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638B1 - 부호식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부호식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638B1
KR100297638B1 KR1019980013996A KR19980013996A KR100297638B1 KR 100297638 B1 KR100297638 B1 KR 100297638B1 KR 1019980013996 A KR1019980013996 A KR 1019980013996A KR 19980013996 A KR19980013996 A KR 19980013996A KR 100297638 B1 KR100297638 B1 KR 10029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lock
state
code sequenc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611A (ko
Inventor
하츠오 나카이
Original Assignee
하츠오 나카이
가부시기가이샤 클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츠오 나카이, 가부시기가이샤 클로바 filed Critical 하츠오 나카이
Priority to KR101998001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6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638B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부호식 잠금장치는 여러개의 다이얼(50)의 잠금해제부호열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잠금해제부호열 설정기구(60)와, 잠금해제조작 및 잠금조작에 의해 각 다이얼(50)을 회동시켜 강제적으로 복귀동작을 하도록 하는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을 갖춘 것이다. 잠금해제부호 설정기구(60)는 액튜에이터(10)의 작동에 응동하여 작동축(20)을 왕복변위시키는 변위기구와, 이 변위기구에 의한 작동축(20)의 왕복변위 및 회동기구(30)에 의한 작동축(20)의 회동에 의해 각 다이얼(50)과 결합, 분리하여 잠금해제부호열의 설정조작이 가능한 상태와 잠금해제부호열이 설정된 상태를 형성하는 맞물림기구를 포함한다. 또 상기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는 작동축(20)의 왕복변위 및 회동에 의해 각 다이얼(50)과 결합하여 각 다이얼(50)을 정해질 각도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결합부분을 포함한다. 잠금해제부호열의 설정이나 정열을 행한 후 잠금조작이나 잠금해제조작을 행하면 액튜에이터(10)가 응동하고 작동축(20)이 왕복변위와 회동을 행하여 각 다이얼(50)을 회동시킨다. 이때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에 의해 잠금해제부호열의 정렬이 자동적으로 흐트러져 소정의 부호열이 된다.

Description

부호식 잠금장치
본 발명은 임대금고나 라커 등에 부착되어 있는 부호식 잠금장치에 관련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여러개의 다이얼에 의해 잠금해제부호열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부호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부호식 잠금장치에서는 잠금해제조작이나 잠금조작에 이해 액튜에이터가 응동하고, 이 액튜에이터와 일체의 걸림편이 정역회동하여 받는금구에 결합,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부호식 잠금장치로서 부호식 잠금기구만이 짜 넣어져있는 제 1타입과, 부호식 잠금기구에 덧붙여 상기 액튜에이터에 실린더 잠금기구가 짜 넣어진 제 2타입이 존재한다. 이 두 타입 모두 잠금해제부호열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수시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사용자가 항상 바꿀 수 있는 용도에 적합하다.
잠글 때에는 우선 다이얼조작에 의해 원하는 잠금해제부호열을 설정한다. 이어서, 제 1타입에서는 손잡이를 잡고 회동조작한다. 제 2타입에서는 알맞는 열쇠를 열쇠구멍에 삽입하여 회동조작한다. 이에 따라 액튜에이터가 응동하고 걸림편이 받는금구에 결합한다. 그 후 다이얼조작에 의해 잠금해제부호열을 흐트러트리면 부호식 자물쇠는 잠금상태가 된다.
잠금해제시에는 우선 다이얼조작에 의해 잠금해제부호열을 정렬시킨다. 이어서 제 1타입에서는 손잡이를 잡고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동조작한다. 제 2타입에서는 알맞는 열쇠를 열쇠구멍에 삽입하여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동조작한다. 이에 따라 액튜에이터가 응동하고 걸림편이 받는금구에서 벗어난다.
그러나 제 1타입, 제 2타입 모두 잠금조작후에 잠금해제부호열을 흐트러트리는 조작이 필요하여 번거롭다. 혹 잠금조작 후에 잠금해제부호열을 흐트러트리는 것을 잊어버리면 제 1타입에서는 부호식 자물쇠는 잠금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자물쇠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 또한 제 2타입에서는 열쇠를 빼면 실린더자물쇠방식은 잠금상태가 되므로 자물쇠로서의 기능은 하지만 열쇠를 잃어버리면 그 열쇠를 이용하여 누구나 잠금을 풀 수 있기 때문에 방범효과는 떨어진다.
이 부호식 자물쇠를 사용자가 늘 바꾸는 용도로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바꿀때 마다 잠금해제부호열이 새로 설정되기 때문에 잠금해제조작 후에 잠금해제부호열을 흐트러트리는 조작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바꾸지 않는 용도로 이용할 경우는 잠금해제 조작 후에 잠금해제부호열을 흐트러 놓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 잠금해제부호열이 기억될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잠금해제 조작 후에도 잠금해제부호열을 흐트러놓는 조작을 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그래서 출원인은 종래 잠금조작 및 잠금해제조작에 연동시켜 각 다이얼을 강제적으로 돌리고 이에 따라 잠금해제부호열을 자동적으로 흐트러놓을 수 있도록 한 부호식 잠금장치를 개발했다.
그러나 이 부호식 잠금장치에서는 잠금해제부호열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기구에 덧붙여 잠금조작시 및 잠금해제조작시에 잠금해제부호열을 강제적으로 흐트러놓는 기구를 짜 넣고 있기 때문에 부품개수가 늘어나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자물쇠 전체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부호실 잠금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 - 부호식 잠금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평면도.
도 3 - 부호식 잠금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정면도.
도 4 - 부호식 잠금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 평면도.
도 5 - 부호식 잠금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 평면도.
도 6 - 부호식 잠금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 평면도.
도 7 - 부호식 잠금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 평면도.
도 8 - 부호식 잠금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9 - 부호식 잠금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10 - 부호식 잠금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11 - 부호식 잠금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12 - 회동기구의 산(傘)치차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 - 다이얼의 정면도.
도 14 - 다이얼의 측면도.
도 15 - 락기어의 단면도.
도 16 - 락기어의 측면도.
