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505B1 - 가스절연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505B1
KR100289505B1 KR1019930014826A KR930014826A KR100289505B1 KR 100289505 B1 KR100289505 B1 KR 100289505B1 KR 1019930014826 A KR1019930014826 A KR 1019930014826A KR 930014826 A KR930014826 A KR 930014826A KR 100289505 B1 KR100289505 B1 KR 100289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lines
pair
main bus
auxiliar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909A (ko
Inventor
이또우순지
가야바히또시
다까호시마사히로
스즈야와히로시
사까구시미노루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4000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6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gas-ins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한쌍의 주버스선;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한쌍의 보조버스선;
각 단로기의 양 단부를 구비하고, 한쌍의 보조버스선을 거쳐 한쌍의 주버스선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3세트의 차단기; 및
각 인접한 차단기에 속하는 단로기 사이의 접점에 제공되는 케이블 헤드를 포함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주버스선과 상기 한쌍의 보조버스선은 설치면 가까이 수평면에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며, 3세트의 차단기는 수직형 차단기를 나타내고 축방향을 따라 한쌍의 주버스선과 한쌍의 보조버스선의 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Description

가스절연 개폐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구성요소를 3차원 배치로 설명하고 있는 개략설명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구성요소를 3차원 배치로 설명하고 있는 개략설명도;
제2도는 제1(a)도의 일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하는 정면도;
제3도는 제1(a)도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하는 정면도;
제4도는 제1(a)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정면도;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 수정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실시예와 요부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제6도는 제1(b)도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하는 정면도.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세트의 차단기가 한쌍의 주버스선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SF6가스 등의 절연성 가스로 채워진 밀폐용기 내에 주버스선과 분기버스선 그리고 차단기 등의 각 구성요소들을 배치하고, 필요한 회로구성에 기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한 회로구성 중 하나로서, 한쌍의 주버스선들 사이에 3세트의 차단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인접차단기들 간에 접점을 통해 전력수신 및 공급이 행해지는 1·1/2 차단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1·1/2 차단시스템의 회로구성이 시스템 작동에 있어서 자유도가 크고 융통성이 크기 때문에, 차단기 검사를 할 경우 전력전달과 전력분배 작동을 차단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그것에 의해서 전력서비스가 중단되는 지역이 크게 제한된다. 유럽특허 공고번호 제0190551호에 대응하는 JP-A-61-161909(1986)는 상기 회로구성에 기초하여 구성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하나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주버스선이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며 또한 3개의 측면형 차단기가 한쌍의 주버스선들 사이에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는데 한쌍의 주버스선과 연결하기 위한 각 선들을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더욱이 한쌍의 주버스서들 간에 3개의 측면형 차단기가 평행을 이루고 배치되므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전체 설치면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한쌍의 주버스선들 사이의 공간거리가 커지게 된다.
전체 설치면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회로구성에 기초하여 구성되어 있는 향상된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JP(U)-A-63-164309(19888)에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한쌍의 주버스선이 평행을 이루어 가까이에 배치되고, 3개의 수직형 차단기가 한쌍의 마주하는 주버스선의 한 외부측과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며, 그리고 전력수신 및 공급이 행해지는 절연도출수단과 인접한 수직형 차단기와 연결하는 보조버스선이 있고, 그 보조버스선은 한쌍의 주버스선으로부터 떨어지고,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수직형 차단기의 한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U.S. 특허번호 제4,503,481호에 대응하는 JP-A-57-193911(1982)에는 상기 회로구성에 기초하여 구성된 다른 향상된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평행을 이루어 가까이에 한쌍의 주버스선이 배치되고, 3세트의 수직형 차단기가 한쌍의 마주하는 주버스선의 한 외부측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며, 더욱이 전력수신 및 공급이 행해지는 절연도출수단과 인접한 수직형 차단기와 연결하는 보조버스선이 있고, 그 보조버스선은 한쌍의 마주하는 주버스선의 다른 외부측에 배치된다.
