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925B1 - 핵산검출기에허위음성시험결과를제거하는방법 - Google Patents

핵산검출기에허위음성시험결과를제거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925B1
KR100292925B1 KR1019950700692A KR19950700692A KR100292925B1 KR 100292925 B1 KR100292925 B1 KR 100292925B1 KR 1019950700692 A KR1019950700692 A KR 1019950700692A KR 19950700692 A KR19950700692 A KR 19950700692A KR 100292925 B1 KR100292925 B1 KR 100292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ic acid
internal control
analyte
amplified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065A (ko
Inventor
팀 키비츠
페터 프랭클린 랜스
Original Assignee
악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악조 노벨 엔.브이.
Publication of KR95070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5Promoter-based amplification, e.g. nucleic acid sequence amplification [NASBA], self-sustained sequence replication [3SR] or transcription-based amplification system [T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샘플내 증폭된 핵산 피분석물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에서 허위음성 결과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에서는 증폭시키기 전에 내부 대조군을 샘플에 첨가하는데, 이 내부 대조군은 핵산 피분석물과 동일한 증폭 시약으로 증폭될 수 있고 핵산 피분석물과 구별될 수 있는 핵산을 포함한다. 내부 대조군은 핵산 피분석물과 구별되도록 돌연변이된, 핵산 피분석물에 상응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핵산 검출시에 허위 음성 시험 결과를 제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증폭된 핵산 피분석물(amplified analyte nucleic acid)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에서 허위 음성 시험 결과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증폭된 핵산을 샘플내에서 검출하고자 할 경우, 음성 시험 결과, 즉 핵산 피분석물이 시험중인 샘플내에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고 하는 결과는 별도의 확인 분석을 실시하여야만 확인될 수 있다. 별도의 확인 시험의 실시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일이기 때문에, 증폭된 핵산 피분석물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에서 음성 시험 결과상에 대조군을 제공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각 샘플에 분석 절차 및 증폭 방법에 대한 직접적인 내부 표시를 구비시킬 수 있다면 별도의 확인 시험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핵산 피분석물과 함께 증폭될 수 있는 핵산 피분석물 함유 샘플에 기타 서열을 첨가하는 것에 대해서 벡커 및 할브록의 문헌(Nucleic Acids Research, 제17권, 22번, 1989)에 개시되어 있다. 벡커 및 할브록이 개시한 방법은 핵산의 정량 분석 방법으로서, 이 방법에서는 핵산 피분석물과 단 하나의 뉴클레오티드만이 상이한(점 돌연변이)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기지량의 상이한 내부 표준을 미지량의 핵산 피분석물을 함유하는 샘플에 첨감하고 핵산 피분석물을 사용하여 PCR에 의해 공통 증폭시킨다. 내부 표준 서열에 하나의 염기 변화를 도입함으로써 특정 제한 부위를 생성시키고, 증폭된 핵산을 함유하는 샘플을 전기영동 겔에 가하기 전에 적당한 제한 효소로 돌연변이 서열을 절단한다. 겔에서 돌연변이 서열(의 일부)과 핵산 피분석물을 나타내는 밴드를 비교함으로써 핵산을 정량 분석한다. 벡커와 할브록은 피분석물과 마커가 둘다 비경쟁적으로 증폭되는 그 정량분석 방법에서 마커로서 내부 표준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샘플내의 증폭된 핵산 피분석물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에서 허위 음성 시험 결과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핵산 피분석물과 구별될수 있고 핵산 피분석물과 동일한 증폭 시약으로 증폭될 수 있는 핵산을 포함하는 내부 대조군(internal control)을 증폭전에 샘플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폭에 사용되는 시약은 증폭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내부 대조군은 동일한 증폭 프라이머로 접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핵산 피분석물과 유사해야 한다.
