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741B1 - 곤로 - Google Patents

곤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741B1
KR100286741B1 KR1019980028527A KR19980028527A KR100286741B1 KR 100286741 B1 KR100286741 B1 KR 100286741B1 KR 1019980028527 A KR1019980028527 A KR 1019980028527A KR 19980028527 A KR19980028527 A KR 19980028527A KR 100286741 B1 KR100286741 B1 KR 10028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ir
case
plate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869A (ko
Inventor
노리유키 마쓰유키
요시키 스기모토
오사무 토고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1999001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가열조리용 곤로에 대하여 곤로본체의 본체케이스가 과열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곤로본체(2)의 상단개구를 덮는 상판(41) 상면의 요부 내에서 발열하는 가열원(31)과, 곤로본체(2) 내로부터 상기 요부 내로 이어지며 상기 가열원의 가열시 통풍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는 통기로와, 상기 통기로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71)과, 상기 온도검지수단(71)의 검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가열원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곤로
본 발명은 곤로본체 내부 및 외부케이스 또는 곤로의 인접부재가 과열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곤로에 관한 것이다.
곤로에서 가열되는 조리용기 크기의 허용범위는 상기 곤로의 능력이나 크기와 관계가 있다.
곤로 상면을 덮을 정도로 큰 냄비 등의 피가열물을 가열하면 가열원으로부터의 열기가 곤로본체 상면과 피가열물 하면의 사이에 머물러서 곤로본체가 과열되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곤로의 일예로서 도 9에 도시한 드롭핑곤로는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11)에 조립되게 되어 있다.
곤로본체(2)는 상하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로 이루어진 본체케이스(2)와 이것에 수용된 가스버너(31)를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직사각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2) 내에는 가열원인 상기 가스버너(31)가 배설고정되어 있으며 타방의 상부케이스(21)의 상단 외주에는 플랜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21)의 상단개구에는 하방에 국물받이부가 형성된 상판(41)이 재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41)에는 삼발이(51)가 재치되어 있고, 상기 삼발이(52)의 발(52)과 상판(41)에 형성된 플랜지(42)의 상면은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곤로 상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마무리되어 냄비등 조리용기가 삼발이(51)와 카운터톱(11) 사이를 원활하게 슬라이드 하게 된다.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롭핑곤로는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11)에 형성된 장착구(12)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한 상태로 장착하여 사용된다. 상기 장착상태는 상부케이스(21)의 외주연에 형성된 플랜지(23)가 상기 장착구(12)의 주연부에 고무패킹(200)을 개재하여 상방으로부터 계합한다.
이와 같은 드롭핑곤로는 삼발이(51) 상면과 상판(41)의 외주플랜지(42) 상면이 거의 동일 높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9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삼발이(51)에 커다란 냄비(91)가 재치된 경우 가스버너(31)의 상방 영역이 상기 냄비(91)의 저면으로 거의 폐색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버너(31)로부터의 열기가 냄비(91)와 상판(41)의 사이에 머물러서 상기 상판(41)이나 그 근방의 상부케이스(21)가 고온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본체케이스(20)와 카운터톱(11)의 경계부에 개재된 고무패킹(200)이나 카운터톱(11) 등이 열적손상을 받거나 곤로설치부 주변의 벽면이 가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곤로에 철판을 재치하고 구이조리를 하는 경우와 같이, 비정상적인 사용이 행해질 때에도 곤로 상면이 철판으로 폐색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에서는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11)에 장착되는 드롭핑곤로를 예로들어 그 문제점을 설명했지만, 조리대 등에 재치되어 사용하는 테이블곤로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사용되면 곤로설치부 주변의 벽면이 가열되는 등의 우려가 있는 점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케이스(20)가 과열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케이스(20) 또는 곤로설치부 및 그 주변의 벽면이 열적손상을 받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조립식곤로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조립식곤로를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에 장착 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조립식곤로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바이메탈스위치 배설부의 상세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조립식곤로의 제어회로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곤로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곤로에 조립된 전열판의 사시도.
도 8은 각 실시형태에 적용하는 소화안전제어회로의 변형예의 상세도.
