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862B1 - 선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선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862B1
KR100297862B1 KR1019930022473A KR930022473A KR100297862B1 KR 100297862 B1 KR100297862 B1 KR 100297862B1 KR 1019930022473 A KR1019930022473 A KR 1019930022473A KR 930022473 A KR930022473 A KR 930022473A KR 100297862 B1 KR100297862 B1 KR 10029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uronyloxy
drug
compound
bet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685A (ko
Inventor
클라우스보슬렛
외르그크제흐
디이터호프만
체네크콜러
프랑소아틸꿰
쟝-끌로드플로랑
미셸아줄레
끌로드모느레
쟝-끌로드쟈끄지
쟝-피에르즈쏭
미셸코쉬
Original Assignee
베르나르 위니키
라보라뜨와르 휙스트
필립 슈타인, 헤리베르트 부그
베링베르케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나르 위니키, 라보라뜨와르 휙스트, 필립 슈타인, 헤리베르트 부그, 베링베르케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르나르 위니키
Publication of KR94000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8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9Sugars, nucleosides, nucleotides or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1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acids having the group -X-C(=X)-X-, or halides thereof, in which each X means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arbonic acid, carbam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03Monocyclic carbocyclic rings other than cyclohexane rings; Bicyclic carbocyclic r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이코실-스페이서-약물 화합물(선구약물), 이의 제조방법 및 약제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선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글라이코실-스페이서-약물(glycosyl-spacer-drug) 화합물(선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악성 종양,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는 치료요법의 부적합한 효력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심각한 부작용과 관련된다. 이러한 결점은 사용된 약물의 생체내 선택성이 너무 낮다는데 주원인이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약물의 시험관내 약리학적 특성의 적합성이 생체내에서 확증될 수는 없다.
물론 커다란 성공은 없었지만, 학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수년간 관심을 기울여 왔다. 한가지 연구 방향은 생체내에서 선구약물로 대사화되고, 이어서 약물을 제공하기 위해 효소에 의한 위치-특이적으로 분해되는 물질의 제조 및 사용에 관한 것이었다. 따라서, 스위니 등[참조: Sweeney et. al., Cancer Research 31, 477-478, 1971]은 동물체에서 악성 종양의 치료를 위해, 생체내에서 불활성 마이코 페놀산 글루쿠로니드로 대사화되는 마이코페놀산을 사용하였다. 종양 성장에 대해 관찰된 효과는 종양세포 외부, 즉 종양세포막 상에 존재하는 글루쿠로니다제로 글루쿠론산을 효소적으로 제거하고 종양세포내로 마이코페놀산을 흡수시키는 방법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설명되었다. 동일한 개념에 근거한 치료의 시도가 임상적 시도로서 아닐린 무스타드를 사용하여 영 등[참조; Young et al., Cancer 38, 1887-1895, 1976]에 의해 수행된 바 있다. 이들은, 높은 β-글루쿠로니다제 농도에 대해 시험한 종양 환자를, 이들의 이론에 따라 간에서 하이드록실화되어야만 하고, 이어서 글루쿠로니드화되며 종양에서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분해되어 독성 하이드록시아닐린 무스타드로 되는, 아닐린 무스타드를 사용하여 치료하였다. 그러나, 치료 결과는 오히려 실망스러웠다.
다른 연구 방향이 진일보하여, 예를 들어 아닐린 무스타드 메틸 글루쿠로네이트 또는 6-머캅토퓨린 글루쿠로니드의 화학적 제조를 실현하였다. 그러나, 이들 선구약물은 단지 낮은 수준의 해독 작용을 나타내며 생체내 용도로 쓰인다. 보다 바람직한 특성이 일본국 연구진(참조: Baba et al., Gann, 69, 283-284, 1978)이 개발한 화합물인 5-플루오로우라실 O-β-D-글루쿠로니드(FUOG)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 N-글루쿠로니드(FUNG)에 의해 나타났다. 5-플루오로우라실의 글루쿠로니드화 반응은 LD50을, 5-FU에 대해 200mg/kg으로부터 상응하는 글루쿠로니드에 대해 5,000mg/kg까지 증가시킨다. 그러나, 뚜렷한 효과는 마우스 유방 육종 치료에서 FUOG의 10회 혈관내 투입과 글루코스 산성화로부터만 수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치료는 종양편 이식 후 24시간내로 빨리 개시하였는데, 이 시간은 생성된 종양을 아직 확실히 언급할 수 없는 시간이다. 아마도, 이식중 발생되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에 의한, 라이소좀성 글루쿠로니다제가 종양에 방출되게 되며 글루코스 처리와 관련된 pH 감소와 함께 생체내 활성을 나타낼 것이다. 그러나, 임상적 상황에 대한 이 모델의 관련성은 심히 의심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까지도 이들 화합물로부터 생겨나는 치료제가 전혀 없다는 사실은 이들 화합물의 생체내 활성이 낮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카체넬렌보겐의 연구진[참조: Katzenellenbogen, WO 81/01145]은 글루쿠로닐-약물 대신에 펩타이드-스페이서-약물의 합성으로부터 선구약물의 활성 개선을 예견하였다. 이 경우에 사용키 위한 활성화 효소는, 예를 들어, 플라스민 또는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와 같은 종양-관련 피브린 용해화 또는 응고화 프로테아제이다. 문헌[참조: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4, 479-480(1981), WO 81/01145]에 기재되어 있는 독소루비신- 또는 아라비노실시토신-스페이서-펩타이드 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생체내 약리학적 활성이 나타나 있지 않으며, 이는 시험관내에서 프로테아제에 의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생체내 선택적 활성의 결핍은, 인체내에서 상기한 프로테아제의 어디에나 존재하는 세포외적 발생에 대한 현재의 우리 지식을 배경으로 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글루코스 산성화[참조: Bada, T. et al., Gann 69, 283-284, 1978)를 병행했는데도 글루쿠론산을 함유하는 선구약물의 그리 썩 성공적이지 못한 사용에 관한 다수의 인용 문헌에서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루빈(Rubin)은 1984년에 미합중국 특허 제4,481,195호를 허여받았는데, 여기에서 그는 종양의 산성화와 정상 조직의 알칼리화 후의 글루쿠론산-약물 화합물의 용도를 제안하고 있다. 임상적 성공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치료제도 아직까지 이 발명으로부터 생겨나지 못했다.
또한, 에스테라제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부티르산 선구약물이 기재된 바 있다. 그러나, 생체내에서 선구약물로부터 방출된 부티르산의 치료 효과는 표준 세포증식 억제제(cisplatin)의 효과에 비해 열등하다.
지금까지 논의된 모든 연구는 내생성 효소의 선구약물 활성화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원리로 성취할 수 있는 생체내 치료 효과는 표준 화학요법에 비해 탁월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전술한 연구방향(내생성 효소에 의한 선구약물 활성화)과 독립적으로, 표적조직내에 이종기원성 항체-효소 접합체의 예비 배치 후, 표적 조직 내에서 세포 독성 약제에 대한 선구약물을 선택적으로 분해시키고자 시도하는 새로운 연구 방향의 개발이 있어 왔다[참조: Philpott et al., Surgery 74, 51, 1973; Cancer Res. 34, 2159, 1974]. 이 연구에 근거하여 바그샤베(Bagshawe; WO 88/07378)는 종양 치료에서 선구약물과 함께 이종기원성 항체-효소 접합체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그는 항체-효소 접합체로서 세균 기원의 카복시펩티다제 G2에 화학적으로 커플링시킨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 및 선구약물로서 글루타밀 무스타드를 사용하였다. 센터(Senter, 미합중국 특허 제4,975,278호)는 알칼린 포스파타제 또는 페니실린 V 아미다제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로 구성된 항체-효소 접합체와 에토포시드 포스페이트 및 N-(p-하이드록시페녹시아세틸)아드리아마이신 또는 선구약물의 혼용을 기술하고 있다. 바그샤베와 센터의 두가지 시스템 모두는 사용된 항체-효소 접합체가 이종기원성이며 이에 따라 고도로 면역원성이라는 단점이 있다. 이것은 아마도 수회의 치료 주기로 동일한 환자에게 반복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센터의 시스템은 인체 혈액 중에 상당량의 포스파타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선구약물의 계통적 활성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같은 결점 때문에, 보슬렛 등[참조: Bosslet et al., Br. J. Cancer 65 234-238, 1992]은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였는데, 이는 인간화시킨 항-CEA 항체의 F(ab′)2 단편과 사람 β-글루쿠로니다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효소적으로 활성이고, 종양 선택성을 가지며 글루쿠로닐-약제를 분해할 수 있으며[참조: Florent et al., lnt. Carbohydr. Symposium p. 297, Abstract A262, Paris, 1992; Gesson et al., lnt. Carbohydr Symposium p. 298, Abstract A263, Paris, 1992; Andrianomenjanahary et al., lnt. Carbohydr. Symposium p. 299, Abstract A264, Paris, 1992], 현재의 지식에 따른다면, 단지 경미하거나 또는 전혀 면역원성을 갖지 않는다.
이 융합 단백질로부터 최적으로 분해되도록 한 화합물의 합성 및 생체내 약리학적 시험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에, 본 출원인들은, 놀랍게도 융합 단백질의 예비투여없이 염증 발생 및 자가면역 질환에서 현저한 비율로 분열되는 세포를 갖는, 종양내에서 대단히 효율적으로 분해되는 물질을 발견해냈다.
이 경우, 이 화합물은 건강한 사람에서는 주로 세포내에서 발생하지만 상기 언급한 병리생리학적 조건하에서는 국소적인 세포외 발생을 나타내는 효소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들 화합물은 글라이코실-스페이서-약물의 일반식을 가지며, 여기에서 글라이코실 라디칼과 스페이서는 생리학적 또는 병리생리학적 조건하에서 약물을 분해시킬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폴리-, 올리고- 또는 모노글라이코실 라디칼이 효소적 가수분해로 분해된 다음 스페이서는 화학적 가수분해에 의해 자발적으로 분해되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약물은 생물학적 효과를 갖는 화학물질, 특히 약제학적 제제 및 추가로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이미노 그룹을 도입시켜 수득한 이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런 유형의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일반식(I)의 글라이코실-스페이서-약물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글라이코실-Y[-C(=Y)-X-]p-W(R)n-X-C(=Y)-약물 (I)
상기식에서, 글라이코실은 효소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다당류, 올리고당류 또는 단당류이며, W는 공액 이중 결합을 갖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또는 지방족 그룹이거나, 글라이코실 라디칼 제거 후 폐환되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5 내지 20이고 헤테로 원자수가 0 내지 4인 아미노산 유도체(여기서, 헤테로 원자는 치환체 R이 결합될 수 있는 N, 0 또는 S를 나타낸다)이며, R은 독립적으로 또는 동일하게 H, 메틸, 메톡시, 카복실, 메틸옥시카보닐, CN, 하이드록실, 니트로, 불소, 염소, 브롬, 설포, 설파모일 또는 (C1-4)-알킬설파모일이며,
p는 0 또는 1이고, n은 정수이며, X는 O, NH, 메틸렌옥시, 메틸렌아미노 또는 메틸렌(C1-4)-알킬아미노이고, Y는 O 또는 NH이며, 약물은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이미노 그룹을 통해 연결되고 생물학적 효과를 갖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제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실 또는 p가 0일때 3′-아미노 그룹이 아닌 그룹을 통해 연결된 안트라사이클린, 바람직하게는 독소루비신, 4′-에피독소루비신, 4- 또는 4′-데옥시독소루비신이거타, 또는 에토포시드, N,N-비스(2-클로로에틸)-4-하이드록시아닐린, 4-하이드록시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데신,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테르페나딘, 테르부탈린, 페노테롤, 살부타몰, 무스카린, 옥시펜부타존,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5-플루오로우라실, 5-플루오로시티딘, 5-플루오로우리딘, 메토트렉세이트, 디클로페낙, 플루페남산, 4-메틸아미노페나존, 테오필린, 니페디핀, 미토마이신 C, 미토잔트론, 캠프토테신, m-AMSA, 탁솔, 노코다졸, 콜히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라켈마이신, 시스플라틴, 멜팔란, 블레오마이신, 니트로겐 무스타드, 포스포르아미드 무스타드, 퀄쎄틴, 제니스테인, 에르브스타틴, 티르포스틴, 로히투킨 유도체((-)-시스-5,7-디하이 드록시-2-(2-클로로페닐)-8-[4-(3-하이드록시-1-메틸)-피페리디닐]-4H-1-벤조피란-4-온; EP 89119710.5), 레티노산, 부티르산, 포르볼 에스테르, DMSO, 아클라시노마이신, 프로게스테론, 부세레린, 타목시펜, 미페프리스톤 오나프리스톤, N-(4-아미노부틸)-5-클로로-2-나프탈렌설폰아미드, 피리디닐옥사졸-2-온, 퀴놀릴옥사졸-2-온, 이소퀴놀릴옥사졸-2-온, 스타우로스포린, 에탄올아민, 베라파밀, 폴스콜린, 1,9-디데옥시폴스콜린, 퀴닌, 퀴니딘, 레세르핀, 메틸 18-O-(3,5-디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일)레서페이트, 로니다민, 부티오닌-설폭시민, 디에틸 디티오카바메이트, 사이클로스포린 A, 아자티오프린, 클로람부실, 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시아노-3-하이드록시크로톤아미드(WO 91/17748), 15-데옥시스퍼구알린, FK 506,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아스피린, 설파살라진, 페니실아민, 클로로퀼,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리도카인, 프로파페논 프로카인, 메페남산, 파라세타몰, 4-아미노 페나존, 무스코신, 올시프레날린, 이소프레날린, 아밀로라이드, p-니트로페닐 구아니디노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이미노 그룹 하나 이상으로 추가로 치환된 이의 유도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일반식(I)의 화합물은, W가 페닐 라디칼 또는 다치환된 페닐 라디칼을 나타내며, R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일하게 H, 메틸, 메톡시, 카복실, 메틸옥시카보닐, CN, 하이드록실, 니트로, 불소, 염소, 브롬, 설포, 설파모일 또는 (C1-4) 알킬설파모일이고, p가 0 또는 1이며, n이 1 내지 4이고, X가 0, NH, 메틸렌옥시, 메틸렌아미노 또는 메틸렌(C1-4)-알킬아미노이며, Y가 0 또는 NH이고, 약물이 상기 정의한 화합물인 것들이다.
