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895A -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895A
KR20210014895A KR1020190092923A KR20190092923A KR20210014895A KR 20210014895 A KR20210014895 A KR 20210014895A KR 1020190092923 A KR1020190092923 A KR 1020190092923A KR 20190092923 A KR20190092923 A KR 20190092923A KR 20210014895 A KR20210014895 A KR 20210014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flow rate
vehicle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696B1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이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19009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6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50/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1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1/00Accessories, e.g. safety or control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gulators, valves in inlet or overflow du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 B01D2259/455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for being employed as mobile cleaners for ambient air, i.e. the earth's atmosp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자동차의 차체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원심력을 작용하여 미세먼지를 분리 포집하는 사이클론 집진부; 사이클론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부; 하우징의 유입구에 걸쳐, 회전하여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액티브 에어플랩; 하우징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사이클론 집진부의 구동 상태, 및 액티브 에어플랩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MOVING VEHICLES}
본 발명은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운행에 따라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대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사람들의 건강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기상청이나 각 지역 환경청에서 이를 알려 국민의 야외 활동을 자제시켜 오는 등 다양한 미세먼지 대책이 시행되어 오고 있다.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우천 시 미세먼지가 지면으로 가라앉으면서 자연적으로 제거되기를 기다리거나, 도로나 지하철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차량 운행을 강제적으로 줄이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는 일시적인 효과는 나타낼 수 있겠으나, 차량의 운행은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0152호는 미세먼지 청소차를 제안한다(특허문헌 1). 이 특허문헌 1은 차량의 샤시프레임에 장착된 클린유닛의 내부에 설치된 워터젯이 회전하면서 미립자의 강력한 물을 분사하면서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미세먼지 청소차를 직접 운행하여야 하는 방식이므로, 일시적인 청소와 같은 방식이 아닌, 지속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를 항시 운행하여야 하므로, 시 전체를 청소하기에는 그 인력이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청소 설비 등의 확충 등 막대한 예산지출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6014호는 대중교통에 적용 가능한 먼지 필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특허문헌 2). 이 특허문헌 2는 차량의 루프 또는 본네트에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복수의 필터를 탈부착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필터를 탈부착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을 뿐, 어떠한 공기의 흐름을 통해 필터가 미세먼지를 걸러주는지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빗물이 유입될 경우 필터로서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가능성이 높고,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차량에 부착된 필터로 걸러내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으나, 차량의 운행속도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 및 흐름의 제어가 불안정하며, 필터 고유의 처리 용량에 비하여 공기의 유입량이 많아지는 경우 필터링의 한계를 넘어서는 결과를 초래하며, 필터링의 한계를 넘어서 유입되는 유량, 즉 오버플로우되는 공기 및 이에 의해 장치 내부의 공기의 역류현상이 발생하며, 복수의 필터가 존재하여 유입부와 유출부의 유체 흐름 및 유체량이 불균일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와 같은 차량의 운행시 차량에 대하여 흐르는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요컨대, 효과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행상태나 빗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자동차의 차체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로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원심력을 작용하여 미세먼지를 분리 포집하는 사이클론 집진부;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부;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 걸쳐, 회전하여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액티브 에어플랩; 하우징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의 구동 상태, 및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의 가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유입구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공기 흐름 경로상에 있어서, 공기는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를 차례로 거치며 미세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센서부는,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로 이루어지며, 제1 센서부는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상에 배치되고, 제2 센서부는 제2 필터부와 배출구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가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입구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공기 흐름 경로상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내부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격벽의 내측은, 상기 유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사이의 제1 경계부를 경계로 폭이 불연속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로부터 상기 제1 필터부까지 폭이 일정하도록 도달하는 제1 영역;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와 상기 제1 필터부 사이의 폭이 일정한 제2 영역; 및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의 상기 하우징 측벽으로부터 제2 경계부를 