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911B1 - 렌치 - Google Patents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911B1
KR100289911B1 KR1019940016503A KR19940016503A KR100289911B1 KR 100289911 B1 KR100289911 B1 KR 100289911B1 KR 1019940016503 A KR1019940016503 A KR 1019940016503A KR 19940016503 A KR19940016503 A KR 19940016503A KR 100289911 B1 KR100289911 B1 KR 10028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nch
wedge
wedge member
reg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578A (ko
Inventor
마사유끼 마쯔바라
야쓰히꼬 기따무라
Original Assignee
기타구치 료이치
다이쇼와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구치 료이치, 다이쇼와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구치 료이치
Publication of KR96001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25B13/506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rollers moving along radial cams in a cage structure at least partially surround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체결요소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켜 또다른 요소에 체결하는 렌치에 있어서, 렌치는 체결요소의 외면에 부착되는 내면을 갖는다. 이 내면에서는 쐐기요소를 보유하면서 연속적인 슬랙영역 및 쐐기영역을 포함하는 만입부가 제공된다. 웨지요소를 웨지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해, 렌치 본체를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쐐기요소는 체결요소의 외면과 웨지영역 사이에 끼어들게 되어, 렌치와 체결요소가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상호 체결되며, 따라서 렌치를 이용하여 체결요소를 상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렌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척의 부분 절개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렌치의 정면도.
제3도는 상기 렌치가 척에 부착되어 체결된 상태의 부분 절개측면도.
제4도 는 제3도의 선 IV-IV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렌치를 회전튜브에 부착시키기 전의 웨지 기구의 확대도.
제6도는 렌치가 회전튜브에 부착될때의 웨지 기구의 확대도.
제7도는 웨지부재가 웨지영역의 벽과 상기 회전튜브의 외면 사이에 밀어넣어질 때의 웨지 기구의 확대도.
제8도는 렌치가 척에 부착되어 느슨해진 상태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키이 엘리먼트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부분 절개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 XI-X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기 실시예 3의 단면도.
제13도는 상기 실시예 3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 XV-XV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선 XVI-XV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렌치와 볼트 및 너트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척 본체(chuck body) 16 : 척 튜브
22 : 회전튜브 26 : 니들롤러(needle roller)
28 : 리테이너(retainer) 34 : 렌치(wrench)
40 : 렌치개구부 41 : 슬랙영역(slag area)
42 : 만입부(recess) 43 : 웨지영역(wedge area)
44 : 웨지부재(wedge member) 58 : 리테이너
59 : 돌출부 61 : 만입부
본 발명은 기계 공구용의 척 장치(chucking device)에서, 너트 및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이 회전하는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기계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부재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렌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의 주위로 회전시켜 체결하는 너트 및 볼트와 같은 각종의 체결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체결부재를 6각형과 같은 각기둥의 형태로 형성하여, 체결부재의 외면에는 모서리가 제공된다. 체결부재의 형태에 맞는 개방단을 갖는 렌치 또는 다른 기계 공구는 이 체결부재의 외면의 에지(edge)를 그립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기계공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부재가 체결된다.
또한, 전술한 장치는 너트를 척 장치 또는 절삭기계 공구 홀더에 체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바, 즉, 체결너트의 외면은 깔주기(knurling)가공되고, 또한 만입부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렌치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렌치를 너트의 에지나 결합홈에 위치시키는 것은 시간소모적이며 부담스런 작업이다. 또한, 체결부재에 만입부 및 홈이 형성되어야 하며, 체결부재가 에지형태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너트의 제조공정이 더욱 복잡해진다.
또한, 렌치를 너트의 에지나 홈에 연결시키는 렌치의 상대각도가 제한되므로, 너트의 각도에 따라 너트주위의 공간이 불충분하면, 렌치는 너트에 연결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결부재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체결부재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체결부재 주위의 영역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체결부재를 용이하게 체결하는, 렌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결부재를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이 체결부재를 또 다른 부재에 체결하는 렌치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렌치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에 부착되는 내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렌치의 내면상에 설치되고 상기 렌치의 본체부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과 상기 내면 사이로 밀어넣어지는 웨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웨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holding means)이 상기 내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슬랙영역과 웨지영역을 형성해서 웨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킨다. 렌치본체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웨지부재를 웨지영역에 위치시킬때, 상기 웨지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과 상기 웨지영역의 벽 사이에 밀어넣어진다. 렌치본체를 상기 한쪽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웨지부재가 상기 슬랙영역으로 이동하도록 그 형태가 구성된다.
