-R이 있으며, 재기록 가능한 CD-RW, DVD-RAM과 같은 디스크의 규격이 제안되고 있다.
현재 제안되고 또한 일정용량의 크기로 시제품이 발표되고 있는 DVD-RAM은, 도1에 도시된 일부 트랙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데이타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A)과 광 디스크상에서의 위치정보 및 이 후의 기록면(볼록면(Land)/오목면(Groove))을 구별하기 위한 헤더영역(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볼록면(이하, 랜드(Land)라고 함)과 오목면(이하, 그루브(Groove)라고 함)을 갖는 데이터영역의 랜드/그루브의 경계벽(C)이 구불구불한 형태로 형성되어지고, 일정 각속도로 회전되는 광 디스크상에서, 상기 경계벽(C)의 형상이 입사후 반사광에 의해 일정 주기를 갖는 저주파 신호로서, 기록면에 기록된 고주파의 데이터신호와 함께 검출되어 데이터검출을 위한 채널 클럭 등으로 이용되게 된다.
도1과 같은 광 디스크의 기록면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종래의 데이타 기록장치는 도2a와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도2a의 구성을 살펴보면, 기록할 데이타에 따라 엔코딩되어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기록신호 형태(3T∼11T)를 판단하는 비트 카운터(100); 상기 판단된 기록신호 형태를 기록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기록펄스 발생기(110); 상기 생성되는 펄스신호를 광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광 구동기(120); 및 상기 구동신호에 따른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90)를 포함하고 있다.
도2b는, 도2a의 데이타 기록장치가 엔코딩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과정에 따른 파형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2b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도2a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기록될 데이타가 도2b의 ㉠과 같은 엔코딩된 채널비트 스트림으로 변환되어 입력되게 되는데, 이 채널비트 스트림은, 광 디스크에의 신호 기록시에 일정 프레임단위로 결정질 변화구간(또는 비결정화되어 반사량이 적어지는 구간)의 형성비율이 50%가 되도록 엔코딩되게 되며, 이와 같이 엔코딩된 비트 스트림이 상기 비트 카운터(100)로 입력되면, 상기 비트 카운터(100)는 이에 따른 신호기록형태의 파형을 도2b의 ㉡과 같이 출력하게 되고, 이 소정 주기(3T∼11T)를 갖는 펄스는 상기 기록펄스 발생기(110)에 의해 도2b의 ㉢과 같이, 기록 광 생성에 적합한 펄스열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상기 광 구동기(120)는 상기 변환되는 펄스열에 따른 구동전류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90)에 공급함으로써, 이에 따른 레이저 빔이 광 디스크에 입사되어 결정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입력된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신호가 기록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정형태변화에 의해 기록된 신호는 검출시에 반사광량으로 검출되어 전기적 고주파(RF)신호로 출력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기록신호 검출시에 고주파 신호로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시의 결정질(結晶質) 변화구간에 해당하는 펄스로서 복원하기 위한 재생장치의 일부분은, 도3에서와 같이, 광픽업에 의해 검출되어 입력되는 고주파신호(RF)를 크기에 따라 증폭하여 일정레벨 이상의 고주파신호로서 등화시키는 등화기(equalizer)(10); 상기 등화출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슬라이스 레벨과 비교하여 펄스신호로 변환출력하는 비교기(20); 및 상기 비교기(20)에 의한 펄스신호를 적분함으로써 펄스신호의 평균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슬라이스 레벨로서 출력하는 적분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과 같이 구성된 기록신호의 펄스 복원장치에서는, 기록된 신호의 구간크기(3T~11T)에 따라 레벨에 차이가 나는 도4의 ①과 같은 고주파 신호가 광 디스크로부터 검출되어 상기 등화기(10)에 인가되면, 상기 등화기(10)는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라 증폭율을 달리함으로써 어느 정도 레벨이 등화되도록 조절하여 도4의 ②와 같이 진폭조절된 고주파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진폭이 어느정도 등화된 고주파신호는, 상기 비교기(20)에 기준신호로서 인가되어 있는 슬라이스 레벨(도4의 ③)과 비교되어, 도4의 ④와 같이 그 상하의 펄스신호로서 변환출력되어, 기록신호에 의해 결정질 변화된 구간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펄스신호로 출력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적분기(30)는 상기 비교기(2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평균레벨, 즉 DC레벨을 구하게 되고, 이와 같이 구해진 신호는 상기 비교기(20)의 기준신호인 슬라이스 레벨로 출력되게 되는 데, 신호의 기록시에, 기록광량, 회전속도 또는 주위의 온도 등에 의해 비결정(amorphous) 변화된 구간이 50%이상 또는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또는 