특히 바람직한 일반식(I)의 화합물은, 글라이코실이 다당류, 올리고당류 또는 단당류, 특히 α- 또는 β-O-글라이코시드적으로 결합된 D-글루쿠로닐, D-글루코피라노실, D-갈락토피라노실, N-아세틸-D-글루코스아미닐, N-아세틸-D-갈락토스아미닐, D-만노피라노실 또는 L-푸코피라노실 라디칼이고, W가 페닐 라디칼 또는 일치환된 페닐 라디칼이며, R중 하나가 메톡시, 메틸옥시카보닐, CN, 하이드록실, 니트로, 불소, 염소, 브롬, 설포 또는 설파모일이고 나머지는 수소이며, X가 0, NH, 메틸렌옥시, 메틸렌아미노 또는 메틸렌-메틸아미노이고, Y가 0 또는 NH이며, 약물이 상기한 화합물인 것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다음과 같다:
글라이코실 라디칼이 효소적 가수분해로 분해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가 화학적 가수분해로 자발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약물이,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이미노 그룹을 추가로 도입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약물보다 친수성이고, 생체내에서 약물 자체 보다 훨씬 적은 독성 반응을 일으키도록 하는 약제학적 제제 또는 이의 유도체로서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이며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이미노 그룹으로 추가로 치환되고 종양 성장을 저하시키며 표준 세포 증식 억제제이고 항대사물질이며 5-플루오로우라실, 5-플루오로시티딘, 5-플루오로우리딘, 사이토신 아라비노사이드 또는 메토트렉세이트이고 DNA로 삽입되는 물질이며 독소루비신, 다우노마이신,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또는 미토잔트론이고 토포이소머라제 I + II를 억제하며 캠프토테신, 에토포시드 또는 N-AMSA이고, 튜블린 억제제이며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빈데신, 탁솔, 노코다졸, 콜히친 또는 에토포시드이며 알킬화제이고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미토마이신 C, 라켈마이신, 시스플라틴, 포스포르아미드 무스타드, 멜팔란, 블레오마이신, 니트로겐 무스타드 또는 N,N-비스(2-클로로에틸)-4-하이드록시아닐린이며 네오칼시노스타틴, 칼리케아미신, 다이네미신 또는 에스페라미신이고 라이보좀을 불활성화시키는 화합물이며 베루카린 A이고 티로신 포스포키나제 억제제이며 퀄쎄틴, 제니스테인, 에르브스타틴, 티르포스틴 또는 로히투킨 유도체이고 분화 유도체이며 레티노산, 부티르산, 포르볼 에스테르, DMSO 또는 아클라시노마이신이고 호르몬, 호르몬 효능제 또는 호르몬 길항제이며 프로게스테론, 부세레린, 타목시펜, 미페프리스톤 또는 오나프리스톤이고 세포 증식 억제제에 대해 다면 발현 내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이며 칼모듈린 억제제이고 단백질 키나제 C 억제제이며 P-당단백질 억제제이고 마이토콘드리아상에 결합한 헥소키나제 조절제이고 β-글루타밀시스테인 합성효소 또는 글루타티온 S-전이효소의 억제제이고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의 억제제이며 분열중인 세포의 세포핵 내에서 MAb Ki67로 규정된 증식-관련 단백질의 억제제이고 면역억제 효과를 갖는 물질이며 마크로라이드(macrolide)이며 표준 면역억제제이고 사이클로스포린 A, 라파마이신, FK 506이며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또는 코람부실이고 소염 효과를 갖는 물질이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물질이고 지효성 류마티스 치료제이며 스테로이드이고 소염, 진통 또는 해열 효과를 갖는 물질이며 유기산의 유도체이고 비산성 진통/소염제이며 옥시펜부타존이고 국소 마취제이며 부정맥 치료제이고 Ca++길항제이며 항히스타민제이고, 포스포디에스터라제의 억제제이며 부교감 신경자극 흥분제 교감 신경 자극 흥분제 또는 사람 유로키나제에 억제효과를 갖는 물질인 화합물; 및
또한 글라이코실 라디칼이 α- 또는 β-O-글라이코시드적으로 결합된 D-글루쿠로닐, D-글루코피라노실, D-갈락토피라노실, N-아세틸-D-글루코스아미닐, N-아세틸-D-갈락토스아미닐, D-만노피라노실 또는 L-푸코피라노실 라디칼이거나, 4′-O-[4-(α-D-글루코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4′-O-[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4′-O-[4-(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4′-O-[4-(β-D-글루쿠로닐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4′-O-[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미노카보닐] 에토포시드, 4′-O-[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아미노카보닐] 에토포시드, 1-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미토마이신 C, 14-O-[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미노카보닐]독소루비신, 4-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4-하이드록시-N,N-비스(2-클로로에틸)아닐린, 4-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테르페나딘, 3′-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테르부탈린, 3′-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페노테롤, 1″-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살부타몰, 3-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무스카린, 4′-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옥시펜부타존, 2-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살리실산, 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디클로페낙, 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플루페남산, 4-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4-메틸아미노페나존, 7-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테오필린, 1-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니페디핀, 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2-[1-시아노-1-(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프로펜-1-일카보네이트, 3′-N-[4-N-(α-N-갈락토실옥시카보닐)-4-아미노벤질옥시카보닐]독소루비신, 9-O-[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옥시카보닐]퀴닌 또는 메틸 18-O-[3,5-디메톡시-4-[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옥시카보닐]벤조일]레서페이트인 화합물이다.
이들 화합물은 적절한 약제학적 제형(예를 들어, 리포좀 또는 캐리어로서의 사람 단백질과 함께)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문헌[참조: Andrianomenjanahary et al., Int. Carbohydr. Symposium, p. 299, Abstract A264, Paris, 199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한 일반식(II)의 페닐 글리코사이드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기 염기 및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및 디클로로에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의 존재하에 반응성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이미노 그룹을 통해 약물,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술한 약물과 반응시켜 보호된 중간체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 알칼리 금속 시아나이드, 산화바륨, 피페리딘 또는 모르폴린을 사용하여 메탄올, 에탄올 또는 물의 존재하에 가수분해시킴으로써 보호 그룹을 제거함을 포함하는, 일반식(I)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라이코실-Y[-C(=Y)-X-]p-W(R)n-X-C(=Y)-Z (II)
상기식에서, 글라이코실은 하이드록실 그룹이 유리 상태이거나 아세틸 또는 할로겐으로서 불소 또는 염소를 갖는 모노-, 디- 또는 트리할로아세틸 보호 그룹 또는 벤질 보호 그룹으로 보호된 다당류, 올리고당류 또는 단당류이며,
W는 공액 이중 결합을 갖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또는 지방족 그룹이거나, 글라이코실 라디칼 제거 후 폐환되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5 내지 20이고 헤테로 원자수가 0 내지 4인 아미노산 유도체(여기서 헤테로 원자는 치환체 R이 결합될 수 있는 N, 0또는 S를 나타낸다)이며,
R은 독립적으로 또는 동일하게 H, 메틸, 메톡시, 카복실, 메틸옥시카보닐, CN, 하이드록실, 니트로, 불소, 염소, 브롬, 설포, 설파모일 또는 (C1-4)-알킬설파모일이고,
p는 0 또는 1이며,
n은 정수이고,
X는 O, NH, 메틸렌옥시, 메틸렌아미노 또는 메틸렌(C1-4)-알킬아미노이며,
Y는 O 또는 NH이고,
Z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자이드 또는 N-석신이미독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반응성 이탈 그룹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이코실-스페이서-약물 화합물(선구약물)의 약리학적 활성을 관련 동물 실험 시스템에서 생체내 시험하였다. 종양학적 표징으로 선정된 모델은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사람 종양을 이식시킨 것이며 종양 안착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을 혈관내 투여한다.
결과(표와 함께 실시예 26 내지 28)는, 현저한 비율로 분열되는 종양 세포를 갖는 종양에 대해서, 본 발명의 선구약물은 최대 허용 약물 투여량으로 수행한 표준 화학 요법에 비해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양세포의 상당 부분의 분열이 종양의 크기 및 이로 인한 종양부의 영양 결핍(중앙부 회저)으로 인한 것인지 또는 치료 단계와 병행하거나 또는 그 이후에 사용되는, 치료 단계중 외부적으로 투여하는 물질(면역독소, 조사, 항체-효소 접합체의 탁월한 양태로서의 융합 단백질, 결합 영역과 DNAse I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 예를 들어 scFVDNAse I, 세포 증식 억제제 등)로 인해 유도된 것인지의 여부는 큰 문제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의 탁월한 약리학적 활성은 다음의 특징으로부터 유래한다 :
a) 선구약물은 선구약물내에 함유되어 있는 표준 약물에 비해 생체내에서의 독성이 현저하게(> 70배) 낮다.
b) 생체내 활성화 부위(종양)에서, 선구약물로부터 방출되는 세포독성 약물의 양은, 상기한 실험 조건하에서 표준 혈관내 요법으로 종양내에서 성취할 수 있는 약물의 양에 비해 5 내지 50P 높다.
c) 정상 조직 중에서 비특이적으로 선구약물로부터 방출되는 약물의 양 또는 종양에서 생성되는 약물로부터의 잠재적 이동으로 야기되는 정상 조직에서의 약물농도는 표준 약물의 혈관내 투여 후 도달되는 정상 조직에서의 약물 농도보다 훨씬낮다. 이런 사실은 약제(a)와 비교하여 선구약물의 생체내 독성의 현격한 감소를 입증하는 데이터를 지지한다.