도 9는 종래예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곤로본체
11.카운터톱
20.본체케이스
21.상부케이스
22.하부케이스
31.가스버너
71.온도검지수단
719.바이메탈스위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의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곤로본체의 상단개구를 덮는 상판 상면의 요부 내에서 발열하는 가열원과,
곤로본체 내로부터 상기 요부 내로 연결되며 상기 가열원의 발열시 통풍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는 통기로와,
상기 통기로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과,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검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가열원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 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허용범위 크기의 냄비를 곤로에 재치하고 가열원을 발열시키면 가열원의 발열부가 설치된 상판 상면의 요부 내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때의 통풍에 의하여 곤로본체로부터 상기 요부로 연결되는 통기로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 경우, 온도검지수단이 상기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검지하더라도 그 공기는 상기 통기로에서 언제나 유동하고 있기 때문에 검지온도가 그다지 상승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허용범위보다 큰 냄비나 철판이 곤로에 재치되면 냄비바닥 또는 철판에 의해 상판 상면의 요부가 거의 폐색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통풍이 억제되어 통기로에 대한 공기의 흐름이 극히 적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흐름에 의한 통기로의 냉각정도가 저하되어 통기로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로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이것을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의 출력에 따라 제어수단이 가열원을 정지시킨다.
상기 통기로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해서는,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이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온도검지부는 상기 통기로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구성해도 좋으며, 청구항 3의 발명과 같이 상기 온도검지부는 상기 요부의 구성벽에 형성되며 상기 통기로의 하류단이 되는 공기토출구의 근방에 배설되어 구성되면 통풍으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이 온도검지수단의 온도검지부에 확실하게 접촉된다. 이것은 통풍발생시에 상기 공기토출구로 공기가 집중하여 흐르고 그 공기의 흐름이 집중하는 부분 근방에 온도검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통기로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기로의 온도를 상기와 같이 온도검지수단의 온도검지부에서 직접적으로 검지하는 이외에, 청구항 4의 발명과 같이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온도검지부는 상기 통기로 내로 연장된 전열판에 접촉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청구항 5의 발명과 같이 상기 전열판은 상기 요부의 구성벽에 형성되며 상기 통기로의 하류단이 되는 공기토출구의 근방으로 연장되게 구성하면, 통풍발생시에 공기의 흐름이 집중하는 공기토출구의 근방에 전열판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열판이 확실하게 공기의 흐름에 접촉된다.
상기 청구항 4, 청구항 5의 발명과 같이 전열판을 사용하는 경우, 청구항 6의 발명과 같이 상기 전열판의 표면에는 열교환용 핀(fin)이 설치되게 구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써 전열판의 흡열기능이 높아진다.
다음에 상기 발명을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에 장착하는 조립식 곤로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11)에는 장착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구(12)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립식 곤로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조립식 곤로는 곤로본체(2)와, 상기 곤로본체(2)의 상단 개구(2A)에 덮히도록 배설되는 후술하는 상판 및 삼발이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곤로본체(2)의 아래에 오븐(25)이 나사(109 ; 도 2 참조)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양자는 전방 및 상방으로 개방된 직사각상자모양의 외부커버(60)에 수용·보지되도록 되어 있다. 각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곤로본체(2)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곤로본체(2)는 결합나사(15)로 상하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케이스(21)과 하부케이스(22)로 이루어진 본체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22)에 배설된 가열원인 3개의 가스버너(31)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케이스(22) 하방에는 상기 오븐(25)이 나사(109 ; 도 2참조)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케이스(21)에 대하여
상부케이스(21)는 직사각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 외주에는 플랜지(210)가 외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210)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고무패킹(200)이 장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21)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부에는 통기공(2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1)의 측판부에 형성된 특정 통기공(217)의 하변으로부터 절곡편(216)이 굴곡되어 있고, 상기 절곡편(216)에는 온도검지수단(71)인 바이메탈스위치(719)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바이메탈스위치(71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공(217)의 하변으로부터 굴곡된 절곡편(216)에 대하여 나사(108)로 고정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바이메탈스위치(719)는 