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557B1 -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557B1
KR100295557B1 KR1019980033981A KR19980033981A KR100295557B1 KR 100295557 B1 KR100295557 B1 KR 100295557B1 KR 1019980033981 A KR1019980033981 A KR 1019980033981A KR 19980033981 A KR19980033981 A KR 19980033981A KR 100295557 B1 KR100295557 B1 KR 100295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crete
wall
slab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507A (ko
Inventor
이치명
Original Assignee
이치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명 filed Critical 이치명
Priority to KR101998003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55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2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rooms as a whole by which walls and floors are cast simultaneously, whole storeys, or whole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축조에서 벽체 및 슬라브 조작(造作)을 "┬" 형에서 "┴" 형으로 조작함에 따라 벽체의 수직이 양호하고, 콘크리트 양생후의 거푸집 탈형과 이를 다음 작업에서 사용하기가 편리하게 한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리브 조작(造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작업발판을 갖게 한 좌우 거푸집의 설치시 "┬"형을 이루는 벽체 거푸집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먼저하고 개구된 하부로의 슬라브거푸집의 콘크리트 타설을 그후에 진행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으로 형성하되 벽체 형성물 상부에는 상부에 내향 절곡부를 갖는 한쌍의 철근을 매입하여서된 브래킷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 상부에 세퍼레이터의 중심이 일정 높이로 되게 용접하여 거푸집의 구멍을 통하여 탭봉 및 나비너트로 착탈 고정되게 하며,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한후 벽체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시 하부 개구부로의 콘크리트 압출을 방지하고, 벽체거푸집의 올리기는 각각의 내외측 거푸집의 상단에 고정대로 지지되는 체인블럭 지지대를 교대로 설치해가면서, 크레인이나 체인블럭을 이용 상부로 들어올려 거푸집의 수직 보정작업을 한후 상기 내외거푸집들 사이 측 벽체와 벽체사이에 슬라브 거푸집을 결속하여 고정함으로써 작업발판의 기능과 함께 작업후 슬라브 거푸집으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방법
본 발명은 건축물의 축조에서 보강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조의 축조시 벽체 및 슬라브 조작(造作)을 "┬" 형에서 "┴" 형으로 조작함에 따라 벽체의 수직이 양호하고, 콘크리트 양생후의 거푸집 탈형과 이를 다음 작업에서 사용하기가 편리하게 한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리브 조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 및 석재 등을 재료로 축조되는 조적조나 철골조 등에서는 관계가 없으나 거푸집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경우에는 축조를 위한 부재의 활용 효율을 위해 층층이 각각의 벽체 및 슬라브를 위한 거푸집 및 서포트 등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 축조물에서 사용한 것을 상부에 축조 형성할 거푸집으로 끌어 올려가면서 사용하게 된다.
종래 이러한 보강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조의 축조시 벽체 및 슬라브 조작 양태를 도 1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보강콘크리트조의 축조 상태 단면도 이다.
이 구조에 사용되는 거푸집(2)은 수작업에 의해서 해체한 다음 상층부에 올려서 조립하도록 사용해 왔다. 또한 거푸집(2)은 경사진 타이핀(도시않됨)에 의해 조립, 체결된다.
그런데 타이핀은 콘크리트 타설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취약하기 때문예 이완이 쉽게되고 이로써 타이핀을 결합한 슬릿으로부터 콘크리트의 누출이 흔히 일어난다.
이렇게 이완된 거푸집은 콘크리트에 굴곡을 발생시켜 양생한 후 거푸집의 탈형후, 충격에 취약한 콘크리트에 할석을 요하게 하고, 누출된 콘크리트는 파쇄하는 후 공정을 요하고, 더불어 쓰레기 처리에 부담이 발생된다.
거푸집(2)을 해체후 벽체에는 타이가 남게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인력이 소모되며, 또한 벽면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그라인딩 작업을 하여 분진 공해의 발생이 심하다.
또한 거푸집 완성후, 콘크리트 타설전, 슬라브 거푸집에 쌓인 작업중의 이물질 등이 청소과정에서 옹벽 거푸집의 내부로 들어가 콘크리트 이음부(도1의 "A"부)에 쌓이고, 이 이음부(A)는 방수에 취약하기 때문에 시공상 세밀한 방수처리를 요하게 한다.