d) 혈장 약물역학적 연구 및 뇨 분석은,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이 건강한 동물체에서 미분해 선구약물로서 주로 신장을 통해 대단히 신속하게(t½=12분)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이 적절히 친수성이며 이는 주로 생체내에서 세포 외적 분산을 나타나게 한다는 결론을 도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의 글라이코실 부분이 병리 생리학적 상태하에서 국소적으로 방출되는 효소에 의해서만 분해 제거될 수 있도록 선택되었기 때문에, 친유성 약물 역시 마찬가지로 표적 조직에서만 방출될 수 있으며 당해 조직에서 약제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세포독성 약물 성분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약물의 탁월한 효과는, 상이한 세포독성 약물 성분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과 조합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유리한 선구약물 조합은, 다중화학 요법에 따라 사용된 세포 독성 성분과 상이한 작용 기작을 갖는 것들이다. DNA에서 대단히 효율적으로 단쇄 또는 이본쇄 파괴를 유발시키는, 칼리케미신(calicheamicin)과 같은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유리한 선구약물 조합은, 예를 들면, 하나의 약물이 세포독성 능력을 가지나, 다른 것은 복합약제 내성을 차단하는 경우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적합한 것은 약물 성분이, 칼모듈린 억제제로서, 단백질 키나제 C 억제제로서, P 당단백질 억제제로서, 이온채널 차단제로서 티로신 포스포키나제를 억제하고, 분화를 유도하며 호르몬 또는 호르몬-길항 효과를 나타내거나, 미토콘드리아의 헥소키나제를 억제하거나, γ-글루타밀시스테인 합성효소, 글루타티온 S 트랜스퍼라제 및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를 억제함으로써 다제 내성에 영향을 끼치는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이다. 종양성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른 관심있는 약물은 제데스 등[참조: Gerdes et al., Amer. J. Pathol. 138, 867-873, 1991]이 기술한 증식-유도된 단백질을 작용적으로 차단하는 화합물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글라이코실-스페이서-약물중에서 약물 성분으로서, 국소적 효소적 활성화 후에 특히 선택적으로 이들 약물의 유효성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야만 한다.
특히 유익한 치료적 효과는, 예를 들어, 글루쿠로닐-스페이서-퀴닌 선구약물을 글루쿠로닐-스페이서-독소루비신 선구약물과 혼용하여 사용할때 성취할 수 있다(표 2 참조). 분석적 조사 결과는 이런 타입의 혼용에서 종양중의 퀴닌 농도가, 통상적인 세포성장 억제 요법과 비교할 경우의 세포성장 억제 약물 농도의 경우처럼, 통상적인 퀴닌 처리와 비교하여 유사하게 상당한 범위까지 증가함을 보여준다.
비종양학적 질환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의 약리학적 시험을 위해 다음과 같은 동물 실험 시스템이 선택되었다:
a) 마우스에서 육아종 포낭 모델:
Bottomley et al., Brit. J. Pharmacol. 93 627-635 (1988)
b) 래트에서의 보조관절염
Schorlemmer et al., Exptl, Clin. Res. XVII(10/11) 471-483 (1991)
c) 마우스에서의 DTH 모델
Dickneite et al., Infect. Immun. 44(1), 168-174 (1984)
d) 마우스에서 덱스트란 설페이트로 유도된 대장염
Okayasu et al., Gastroenterology 98, 694-702 (1990)
e) EAE 모델
Schorlemmer et al., Drugs Exptl. Clin. Res. XVII (10/11) 461-469 (1991)
f) MRL-1 모델
Schorlemmer et al., Int, J. Immunother. VII (4) 169-180 (1991)
실시예 8과 22에 상세하게 기재한, 특히 선구약물 화합물 8 또는 23의 활성을 이들 모델에서 조사하였다. 활성 물질(레플루노마이드; Leflunomide) 자체와 비교하여 선구약물 22의 탁월한 활성은 특히 보조관절염 및 EAE에서 밝혀졌다. 표준 요법과 비교하여 선구약물 8의 탁월한 효과는 DTH에 대해 밝혀졌다. 종양학적 표징중 선행 연구와 유사한 방법에서, 탁월한 활성은 고농도의 약물, 특히 활액(보조관절염)중 농도와 관련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비종양학적 모델 중에서 이와 같은 사실은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이 일반적인 활용성을 가짐을 암시하는 것이다. 적절한 약물 성분은 치료적 용도가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과 관련있거나 유효한 농도가 생체내에서 단지 최저에 달하게 되는 모든 물질일 수 있다. 실시예 22로부터의 면역억제 활성 성분이외에도, 여기에는 다른 면역 억제제(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플로포스파미드, 클로람부실, 15-데옥시스퍼구알린, 사이클로스포린 A, FK 506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예: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아스피린 등), 지효성 류마티스 치료제(SAARDs; 예: 설파살라진, 페니실아민, 클로로퀸) 및 스테로이드류(예: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등)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중 약물 성분으로서 적합한 다른 것은, 본원에서 예를 들어 언급한 소염, 진통 및 해열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소염 진통 및 해열 효과를 갖는 물질의 예로는
1. 유기산, 예를 들어,
- 살리실산
- p-아미노살리실산
- 디클로페낙
- 플루페남산 및
- 메페남산의 유도체,
2. 비산성 진통/소염제, 예를 들어
- 파라세타몰
- 피라졸론 유도체(예를 들어, 4-아미노페나존; 4-메틸아미노페나존) 및
3. 옥시펜부타존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의 성분으로서 적합한 다른 약물로는 Ca++길항제(예: 니페디핀, 적용: 염증성 질환), 항히스타민제(예: 테르페나딘, 적용: 알레르기, 천식, 염증성 질환), 포스포디에스터라제 억제제(예: 테오필린, 적용: 천식, 알레르기, 염증성 질환), 부교감 신경자극 흥분제(예: 무스카린, 적용. 자가면역질환) 및 교감 신경자극 흥분제(예: 테르부탈린, 페노테롤, 술부타몰, 올씨프레날린, 이소프레날린, 적용: 천식)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용 약물로서 특히 적합한 물질의 부류는 합성 유로키나제 억제제(즉, 예를 들어, p-니트로페닐 구아니디노벤조에이트, 아밀로라이드 등)로 대표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장래에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선구약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원에서 상기 언급한 약물 및 본 발명에 따라 이로부터 제조할 수 있는 선구약물은 단지 예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은, 대식세포, 과립구 및 혈소판이 특히 활성화된 상태로 나타나는 모든 비종양학적 질환에 사용할 수 있다.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언급한 세포는 주로 세포내 효소를 분비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의 위치-특이적 활성화를 가능케한다.
종양학적 표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의 활성화는 사멸되는 종양세포로부터 방출되는 세포내 효소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대형종양(> 0.3cm) 뿐만 아니라 종양을 면역 독소, 세포성장 억제제, 조사, 융합 단백질, 항체-효소 접합체 등으로 처리하여 손상을 가한 후에도 발생한다. 또한, 종양내에 존재하는 활성화된 세포(특히 대식세포, 과립구 등)로부터의 선구약물 활성화에 대한 영향을 배제할 수는 없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4′-O-[4-(α-D-글루코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화합물 1)]
500mg(0.68mmol)의 2″,3″-디-O-클로르아세틸에토포시드를 50ml의 DMF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0.34ml(3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0.12ml(1.5당량)의 디포스겐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50ml의 DMF에 용해시킨 0.22ml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250mg(0.9mmol)의 4-(α-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아닐린을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혼합물을 시트레이트 완충액(pH 5)으로 3회 세척한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클로로포름 : 메탄올=6: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50g)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438mg의 4′-O-[4-(α-D-글루코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2″,3″-디-O-클로로아세틸에토포시드를 수득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클로로포름 : 메탄올=3:1 중에서 Rf=0.6.
생성된 접합물(400mg)을 80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3.0g의 Dowex 1 β 8이온 교환제를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고 수지를 여과 제거하여 세척한다. 여액을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클로로포름: 메탄올: 빙초산 = 5:2:2를 써서 실리카겔(50g) 상에서 정제하여 256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클로로포름, 메탄올, 빙초산=5:2:2중에서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퍼에 의한 분석 : Rf=0.46.
[실시예 2]
[4′-O-[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화합물 2)]
500mg(0.68mmol)의 2″,3″-디-O-클로로아세틸에토포시드를 50ml의 DMF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0.34ml(3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0.12ml(1.5당량)의 디포스겐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50ml의 DMF에 용해시킨 0.22ml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250mg(0.9mmol)의 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아닐린을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혼합물을 시트레이트 완충액(pH 5)으로 3회 세척한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클로로포름:메탄올=6: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50g)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450mg의 4′-O-[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2″,3″-디-O-클로로아세틸에토포시드를 수득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클로로포름:메탄올= 3:1 중에서 Rf=0.56.
생성된 접합물(400mg)을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80ml의 메탄올 중에서, 3.0g의 Dowex 1×8 이온 교환제를 써서 탈차단시킨다. 270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클로로포름: 메탄올: 빙초산=5:2:2 중에서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Rf=0.44.
[실시예 3]
[4′-O-[4-(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화합물 3)]
500mg(0.68mmol)의 2″,3″-디-O-클로르아세틸에토포시드를 50ml의 DMF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0.34ml(3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0.12ml(1.5당량)의 디포스겐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50ml의 DMF에 용해시킨 0.22ml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250mg(0.9mmol)의 4-(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 아닐린을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혼합물을 시트레이트 완충액(pH 5)으로 3회 세척한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클로로포름:메탄올=6: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50g)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460mg의 4′-O-[4-(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 -2″,3″-디-O-클로로아세틸에토포시드를 수득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클로로포름:메탄올= 3:1중에서 Rf=0.46.
생성된 접합물(420mg)을 3.0g의 Dowex 1×8 이온 교환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80ml의 메탄올 중에서 탈차단시킨다. 250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클로로포름: 메탄올: 빙초산= 5:2:2 중에서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Rf=0.41.
[실시예 4]
[4′-O-[4-(β-D-글루쿠로닐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화합물 4)]
500mg(0.68mmol)의 2″,3″-디-O-클로르아세틸에토포시드를 50ml의 DMF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0.34ml(3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0.12ml(1.5당량)의 디포스겐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50ml의 DMF에 용해시킨 0.22ml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250mg(0.86mmol)의 4-(6-0-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아닐린을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혼합물을 시트레이트 완충액(pH 5)으로 3회 세척한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클로로포름:메탄올=6: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50g)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460mg의 4′-O-[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2″,3″-디-O-클로로아세틸에토포시드를 수득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클로로포름:메탄올=3:1 중에서 Rf=0.63.
생성된 접합물(400mg)을 2.0g의 산화바륨을 사용하여 80ml의 메탄올 중에서 탈차단시킨다. 280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클로로포름: 메탄올; 빙초산=5:2:2 중에서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Rf=0.24.
[실시예 5]
[4′-O-[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화합물 5)]
500mg(0.68mmol)의 2″,3″-디-O-클로르아세틸에토포시드를 50ml의 DMF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0.34ml(3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0.12ml(1.5당량)의 디포스겐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50ml의 DMF에 용해시킨 0.22ml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250mg(0.80mmol)의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민을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혼합물을 시트레이트 완충액(pH 5)으로 3회 세척한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클로로포름:메탄올=6: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50g)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456mg의 4′-O-[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미노카보닐]-2″,3″-디-O-클로로아세틸에토포시드를 수득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클로로포름:메탄올=3:1 중에서 Rf=0.64.
생성된 접합물(400mg)을 2.0g의 산화바륨을 사용하여 80ml의 메탄올 중에서 탈차단시킨다. 230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클로로포름: 메탄올: 빙초산=5:2:2 중에서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Rf=0.27.
[실시예 6]
[4′-O- [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화합물 6)]
500mg(0.68mmol)의 2″,3″-디-O-클로로아세틸에토포시드를 50ml의 DMF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0.34ml(3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0.12ml(1.5당량)의 디포스겐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50ml의 DMF에 용해시킨 0.22ml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250mg(0.80mmol)의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아민을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혼합물을 시트레이트 완충액(pH 5)으로 3회 세척한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플로로포름:메탄올=6.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50g)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430mg의 4′-O-[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아미노-카보닐]-2″,3″-디-O-클로로아세틸에토포시드를 수득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 클로로포름:메탄올=3:1 중에서 Rf=0.68.