경계로 폭이 불연속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제2 필터부까지 도달하는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운행중인 차량으로 떨어지는 우수의 양을 측정하는 우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의 가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이 2.5~3.0m/s로 유지되도록,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가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과, 차량의 속도값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공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운행중인 차량이 정차하거나 저속인 경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과, 상기 차량의 공회전 속도 측정값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습식방식이고, 벌집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 표면이 금속재질로 나노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운행중인 차량으로 떨어지는 우수의 양을 측정하는 우수감지센서;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걸쳐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우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셔터형 에어밴트; 및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가 하우징 내에 고이지 않도록, 하우징 바깥쪽을 향해 경사지게 이루어진 우수 배출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 각각의 상단에는, 각각 제1 도어부, 제2 도어부, 및 제3 도어부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 각각을 용이하게 청소 및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먼지 제거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필터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제거에 최적화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각 장치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세먼지 제거 장치를 통과하는 각 부분에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각각의 필터 등을 흐르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균일하게 하여 공기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미세먼지를 순차적으로 집진하는 각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이클론 집진부와 필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구성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운행중인 차량'의 의미는, 대중교통 중 공공버스를 일 예시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차, 택시, 지하철, 기차 등 다양한 이동수단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공공버스에,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장착될 수 있으며, 공기 유입구(11)로 대기 중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식한 도 2를 참고하면,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0) 내의 사이클론 집진부(20)와, 제1 필터(31), 제2 필터(32)와 같은 복수개의 필터(30)를 거쳐 먼지가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특히, 공공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은, 일반적으로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운행하므로,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장착함으로써 도시 중의 미세먼지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유입된 공기는 사이클론 집진부(20)와, 제1 필터(31), 제2 필터(32)와 같은 복수개의 필터부(30)를 거쳐 먼지를 제거하므로, 큰 입자의 먼지부터 작은 입자의 먼지까지 제거할 수 있으며, 큰 입자의 먼지를 먼저 사이클론 집진부(20)로 제거하기 때문에, 제1 필터(31)와 제2 필터(32)는 필터를 자주 세척하지 않더라도 작은 입자의 먼지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이클론 집진부(20)는 가장 큰 입자의 미세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필터부(30)의 구조에 따른 처리 유속에 상응하는 유체량을 공급하여, 필터부(30)만 구성될 때보다 필터부(30)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자동차의 차체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차량의 차체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사전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운행에 따라 차량 측으로 향하는 공기 중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차량의 차체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별도의 흡입 펌프 없이도, 차량의 운행에 따라 차량 측으로 공기가 자연스럽게 흐르게 되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통해, 미세먼지를 함유한 공기는 유입구(11)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서는, 유입구(11)의 공기 유입면은 차량의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차량의 차체 상부에 설치된 하우징(10)의 차체의 전면부 상부에 차체의 전면부 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유입구(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입 부분은 하우징(10)으로부터 높게, 공기의 유입 부분에서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하우징(10)으로부터 가깝게 하여, 상부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입구(11)는 공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상부 일측에 차량의 두께방향으로 나란하게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구(11)로 유입된 미세먼지를 함유한 공기는, 미세먼지의 대부분이 하우징(10) 내부의 사이클론 집진부(20), 필터부(30) 등에 의해 제거되며, 정화된 공기는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집진장치의 일 예로, 사이클론 집진부(20)와, 필터부(3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에 따라 집진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의 일 예로, 복수의 액티브 에어플랩(40)과, 센서부(50)와,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사이클론 집진부(20)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은, 사이클론 집진부(20)는, 건식 사이클론으로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원심력을 작용하여 미세먼지를 분리 포집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이클론 집진부(20) 내부에 원통 형상의 와류생성구가 있으며, 와류생성구를 향하여 공기가 유입되면, 와류생성구 둘레로 고속의 와류가 발생되어, 와류에 대한 원심력으로 미세먼지를 분리시켜 포집하게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진공모터 등을 구동시켜 사이클론 집진부(20)로 유입되는 공기가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미세먼지가 분리 포집되며, 정화된 공기는 사이클론 집진부(20)를 빠져나가게 되고, 포집된 미세먼지는 사이클론 집진부(20) 하부의 집진통에 떨어져 축적된다. 집진통은 서랍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집진통을 손으로 빼는 방식으로 빼어 집진통을 교체하거나 내부에 축적된 미세먼지를 비울 수 있다.