JP-(U)-A-63-164309(1988)에 나타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그서의 전체 설치면이 감소되는데 그것은 한쌍의 주버스선이 서로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쌍의 주버스선은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수직형 차단기의 한 측면에 배치되고, 전력수신 및 공급이 행해지는 절연도출수단과 보조버스선은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수직형 차단기의 다른 측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차단기를 검사하고 유지하는 것은 어려우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JP-A-57-193911(1982)에 나타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주버스선, 보조버스선 그리고 절연도출수단은 차단기의 한 측면에 배치되고, 검사 및 유지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검사 및 유지작업 공간이 차단기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다. 그러나 주버스선 위에 대량의 보조버스선이 배치되는 구성은 필수적이고,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지진성이 감소하고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은 보조버스선의 부재를 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설치된 차단기의 검사 및 유지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내지진성이 우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한쌍의 주버스선, 한쌍의 주버스선 사이에서 보조버스선을 거쳐 직렬로 연결된 양쪽 단부에 단로기를 구비한 3세트의 차단기, 그리고 전력수신 및 공급이 행해지는 절연도출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한쌍의 주버스선과 보조버스선은 설치면 가까이 동일한 수평면에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고, 3세트의 차단기는 각 버스선의 축방향에서 주버스선과 보조버스선의 한 외측면을 따라 배치된 수직형 차단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주버스선과 보조버스선은 차단기의 한 측면에 집합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검사 및 유지작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차단기의 다른 측면인 왼쪽에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상당한 주버스선과 보조버스선은 설치면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것의 지지구성이 간단해지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지진성이 호전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은 조장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 각 구성요소들이 사용되고 설명되어지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내며, 다음에 설명할 상세한 실재 배열과도 대응된다.
한쌍의 주버스선(1,2)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고 보조버스선(30,31)은 마주하는 주버스선(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주버스선(1,2)과 평행을 이룬 두선을 따라 배치된다. 3개의 차단기(3,10,17)가 이들 버스선(1,2,30,31)의 한쪽 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즉 차단기(3)는 변류기(4,5) 및 각 단부의 접지개폐기(6,7)와 연결되고, 차단기(3)의 한쪽 단부는 단로기(8)를 거쳐 주버스선(1)과 연결되며, 다른쪽 단부는 단로기(9)를 거친 다음 보조버스선(30) 뿐만 아니라 전력수신 및 공급이 행해지는 절연도출수단(32)과 연결된다. 또한 차단기(10)는 변류기(11,12) 및 각 단부의 접지개폐기(13,14)와 연결되고 차단기(10)의 한쪽 단부는 단로기 (15)를 거쳐 보조버스선(30)에 연결되며, 다른쪽 단부는 단로기(16)을 거친 다음 보조버스선(31) 뿐만 아니라 전력수신 및 공급이 행해지는 절연도출수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차단기(17)은 변류기(18,19) 및 각 단부의 접지개폐기(20,21)와 연결되고, 차단기(17)의 한쪽 단부는 단로기(22)를 거쳐 보조버스선(31)에 연결되며, 다른쪽 단부는 단로기(23)을 거쳐 보조버스선(2)에 연결된다.
제1(b)도는 제6도와 관련하여 다음에 설명할 것이다.
제2도는 제1(a)도에 설명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주요부의 정면도이고, 특히 제1(a)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차단기(3)와 그 결합된 구성요소들의 정면도이다.
주버스선(1,2)는 각각 위상절연형의 형식을 구성하고, 주버스선(1)은 설치면 가까이 도면의 왼쪽편에 평행을 이루고 배치되며 주버스선(2)은 주버스선(1)으로부터 소정간격 만큼 떨어진 설치면 가까이 도면의 오른쪽편에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다. 더욱이 한쌍의 주버스선(1,2) 사이에 위상절연형의 형식을 구성하는 보조버스선(30,31)은 설치면 가까이에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다. 결국 주버스선(1,2)과 보조버스선(30,31)은 설치면 가까이에 수평평면에 평행을 이루고 배치된다. 차단기(3)의 3개의 위상요소들은 이들 버스선(1,2,30,31)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며, 다시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들 버스선(1,2,30,31)의 축방향을 따라 주버스선(1)의 왼쪽편에 배치된다. 그리고 각 위상요소들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차단기(3)의 하나의 위상요소 구성만을 설명한다.
차단기(3)와 그것의 관련 요소들은 수직면에서 각 버스선(1,2,30,31)을 지나 수직으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또한 차단기(3)는 수직형 차단기이고 그것의 상하측에 평행을 이루고 배치된 두 도출부 사이에 하측도출부는 변류기(4)를 거쳐 주버스선(1)의 하측에 배치된 단로기(8)와 연결되며, 더욱이 상측도출부는 변류기(5)를 거쳐 접속용도체(36)와 연결된다. 그리고 접속용도체(36)는 주버스선(1)까지 확장된 다음 보조버스선(30)의 상측에 배치된 단로기(9)에 연결된다. 또한 접속용도체(34)는 단로기(9)와 보조버스선(30)의 높이방향으로의 중간부에서부터 도출되고, 보조버스선(31)과 주버스선(2)까지 확장된 다음, 각 버스선(1,2,30,31)의 다른 측면에 배치된 케이블 헤드로 나타낸 절연도출수단(32)에 연결된다.