또한, 웨지영역은 웨지부재의 주위에 위치한 슬랙영역의 양측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렌치본체를 두 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웨지부재는 상기 슬랙영역에서 웨지영역의 두 위치중 어느 한 위치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상기 웨지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과 상기 웨지영역의 벽 사이에 밀어넣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지부재는 렌치본체를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부재의 외면과 상기 렌치의 내면 사이에 밀어넣어지며, 상기 렌치와 체결부재는 동일한 방향에 대하여 상호체결되어, 렌치에 의해 체결부재를 상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렌치를 수납하기 위해 체결부재의 외면에 에지를 제공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체결부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체결부재의 외면상에 에지등을 제공할 필요성이 없어지므로, 렌치를 체결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또한 체결부재의 제작이 용이해 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기계 공구홀더, 즉, 드릴과 같은 기계 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척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도면부호 10은 일반적인 척 본체(chuck body)를 도시한다. 척 본체(10)는 머시닝센터 또는 다른 메인 스핀들 헤드(도시안됨)에 부착되며, 또한 척 본체(10)는 베이스단부 방향, 즉, 제1도의 좌측방향으로 테이퍼된 테이퍼자루부(12); 상기 테이퍼자루부(12)의 옆에 형성된 척변위플랜지부(14); 그리고 척의 일부분으로써 플랜지부(14)로 부터 상단부를 향해 돌출한 척 튜브(16)를 포함한다. 상기 척 튜브(16)는 기계 공구의 직형자루부 또는 콜릿(collet)을 수납하기 위한 내면(18)과, 상단부를 향해 테이퍼된 외면(20)을 포함한다. 체결부재로서 원통형의 회전튜브 또는 체결너트(22)는 척 튜브(16)의 외면(20)상에서 회전가능하다. 이 회전튜브(22)는 척 튜브(16)의 외면(20)에 상응하면서 상단부를 향해 테이퍼된 내면(24)을 갖는다. 회전실린더(22)의 베이스부의 주위에서, 원주스토퍼(25)는 자체의 반경에서 외측방향으로 다소 돌출되어, 이하, 후술하는 렌치가 회전튜브(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가능한 복수의 니들롤러(26)가 회전튜브(22)와 척 튜브(16) 사이에 설치되어 리테이너 (28)에 의해 고정된다. 회전튜브 (22)의 회전을 통해, 상기 니들롤러(26)는 회전함과 동시에 척튜브(16)의 외면(20)의 주위를 나사선(helix)을 그리면서 공전하여 척 튜브(16)가 기계 공구를 그립할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30은 시일부재를, 도면부호 32는 스톱링을 도시하며, 이 두 부재는 상기 니들롤러(26)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튜브(22)의 외면(23) 은, 매끄러운 면으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척의 회전 튜브의 면과 반대로 종래의 렌치를 받아들이기 위한 만입부 뿐만 아니라 깔주기도 갖지 않으며, 매끄러운 면으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척 튜브(16)를 기계 공구 상에 체결하기 위하여, 회전튜브(22)를 회전시키는 렌치(34)를 도시한다. 이 렌치(34)는 주본체부(39)를 갖고, 상기 주 본체부는 렌치개구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렌치개구부의 단면은 회전튜브(22)의 외경보다 다소 큰 내경을 갖는 원형을 구비하여 회전튜브(22)의 삽입이 용이해지며, 그리고 한쌍의 핸들(36)이 주본체부(39)에 균등하게 설치된다. 웨지 기구가 렌치개구부(40)의 내면(38)에 제공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웨지 기구는, 내면(38)의 원주상에서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한 복수의 원통형 웨지부재(44)와, 각각의 웨지부재(44)를 받아들이기 위한 만입부(42)와, 그리고 각각의 웨지부재(44)를 제4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코일스프링(46)을 포함한다. 