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276B1 - 육상차량내부의급격한압력변화를제거하기위한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육상차량내부의급격한압력변화를제거하기위한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276B1
KR100298276B1 KR1019930013295A KR930013295A KR100298276B1 KR 100298276 B1 KR100298276 B1 KR 100298276B1 KR 1019930013295 A KR1019930013295 A KR 1019930013295A KR 930013295 A KR930013295 A KR 930013295A KR 100298276 B1 KR100298276 B1 KR 100298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ehicle
change
duc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431A (ko
Inventor
헤르베지라르드
쟝로랑뻬베
이베제르바이
Original Assignee
미셸 푸르니에
지이씨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셸 푸르니에, 지이씨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미셸 푸르니에
Publication of KR94000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09Means for controlling or equalizing air pressure shocks in trains, e.g. when passing or crossing in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장치 또는 공조기를 갖춘 차량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차량 외부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압력 변화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검출기(16)과 외부 공기 흡입 덕트(2) 및 내부 공기 방출 덕트(4)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 수단과 검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압력의 설정된 제1 변화율 이상일 때 덕트(2, 4)의 밀폐를 제어하고 또한 외부 압력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제2 변화율 이하로 떨어진 후에 덕트를 재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제어 시스템(14)와 차량내의 압력이 시간의 함수로 설정치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고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제어된 공기 유동에 의하여 내부 및 외부 압력이 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육상 차량 내부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차량을 공기 조화 또는 환기시키기 위한 공기 입구 및 출구 덕트를 도시한 철도 차량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내에 있는 공기 입구 및 출구 덕트를 밀폐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흡입 덕트 3 : 입구 오리피스
4 : 방출 덕트 5 : 출구 오리피스
6, 7 : 플랩 10, 11 : 축
12, 13 : 구동기 14 : 전자 제어 시스템
16 : 검출기 17 : 분기 연결부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육상 차량 내부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특히 고속 열차에 적용 가능하다.
일반 대기를 통과하는 차량은 차량 형상 및 운행 속도에 따라 차량의 외벽에 분포되는 압력 힘을 받게 된다. 차량이 장애물(터널 입구, 교량, 철도 궤도 근처의 다양한 물체 등)을 통과할 때 또는 차량이 서로 지나칠 때 차량에 의해 유도된 공기 동역학적 속도장(velocity field)은 변형된다. 이 결과로 차량의 외벽에 급격한 압력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압력은 대략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이 효과는 차량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훨씬 현저하게 된다.
외부 공기를 취하는 공조기 또는 환기 장치에 의해 내부 공기가 정화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압력은 차량 외부의 압력과 비슷하다. 외부 압력의 변화는 환기 회로(ventilating circuit)의 단면을 따라 차량 내부로 거의 순간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공조기 또는 환기 장치를 갖춘 차량의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 변화에 요하는 시간은 특히 환기 회로의 특성으로 인하여 극히 짧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러한 급격한 현상은 비행기 내에서와 같이 차량의 내부가 가압되었을 때는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속 열차가 터널 또는 협곡에 진입할 때, 급격한 압력 변화가 객차(또는 차)의 외벽에 발생한다. 이 급격한 압력 변화는 터날 또는 협곡에 의해 형성된 한정된 공간내로 전파되고 "압력파"(pressure wave)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정된 공간의 외부로 전파되는 이러한 압력파는 상기 공간의 단부에서 반사되고, 원래의 압력파와 거의 같은 크기의 반사 압력파를 형성하게 된다. 이 객차가 적당한 밀봉 정도를 갖고 있을 때, 이 변화는 환기 장치 및 공조기의 환기 회로를 통해 객차의 내부로 급속히 이동하여 승객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주게 된다. 1초 이내에 2,000 Pa 이상의 압력 변화율을 받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압력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떤 고속 열차는 환기 회로 내에 위치한 "전방이 급경사인"(steep front) 팬(fan)을 사용하고 있다. 이 팬은 어느 정도 압력파를 제거할 수 있으나, 비싸고 소음이 크다는 결점이 있다. 가능한 한 경량 객차를 제조하는 데 많은 노력이 경주됨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무시할 수 없는 중량 및 크기의 추가 장비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은 많은 동력을 소비한다. 또한, 객차당 2개의 팬을 가져야 한다.