도 17 - 다이얼 간헐이동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 - 다이얼 간헐이동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9 - 다이얼 조작규제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0 - 다이얼 조작규제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1 - 복귀조작 방지기구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
본 발명의 부호식 잠금장치는 여러개의 부호가 나타나는 여러개의 다이얼과, 잠금해제조작 및 잠금조작에 응동하는 액튜에이터와, 각 다이얼의 잠금해제부호열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잠금해제부호열 설정기구와, 각 다이얼의 부호가 잠금해제부호열을 구성하는 정렬상태에 있을 때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허용하고 부정렬상태에 있을 때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규제하는 락기구와, 잠금해제조작 및 잠금조작에 의해 각 다이얼을 회동시켜 강제적으로 복귀동작시키는 다이얼 강제복귀기구와, 각 다이얼을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작동축과, 액튜에이터의 작동에 응동하여 작동축을 회동시키는 회동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해제부호열 설정기구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에 응동하여 작동축을 왕복변위시키는 변위기구와, 이 변위기구에 의한 작동축의 왕복변위 및 상기 회동기구에 의한 작동축의 회동에 의해 각 다이얼과 결합, 분리하여 잠금해제부호열의 설정조작이 가능한 상태와 잠금해제부호열이 설정된 상태를 형성하는 맞물림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얼 강제복귀기구는 작동축의 왕복변위 및 회동에 의해 각 다이얼과 결합하여 각 다이얼을 정해진 각도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결합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조작이나 잠금해제조작을 행하면 액튜에이터가 응동하고 작동축이 왕복변위와 회동을 행하여 각 다이얼을 회동시킨다. 이 때 다이얼 강제복귀기구에 의해 잠금해제부호열의 정렬이 자동적으로 흐트러져 소정의 부호열이 된다.
(1) 부호식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부호식 잠금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또 도 2 및 도 3은 이 부호식 잠금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다.
이 부호식 잠금장치는 에를들어 라커 문이 부착되고 걸림편(1)이 일정각도만큼 정역회동하여 라커본체의 받는금구(2)에 결합, 분리된다.
또 다음의 설명에서는 걸림편(1)이 받는금구(2)에 결합한 상태를 「닫힌상태」, 이 닫힌상태가 락고정되어있는 상태를 「잠금상태」, 락해제된 상태를 「잠금해제상태」, 걸림편(1)이 받는금구(2)에서 벗어난 상태를 「열린상태」라고 한다.
또 「열린상태」에서 「잠금상태」에 이르는 조작을 「잠금조작」, 「닫힌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를 거쳐 「열린상태」에 이르는 조작을 「잠금해제조작」이라 한다.
도 1∼도 3에는 「열린상태」에 있는 부호식 잠금장치의 외관 및 내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예의 부호식 잠금장치는 부호식 잠금기구 만이 짜 넣여진 상기 제 1 타입의 부호식 잠금장치이지만 뒤에 설명하는 액튜에이터(10)에 실린더잠금기구를 짜넣으면 제 2타입의 부호식 잠금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부호식 잠금장치에서는 상자모양케이스(6)의 윗면개구를 앞면플레이트(3)로 닫고 있다. 앞면플레이트(3)의 일단부 근처에는 원형의 개구부(4)가 마련되고 또한 중앙부에서 타단부를 걸쳐 4개의 창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상자모양 케이스(6)의 내부에는 개구부(4)의 위치에 액튜에이터(10)를 짜 넣고 있다. 또한 4개의 창구멍(5)의 위치에 부호식 잠금기구를 짜 넣는다.
개구부(4)에서는 뒤에 설명하는 내측통(12)의 단판(端板)(11)이 앞면플레이트(3)위로 돌출한다. 또 이 단판(11)에 잠금 및 잠금해제조작을 위한 손잡이(110)가 부착된다.
또 도 2 및 뒤에 설명하는 도 4∼도 7은 손잡이(110)를 뺀 상태로 도시한다.
이 손잡이(110)에는 마스터열쇠를 삽입하기 위한 열쇠구멍(111)이 마련된다. 상기 마스터키는 잠금해제부호열을 설정한 사람이 잠금해제부호열을 잊어버렸을 때 등에 응급처리적으로 사용된다. 또 액튜에이터(10)에 실린더 잠금기구를 짜 넣으면 열쇠구멍(111)에는 마스터열쇠뿐만아니라 실린더자물쇠를 열기 위한 열쇠가 삽입된다.
상기의 각 창구멍(5)의 위치에는 잠금해제부호열의 설정에 이용되는 4개의 다이얼(50)이 배치된다. 각 창구멍(5)에서는 각 다이얼(50)의 다이얼 조작판(51)이 앞면플레이트(3)위로 돌출하고 있다.
각 창구멍(5)은 상기 다이얼조작판(51)을 돌출시키는 장공부(7)와, 이 장공부(7)에 연속하는 직사각형모양 구멍부(8)를 갖는다. 각 직사각형모양 구멍부(8)에서는 각각의 다이얼(50)에 나타나는 부호가 보이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부호식 잠금장치는 잠그기위한 구성이나 잠금해제부호열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에 덧붙여 잠금조작 및 잠금해제조작에 따라 잠금해제부호열을 흐트려 소정의 부호열(도시한 예에서는 00| 4개 늘어선 부호열)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다음 액튜에이터(10), 작동축(20), 회동기구(30), 왕복이동기구 (40), 4개의 다이얼(50), 잠금해제부호열 설정기구(60), 락기구(80),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 다이얼 간헐이동기구(100), 다이얼 조작규제기구(54) 및 복귀조작 규제기구(120)의 각 구성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2) 액튜에이터(10)의 구성
액튜에이터(10)는 손잡이(110)에 의한 잠금해제조작 및 잠금조작에 응동하는 것으로 베어링통(14) 안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내측통(12)과, 내측통(12) 및 베어링통(14)의 외주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끼워진 외측통(13)과, 외측통(13)의 외주의 상부위치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슬리브(15)를 포함한다. 또 외측통(13)의 외주의 높이 중앙 보다 약간 아래쪽으로 회동기구(30)를 구성하는 상치차(31)가 끼워부착된다.
상기 내측통(12)의 내부에는 제 1∼제 3의 잠금기구부(16)(17)(18)가 각각 마련된다. 제 1의 잠금기구부(16)는 내측통(12)의 상부위치에 있고 마스터열쇠의 삽입에 의해 작동한다. 제 2의 잠금기구부(17)는 내측통(12)의 하부위치에 있고 공지한 실린더잠금기구를 짜 넣을 수 있다. 제 3의 잠금기구부(18)는 내측통(12)의 중간위치에 있고 뒤에 설명하는 락기구(80)를 구성한다.
제 1의 잠금기구부(16)에는 여러개의 디스크텀블러가 충진된다. 마스터열쇠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부의 디스크텀블러가 외측통(13)의 내주면에 마련된 홈에 결합하여 내측통(12)과 외측통(13)을 일체화한다.
마스터열쇠가 삽입되면 상기한 일부의 디스크텀블러가 작동하여 외측통(13)의 홈과의 결합이 풀리고 내측통(12)만이 단독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 제 2의 잠금기구(17)에도 마찬가지의 디스크텀블러를 충진하면 디스크자물쇠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제 2의 잠금기구부(17)에 디스크텀블러가 충진되어 있다.