케이스(715)와 이것에 내장된 상하 블록(714),(713)의 외주부로 상하에서 끼워져 가압되어 있고, 그 선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배설된 가동접점(729)과 고정접점(72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블록(714)의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승강축(727)의 상단은 상방으로 볼록한 원호상의 감열소자인 바이메탈(726)의 하면에 당접하고 있으며, 상기 바이메탈(726)의 양단은 상부블록(714)의 상면에 형성된 요부 내주벽의 홈(725)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온도검지수단(71)의 온도검지부(719a) 근방의 온도가 상승하면, 온도검지부(719a)인 바이메탈스위치(719) 상면으로부터의 전달열에 의해 바이메탈(726)이 수평이 되게 변형되어 승강축(727)이 밀어내려지고, 이에 따라 가동접점(729)이 고정접점(728)로부터 떨어져 오프(OFF) 상태로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메탈스위치(719)로부터 리드선(72)이 인출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73)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73)에는 하부케이스(22)에 취부된 제어장치(34)측에서 인출된 리드선(74) 선단의 커넥터(75)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1)의 하단 내주에는 둘레를 따라 플랜지(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플랜지(211)에는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에 4개의 장공(212)이 천설되어 있어, 4개의 결합나사(15)를 상기 장공(212)을 통하여 하부케이스(22)에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케이스(21)에 상기 장공(212)을 형성하는 것은 카운터톱(11)의 장착구(12)의 형성위치가 전후로 어긋나 있더라도 하부케이스(22)의 전면을 카운터톱(11)의 앞가장자리에 맞춘 상태에서 하부케이스(22)에 대한 상부케이스의 전후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하부케이스(22)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2)의 상면에는 상부케이스(21)의 상기 장공(212)에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공(2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221)에는 상기 상부케이스(21)의 장공(212)이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나사(15)가 체결되게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1)과 하부케이스(22)가 결합나사(15)에 의해 결합되며 또한 분리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2) 상면에 형성된 중앙요부(231)의 저벽에 설치된 지지대(232) 상단에는 가스버너(3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스버너(31)의 불꽃구멍에는 열전대로 이루어진 불꽃검지센서(32)의 선단부가 향하고 있으며, 상기 불꽃검지센서(32)에서 인출된 리드선(33)은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불꽃검지센서(32)는 가스버너(3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2)에 배설된 다른 2개의 가스버너(31)도 상기와 같이 지지대(232)로 지지되며 불꽃검지센서(32)를 구비하고, 그밖에 가스버너(31) 및 불꽃검지센서(32) 등은 모두 같게 조립되어 있다.
[상판(41)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41)은 곤로본체(2)의 상단개구(2A)를 덮는 것으로, 그 중앙부가 조여져 국물받이부(S)(전술한 기술적수단의 항에 기재한 요부에 대응한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국물받이부(S)의 저면을 구성하는 상판의 바닥면(46) 외주에는 외주벽(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주벽(44)에는 이 외주벽(44)을 잘라 세워 형성한 庇部(441)의 하단에 위치하는 공기토출구(4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庇部(441)에 의해 조리용기로부터 흘러넘친 조리국물이 공기토출구(440)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공기토출구(440)는 상부케이스(21)의 측판부에 형성된 특정 통기공(217)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통기공(217)으로부터 이것에 대응하는 공기토출구(440)로 연결되는 통기로에 바이메탈스위치(719)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버너연소시 공기가 집중하여 흐르는 공기토출구(440)의 근방에 상기 바이메탈스위치(719)의 온도검지부(719a)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흐름에 온도검지부(719a)가 확실하게 접촉되며 상기 공기흐름의 유무에 따른 온도변화를 높은 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공기토출구(440)는 상판(41)의 외주벽(4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에 복수개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상판(41)의 바닥면(46) 외주에 형성된 외주벽(44)의 상단외주에는 플랜지(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41)의 바닥면(46)에는 가스버너(31)의 버너헤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측에서 감싸게 형성된 버너 삽입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토출구(440)나 상부케이스(21)측의 통기공(217)은 바이메탈스위치(719)의 배설부에만 설치해도 좋다.
[보조상판(47) 및 버너링(57)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41)의 상면에 재치되는 보조상판(47)의 외주 상단에는 플랜지(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48)의 외주연은 하방으로 굴곡되어 이것이 상판(41) 상의 단차부(400)에 재치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조상판(47)과 상판(41)의 사이에는 국물받이부(S)가 되는 소정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보조상판(47)의 바닥면에는 가스버너(31)의 버너헤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측에서 감싸게 형성된 삽입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버너(31)에 외감하는 버너링(57)은 보조상판(47)에 재치되게 되어 있고, 상기 버너링(57)에는 상판(41)의 바닥면(46)과 마주보는 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즉, 조리시에 흘러넘친 국물이 상기 구멍(58)을 통하여 상판(41) 상면의 국물받이부(S)로 흘러들게 구성되어 있다.