사이클론 집진부(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이클론 집진부(20)는 유체 흡입량에 대응하여 다량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차량의 상부 일측에 차량의 두께방향으로 나란하게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클론 집진부(20)는 고정용 클램프 등에 의하여 하우징(10) 내부의 공기 흐름 경로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필터부(30)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은, 필터부(30)는, 세척이 가능한 방식의 습식필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사이클론 집진부(20)를 통과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다. 여기에서 습식 방식이라 함은, 오일 등이 표면에 코팅되어 있어, 미세먼지의 제거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필터부(30)는 망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예를 들어, 미세먼지 원인물질인 NOx, SOx 등의 성분에 대한 효과적인 흡착을 위한 나노코팅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필터부(30)는, 습식 방식이고, 벌집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 표면이 금속재질로 나노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나노코팅은 필터부(30)의 일부 표면뿐만 아니라 하우징 내부 및 격벽의 전 표면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필터부(30)는 고정용 클램프 등에 의하여 하우징(10) 내부의 공기 흐름 경로상에 고정될 수 있다.
1차적으로 건식 방식의 사이클론 집진부(20)를 거쳐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2차적으로 필터부(30)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미세먼지가 제거되는데, 이를 통해 폭넓은 입자 크기의 미세먼지를 모두 걸러낼 수 있게 된다.
필터부(30)는, 제1 필터부(31) 및 제2 필터부(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로부터 배출구(12)에 이르는 공기 흐름 경로상에 있어서, 공기가 사이클론 집진부(20), 제1 필터부(31), 및 제2 필터부(32)를 차례로 거치며 미세먼지가 제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미세먼지는 세 번의 정화 과정을 거쳐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필터부(31)와 제2 필터부(32)는 같은 필터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순차적으로 걸러내어지는 미세먼지의 입자크기에 맞추어 다른 필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이클론 집진부(20)에서 입자크기 10㎛를 초과하는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제1 필터부(31)에서 입자크기 10㎛ 이하의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걸러내고, 제2 필터부(32)에서 입자크기 2.5㎛ 이하의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걸러낼 수 있도록 하거나, 더 미세한 입자를 걸러내기 위하여 광촉매필터 또는 헤파필터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만, 필터부(30)의 구성과 작용은 전술한 것에 한하지 않고,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액티브 에어플랩(40)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액티브 에어플랩(40)은,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 걸쳐, 회전하여 유입구(11)를 개폐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 에어플랩(40)은 유입구(11)를 하우징(10)의 두께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양단이 하우징(10)의 전단부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액티브 에어플랩(40)은 동력을 제공하는 로더를 포함한 액추에이터(41)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41)는 제어부(60)에 의하여 발생하는 동력이 제어된다.
액티브 에어플랩(40)은 하우징(10)의 두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입구(11)에 걸쳐 복수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에어플랩(40)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면, 유입구(11)를 폐쇄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수직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입구(11)가 개방될 수 있다.
액티브 에어플랩(40)이 회전하여 유입구(11)로 들어오는 공기의 유입 방향과 평행하는 각도로 조절되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은 최대값이 된다. 반대로, 액티브 에어플랩(40)이 회전하여 유입구(11)로 들어오는 공기의 유입 방향과 수직한 각도로 조절되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은 최소값이 된다. 즉, 액티브 에어플랩(40)의 회전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센서부(50)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센서부(50)는, 하우징(10)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50)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로 전달되며, 제어부(60)는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하우징(10)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후술할 유량 조절 장치들을 통하여 조절하게 된다.