생성된 접합물(400mg)을 80ml의 메탄올 중에서 2.0g의 산화바륨으로 탈차단시킨다. 340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클로로포름: 메탄올: 빙초산 =5:2:2 중에서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Rf=0.29.
[실시예 7]
[1-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미토마이신 C(화합물 7)]
500mg(1.13mmol)의 4-(6-메틸-2,3,4-트리-O-아세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 알콜을 20ml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440mg(3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315mg(1.5당량)의 디포스겐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다. 이어서, 50ml DMF에 용해시킨 680mg(1.8당량)의 미토마이신 C와 290mg(2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14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시트레이트 완충액으로 세척한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조수율: 651mg(72%). 접합물(600mg)을 30ml의 클로로포름:메탄올=2:1에 용해시키고, 250mg의 산화바륨을 가한다. 4시간 교반한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잔사를, 메탄올 및 물을 사용하여 세파덱스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표제 화합물의 수율: 335mg(75%).
[실시예 8]
[14-O-[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미노카보닐]독소루비신(화합물 8)]
400mg(0.52mmol)의 3′-N-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독소루비신을 20ml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200mg(3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144mg(1.5당량)의 디포스겐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50ml DMF에 용해시킨, 294mg(1.8당량)의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민 및 134mg(2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며, 혼합물을 시트레이트 완충액(pH 5)으로 세척한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킨다. 조생성물을 실리카겔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수율: 370mg(65%). 보호된 중간체 화합물(300mg)을 20ml의 THF에 용해시키고, 1.0ml의 피페리딘을 가한다. 혼합물을 14시간 교반한 후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고 톨루엔과 공증류시킨다. 잔사를 20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250mg의 산화바륨을 가한다. 5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물과 메탄올을 사용하여 세파덱스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표제 화합물의 수율: 140mg(56%).
[실시예 9]
[4-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4-하이드록시-N,N-비스(2-클로로에틸)아닐린 (화합물 9)]
4-하이드록시-N,N-비스(2-클로로에틸)아닐린 400mg(171mmol)을 톨루엔 20ml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950mg 및 디포스겐 500mg(1.5당량)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DMF 50ml에 용해시킨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민 960mg(1.8당량)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63ml를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혼합물을 시트레이트 완충액으로 세척한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킨다. 잔사(550mg)를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산화바륨 400mg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세파덱스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표제 화합물의 수율: 420mg.
[실시예 10]
[4-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테르페나딘(화합물 10)]
테르페나딘 및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민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9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할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1]
[3′-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테르부탈린(화합물 11)]
테르부탈린 및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민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9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2]
[3′-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페노테롤(화합물 12)]
페노테를 및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민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9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3]
[1″-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살부타몰(화합물 13)]
살부타몰 및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민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9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4]
[3-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무스카린(화합물 14)]
무스카린 및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민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9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5]
[4′-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옥시펜부타존(화합물 15)]
옥시펜부타존 및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민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9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6]
[2-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살리실산(화합물 16)]
메틸 살리실레이트 및 4-(6-O-메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민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9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7]
[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디클로페낙(화합물 17)]
4-(6-메틸-2,3,4-트리-O-아세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 알콜 및 디클로페낙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7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8]
[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플루페남산(화합물 18)]
4-(6-메틸-2,3,4-트리-O-아세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 알콜 및 플루페남산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7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9]
[4-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4-메틸아미노페나존(화합물 19)]
4-(6-메틸-2,3,4-트리-O-아세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 알콜 및 4-메틸아미노페나존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7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20]
[7-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테오필린(화합물 20)]
4-(6-메틸-2,3,4-트리-O-아세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 알콜 및 테오필린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7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21]
[1-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니페디핀(화합물 21)]
4-(6-메틸-2,3,4-트리-O-아세틸-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 알콜 및 니페디핀으로 개시하여 실시예 7에 기재한 대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22]
[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2-[1-시아노-1-(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프로펜-1-일 카보네이트(화합물 22)]
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4-[(2,3,4-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메틸우로네이트]-3-니트로벤질옥시카보닐 클로라이드)는, 예를 들면, 메틸 (4-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페닐-2,3,4-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우로네이트 및 포스겐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메틸 (2,3,4-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 브로마이드와 2-하이드록시-5-니트로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킨 다음, 환원시켜서 메틸 (4-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페닐-2,3,4-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우로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2-시아노-3-하이드록시-N-(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크로톤아미드는 하이드록시크로돈아미드 유도체(2)인 레플루노미드의 활성 중간체이다(WO 제91/17748호). 이는 레플루노미드를 알칼리 개환시켜 WO 제91/17748호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 4B에 따라 수득한다. 4-[(2,3,4-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메틸우로네이트]-3-니트로벤질옥시카보닐 클로라이드 5.5g(0.091mol) 및 2-시아노-3-하이드록시-N-(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크로톤아미드 2.7g(0.01mol)을 아세토니트릴 80ml에 용해시킨다. AgNO31.7g(0.01mol)을 가한 다음 교반하면서 6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다. 냉각시키고 여과한 후 수득된 여액을 감압하에 건조물로 증발시킨다. 조생성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 = 2:1 (v/v)의 200ml 용액에 용해시키고 산화바륨 1.5g을 가한다.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한 후 수득된 여액을 건조물로 증발시킨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22)을 수득한다.
[실시예 23]
[N-[4-(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카보닐아미노)벤질옥시카보닐]독소루비신(화합물 23)]
[2,3,4,6-테트라-O-아세틸-D-갈락토피라노시이드(2)]
하이드라진 아세테이트(3.5g, 38mmol)를 DMF 중의 펜타-O-아세틸-D-갈락토즈(10g, 25.6mmol) 용액에 가한다. 혼합물을 80℃에서 15분 동안 가열한다. 냉각된 용액을 물(100ml)로 회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증발시킨다. 잔사를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3:2, v/v)하여 화합물(2)을 고체로서 4.95g(55%) 수득한다.
화합물(2): C14H20O10, 융점: 104℃
[α]D 20+ 95°(C1, CHCl3)
[N-(2,3,4,6-테트라-O-아세틸-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p-톨루이딘(3)]
p-톨릴 이소시아네이트(4.4g, 33mmol)를 DMF(50ml) 중의 화합물(2)(3,48g, 10mmol) 용액에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H2O(12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먼저 H2O로 세척(2×50ml)한 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MgSO4)시킨 다음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2:1, v/v)하여 화합물(3)(2.2g, 45%)을 수득한다.
화합물(3): C22H27O11N, 융점: 93℃
[α]D 20+ 84°(C1, CHCl3)
[N-(2,3,4,6-테트라-O-아세틸-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카보닐)-4-포르밀아닐린(6) 및 N-(2,3,4,6-테트라-O-아세틸-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카보닐)-4-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7)]
N-브로모석신이미드(420mg, 1.1당량)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 120mg을 CCl4(60ml) 중의 화합물(3)(1g)의 용액에 가한다. 혼합물을 환류하에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냉각시키고, 여과한 다음, 여액을 H2O로 세척하고,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MgSO4)시킨다. 감압하에 증발시켜 잔사 1g을 수득하고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모노브로모와 디브로모 화합물의 혼합물 800mg을 수득한다. 이 혼합물을 이후에 직접 사용한다. 혼합물 800mg을 아세톤(14ml)에 용해시키고 질산은(0.1N, 14ml) 수용액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남은 수성상을 CH2Cl2(디클로로메탄)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MgSO4)시킨 다음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아세톤, 2:1 v/v)로 정제하여 화합물(6) 120mg 및 화합물(7) 260mg을 수득한다.
화합물(6): C22H25O12N, 융점: 81℃
[α]D 20+ 109°(Cl, CHCl3)
화합물(7): C22H27O12H, 융점: 85℃
[α]D 20+ 129°(Cl, CHCl3)
[N-(2,3,4,6-테트라-O-아세틸-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카보닐)-4-니트로페닐옥시카보닐옥시메틸아닐린(8)]
p-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360mg) 및 피리딘(0.18ml)을 CH2Cl2(30ml) 중의 화합물(7)(300mg) 용액에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H2O(50ml)로 회석하고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MgSO4)시킨다. 감압하에 증발시킨 후 수득된 잔사를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아세톤, 2:1, v/v)로 정제하여 화합물(8)을 380mg(51%) 수득한다.
화합물(8): C29H30O16N2, 융점: 92℃
[α]D 20+ 81°(C1, CHCl3)
[N-[4-(2,3,4,6-테트라-O-아세틸-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카보닐아미노)벤질옥시카보닐]독소루비신(9)]
독소루비신 100mg 및 트리에틸아민 80㎕를 DMF 중의 화합물(8)(100mg) 용액에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다. 감압(1mm, △=50℃)하에 증발시킨 후 수득된 잔사를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9)을 80mg(50%) 수득한다.
화합물(9): C50O24H54N2, 융점: 142℃
[α]D 20+ 196°(C1, CHCl3)
화합물(23)
나트륨 메탄올레이트 20mg을 MeOH(메탄올: 30ml) 중의 화합물(9)(100mg) 용액에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암벌라이트(Amberlite) IRC-50(H+)로 중화한다.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고체 잔사를 수득한다. 이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 물, 9:1, v/v)하여 화합물(23)을 67mg(80%) 수득한다.
화합물(23): C42H46O2N2, 융점: 136℃
[α]D 20+ 225°(CO.1, EtOH)
1H NMR(270 MHz, D20): δ 1.3(d, J=6.3H, Me-6); 1.9 및 2.2(AB, 2H, CH2-8, J=9); 2.8 및 2.9(AB, 2H, CH2-2, J=20); 3.8(S, 3H, OCH3); 5.3(m, 1H, H-1′); 6.0(d, 1H, J=3.5); 7.1(d, 1H, J=8, H-3); 7.3(d, J=8, 1H, H-2); 7.5(d, 1H, J=8, H-1); 7.8(m, H-방향족).
[실시예 24]
[9-O-[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옥시카보닐]퀴닌(화합물 24)]
[4-β-D-메틸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1)]
0.1N 메탄올성 나트륨 메탄올레이트(50ml) 중의 4-(2,3,4-트리-O-아세틸-β-D-메틸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3.05g, 6.45mmol) 용액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암벌라이트 IRC 120 H+이온 교환 수지를 가해 중화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 증발시켜 4-β-D-메틸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1)를 발포체(2.17g, 97%)로서 수득한다.
C14H15ClO8, M=346.5
IR(KBr) v cm-1: 3400, 3030, 2975, 1375, 1040, 835.
1H NMR(300 MHz, (CD3)2SO): 3.25-4.25(4H, m), 3.70(3H, s), 5.05(1H, d, J=7Hz), 7.28(1H, d, J=8Hz) 7.75(1H, dd, J=8Hz, J′=2Hz), 7.90(1H, d, J=2Hz), 9.85(1H, s).
MS(DCl/NH3) : m/z : 364/366(M+NH4)+.
[4-(2,3,4-트리-O-(4-메톡시벤질)-β-D-메틸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2)]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20ml) 중의 4-β-D-메틸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 알데히드(2.10g, 6.06mmol) 용액을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20ml 중의 수소화나트륨(2g) 현탁액에 서서히 가한다. 4-메톡시벤질 플로라이드(3.2ml, 23.5mmol)를 냉각시키면서 30분에 걸쳐 적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약 20℃에서 유지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메탄올(5ml)을 가해 후처리한다. 1시간 후, 용액을 얼음에 붓고 1M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8로 만든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2×50ml)한다. 물로 세척(2×50ml)한 후, 유기상을 건조물로 증발시킨다. 잔사를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8:2 v/v)]로 정제하여 4-(2,3,4-트리-O-(4-메톡시벤질)-β-D-메틸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2)를 무색 발포체(1.97g, 46%)로서 수득한다.
C38H39ClO11, M=706.5
IR(KBr) v cm-1: 3040, 2945, 1725, 1505, 1375, 1230, 1040, 825.