각각의 만입부(42)는 렌치개구부(40)의 내면(38)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또한 축방향(예를들어 제4도의 페이퍼면의 직각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만입부(42)는 다소 깊은 만입부를 갖는 슬랙영역(41)과, 그리고 슬랙영역에 인접하면서 슬랙영역(41)보다 얕은 만입부를 갖는 웨지영역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슬랙영역(41)의 체적은 웨지부재가 자유롭게 롤링하기에 충분하며, 또한 슬랙영역(41)의 깊이는 웨지부재(44)의 직경보다 다소작게 형성됨으로써, 웨지부재(44)의 일부분이 내면(38)에서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게 된다. 웨지영역(43)의 깊이는 다소 얕게 형성됨으로써, 웨지부재(44)는 웨지영역과 회전튜브(22)의 외면(23) 사이에 밀어넣어진다. 스프링(46)은 스프링하우징(47)에 설치되면서 웨지부재(44)를 반시계방향, 즉, 슬랙영역(41)에서 웨지영역(43)을 향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며, 또한 렌치본체가 회전튜브(22)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웨지부재(44)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웨지영역(43)에 위치한다. 돌출부(48)가 스프링하우징(47)의 반대방향의 만입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웨지부재(44)는 돌출부(48) 및 스프링(46)의 편향력(biasing force)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 1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렌치개구부(40)가 척본체(10)의 회전튜브(22)의 외면의 주위에 위치한다. 이 시점에서, 웨지부재(44)는 스프링(46)의 편향력에 대해 회전튜브(22)에 접촉하고, 또한 회전튜브(22)에 의해 웨지영역(43)에서 슬랙영역(41)으로, 즉, 제5도의 상태에서 제6도의 상태로 밀리게 된다. 슬랙영역(41) 이 슬랙과 함께 웨지부재(44)를 고정하는 동안에는, 웨지부재(44)가 회전튜브(22)와 내벽사이에 밀어넣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렌치개구부(40)를 회전튜브(22)로 위치시키는 경우, 비록 웨지부재(44)의 외면이 회전튜브(22)의 외면(23)과 접촉하고 있어도, 웨지부재가 자체 위치결정 작업에 간섭받지 않으며, 작업자는 렌치개구부(40)를 회전튜브(22) 에 매끄럽게 부착시킬 수 있다. 회전튜브(22) 는 매끄러운 원통형태이며, 따라서 렌치를 회전튜브(22)의 형태에 맞추어 초기화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렌치(34)를 제6도의 시계방향, 즉, 제3도의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웨지부재(44)는 만입부(42)의 슬랙영역(41)와 내면 및 회전튜브(22)의 외면(23)과의 접촉에 의해 또한 스프링(46)의 편향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웨지부재(44)가 상대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할 때, 웨지부재(44)는 웨지영역(43)에 위치하고, 또한 웨지부재(44)는 웨지영역의 벽과 회전튜브(22)의 외면(23)사이에 밀어넣어져, 렌치 및 회전튜브는 함께 동일한 방향에 대하여 상호 체결된다. 따라서, 렌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좀더 회전할 때, 회전튜브(22)는 웨지부재(44)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을 통해, 회전튜브(22)는 척 본체의 베이스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척 튜브(16)의 내면(18)이 압착됨으로써, 드릴 또는 엔드밀과 같은 기계 공구가 척 튜브(16)내에서 타이트하게 체결된다.
렌치(34)가 회전튜브(22)로 부터 제거될 때, 웨지부재(44)는 렌치(34)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대적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며, 만입부(42)의 슬랙영역(41)내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슬랙영역(41)이 깊은 만입부이므로, 웨지부재(44)의 외면은 웨지영역(43)의 벽과 회전튜브(22)의 외면(23)사이에 밀어넣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렌치(34)는 회전튜브(22)로 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같은 실시예 1에서, 렌치(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웨지부재(44)는 만입부(42)와 회전튜브(22)사에에 밀어넣어지고, 렌치(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웨지부재(44)가 만입부(42)와 회전튜브(22)사이에 밀어넣어지지 않기 때문에 렌치는 미끄러진다. 그러므로, 회전튜브는 다소 작은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여 체결될수 있다.