샘플에 내부 대조군을 구비시키지 않으면, 음성 시험 결과는 증폭된 핵산 존재에 대해 아무런 표시도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 이 경우, 증폭 또는 분석 절차상의 오류로 인해 증폭된 핵산을 나타내는 어떠한 시그날도 없으며, 이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확인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각각의 샘플에 내부 대조군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할 때의 한 가지 이점은 "음성" 샘플(즉, 피분석물이 존재하지 않는 샘플)의 경우에 증폭된 내부 대조군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가 얻어진다는 점이다. 내부 대조군을 나타내는 신호가 나타난다는 것은 음성 시험 결과를 확인시키며, 이어지는 절차(증폭 및 검출 절차)에서 대조군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하여 허위 음성 시험 결과는 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내부 대조군은 검출시 증폭된 내부 대조군의 존재가 피분석물을 나타내는 신호와 상이한 신호에 의해 표현된다는 면에서 피분석물과 상이해야 한다. 예를 들면, 겔 전기영동 분리법을 사용하면 피분석물 및 내부 대조군은 겔 상부로부터 상이한 전개 거리에 밴드가 나타날 것이다. 고상 혼성화 분석법을 사용하면 증폭된 피분석물 또는 내부 핵산 대조군의 존재는 고상에 상이한 점들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절한 증폭 프라이머가 구성될 수 있는 샘플내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임의의 종류의 핵산, 즉 DNA 뿐만 아니라 RNA를 검출하는 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상(혈액) 샘플을 HIV, HCV 또는 CMV와 같은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RNA의 존재에 대해 시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임의의 종류의 증폭 기술,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683,195호 및 제4,683,202호에 기술된 소위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에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핵산 증폭 방법은 유럽 특허 출원 제0,329,822호에 개시된 "핵산 서열계 증폭(NASBA)" 이다. 예를 들여 PCR 을 사용하는 데 비해 NASBA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장점은 최초에 존재하는 핵산이 RNA 이든 DNA 이든 간에 NASBA는 최초에 존재하는 핵산으로부터 (다량의) 단일 가닥 RNA를 생성시키기 때문에 증폭이 완료된 후 단일 가닥 핵산을 얻기 위해 변성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단일 가닥 RNA 대신에 이중 가닥 DNA를 생성시키는 PCR의 또다른 단점은 변성후 주형에 상보적인 제2 가닥 및 프라이머가 증폭의 감도를 저하시키는 재접합중에 주형에 대해서 경쟁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증폭시키기 전 샘플 제조중에 정해진 양의 내부 대조군을 첨가한다. 첨가된 내부 대조군의 양은 핵산 피분석물의 증폭을 거의 방해하지 않는다.
NASBA와 같은 증폭 방법을 사용할 경우, 핵산이 바람직하게 증폭되는가 하는 것은 샘플에 존재하는 핵산 피분석물의 양에 대한 첨가된 내부 대조군의 상대량에 달려 있다. 핵산 피분석물이 내부 대조군과 동일한 양 또는 더 많은 양으로 존재할 경우(예를 들면, 피분석물을 1,000 분자 이상 함유하는 샘플에 대조군 100 분자를 첨가하는 경우), 핵산 피분석물이 바람직하게 증폭될 것이다. 증폭이 완료된 후 내부 대조군의 양은 여전히 매우 낮을 것이다. 한편, 시험중의 샘플이 핵산 피분석물에 대해 음성인 경우(비루스 RNA 같은 핵산 피분석물이 샘플내에 최초에 존재하지 않았음을 의미함) 내부 대조군이 증폭될 것이고, 보다 많은 양의 핵산 피분석물과 증폭 프라이머에 대한 경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증폭 절차가 완료된 후 대조군은 다량의 검출 가능한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내부 대조군은 핵산 피분석물과 식별되도록 돌연변이된 핵산 피분석물에 상응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대조군은 이어지는 검출 절차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피분석물과 달라질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되는 핵산은 핵산 피분석물과 동일한 증폭 시약으로 증폭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핵 피분석물과 유사해야 한다. 내부 대조군을 핵산 피분석물과 구별하기 위해, 상이한 방식으로 돌연변이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의 방식으로 내부 대조군을 피분석물보다 길게 하거나 또는 결실의 방식으로 내부 대조군을 더 짧게 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돌연변이(예 : 결실)로 인해 내부 대조군이 핵산 피분석물보다 더 효율적으로 증폭되는 것은 방지되어야 한다. 핵산 피분석물보다 비효율적으로 증폭되는 내부 대조군을 사용하여 내부 대조군이 샘플내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핵산 피분석물의 증폭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내부 대조군 및 피분석물은 모두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동일한 상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검출 가능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다. 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내부 대조군에도 존재하는 피분석물의 서열 일부와 혼성화될 것이다.
