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505Y1 - 유압 척 - Google Patents

유압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505Y1
KR200260505Y1 KR2020010030923U KR20010030923U KR200260505Y1 KR 200260505 Y1 KR200260505 Y1 KR 200260505Y1 KR 2020010030923 U KR2020010030923 U KR 2020010030923U KR 20010030923 U KR20010030923 U KR 20010030923U KR 200260505 Y1 KR200260505 Y1 KR 200260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jaw
bevel gear
jaws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씨
Priority to KR2020010030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505Y1/ko

Links

Landscapes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물 지지용 유압 척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상하부 주연에 베벨기어가 형성되는 회전판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척바디; 상기 척바디의 상측에 고정되며,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이에 조가 각각 장착되는 척커버; 및, 상기 조의 스크류홈에 삽입되며 회전판의 베벨기어에 치합되어 복수의 조를 일체로 이송토록 설치되는 조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방사상의 조가 동시에 이동토록 되어 공작물의 중심고정이 가능토록 하고, 공작물을 지지하는 조의 유동을 방지토록 하는 유압 척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압 척{A Chuck for Oil Pressure}
본 고안은 공작물을 지지하는 유압 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베벨기어가 형성되는 회전판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척바디와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이에 조가 각각 장착되는 척커버및 상기 조의 스크류홈에 삽입되며 회전판의 베벨기어에 치합되어 복수의 조를 일체로 이송토록 설치되는 조이송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조의 이송이 정확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유압 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척은, 공작물의 회전에 의해 가공되는 공작물의 가공시 가공을 원하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장치로서 척바디에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되는 복수의 조에 의해 공작물을 내경및 외경에서 지지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유압척의 구성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척바디(11)와 내측에 스크롤(13)과 조(14)를 내장하는 척커버(12)로서 구성되며, 핸들을 기어레버(15)에 삽입하여 기어레버를 회전시키면 베벨기어(16)가 회전하면서 스크롤(13)에 형성되는 크라운기어(17)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롤(13)도 함께 회전되며, 이와같은 스크롤(13)의 회전에 따라 스크롤(13)에 치합되는 3개의 조(14)가 척커버(12)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2b)을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조(14)의 단부에 가공을 원하는 가공물이 고정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압척은, 스크롤(13)의 회전시 이에 치합되는 조(14)가 순차로 이송토록 되어 공작물의 정확한 중심이 설정이 힘들게 되고, 조(14)의 이동이 힘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사상의 조가 동시에 이동토록 되어 공작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공작물을 지지하는 조의 유동을 방지토록 하며, 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유압 척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유압척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척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척을 도시한 분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척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5는 각각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척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척 바디 130...회전판
160...기어레버 200...척 커버
220...조 310...스크류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하부면 외측 둘레에 베벨기어가 각각 형성되는 회전판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척바디;
상기 척바디의 상측에 고정되며,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이에 스크류홈을 갖는 조가 장착되는 척커버; 및,
상기 조의 스크류홈에 삽입되면서 회전판의 베벨기어에 치합되도록 복수의 조를 일체로 이송토록 설치되는 조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압 척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유압 척(400)은, 척바디(100)와 척커버(200)및 조 이송부(300)로서 구성된다.
상기 척 바디(100)는, 상하부 주연에 제1 베벨기어(170a)(170b)가 형성되는 회전판(130)이 상부면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고, 일측면에 베벨기어(170b)와 치합되는 기어레버(160)가 장착된다.
상기 척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척 커버(200)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이드홈(210)이 형성되어 이에 조(220)가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레일(210a)이 돌출되며, 상기 조(220)의 일면에 고정판(220a)이 돌출되어 그 내측에 스크류홈(220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220)의 측면에 가이드레일(210a)과 대응되는 밀착홈(220c)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바(310)가 삽입되어 치합되는 스크류홈(220b)이 조(220)의일면에 돌출되는 고정판(220a)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바(310)와 그 단부에 연결되는 베벨기어(330)는, 척 커버(200)의 가이드홈(210) 저부 일면에 수납되어 회전가능토록 된다.
상기 조(220)를 가이드홈(210)의 내측에서 이송토록 설치되는 조 이송부(300)는, 일단이 조(220)의 스크류홈(220b)에 삽입되어 회전토록 설치되는 스크류바(310)와 그 일단에 연결되는 제2베벨기어(330)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330)는, 회전판(130)의 제1베벨기어(170b)에 치합된다.
한편,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이드홈(210)이 방사상의 중심선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삽입되는 조(220)의 스크류홈(220b)역시 동일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220)의 단부에 돌출되는 지지면(220d)이 중심에서 편향되게 위치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서와 같이, 척 바디(100)의 상부에 회전판(130)의 장착하면 상기 척 바디(100)의 일측에 삽입되는 기어레버(160)가 상기 회전판(130)의 하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1베벨기어(170a)에 치합되어 기어레버(160)의 회전시 회전판(130)이 일체로 회전토록 된다.
이어서, 상기 척 바디(100)의 상측에 다수의 조(220)가 장착되는 척 커버(200)가 결합되어 유압척(400)이 형성되고, 이때 상기 조(220)의 일면에는 가이드홈(210)의 저부 일면에 삽입되는 스크류바(310)가 삽입된다.
계속하여, 상기 스크류바(310)의 단부에는 제2베벨기어(330)가 일체로 연결되어 조(220)가 척 커버(200)에 장착됨과 동시에 제2베벨기어(330)가 회전판(13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1베벨기어(170b)에 치합토록 된다.
상기 기어레버(160)를 회전시키면 이에 치합되는 회전판(13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그 상부면에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330)를 통하여 척 커버(200)의 가이드홈(210)에 장착되는 조(220)를 동시에 중심방향으로 이동시켜 공작물을 지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조(220)는, 각각 회전판(130)에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310)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회전판(130)의 회전과 동시에 각각의 베벨기어(310)가 이동되어 조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바(310)가 삽입되어 치합되는 스크류홈(220b)은 조(220)의 일면에 돌출되는 고정판(220a)에 관통형되며, 상기 스크류바(310)는, 가이드홈(210)의 일측면인 척 커버(20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된다.
한편, 도5에서와 같이, 상기 척 커버(200)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10)은 분할되는 중심선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며, 그 내측에 이송토록 설치되는 조(220)역시 그 내측에 형성되는 스크류홈(220b)이 편향되게 형성된다.
이에의하여, 상기 조(220)의 이동시 그 단부 중앙에 돌출되는 지지면(220d)이 공작물의 분할되는 중심선에서 각각 편심되게 지지되어 회전력에 따른 마찰력을 극대화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2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면(220ㅇ)이 조(220)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돌출되어 공작물의 분할되는 중심선에서 각각 편심되게 지지되어 회전력에 따른 마찰력을 극대화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판과 각각 기어로서 연결되며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각각의 조가 기어레버의 회전시 동시에 이동토록 되어 공작물의 중심고정이 가능토록 하고, 공작물을 지지하는 조의 유동을 방지토록 하며, 각각의 기어비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최소의 하중으로 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다.
또한, 조에 의해 지지되는 공작물의 분할되는 중심선상에서 편향되는 위치에서 공작물을 지지하여 공작물의 회전에 따른 반력을 극대화 하여 공작물의 가공에 따른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6)