센서부(50)는, 제1 센서부(51) 및 제2 센서부(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센서부(51)는, 제1 필터부(31)와 제2 필터부(32)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상에 배치되고, 제2 센서부(52)는, 제2 필터부(32)와 배출구(12)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부(51)는, 제1 필터부(31)를 거쳐 제2 필터부(32)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센서부(52)는, 제2 필터부(32)를 거쳐 배출구(12)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센서부(51)와 제2 센서부(52)를 배치하는 이유는, 공기는 유입구(11)로부터 배출부(12)에 이르는 공기 흐름 경로상에서, 사이클론 집진부(20), 제1 필터부(31), 및 제2 필터부(32) 각각의 공기정화장치들을 거치며 유속 및 유량이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유속 및 유량의 변화는, 각각의 공기정화장치들에서의 걸러지는 미세먼지의 양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측정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공기 흐름 경로상의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제어부(60)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60)는,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구동 상태, 및 액티브 에어플랩(4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등, 하우징(10) 내부의 공기 흐름 조절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에서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에 따라 공기 흐름 조절장치들을 제어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부(51)와 제2 센서부(52)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에 따라 공기 흐름 조절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가 공기 흐름 조절장치들을 제어하는 기준값에 대하여,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만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의 측정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어, 유속이 3m/s)과 비교하여, 측정 유속값이 더 작을 경우에는 공기 흐름 조절장치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가속화하고, 측정 유속값이 더 큰 경우에는 공기 흐름 조절장치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낮추는 방식으로 각각의 공기 정화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센서부(50)가 제1 센서부(51)와 제2 센서부(52)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센서부(51)에서 측정된 유속 및 유량의 값은, 제2 센서부(52)에서 측정된 유속 및 유량의 값보다 큰 값이 되며, 따라서, 제1 센서부(51)에서 측정된 유속 및 유량의 값과, 제2 센서부(52)에서 측정된 유속 및 유량의 값의 평균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60)가 각각의 공기 흐름 조절장치들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에어플랩(40)의 회전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예를 들면,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값이면, 그 차이의 정도에 따라, 제어부(60)는 액추에이터(41)를 통해 액티브 에어플랩(40)을 공기의 유입 방향과 평행한 측, 즉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측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반면에,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값이면, 그 차이의 정도에 따라, 제어부(60)는 액추에이터(41)를 통해 액티브 에어플랩(40)을 공기의 유입 방향과 수직한 측, 즉 공기의 흐름을 막는 측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때, 제어부(60)는, 제1 센서부(51) 및 제2 센서부(52)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센서부(51) 및 제2 센서부(52)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만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부(51) 및 제2 센서부(52)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서부(51) 및 제2 센서부(52)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이 필터부(30) 구조상 최적화 처리 유속인 2.5~3.0m/s로 유지되도록,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을 제어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0) 내부의 각각의 공기 정화 장치가 효과적으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데 있어 도움이 된다.