증폭된 핵산(피분석물 또는 내부 대조군)을 겔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경우에, 핵산 피분석물과 길이가 다른 내부 대조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분석물과 내부 대조군간의 길이 차이는 전기영동 겔에서 상이한 이동성을 나타낼 것이다. 내부 대조군은 핵산 피분석물과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내부 대조군은 한 지점이 핵산 피분석물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위치와는 상이한 겔 상부로부터의 전개 거리를 가진 밴드로서 나타날 것이다. 그러므로, 겔의 상부로부터의 전개 거리는 내부 대조군의 증폭이 샘플내 핵산 피분석물의 검출 가능한 양의 부재를 확인하는 경우 피분석물 또는 내부 대조군이 증폭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증폭된 핵산을 전기영동시킬 경우, 겔내 핵산의 존재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서던 블로팅"으로 널리 알려진 방법은 전기영동후 핵산을 니트로셀룰로스에 옮기고, 방사선-표지된 상보적 탐침으로 혼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 후 핵산을 자동 방사성 사진 분석법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전기영동시키기 전에 증폭된 핵산에 상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된 복합체는 이제 잔존하는 표지된 유리 탐침으로부터 겔 전기영동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샘플을 겔 전기 영동시키기 전에 검출 탐침을 샘플에 존재하는 핵산으로 혼성화할 경우, 검출 탐침을 증폭후 존재하는 핵산(피분석물 또는 대조군)에 첨가할 수 있다. 내부 대조군 뿐만 아니라 피분석물에 혼성화할 수 있는 검출 탐침은 존재하는 증폭된 핵산과 복합체를 형성할 것이다. 첨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양의 일부는 증폭된 핵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나머지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표지된 유리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잔존하며, 겔 전기영동중 복합체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이 잔존하는 표지된 유리 탐침은 통상 겔의 하부에서 분리된 밴드로서 나타날 것이다.
시험 결과가 음성인 경우(핵산 피분석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겔내에서 내부 대조군과 표죄된 탐침 사이에 형성된 복합체의 크기에 대해 특징적인 높이에서 여전히 밴드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증폭 및 표지된 탐침과의 혼성화가 실제로 일어났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분석의 음성(검출할 핵산이 존재하지 않음) 결과가 확인 된다.
검출 탐침은 겔을 횡단할 수 있는 라벨을 사용하는 한 상이한 방식으로 표지될 수 있다. 혼성화될 수 있는 핵산을 함유하는 샘플에 첨가된 효소 표지된 탐침을 사용 하여 겔 전기영동에 의해 유리 효소 표지된 탐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검출 가능한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 공동 소유의 동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 07/910,860호(그 내용을 본문에 참고로 인용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 언급한 미국 출원에 기술된 효소 라벨, 예를 들면 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는 전기영동 및 겔 시스템에 적용시킨 후에도 그 활성을 유지하며, 여전히 적당한 기질과 반응하여 겔내 표지된 핵산(즉, 효소 표지된 복합체 핵산 및/또는 유리 효소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존재가 나타나는 색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지는 시스템은 사용하기가 간단하다. 겔내 효소 라벨의 검출에는 특별한 기계 장치가 필요없으므로, 예를 들면 특정 비루스와 같은 것에서 기원하는 특정 핵산의 존재에 대해 임상 샘플을 시험하는 것과 같은 진단 목적에 매우 유용하다.
겔 전기영동에 의해 효소 표지된 복합체 핵산으로부터 잔존하는 유리 효소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리를 완료한 후, 적당한 효소 기질로 염색하여 겔내 표지된 복합체를 검출한다.