상기 문제점 보다도 더 큰 문제점은 기 사용한 거푸집을 상층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조립 설치된 거푸집(2)을 일일이 분해하고, 이들을 건축 구조물의 외부로 인출하여 올려 주어야 하는 노력이 크게 소요 된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작업에 의한 거푸집의 해체, 상층부로의 운반, 조립의 과정을 일체형으로 제작된 거푸집을 타워크레인이나 체인블럭 등을 이용하여 축조물의 상층부에 올리는 연속작업으로 설치함으로써 얻어지는 노무비의 절감과 공정의 단축, 그리고 품질의 향상에 있다.
종래의 축조 구조는 슬라브와 옹벽이 "┬" 형으로 시공되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슬라브와 옹벽을 "┴" 형으로 시공하여 항시 슬라브를 개방시켜 주어야 함을 조건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작업발판을 갖게 한 좌우 거푸집의 설치시 "┬"형을 이루는 벽체 거푸집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먼저하고 개구된 하부로의 슬라브거푸집의 콘크리트 타설을 그후에 진행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으로 형성하되 벽체 형성물 상부에는 상부에 내향 절곡부를 갖는 한쌍의 철근을 매입하고 돌출된 사이에 V형 보강철근을 용접해서된 브래킷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 상부에 세퍼레이터의 중심이 일정 높이로 되게 용접하여 거푸집의 구멍을 통하여 탭봉 및 나비너트로 착탈 고정되게 하며,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한후 벽체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시 하부 개구부로의 콘크리트 압출을 방지하고, 벽체거푸집의 올리기는 각각의 내외측 거푸집의 상단에 고정대로 지지되는 체인블럭 지지대를 교대로 설치해가면서, 크레인이나 체인블럭을 이용 상부로 들어올려 거푸집의 수직 보정작업을 한후, 상기 내외거푸집들 사이 측 벽체와 벽체사이에 슬라브 거푸집을 결속하여 고정함으로써 작업발판의 기능과 함께 작업후 슬라브 거푸집으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벽체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시 하부 개구부로의 콘크리트 압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세로로 겹치게 용접한 빗살형의 누출막이를 거푸집 하단부에 고정된 걸쇠에 가로살로써 걸리게 하여 상기 세로살 사이로 골재가 걸리게 하여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케한다.
상기 슬라브 공간에 설치되는 작업발판은 양벽체간의 내측거푸집에 횡설된 파이프에 가로띠장의 양단이 결속되게 하되 상기 작업발판을 슬라브의 높이가 되게 세팅한다.
한편, 벽체 거푸집의 내측표면에 사각타일의 모서리부점 마다에 구멍뚫기를 하고, 절곡된 철판을 타일의 간격대로 수직,수평 배열하여 용접이음하고, 그 교차점에 구멍을 뚫어 타일을 삽입한후 상기 구멍마다에 원형의 헤드를 갖는 스크류볼트로 체결하여 콘크리트 타설후 거푸집을 해체 함으로써 내장 공정까지 함께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보강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조의 축조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거푸집 설치 상태 단면도.
도 3은 거푸집 브래킷의 상세도.
도 4는 거푸집 브래킷 기초 설치시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거푸집 올림 상태도.
도 7은 슬라브용 거푸집을 이용한 작업대 설치 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벽체거푸집 하부로의 콘크리트누출방지수단을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슬라브의 철근 배근을 보인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 및 본 발명의 축조된 건축물의 수직 상태도.
도 11a는 내장 타일을 미리부설한 거푸집을 보인 배면도.
도 11b는 내장 타일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도.
도 11c는 내장 타일의 삽입후 고정 상태를 보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작업발판 6,6-1: 벽체 거푸집
6-2: 슬라브 거푸집 5: 브래킷
51: 철근 52: 절곡부
10: 세퍼레이터 41: 탭봉
42: 나비너트 25: 개구부
9,9-1:고정대 17: 지지대
24: 결속 26: 누출막이
27: 걸쇠 23-1: 가로띠장
30: 타일 29: 철판
29a,31a: 구멍 32: 스크류볼트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필요한 거푸집을 설치한 단면이다.
이 거푸집은 상부에 작업발판(7)을 갖게 한 내측거푸집의 설치시 "┬"형을 이루는 벽체거푸집이다.