기계 공구가 척 튜브(16)에서 제거되어야 할 때, 렌치(34)는 역방향으로, 즉,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계공구를 체결하는 측의 반대측에서 척 튜브(16)로, 회전튜브(22)에 부착되며, 그리고 렌치(34)는 반시계방향으로, 즉, 제8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튜브(22)도 전술한 바와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웨지부재(4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튜브(22)는 제1도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척 튜브(16)의 내면(18)이 이완상태로 복귀하면서 기계 공구가 척 튜브(16)로 부터 제거될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치(34)는 이 렌치(34)를 회전튜브(22)의 형태에 맞출 필요없이 이 회전튜브(22)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따르면, 회전튜브(22)의 외면은 깔주기 가공되거나 렌치상에 스냅되기 위한 만입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며, 따라서 회전튜브는 매끄러운 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전튜브(22)의 제작이 용이해지며, 회전튜브(22)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불쾌한 소음은 방지될 수 있으며, 특히, 회전균형이 척 본체의 고속회전 시에도 유지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렌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쌍의 핸들(36)은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고 있으나, 이 한쌍의 핸들은 반드시 이와 같이 형성될 필요는 없고, 튜브(22)의 회전이 가능하다면, 핸들의 갯수는 하나 또는 세개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웨지부재(4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의 웨지부재의 형태가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웨지부재의 회전이 가능하다면, 웨지부재는 예를들어 구형과 같이 어떠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튜브(체결부재)는 원형이며, 깔주기 가공되어 있으나, 상기 실시예 1의 회전튜브의 형태가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소정의 경우, 회전튜브가 매끄러운 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의 형태가 코일스프링(46)이나, 상기 실시예 1의 이 스프링이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예를들어,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리테이너(58)가 원형의 내측을 갖고서 렌치(34)의 내면상에 결속되어 있으며, 또한 웨지부재(44)가 상기 리테이나(58)에 형성된 복수의 내장용 만입부(64)에 내장된다는 점에서, 또한 판스프링(46′)이 코일스프링 대신 사용된다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는 상이하다.
리테이너(58)는 그 형태가 원형이며, 또한 렌치의 내면(38)의 일부분에 형성된 만입부(61)와 결합하는 외향돌출부(59)에 의해, 렌치의 내면에 결속된다. 판스프링(46′)은 그 형태가 아치형이며, 판스프링의 중앙부는 웨지부재(44)를 향해 돌출하여, 웨지부재를 웨지영역으로 편향시킨다.
전술한 바와같이, 리테이너(58)는 웨지부재를 고정하고, 슬랙영역(41) 및 웨지영역(43)은 렌치의 내면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얕은 만입부(42)와 함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영역은 단지 웨지부재를 고정하는 렌치의 내면과 함께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실시예 1에 개시된 내면보다 렌치의 내면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전체 리테이너(58)가 렌치에 결속되지 않아서 리테이너(58)는 렌치(34)의 주위를 따라 롤링하면서 웨지부재를 슬랙영역에서 웨지영역으로 이동시킨다는 점과, 편향수단(biasing means)이 각각의 웨지부재 보다는 리테이너상에 설치되고 각각의 웨지부재가 슬랙영역에서 웨지영역을 향해 편향된다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 2와는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1의 주요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 동일한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실시예에서의 렌치(34)는 렌치본체(35), 상기 렌치본체(35)의 내면에 설치된 원통형의 리테이너(58), 상기 리테이너(58)를 원주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60), 그리고 상기 스프링(60) 및 상기 리테이너(58)를 고정하는 리드부재(lid member)(62)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회전가능한 상기 회전가능한 리테이너(58)는 원주방향으로 렌치본체(35) 의 내면(38)상에 설치되며, 이 내면에서는 웨지부재(44)를 내장하는 복수의 내장용 만입부(64)가 리테이너(58)의 원주상으로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웨지부재(44)는 회전가능하지만, 해당되는 만입부내에 내장되어 있는 관계로 각각의 만입부(64) 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지 않다. 웨지부재(44)를 리테이너(58)내에 유지시키는 형상구조에 의해, 실시예 3에서, 복수의 웨지부재(44)는 리테이너(58)와 함께 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랙영역(41) 및 웨지영역(43)도 또한 렌치본체의 내면(38)상의 만입부(42)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만입부(42)는 용이한 제작을 위해 그 중앙부에는 슬랙영역(41)을, 그 양 측면에는 웨지영역(43)을 형성한다. 도면부호 63은 스토퍼를 도시하며, 상기 스토퍼는 웨지부재(44) 및 리테이너(58)가 시계방향으로 웨지영역중의 하나의 웨지영역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렌치(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웨지부재가 웨지영역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튜브와 렌치를 로크하는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프링(60)은 그 형태가 거의 원형이며, 또한 소형돌출부(66, 68)가 스프링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소형돌출부(66)들중 하나는 리테이너(58)의 상단면에 형성된 맞물림만입부(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소형만입부(68)는 리드부재(62)상에 형성된 맞물림만입부(도시안됨)에 연결된다. 따라서, 리테이너(58)는 항상 편향되어 있어, 웨지부재(44)는 슬랙영역(41)에서 웨지영역(43)으로 이동한다.