  1. 상,하부면 외경에 제1베벨기어(170a)(170b)가 각각 형성되는 회전판(130)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베벨기어(170b)에 치합되는 기어레버(160)가 장착되는 척바디(100);
    상기 척바디(100)의 상측에 고정되며,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이드홈(210)이 형성되어 이에 조(220)가 각각 장착되는 척커버(200); 및,
    상기 조(220)에 연결되면서 회전판(130)의 베벨기어(170a)에 치합되어 복수의 조(220)를 일체로 이송토록 설치되는 조 이송부(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 이송부(300)는, 조(220)의 일면에 돌출되어 스크류홈(220b)이 관통되는 고정판(220a)과 상기 스트류홈(220b)에 삽입되는 스크류바(310)와 상기 스크류바(310)의 단부에 연결되어 베벨기어(170a)에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33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바(310)는, 가이드홈(210)의 일면 저부인 척 커버(200)의 저부에 수납되어 회전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 커버(200)에 이송토록 설치되는 조(220)는, 가이드홈(210)이 중심선에 대하여 편심되게 형성되어 조의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면(220d)이 공작물에 편심되게 접촉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척.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척 커버(200)에 이송토록 설치되는 조(220)는, 그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면(220d)이 조(220)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척.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220)는, 그 측면에 형성되는 밀착홈(220c)과 이에 대응토록 가이드홈(21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10a)에 의해 상호 지지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척.
KR2020010030923U 2001-10-10 2001-10-10 유압 척 KR200260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23U KR200260505Y1 (ko) 2001-10-10 2001-10-10 유압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23U KR200260505Y1 (ko) 2001-10-10 2001-10-10 유압 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505Y1 true KR200260505Y1 (ko) 2002-01-10