도 3은 거푸집 설치용 브래킷의 상세도이다.
이 브래킷(5)은 거푸집(6)을 탭봉(41)과, 나비너트(42)로 체결하게 하되, 그 하중은 배근되어 돌출형성된 철근(51)의 절곡부(52) 상부에 용접 고정되는 양단에 탭을 형성한 봉(10a)과 그 양단에 결합되는 너트(10b)로 구성된 세퍼레이터(10)에 전달된다.
이때 도 3의 상기 너트(10b)와 브래킷(5)의 절곡부(52)가 이루는 절곡 라운드 사이의 간격(t)을 최소로 하여 용접이음(11)을 한다. 이는 거푸집의 설치후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 브래킷(5)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함에 그 이유가 있다.
여기서 철근(9)은 좌우측 휨모우먼트에 견디기 위한 보강재다.
한편 세퍼레이터(10)의 너트(10b) 양 단면에 형성된 홈구멍(12)은 콘크리트 타설후 너트(10b)를 해체하기 위한 치구홈이다.
브래킷(5)은 거푸집(6)의 길이와 시공상 필요한 제반 하중을 감안하여 2개이상 복수로 설치한다.
도 2에 관하여 설명한다.
브래킷(5)은 지하층 콘크리트 타설전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복수의 세퍼레이터(10) 중심선을 수평선상에 맞추어야 하는 작업은 정밀을 요하는 기초작업이다. 문제는 콘크리트 타설전에 맞추기가 어려울 경우 브래킷(5)의 철근(51) 절곡부(52)와 세퍼레이터(10)를 분리하여 철근(51)만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후 슬라브 바닥에 먹 매김을 한다.
도 4는 브래킷(5) 철근을 설치하였는데 수평선상(15)보다 높이가 맞지 않았을 때 먹 매김선에 기초하여 세퍼레이터(10)로 조절하여 수평선상(15)에 맞춰 용접이음(11)을 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작업이 끝나면 거푸집(6)의 하단부에 도 4에서와 같이 세퍼레이터(10) 중심의 간격대로 타공을 하고, 다시 수직선상에 도 2 설계상의 층고(16) 치수대로 타공을 한다.
그런 다음 도 2에서와 같이 거푸집(6, 6-1)을 설치하고 상부 브래킷(5-1)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 타설 높이는 도 3의 상부 세퍼레이터(10)의 중심선(15)에서 거푸집 높이(14)와 슬라브두께(13)을 제외한 선까지 이다.
콘크리트 경화에 필요한 일정시간이 지난후, 상부의 옹벽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 주입을 한후 양생과 탈형을 이룬다.
그러면 이제는 거푸집(6)을 해체한 후 상층에 올려 설치해야 할 순서다. 그런데 타워크레인이 닿는 곳이면 문제가 없지만 닿지 않는 곳도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
도 5는 거푸집을 들어 올리는 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먼저 사다리꼴형 체인블럭 지지대(17)를 거푸집(6-1)의 상부에 설치하고, 고정대(19)로 고정시킨다. 이후 거푸집(6)을 올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도 3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세퍼레이터(10)에 거푸집(6)을 설치한다.
그리고 도 5의 고정대(19-1)로 거푸집을 고정시킨다. 체인블럭 지지대(17)와 고정대(19)를 제거하면 반대편 거푸집(6-1)을 올릴 순서다. 이제는 체인블럭 지지대(17)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도 5의 거푸집(6) 상단에 도 6에서와 같이 체인블럭 지지대(17)을 설치한다. 이로써 반대편 거푸집(6-1)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슬라브 거푸집(6-2)은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병행설치한다.
이렇게 거푸집(6,6-1) 올리기가 완료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옹벽 거푸집이 상층부에 올려 설치되고 도 9와 같이 슬라브 철근 배근(22)이 완료되고, 옹벽 거푸집의 수직 교정을 마친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도 7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작업의 안전성과 콘크리트 타설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첫째는 작업의 안전성이다.
옹벽 거푸집(6)에는 작업발판(7)이 설치된다. 그러나 작업발판(7)만을 설치한다면, 도 7 도면상의 작업자 위치는 개구부가 되고, 모든 작업자에게 추락의 위험요소가 되어 이 개구부를 막아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다른 어떤 방법으로 막든지 그것은 시공과 해체상의 노무비, 재료비 등의 증가요인으로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되지 못한다.