제3도는 제1(a)도에 설명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다른 주요부의 정면도이고, 특별하게는 제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기(10)와 그것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정면도이다.
차단기(10)의 3상 요소들은 이들 버스선(1,2,30,31)의 한 측면에 배치되고, 다시말해, 설명된 본 실시예에서 이들 버스선(1,2,30,31)의 축방향을 따라 주버스선(1)의 왼쪽편에 배치된다. 그리고 각 위상요소들의 구성은 동일하며, 이하 차단기의 한 위상요소 구성만을 설명한다.
차단기(10)와 그것과 관련된 요소들은 다른 수직면에서 각 버스선(1,2,30,31)을 지나 수직으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차단기(10)는 수직형 차단기이고 그것의 상하측에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두 도출부 사이의 하측도출부는 변류기(11)를 거쳐 접속용도체(37)에 연결되며, 접속용도체 (27)는 주버스선(1)까지 연장되고 상기 보조버스선(30)에 배치된 단로기 (15)에 연결된다. 더욱이 상측도출부는 변류기(12)를 거쳐 접속용도체 (38)에 연결되고 접속용도체(38)는 보조버스선(31)의 상측에 설치된 단로기 (16)로 이어진다. 접속용도체(35)는 단로기(16)와 보조버스선(31)의 높이방향으로의 중간부에서 부터 도출되고 주버스선(2)까지 연장되며, 각 버스선(1,2,30,31)의 다른측면에 배치된 케이블 헤드로 나타낸 절연도출수단 (33)에 연결된다.
제4도는 제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더욱 다른 주요부의 정면도이고 특별하게는 제1(a)도에 나타낸 차단기(17)와 그것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정면도이다.
또한 차단기(17)의 3상 요소는 이들 버스선(1,2,30,31)의 한 측면에 배치되고, 다시말해,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이들 버스선(1,2,30,31)의 축방향을 따라 주버스선(1)의 왼쪽편에 배치된다. 그러나 각 위상요소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 차단기의 한 위상요소의 구성을 설명한다.
차단기(17)와 그것과 관련된 요소들은 다른 수직면에서 각 버스선(1,2,30,31)을 거쳐 수직으로 교차되어 배치된다. 차단기(17)는 수직형 차단기이고 그것의 상하측에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두 도출부 사이의 하측 도출부는 변류기(18)를 거쳐 접속용도체(39)에 연결된다. 접속용도체(39)는 주버스선(1)과 보조버스선(30)까지 연장되고 상기 보조버스선(31)에 배치된 단로기(22)에 연결되며 더욱이 상측도출부는 변류기(19)를 거쳐 접속용도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접속용도체(40)는 주버스선(1)과 보조버스선(30,31)까지 연장된 다음 주버스선(2)의 상측에 배치된 단로기(23)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3개의 차단기(3,10,17)는 주버스선(1,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절연도출수단(32,33)은 각 차단기(1,10 및 10,17) 사이로 부터 도출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차단기(3,10,17)와 그것과 관련된 요소들의 배치구성에 있어서, 상당한 주버스선(1,2)과 상당한 보조버스선(30,31)은 설치면 가까이 하측에 배치되어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지진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각 버스선(1,2,30,31)의 조립작업은 촉진된다. 더욱이 각 차단기와 그것과 관련된 요소들이 분리된 3개의 수직면에서 주버스선(1,2)과 보조버스선(30,31)의 축방향선을 거쳐 각각 수직으로 교차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각 차단기(3,10,17)와 각 차단기에서 각상의 차단기 장치는 주버스선(1,2)과 보조버스선(30,31)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가깝게 설치될 수 있고,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설치면 영역은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각 차단기(3,10,17)는 각 버스선(1,2,30,31)의 한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검사작업용 공간은 차단기의 유지 및 검사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버스선으로 부터 떨어진 차단기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다.
심지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 선로측 변압기(41)가 제공될 필요가 있고,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지진성이 본 발명에 의해 개선된다. 다시말해,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낸 선로측변압기(41)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 차단기(10)와 그것과 관련된 요소들을 제공할 경우에 있어서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에 있어서는 동일한 참고번호에 의해 제3도의 요소들과 같거나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에 나타낸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단로기(16)는 차단기 (1)의 수평의 상측도출부의 축선교차점 가까이에 배치되고, 다시말해, 접속용도체(38)의 축선과 보조버스선(31)을 지나친 수직선 교차점 가까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평 접속용도체(35)는 그것의 높이방향으로의 단로기(16)와 보조버스선(31)의 소정부로부터 도출된다. 따라서 선로측 변압기(41)가 상측의 접속용도체(35)와 연결될 경우 선로측 변압기(41)의 높이가 제한되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지진성이 호전된다.