상기 결점들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압력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선험적으로 정해진 변화율로 환기 장치 또는 공조기를 갖춘 차량의 내부 압력을 강제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장치가 실시간에 작용하여 공조기 또는 환기 장치의 환기 회로의 기하학적 특성을 재빨리 변경한다. 이 변경은 차량에 유입되는 공기 유동율의 최종적인 변화가 고정 시간 관계(fixed time relationship)를 따르는 차량 내의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내부 및 외부 압력이 평형을 이루자마자, 환기 회로는 새로운 공기의 순환이 통상 반복 발생하도록 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이 환기 회로 내에 위치한 이러한 장치는, (열차의 속력, 장애물의 존재, 주위 환경의 영향 등과 같은)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압력의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공조기 또는 환기 장치에 의해 공기를 신속하게 순환하도록 설계된 환기 회로를 차량의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환기회로로 변환시키는 것이다(이것의 역도 성립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기 장치 또는 공조기를 갖춘 차량 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 있고, 이 차량은 흡입된 공기를 환기 또는 공조 시스템으로 유도하는 흡입 덕트에 연결된 외부 공기용 입구 오리피스와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 덕트에 연결된 내부 공기용 출구 오리피스와 차량 내의 압력파를 검출하여 압력파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검출기와 흡입 덕트 및 방출 덕트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 수단과 검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변화 제거 장치는 검출기가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 압력의 변동을 시간의 함수로 검출하고 제어 유니트가 시간의 함수로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의 설정된 제1 변화율을 근거로 덕트의 밀폐를 제어하고 또한 시간의 함수로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의 변화율이 설정된 제2 변화율 이하로 떨어진 후에 덕트를 다시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분기 연결부를 갖는 수단이 시간의 함수인 차량내의 압력 변화가 설정치 이하로 유지되도록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제어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내부 및 외부 압력이 평형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시간의 함수로 압력 변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는 압력 센서 또는 순간 유동율 측정 센서일 수도 있다.
이 밀폐 수단은 흡입 덕트 및 방출 덕트내에 위치한 플랩(flap)에 의해 효과적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쉽게 고안되도록 한다.
각 플랩은, 구동기(actuator)에 의해 제어되며 플랩에 결합된 축(shaft)의 중심축(axis)에 대해 회전할 수도 있다.
내부 및 외부 압력이 평형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차량에 누설이 일어나게 할 수도 있다.
이것들은 밀폐 수단을 이용하여 흡입 덕트 및/또는 방출 덕트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 부재의 제어 하에 개폐되는 분기 연결부(branch connection)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공통 밀폐 수단이 덕트와 분기 연결부 중의 하나를 번갈아 가며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흡입 및 방출 덕트의 밀폐 수단이 부분적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통상의 공조기 유동율을 제어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기 장치 또는 공조기를 갖춘 차량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차량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시간의 함수로 압력 구배를 계산하는 단계와, 시간의 함수로 압력 구배의 절대값이 쾌적 조건에 의해 정해진 경계치를 초과할 때 흡입 덕트 및 방출 덕트가 폐쇄되는 단계와, 시간의 함수로 차량의 내부 압력 변화와 지정된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제어된 공기 유동에 의해 내부 및 외부 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시간의 함수로 차량 내부의 압력 구배치가 만족스러운 쾌적 조건에 상당하는 설정하는 설정치 이하일 때 흡입 덕트 및 방출 덕트가 개방되는 단계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비제한적인 예제에 의해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하는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은 잘 이해되며 다른 상세한 내용 및 특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고속 열차의 객차(1)에 쓰이는 일반적인 환기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객차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덕트(2)를 포함하고 있고 이 덕트는 입구 오리피스(3) 및 내부 환기 회로 사이에서 연장되고 있으며, 또한 외부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그리고 내부 환기 회로 및 출구 오리피스(5) 사이에 배치된 덕트(4)를 포함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공기를 재순환시키거나 가열 또는 공기 조화시키는 수단, 팬, 등의) 내부 환기 회로의 다양한 요소들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작동에 특별히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객차가 급격한 압력 변화 구역을 통과할 때, 상대적으로 큰 공기량(1m3내지 2m3의 정도)이 덕트(2, 4)를 통하여 객차에 급격히 출입하게 된다. 객차내의 공기 질량의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압력 변화로 바로 연결되어, 본 발명에 의하면 이것은 덕트(2, 4)내에 있는 셔터(shutter) 요소를 설치함으로써 제어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하기 설명될 작업을 수행한다. 압력파가 발생했을 때, 이것은 통상적인 형태의 검출기에 의해 순간적인 효과(예를 들면, 급격한 압력변화 또는 순간적인 유동율 등) 중의 하나로 감지된다. 이 현상은 열차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열차를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점에서 검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다. 압력파가 검출되자마자, 셔터 요소는 즉시 덕트(2, 4)를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밀폐시킨다. 그리고 나서, 압력파에 의한 공기 유동율은 누설 오리피스에 의해 제어된다. 이 누설 오리피스는 선험적으로 조절된 치수의 오리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내부 압력의 강제되는 변화율의 함수로 조절될 수 있는 치수의 오리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치수가 조절되는 오리피스는 부분적으로 차량의 누설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사이에서 교환되는 공기의 유동은 차량 내의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압력 변화(증가 또는 감소함)를 보장하기에 충분히 긴 시간동안 발생하도록 제한되어진다.