그래서 도 7에서와 같이 가설 슬라브 거푸집(6-2)을 설치한다.
도 7에서 23은 세로띠장, 23-1은 가로 띠장이다. 작업 발판(7)의 하단부에 가로 띠장(23-1)의 좌우양끝을 결속(24)한다. 그리고 세로띠장(23)을 깔고 합판을 깔면 슬라브 거푸집(6-2)이 되며, 동시에 안전작업 발판이 된다. 이때 가로띠장(23-1)의 양끝 결속(24)되는 높이를 슬라브 거푸집(6-2)의 설치높이와 맞도록 작업발판(7)을 미리 조정하여 놓으면 슬라브 거푸집(6-2) 설치시 작업상의 편리함도 함께 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이 끝나고 경화에 필요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가로띠장(23-1)에 서포트 바(B)로 고정시키고 좌우 결속(24)을 끊고 옹벽 거푸집을 다시 도 5에서와 같은 요령으로 들어올리며 반복 된다.
두 번째는 콘크리트 타설시의 문제점이다.
도 7의 예시처럼 옹벽 거푸집 상단부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거푸집 하단부에 개구부(25)로 콘크리트가 누출되므로 이를 막아주어야 한다.
이러한 개구부를 막는데 종래의 방법으로는 목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개구부의 양이 많이 증가하므로 종래 목재로 막는 방법으로는 노무비 많이 소모되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한 방법이어야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벽체거푸집 하부로의 콘크리트 누출방지수단을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 이다.
빗살형 콘크리트 누출막이(26)는 철근 등을 이용하여 가로와 세로로 겹치게 하고 그 교차점에 용접이음한다.
그리고 세로살의 간격을 20∼25㎜ 정도로 하면 콘크리트 골재가 세로살에 막히게 되어 콘크리트 누출을 막을 수 있다.
거푸집(6)의 하단부에 누출막이(26)를 끼울수 있게 걸쇠(27)를 용접이음한다.
도 7에서와 같이 거푸집(6,6-1) 상단부에 부어 넣은 콘크리트는 거푸집 하단부의 개구부(25)로 누출된다. 이때 하단부 작업자는 슬라브에 필요한 양만큼 누출시키고 도 8에서와 같이 누출막이(26)를 걸쇠(27)에 끼워 더 이상의 누출을 방지한다.
이렇게 콘크리트의 누출을 막은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하부 작업자는 누출막이(26)를 해체하여 거푸집(6)에 걸어두게 된다. 그러면 거푸집(6)이 상층부에 올라갈 때 함께 올라가게 되고, 다음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서 다시 쓰이게 된다.
도 9는 슬라브의 철근 배근 상태도이다.
철근이 외벽 거푸집을 만나면 통과할 수 없으므로 "└"자형으로 구부려 정착길이(28)를 주게된다. 그런데 하부의 옹벽은 이미 콘크리트가 양생중이므로 상향식으로 배근한다.
다음은 먹매김 작업에 관한 설명이다.
이 먹매김 작업은 건물의 높이와 위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의 기술에는 슬라브 바닥면에 먹매김 한 후 수평목을 깔고 거푸집을 수평목 위에 얹어놓고 조립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부브래킷(5-1)이 수평과 수직의 위치를 안내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먹매김 작업은 필요하지 않다. 단지 도 5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거푸집을 들어올려 설치한 후, 거푸집 상단부에 가로, 세로의 기준 강선을 띄우고 수직교정 작업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종래 조립식 패널 거푸집을 사용하는데 따른 문제점 때문에 일체형으로 제작된 거푸집을 인력이 아닌 장비(타워크레인)나 기구(체인블럭)등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발상에서 시작하였다.
그러나 종래 건축구조는 슬라브와 옹벽이 "┬"자형이므로 일체형 거푸집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은 건축구조를 슬라브와 옹벽이 "┴"자형으로 바꾸어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거푸집을 올리면 허공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필요한 부재가 도 3의 거푸집 브래킷(5)이다. 이를 시공함에 따른 해결방법을 도 3에서 도 9까지로 설명하였다.