제1(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스선을 구분하기 위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3차원 배치도이고 제6도는 그것의 정면도이다.
버스선을 구분하기 위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주버스선(1,2)의 중간쯤에 제공되고, 또한 제1(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버스선(1,2)이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거쳐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버스선 특히 주버스선(1)을 구분하기 위해 한쌍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차단기(42)의 각 단부에서, 변류기(43,44)는 제공되고 각 변류기의 단부는 접지개폐기(47,48)와 단로기(45,46)를 거쳐 주버스선(1,1A)과 연결된다. 주버스선(1,2)가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서 이전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버스선(30,31)의 배치를 허용하므로, 주버스선(1)에 인접한 주버스선(1A)의 단부는 구부러져 있어서 보조버스선 (30)의 배치선을 따라 위치하고 마주하는 단부에서 주버스선(1,1A)의 겹침부를 형성하여, 결국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선을 구분짓기 위해 가스절연 개폐장치가 겹침부를 사용함으로써 구성된다. 주버스선(2,2A) 사이에서 구분짓기 위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제6도에 나타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버스선(30,31)은 주버스선(1,2) 사이에 배치되나, 심지어 주버스선(1,2)과 보조버스선(30,31)의 배치위치가 교체되고 그리고 상기의 이점들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버스선(1,2,30,31)은 위상절연형을 나타내며 이들 버스선은 3상 집단형을 나타낸다.
더욱 여전히 상기 실시예에서 버스선(1,2,30,31)은 설치면 위에 배치되며 이들 버스선은 설치편으로 직접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여기까지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한쌍의 주버스선과 한쌍의 보조버스선은 설치면 가까이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고 차단기는 축방향을 따라 이들 버스선의 한 측면에 배치되며, 결과적으로 버스선으로부터 떨어진 차단기의 한 측면에 검사작업 공간이 형성되어 검사와 유지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더욱이 이들 버스선이 낮은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지진성은 호전된다.

Claims (8)

  1.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한쌍의 주버스선;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한쌍의 보조버스선; 각각의 양 단부에 단로기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보조버스선을 거쳐 상기 한쌍의 주버스선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3세트의 차단기; 및 상기 각각의 인접한 차단기에 속하는 단로기 사이에 제공되는 접점에서 전력수신 및 공급이 행해지는 절연도출수단을 포함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주버스선과 상기 한쌍의 보조버스선은 이들의 설치면에 가까운 수평면 위로 서로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3세트의 차단기는 수직형 차단기이며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한쌍의 주버스선과 상기 한쌍의 보조버스선의 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차단기는 한쌍의 주버스선과 한쌍의 보조버스선의 측면에 한쌍의 상측 및 하측 수평연장도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도출부는 상기 차단기에 속하는 단로기를 통과하여 상기 한쌍의 주버스선과 한쌍의 보조버스선중 한 선과 연결되며, 또한 상기 상측도출부는 상기 하측도출부가 연결되는 상기 주버스선과 상기 보조버스선 중 한 선으로부터 상기 차단기에 대하여 떨어져 있는 남아 있는 상기 주버스선과 상기 보조버스선 중 한 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도출부에 연결된 상기 단로기는 상측도출부의 수평축선과 상기 주버스선과 상기 보조버스선 중 한 선을 통과하는 수직선의 교차점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여기에 상기 상측도출부가 단로기를 거쳐 연결되고, 상기 절연도출수단은 높이방향으로 단로기와 상기 주버스선 및 상기 보조버스선 중 한 선 사이의 중간위치에서 부터 도출되는 접속용도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세트의 차단기와 그것의 양 단부에 배치된 단로기는 상기 주버스선과 상기 보조버스선의 축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3개의 분리된 수직면 상에 각각 위치시켜 설치하고, 상기 절연도출수단은 3개의 분리된 수직면의 어느 두 면 상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주버스선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보조버스선은 상기 한쌍의 주버스선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6.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 한쌍의 제1 주버스선; 및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고, 연장선을 따라 상기 한쌍의 제1 주버스선으로 부터 떨어져 있고, 그리고 그것의 각 단부가 안쪽으로 굽어있는 상기 한쌍의 제1 버스선과 인접하고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는 한쌍의 제2 주버스선; 양 단부에 단로기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그중 한 세트가 상기 한쌍의 제1 주버스선 중 한 선과 상기 한쌍의 제2 주버스선 중 한 선 사이에 연결되는 2세트의 차단기를 포함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1 주버스선과, 상기 한쌍의 제2 주버스선은 설치면 가까이 수평면 위로 배치되며, 상기 2세트의 차단기는 수직형 차단기이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한쌍의 제1 주버스선과 상기 한쌍의 제2 주버스선의 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차단기는 상기 한쌍의 제1 주버스선과 상기 한쌍의 제2 주버스선의 한 측면에서 한쌍의 상·하측 수평연장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도출부는 상기 차단기에 속하는 단로기를 거쳐 상기 한쌍의 제1 주버스선과 상기 한쌍의 제2 주버스선 중 한 선과 연결되며, 상기 상측도출부는 상기 남은 제1 주버스선과 상기 남은 제2 주버스선 중 한 선과 연결되고 상기 차단기에 대하여 상기 하측도출부가 연결된 상기 제1 주버스선과 상기 제2 주버스선 중 한 선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세트의 차단기와 그의 양단부에 배치된 단로기는 상기 제1 주버스선과 상기 제2 주버스선의 축방향으로 수직을 이루는 2개의 분리된 수직면 상에 각각 배치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9930014826A 1992-08-07 1993-07-31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0289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11579A JP2887857B2 (ja) 1992-08-07 1992-08-07 ガス絶縁開閉装置