재생시에 신호 검출을 위한 입사광량이 달라진 경우에는, 검출되는 반사광량이 정상적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지거나 또는 높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적분기(30)에 의해 검출되는 DC레벨은 0이하로 하강하거나 또는 0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적분기(30)의 출력레벨, 즉 슬라이스 레벨이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되면, 상기 비교기(20)에서 출력되는 양(+)의 펄스구간은 그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됨으로써, 기록신호의 신호구간(3T~11T)을 복원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현재 재생되고 있는 광 디스크의 기록신호 또는 반사광량에 적합한 슬라이스 레벨로 조절되어 안정된 상태에서 펄스복원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광 디스크상의 기록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에서, ㈀에 기록된 데이터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신호 뿐만 아니라, 랜드와 그루브의 기록면간에 구부러진 형태로 의한 저주파의 워블신호가 ㈁과 같이 저주파의 신호로서 함께 검출되기 때문에, 실제 광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신호는 도4의 ①과 같이 DC레벨이 일정프레임 단위로 0이되는 일정한 신호가 아니고, 도5의 ㈂과 같이 기록신호와 워블신호가 상호 합성되어, 워블신호를 포락선(envelope)으로 하여 저주파 진동하는 RF신호가 된다.(도5의 파형은 기록신호가 워블신호를 포락선으로 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형태를 강조하기 위하여 기록신호를 동일 펄스폭으로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도1의 경우와 달리 워블이 동위상이 아닌 다른 형태(예를 들면, 양측의 워블이 서로 역위상인 경우)에서는 더욱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주파의 워블신호가 재생신호에 합성되어 검출출력되면, 이 후의 기록신호 복원을 위한, 전술한 펄스변환 과정에서 원래의 기록신호와 이로부터 검출된 해당 신호간에 구간(3T~11T)의 폭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신호의 판독오류가 발생할 수가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저주파에 의한 구간의 폭변화, 즉 폭오차(폭의 증가 및 감소량)는 저주파의 한 주기로 하여 상호 상쇄되므로 상기 적분기(30)에 의해서는 검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저주파의 워블신호에 의한 변환 펄스의 폭오차는 보상되지 않게 된다.
도6은 이러한 검출신호에 의한 펄스 복원오차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서, 검출되는 고주파 신호를 펄스로 변환하는 슬라이스(slice) 레벨에 의해, 원래의 기록시의 신호(도6의 (b))의 폭 및 상태 전환시점과, 재생시 워블신호가 혼입된 신호로 부터 변환되는 펄스신호(도6의 (c))의 폭(HIGH와 LOW) 및 상태 전환시점에, 각각 폭간 오차( ▵x ) 및 전환시점 오차(t1,t1')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펄스폭 및 상태전환 시점의 오차는, 이후의 채널 비트 스트림의 변환과정에서 노이즈성분으로 작용함으로써 원래의 기록신호로 재생하지 못하는 복원오차를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광 기록매체상의 데이타 기록신호의 재생시, 검출 또는 혼입되는 저주파신호에 의한 왜곡없이 기록데이타가 재생복원되도록, 기록시, 상기 저주파신호의 영향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기록되는 데이타 신호를 미리 변조기록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기록가능 광 디스크 기록매체에서 헤더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트랙의 평면과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2a는 도1과 같은 광 디스크의 기록면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종래의 데이타 기록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2b는 도2a의 데이타 기록장치가 엔코딩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과정에 따른 파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종래의 기록신호의 펄스 복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3의 펄스 복원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기록신호가 펄스로 변환되는 과정에서의 주요부분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고,
도5는 기록된 데이터에 의한 고주파신호와 워블신호, 그리고 검출되는 합성신호의 파형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고,
도6는 워블신호가 혼합된 검출신호에 의한 펄스 복원오차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8a 및 8b는 도7의 기록신호 변조부가 상이하게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10은 도9의 장치가 워블신호에 따라 펄스 폭을 조절하는 과정을 특정 기록 데이타에 대해 각 부분 파형으로서 나타낸 것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세구성도이고,