다음은 내장 재료로서 타일을 거푸집에 부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에 타일을 직접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에서와 같이 거푸집 표면에 사각 평판형의 타일(30) 모서리부 즉 교차점 마다에 드릴로 구멍(31a)을 뚫기 위해 마킹을 한다. 그리고 절곡된 철판(29)을 타일(30) 간격대로 수직, 수평 배열하여 용접이음하고, 그 교차점에 구멍(29a)을 뚫는다.
그러면 도 11b에서와같이 타일(30)을 절곡된 철판(29)사이에 끼울 수 있게 된다. 철판(29)은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 풀의 인입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타일(30)을 도 11c에서 처럼 끼우고 프라스틱으로 제조된 스크류볼트(32)로 돌려서 조인다.
스크류볼트(32)는 교차점에서 원형의 헤드(32h)가 타일 4개씩을 조이게 되며, 모든 구멍(29a,31a))에 이 볼트(32)로 조이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에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고정된다.
종래의 조립식 패널 거푸집으로는 불가능한 방법도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일체형 거푸집을 사용함으로써 정밀도의 향상과 거푸집 해체시 내장타일의 파손우려가 없어짐으로써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축조되는 본 발명은 종래 조립식 거푸집 패널을 사용함에 따라 조립과 해체 운반의 과정을 모두 인력에 의존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장비나 기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노무비의 절감효과가 크다.
또한 작업이 쉬워진 만큼 공기 단축에 의한 경비절감 효과가 크다. 그리고 먹매김과 수평목을 깔고 해체하는 작업도 필요없게 되므로 이 또한 노무비의 절감요인이다.
거푸집 해체후 종래에는 옹벽 벽면에 타이가 남게되고 콘크리트 면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그라인딩작업 등으로 분진 공해가 심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 거푸집을 사용하기 때문에 타이제거작업, 벽면 그라인딩작업, 미장작업 등이 불필요함에 따라 노무비의 절감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콘크리트 누설로 이를 파쇄하여 쓰레기 처리하는데 드는 노무비의 절감효과와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 거푸집을 사용함으로써 거푸집의 변형에 의한 벽면의 할석과 미장 작업이 없게 되므로 이 또한 품질향상과 노무비의 절감효과가 있다.
종래의 "┬"자형 구조에서는 작업중의 이물질이 옹벽 거푸집 내부로 들어가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 콘크리트 이음부에는 세밀한 방수처리를 요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구조가 "┴"자형이므로 방수에 효과가 있어 품질의 향상을 도모한다.
다음은 건물의 정밀도 측면에서 품질향상 효과가 있다.
도 10a에서와 같이 종래의 공법에서는 오차발생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거푸집을 세우고 최종 마무리 단계에서 수직 교정 작업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장작업 여건상 100%의 정확성을 기할 수 없어 좌우 오차(E,E-1)가 발생한다면 실제 옹벽의 두께는 좌우 오차만큼 감소하게 될 것이나, 도 10b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상부 거푸집 브래킷(5-1)이 수직과 수평의 위치를 안내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좌우 오차를 없게 하여 설계 도면대로의 정밀 시공을 꾀할 수 있다.