압력파 제어는 내부 및 외부 압력이 평형을 이루자마자 중지된다. 그리고 나서 덕트(2, 4)는 재개방된다. 차량의 환기 시스템은 사용된 공기를 유출시키고 새로운 공기를 유입시키는 통상의 작동으로 되돌아간다.
제2도는 이 장치가 특별한 실시예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셔터 요소는 플랩 즉 흡입 덕트(2) 내에 배치된 플랩(6)과 방출 덕트(4)에 배치된 플랩(7)로써 구성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 또는 순간 유동율 측정 센서와 같은) 이 압력 변동 검출기(16)은 차량 밑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 효과 중의 하나에 의해 압력 변동을 검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압력이 증가한다면, 외부 압력 증가 그 자체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사용하여) 내부 압력 증가의 시발점 및 덕트(2)의 입구(3)에서의 순간적인 유동율의 큰 증가 또는 덕트(4)의 출구(5)에서의 공기 유동 방향의 역전(reversal) 등을 검출하는 것이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는 가능하다.
플랩(6, 7)의 치수는 덕트(2, 4)의 치수와 일치한다. 이 플랩은 입구(3) 및 출구(5)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플랩들은 플랩의 한 쪽을 따라 장착된 축(10, 11)상에서 회전할 수 있고 덕트(2, 4)의 벽에 관련되는 힌지 시스템(8 또는 9)와 상호 작동하게 된다(제3도 및 제4도를 참조). 이 축들은 하중을 지지하는 차량의 구조물(15)에 결합되어 있는 개별의 구동기(12, 1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 구동기는 공기력, 수력, 또는 전기 기계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시스템(14)는 검출기(16)에서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구동기(12, 13)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전자 제어 시스템(14)는 특허 문헌 제2,516,089호에 서술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이것은 열차의 일반적인 제어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다. 압력파 검출기가 아주 큰 압력파를 검출하자마자, 전자 제어 시스템(14)는 구동기가 플랩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명령 신호를 순간적으로 발생시킨다. 이 플랩은 매우 빨리, 즉 1/10초 내에 밀폐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이 플랩들은 알루미늄 또는 합성 재료와 같이 관성이 작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플랩이 밀폐되자마자, 전자 제어 시스템(14)는 환기 장치 또는 공조기가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 장치들은 플랩이 재개방될 때 여전히 전자 제어 시스템의 제어하에 다시 작동하기 시작한다.
압력파 검출기가 승객이 수용할 수 없는 압력 변화를 더 이상 검출하지 않을 때, 전자 제어 시스템(14)는 순차적으로 플랩을 재개방시킨다. 플랩을 재개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요구되는 안락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 시간은 실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 시간은 외부 압력 변화의 크기와 변화 기간 등과 같은 임의의 인자의 함수로서 전자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는 외부 압력 변화가 실험 또는 계산에 의해 설정된 수준 이하로 떨어지자마자 재개방된다. 급격한 외부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는 순간적인 공기 유동율은 통상의 환기 장치의 공기 유동율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압력이 급격히 변하는 영역에서 먼 때에는 이 플랩이 작동할 필요가 없다. 압력파가 없는 경우에, 이 플랩들은 환기 장치 시스템의 통상적인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완전히 수축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 및 외부의 압력이 다시 평형을 이루도록 하게 하는 누설은 차량의 공기 누설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누설 오리피스에 의해 제어된다.