염색 절차는 간단하고 신속하다. 겔은 적당한 효소 기질을 함유하는 용액에 단순히 적시면, 겔내에 존재하는 효소 라벨과 기질 용액 사이에서 색 반응이 일어난다. 사용된 기질은 겔내에 존재하는 효소-표지된 핵산을 함유하는 밴드와 반응할 것이다. 효소 라벨과 기질 사이의 색 반응은 겔상에서 또는 겔내에서 일어날 것이고, 효소 활성의 존재를 나타내는 겔상에 또는 겔내에서의 색깔의 존재는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있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 또는 이것의 유도체로 표지시킬 경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며, 겔내의 표지된 핵산을 3, 3', 5, 5'-테트라메틸벤지딘/H2O2로 염색하여 검출한다. 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HRP)는 과산화수소가 물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한다. HRP에 대한 비-침전성 기질인 테트라메틸벤지딘(TMB)는 과산화수소를 물로 전환하는 데 전자 공여체로서 작용하는 발색 물질로서, HRP에 의해 유색 복합체로 전환되어 효소 활성의 존재를 나타낸다. 형성된 색깔은 시각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염색 절차는 효소가 여전히 활성이 있는 조건하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염색 용액은 사용된 효소 라벨에 대해 적당한 pH 값을 가져야 한다.
전기영동 완충액은 통상 효소의 최적 활성과 상이한 pH 값을 가진다. 따라서, 겔을 전기영동시킨 후 완충 용액으로 세척하여 겔이 효소 반응이 일어나기에 적당한 pH 값이 되도록 한다.
HRP를 효소 라벨로 사용할 경우 겔을 효소 기질(예 : TMB/H202) 및 이미다졸을 함유하는 완충액 내에서 전기영동시킨 후 직접 염색할 수 있다. 이미다졸은 HRP에 대한 최적 활성을 보다 높은 pH 값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이미다졸의 사용으로 겔을 전기영동 완충액에서 직접 염색할 수 있으며, 시간이 걸리는 세척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 실시 양태의 경우 핵산 증폭은 효소적 신호 증폭(각각의 효소 분자는 겔내에/겔상에 유지되는 많은 기질 분자를 전환시킬 수 있음)과 연계시킬 수 있으므로, 고감도의 분석 결과가 얻어진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검출 절차가 증폭된 핵산의 겔 전기영동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증폭된 핵산 (피분석물 또는 내부 대조군)의 검출 역시 고체상에 고정화된 내부 대조군 및 피분석물과 반응할 수 있는 상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피분석물 또는 내부 대조군이 고체상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두개의 상이하게 표지한 검출 탐침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탐침은 고체상에 결합된 피분석물과 특이적으로 반응(이 탐침은 핵산 피분석물의 일부와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기 때문)하는 반면, 제 1 검출 탐침상의 라벨과 구별될 수 있는 라벨을 포함하는 제 2의 표지된 검출 탐침은 내부 대조군과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된 내부 대조군은 고체상의 고정화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혼성화하는 능력에 있어서 피분석물과 유사하여야 하나, 내부 대조군이 피분석물보다는 상이한 표지된 검출 탐침과 반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피분석물과 상이하여야 한다. 이것은 제1의 표지된 검출 탐침에 상보적인 서열을, 피분석물에 존재하지 않고, 제2의 표지된 검출 탐침에 상보적인 상이한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대체하여 내부 대조군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고체상에 결합된 라벨의 종류는 피분석물 또는 내부 대조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므로, 시험 결과가 양성인지 또는 음성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양태는 두 개의 상이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고정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데, 하나는 피분석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다른 하나는 두개의 구별된 지점의 고체상의 내부 대조군과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고체상의 지점들중 하나에 결합하는 임의의 증폭된 핵산은 핵산 피분석물과 내부 대조군 둘다에 존재하는 서열과 상보적인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혼성화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험 결과가 양성인지 음성인지를 나타내는 것은 라벨이 결합하는 고체상의 지점이다. 이용된 검출 방법에 따라 라벨은 종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증폭된 핵산의 존재가 분산된 전체 내부 반사율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경우, 라벨은 금의 졸 입자일 수 있으나, 또한 적당한 효소 기질과의 비색 반응을 나타내는 방사성 표지된 탐침(자동방사선 사진 분석법으로 검출) 또는 효소 표지된 방침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고자 한다 :