건물이 고층으로 올라가면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데 콘크리트 수송관을 배관하고 도 7에서와 같이 후렉시블 호스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럴 경우 종래에는 후렉시블 호스와 수송관의 충격으로 슬라브에 깔린 전기 배관과 설비 슬라브의 파손이 심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슬라브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상기 부자재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에 작업발판(7)을 갖게한 좌우거푸집의 설치시 "┬"형을 이루는 벽체 거푸집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먼저하고 개구된 하부로의 슬라브거푸집(6-2)의 콘크리트 타설을 그후에 진행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으로 형성하되 벽체 형성물 상부에는 벽체 거푸집을지지 고정할 브래킷 수단을 매입 고정하여 거푸집(6,6-1)의 구멍를 통하여 탭봉(41) 및 나비너트(42)로 착탈고정되게 하며, 슬라브 거푸집(6-2)을 설치한후 벽체거푸집(6,6-1)에 콘크리트 타설시 하부 개구부(25)로의 콘크리트 압출을 방지하고, 벽체거푸집의 올리기는 각각의 내외측 거푸집의 상단에 고정대(9,9-1)로 지지되는 체인블럭지지대(17)를 교대로 설치해가면서 크레인이나 체인블럭을 이용 상부로 들어올려 거푸집의 수직 교정작업을 한 후, 상기 내외거푸집들 사이 측 벽체와 벽체사이에 슬라브거푸집(6-2)을 결속(24)하여 고정함으로써 작업발판의 기능과 함께 작업후 슬라브 거푸집으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브래킷 수단은 상부에 내향 절곡부(52)를 갖는 한쌍의 철근(51)을 벽체 형성물 상부에 매입하고 돌출된 사이에 V형 보강철근(9)을 용접해서된 브래킷(5)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52) 상부에 세퍼레이터(10)의 중심이 일정 높이로 되게 용접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벽체거푸집(6,6-1)에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 거푸집(6-2)과의 사이 하부 개구부(25)로 콘크리트 압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 세로로 겹치게 용접한 빗살형의 누출막이(26)를 거푸집(6) 하단부에 고정된 걸쇠(27)에 가로살로써 걸리게 하여, 상기 세로살 사이로 골재가 걸리게 하여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케한 것을 특징으로 한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슬라브 공간에 설치되는 작업발판은 양벽체간의 내측거푸집(6)에 횡설된 파이프(P)에 가로띠장(23-1)의 양단이 결속(24)되게 하되, 상기 작업발판을 슬라브의 높이가 되게하여 슬라브 거푸집(6-2)으로 되게 함을 특징을 하는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벽체거푸집(6,6-1)의 내측표면에 금긋기를하여 사각타일(30)의 모서리부점 마다에 구멍(31a) 뚫기를 하고, 절곡된 철판(29)을 타일(30)의 간격대로 수직,수평 배열하여 용접이음하고, 그 교차점 마다에 구멍(29a)을 뚫어 타일(30)을 매입한 후, 상기 구멍(29a,31a)마다에 원형의 헤드(32h)를 갖는 스크류볼트(32)로 체결하여, 콘크리트 타설후 거푸집을 해체 함으로써 내장 공정까지 함께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방법.
KR1019980033981A 1998-08-21 1998-08-21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 방법 KR100295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981A KR100295557B1 (ko) 1998-08-21 1998-08-21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981A KR100295557B1 (ko) 1998-08-21 1998-08-21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07A KR20000014507A (ko) 2000-03-15
KR100295557B1 true KR100295557B1 (ko) 2001-07-12

Family

ID=1954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981A KR100295557B1 (ko) 1998-08-21 1998-08-21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27B1 (ko) 2010-08-31 2012-05-02 김중용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22A (ko) * 2002-04-06 2003-10-10 김광식 역타설 공법을 위한 다층 건축물용 벽면 형성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27B1 (ko) 2010-08-31 2012-05-02 김중용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07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09813B (zh) 含钢筋笼免拆成型梁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JP299422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桁の場所打ち床版部の施工方法及びその型枠
CN101484647B (zh) 垂直施工缝
CN110004974B (zh) 一种预制防水挡土墙板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433561B1 (ko)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0295557B1 (ko) 보강콘크리트조의 벽체 및 슬라브 조작 방법
CN218374567U (zh) 一种可定位可免抹灰的alc墙板加固结构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JP3945668B2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JP2002030615A (ja)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
JPH1129910A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JPH091348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
CN110761399A (zh) 预制墙板的竖向拼接结构及其装配方法
KR1004478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및 보강 구조물
CN219887348U (zh) 集成钢筋免模现浇混凝土模壳女儿墙
CN214738859U (zh) 一种混凝土空心隔墙板和竖向接板的连接结构
CN216690472U (zh) 一种铝模上料孔二次快速封堵装置
CN219794382U (zh) 一种窗台压顶预制砌块
CN210659251U (zh) 含钢筋笼免拆成型梁模板及模板结构
CN217353538U (zh) 一种下沉式坑井及反坎一次性整体成型施工结构
CN210659248U (zh) 一字型构造柱水泥模板组
CN210659245U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及模板结构
JPH1012141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体とこのコンクリート型枠体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CN212026781U (zh) 一种预制楼板与钢梁的连接结构
KR19980015825A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의 이어치기용 거푸집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