실시예 3에 따르면, 웨지부재(44)는 하나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슬랙영역(41)에서 웨지영역(43)으로 편향될 수 있어서, 부품의 수를 줄이며, 조립체의 구성을 단순화 한다.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 1과는 반대로, 웨지영역(43)이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슬랙영역(41)의 양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벽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형 만입부(68)가 슬랙영역(41)의 벽 상에 설치되고 있으며, 또한 실린더(66)가 오목형 만입부(68)를 따라 설치되어 있어서, 실린더가 만입부(42)내로 출현하거나 만입부로부터 사라질 수 있다. 실린더(66)는 항상 판스프링(46′)에 의해 주본체(39)의 중심부로 편향되어 있으며, 또한 실린더(66)는 렌치(34)가 회전튜브(22)에 부착되기전의 보통상태에서는 오목형 만입부(68)에서 만입부(42)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솔리드 웨지부재(44)로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가 회전튜브에 부착되기 전에는 웨지부재(44)가 실린더(66)에 의해 강압되어 웨지영역(43)의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 곳에 위치한다. 보스부(62)는 웨지부재(44)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만입부(42)의 양측면에 부착되어서, 웨지부재(44)가 만입부(42), 즉 제15도의 좌측 및 우측에 도시된 부착용 만입부(64)로 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실시예 4의 작동을 설명한다. 렌치개구부(40)가 회전튜브(22)에 부착될 때, 웨지부재(44)는 회전튜브(22)와 접촉하여 회전튜브에 의해 밀리면서 제16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영역(43)에서 슬랙영역(41)으로 이동하여, 실린더(66)가 스프링(46′)의 편향력에 대항하면서 후퇴하도록 한다. 따라서, 렌치개구부(40)가 회전튜브(40)에 매끄럽게 부착되고, 또한 회전튜브(22)의 특정형태와 맞추도록 렌치(34)를 특별히 이동시킬 필요 없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웨지부재(44)는 반시계 방향에 위치한 웨지영역(43)으로 롤링하면서, 실린더(66)의 돌출력에 의해 웨지영역내로 밀려들고, 그리고 웨지영역(43)의 벽과 회전튜브(22)의 외면 사이에 밀어넣어져, 렌치와 회전튜브가 체결된다. 따라서, 렌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회전튜브(22)는 웨지부재(44)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드릴과 같은 기계 공구가 결속될 수 있다.