실시예 1
핵산은 AIDS 환자의 시료로부터 추출하였다. 전혈, 혈장, 단구 및 혈전구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였다. 핵산을 HIV-1로 감염된 SCID-hu 마우스의 전혈 샘플로부터 추출하였다. 샘플들은 붐(Boom)등의 문헌 (J Clin. Microbiol. 28 : 495-503. 1990)에 기술된 샘플 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하였다. RNA는 NASBA 용 개시물로서 추출된 핵산을 사용하여 증폭시켰다. 오염용 검사물로서 주형은 포함되지 않았고, 일련의 상이한 양의 WT HIV-1 RNA(101, 102, 103, 104 분자)를 사용하여 검출 감도를 측정하였다. HIV-유전자 gag용 프라이머 쌍을 증폭용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증폭 반응에서 102 분자의 RNA 분자를 절차상에 대조군으로서 첨가하였다. 이 RNA 분자(E2)는 22bp Sph IxPst I 단편을 대체하는 140bp 삽입체와 함께 야생형 HIV-1 RNA와 동일한 표적 서열을 포함한다. 수조내에서 45℃로 10 분 동안 혼성화를 실시하였다. 바이오메트라 멀티겔 (Biometra Multigel) G44 배치내 7% 천연 아크릴아미드 겔은 혼성화된 HRP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비-혼성화된 HRP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리용으로 사용하였다. 1 TBE(50mM 트리스, 50mM 보레이트, 1mM EDTA, pH 8.5)를 전개 및 겔 완충액으로 사용하였다.
2.5 μl의 혼성화된 샘플을 겔상에 놓았다. 크실렌 시아놀이 겔 길이의 70%에 이르렀을때 전기영동을 중단하였다. 겔 전기영동을 완료한 후, 겔을 세척하고 시트레이트 완충액 (pH 5.0)에서 5 분 동안 진탕시켰다. 이이서 겔을 세척하고, 진탕시키기 전에 15 분 동안 1% 덱스트란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시트레이트 완충액(pH 5.0)에서 진탕시키고, 시트레이트 완충액(pH 5.0)에서 2 분 동안 다시 세척하였다. HRP 함유 밴드를 TMB(0.1 mg/ml) 및 H2O2( 1 μl 30% H2O2/10 ml)로 10 분 동안 염색시켜 가시화하였다. 겔을 물로 세척하고 50% 메탄올에서 2 시간 이상 항온처리(탈수) 하였다. 그 후 겔을 겔 건조기(바이오-래드 모델 583)내 진공하에서 50℃로 2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표 1에 가시적으로 나타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미정의 시료는 실시예 1에서 기술한 실험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한 또다른 실험에서 재시험하였다. 실시예 1의 미정의 샘플을 재시험했을 때 모두 양성을 기록하였다. 개시 분자의 최저량(102)을 함유한 대조군 역시 양성을 기록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이들 실험은 실시예 1의 실험보다 다소 더 높은 감도를 산출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그 결과를 표 2에 제시한다.

Claims (8)

  1. 전사에 기한 증폭 방법을 사용하여 핵산 서열 피분석물 내에 존재하는 표적 서열을 증폭시켜 얻어진 RNA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표적 서열보다 길다는 점에서 상이하지만 핵산 피분석물과 동일한 증폭 시약으로 증폭될 수 있다는 점에서 표적 서열과 유사한 내부 대조군(internal control)을 중폭전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NA의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대조군이 핵산 피분석물과 동일한 프라이머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 대조군 및 핵산 피분석물이 둘 다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그와 동일한 상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검출 가능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고체상에 고정화되며, 검출 가능한 복합체가 각각 상이하게 표지된 반응물과 반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핵산 피분석물 및 내부 대조군 핵산이 각각 상이한 상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검출 가능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
    표적 서열로부터 생선된 RNA 및 내부 대조군 서열로부터 생성된 RNA 둘 다와 혼성화할 수 있는, 효소로 표지된 탐침과 증폭된 모든 핵산을 반응시켜 복합체를 형성한 후, 이렇게 형성된 복합체를 겔 전기영동하여 임의의 남아있는 효소로 표지된 유리된 탐침으로부터 이들을 분리하고 겔을 적절한 효소 기질과 반응시켜 겔 중의 효소 표지를 검출한 다음. 핵산 피분석물로부터 유래된 RNA를 포함하는 복합체 또는 내부 대조군으로부터 유래된 RNA를 포함하는 복합체의 존재를 겔 내에서 이들 각각의 위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효소 표지가 양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horseradish peroxidase ; HRP)이고, 사용된 기질이 3,3',5,5'-테트라메틸벤지딘(TMB)인 방법.