이 누설 오리피스는 다양한 다른 여러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플랩은 단지 공기 유동의 일정량을 통과시키도록 덕트에 일부분을 밀폐시킬 수도 있다. 이것은 계산 또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지름을 갖는 각각의 구멍이 제공되는 경우에 덕트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공조기 또는 환기 장치의 공기 유동율을 직접 제어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통상적인 공조기의 유동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온도가 매우 높거나 낮을 때 상이한 몇 개의 공조기 형상이 이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몇가지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 플랩의 통상적인 위치는 환기 장치의 공칭 유동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열려 있을 수도 있다. 구동기의 성능이 모든 가능한 플랩 위치를 얻기에 적절하다면, 이 공기 유동율은 플랩 위치를 연속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플랩 위치는 환기 장치의 유동율의 측정을 근거로 하여, 예를 들면 유량계에 의해 조절된 결과이다.
내부 및 외부 압력은 제5도에 도시된 장치에 의하여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런 다른 실시예에서, 분기 연결부(17)은 흡입 덕트(2)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분기 연결부는 플랩(6, 7)들 사이에 있는 환기 회로의 어느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파가 없는 경우, 이 분기 연결부는 통상 밀폐된다.
제5도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검출기(16)이 압력파의 존재를 감지하자마자, 덕트(2, 4)는 분기 연결부(17)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밀폐된다. 주 환기 회로의 하나는 밀폐될 수 있고, 분기로는 2개의 독립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개방되거나, 또는 플랩(6)이 하나는 밀폐시키고 다른 하나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일 메커니즘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분기 연결부(17)은 압력파에 의하여 공기 유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누설 작용을 보조한다. 분기 연결부(17)의 치수는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이 분기 연결부는 시간의 함수인 압력 변화에 대한 설정된 관계식의 함수로 조절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목부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압력 평형이 달성되자마자, 덕트(2, 4)는 재개방되고 분기 연결부(17)은 밀폐된다. 이 환기 시스템은 다시 정상 작동 상태로 되돌아온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동력 소비가 아주 적은 장점을 아울러 갖고 있다.

Claims (10)

  1. 흡입된 공기를 환기 또는 공조 시스템으로 유도하는 흡입 덕트(2)에 연결된 외부 공기용 입구 오리피스(3)과,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 덕트(4)에 연결된 내부 공기용 출구 오리피스(5)와, 차량내의 압력파를 검출하여 상기 압력파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검출기(16)과, 흡입 덕트(2) 및 방출 덕트(4)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 수단과, 상기 검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제어 시스템(14)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또는 공조기를 갖춘 차량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검출기(16)은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 압력의 변동을 시간의 함수로 검출하고, 전자 제어 시스템(14)는 시간의 함수인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의 소정의 제1 변화율을 기초로 흡입 및 방출 덕트(2, 4)의 밀폐를 제어하고 또한 시간의 함수인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의 변화율이 소정의 제2 변화율 이하로 떨어진 후에 상기 덕트의 재개방을 제어하고, 시간의 함수인 차량의 내부 압력 변화가 설정치 이하로 유지되도록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제어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및 외부 압력을 평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 평형 수단은 분기 연결부(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간의 함수로 압력 변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16)은 압력 센서 또는 순간 유동율 측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수단은 흡입 덕트(2) 및 방출 덕트(4) 내에 배치되어 있는 플랩(6, 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플랩(6, 7)은 상기 플랩에 결합되고 구동기(12, 13)에 의해 제어되는 축(10, 11)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압력을 평형시키는 수단은 차량의 누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압력을 평형시키는 수단은 밀폐 수단을 사용하여 흡입 덕트(2) 및/또는 방출 덕트(4)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키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분기 연결부(17)은 전자 제어 시스템(14)의 제어하에 개방 및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공통 밀폐 수단이 상기 덕트(2)와 분기 연결부(17) 중의 하나를 번갈아 가며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작용하는 흡입 덕트(2) 및 방출 덕트(4)용 상기 밀폐 수단에 의하여 공조기의 정상 유동율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장치.
  10. 환기 장치 또는 공조기를 갖춘 차량 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시간의 함수로 압력 구배를 계산하는 단계와, 시간의 함수인 압력 구배의 절대값이 쾌적 조건에 의해 정해진 한계치를 초과할 때 흡입 덕트(2) 및 방출 덕트(4)를 폐쇄하는 단계와, 시간의 함수인 차량의 내부 압력 변화를 설정치 이하로 유지하도록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제어된 공기 유동에 의해 내부 및 외부 압력을 평형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시간의 함수인 차량 내부의 압력 구배치가 만족스러운 쾌적 조건에 상당하는 설정치 이하일 때 흡입 덕트(2) 및 방출 덕트(4)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제거하는 방법.