제어부(60)가 하우징(10)으로 이미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에 따라,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사이클론 집진부(20) 가동의 강약을 조절하여 사이클론 집진부(2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50)가 제1 센서부(51) 및 제2 센서부(52)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센서부(51) 및 제2 센서부(52) 각각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에 따라,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을 강, 중, 약 형태로 조절하여 토출부의 출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값이면, 그 차이의 정도에 따라, 제어부(60)는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을 일정 정도 감쇠하여 필터부(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감소시키고, 반대로,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값이면, 그 차이의 정도에 따라,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을 일정 정도 가속하여 필터부(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부(51) 및 제2 센서부(52)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이 필터부(30) 구조상 최적화 처리 유속인 2.5~3.0m/s로 유지되도록,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티브 에어플랩(40)을 제어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1차적으로 조절하고, 사이클론 집진부(20)를 제어하여 하우징(10)으로 이미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2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차량 속도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오버플로우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필터가 가지는 고유 처리 용량에 대하여 가장 효율적인 필터링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하우징(10) 내부의 유입구(11)로부터 배출구(12)에 이르는 공기 흐름 경로상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내부 격벽(1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내부 격벽(13)의 내측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은,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입구(11)와 사이클론 집진부(20) 사이의 제1 경계부(131)를 경계로 폭이 불연속적으로 작아지며, 사이클론 집진부(20)로부터 제1 필터부(31)까지 폭이 일정하도록 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영역은, 사이클론 집진부(20)와 제1 필터부(31) 사이의 폭이 일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제3 영역은, 제1 필터부(31)와 제2 필터부(32) 사이의 하우징(10) 측벽으로부터의 제2 경계부(132)를 경계로 폭이 불연속적으로 작아지며 제2 필터부(32)까지 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유입구(11)로 유입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큰 공간상으로 모여져, 사이클론 집진부(20)로 흐르므로,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되며, 제1 경계부(131)를 경계로 공간이 좁아지므로 상대적으로 빠른 유속으로 사이클론 집진부(20)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론 집진부(20)로부터 제1 필터부(31)까지도 관형의 좁은 공간상으로 빠른 유속을 유지하며 제1 필터부(31)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제1 필터부(31)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퍼져나가며, 제2 경계부(132)를 경계로 공간이 좁아지므로, 이 공기는 다시 빠른 유속으로 제2 필터부(32)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부 격벽(13)에 따라 사이클론 집진부(20)와, 제1 및 제2 필터부(31, 32)와 같은 공기 정화 장치에 공기 정화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유속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사이클론의 집진부의 집진 효율과, 필터의 고유 처리 용량에 대한 필터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속도뿐만 아니라 우천시에는 대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으므로, 이를 고려하는 우수감지센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수감지센서(70)는, 운행중인 차량으로 떨어지는 우수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우수감지센서(70)는 차량의 전면유리 중앙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우수감지센서(7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종래 차량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60)는, 우수감지센서(70)에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대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으므로 미세먼지 제거 장치의 가동이 가속되지 않아도 되므로, 우수감지센서(70)의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이 증가하면, 우수의 양의 정도에 따라, 제어부(60)는 액추에이터(41)를 통해 액티브 에어플랩(40)을 공기의 유입 방향과 수직한 측, 즉 공기의 흐름을 막는 측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반대로, 우수감지센서(70)의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이 없거나 감소하면, 우수의 양의 정도에 따라, 제어부(60)는 액추에이터(41)를 통해 액티브 에어플랩(40)을 공기의 유입 방향과 평행한 측, 즉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측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또한, 우수감지센서(70)의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이 증가하면, 우수의 양의 정도에 따라, 제어부(60)는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을 일정 정도 감쇠하여 필터부(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감소시키고, 반대로, 우수감지센서(70)의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이 없거나 감소하면, 우수의 양의 정도에 따라, 제어부(60)는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을 일정 정도 가속하여 필터부(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강우가 이루어지는 경우 실질적으로 대기 중 미세먼지의 양이 적으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속 및 유량을 줄여 각각의 미세먼지 제거 장치의 가동상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한편, 센서부(50)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빨라지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증가하고, 차량의 속도가 느려지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감소하므로, 상기 센서부(50)에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만을 측정하여 이를 제어하는데 반영할 수 있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과,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차량의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조절되며, 차량의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이때, 차량의 속도는 이미 차량에 설치된 속도계 또는 GPS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센싱장치를 통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속도까지 고려함으로써, 미세먼지 제거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미세먼지 제거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행중인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에는, 제1 센서부(51) 및 제2 센서부(52)와 같은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값이 '0'값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이 저속으로 운행되는 경우 센서부(50)에서 측정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값이 낮으므로, 상기 센서부(50)에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만을 측정하여 이를 제어하는데 반영할 수 있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차량의 공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센서부(50)는, 차량의 공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60)는, 운행중인 차량이 정차하거나 저속인 경우,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과, 차량의 공회전 속도 측정값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과,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측정된 차량의 공회전 속도를 측정된 차량의 속도로 보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60)에서 공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셋팅값을 미리 설정해 두고 이에 맞게 액티브 에어플랩(40)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20)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운행중인 차량이 정차하거나, 저속으로 운행할 때에도,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우수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셔터형 에어벤트(81) 및 우수 배출 경사면(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셔터형 에어벤트(81)는, 하우징(10)의 배출구(12)에 걸쳐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 우수감지센서(70)에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제어부(60)에 의해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구성이다.