1H NMR(300 MHz, (CDl3)): 3.30-4.50(4H, m), 3.73(3H, s), 3.85(3H, s), 3.88(3H, s), 3.92(3H, s), 4.50-4.90(6H, m) 5.12(1H, d, J=7Hz), 6.90-7.80(15M, m), 10.02(1H, s)
MS(DCl/NH3) : m/z: 722/724(M+NH4)+.
[2-클로로-4-하이드록시메틸페닐 2,3,4-트리-O-(4-메톡시벤질)-β-D-메틸글루쿠로나이드(3)]
메탄올(30ml) 중의 알데히드(2)(1.57g, 2.22mmol) 용액을 수소화붕소나트륨 (0.7g)으로 처리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90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수-급냉시킨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3×20ml)한다.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7:3 v/v)]로 정제하여 2-클로로-4-하이드록시메틸페닐 2,3,4-트리-O-(4-메톡시벤질)-β-D-메틸글루쿠로나이드(3)를 무정형 고체(1.28g, 81%)로서 수득한다.
C38H41ClO11: M=708.5
IR(KBr) v cm-1: 3420, 3030, 2935, 1725, 1510, 1510, 1375, 1230, 1040, 825.
1H NMR(300 MHz, CDCl3): 3.25-4.50(4H, m), 3.69(3H, s), 3.85(3H, s), 3.87(3H, s), 3.91(3H, s), 4.50-4.80(8H, m), 5.08(1H, d, J=7Hz), 6.85-7.90(15H, m).
MS(DCl/NH3) : m/z: 724/726(M+NH4)+.
[4-[2,3,4-트리-O-(4-메톡시벤질)-β-D-메틸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4-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4)]
알콜(3)(0.25g, 0.35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1.5ml) 및 피리딘(0.15ml)에 용해시킨다.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0.30g, 1.48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한다. 잔사를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7:3 v/v)]로 정제하여 4-[2,3,4-트리-O-(4-메톡시벤질)-β-D-메틸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4-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4)(0.16g, 52%)를 수득한다.
C45H44ClNO15, M=873.5
IR(KBr) v cm-1: 3055, 2930, 1735, 1515, 1370, 1320, 1230, 1040, 830.
1H NMR(300 MHz, (CDCl3)): 3.25-4.50(4H, m), 3.71(3H, s), 3.82(3H, s), 3.87(3H, s), 3.91(3H, s), 4.45-4.85(6H, m), 5.05(1H, d, J=7Hz), 5.15(2H, s), 6.80-8.40(19H, m)
MS(DCl/NH3) : 891/893(M+NH4)+.
[5]
디클로로메탄(20ml) 및 트리에틸아민(188μl) 중의 위의 (4)(0.15g, 0.17mmol)의 교반 용액에 퀴닌(50mg, 0.15mmol)을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정치시킨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 제거한다. 잔사를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 v/v)]로 정제하여 위의 (5)를 무색 발포체(0.057g, 36%)로서 수득한다.
C59H63ClN2O14, M=1058.5
IR(KBr) v cm-1: 3050, 2940, 1740, 1520, 1370, 1320, 1230, 1010, 835, 810.
1H NMR(300 MHz, CDCl3): 1.80-4.40(15H, m) 3.72(3H, s), 3.85(3H, s), 3.93(6H, s), 3.95(3H, s), 4,45-4.85(6H, m), 5.10(1H, d, J=7Hz), 5.15(2H, s), 5.30(2H, m), 5.72(1H, m), 6.30(1H, d, J=7Hz), 6.80-8.40(19H, m), 8.75(1H, d, J=5Hz).
MS(DCl/NH3) : 1076/1078(M+NH4)+.
[6]
5℃에서, 물(0.5ml)을 함유하는 디클로로메탄(10ml) 중의 위의 (5)(0.050g, 0.05mmol)의 교반 용액에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0.017g, 0.075mmol)을 가한다. 1시간 후, 포화 수성 NaHCO3(10ml)을 가하고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신속히 추출(3×15ml)한다.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잔사를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80:20 v/v)]하여 위의 (6)을 비결정성 고체(0.023g, 66%)로서 수득한다.
C35H39ClN2O11, M=698.5
IR(KBr) v cm-1: 3420, 3040, 2940, 1735, 1530, 1375, 1320, 1235, 1020, 830.
1H NMR(300 MHz, (CD3)2SO): 1.80-4.30(15H, m), 3.70(3H, s), 3.94(3H, s), 5.12(1H, d, J=7Hz), 5.17(2H, s), 5.30(2H, m), 5.71(1H, m), 6.34(1H, d, J=7Hz), 7.10-8.00(6H, m), 8.77(1H, d, J=5Hz).
MS(FAB, 매트릭스: 니트로벤질 알콜): 699/701(M+H)+.
[화합물 24]
수성 인산염 완충액(pH=8) 중의 위의 (6)(0.020g, 0.03mmol)의 용액에 돼지간 에스터라제 용액(Sigma # E-3128)(0.6ml) 및 아세톤(12ml)을 가한다. 혼합물을 37℃에서 4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잔사를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물(95:5, v/v)]로 정제하여 화합물(24)을 무색 고체(0.011g, 56%)로서 수득한다.
C37H37ClN2O11, M=684.5
IR(KBr) v cm-1: 3450, 3060, 2950, 1730, 1520, 1370, 1320, 1240, 1020, 820.
1H NMR(300 MHz, (CD3)2SO): 1.80-4.30(15H, m), 3.94(3H, s), 5.10(1H, d, J=7Hz), 5.22(2H, s), 5.32(2H, m), 5.70(1H, m), 6.32(1H, d, J=7Hz), 7.10-8.00(6H, m), 8.79(1H, d, J=5Hz).
MS(FAB, 매트릭스: 니트로벤질 알콜): 685/687(M+H)+.
[실시예 25]
[메틸 18-O-[3,5-디메톡시-4-[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옥시카보닐]벤조일]레서페이트(화합물 25)]
[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8)]
테트라하이드로푸란(60ml) 및 물(40ml) 중의 4-β-D-메틸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1)(3.52g, 10.1mmol) 용액에 2M 수성 수산화나트륨(10ml)을 30분에 걸쳐 적가한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암벌라이트 IRC 50S H+이온교환 수지를 가해 중화한 다음, 여과하고 건조물로 증발시켜 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8)를 무색 발포체(2.62g, 78%)로서 수득한다.
C13H13ClO8, M=332.5
IR(KBr) v cm-1: 3400, 3050, 2940, 1735, 1330, 1040, 830.
1H NMR(300 MHz, (CD3)2SO): 3.25-4.25(4H, m), 5.05(1H, d, J=7Hz), 7.31(1H, d, J=8Hz), 7.77(1H, dd, J=8Hz, J′=2Hz), 7.92(1H, d, J=2Hz), 9.82(1H, s), 11.85(1H, br.s).
MS(DCl/NH3): m/z: 350/352(M+NH4)+.
[4-(2,3,4-트리-O-벤질)-β-D-벤질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9)]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20ml) 중의 4-(2,3,4-트리-O-벤질)-β-D-벤질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9)(2.55g, 7.67mmol) 용액을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20ml 중의 수소화나트륨(2g)의 현탁액에 서서히 가한다. 벤질 브로마이드(5.0ml, 42mmol)를 냉각시키면서 30분에 걸쳐 적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약 20℃에서 유지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메탄올(5ml)을 가하여 후처리한다. 1시간 후, 용액을 물에 붓고 1M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8로 만든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2×50ml)한다. 물로 세척(2×50ml)한 후, 유기상을 건조물로 증발시킨다. 잔사를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85:15, v/v)]로 정제하여 4-(2,3,4-트리-O-벤질)-β-D-벤질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즈알데히드(9)를 무색 발포체(2.04g, 38%)로서 수득한다.
C41H37ClO8, M=692.5
IR(KBr) v cm-1: 3050, 2930, 1730, 1520, 1370, 1330, 1230, 1040, 825.
1H NMR(300 MHz, (CDCl3)): 3.40-4.50(4H, m), 4.50-5.00(8H, m), 5.08(1H, d, J=7Hz), 6.90-7.70(23H, m), 9.93(1H, s).
MS(DCl/NH3) : m/z: 710/712(M+NH4)+.
[2-클로로-4-하이드록시메틸페닐 2,3,4-트리-O-벤질-β-D-벤질글루쿠로나이드(10)]
메탄올(30ml) 중의 알데히드(9)(2.00g, 2.88mmol) 용액을 붕수소화나트륨(0.7g)으로 처리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90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수-급냉시킨 반응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3×20ml)한다.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7:3, v/v)]로 정제하여 2-클로로-4-하이드록시메틸페닐 2,3,4-트리-O-벤질-β-D-벤질글루쿠로나이드(10)를 무정형 고체(1.91g, 95%)로서 수득한다.
C41H39ClO8, M=694.5
IR(KBr) v cm-1: 3400, 3040, 2940, 1725, 1515, 1370, 1330, 1230, 1040, 825.
1H NMR(300 MHz, CDCl3): 3.40-4.50(4H, m), 4.50-5.00(10H, m), 5.12(1H, d, J=7Hz), 6.90-7.75(23H, m).
MS(DCl/NH3) : m/z: 712/714(M+NH4)+.
[4-[(2,3,4-트리-O-벤질)-β-D-벤질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 4-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11)]
알콜(10)(0.40g, 0.57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2ml) 및 피리딘(0.2ml)에 용해시킨다.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0.40g, 1.97mmol)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한다. 잔사를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7:3, v/v)]로 정제하여 4-[(2,3,4-트리-O-벤질)-β-D-벤질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 4-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11)(0.23g, 47%)를 수득한다.
C48H42ClNO12, M=845.5
IR(KBr) v cm-1: 3050, 2940, 1735, 1510, 1360, 1320, 1230, 1050, 835, 810.
1H NMR(300 MHz, (CDl3)): 3.40-4.50(4H, m), 4.55-5.00(8H, m), 5.12(1H, d, J=7Hz), 5.21(2H, s), 6.80-8.40(27H, m).
MS(DCl/NH3) : m/z: 863/865(M+NH4)+.
[12]
디클로로메탄(20ml) 및 트리에틸아민(260μl) 중의 위의 (11)(0.20g, 0.235mmol)의 교반 용액에 메틸 18-O-(3,5-디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일)레서페이트(참조: Lucas et al., J. Am. Chem. Soc., 1959, 81, 1928-1932)(130mg, 0.22mmol)를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2시간 동안 정치시킨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잔사를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90:10, v/v)]로 정제하여 위의 (12)를 무색 발포체(0.127g, 44%)로서 수득한다.
C74H75ClN2O18, M=1314.5
IR(KBr) v cm-1: 3050, 2940, 1750, 1720, 1515, 1360, 1320, 1280, 1230, 1050, 835.
1H NMR(300 MHz, (CDCl3)): 1.80-4.50(19H, m), 3.46(3H, s), 3.80(3H, s), 3.82(3H, s), 3.97(6H, s), 4.60-5.00(8H, m), 5.05(1H, dd, J=12.9, 5Hz), 5.14(1H, d, J=7Hz), 5.22(2H, s), 6.70-7.90(28H, m).
MS(FAB, 매트릭스: 티오글리세롤): 1315/1317(M+H)+.
[화합물 25]
위의 (12)(0.100g, 90.07mmol)의 용액에 Pd(10%)/목탄(0.2g)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latm)하에 3시간 동안 정치시킨다. 셀라이트를 통해 촉매를 여과 제거한다.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잔사를 실리카 겔 60H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물(92:8, v/v)]로 정제하여 화합물(25)을 무색 발포체(0.034g, 51%)로서 수득한다.
C46H51ClN2O18, M=954.5
IR(KBr) v cm-1: 3450, 3050, 2940, 1740, 1725, 1527, 1500, 1360, 1280, 1230, 1050, 825.
1H NMR(300 MHz, (CD3)2SO)): 1.80-4.50(19H, m), 3.44(3H, s), 3.79(3H, s), 3.81(3H s), 3.99(6H, s), 5.04(1H, dd, J=12.9, 5H), 5.12(1H, d, J=7Hz), 5.21(2H, s), 6.70-7.80(8H, m).