제 3의 잠금기구부(18)에는 여러개의 디스크텀블러(81)가 충진된다. 이들 디스크텀블러(81)는 잠금해제상태에서는 내측통(12)내에 퇴피(退避)하고 있다. 잠금상태에서는 스프링힘에 의해 베어링통(14)에 마련된 자물쇠구멍(19)으로 디스크텀블러(81)가 돌출하여 결합하고 이에 따라 내측통(12)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 이 디스크텀블러(81)에 대해서는 락기구(80) 항목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3) 작동축(20)의 구성
작동축(20)은 도 8과 같이 기단면에 개구하는 중공구멍(21)을 갖추고 있다. 작동축(20)은 중공구멍(21)으로 삽입되는 지지축(22)에 의해 기단부가 또한 지지판 (23)의 베어링구멍(24)에 의해 선단부가 각각 액튜에이터(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중공구멍(21)에는 압축스프링(25)을 짜 넣는다. 이 압축스프링(25)은 스프링힘으로 작동축(20)을 상시 액튜에이터(10)의 방향으로 부세한다.
상기 지지판(23)과 지지축(22)과의 사이에는 4장의 간막이판(26)이 등간격으로 마련되어있다. 각 간막이판(26)에는 원형공(27)이 뚫려져있고, 작동축(20)이 상기 각 원형공(27)을 관통한다.
작동축(20)의 선단면에는 가이드롤러(28)가 부착된다. 또 작동축(20)의 선단부위에는 회동기구(30)를 구성하는 산치차(32)가 작동축(20) 위를 접동가능하고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작동축(20)의 축 둘레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락기구(80)를 구성하는 4개의 볼록자(8)가 각각 같은 각도위치에 일체로 나와 있다.
(4) 회동기구(30)의 구성
회동기구(30)는 잠금조작 및 잠금해제조작시에 작동축(20)을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회동기구(30)는 외측통(13)에 장착된 산치차(31)와, 작동축(20)위에 배치된 상기 산치차(32)로 구성된다. 2개의 산치차(31)(32)는 서로 맞물려 있고 이에 따라 액튜에이터(10)의 회동이 작동축(20)에 전달되어 작동축(20)이 회동한다.
각 산치차(31)(32)의 톱니의 핏치는 「열린상태」에서「닫힌상태」로 또한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각각 이행하는 사이에 작동축(20)이 1회회전 하도록 정해져 있다.
상기 산치차(31)는 도 12와 같이 내측공(34)에 일정한 각도범위(θ에 걸쳐 결합홈(35)이 형성되어있다. 이 결합홈(35)에는 외측통(13)의 외주면으로 나온 구동돌기(36)가 결합한다. 이 결합홈(35)과 구동돌기(36)로 산치차(31)가 동작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지연하도록 하는 작동지연기구가 구성된다.
잠금조작 및 잠금해제조작시에 외측통(13)이 회동할 때 처음에는 구동돌기 (36)가 결합홈(35) 내를 접동한다. 이 때문에 산치차(31)는 곧바로 일체로 회동하지 않는다. 구동돌기(36)가 결합홈(35)의 단에 이르는 시점에서 산치차(31)가 일체로 회동한다.
이 작동지연기구는 작동축(20)을 우선 축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이어서 작동축(20)을 회동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5) 왕복이동기구(40)의 구성
왕복이동기구(40)는 상기 액튜에이터(10)의 작동에 응동하고, 뒤에 설명하는 스토퍼(47)를 소정의 위치만큼 왕복변위 시킨다. 이 왕복이동기구(40)는 외측통 (13)의 하부의 외주면의 소정각도위치에 마련된 압착롤러(41)와, 외측통(13)의 회동시에 상기 압착롤러(41)에 의해 밀려 작동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가동체(42)를 포함한다.
이 가동체(42)는 액튜에이터(10)와 대향하는 면이 압착롤러(41)가 이동하는 요곡면(43)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체(42)는 작동축(20)과 평행하게 가설된 2개의 지지봉(45)(45)의 선단에 지지된다. 각 지지봉(45)의 기단부에는 스토퍼(47)가 부착된다. 이 스토퍼 (47)와 상자모양 케이스(6)의 단벽과의 사이에는 스토퍼(47)를 액튜에이터(10)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압축스프링(46)(4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47)는 뒤에 설명하는 락기어(52)의 열(列)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동체(42)의 요곡면(43)은 손잡이(110)의 회동가능각도(이 실시예는 120도)보다 약간 작은 각도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압착롤러(41)는 도 2의 「열린상태」 및 도 5의 「닫힌상태」일 때는 가동체(42)의 요곡면(43)에서 이탈된다. 도 4의 「열린상태」 에서「닫힌상태」로의 이행시나 도 6및 도 7의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이행할 때 압착롤러(41)는 가동체(42)의 요곡면(43)위에 배치되어 가동체(42)를 축방향으로 민다. 이에 따라 가동체(42)는 일정량만큼 변위하고 이 상태에서 압착롤러(41)가 요곡면(43) 위를 접동한다. 가동체(42)가 변위할 때 이 가동체(42)와 일체의 지지봉(45)(45) 및 스토퍼(47)도축방향으로 변위한다.
(6) 다이얼(50)의 구성
4개의 각 다이얼(50)은 작동축(20) 위의 각 간막이판(26)의 내측위치에 각각 락기어(52)를 통해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각 다이얼(5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벽(49)의 일단부 근처에 다이얼조작판(51)과 그 외측에 캠판(53)이 각각 일체로 마련된 구조이다. 통형상벽(49)의 외주면에는 등각도위치마다 「0」∼「9」의 부호가 나타난다.
상기 캠판(53)은 다이얼 조작규제기구(54)를 구성하고 소정의 각도위치에 골짜기부(5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통형상벽(49)의 내측의 소정각도위치에는 도 8과 같이 작동축(20)과 평행하게 결합핀(92)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결합핀(92)은 핀구멍(94)에서 출몰(出沒)한다. 이 결합핀(56)은 스프링(95)에 의해 액튜에이터(10)의 방향으로 부세된다. 결합핀(92) 및 스프링(95)은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를 구성한다. 또한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의 상세한 설명은 뒤에 한다.
(7) 잠금해제부호열 설정기구(60)의 구성
잠금해제부호열 설정기구(60)는 잠금해제부호열을 자유롭게 기억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이 잠금해제부호열 설정기구(60)는 작동축(20)을 왕복변위시키기 위한 변위기구와, 각 다이얼(50)과 각 락기어(52)의 연관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맞물림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잠금해제부호열이라 함은 상기의 각 창구멍(5)에 나타날 수 있는 각 다이얼(50)의 부호열 중에서 부호식 자물쇠를 「잠금해제상태」로 하는 부호의 열을 말한다.