도12는 도11의 장치가 워블신호에 따라 출력구동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특정 기록 데이타 형태에 대해 각 부분의 파형으로서 나타낸 것이고,
도13은 워블신호에 따라 단일 펄스에 대한 출력구동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특정 기록 데이타 형태에 대해 각 부분의 파형으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CS : 정전류원 G : 그루브(Groove)
L : 랜드(Land) VCS : 가변 전류원
10 : 등화기(equalizer) 20 : 비교기
30 : 적분기 90 : 레이저 다이오드(LD)
100 : 비트 카운터(bit counter) 110 : 기록펄스 발생기
120 : 광 구동기 200 : 대역통과 필터(BPF)
300 : 기록신호 변조부 301 : 펄스 폭 조절기
302 : 가변 광 구동기 310 : 신호 변화부
320 : 광 구동부 330 : 제어부
340 : 기록신호 생성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은, 재생되는 신호에 포함 또는 혼입되는 저주파의 주기신호를 데이타 기록시에 검출하여, 재생시 발생하게 될 재생신호의 왜형을, 주사되는 기록빔의 시간조절에 의해 사전보상하여 기록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은, 재생되는 신호에 포함 또는 혼입되는 저주파의 주기신호를 데이타 기록시에 검출하여, 재생시 발생하게 될 재생신호의 왜형을, 주사되는 기록빔의 광량조절에 의해 사전보상하여 기록하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기록을 위해 구동회전하는 광 디스크로 부터 검출입력되는 신호(워블 신호, 또는 워블신호+고주파신호)로 부터 워블신호를 검출하는 대역통과 필터(200); 입력되는 채널비트 스트림을 상기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에 따라 변조시켜 광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기록신호 변조부(300); 및 상기 광 구동신호에 의해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에 입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8a와 도8b는 상기 기록신호 변조부(300)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8a는 상기 입력스트림에 상응하는 기록신호의 생성 후 상기 검출되는 워블신호에 따라 이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신호 변화부(310)와 상기 생성변화된 신호에 따른 광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광 구동부(320)로써 구성된 것이고, 도8b는 상기 입력스트림에 상응하는 기록신호형태를 변환생성하는 기록신호 생성부(340)와 상기 기록신호 생성부(340)의 형태 변환량을 상기 검출되는 워블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제어부(330)로써 구성된 것이다.
도8a의 실시예에 의한 기록장치에서는, 상기 신호 변화부(310)가 상기 입력스트림에 상응하는 기록신호를 생성한 뒤, 상기 대역통과 필터(200)로 부터 검출입력되는 저주파의 워블신호의 레벨값에 따라, 생성된 기록신호의 세기 또는 그 폭을 변화시켜 상기 광 구동부(320)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광 구동부(320)는 인가되는 신호에 비례하는 전류를 출력하여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90)로 부터 레이저 빔이 광 디스크에 입사되게 함으로써, 상기 저주파의 워블신호의 재생시 영향을 반영하여 데이타를 기록하게 된다.
도8b의 실시예에 의한 기록장치에서는, 상기 기록신호 생성부(340)가 상기 입력스트림에 상응하는 기록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어부(330)가 상기 대역통과 필터(200)로 부터 출력되는 워블신호의 레벨값에 따라 출력하는 기록신호의 변화제어량에 의해, 생성되는 기록신호에 상응하는 구동전류 인가구간의 폭 또는 광 구동전류의 크기를 가변시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90)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저주파의 워블신호의 재생시 영향을 반영하여 데이타를 기록하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2a의 종래의 데이타 기록장치의 구성외에, 구동회전하는 광 디스크로 부터 검출입력되는 신호로 부터 저주파의 워블신호를 검출하는 대역통과 필터(200)와, 상기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에 따라 기록펄스 발생기(110)에서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전체 폭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펄스 폭 조절기(30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도10은 워블신호에 따른 펄스 폭 조절의 과정을, 특정 기록 데이타(6T에 해당)에 대해 각 부분의 파형으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10의 파형도를 참고하여 도9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입력되는 엔코딩된 비트 스트림은 비트 카운터(100)와 기록 펄스 발생기(110)를 통해 종래에서와 같이 도10 ㉢의 기록 광 생성에 적합한 펄스열로 변환되어 상기 펄스 폭 조절기(301)로 인가되게 되며, 상기 펄스 폭 조절기(30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200)에 의해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값에 근거하여 변환된 펄스 열의 폭(도10의 예에서는 6T의 신호를 예를 들고 있다.)을 변조시키게 된다.