JP92-211579 1992-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09A KR940004909A (ko) 1994-03-16
KR100289505B1 true KR100289505B1 (ko) 2001-10-24

Family

ID=1660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826A KR100289505B1 (ko) 1992-08-07 1993-07-31 가스절연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53910A (ko)
JP (1) JP2887857B2 (ko)
KR (1) KR100289505B1 (ko)
CN (1) CN10337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404279D1 (de) * 1994-04-19 1997-11-13 Asea Brown Boveri Erdbebenschutzvorrichtung für eine gasisolierte Schaltanlage
JP3136932B2 (ja) * 1994-12-28 2001-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4285781B2 (ja) * 1997-04-22 2009-06-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
GB2331412B (en) * 1997-11-18 2001-11-28 Nat Grid Company Plc A substation
TW465158B (en) 1998-07-31 2001-11-21 Hitachi Ltd 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CN101305507B (zh) * 2006-06-19 2012-05-23 三菱电机株式会社 气体绝缘电力设备
MX2011013456A (es) * 2010-01-18 2012-02-21 Abb Technology Ag Componentes de encapsulado con interruptores separadores para una instalacion de distribucion aislada con gas.
FR3002701B1 (fr) * 2013-02-25 2015-04-10 Alstom Technology Ltd Procede d'extraction d'une enveloppe d'un poste a isolation gazeuse sous enveloppe metallique (ps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71824D1 (en) * 1981-05-20 1986-07-31 Hitachi Ltd Gas 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JPS57193911A (en) * 1981-05-20 1982-11-29 Hitachi Ltd Gas insulated switching unit
JPS6166511A (ja) * 1984-09-06 1986-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JPS61161909A (ja) * 1985-01-09 1986-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KR960015127B1 (ko) * 1986-10-07 1996-10-28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가스절연 개폐장치
JPS6390912U (ko) * 1986-11-28 1988-06-13
JPS63164309A (ja) * 1986-12-26 1988-07-07 Nec Corp 液相成長方法
JP3020499B2 (ja) * 1988-01-11 2000-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28925B2 (ja) * 1988-03-11 1996-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2625512B2 (ja) * 1988-08-03 1997-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27748B2 (ja) * 1989-07-05 1995-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34603B2 (ja) * 1990-08-29 1995-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70416A (ja) 1994-03-11
JP2887857B2 (ja) 1999-05-10
US5453910A (en) 1995-09-26
CN1033730C (zh) 1997-01-01
KR940004909A (ko) 1994-03-16
CN1083273A (zh) 199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15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US8000087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JP4512648B2 (ja) スイッチギヤ
EP0156107A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US7075778B2 (en) Hybrid gas-insulated switchgear
US4745522A (en) Gas-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KR101109065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JP4837782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0289505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0382027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032250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US6664493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KR89000452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switch-gear)
JP4836770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S5915445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413925B2 (ko)
JPH1114651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66915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9149514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910008946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H056432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79925A (ja) 開閉装置
KR19990066920A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JPH0126242B2 (ko)
JPH0820533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