Family

ID=7311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923U KR200260505Y1 (ko) 2001-10-10 2001-10-10 유압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505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500B1 (ko) 2009-01-14 2011-11-03 조의제 조의 2차 고정수단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척
KR101181931B1 (ko) * 2010-09-17 2012-09-11 한국전력공사 외륜형 초전도 베어링용 고정장치
KR101527692B1 (ko) * 2014-11-03 2015-06-09 주식회사 오르비텍 교정용 감마선 조사장치의 계측장치 고정용 지그
CN107804124A (zh) * 2017-11-24 2018-03-16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多功能的手动拆装车胎装置
CN112123135A (zh) * 2020-08-17 2020-12-25 南京智欧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双面自动打磨装置及其打磨方法
CN113560910A (zh) * 2021-08-09 2021-10-29 威海职业学院(威海市技术学院) 一种刀具快速装夹夹具及其使用方法
KR20210132983A (ko) * 2020-04-28 2021-11-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회수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시추공 케이싱
CN114833422A (zh) * 2022-04-20 2022-08-0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管件用火焰切割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500B1 (ko) 2009-01-14 2011-11-03 조의제 조의 2차 고정수단을 구비한 공작기계용 척
KR101181931B1 (ko) * 2010-09-17 2012-09-11 한국전력공사 외륜형 초전도 베어링용 고정장치
KR101527692B1 (ko) * 2014-11-03 2015-06-09 주식회사 오르비텍 교정용 감마선 조사장치의 계측장치 고정용 지그
CN107804124A (zh) * 2017-11-24 2018-03-16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多功能的手动拆装车胎装置
CN107804124B (zh) * 2017-11-24 2023-10-20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多功能的手动拆装车胎装置
KR20210132983A (ko) * 2020-04-28 2021-11-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회수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시추공 케이싱
KR102427255B1 (ko) 2020-04-28 2022-07-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회수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시추공 케이싱
CN112123135A (zh) * 2020-08-17 2020-12-25 南京智欧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双面自动打磨装置及其打磨方法
CN113560910A (zh) * 2021-08-09 2021-10-29 威海职业学院(威海市技术学院) 一种刀具快速装夹夹具及其使用方法
CN114833422A (zh) * 2022-04-20 2022-08-0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管件用火焰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1808A (en) Ring gear camming member
US4437363A (en) Dual camming action jaw assembly and power tong
KR200260505Y1 (ko) 유압 척
CN106737341A (zh) 一种正空反转向机构
CA2512171A1 (en) Power tong with linear camming surfaces
US5542317A (en) Rotary index table assembly
CA2012683C (en) Camming member for power tongs
US5904456A (en) Combination of a drill and a means for securing the drill in a chuck
US20060135333A1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tool changing device
CN109867203A (zh) 变直径吊装翻转吊具
WO2007141947A1 (ja) 要素間支持機構、この要素間支持機構を備えた自動工具交換装置、搬送装置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EP0106422B1 (en) Winch
US20070080506A1 (en) Chuck with gripping mechanism stop
US5048377A (en) Gripping and rotating tong device
JP2009262260A (ja) パレット交換装置
JPS6116011Y2 (ko)
JPS6246284B2 (ko)
JPH0716096Y2 (ja) 成形ロールの抜止装置
JP2731697B2 (ja) クランプ装置
JP2000027970A (ja) ボ―ル転動スピンドル
SU1346345A1 (ru) Самоцентрирующий кулачковый патрон
KR20010007050A (ko) 제네바기구 등의 구동측캠
JP2717294B2 (ja) 差動四爪パワーチャック
JPS6037210Y2 (ja) タ−レットヘッドの回動機構
JPS6029432Y2 (ja) ハンマ−ドリル等の工具脱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