  8. 전사에 기한 증폭 방법을 사용하여 핵산 피분석물의 서열 중에 존재하는 표적 서열을 증폭시켜 얻어진 RNA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표적 서열보다 길다는 점에서 상이하지만 핵산 피분석물과 동일한 증폭 시약으로 증폭될 수 있다는 점에서 표적 서열과 유사한 내부 대조군을, 그로부터 증폭된 핵산을 분리하기전에 생물학적 물질의 샘플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NA의 검출 방법.
KR1019950700692A 1992-08-24 1993-08-20 핵산검출기에허위음성시험결과를제거하는방법 KR100292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92202563.0 1992-08-24
EP92202563.0 1992-08-24
EP92202563 1992-08-24
PCT/EP1993/002248 WO1994004706A1 (en) 1992-08-24 1993-08-20 Elimination of false negatives in nucleic acid de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065A KR950703065A (ko) 1995-08-23
KR100292925B1 true KR100292925B1 (ko) 2006-03-31

Family

ID=821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692A KR100292925B1 (ko) 1992-08-24 1993-08-20 핵산검출기에허위음성시험결과를제거하는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770360A (ko)
EP (1) EP0656955B1 (ko)
JP (1) JP3560974B2 (ko)
KR (1) KR100292925B1 (ko)
AT (1) ATE162226T1 (ko)
AU (1) AU685396B2 (ko)
CA (1) CA2143202C (ko)
DE (1) DE69316372T2 (ko)
DK (1) DK0656955T3 (ko)
ES (1) ES2114066T3 (ko)
FI (1) FI111739B (ko)
GR (1) GR3026631T3 (ko)
WO (1) WO1994004706A1 (ko)
ZA (1) ZA9360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1270B (de) * 1994-09-26 1996-07-25 Immuno Ag Verfahren zur quantifizierung von genomischer dna
ES2093554B1 (es) * 1995-02-17 1997-07-01 Inst De Salud Carlos Iii Procedimientos de amplificacion de genoma y mezclas de oligonucleotidos iniciadores para la deteccion y la identificacion de agentes infecciosos relacionados.
CA2231184A1 (en) * 1995-09-20 1997-03-27 George Tice Jr. Control for pcr
US7070962B1 (en) 1996-02-01 2006-07-04 Aventis Pharmaceuticals Inc. Positive controls in polynucleotide amplification
CA2217143A1 (en) * 1996-02-01 1997-08-07 Behringwerke Aktiengesellschaft Positive controls for use in polynucleotide amplification
EP0929696A2 (fr) * 1996-09-09 1999-07-21 Eppendorf Array Technologies (E.A.T.) Procede et trousse de diagnostic et/ou de quantification par hybridation de type sandwich de sequences d'acides nucleiques sur support solide
BE1010608A3 (fr) * 1996-09-09 1998-11-03 Jose Remacle Procede de quantification d'une sequence d'acides nucleiques.