[삼발이(51)에 대하여]
상판(41)에 재치되는 삼발이(51)는 상판(41)의 국물받이부(S)측부로부터 플랜지(45)로 이어지는 외주벽(44)의 내측을 따라 형성된 삼발이 재치용 단차부(40)에 재치되는 프레임(53)과, 이것으로부터 가스버너(31) 근방으로 연장된 발(5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53)의 하부에는 복수의 개구부(5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토출구(440)로부터 상판(41) 내로 토출된 공기가 상기 개구부(530)를 통하여 가스버너(31)측으로 흐르게 되어 있다.
[소화안전제어회로에 대하여]
가스버너(31)의 연소상태는 도 5에 도시한 소화안전제어회로(가열원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에서 감시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31)로 향하는 가스회로(81)에는 가스코크(83)와 안전밸브(82)가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가스코크(83)는 곤로본체(2)의 조작부에 배설된 조작손잡이(84)로 개폐되게 되어 있다. 타방의 안전밸브(82)는 전자유니트(86)로 개폐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열전대로 구성된 불꽃검지센서(32)가 가스버너(31)에서 가열되었을 때 기전력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전자유니트(86 ; 상기 기전력으로 자화된 전자코일의 자력으로 밸브체를 닫게하는 스프링에 저항하여 상기 밸브체를 열린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가 작동되어 안전밸브(82)가 열린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기전력이 소실되면 전자유니트(86)가 작동하지 않게되어 안전밸브(82)가 스프링으로 닫힌다. 그리고 상기 전자유니트(86)와 불꽃검지센서(32)를 포함하는 폐쇄회로는 온도검지수단(71)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상기 폐쇄회로를 개폐하는 바이메탈스위치(719)가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메탈스위치(719) 배설부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면 바이메탈스위치(719)가 오프(OFF) 상태로 되어 전자유니트(86)가 안전밸브(82)를 열린상태로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상기 전자유니트(86) 내의 스프링으로 안전밸브(82)가 닫혀진다.
[외부커버(60)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커버(60)는 전방 및 상방으로 개방된 직사각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61)(62)의 내면에는 브라켓(63)(64)에 매달려진 스프링(66)(6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66)(67)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부(F)가 오븐(25) 외측면의 걸쇠(29)에 계합되게 되어 있다. 곤로본체(2)를 설치할 때 무거운 오븐(25)을 스프링(66)(67)로 들어올려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조립작업에 대하여]
다음에 상기 조립식 곤로를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11)에 조립하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하부케이스(22)와 오븐(25)의 결합체는 공장에서의 제조단계에서 외부커버(60) 내에 조립되며 이렇게 조립된 상태로 출하된다. 즉, 외부커버(60)의 각 스프링(66)(67)의 후크부(F)와 오븐(25) 내측의 각 걸쇠(29)를 계합시켜 외부커버(60) 내에 상기 오븐(25) 등을 수용하고, 상기 상태에서 하부케이스(22) 및 오븐(25)을 스프링(66)(67)에 대하여 눌러내리며 동시에 상기 눌러내린 상태에서 이것을 외부커버(60) 내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임시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22)와 오븐(25)이 외부커버(60) 내에 수용된 상태로 공장으로부터 출하된다.
상기와 같이 공장에서 조립된 하부케이스(22)와 오븐(25)과 외부커버(60)의 집합물을 설치현장에서 시스템키친에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장착한다.
우선, 카운터톱(11)의 장착구(12) 하방에 상기 집합물을 슬라이드시킨 후 외부커버(60)에 오븐(25) 등을 임시고정시키고 있는 나사를 풀어 오븐(25) 및 하부케이스(22)의 집합물이 스프링(66),(67)으로 외부커버(60)에 매달려진 상태가 되게 한다.
다음에, 장착구(12)의 상방으로부터 상부케이스(21)를 삽입하고 상기 상부케이스(21) 하단의 플랜지(211)에 천설된 장공(212)을 통하여 그 하방에 대향하는 하부케이스(22) 상면의 나사공(221)에 4개의 결합나사(15)를 체결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나사(15)에 의해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가 상하로 포개진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1)의 플랜지(210)는 카운터톱(11)의 장착구(12) 주연에 계합된다.