KR1019930013295A 1992-07-16 1993-07-15 육상차량내부의급격한압력변화를제거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100298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208798A FR2693698B1 (fr) 1992-07-16 1992-07-16 Dispositif de suppression des variations brutales de pression dans les véhicules, en particulier dans les véhicules terrestres.
FR9208798 1992-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431A KR940005431A (ko) 1994-03-21
KR100298276B1 true KR100298276B1 (ko) 2001-11-22

Family

ID=943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295A KR100298276B1 (ko) 1992-07-16 1993-07-15 육상차량내부의급격한압력변화를제거하기위한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391111A (ko)
EP (1) EP0579536B1 (ko)
JP (1) JP3859734B2 (ko)
KR (1) KR100298276B1 (ko)
AT (1) ATE143638T1 (ko)
CA (1) CA2100592C (ko)
DE (1) DE69305117T2 (ko)
DK (1) DK0579536T3 (ko)
ES (1) ES2092258T3 (ko)
FR (1) FR2693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895A (ko) * 2019-07-31 2021-02-10 이주형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8434A1 (en) * 1987-11-02 1995-10-25 Hitachi, Ltd. Ventilating method and equipment for rolling stock
JP2894104B2 (ja) * 1992-09-09 1999-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換気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DE4314262A1 (de) * 1993-04-30 1994-11-03 Krapf & Lex Vorrichtung zur Druckbegrenzung in schnell fahrenden Schienenfahrzeugen
FR2723713B1 (fr) * 1994-08-17 1996-09-27 Faiveley Transport Organe d'obturation a clapet d'un circuit d'air pour vehicules de chemin de fer
FR2728526B1 (fr) * 1994-12-22 1997-01-31 Gec Alsthom Transport Sa Dispositif et procede de suppression des variations brutales de pression dans les vehicules
DE19649664C2 (de) * 1996-11-29 1999-12-23 Hagenuk Faiveley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ruckgeschützten Belüftung von Hochgeschwindigkeitszügen
FR2769873B1 (fr) * 1997-10-16 2000-01-14 Alsthom Cge Alcatel Dispositif pour retablir la pression dans l'habitacle d'un vehicule suite a une depression
DE19755097C1 (de) * 1997-12-11 1999-06-17 Maik Coldewey Ventilschließ-Spülluft-Druckschutzsystem
FR2793205B1 (fr) 1999-05-06 2001-08-10 Soprano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ondes de pression dans les vehicules de transport de personnes
DE10114524B4 (de) * 2001-03-21 2004-02-19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Klimatisierung schnellfahrender Fahrzeuge
DE10153682A1 (de) 2001-10-31 2003-05-28 Rexxon Gmbh Verfahren zum Bestimmen der Druckdichtheit eines Hochgeschwindigkeit-Schienenfahrzeugs
DE10351548A1 (de) * 2003-11-03 2005-06-02 Behr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Lufttemperierung von ein- oder mehrzonigen Kraftfahrzeug-Klimaanlagen
US20170232978A1 (en) * 2007-04-18 2017-08-17 Thyssenkrupp Transrapid Gmbh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fast changes of the internal pressure in an enclosed space
DE102007019014A1 (de) * 2007-04-18 2008-10-23 Thyssenkrupp Transrapi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eidung schneller Änderungen des Innendrucks in einem geschlossenen Raum
US20100216384A1 (en) * 2009-02-26 2010-08-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extractors
JP2012071680A (ja) * 2010-09-28 2012-04-12 Hitachi Ltd 給気装置と排気装置と排気送風機とを備える鉄道車両、および、鉄道車両に備えられる給気装置と排気装置と排気送風機の制御方法
US9889723B2 (en) * 2011-09-19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pressure relief valve for automatic air extractor
CN102390390B (zh) * 2011-09-22 2014-01-22 中国北车集团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机车通风系统进气量调节控制方法
CN103963795B (zh) * 2013-08-29 2016-06-29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快速地铁车辆压力波控制方法
US9854717B2 (en) * 2013-09-23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arger cooling air source selection method
DE202014104358U1 (de) 2014-09-15 2014-12-12 Faiveley Transport Leipzig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eine kombinierte Druckschutz- und Luftmengenregelung im Innenraum von Schienenfahrzeugen