US5888740A (en) * 1997-09-19 1999-03-30 Genaco Biomedical Products, Inc. Detection of aneuploidy and gene deletion by PCR-based gene- dose co-amplification of chromosome specific sequences with synthetic sequences with synthetic internal controls
US6365346B1 (en) * 1998-02-18 2002-04-02 Dade Behring Inc.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nucleic acid amplification products
AT407160B (de) * 1998-06-04 2001-01-25 Immuno Ag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antigenen
GB9902422D0 (en) * 1999-02-03 1999-03-24 Lgc Teddington Limited Reference material for nucleic acid amplification
AT409383B (de) * 1999-12-22 2002-07-25 Baxter Ag Verfahren zur detektion und quantifizierung von nukleinsäuren in einer probe
EP1236804A1 (en) * 2001-03-02 2002-09-04 Boehringer Mannheim Gmbh A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 nucleic acid using a control
ES2305144T3 (es) * 2001-03-02 2008-11-01 F. Hoffmann-La Roche Ag Metodo para la determinacion de un acido nucleico utilizando un control.
US20050147984A1 (en) * 2001-08-31 2005-07-07 Clondiag Chip Technologies Gmbh Interaction detection on several probe arrays
US6686162B2 (en) * 2001-12-04 2004-02-03 Quest Diagnostics Investments, Incorporated Oligonucleotides and methods for detecting Borrelia burgdorferi
US20040023220A1 (en) * 2002-07-23 2004-02-05 Lawrence Greenfield Integrated method for PCR cleanup and oligonucleotide removal
US20040096829A1 (en) * 2002-11-14 2004-05-20 Allaire Normand E. Absolute quantitation of nucleic acids by RT-PCR
FR2921064A1 (fr) * 2007-09-14 2009-03-20 Biomerieux Sa Oligonucleotides, utilisation, methode de detection et kit permettant de diagnostiquer la presence du gene e1 du virus du chikungunya
WO2010139767A1 (de) * 2009-06-04 2010-12-09 Qiagen Gmbh Amplifikation komplexer nukleinsäuren
CN102625851A (zh) * 2009-07-07 2012-08-01 新加坡科技研究局 人免疫缺陷病毒1型(hiv)检测方法及其试剂盒
CA2828192A1 (en) * 2011-02-25 2012-08-30 Novartis Ag Exogenous internal positive control
EP3848474A1 (en) * 2011-11-04 2021-07-14 Gen-Probe Incorporated Molecular assay reagents and methods
AU2013266341B2 (en) * 2012-05-22 2019-01-03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 quantitative multiplex methylation specific PCR method- cMethDNA, reagents, and its use
CN104560982B (zh) * 2015-01-28 2018-05-18 中国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不同种属微生物间种类和丰度比较的人工外源性参照分子
WO2019103122A1 (en) * 2017-11-24 2019-05-31 Ricoh Company, Ltd. Detection determining method, detection determining device, detection determining program, and device
US20210147906A1 (en) * 2017-11-24 2021-05-20 Yusuke Osaki Detection determining method, detection determining devic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detection determining program, and device
JP7322386B2 (ja) * 2017-11-24 2023-08-08 株式会社リコー 検出判定方法、検出判定装置、検出判定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
US20210071228A1 (en) * 2018-05-10 2021-03-11 Seegene, Inc. Method for detecting gut microorganism in a sample using normal gut flora as internal control
US20230332217A1 (en) * 2020-08-28 2023-10-19 Seegene, Inc. Method for positive control reaction using pre-positive control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501A (en) * 1983-09-02 1986-12-02 Integrated Genetics, Inc. Labeled DNA
US4965188A (en) * 1986-08-22 1990-10-23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amplifying, detecting, and/or cloning nucleic acid sequences using a thermostable enzyme
US5356774A (en) * 1986-04-16 1994-10-18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Replicative RNA-based amplification/detection systems
WO1989007154A1 (en) * 1988-01-29 1989-08-10 Advanced Riverina Holdings Limited Determination of genetic sex in ruminants using y-chromosome-specific polynucleotides
CA1340807C (en) * 1988-02-24 1999-11-02 Lawrence T. Malek Nucleic acid amplification process
US5219727A (en) * 1989-08-21 1993-06-15 Hoffmann-Laroche Inc. Quantitation of nucleic acids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DK0461496T3 (da) * 1990-06-08 1997-01-06 Behringwerke Ag Fremgangsmåde til kvantitativ bestemmelse af DNA-sekvenser
GB9016163D0 (en) * 1990-07-24 1990-09-05 Cemu Bioteknik Chemical method
US5455166A (en) * 1991-01-31 1995-10-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ATE257860T1 (de) * 1991-08-02 2004-01-15 Biomerieux Bv Quantifikation von nukleinsäuren
FR2683827B1 (fr) * 1991-11-15 1994-03-04 Institut Nal Sante Recherc Medic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a quantite d'un fragment d'adn d'interet par une methode d'amplification enzymatique.