렌치(34)를 반시계방향으로 미소하게 회전시켜서 회전튜브(22)로 부터 제거할때, 웨지부재(44)는 상대적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만입부(42)의 슬랙영역(41)에 내장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여, 렌치(34)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처럼, 회전튜브(22)로 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
실시예 1과는 다르게, 기계 공구가 척 튜브(16)로 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 기계 공구가 척 튜브(16)에 결속되는 시점에 렌치(34)는 그 측면과는 상관없이 회전튜브(22)에 부착할 수 있다. 렌치를 회전튜브에 부착시킨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웨지부재(44)는 슬랙영역의 상대적으로 시계방향에 위치한 웨지영역(43)으로 이동하여 웨지영역(43)의 벽과 회전튜브(22)의 외면(23) 사이에 밀어넣어져 렌치와 회전튜브를 체결한다. 따라서, 렌치(34)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회전튜브(22)는 렌치(3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릴과 같은 기계 공구가 척으로 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기계 공구를 결속하기 위한 렌치의 측면형태는 결속되는 기계공구의 측면형태에 따라 변경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 척의 회전튜브 또는 체결용 너트는 체결부재의 일예로 설명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예를들어, 제17도의 실시예 5에서와 같이, 너트(54)를 볼트(56)와 체결하는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너트(56) 및 볼트(56)의 헤드부는 렌치를 걸기 위한 에지등을 갖지 않는 매끄러운 원주를 갖는다. 렌치(34) 의 구성은 실시예 1에 설명한 그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렌치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예 3에서, 렌치를 걸기 위한 에지를 갖지 않는 외면을 구비한 너트(54)를 제작하는 것은 더욱 용이하다. 또한 렌치(34)를 너트(54)에 부착시키는 것도, 렌치를 너트의 형태에 맞출 필요가 없으므로, 어렵지 않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너트는 헤드 에지의 마모, 그리고 너트가 사용 불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체결부재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체결부재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체결부재 주위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체결부재에 용이하게 체결되는, 렌치를 제공한다.

Claims (13)

  1. 체결부재를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또 다른 부재에 체결하는 렌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에 부착되는 내면; 그리고 상기 내면상에 설치되고, 상기 렌치를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과 상기 내면 사이로 밀어넣어지는 웨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상기 내면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웨지부재를 고정하는 웨지영역 및 슬랙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웨지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과 상기 웨지영역의 벽 사이로 밀어넣도록 상기 렌치를 상기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회전킴으로써 상기 슬랙영역으로 부터 상기 웨지 영역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랙영역의 깊이는 상기 웨지영역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렌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재는 상기 렌치를 상기 한쪽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슬랙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영역은 상기 슬랙영역 양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또한 상기 웨지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과 상기 웨지영역의 벽 사이로 밀어넣어지도록 렌치 본체를 상기 한쪽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슬랙영역으로 부터 상기 웨지영역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재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재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리테이너 및 만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웨지부재가 소정거리 만큼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렌치의 내면상에 설치되어 상기 웨지부재를 고정하고 또한 상기 만입부는 렌치본체의 내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슬랙영역 및 상기 웨지영역의 깊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렌치본체의 내면에 결속되고, 또한 캐버티를 구비하여, 상기 웨지부재의 상기 슬랙영역과 상기 웨지영역 사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렌치본체의 내면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웨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하는 공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재를 상기 슬랙영역에서 상기 웨지영역으로 직접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를 웨지부재가 상기 슬랙영역에서 상기 웨지영역으로 편향되도록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1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웨지부재가 각각의 웨지부재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거리로 상기 렌치의 내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KR1019940016503A 1993-07-08 1994-07-08 렌치 KR100289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10693 1993-07-08