그 후, 하부케이스(22)로부터 인출된 리드선(74) 선단의 커넥터(75)와 바이메탈스위치(719)에서 인출된 리드선(72) 선단의 커넥터(73)를 접속한다.
다음에, 상부케이스(21)의 상단개구에 상판(41)을 덮은 후에 상기 상판(41)에 보조상판(47)을 재치하고 가스버너(31)의 버너헤드부에 버너캡(31a)을 외감하고 삼발이(51)를 상판(41)에 장착하면 도 2와 같이 카운터톱(11)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조립작업이 완료상태가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1)의 측판부로부터 굴곡된 절곡편(216)에 취부된 바이메탈스위치(719)가 상기 상부케이스(21) 측판부의 통기공(217)과 이것과 마주보는 상판(41)측 공기토출구(440)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후술하는 버너연소시 통풍현상으로 공기가 흐르게 되는 통기로 내에 바이메탈스위치(719)가 위치하게 된다.
[사용의 실제에 대하여]
이하, 상기 실시형태에 대한 조립식 곤로의 작동을 설명한다.
곤로본체(2)의 조작부에 배설되어 있는 조작손잡이(84)를 밀어넣으면서 회전시키면 조작손잡이(84)가 밀어넣어짐에 따라 안전밸브(82)가 스프링에 저항하여 강제로 열리며 이와함께 가스코크(83)가 열리고, 가스버너(31)에 가스가 공급되기 시작한다. 또, 조작손잡이(84)의 조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점화장치가 작동되어 가스버너(31)에 점화되어 연소상태가 된다. 그러면, 가스버너(31)의 불꽃으로 불꽃검지센서(32)가 가열되어 기전력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전자유니트(86)가 작동되어 안전밸브(82)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가스버너(31)가 연소상태로 유지된다.
허용범위 크기의 냄비(91)를 상판(41)에 재치하고 이것을 상기 가스버너(31)로 가열하면 상판(41)과 냄비(91) 사이의 온도가 상승하며, 이 때의 통풍에 의해 상부케이스(21)의 통기공(217) → 바이메탈스위치(719)의 배설부 → 상판(41)의 공기토출구(440) → 삼발이(51)의 프레임(53)에 형성된 개구부(530) → 가스버너(31)로 이어지는 경로로 공기가 흐른다. 그리고 가스버너(31) 부분으로 흐르는 상기 공기는 가스버너(31)로 가열되어 상승이동하고, 냄비(91)의 바닥면을 따라 그 외주측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냄비(91)와 상판(41)의 상단개구주연부의 사이로 배기된다. 따라서, 바이메탈스위치(719)가 상부케이스(21)에 형성된 통기공(217)으로부터 상판(41)에 형성된 공기토출구(440)로 이어지는 통기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로 냉각되고, 상기 바이메탈스위치(719)의 온도검지부(719a)는 설정온도보다 낮은 정상온도를 검지하므로 상기 바이메탈스위치(719)가 온(ON)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불꽃검지센서(32)의 기전력이 전자유니트(86)에 인가된 상태로 유지되어 안전밸브(82)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고, 가스버너(31)의 연소가 계속된다.
또한, 곤로본체(2) 내의 공기는 상기 경로 이외에도 상판(41)의 바닥면(46)에 형성된 버너삽입구멍(43)의 내주연과 가스버너(31)의 외주 → 버너링(57)의 구멍(58) → 가스버너(31)의 불꽃구멍부로 이어지는 경로로도 흐른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버너삽입구멍(43)으로 흘러드는 공기의 온도를 바이메탈스위치(719)로 검지해도 좋다.