US5457027A (en) * 1993-05-05 1995-10-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ernal controls for isothermal 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roc Natl Acad Sci 86(24):9717-9721 (1989. 12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500732A (ja) 1996-01-30
EP0656955A1 (en) 1995-06-14
KR950703065A (ko) 1995-08-23
CA2143202C (en) 2007-06-12
DE69316372D1 (de) 1998-02-19
FI111739B (fi) 2003-09-15
FI950836A (fi) 1995-02-23
CA2143202A1 (en) 1994-03-03
DE69316372T2 (de) 1998-08-27
AU685396B2 (en) 1998-01-22
ATE162226T1 (de) 1998-01-15
ZA936015B (en) 1994-03-10
EP0656955B1 (en) 1998-01-14
ES2114066T3 (es) 1998-05-16
AU4951393A (en) 1994-03-15
GR3026631T3 (en) 1998-07-31
US5770360A (en) 1998-06-23
WO1994004706A1 (en) 1994-03-03
JP3560974B2 (ja) 2004-09-02
DK0656955T3 (da) 1998-09-14
FI950836A0 (fi) 199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2925B1 (ko) 핵산검출기에허위음성시험결과를제거하는방법
US5800984A (en) Nucleic acid sequence detection by triple helix formation at primer site in amplification reactions
CA2075147C (en) Quantification of nucleic acid
Inouye et al. Microplate hybridization of amplified viral DNA segment
US5843650A (en) Nucleic acid detection and amplification by chemical linkage of oligonucleotides
KR100615407B1 (ko) Hiv-1의 모든 아형의 증폭 및 검출시 프라이머 및프로브로서 사용할 수 있는 핵산 서열
CA2152218A1 (en) Rapid dna test for detecting quinolone-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athogens in clinical material
EP0703296B1 (en) Polynucleotide determination by displacement of a strand on a capture probe
AU2004219662A1 (en) RecA-assisted allele specific oligonucleotide extension method
EP0435150A2 (en) Amplification capture assay
US5876937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tegrity of nucleic acid
Van der Vliet et al. Simple colorimetric microtiter plate hybridization assay for detection of amplified Mycobacterium leprae DNA
Erhardt et al. Quantitative assay of PCR-amplified hepatitis B virus DNA using a peroxidase-labelled DNA probe and enhanced chemiluminescence
CA2609487A1 (en) Improved methods and kits for detecting an enzyme capable of modifying a nucleic acid
Okabe et al. Specificity of the DNA product of RNA-dependent DNA polymerase in type C viruses: II. Quantitative analysis
JPH11225781A (ja) 淋菌の核酸の増幅および検出による淋菌の検出
WO2001057258A2 (en) Direct detection and mutation analysis of low copy number nucleic acids
WO2000031295A1 (fr) Procede permettant de distinguer les alleles hla de classe i
KR920007664B1 (ko) 핵산의 정제, 증폭 및 검사방법
US20040121344A1 (en) Method of detecting nucleotide polymorphism
EP0787806A2 (en) Abo glycosyltransferase sequence polymorphism
EP1649059A1 (en) Methods and kits for detecting an enzyme capable of modifying a nucleic acid
CZ120598A3 (cs) Způsob kvantitativního stanovení a detekce mikroorganizmů, kit pro kvantitativní stanovení a detekci mikroorganizmů a jejich použití
US5482832A (en) Hybridization assays using enzyme-linked probes
KR960705062A (ko) Cmv 핵산 증폭 및 검출용 프라이머와 프로브(primers and probes for the amplification and detection of cmv nucle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