MS(FAB, 매트릭스 티오글리세롤): 955/757(M+H)+.
실시예 1 내지 25에서 합성된 글라이코실-스페이서-약물 화할물(선구약물)의 약리학적 활성은 생체내에서 적절한 동물 실험 시스템으로 실시예를 통해 시험한다. 종양학적 표징에 대해 선택된 모델은 사람 종양을 누드 마우스에 피하 이식시킨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선구약물로는 종양 이식 후 정맥내 투여한다.
[실시예 26]
[급성 독성 측정]
급성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누드 마우스(CD-1, nu/nu)에게 5% 포도당 용액 0.5ml에 용해된 각종 투여량의 시험 물질을 5분에 걸쳐 주입하며, 이를 0일로 한다. 대조군에는 단지 5%포도당 용액 0.5ml만을 주입한다. 시험 물질의 각 농도당 5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한다. 14일째에 살아남은 마우스의 수를 측정하고 릿치 필드 월콕슨법(Litchfield Wilcoxon method)을 사용하여 LD50을 측정한다. 약물(독소루비신)과 비교한 시험 선구약물의 독성을 표 1에 요약한다.
[표 1]
[실시예 27]
[누드 마우스 피하에서 성장하고 있는 사람 종양 성장 억제]
시험 물질의 성장 억제 활성에 대한 시험은 문헌[참조: Fiebig et al., Proc. Europ. Soc. Med. Oncol. in Cancer Chemother. Pharmacol., Suppl. 9, 18, 1982; Verh. dtsch. Ges. inn. Med. 88, 966, 1982 및 Inoue et al., Cancer Chemother. Pharmacol. 10, 182-186, 1983]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기초로 한다. 시험된 사람 종양을 통상적으로 유지시키고 누드 마우스에 이식한다. 종양을 각각 3번째 이식시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으로 사람 특성에 대해 시험한다. 종양을 무균 조건하에 제거하고 약 5 내지 10mm3의 작은 조각으로 절단한다. 종양편중 하나를 각각의 누드 마우스의 측면에 피하 이식한다. 약 7 내지 14일 후, 종양 조직이 주위 조직에 부착되고 종양 크기 A를 칼리퍼 자를 사용하고 두개의 마주보는 직경(a, b)를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 측정한다:
A = a × b
3일 간격으로 또 다른 종양의 크기를 측정한 후, 동물들을 대조군 및 처리그룹으로 임의 추출한다(각각의 그룹에 동물 6마리 씩), 이를 위해 종양이 성장하고 있는 동물만을 사용한다. 임의 추출일(D-7일)로부터 시작하여 동물을 하기 계획에 따라 시험 물질로 처리한다. 1주에 2회, 2개의 종양 직경을 각각의 마우스에 대해 측정하고 각각의 종양 면적을 상기 식에 따라 계산한다.
실험종결 후, 특정한 측정일에서의 각각의 동물에 대한 상대적 종양 크기를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Ar=A(x일)/A(0일). 이어서, 처리된 그룹에 대한 평균값(AT)을 각각의 대조군 종양 크기(Ac)에 대한 평균값과 상관시키고 T/C(%) = Ar/Ac × 100으로 계산한다. 종양 억제 효과의 통계적 유의 수준은 월콕슨 U 시험으로 측정한다.
[결과]
[표 2]
표 2에 나타낸 동물 실험 데이타는 융합 단백질과 선구약물로 처리한 동물 또는 선구약물 단독으로 처리한 동물에서의 종양 성장(T/C: ∼ 40%)이 독소루비신으로 처리된 그룹에서 관찰되는 종양 성장(T/C: ∼ 80%)보다 느리다는 것을 나타낸다. 독소루비신 처리와 선구약물 치료, 및 독소루비신 처리와 융합 단백질 + 선구약물 치료간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 수준(p < 0.05) 내에 있다.
놀랍게도, 선구약물 그룹에서의 치료는 선구약물과 함께 융합 단백질을 투여 받은 그룹에서 만큼 효과적이다. 이 예상치 못한 결과는 다음의 조직 분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선구약물 또는 독소루비신 치료시(표 2, 0일) 종양이 있는 누드 마우스로부터 취한, 저온 보존 LoVo 종양에 대해 조직학적으로 검사하면 종양으로 인해 광범위한 중앙부 회저가 일어난다. 기능적 사람 β-글루쿠로니다제를 측정하는 조직화학 시험[참조: Murray et al, the journal of histochemistry and cytochemistry 37, 643-652, 1989]을 사용하면, 기능적으로 활성인 사람 β-글루쿠로니다제가 회저 부위에 존재하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 즉, 세포질 막이 이미 손상된 세포는 세포질내에 여전히 기능적으로 활성인 β-글루쿠로니다제를 함유한다. 회저 부위에 위치하고 세포질 막으로 보호되지 않은 당해 사람 β-글루쿠로니다제는 친수성 선구약물을 LoVo 종양 내에서 약물로 분열시킨다. 중앙부 회저에 의한 선구약물의 내생 활성화에 대한 예상치 못한 발견은 다수의 사람 종양의 이종이식(난소, 유방, 위장, 폐 및 장의 악성종양)을 확인시켜 준다. 사람의 악성종양으로부터의 생검 물질에 대한 조직학적 및 조직화학적 검사는 중앙부 회저가 누드 마우스에 이종이식되는 사람 종양에서만 일어나는 인공물이 아니라, 반대로 광범위한 병리생리학적 현상임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사람의 선구약물 단일 치료법이 광범위한 용도를 갖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현저한 회저를 진행시키지 않는 종양은 선구약물 단일 치료로는 치료될 수 없다(데이타는 나타내지 않음).
이 형태의 종양의 경우, 선구약물 치료의 우수한 효과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종양(예: 넓어진 환부, 작은 비회저성 1차 종양 등) 내의 세포외에 이미 위치하고 있는 융합 단백질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28]
[종양이 있는 누드 마우스에서 선구약물 및 독소루비신의 약물역학]
조직 및 종양내의 선구약물 및 독소루비신의 농도를 평가하기 위해, 선구약물(500mg/kg) 및 독소루비신(10mg/kg)을 5분에 걸쳐, 14일 전에 이미 사람 결장 종양(Mz-Sto-1)을 피하 이식시킨 누드 마우스에 주입한다. 주입 후, 동물을 여러 시간 간격으로 폐사시키고 기관 및 종양을 제거한다. 각각의 경우, 20mM 인산염 완충액 770μl, 10mM 사카로락톤(pH 3.0)을 230mg의 조직에 가하고 울트라투락스(Ultraturrax)를 사용하여 샘플을 균질화한다. 3.3% 질산은 용액 40μl 및 아세토니트릴 160μl를 이 균질물 200μl 각각에 가한다. 샘플을 30분 동안 진탕시킨 다음 원심분리(5분, 12,000g) 시킨 후, 상등액 100μl를 제거하고 인산염 완충액 300μl, 10mM 사카로락톤(pH 6.0)으로 희석한 다음 C-18 본델루트 카트리지(Bondelut cartridges, AASP) 상에서 자동 예비컬럼 수출 및 고압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선구약물 및 독소루비신의 함량을 분석한다.
[결과]
[표 3]
[실시예 29]
[염증에 대한 14-O-[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미노카보닐]독소]
루비신(선구약물)의 효과는 문헌[참조: Collins and Mackaness, J. Immunol. 101:830-845, 1968]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상응하는 지연형 피하 반응(지연형 과민반응, DTH) 모델로 조사한다.
이 모델에서, 마우스를 1주 간격으로 2회, 한정량의 죽은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균(109)으로 면역화한다. 1차 면역시킨지 3주 후,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 항원(STA)을 발바닥에 주사하여 DTH 반응을 일으킨다. 국소 염증성 침윤병소는 과립구, 대식세포, 임파구 및 축적된 간질유체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 정도는 반응이 일어난지 24시간 후 발의 부종 증가로 측정한다. 염증반응에 대한 선구약물의 효과는 2가지의 처리 계획으로 시험한다. 한 그룹에는 STA를 주사한지 2시간 후 선구약물 500mg/kg을 1회 정맥내 투여하고, 다른 그룹에는 STA를 주사한지 2, 5 및 8시간 후에 각각의 경우 300mg/kg의 선구약물을 3회 주사한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가지의 선구약물 처리 계획 모두 염증 반응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선구약물을 3회 투여한 것이 소염제 이부프로펜을 사용한 표준 치료보다 약간 우수한다.
[표 4]
[실시예 30]
14-O-[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미노카보닐]독소루비신(선구약물)을 문헌[참조: D. Papahadjopoulos et al., PNAS, USA, 88:l1460-11464, 1991]에 따라 리포좀에 넣는다. CD 1 nu/nu 마우스에 정맥내 주사한 후, 리포좀내의 선구약물의 혈장 반감기는 유리 선구약물의 혈장 반감기(20분) 보다 현저히 긴40시간이다(데이타는 나타내지 않음). t1/2β의 현저한 증가로 약리학적 효능이 향상된다. 50g/ℓ의 사람 혈청 알부민 또는 사람 산 α-1 당단백질을 사용하여 선구약물을 예비항온시키면 혈장 반감기가 덜 증가한다.

Claims (7)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글라이코실-Y[-C(=Y)-X-]p-W(R)n-X-C(=Y)-약물 (1)
    상기식에서, 글라이코실은 효소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다당류, 올리고당류 또는 단당류이고, W는 공액 이중 결합을 갖는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또는 지방족 그룹이거나, 글라이코실 라디칼의 제거 후 폐환되는 아미노산 유도체이며, R은 독립적으로 또는 동일하게 H, 메틸, 메톡시, 카복실, 메틸옥시카보닐, CN, 하이드록실, 니트로, 불소, 염소, 브롬, 설포, 설파모일 또는 (C1-4)-알킬설파모일이고, p는 0 또는 1이고, n은 정수이며, X는 O, NH, 메틸렌옥시, 메틸렌아미노 또는 메틸렌(C1-4)-알킬아미노이며, Y는 0 또는 NH이며, 약물은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이미노 그룹을 통해 연결되는 화합물로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며, 단 p가 0일 때 3′-아미노 그룹을 통해 연결된 안트라사이클린은 제외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W가 공액 이중 결합을 갖는 방향족, 혜테로 방향족 또는 지방족 그룹이거나 글라이코실 라디칼의 제거 후 폐환되며 탄소수가 5 내지 20이고 헤테로 원자수가 0 내지 4인 아미노산 유도체 잔기이며 헤테로 원자는 치환체가 결합될 수 있는 N, 0 또는 S이고, R, p, n, X, Y 및 약물이 제5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W가 페닐 라디칼 또는 다치환된 페닐 라디칼이고, R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일하게 H, 메틸, 메톡시, 카복실, 메틸옥시카보닐, CN, 하이드록실, 니트로, 불소, 염소, 브롬, 설포, 설파모일 또는 (C1-4) 알킬설파모일이며, n이 1 내지 4이고 p, X, Y 및 약물이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W가 페닐 라디칼 또는 일치환된 페닐 라디칼이며, R중 하나가 메톡시, 메틸옥시카보닐, CN, 하이드록실, 너트로, 불소, 염소, 브롬, 설포 또는 설파모일이고, 나머지는 수소이고, p, X, Y 및 약물이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약물이 p가 0일때 3′-아미노 그룹을 통해 연결되지 않는 독소루비신, 4′-에피독소루비신, 4- 또는 4′-데옥시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안트라사이클린이거나 에토포시드, N,N-비스(2-클로로에틸)-4-하이드록시아닐린, 4-하이드록시사이를로포스파미드, 빈데신,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테르페나딘, 테르부탈린, 페노테롤, 살부타몰, 무스카린, 옥시펜부타존,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5-플루오로우라실, 5-플루오로우리딘, 플루오로시티딘, 메토트렉세이트, 디클로페낙, 플루페남산, 4-메틸아미노페나존, 테오필린, 니페디핀, 미토마이신 C, 미토잔트론, 캠프토테신, m-AMSA, 탁솔, 노코다졸, 콜히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라켈마이신, 시스플라틴, 멜팔란, 블레오마이신, 니트로겐 무스타드, 포스포르아미드 무스타드, 베루카린 A, 네오칼시노스타틴, 칼리케미신, 다이네미신, 에스페라미신 A, 퀄쎄틴, 제니스테인, 에르브스타틴, 티르포스틴, 로히투킨 유도체, 레티노산, 부티르산, 포르볼 에스테르, DMSO, 아클라시노마이신, 프로게스테론, 부세레린, 타목시펜, 미페프리스톤, 오나프리스톤, N-(4-아미노부틸)-5-클로로-2-나프탈렌설폰아미드, 피리디닐옥사졸-2-온, 퀴놀릴옥사졸-2-온, 이소퀴놀릴옥사졸-2-온, 스타우로스포린, 에탄올아민, 베라파밀, 폴스콜린 1,9-디데옥시폴스콜린, 퀴닌, 퀴니딘, 레세르핀, 메틸 18-O-(3,5-디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일)레서페이트, 로니다민, 부티오닌-설폭시민,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사이클로스포린 A, 라파마이신, 아자티오프린, 클로람부실, 하이드록시크로톤아미드 유도체 2, 15-데옥시스퍼구알린, FK 506,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아스피린, 설파살라진 페니실아민, 클로로퀸,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메페남산, 파라세타몰, 4-아미노페나존, 무스코신, 올시프레날린, 이소프레날린, 아밀로라이드, p-니트로페닐 구아니디노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이미노 그룹 하나 이상으로 추가로 치환된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그룹(여기서, 활성 물질은 이미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이미노 그룹을 갖고 있다)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인 화합물.