우수 배출 경사면(82)은, 배출구(12)의 하측에서,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가 하우징(10) 내에 고이지 않도록, 하우징(10) 바깥쪽을 향해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차량으로 떨어지는 우수는 셔터형 에어벤트(81)에 의해 1차적으로 하우징(10) 내부로의 유입이 방지되고, 이미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우수 배출 경사면(82)을 통해 2차적으로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사이클론 집진부(20)와 제1 및 제2 필터부(31, 32)와 같은 미세 먼지 제거 장치들은 미세먼지가 끼임에 따라 그 효율이 낮아지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필터 등과 같은 장치를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하우징(10)에서, 사이클론 집진부(20), 제1 필터부(31), 및 제2 필터부(32) 각각의 상단에는, 제1 도어부(91), 제2 도어부(92), 및 제3 도어부(9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 도어부(91), 제2 도어부(92), 및 제3 도어부(93)를 개폐하여, 사이클론 집진부(20), 제1 필터부(31), 및 제2 필터부(32) 각각을 용이하게 청소 및 교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분야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하우징 11: 유입구
12: 배출구 13: 내부 격벽
20: 사이클론 집진부 30: 필터부
31: 제1 필터부 32: 제2 필터부
40: 액티브 에어플랩 50: 센서부
51: 제1 센서부 52: 제2 센서부
60: 제어부 70: 우수감지센서
81: 셔터형 에어벤트 82: 우수 배출 경사면

Claims (13)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자동차의 차체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원심력을 작용하여 미세먼지를 분리 포집하는 사이클론 집진부;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부;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 걸쳐, 회전하여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액티브 에어플랩;
    하우징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의 구동 상태, 및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의 가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유입구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공기 흐름 경로상에 있어서, 공기는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를 차례로 거치며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센서부는,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로 이루어지며,
    제1 센서부는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상에 배치되고, 제2 센서부는 제2 필터부와 배출구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가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입구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공기 흐름 경로상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내부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격벽의 내측은,
    상기 유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사이의 제1 경계부를 경계로 폭이 불연속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로부터 상기 제1 필터부까지 폭이 일정하도록 도달하는 제1 영역;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와 상기 제1 필터부 사이의 폭이 일정한 제2 영역; 및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의 상기 하우징 측벽으로부터 제2 경계부를 경계로 폭이 불연속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제2 필터부까지 도달하는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운행중인 차량으로 떨어지는 우수의 양을 측정하는 우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사이클론 집진부의 가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에서 각각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의 평균값이 2.5~3.0m/s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가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과, 차량의 속도값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공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운행중인 차량이 정차하거나 저속인 경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의 측정값과, 상기 차량의 공회전 속도 측정값에 따라, 상기 액티브 에어플랩의 개폐 정도 및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의 가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습식방식이고, 벌집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 표면이 금속재질로 나노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운행중인 차량으로 떨어지는 우수의 양을 측정하는 우수감지센서;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걸쳐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우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셔터형 에어밴트; 및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가 하우징 내에 고이지 않도록, 하우징 바깥쪽을 향해 경사지게 이루어진 우수 배출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 각각의 상단에는, 각각 제1 도어부, 제2 도어부, 및 제3 도어부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 각각을 용이하게 청소 및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190092923A 2019-07-31 2019-07-31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24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923A KR102242696B1 (ko) 2019-07-31 2019-07-31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923A KR102242696B1 (ko) 2019-07-31 2019-07-31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895A true KR20210014895A (ko) 2021-02-10