그러나, 삼발이(51)에 허용범위보다 큰 냄비(91)나 철판이 재치되어 상판(41) 개구부의 폐색정도가 커지면 가스버너(31)의 연소배기가스가 상판(41)의 개구주연과 냄비(91) 사이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상부케이스(21)의 측판부에 형성된 통기공(217)으로부터 상판(41)의 외주벽(44)에 형성된 공기토출구(440)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정체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20) 및 상판(41) 등의 곤로구성벽으로부터 전달된 열이 바이메탈스위치(719)의 배설부에 차기 시작하고, 상기 부분의 온도가 설정온도(본 실시형태에서는 140℃로 설정되어 있다)에 이르면, 상기 바이메탈스위치(719)가 오프(OFF) 동작하여 불꽃검지센서(32)의 기전력이 전자유니트(86)에 인가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전자유니트(86)가 비작동상태가 되어 안전밸브(82)가 닫혀지고 가스버너(31)에 가스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가스버너(31)는 소화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21)의 플랜지(210)와 카운터톱(11)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 고무패킹(200) 및 부엌의 벽면 등이 열적손상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의 조리립식곤로를 수리하기 위해 카운터톱(11)에서 분리하려면 바이메탈스위치(719)로부터 인출한 리드선(72) 선단의 커넥터(73)와 하부케이스(22)측의 커넥터(75)를 분리시키고, 상기 조립할 때의 역순으로 각 부분을 분해하며, 곤로본체(2)를 카운터톱(11)의 전방으로 분리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2번째 실시형태를 도 6,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검지수단(71)인 바이메탈스위치(719)의 온도검지부(719a)가 전열판(26)에 스프링으로 압접되어 있으며, 통풍현상으로 공기가 흐르는 통기로의 온도가 전열판(26)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검지되게 되어 있다.
하부케이스(22) 상연으로부터 돌출한 절곡편(229)에는 취부판(226)이 나사(265)로 취부되어 있고, 상기 취부판(226)에 고정된 수용케이스(37)에는 승강판(38)과 수용케이스(37) 하단의 플랜지(39)와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7)에 의해 승강판(38)이 상방으로 탄지되어 있어, 자유상태에서 상기 승강판(38)이 수용케이스(37)의 덮개(37a)에 당접되어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38)에는 온도검지수단(71)인 바이메탈스위치(719)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동 및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질로 형성된 전열판(26) 상단의 절곡편(260)은 상부케이스(21)의 측벽 상단의 플랜지(210)에 나사(261)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열판(26)의 수직판(262)에는 열교환용 핀(263)을 잘라세워 형성한 복수의 통기창(26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핀(263)을 형성하는 것은 통기창(264)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전열판(26)의 냉각효과를 높게하기 위함이다.
전열판(26)의 상기 수직판(262)은 공기토출구(440) 근방으로부터 상부케이스(21)의 하단부까지 이르며, 상기 하단부의 수평판(267)에 바이메탈스위치(719) 상단의 온도검지부(719a)가 상기 스프링(17)으로 압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공기토출구(440)의 근방까지 전열판(26)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토출구(440)에 집중하여 흐르는 공기가 전열판(26)에 확실하게 접촉되며, 전열판(26)이 확실하게 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스위치(719)의 배설형태 이외에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버너연소시에 곤로본체(2) 외부의 공기가 상부케이스(21)의 측판부에 형성된 통기공(217) → 전열판(26)에 형성된 통기창(264) → 상판(41)의 외주벽(44)에 형성된 공기토출구(440) → 삼발이(51)의 프레임(53)에 형성된 개구부(530) → 도시하지 않은 가스버너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흐른다. 따라서, 상기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전열판(26)이 냉각되어, 상기 전열판(26)의 수평판(267)에 당접하고 있는 바이메탈스위치(719)의 검지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유지된다.