또 다음의 설명중 잠금해제부호열을 구성하는 각 다이얼(50)의 부호를 단순히 「잠금해제부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변위기구는 액튜에이터(10)의 작동에 응동하여 작동축(20)을 왕복변위시킨다. 이 실시예의 변위기구는 외측통(13)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이 실시예에서는 120도보다 작은 각도)를 갖고 형성된 제 1, 제 2의 각 요입부(70A)(70B)와, 슬리브(15)에 120도마다 마련된 3개의 개구부(71)와, 외측통(13)의 상단면에 마련되어 슬리브(15)의 상단면에 120도마다 형성된 절개홈(72)과, 결합, 분리가능한 걸림판(73)과, 작동축(20)의 중공구멍(21)에 마련된 상기 압축스프링(25)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열린상태」일 때는 외측통(13)의 제 1요부(70A)와 슬리브(15)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71)가 겹치고, 작동축(20)의 선단이 가이드롤러(28)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작동축(20)은 상기 압축스프링(25)의 스프링힘에 의해 밀리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롤러(28)는 슬리브(15)의 개구부(71)에서 외측통(13)의 제 1요입부(70A)로 감입된다. 이와같이 감입상태일 때 작동축(20)은 액튜에이터 (10) 쪽으로 더욱 변위하고 있다. 다음 이 위치를 「제 1변위위치」라고 한다.
도 4에는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이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외측통(13)과 슬리브(15)는 걸림판(73)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한다. 그 결과 작동축(20)의 선단의 가이드롤러(28)는 슬리브(15)의 외주면위에 배치된다. 이 때 작동축(20)은 액튜에이터(10)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더욱 변위하고 있다. 다음 이 위치를 「제 2변위위치」라고 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닫힌상태」일 때 슬리브(15)의 개구부(71)는 작동축(20)의 선단의 가이드롤러(28)와 대향하여 위치한다. 이 때 외측통(13)의 제 2요입부 (70B)는 상기 개구부(71)와 약간의 각도 만큼 위치가 어긋나고 있다.
작동축(20)이 압축스프링(25)의 스프링힘에 위해 밀리게 되므로 가이드롤러 (28)는 슬리브(15)의 개구부(71)로 감입하고 외측통(13)의 외주면에 마주닿는다. 이 상태일 때 작동축(20)은 「제 1변위위치」와 「제 2변위위치」의 중간에 정위한다. 다음 이 위치를 「제 3변위위치」라고 한다.
도 6에는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를 향해 약간 이행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7에는 다시 이행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이행할 때는 외측통(13)과 슬리브(15)는 걸림판(73)에 의한 결합이 풀려 외측통(13)만이 회동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하는 이행개시 직후에 외측통(13)의 제 2요입부(70B)와 슬리브(15)의 개구부(71)가 겹치고 작동축(20)의 선단의 가이드롤러(28)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이때 작동축 (20)은 상기 압축스프링(25)의 스프링힘에 의해 밀리게 되므로 가이드롤러(28)는 슬리브(15)의 개구부(71)에서 외측통(13)의 제 1요입부(70A)로 감입하고, 작동축(20)은 상기의 「제 1변위위치」로 이행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의 이행도중에는 외측통 (13)만이 다시 회동하고, 작동축(20)의 선단의 가이드롤러(28)는 슬리브(15)의 개구부(71)에 긴 상태에서 외측통(13)의 외주면위에 배치된다. 이와같은 상태일 때 작동축(20)은 「제 1변위위치」와 「제 2변위위치」의 중간 즉 상기의 「제 3변위위치」에 있다.
맞물림기구는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각 다이얼(50)의 내주면의 주위에 마련된 일열의 돌자열(61)과,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각 락기어(52)의 외주면의 주위에 마련된 2열의 돌자열(64a)(64b)로 구성된다. 각 락기어(52)의 돌자열(64a)(64b) 사이에는 다이얼(50)의 돌자열(61)의 폭보다 약간 넓은 폭의 접동요입홈(68)이 형성된다.
각 다이얼(50)의 돌자열(61)에는 서로 인접하는 돌자(62)(62) 사이에 부호수에 상당하는 수(10개)의 감합홈(63)이 형성되어있다. 각 락기어(52)의 각 돌자열(64a)(64b)은 어떤 감합홈(63)이라도 감합이 가능한 감합돌자(65)가 소정수(이예에서는 5개)배치되어 이루어진다. 각 다이얼(50)의 돌자열(61)과 대응하는 락기어(52)의 돌자열(64a)(64b)과의 맞물림 각도위치 즉 락기어(52)에 대한 다이얼(50)의 감합각도위치는 부호수에 상당하는 수만 존재한다. 따라서 양자의 감합각도위치에 따라 10가지 종류의 잠금해제부호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기구의 동작은 상기한 변위기구에 덧붙여 액튜에이터(10)에 가장 가까운 락기어(52)와 작동축(20)과의 사이에 마련된 압축스프링(66)과, 작동축(20) 위에 각 락기어(52)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토퍼링(67)과, 액튜에이터(10)에 가장 먼 락기어(52)에 대향하여 마련된 스토퍼(47)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압축스프링(66)은 락기어(52)의 열을 액튜에이터(10)와 반대방향으로 부세한다. 각 스토퍼링(67)은 작동축(20)위에서 각 락기어(52)의 이행규제위치를 설정한다. 스토퍼(47)는 락기어(52)의 열 및 작동축(20)의 이행규제위치를 설정한다.
도 8∼ 도 11에는 각 다이얼(50)과 각 락기어(52)와의 연관된 상태가 나타나있다. 도 8은 잠금해제시의 상태, 도 9는 잠금조작시의 상태, 도 10은 잠금상태, 도 11은 잠금해제 조작시의 상태이다.
도 8의 잠금해제시에서 작동축(20)은 「제 1변위위치」에 있다. 이 때 각 락기어(52)는 스토퍼링(67)에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각 다이얼(50)의 돌자열(61)은 각 락기어(52)중 어떠한 돌자열(64a)(64b)과도 맞물려 있지 않아 각 다이얼(50)과 락기어(52)의 연관은 끊어져있다. 따라서 각 다이얼(50)은 단독으로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임의의 잠금해제부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잠금조작시에서는 작동축(20)은 「제 2변위위치」에 있다. 이 때 락기어(52)의 열은 스토퍼(47)에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각 다이얼(50)의 돌자열(61)은 각 락기어(52)의 한쪽의 돌자열(64a)과 서로 맞물려 잠금해제부호열이 기억되고 있다. 이 잠금조작시 각 다이얼(50)과 각 락기어(52)는 뒤에 설명하는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의 작용에 의해 일체 회동한다.