도10의 ㉢과 같은 펄스 열이 그대로 광 구동기(120)로 인가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에 의해 기록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시에 함께 검출되는 워블신호가 재생신호를 왜형시키게 되므로, 상기 펄스 폭 조절기(301)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200)에 의해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재생시 영향을 상쇄시키기 위해, 상기 변환된 펄스열의 폭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게 된다. 해당 기록지점에서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이 0인 경우에는, 재생시 데이타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변환된 펄스열의 폭을 변화시키지 않아야 하므로,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이 음(-)인 경우를 고려하여(이 때에도 펄스열의 시작은 기록신호 형태(3T∼11T)의 시작점보다 선행될 수 없다.) 펄스열의 종단점을 t1에서 t2로 지연출력(Td시간)시키는 상태에서, 펄스열의 시작점 또한 Td시간 만큼 지연출력시켜 전체적인 폭(6T)의 변화가 없는 펄스열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변화없는 펄스열이 출력되면, 펄스구간에 따라 상기 광 구동기(120)내의 트랜지스터(Q)가 온/오프되고, 온 시에는 정전류원(CCS)의 전류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를 구동함으로써, 레이저 빔을 출사시켜 기록신호 형태(6T)가 변화없이 광 디스크에 기록되게 된다.
그런데, 현재 기록지점에서 검출되는 워블신호(도10의 ㉣)가 0이 아닌 양(+) 또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 고주파신호는 이에 따라 슬라이서 레벨기준으로 폭이 넓어지거나(워블신호가 양(+)인 경우), 아니면 폭이 좁아지게 되므로(워블신호가 음(-)인 경우), 이를 미리 보상하여 상기 변환된 펄스열의 시작점을 2Td의 범위에서 가변적으로 지연출력시켜 그 전체 폭의 구간이 변화되도록 한다.
즉, 검출되는 워블신호가 최대 음(-)의 값(Min)을 갖는 경우에는 재생 고주파신호의 축소왜형이 최대가 되므로, 그 축소효과를 최대로 보상하기 위해 펄스열의 시작점을 지연시키지 않고 출력하여 펄스열의 폭이 최대가 되도록 하며, 검출되는 워블신호가 음의 값의 범위내의 임의값(b)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에 대응하여 그 시작점을 tb만큼 지연시키게 된다.(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 음의 값을 보상하기 위해 펄스 열의 폭은 Td-tb만큼 커지게 된다.) 워블신호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Td만큼 시작점이 지연되지만 종단점이 그만큼 지연되어 있으므로 신호폭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게 되고, 만약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값이 양(+)의 임의의 값(c)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펄스 폭 조절기(301)는 그에 대응하여 펄스열의 시작점을 tc만큼 지연시키게 되고, 이는 곧 워블신호가 없는 경우(0인 경우)에 대하여 tc-Td만큼 그 폭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재생시에 그 감소된 폭만큼 워블신호가 합성되어 보상하게 되어 깨끗한 고주파신호가 되게 한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워블신호가 최대값(Max)을 가지는 경우에는 변환 펄스열의 시작점이 최대(2Td)로 지연출력되게 되어 그 펄스폭이 최소가 되게 됨으로써, 재생시 최대 워블신호값에 의해 원래의 기록신호가 보상되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변화의 폭으로 설정된 (2Td)의 값은 워블신호의 영향(증폭율 등)과 기록광에 의한 결정질의 변화율(즉, 재생시의 광 반사율)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기록의도된 신호가, 재생시 워블신호에 의해 왜형되는 만큼을 미리 보상왜형시켜 상기 광 구동기(120)에 인가되게 되고, 이 보상된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 구동전류에 따라 출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광 디스크에 기록되게 되는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구성도로서, 도2a의 종래의 데이타 기록장치의 구성 외에, 구동회전하는 광 디스크로 부터 검출입력되는 신호로 부터 저주파의 워블신호를 검출하는 대역통과 필터(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광 구동기(120)대신, 광 구동을 위한 전류 공급원으로서, 상기 검출되는 워블신호에 의해 공급전류의 크기를 가변시켜 출력하는 가변 전류원(VCS)을 포함하는 가변 광 구동기(302)로 치환 구성되는 것이 상이하다.