KR102242696B1 KR102242696B1 (ko) 2021-04-21

Family

ID=7456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923A KR102242696B1 (ko) 2019-07-31 2019-07-31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6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4844A (zh) * 2021-07-28 2021-12-10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公路环境的维护装置
US20220401968A1 (en) * 2021-06-22 2022-12-22 Foremost Equipment LP Multicyclone separator
WO2023047292A1 (en) * 2021-09-21 2023-03-30 Rhapis s.r.l. Vehicular system for purifying the ai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6913A (en) * 1994-02-18 1997-10-14 Bcp S.R.L. Mobile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polluted air, and process therefor
KR100298276B1 (ko) * 1992-07-16 2001-11-22 미셸 푸르니에 육상차량내부의급격한압력변화를제거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20070006146A (ko) * 2005-07-07 2007-01-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vac 덕트의 유량자동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04891A (ko) * 2009-03-19 2010-09-29 한국기계연구원 집진장치가 설치된 지하철 전동차
KR101173496B1 (ko) * 2011-11-29 2012-08-14 한국기계연구원 수막형성용 친수성 집진판이 설치된 전기집진기
KR101517906B1 (ko) * 2013-06-20 2015-05-06 손동욱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KR101925825B1 (ko) * 2018-06-19 2018-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운행중인 자동차를 활용한 도시 미세먼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276B1 (ko) * 1992-07-16 2001-11-22 미셸 푸르니에 육상차량내부의급격한압력변화를제거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5676913A (en) * 1994-02-18 1997-10-14 Bcp S.R.L. Mobile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polluted air, and process therefor
KR20070006146A (ko) * 2005-07-07 2007-01-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vac 덕트의 유량자동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04891A (ko) * 2009-03-19 2010-09-29 한국기계연구원 집진장치가 설치된 지하철 전동차
KR101173496B1 (ko) * 2011-11-29 2012-08-14 한국기계연구원 수막형성용 친수성 집진판이 설치된 전기집진기
KR101517906B1 (ko) * 2013-06-20 2015-05-06 손동욱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KR101925825B1 (ko) * 2018-06-19 2018-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운행중인 자동차를 활용한 도시 미세먼지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1968A1 (en) * 2021-06-22 2022-12-22 Foremost Equipment LP Multicyclone separator
CN113774844A (zh) * 2021-07-28 2021-12-10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公路环境的维护装置
CN113774844B (zh) * 2021-07-28 2023-09-05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公路环境的维护装置
WO2023047292A1 (en) * 2021-09-21 2023-03-30 Rhapis s.r.l. Vehicular system for purifying the 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696B1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696B1 (ko)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US10286882B2 (en) Motor vehicle with dust collector
KR101925825B1 (ko) 운행중인 자동차를 활용한 도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517906B1 (ko)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US20090308244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Filtering Air in an Urban Environment
CN105013255B (zh) 一种车载道路浓雾及雾霾清理设备
KR20200123356A (ko) 먼지 저감 장치
KR100913117B1 (ko) 루프형 고유속 터널 공기 정화 장치
CN208465462U (zh) 车辆和车辆空气检测装置及其水气分离器
CN205349576U (zh) 滤清器
KR20210054426A (ko) 싸이클론 집진 장치
CN108079724B (zh) 除尘器
KR102279161B1 (ko)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KR101905582B1 (ko) 배출 공기 정화 장치
KR102123416B1 (ko) 이동수단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CN209464835U (zh) 自吸式多级气体分离、净化收尘器
JP3990180B2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
CN107477698A (zh) 空气净化器
CN208198421U (zh) 标准动车用复合式空气调节器
US20240133566A1 (en) Air Treatment Device
KR20200103387A (ko) 공기 청정기
KR20140087354A (ko) 대기정화장치
KR102497855B1 (ko) 먼지 제거 장치
KR102280310B1 (ko) 차량용 집진 장치
KR102599443B1 (ko) 집진 성능이 향상된 노면청소차의 집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