JP93-193106 1993-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578A KR960013578A (ko) 1996-05-22
KR100289911B1 true KR100289911B1 (ko) 2001-05-15

Family

ID=1630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503A KR100289911B1 (ko) 1993-07-08 1994-07-08 렌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96913A (ko)
EP (1) EP0637484B1 (ko)
KR (1) KR100289911B1 (ko)
CN (1) CN1100682A (ko)
DE (1) DE69421131T2 (ko)
TW (1) TW2401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7354B1 (en) 1998-04-23 2002-04-09 M. Todd Mitchell Dual analog and ratchet wrench
US6055888A (en) * 1998-04-23 2000-05-02 M. Todd Mitchell Analog position ratchet mechanism
US6575058B1 (en) 1998-04-23 2003-06-10 M. Todd Mitchell Analog position ratchet mechanism
EP2314826B1 (en) * 1999-09-17 2015-01-21 Weatherford/Lamb, Inc. Gripping device and jaw assembly for gripping a wellbore tubular
US20020144575A1 (en) * 1999-09-17 2002-10-10 David Niven Gripping or clamping mechanisms
GB0009675D0 (en) * 2000-04-20 2000-06-07 Ball Burnishing Mach Tools Mechanical coupling devices
JP4321994B2 (ja) 2002-07-11 2009-08-26 ビッグアルファ株式会社 締付用ナ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工具ホルダ、並びにスパナ
WO2005061185A1 (en) * 2003-11-18 2005-07-07 Joda Enterprises, Inc. Ratchet wrench
FR2896713B1 (fr) * 2006-02-02 2010-01-22 Amyot Ets Sa Mandrin porte-outil pour l'equipement d'une machine tournante
DE102007043889A1 (de) 2006-10-26 2008-04-30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Drehmomentschlüssel
EP2081716B1 (de) 2006-10-26 2017-03-08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Spannzange sowie spannvorrichtung damit
DE102009054185B3 (de) * 2009-11-23 2011-04-14 Eugen Fahrion Gmbh & Co. Spannschlüssel
IT201700070039A1 (it) * 2017-06-22 2018-12-22 Kovall Tools S R L Sistema di serraggio di un utensile all’interno di un portautensile
CN112692769B (zh) * 2020-12-18 2023-11-10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可调式棘轮扳手异形组合工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2688A (en) * 1920-10-21 1922-04-11 James L Layton Tool holder
DE860778C (de) * 1951-07-20 1952-12-22 Neyrpic Ets Einrichtung zum Kuppeln zweier um dieselbe Achse drehbarer Organe, z. B. einer Schraube mit ihrem zugehoerigen Schluessel
US2896488A (en) * 1957-02-28 1959-07-28 William W L Ahana Wrench
US3906822A (en) * 1973-05-03 1975-09-23 Nicholas Leslie Hertelendy Ratchet wrenches
DE8000863U1 (de) * 1980-01-15 1980-05-08 Rothenberger Gmbh & Co Werkzeuge- Maschinen Kg, 6000 Frankfurt Mitnehmervorrichtung fuer stehbolzen o.dgl.
DE3245896A1 (de) * 1982-04-14 1983-10-27 Hans 6700 Ludwigshafen Laurien Wellenausdreher
US4987802A (en) * 1990-04-09 1991-01-29 Chern Shyh Y Power wrench
JPH0526208A (ja) * 1991-07-15 1993-02-02 Ckd Corp 高速作動用流体圧シリン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7484B1 (en) 1999-10-13
EP0637484A1 (en) 1995-02-08
DE69421131T2 (de) 2000-04-06
TW240187B (ko) 1995-02-11
KR960013578A (ko) 1996-05-22
US5596913A (en) 1997-01-28
CN1100682A (zh) 1995-03-29
DE69421131D1 (de) 199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9911B1 (ko) 렌치
ES2359887T3 (es) Portabrocas, en especial para el taladrado con percusión.
JP4365928B2 (ja) 工具ホルダ
JPS62114887A (ja) 工具保持器
US5009440A (en) Tool chuck for tool bits
JPH029520A (ja) ドリルスピンドルへの接続のために装備されたドリルチャック
JP2819159B2 (ja) ドリルビット
JPS63139603A (ja) ドリルチャック
JPH0811543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ギヤ及びピニオンヘッド
EP1380373B1 (en) Clamping nut and tool holder with the clamping nut, and spanner
US7207573B2 (en) Chuck assembly
ITMI980324A1 (it) Mandrino per immorsare un utensile da taglio in particolare punta da trapano
KR200260505Y1 (ko) 유압 척
JPH06198637A (ja) ドリル工具
JP3155888B2 (ja) スパナ
JPS6274510A (ja) 振動ドリルにおけるビツトの保持構造
JP3710149B2 (ja) 工具取付台
JPS6237611Y2 (ko)
JPS6216297Y2 (ko)
JP4157866B2 (ja) 工具取付台
JPH0229885B2 (ko)
JP3644999B2 (ja) 円筒形状穿孔工具
JPH0517817B2 (ko)
JPH057296B2 (ko)
JPS62213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