DE102015101522A1 (de) 2015-02-03 2016-08-04 Faiveley Transport Leipzig Gmbh & Co. Kg Verfahren zur Regelung von mindestens einem Stellglied eines Druckschutzsystems für ein Schienenfahrzeug
US10173493B2 (en) 2015-12-04 2019-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extractor system to mitigate vacuum-effect in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US10933713B2 (en) * 2016-12-27 2021-03-02 Cnh Industrial America Llc Airflow control system of a work vehicle
CN109720366B (zh) * 2017-10-30 2021-06-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的空调风道和轨道车辆
CN111289178B (zh) * 2020-05-13 2020-07-31 新誉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列车中压力波传感器的故障检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DE102021209812A1 (de) 2021-09-06 2023-03-09 Siemens Mobility GmbH Druckschutzklappenanordn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DE102022203545B4 (de) * 2022-04-08 2024-02-01 Siemens Mobility GmbH Fahrzeug zur Personenbeförderung mit Druckschutz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667A (en) * 1887-09-27 Railway-car ventilator
US3563155A (en) * 1967-12-27 1971-02-16 Japan National Railway Ventilating equipment for high speed train
DE3343487A1 (de) * 1983-12-01 1985-06-13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Einrichtung zur belueftung und klimatisierung von fahrgastraeumen in schienenfahrzeugen
DE3603802A1 (de) * 1986-02-07 1987-08-13 Bbc Brown Boveri & Cie Lueftungsoeffnungen an schnellfahrenden fahrzeugen, insbesondere an schnellfahrenden schienenfahrzeugen
EP0315108B1 (en) * 1987-11-02 1993-10-06 Hitachi, Ltd. Ventilating equipment for rolling stock
DE3801891C1 (ko) * 1988-01-23 1989-09-07 Messerschmitt-Boe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De
DE69122795T2 (de) * 1990-03-19 1997-05-07 Hitachi Ltd Lüftungsausrüstung für Eisenbahnpersonenwagen und deren Anwendungswei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895A (ko) * 2019-07-31 2021-02-10 이주형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242696B1 (ko) 2019-07-31 2021-04-21 박상현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59734B2 (ja) 2006-12-20
CA2100592C (fr) 2000-02-29
ES2092258T3 (es) 1996-11-16
EP0579536B1 (fr) 1996-10-02
CA2100592A1 (fr) 1994-01-17
EP0579536A1 (fr) 1994-01-19
DE69305117D1 (de) 1996-11-07
FR2693698B1 (fr) 1994-08-19
KR940005431A (ko) 1994-03-21
ATE143638T1 (de) 1996-10-15
JPH06166371A (ja) 1994-06-14
DE69305117T2 (de) 1997-02-06
US5391111A (en) 1995-02-21
FR2693698A1 (fr) 1994-01-21
DK0579536T3 (da) 1996-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276B1 (ko) 육상차량내부의급격한압력변화를제거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56477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udden changes of pressure in vehicles
KR100552869B1 (ko) 외부압력의변동에영향을받는환기식폐쇄공간의내부압력조절용장치및방법
EP036303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US4989499A (en) Air pressure control
JPS60135363A (ja) 軌条車両における客室を換気し空気調節するための装置
US546248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supply of fresh air in high-speed trains
DE60009597T2 (de) Schutzvorrichtung gegen Druckwellen in Fahrzeugen zur Personenbeförderung
JP2000065690A (ja) 自走車用の環境試験装置
US4566373A (en) Ventilation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 or the like
JP2913619B2 (ja) 車両用圧力制御装置
JPH07205643A (ja) 車両用空気調和機のドレン処理装置
JP3061183B2 (ja) 換気制御方法及び装置
JP2798161B2 (ja) 風量制御方式とその装置
JP3021108B2 (ja) 鉄道車両用換気装置
KR940006864A (ko)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allis Ventilation System Aerodynamics—A New Design Method
CN107074251A (zh) 高速有轨车辆内部空间中组合压力保护和气流量控制装置
JP3372085B2 (ja) 車両用換気装置
JP2786301B2 (ja) 車両用換気装置
US5348449A (en) Airflow regulator
KR880013717A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JPS63315365A (ja) 車両用換気装置
KR0154051B1 (ko) 자동차의 실내를 향하여 토출되는 풍량 측정장치
KR100588671B1 (ko) 버스의 송풍구 자동 개폐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