도 10의 잠금시에서는 작동축(20)은 「제 3변위위치」에 있다. 이 때 락기어(52)의 열은 스토퍼(47)에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각 다이얼 (50)의 돌자열(61)은 각 락기어(52)의 다른 쪽의 돌자열(64b)과 서로 맞물려서 잠금해제부호열이 기억되고 있다. 따라서 각 다이얼(50)과 각 락기어(52)를 일체로 회동시킬 수 있고 또한 잠금해제를 위한 다이얼조작에 의해 잠금해제부호를 정렬할 수 있다.
도 11의 잠금해제조작시에서는 작동축(20)은 「제 3변위위치」에 있다. 이 때 락기어(52)의 열은 스토퍼(47)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 즉 압축스프링(66)의 스프링힘에 의해 락기어(52)의 열이 부세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각 다이얼(50)의 돌자열(61)은 각 락기어(52)의 접동요입홈(68)에 위치하고 어떠한 돌자열(64a)(64b)과도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각 다이얼(50)과 각 락기어(52)는 연관성이 끊어지고 있다. 따라서 각 다이얼(50)은 단독으로 회동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각 다이얼(50)은 뒤에 설명하는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의 작용에 의해 회동한다.
(8) 락기구(80)의 구성
락기구(80)는 각 창구멍(5)에 나타난 각 다이얼(50)의 부호가 모두 잠금해제부호일 때(잠금해제부호열이 생성되었을 때) 액튜에이터(10)의 작동을 허용하는 한편 각 창구멍(5)에 나타난 어떤 다이얼(50)이 부호중 하나가 잠금해제부호가 아닐때(잠금해제부호열이 흐트러져 있을 때) 액튜에이터(10)의 작동을 규제한다.
이 실시예의 락기구(80)는 액튜에이터(10)의 내측통(12)에 제 3의 잠금기구부(18)로서 장진된 여러개의 디스크텀블러(81)(도 2∼도 7 참조)와, 액튜에이터(10)의 베어링통(14)에 작동축(20)의 방향으로 뚫린 자물쇠구멍(19)(도 2∼도 7 참조)과, 이 자물쇠구멍(19)의 내부에 마련된 작동편(83)(도 2∼도 7 참조)과, 상기 작동축(20)의 축주면에 돌설된 4개의 볼록자(82)(도 9∼도 11 참조)와, 각 락기어 (52)의 내주면의 긴쪽방향에 마련된 각 볼록자(82)와 결합, 분리하는 볼록자결합홈 (84)(도8∼도11, 도 15, 도 16 참조)과, 각 락기어(52)의 외주면의 소정각도위치에 돌설된 결합돌기(85)(도 9∼도 11, 도 15 참조)와, 각 간막이판(26)의 원형공(27)의 소정각도위치에 마련된 상기 결합돌기(85)와 결합, 분리하는 직사각형모양의 절개부(86)(도 8∼도 11 참조)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텀블러(81)는 도 5의 「닫힌상태」일 때 스프링힘에 의해 상기 자물쇠구멍(19)으로 돌출하여 베어링통(14)과 결합한다. 이에 따라 내측통(12) 및 외측통(13)이 일체로 회동하는 것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편(83)을 작동축(20)의 방향으로 압출하여 그 선단부를 외측통(13)의 제 2요입부(70B)내로 돌출시킨다.
상기 자물쇠구멍(19)의 디스크텀블러(81)가 결합하는 부분에는 확대부(19a)가 형성되어있고 도 5의 「닫힌상태」일 때 잠금해제조작에 의해 내측통(12) 및 외측통(13)을 약간의 각도만큼 일체로 회동시키면 외측통(13)의 제 2요입부(70B)가 슬리브(15)의 개구부(71)에 합치한다(도 6 참조). 이 상태일 때 잠금해제부호열이 정렬되어 있으면 작동축(20)이 액튜에이터(10)의 방향으로 변위하고 선단의 가이드롤러(28)가 작동편(83)을 자물쇠구멍(19) 안으로 퇴피시킴과 동시에 디스크텀블러 (81)을 자물쇠구멍(18)에서 압출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작동축(20)의 각 볼록자(82)는 도 8의 「열린상태」일 때에는 각 락기어(52)의 볼록자결합홈(84) 내에 계입(係入)하여 각 락기어(52)의 회동을 규제한다.
이 때 각 다이얼(50)은 각 락기어(52)와의 연관성이 끊어져있기 때문에 각 다이얼(50)을 회동조작하여 잠금해제부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작동축(20)의 각 볼록자(82)는 각 락기어(52)의 볼록자결합홈(84)에서 나오고 각 락기어(52)는 작동축(20)에 대해 회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 때 각 다이얼(50)은 락기어(52)와 연관된 상태에 있고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의 작용에 의해 각 다이얼(50)과 각 락기어(52)는 일체로 회동한다.
도 10의 「닫힌상태」일 때도 작동축(20)의 각 볼록자(82)는 각 락기어(52)의 볼록자결합홈(84)에서 나오고 각 락기어(52)는 작동축(20)에 대해 회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 때 각 다이얼(50)은 락기어(52)와 연관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해제부호가 흐트러진 다이얼(50)에 대해서는 작동축(20)의 볼록자(82)와 락기어(52)의 볼록자 결합홈(84)이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작동축(20)의 액튜에이터(10)이 방향으로의 이행이 저지된다. 그 다이얼(50)의 잠금해제부호를 맞추면 볼록자(82)와 볼록자결합홈(84)과의 위치가 일치하고 작동축 (20)의 액튜에이터(10)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도 11의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의 이행시에는 작동축(20)의 각 볼록자(82)는 각 락기어(52)의 볼록자결합홈(84) 내에 계입하고, 각 락기어(52)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 때 각 다이얼(50)은 락기어(52)와의 연관성이 끊어진 상태에 있고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의 작용에 의해 각 다이얼(50)이 단독으로 회동한다.
다음은 락기어(52)의 결합돌기(85)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열린상태」일 때 모든 결합돌기(85)는 각 간막이판(26)의 위치에서 절개부(86)에 계입한 상태에 있지만 그 이외의 상태일 때 절개부(86)에서 나와 간막이판(26)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0의 「닫힌상태」일 때 잠금해제부호가 흐트러진 다이얼(50)에 대해서는 결합돌기(85)와 절개부(86)와의 위치가 어긋나 각 락기어(52)의 액튜에이터(10)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잠금해제부호가 창구멍(5)에 나타나고 있는 각도위치의 다이얼(50)에 대해서는 결합돌기(85)와 절개부(86)와의 위치가 일치하여 락기어(52)의 액튜에이터(10)로의 방향이동이 허용된다.