도12는 워블신호에 따른 출력 구동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특정 기록 데이타 형태(6T에 해당)에 대해 파형으로서 나타낸 것이며, 이하에서는 도12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도11의 기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되는 엔코딩된 비트 스트림은 비트 카운터(100)와 기록 펄스 발생기(110)를 통해 종래에서와 같이 도12 ㉢의 기록 광 생성에 적합한 펄스열로 변환되어 상기 가변 광 구동기(302)에 인가되게 되는데, 상기 가변 광 구동기(302)내의 가변 전류원(VCS)은 대역통과 필터(200)로 부터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값에 따라 출력하는 전류의 크기를 가변시키게 되므로, 상기 기록 펄스 발생기(110)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에 의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가, 기 정해진 비례상수(k=I/V)에 의한 전류크기(Io)와 달라지게 된다.
상기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값이 0일 때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Io)는 종래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도록 설정하되,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레벨값이 해당 기록지점에서 임의의 양(+)의 값으로 검출되면(c점), 그에 대응하여 상기 가변 전류원(VCS)의 출력전류가 Ic의 값으로 감소되게 되며, 이 때 상기 기록펄스 발생기(110)에서 펄스열을 인가하게 되면, 그 펄스열의 온 시에 그에 대응되는 전류크기가 Ic로 감소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에 인가되어 광 디스크에 레이저 빔을 입사시키게 되는데, 전류 크기가 감소된 양 만큼 레이저 빔의 세기도 감소하므로 동일 기록신호형태(6T)에 대해 결정질 변화되는 영역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그 기록신호 형태가 감소된(<6T) 양은 재생시에 혼합 검출되는 그 만큼의 워블신호에 의해 보상되게 되므로 기록시 의도된 신호로 정상재생되게 되며, 반대로 상기 대역통과 필터(200)를 통해 검출되는 워블신호의 크기가, 기록지점에서 임의의 음(-)의 값으로 검출입력되면(b점), 상기 가변 전류원(VCS)의 출력전류는, 워블신호가 0인 레벨시보다 Ib의 값으로 증가하게 되어, 인가되는 펄스열에 따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에, 증가된 구동전류(Ib)에 따른 레이저 빔이 출사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의도된 기록형태(6T)에 대응하는 기록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지만(>6T), 이 넓어진 만큼에 해당하여 폭이 커진 기록신호는, 재생시에 해당 지점에서 검출되는 기준레벨 이하의 워블신호 값에 의해 그 만큼 감소하게 되므로 원래의 기록의도된 신호로서 정상복원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광구동기를 사용하였지만, 복수개의 광구동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펄스 중 임의의 하나를 워블신호 값에 따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도13에서와 같이, 선두의 펄스를 구동하는 광구동기의 출력레벨을 워블신호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왜곡없는 정상신호의 재생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은, 데이타 검출을 위한 채널클럭 등으로 이용되는 워블신호가 재생시에 기록된 신호와 합성재생됨으로 인해 재생되는 기록신호가 왜형되는 것을, 기록시에 미리 그 만큼의 왜형을 보상하는 신호를 포함하도록 데이타 신호를 변조기록하여 재생시의 상기 왜형을 제거함으로써, 원래의 기록 데이타 복원시에 발생될 수 있는 신호의 재생 에러확률을 저감(低減)시켜 에러복원 또는 재독출시간을 제거하여, 보다 신뢰성있는 데이타 복원과 재독출없는 빠른 데이타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시 워블신호가 혼입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 디스크 매체 드라이버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기록된 광 기록매체의 판독시에 정상적인 고주파(RF) 신호만이 독출되므로, 이러한 디스크 매체 드라이버에도 매체의 호환성을 확보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1)

  1. 기록매체상에 기 기록된 특정 주기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검출되는 주기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에의 신호기록을 제어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신호는 기록면에 형성된 워블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기록제어되는 신호는, 기록할 입력데이타에 따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신호에 의한 출력광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신호에 의한 기록펄스의 폭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의 변화는 기록펄스의 시작시점의 지연출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7. 기록매체상에 기 기록된 보조신호를 검출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보조신호와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데이타신호의 상기 기록매체에의 기록을, 상기 검출된 보조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보조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검출되는 레벨에 따라 기록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신호는 기록면에 형성된 워블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신호에 의한 출력광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신호에 의한 기록펄스의 폭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의 변화는 기록펄스의 시작시점의 지연출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13. 기록매체상에 기 기록된 특정주기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될 신호를 위한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검출된 주기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기록될 신호에 의해 생성된 상기 타이밍신호를 변조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14. 기록매체상에 기 기록된 보조신호를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검출된 보조신호와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데이타 신호의 기록을 위한 타이밍신호를 생성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검출된 보조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타신호에 의해 생성된 상기 타이밍신호를 변조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방법.