  6. 일반식(II)의 페닐 글리코사이드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유기 염기 및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및 디클로로에탄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용매의 존재하에 제5항에서 정의한 약물과 반응시켜 보호된 중간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 알칼리 금속 시아나이드, 산화바륨, 피페리딘 또는 모르폴린을 사용하여 메탄올, 에탄올 또는 물의 존재하에 가수분해시킴으로써 보호 그룹을 제거함을 포함하는, 제1항의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글라이코실-Y[-C(=Y)-X-]p-W(R)n-X-C(=Y)-Z (II)
    상기식에서, 글라이코실은 하이드록실 그룹이 유리 상태이거나 아세틸 또는 할로겐으로서 불소 또는 염소를 갖는 모노-, 디- 또는 트리할로아세틸 보호 그룹, 또는 벤질 보호 그룹으로 보호된 다당류, 올리고당류 또는 단당류이며, W, R, p, n, X 및 Y는 제5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Z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자이드 및 N-석신이미독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반응성 이탈 그룹이다.
  7. 4′-O-[4-(α-D-글루코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4′-O-[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4′-O-[4-(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4′-O-[4-(β-D-글루쿠로닐옥시)페닐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4′-O-[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4′-O-[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아미노카보닐]에토포시드, 1-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미토마이신 C, 14-O-[4-(β-D-글루쿠로닐옥시)-3-니트로벤질아미노카보닐]독소루비신, 4-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4-하이드록시-N,N-비스(2-클로로에틸)아닐린, 4-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테르페나딘, 3′-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테르부탈린, 3′-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페노테롤, 1″-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살부타몰, 3-O- [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무스카린, 4′-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옥시펜부타존, 2-O-[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아미노카보닐]살리실산, 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디클로페낙, 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플루페남산, 4-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4-메틸아미노페나존, 7-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테오필린, 1-N-[4-(β-D-글루쿠로닐옥시)벤질옥시카보닐]니페디핀, 4-(β-D-글루쿠로닐)-3-니트로벤질 2-[1-시아노-1-(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프로펜-1-일 카보네이트, N-[4-(α-D-갈락토피라노실옥시-카보닐아미노)벤질옥시카보닐]독소루비신, 9-O-[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옥시카보닐)퀴닌 또는 메틸 18-O-[3,5-디메톡시-4-[4-(β-D-글루쿠로닐옥시)-3-클로로벤질옥시카보닐]벤조일]레서페이트.
KR1019930022473A 1992-10-27 1993-10-27 선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97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36237A DE4236237A1 (de) 1992-10-27 1992-10-27 Prodrugs,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EP4236237.7 1992-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85A KR940008685A (ko) 1994-05-16
KR100297862B1 true KR100297862B1 (ko) 2001-10-24

Family

ID=647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473A KR100297862B1 (ko) 1992-10-27 1993-10-27 선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955100A (ko)
EP (1) EP0595133B1 (ko)
JP (1) JP3841311B2 (ko)
KR (1) KR100297862B1 (ko)
AT (1) ATE494009T1 (ko)
AU (1) AU669218B2 (ko)
CA (1) CA2109259C (ko)
DE (2) DE4236237A1 (ko)
IL (1) IL107398A (ko)
NO (1) NO311830B1 (ko)
NZ (1) NZ250030A (ko)
ZA (1) ZA9379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7865A1 (de) * 1994-05-20 1995-11-23 Behringwerke Ag Kombination von Tumornekrose-induzierenden Substanzen mit Substanzen, die durch Nekrosen aktiviert werden, zur selektiven Tumortherapie
US5525606A (en) 1994-08-01 1996-06-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ubstituted 06-benzylguanines and 6(4)-benzyloxypyrimidines
DE19512484A1 (de) * 1995-04-04 1996-10-17 Bayer Ag Kohlenhydratmodifizierte Cytostatika
PT751144E (pt) 1995-06-27 2004-12-31 Pharmachemie Bv Novos pro-farmacos antraciclinicos, metodo para preparacao e tambem a sua utilizacao em quimioterapia selectiva
DE19524515A1 (de) * 1995-07-05 1997-01-09 Deutsches Krebsforsch Saccharid-Konjugate
SG50747A1 (en) * 1995-08-02 1998-07-20 Tanabe Seiyaku Co Comptothecin derivatives
GB9600471D0 (en) * 1996-01-10 1996-03-13 Univ London Pharmacy Drug delivery system
EP0795334B1 (de) * 1996-03-12 2006-02-0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euartige Prodrugs für die Therapie von Tumoren und entzündlichen Erkrankungen
ATE310538T1 (de) 1996-04-15 2005-12-15 Asahi Chemical Ind Arzneimittelkomplexe enthaltend taxan- verbindungen oder steroiden
AUPO203996A0 (en) * 1996-08-30 1996-09-26 Novogen Research Pty Ltd Therapeutic uses
AU4459297A (en) * 1996-09-30 1998-04-24 Bayer Aktiengesellschaft Glycoconjugates from modified camptothecin derivates (20-o-linkage)
DE19640207A1 (de) * 1996-09-30 1998-04-02 Bayer Ag Glycokonjugate von modifizierten Camptothecin-Derivaten (A- oder B-Ring-Verknüpfung)
AU7201998A (en) * 1997-05-06 1998-11-27 Zhi Liu Drug delivery system
ID23424A (id) * 1997-05-14 2000-04-20 Bayer Ag Glikokonjugat dari 20(s)-kamptotesin
DE19720312A1 (de) * 1997-05-15 1998-11-19 Hoechst Ag Zubereitung mit erhöhter in vivo Verträglichkeit
ES2226332T3 (es) 1998-02-06 2005-03-16 De Montfort University Profarmacos activados mediante hidroxilacion.
ATE243520T1 (de) * 1998-02-12 2003-07-15 Univ Montfort Durch hydroxylierung aktivierte wirkstofffreigabe
GB2334256A (en) 1998-02-12 1999-08-18 Univ Montfort Hydroxylation activated prodrugs
US6287602B1 (en) * 1998-09-16 2001-09-11 Oncopharmaceutical, Inc. Treatment of oncologic tumors with an injectable formulation of a Golgi apparatus disturbing agent
US20030060425A1 (en) * 1998-11-24 2003-03-27 Ahlem Clarence N. Immune modulation method using steroid compounds
US6716452B1 (en) * 2000-08-22 2004-04-06 New River Pharmaceuticals Inc. Active ag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nd administering active agents
FR2791679B1 (fr) * 1999-03-31 2003-04-11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Bioprecurseurs aptes a liberer un derive retinoique par mise a profit de l'activite enzymatique de la surface cutanee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ou cosmetiques
DK1175433T3 (da) 1999-05-04 2005-09-19 Strakan Int Ltd Androgenglycosider og androgen aktivitet deraf
DE19925810A1 (de) * 1999-06-07 2000-12-14 Paz Arzneimittelentwicklung Anwendung von Verapamil und Verapamilderivaten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mit Glucuronidase hemmender Wirkung
US6413507B1 (en) 1999-12-23 2002-07-02 Shearwater Corporation Hydrolytically degradable carbamate derivatives of poly (ethylene glycol)
DE10027887A1 (de) 2000-05-31 2001-12-13 Jenapharm Gmbh Verbindungen mit einer Sulfonamidgruppe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US6638312B2 (en) 2000-08-04 2003-10-28 Depuy Orthopaedics, Inc. Reinforced small intestinal submucosa (SIS)
US7220824B1 (en) 2000-08-28 2007-05-22 Bayer Aktiengesellschaft Integrin-mediated drug targeting
US6642205B2 (en) * 2000-09-25 2003-11-04 Pro-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side effects in chemotherapeutic treatments
US8394813B2 (en) 2000-11-14 2013-03-12 Shire Llc Active ag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nd administering active agents
US6436386B1 (en) 2000-11-14 2002-08-20 Shearwater Corporation Hydroxyapatite-targeting poly (ethylene glycol) and related polymers
US7829074B2 (en) 2001-10-18 2010-11-09 Nektar Therapeutics Hydroxypatite-targeting poly(ethylene glycol) and related polymers
EP1238678A1 (en) 2001-03-08 2002-09-11 Bayer Aktiengesellschaft Enzyme-activated cytostatic conjugates with integrin ligands
AU2002354911B2 (en) 2001-07-16 2007-08-30 Depuy Products, Inc. Meniscus regeneration device and method
WO2003007879A2 (en) 2001-07-16 2003-01-30 Depuy Products, Inc. Cartilage repair and regeneration scaffold and method
US7201917B2 (en) 2001-07-16 2007-04-10 Depuy Products, Inc. Porous delivery scaffold and method
US7819918B2 (en) 2001-07-16 2010-10-26 Depuy Products, Inc. Implantable tissue repair device
US8025896B2 (en) 2001-07-16 2011-09-27 Depuy Products, Inc. Porous extracellular matrix scaffold and method
US7169752B2 (en) 2003-09-30 2007-01-30 New River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f overdose of oxycodone
US20060014697A1 (en) 2001-08-22 2006-01-19 Travis Mick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f overdose or abuse
US7582778B2 (en) * 2001-12-03 2009-09-01 Universitatsklinikum Charite Der Humboldt-Universitat Zu Podophyllotoxin
JP4342314B2 (ja) * 2001-12-17 2009-10-14 ユニバーシティ カレッジ カーディフ コンサルタンツ リミテッド 病変部位への特異的送達のための開裂薬剤
US6858615B2 (en) 2002-02-19 2005-02-22 Parion Sciences, Inc. Phenyl guanidine sodium channel blockers
MXPA05000028A (es) * 2002-06-20 2005-08-26 Nippon Suisan Kaisha Ltd Profarmaco, uso medicinal del mismo y procedimiento para producir el mismo.