(9)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의 구성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는 잠금해제부호열을 설정한 후에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이행시킬 때 정렬상태의 잠금해제부호열을 흐트러트리고 각 다이얼(50)을 정해진 각도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것으로 4개의 창구멍(5)에 00| 늘어서는 부호열로 복귀동작시킨다. 또한 잠금해제부호열을 정렬시킨 후에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이행시킬 때 마찬가지로 정렬상태의 잠금해제부호열을 흐트러트리고 각 다이얼(50)을 정해진 각도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것으로 4개의 창구멍(5)에 00| 늘어서는 부호열로 복귀동작시킨다.
이 실시예는 각 다이얼(50)의 창구멍(5)에 00| 나타나는 각도위치에 각 다이얼(50)을 강제회동시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달리 정해진 부호를 각창구멍(5)에 나타나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0복귀동작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축(20) 위에 각 다이얼(50)과 대응하고 작동축(20)과 일체로 회동하는 원판모양의 구동플레이트 (91)가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각 다이얼(50)에는 결합핀(92)을 구동플레이트(91)의 외주부에 대향시켜 마련함과 동시에 각 구동플레이트(91)의 외주테두리에 상기 결합핀(92)의 결합, 분리가 가능한 절개요입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축(20)은 상기한 「열린상태」와 「닫힌상태」사이를 이행하는 동안에 꼭 1회전하기 때문에 각 구동플레이트(91)의 절개요입부(93)는 「열린상태」 및 「닫힌상태」일 때 늘 같은 각도위치에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열린상태」 및 「닫힌상태」일 때 절개요입부(93)가 최상위치 즉 앞면플레이트(3) 쪽에 위치하도록 구동플레이트(91)의 작동축(20)으로의 부착각도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한편 다이얼(50)이 창구멍(5)에 「0」이 나타나는 각도위치에 있을 때 결합핀(92)이 최상위치에 위치하도록 결합핀(92)의 각 다이얼(50)에 조립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열린상태」 및 「닫힌상태」일 때에 결합핀(92)과 구동플레이트 (91)의 절개요입부(93)가 결합하고 있으면 창구멍(5)에 나타나는 다이얼(50)의 부호는 「0」이다.
(10) 다이얼 간헐이동기구(100)의 구성
다이얼 간헐이동기구(100)는 각 다이얼(16)의 「0」에서 「9」의 각 부호가 창구멍(5)에 순서대로 나타나 정위하는 간헐동작을 실현한다. 이 다이얼 간헐이 동기구(100)는 도 17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각 다이얼(5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로 형성된 10개의 돌기부(101)와, 각 다이얼(50)의 위치에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걸림부재(102)로 구성된다.
각 걸림부재(102)는 다이얼(50)의 대향위치로 뻗는 탄성을 갖는 한쌍의 걸림편(103a)(103b)을 가지고, 각 걸림편(103a)(103b)의 선단에 형성된 안쪽을 향하는 돌부(104)를 각 다이얼(50)의 돌기부(101)(101)사이의 홈(105)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다이얼(50)을 돌리면 도 18과 같이 각 걸림편(103a)(103b)이 휘어 각각의 안쪽을 향하는 돌부(104)가 홈(105)에서 압출된 후 다음의 홈(105)으로 계입한다. 이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다이얼(50)의 간헐이동이 실현된다.
(11) 다이얼 조작규제기구(54)의 구성
다이얼 조작규제기구(54)는 잠금조작시에는 다이얼(50)에 의한 잠금해제 부호열의 설정조작 후에 손잡이(110)에 의한 회동조작을 행하고 또한 잠금해제조작 시에는 다이얼(50)에 의한 잠금해제부호열의 정렬조작 후에 손잡이(110)에 의한 회동조작을 행하는 것을 각각 순서를 붙이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즉 잠금해제부호열의 설정 또는 정렬조작 이전은 「0」이 4개 늘어선 상태에 있으며, 이 상태 하에서의 회동조작에 대해 액튜에이터(10)의 회동을 저지하는 것이다.
이 다이얼 조작규제기구(54)는 각 다이얼(50)의 캠판(53)과 연관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축(20)과 평행하게 배치된 구동축(56)과, 이 구동축(56)의 주면의 각 다이얼(50)의 위치에 일체로 부착된 혀모양 편부(57)와, 구동축(56)의 주면의 상기 가동체(42)의 위치에 일체로 부착된 규제편(58)으로 구성된다.
「0」이 4개 늘어선 상태에 있을 때 모든 혀모양 편부(57) 선단의 갈고리모양부(59)는 캠판(3)의 골짜기부(55)로 떨어지고 있다. 이 때 규제편(58)은 가동체(42)와 지지판(23)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가동체(42)를 구속하고 있다. 어떠한 다이얼(50)이 조작되어 캠판(53)이 회동하면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캠판(53)에 대응하는 혀모양 편부(57)의 갈고리모양부(59)가 골짜기부(55)에서 압출되어 구동축(56)이 일체로 회동한다. 이 구동축(56)의 회동에 따라 규제편(8)이 기립되어 가동체(42)의 구속을 해제한다.
(12) 복귀조작 방지기구(120)의 구성
복귀조작 방지기구(120)는 잠금조작이나 잠금해제 조작시에 조작도중 손잡이(110)를 역방향으로 되돌리는 조작을 금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구 각 부의 오동작이나 손상을 방지한다.
도시한 예의 복귀조작 방지기구(120)는 도 21과 같이 외측통(13)과 일체로 회전하는 라쳇트판(121)과, 라쳇트판(121)의 외주의 톱니(122a)(122b)와 맞물리는 한쌍의 걸림판(123a)(123b)과, 각 걸림판(123a)(123b)를 지지하고 또한 선단의 걸림부를 라쳇트판(121) 방향으로 부세하는 판스프링부재(124a)(124b)와, 외측통(13)의 외주에 끼워져 라쳇트판(121)에 대한 각 걸림판(123a)(123b)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링(1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쳇트판(121)은 역방향의 톱니(122a)(122b)가 180도 보다 작은 각도 범위에 걸쳐 대칭위치에 마련된 제 1, 제 2의 맞물림부(126a)(126b)와, 각 맞물림부(126a)(126b)사이에 형성된 대경부(127) 및 소경부(128)를 갖는다.