  15. 기록매체에 기 기록되어 있는 특정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되는 특정신호에 따라, 입력데이타에 상응하는 기록신호를 변조출력하는 기록신호 변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신호 변조수단은,
    입력되는 데이타열에 따라 기록신호 형태를 변환생성하는 기록신호 생성수단; 및
    상기 검출되는 특정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신호 형태 변환량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신호 변조수단은,
    상기 검출되는 특정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데이타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변화시키는 신호 변화수단; 및
    상기 생성변화된 신호에 따른 광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18.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신호는, 기록면의 구부러진 형태로 부터 검출되는 주기성의 워블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19.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신호는,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과 재생을 위해 기록되어져 있는 보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20. 입력되는 데이타신호에 상응하는 기록신호를 생성하는 기록신호 생성수단;
    기록매체에 기 기록되어 있는 특정 주기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되는 주기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기록신호의 폭을 변화시키는 신호 폭 조절수단; 및
    상기 폭 변화된 기록신호를 광 구동신호로 변환출력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21. 입력되는 데이타신호에 상응하는 기록신호를 생성하는 기록신호 생성수단;
    기록매체에 기 기록되어 있는 특정 주기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생성된 기록신호를 광 구동신호로 변환하되, 변환되는 광 구동 신호량을 상기 검출되는 주기신호에 따라 가변출력시키는 가변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KR1019980007001A 1998-02-27 1998-02-27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KR10029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001A KR100298792B1 (ko) 1998-02-27 1998-02-27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US09/258,421 US6069864A (en) 1998-02-27 1999-02-26 Method of recording data compensated using pre-recorded signals from an optical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001A KR100298792B1 (ko) 1998-02-27 1998-02-27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327A KR19990071327A (ko) 1999-09-27
KR100298792B1 true KR100298792B1 (ko) 2001-09-06

Family

ID=1953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001A KR100298792B1 (ko) 1998-02-27 1998-02-27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69864A (ko)
KR (1) KR100298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8696B2 (ja) * 1997-11-28 2008-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許可判定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
US6552987B1 (en) * 1999-07-30 2003-04-22 Hitachi, Ltd. Optical disk apparatus wherein recording clock signal is stopped being supplied to semiconductor laser drive circuit on optical pickup during reproduction operation
US6831885B2 (en) 2000-01-19 2004-12-14 Hitachi, Ltd. Optical disk apparatus wherein recording clock signal is stopped being supplied to semiconductor laser drive circuit on optical pickup during reproduction operation
JP2001266355A (ja) * 2000-03-17 2001-09-28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EP1400964A1 (en) * 2002-09-04 2004-03-24 Sony DADC Austria AG Method and device to produce an optical disk
JP4247057B2 (ja) * 2003-06-30 2009-04-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2005071496A (ja) * 2003-08-26 2005-03-17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WO2011044443A2 (en) 2009-10-09 2011-04-14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Matricryptic ecm peptides for tissue re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7178A (en) * 1991-10-11 1994-12-27 Hitachi, Ltd.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recording medium having clock marks recorded in a wobbled track for read/write synchronization
JP2860229B2 (ja) * 1993-06-25 1999-02-2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691861B2 (ja) * 1994-09-14 2005-09-07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用光パルス幅制御装置
US5629912A (en) * 1995-01-30 1997-05-13 Sony Corporation Focusing servo controlling apparatus
US5675568A (en) * 1996-01-16 1997-10-07 Eastman Kodak Company Laser power control in an optical recording system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mark length resulting from a wobbled gro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69864A (en) 2000-05-30
KR19990071327A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5322B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JPWO2003077248A1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2004152473A (ja) 光書込み媒体の自動書込み最適化方法及びそれを遂行する光書込み/再生装置
KR100298792B1 (ko) 광 기록매체의 데이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JP3730084B2 (ja) 光制御回路
US7289412B2 (en) Adaptiv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density optical recording
JP2003208716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271829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신호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TW577058B (en) Disk device
JP3661623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606679B1 (ko) 광 기록재생기의 기록제어신호 생성 방법
JP3661587B2 (ja) 信号記録回路
US7453790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thereon
JPH0785307B2 (ja) 光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0163748A (ja) 情報記録方式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3627668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WO2006006411A1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プログラム
JP4100349B2 (ja) 信号評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80151715A1 (en) Disc Apparatus
JPH08171746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2050046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4246935A (ja) 光ディスクの情報記録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記録装置
JP3046403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式
JPH07176108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243175B1 (ko) 디스크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