US20040152769A1 (en) * 2002-11-09 2004-08-05 Ekwuribe Nnochiri Nkem Modified carbamate-containing prodrugs and methods of synthesizing same
DE10256982A1 (de) 2002-12-05 2004-06-24 Schering Ag Neue Effektor-Konjug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Pharmazeutische Verwendung
JP2006510626A (ja) * 2002-12-05 2006-03-30 シエーリング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増殖疾患の処理における部位特異的供給のためのエポチロン類似体
US8133881B2 (en) 2003-01-13 2012-03-13 Shire Llc Carbohydrate conjugates to prevent abuse of controlled substances
EP1599196A4 (en) * 2003-01-17 2006-05-31 Threshold Pharmaceuticals Inc ANTICANCER THERAPY
US7160867B2 (en) * 2003-05-16 2007-01-09 Isotechnika, Inc. Rapamycin carbohydrate derivatives
US7745442B2 (en) 2003-08-20 2010-06-29 Parion Sciences, Inc. Methods of reducing risk of infection from pathogens
WO2005034856A2 (en) * 2003-09-05 2005-04-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Targeted drug-formaldehyde conjuga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50053664A1 (en) 2003-09-08 2005-03-10 Eliezer Zomer Co-administration of a polysaccharide with a chemo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7534780B2 (en) 2004-05-21 2009-05-19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Estradiol prodrugs
US7825096B2 (en) * 2004-09-08 2010-11-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6-alkylguanine-DNA alkyltransferase inactivators and beta-glucuronidase cleavable prodrugs
US7378391B2 (en) 2004-09-29 2008-05-27 Amr Technology, Inc. Cyclosporin alkyne analogue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s
JP2008515886A (ja) 2004-10-06 2008-05-15 エーエムアール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クロスポリンアルキンおよびそれらの医用薬剤としての有用性
TW200631586A (en) * 2005-03-08 2006-09-16 Phytohealth Corp A method for preparing a pharmaceutical compound by way of magnetic carbon nanocapsules
DK1864129T3 (da) 2005-03-30 2010-11-29 Saladax Biomedical Inc Doxurubicin-immunassay
US7696166B2 (en) 2006-03-28 2010-04-13 Albany Molecular Research, Inc. Use of cyclosporin alkyne/alkene analogues for preventing or treating viral-induced disorders
US7696165B2 (en) 2006-03-28 2010-04-13 Albany Molecular Research, Inc. Use of cyclosporin alkyne analogues for preventing or treating viral-induced disorders
US20080031866A1 (en) * 2006-06-20 2008-02-07 Eichenbaum Gary M Method for modulating the pharmacokinetics and metabolism of a therapeutic agent
EP2037954A4 (en) * 2006-06-20 2011-09-14 Janssen Pharmaceutica Nv METHOD FOR MODULATING PHARMACOKINETICS AND METABOLISM OF THERAPEUTIC USE
US7871440B2 (en) 2006-12-11 2011-01-18 Depuy Products, Inc. Unitary surgical device and method
US7792651B2 (en) * 2007-04-26 2010-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computing gear modifications
US20100323976A1 (en) * 2007-06-14 2010-12-23 Johannes Maria Franciscus Gerardus Aerts Novel anti-inflammatory pro-drugs
EP2214716B1 (en) 2007-10-23 2021-11-17 Nektar Therapeutics Hydroxyapatite-targeting multiarm polymers and conjugates made therefrom
US20090306579A1 (en) * 2008-02-25 2009-12-10 Eyegate Pharmaceuticals, Inc. Delivery of corticosteroids through iontophoresis
KR20110051214A (ko) * 2008-07-30 2011-05-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약물 담체
EP2496237A2 (en) * 2009-11-06 2012-09-12 Chelsea Therapeutics, Inc. Enzyme inhibiting compounds
KR101253399B1 (ko) 2010-10-26 2013-04-1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포지단백질 a-i 및 그 변이체를 포함한 재조합 고밀도지단백질을 이용한 라파마이신 제형
EP2468741A1 (en) 2010-12-16 2012-06-27 Bel/Novamann International s.r.o. Novel quercetin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AR086745A1 (es) 2011-06-27 2014-01-22 Parion Sciences Inc 3,5-diamino-6-cloro-n-(n-(4-(4-(2-(hexil(2,3,4,5,6-pentahidroxihexil)amino)etoxi)fenil)butil)carbamimidoil)pirazina-2-carboxamida
CA2891280C (en) 2012-11-24 2018-03-20 Hangzhou Dac Biotech Co., Ltd. Hydrophilic linkers and their uses for conjugation of drugs to cell binding molecules
WO2014099676A1 (en) 2012-12-17 2014-06-26 Parion Sciences, Inc. Chloro-pyrazine carboxamide derivativ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favoured by insufficient mucosal hydration
EP3428153A1 (en) 2012-12-17 2019-01-16 Parion Sciences, Inc. 3,5-diamino-6-chloro-n-(n-(4-phenylbutyl)carbamimidoyl) pyrazine-2- carboxamide compounds
US9102633B2 (en) 2013-12-13 2015-08-11 Parion Sciences, Inc. Arylalkyl- and aryloxyalkyl-substituted epithelial sodium channel blocking compounds
PT3122757T (pt) 2014-02-28 2023-11-03 Hangzhou Dac Biotech Co Ltd Ligantes carregados e as suas utilizações em conjugação
EP3319936A4 (en) 2015-07-12 2019-02-06 Suzhou M-conj Biotech Co., Ltd. PLACES OF CONDUCT FOR THE CONJUGATION OF CELL BINDING MOLECULES
US9839687B2 (en) 2015-07-15 2017-12-12 Suzhou M-Conj Biotech Co., Ltd. Acetylenedicarboxyl linkers and their uses in specific conjugation of a cell-binding molecule
JP7138350B2 (ja) 2016-11-14 2022-09-16 ハンジョウ ディーエーシー バイオテック シーオー.,エルティディ. 共役連結体、該連結体を含有する細胞結合分子-薬物共役体、並びに該共役体及び連結体の使用及び製造方法
US11633484B2 (en) 2017-12-21 2023-04-25 Pharmacytics B.V. Method for improving the oral bioavailability of a drug
KR20210100607A (ko) 2018-11-05 2021-08-17 바이엘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인테그린 리간드를 갖는 세포증식억제 콘쥬게이트
WO2023057814A1 (en) 2021-10-04 2023-04-13 Vincerx Pharma Gmbh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prevention, or management of hyperproliferative disorders
WO2023057812A1 (en) 2021-10-04 2023-04-13 Vincerx Pharma Gmbh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prevention, or management of hyperproliferative disorder
WO2023057813A1 (en) 2021-10-04 2023-04-13 Vincerx Pharma Gmbh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prevention, or management of hyperproliferative disord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1218A2 (de) * 1990-02-01 1991-08-14 BEHRINGWERKE Aktiengesellschaft Anthracyclin-Glycosyl-Prodrug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Kombination mit funktionalisierten tumorspezifischen Enzymkonjugate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1436A (en) * 1976-02-02 1979-02-28 Searle & Co Immunological materials
US4279992A (en) * 1978-03-13 1981-07-21 Miles Laboratories, Inc. Specific binding assay employing an enzyme-cleavable substrate as label
US4481195A (en) * 1978-10-13 1984-11-06 Adolf Schwimmer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umors with β-glucuronidase activity dependent pharmaceuticals
US4265885A (en) * 1978-10-25 1981-05-05 Farmitalia Carlo Erba S.P.A. Anthracyclines containing branched-chain amino-deoxy sugars
WO1981001145A1 (en) * 1979-10-18 1981-04-30 Univ Illinois Hydrolytic enzyme-activatible pro-drugs
DK406686D0 (da) * 1986-08-26 1986-08-26 Hans Bundgaard Carboxylsyrederivater
US5434247A (en) * 1986-10-10 1995-07-1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Peptides for inducing monocyte cytotoxicity in diagnostics
GB8705477D0 (en) * 1987-03-09 1987-04-15 Carlton Med Prod Drug delivery systems
US4975278A (en) * 1988-02-26 1990-12-04 Bristol-Myers Company Antibody-enzyme conjugates in combination with prodrugs for the delivery of cytotoxic agents to tumor cells
FI102355B (fi) * 1988-02-11 1998-11-30 Squibb Bristol Myers Co Menetelmä yhdistävän välikappaleen omaavien antrasykliini-immunokonjug aattien valmistamiseksi
DE3842836A1 (de) * 1988-12-20 1990-06-21 Behringwerke Ag Rhodomycine mit einer modifizierten kohlenhydrat-einheit
DK24089D0 (da) * 1989-01-20 1989-01-20 Hans Bundgaard Novel prodrug derivatives of biologically active agents containing hydroxyl groups or nh-acidic groups
US5433955A (en) * 1989-01-23 1995-07-18 Akzo N.V. Site specific in vivo activation of therapeutic drugs
DE3924655A1 (de) * 1989-07-26 1991-01-31 Behringwerke Ag Anthracyclin-derivate
DE3928659A1 (de) * 1989-08-30 1991-03-07 Bayer Ag Ketophosphamidglycos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pharmazeutische wirkstoffe
DE3935016A1 (de) * 1989-10-20 1991-04-25 Behringwerke Ag Glycosyl-etoposid-prodrug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anwendung in kombination mit funktionalisiertem tumorspezifischen enzym-konjugaten
US5013556A (en) * 1989-10-20 1991-05-07 Liposome Technology, Inc. Liposomes with enhanced circulation time
EP0510080A4 (en) * 1989-12-26 1992-12-02 Nova Pharmaceutical Corporation Prodrug anhydrides of asprin, indomethacin and ibuprofen, their preparation, compositions, and anti-inflammatory method of use
US5137877B1 (en) * 1990-05-14 1996-01-30 Bristol Myers Squibb Co Bifunctional linking compounds conjugate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GB9017024D0 (en) * 1990-08-03 1990-09-19 Erba Carlo Spa New linker for bioactive agents
AU659808B2 (en) * 1990-08-30 1995-06-01 Biomembrane Institute, The Inhibition of metastasis potential and invasiveness by oligosaccharides or oligosaccharide antigens or antibodies
AU649275B2 (en) * 1990-11-06 1994-05-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drugs for beta-lactamase and uses thereof
FR2676058B1 (fr) * 1991-04-30 1994-02-25 Hoechst Lab Prodrogues glycosyle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des canc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1218A2 (de) * 1990-02-01 1991-08-14 BEHRINGWERKE Aktiengesellschaft Anthracyclin-Glycosyl-Prodrug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Kombination mit funktionalisierten tumorspezifischen Enzymkonjuga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5133A3 (de) 1998-11-04
IL107398A (en) 2001-01-28
JP3841311B2 (ja) 2006-11-01
CA2109259A1 (en) 1994-04-28
NZ250030A (en) 1994-12-22
AU669218B2 (en) 1996-05-30
DE4236237A1 (de) 1994-04-28
EP0595133B1 (de) 2011-01-05
ZA937951B (en) 1995-07-05
NO311830B1 (no) 2002-02-04
IL107398A0 (en) 1994-01-25
NO933854L (no) 1994-04-28
US6146658A (en) 2000-11-14
CA2109259C (en) 2005-05-24
AU5022593A (en) 1994-05-12
EP0595133A2 (de) 1994-05-04
JPH06293665A (ja) 1994-10-21
NO933854D0 (no) 1993-10-26
DE59310399D1 (de) 2011-02-17
US5955100A (en) 1999-09-21
ATE494009T1 (de) 2011-01-15
KR940008685A (ko) 199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862B1 (ko) 선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392065B2 (ja) 腫瘍および炎症性疾患治療用の新規プロドラッグ
JP4367798B2 (ja) インビボ許容性の向上した製剤
US7422733B2 (en) Linkable sialyl Lewis X analogs
US6503885B1 (en) Carboxymethylgalactose derivatives
JP3004297B2 (ja) リゾスフィンゴ脂質誘導体
KR19980703591A (ko) 당 개질된 세포 증식 억제제
CA3192679A1 (en) Molecules with solubility tag and related methods
US10046068B2 (en) Saccharide conjugates
US20050233949A1 (en) Conjugates comprising cancer cell specific ligands, a sugar and cancer chemotherapeutic agents/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agents, and uses thereof
US20080171787A1 (en) Colchicine neoglycosides and methods for their synthesis and use
EP0953357A1 (en) Nephrotropic drugs
US20080312162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zyme-Specific Activation of Carbohydrate-Conjugated Prodrugs
WO1999052922A1 (en) ANTIMICROBIAL βGalNAc(1→4)βGal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