각 걸림판(123a)(123b)은 라쳇트판(121)의 외주위치로서 라쳇트판(121)을 중심으로 하는 대각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선단의 걸림부는 한쪽의 옆테두리가 수직으로 다른쪽의 옆테두리가 경사져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링(125)은 외주면을 지지면(129)으로 이루고 대각위치에서 소정각도 어긋난 위치에 각 판스프링부재(124a)(124b)의 선단부(130a)(130b)와 각각 결합, 분리하는 2개의 가이드구멍(131a)(131b)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어링(125)은 잠금조작 및 잠금해제조작이 종료하는 동안에 일정각도 만큼 외측통(13)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있고 이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외측통(13)의 외주에는 180도 보다 작은 각도범위에 걸치는 접동홈(도시하지 않음)이, 또한 제어링(125)의 내주에는 상기 접동홈에 결합하는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열린상태」일 때 제 1의 걸림판(123a)은 걸림부 선단이 라쳇트판(121)의 소경부(128)에 닿는 한편, 제 2의 걸림판(123b)은 라쳇트판(121)의 대경부(127)에 의해 밀어올려져 판스프링부재(124b)의 선단부(130b)가 제어링(125)의 지지면(129)에 의해 지지된다.
잠금조작에 의해 액튜에이터(10)가 도면중 화살표시 P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의 걸림판(123a)은 제 1의 맞물림부(126a)와 서로 맞물리지 않고 외측통(13)의 회동이 허용된다. 이 회동도중 역방향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 걸림판(123a)과 제 1의 맞물림붐(126a)가 서로 맞물려서 역회전이 저지된다.
잠금조작이 종료할 때가 되면 제 1의 걸림판(123a)이 라쳇트판(121)의 대경부(127)에 의해 밀어올려짐과 동시에 제어링(125)의 회동에 의해 판스프링부재 (124a)의 선단부(130a)가 제어링(125)의 지지면(129)에 올려놓여져 지지된다. 한편 제 2의 걸림판(123b)의 선단부(130b)는 판스프링부재(124b)의 스프링힘을 받아 가이드공(131b)에 끼워넣여지고 라쳇트판(121)의 소경부(128)에 닿는다.
잠금조작에 있어서는 제 2의 걸림판(123b)과 제 2의 맞물림부(126b)가 서로 연관되게 되고 그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13) 부호식 잠금장치의 잠금조작시의 동작
상기한 구성의 부호식 잠금장치에 대해서는 잠금조작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부호식 잠금장치가 도 1∼도 3 및 도 8에 도시된 「열린상태」에 있을때 작동축(20)의 선단의 가이드롤러(28)가 슬리브(15)의 개구부(71) 및 외측통(13)의 제 1요입부(70A)에 끼워넣여지기 때문에 작동축(20)은 액튜에이터(10)쪽으로 더욱 변위한 「제 1변위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각 다이얼(50)은 각 락기어(52)와 연관성이 끊어진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 즉 각 다이얼(50)의 돌자열(61)과 각 락기어(52)의 돌자열(64a)(64b)과의 결합이 풀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잠금해제부호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각 다이얼(50)의 다이얼 조작판(51)을 회동조작하고 임의의 잠금해제부호열에 설정했다고 하면 다이얼 조작규제기구(54)의 규제편(58)이 가동체(42)의 구속을 풀고 부호식 잠금장치는 잠금조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은 손잡이(110)를 회동조작하면 도 4와 같이 작동축(20)의 선단의 가이드롤러(28)가 슬리브(15)의 외주면으로 타올라가게 된다. 그 결과 작동축(20)은 액튜에이터(10)와 반대방향으로 변위하고, 도 9에 도시하는 「제 2변위위치」로 이행한다. 그 후 액튜에이터(10)의 회동이 회동기구(30)를 통해 작동축(20)에 전달되고 작동축(20)이 회동한다.
작동축(20)이 「제 2변위위치」에 이른 회동전의 시점에서는 각 다이얼(50)에 대해서는 구동플레이트(91) 및 락기어(52)는 압축스프링(66)에 의해 밀리고 각 락기어(52)와 각 다이얼(50)이 서로 관련된 상태 즉 각 다이얼(50)의 돌자열(61)과 각 락기어(52)의 한쪽의 돌자열(64a)이 결합한 상태가 되어 설정된 잠금해제부호가 기억유지된다.
한편 구동플레이트(91)는 다이얼(50)에 근접한 위치에 있고 결합핀(92)의 위치와 구동플레이트(91)의 절개요입부(93)의 위치가 일치하면 이 양자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또 이 상태일 때 작동축(20)과 각 락기어(52)는 볼록자(82)가 볼록자결합홈 (84)에서 나와 연관이 끊어져 있고, 또한 락기어(52)의 결합돌기(85)는 간막이판 (26)의 절개부(86)에서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 하에서 작동축(20)이 회동하면 구동플레이트(91)가 일체로 회동하고, 각 다이얼(50)에 대해 절개요입부(93)가 잠금해제부호에 따른 설정각도위치에서 결합핀(92)과 결합한 후 각 다이얼(50)과 각 락기어(52)를 일체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각 락기어(52)의 볼록자 결합홈(84)은 대응하는 볼록자(82)와 위치가 어긋나고 또한 각 락기어(52)의 결합돌기(85)는 절개부(86)와 위치가 어긋나게 된다. 작동축(20)이 1회전하여 구동플레이트(91)의 절개요입부(93)가 최상위치에 이를 때 각 창구멍(5)에는 각 다이얼(50)의 부호 「0」이 나타난다.
도 5의 「닫힌상태」에 이르면 락기구(80)의 디스크텀블러(81)가 베어링통 (14)의 자물쇠구멍(19)으로 계입하고, 작동편(83)을 외측통(13)쪽으로 밀어낸다. 한편 작동축(20)은 선단의 가이드롤러(26)가 슬리브(15)의 개구부(71)에 끼워져 도 10에 도시하는 「제 3변위위치」로 이행한다. 그 결과 어떤 락기어(52)의 결합돌기 (85)가 간막이판(26)의 원형공(27)의 구멍주연에 결합하고 락상태가 생성된다. 이 때 각 다이얼(50)의 돌자열(61)과 락기어(52)의 돌자열(64b)이 결합하여 서로 연관된 상태에 있다.
(14) 부호식 잠금장치의 잠금해제조작시의 동작
다음은 잠금해제조작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부호식 잠금장치가 도 5 및 도 10의 「닫힌상태」에 있을 때 각 다이얼(50)은 각 락기어(52)와 서로 관련된 상태에 있고, 각 락기어(52)는 작동축(20)과 연관성이 끊어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설정된 잠금해제부호열을 정렬시킬 수 있다.
각 다이얼(50)의 다이얼조작판(51)을 회동조작하여 잠금해제부호열을 정렬시키면 각 락기어(52)의 볼록자결합홈(84)의 위치와 작동축(20)위의 대응하는 볼록자 (82)의 위치가 일치한다. 또한 각 락기어(52)의 결합돌기(85)의 위치와 각 간막이판(26)의 절개부(86)의 위치가 일치한다.
다음은 손잡이(110)를 약간 회동조작하면 도 6과 같이 외측통(13)이 회동하고, 외측통(13)의 제 2요입부(70B)와 슬리브(15)의 개구부(71)가 겹치게 된다.
그 결과 작동축(20)의 선단의 가이드롤러(28)는 슬리브(15)의 개구부(71)에서 외측통(13)의 제 2요입부(70B)로 감입하고, 작동축(20)은 「제 1변위위치」로 이행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롤러(28)는 작동편(83)을 자물쇠구멍(19) 안으로 퇴피시키고 디스크텀블러(81)를 자물쇠구멍(19)에서 밀어내 잠금상태를 푼다.
또한 손잡이(110)를 회동조작하면 도 7과 같이 작동축(20)의 선단의 가이드롤러(28)는 외측통(13)의 외주면으로 타올라가게 된다. 그 결과 작동축(20)은 도 11에 도시하는 「제 3변위위치」로 이행하고, 각 락기어(52)와 각 다이얼(50)은 연관성이 끊어진 상태 즉 돌자열(61)이 접동요입홈(64)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일 때 작동축(20)과 각 락기어(52)는 볼록자(82)가 볼록자 결합홈(84)과 서로 결합하여 연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락기어(52)의 결합돌기(85)는 간막이판(26)의 원형공(27)의 구멍주연과의 결합이 풀린 상태에 있다.
한편 구동플레이트(91)는 다이얼(50)에 근접한 위치에 있고 결합핀(92)의 위치로 구동플레이트(91)의 결합요입부(93)가 오면 이 양자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이와같은 상태 하에서 작동축(20)이 회동하면 구동플레이트(91)가 일체로 회동하고, 각 다이얼(50)에 대해 절개요입부(93)가 잠금해제부호에 따라 설정각도위치에서 결합핀(92)과 결합한 후 각 다이얼(50)만을 일체로 회동시킨다. 작동축(20)이 일회전하여 구동플레이트(91)의 절개요입부(93)가 최상위치에 이를때 각 창구멍(5)에는 각 다이얼(50)의 부호 「0」이 나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해제부호열의 설정후의 잠금조작 및 잠금해제부호열의 정렬후의 잠금해제조작에 의해 각 다이얼을 강제적으로 회동시키기 때문에 번거롭지 않고도 잠금해제부호열을 자동적으로 흐트러트릴 수 있기 때문에 부호식 잠금장치의 신뢰성이 상당히 높아진다.
또한 하나의 작동축을 왕복이동, 회동시키는 것으로 잠금해제부호열의 설정 동작과 흐트러 놓는 동작을 가능하도록 했기 때문에 내부구조의 단순화와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

  1. 여러개의 부호가 표시된 여러개의 다이얼(50)과, 잠금해제조작 및 잠금조작에 응동하는 액튜에이터(10)와, 각 다이얼(50)의 잠금해제부호열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잠금해제부호열 설정기구(60)와, 각 다이얼(50)의 부호가 잠금해제부호열을 구성하는 정렬상태에 있을 때 액튜에이터(10)의 작동을 허용하고 부정렬 상태에 있을 때 액튜에이터(10)의 작동을 규제하는 락기구(80)와, 잠금해제조작 및 잠금조작에 의해 각 다이얼(50)을 회동시켜 강제적으로 복귀동작시키는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와, 각 다이얼(50)을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작동축(20)과, 액튜에이터(10)의 작동에 응동하여 작동축(20)을 회동시키는 회동기구(30)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부호식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부호열 설정기구(60)는 액튜에이터 (10)의 작동에 응동하여 작동축(20)을 왕복변위시키는 변위기구와, 이 변위기구에 의한 작동축(20)의 왕복변위 및 상기 회동기구(30)에 의한 작동축(20)의 회동에 의해 각 다이얼(50)과 결합, 분리하여 잠금해제부호열의 설정조작이 가능한 상태와 잠금해제부호열이 설정된 상태를 형성하는 맞물림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 강제복귀기구(90)는 작동축(20)의 왕복변위 및 회동에 의해 각 다이얼(50)과 결합하여 각 다이얼(50)을 정해진 각도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결합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호식 잠금장치.
KR1019980013996A 1998-04-20 1998-04-20 부호식잠금장치 KR10029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996A KR100297638B1 (ko) 1998-04-20 1998-04-20 부호식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996A KR100297638B1 (ko) 1998-04-20 1998-04-20 부호식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611A KR19990080611A (ko) 1999-11-15
KR100297638B1 true KR100297638B1 (ko) 2001-11-22

Family

ID=6589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996A KR100297638B1 (ko) 1998-04-20 1998-04-20 부호식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6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7271A (ja) * 1996-06-03 1997-12-09 Clover:Kk 符号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7271A (ja) * 1996-06-03 1997-12-09 Clover:Kk 符号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611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4238B2 (ja) 符号錠装置
US8117876B2 (en) Programmable lock cylinder assembly
US7634931B2 (en) Rekeyable lock cylinder assembly with adjustable pin lengths
KR20020077519A (ko) 실린더 락
KR101124134B1 (ko) 로크 조립체 잠금 장치, 방법 및 시스템
EP1942243B1 (en) A multifunctional lock
US6718807B2 (en) Lock device with removable core
JPH07103724B2 (ja) 互換性かぎ付シリンダ錠
WO2007062113A2 (en) Cylinder lock with an axially moving sidebar
JPH01151667A (ja) 錠と複数の鍵から成る閉鎖装置
JP4383420B2 (ja) 符号錠装置
JP4574688B2 (ja) 符号錠装置
JP4481317B2 (ja) 符号錠装置
KR100297638B1 (ko) 부호식잠금장치
JP2769810B2 (ja) 符号錠装置
JP2971463B1 (ja) 符号錠装置
JP4668304B2 (ja) 符号錠装置
JP4145334B2 (ja) 可変コード型シリンダ錠
JP2794370B2 (ja) 捻りタンブラーを備えたシリンダー錠
JP4542534B2 (ja) 符号錠装置
JPH07100984B2 (ja) 符号錠装置
JP4594997B2 (ja) 符号錠装置
CA1279497C (en) Lock with key isolation using transfer tumblers
JP2004190406A (ja) シャッター扉用シリンダー錠
JP2010163811A (ja) 符号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