그러나, 삼발이(51)에 허용범위보다 큰 냄비 및 철판 등이 재치되어 상판(41)의 상면개구부의 폐쇄정도가 커지면, 상부케이스(21)의 통기공(217)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기 어려워 지고, 따라서 전열판(26)이 냉각되기 어려워 진다. 그 결과, 바이메탈스위치(719)의 검지온도가 높아지고, 전술한 작용에 의해 가스버너(31)가 소화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너연소시의 통풍현상으로 공기가 흐르는 상기 통기공(217)과 공기토출구(440)를 잇는 통기구의 온도가 전열판(26)을 통하여 바이메탈스위치(719)에서 간접적으로 검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가스버너(31)와 바이메탈스위치(719)와 제어장치(34)가 하부케이스(22)에 배설되어 있으며 바이메탈스위치(719)는 스프링(17)으로 전열판(26)에 압접되어 있을 뿐 이므로, 곤로본체(2)의 수리시 등의 경우에 하부케이스(22)와 상부케이스(21)를 분리하면 이들 가스버너 등이 하부케이스(22)와 일체로 상부케이스(21)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상부케이스(21)에 취부된 바이메탈스위치(719)와 하부케이스(22)에 취부된 제어장치(34)가 리드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가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없으며, 상기 수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전열판(26)을 상부케이스(21)의 하단부까지 연장하고, 그 부분에 바이메탈스위치(719)를 당접하게 하면 바이메탈스위치(719)가 하부케이스(22)로부터 상방으로 많이 돌출하지 않으며, 전술과 같이 외부케이스(60)에 장착한 하부케이스(22) 등을 카운터톱(11)의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바이메탈스위치(719)가 카운터톱(11)에 부딪히기 어려워, 상기 슬라이드작업시에 바이메탈스위치(719)가 방해되지 않는다. 즉, 전열판(26)의 하단이 상부케이스(21)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바이메탈스위치(719)가 하부케이스(22)로부터 상방으로 많이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드작업이 방해되는데, 이와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부의 변형예에 대하여]
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케이스(21)의 측판부에 통기공(217)을 형성했는데, 상기 통기공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곤로본체(2)의 상부케이스(21) 및 하부케이스(22)를 기밀상태로 형성할 필요성은 없으며, 역으로 가공상의 요청등으로부터 여러 가지 구멍이나 간극이 이들 상부케이스(21) 등에 형성되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가스버너(31)의 연소시에 상기 구멍이나 간극으로부터 곤로본체(2) 내로 공기가 흘러들고, 이것이 상판(41) 외주벽(44)에 형성된 공기토출구(440)으로부터 가스버너(31)에 공급되기 때문이다.
상기 경우에도, 상기 상부케이스(21) 등에 형성된 상기 구멍이나 간극으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440)로 공기가 흐르는 통기로라면 어느 곳 이라도 바이메탈스위치(719)를 배설해도 좋지만, 통기로의 내부나 토출구(440) 근방에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너연소시의 통풍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는 구멍이나 간극으로부터 토출구(440)로 집중하여 흘러 상기 토출구(440)를 통하여 버너(31)측으로 공급되므로, 상기 토출구(440) 근방에 배설된 바이메탈스위치(719)가 확실하게 상기 공기에 접촉되어 온도검지의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②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상판(41)의 외주벽(44)에 형성된 공기토출구(440)에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또는 전열판(26)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검지하도록 했지만, 상판(41)의 바닥면(46)에 형성된 버너삽입구멍(43)에 하방으로부터 유입하는 공기(가스버너(31)의 연소시 통풍현상에 의해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직접 또는 전열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바이메탈스위치(719)로 검지해도 좋다. 즉, 전술한 기술적수단의 항에 기재한 공기토출구가 되는 상기 버너삽입구멍(43)의 하방 근방에 바이메탈스위치(719)를 배설하거나 또는 상기 버너삽입구멍(43)의 하방 근방으로부터 연장된 전열판에 바이메탈스위치(719)를 접촉시켜, 이것에 의해 상기 버너삽입구멍(43)의 하방 근방의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지하기 때문이다.
③ 소화안전제어회로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8은 소화안전제어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것에서는 온도검지수단(71)으로서 서미스터(718 ; thermistor)를 채용하고 있다.
서미스터(718)의 출력은 온도설정기(100)의 출력과 함께 온도비교기(101)에 인가되고 있으며, 상기 온도비교기(101)의 출력에 따라 안전밸브(82)의 전자유니트(86)가 비작동 상태로되며 이와함께 이상을 알려주는 램프(102)나 버저(130)가 작동하게 되어 있다. 즉, 곤로본체(2) 내부가 고온상태로 되어 서미스터(718)의 검지온도가 온도설정기(100)의 설정값을 넘으면 온도비교기(101)로부터 L신호가 출력되어 전자유니트(86)가 비작동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안전밸브(82)가 닫히며 이와함께 이상을 알려주는 램프(102)의 점등과 버저(130)의 작동으로 이상상태를 알린다.
④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곤로본체(2)의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를 분리가능하며,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11)에 하부케이스(22)를 전방으로부터 장착하는 조립식곤로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카운터톱(11)에 형성된 장착구(12)에 상방으로부터 곤로본체를 일체로하여 장착하는 드롭핑곤로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조리대에 재치하여 사용하는 테이블곤로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가열원으로서 가스버너를 예로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전기히터를 채용해도 좋다. 본체케이스(2)나 상판(41)의 구조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한, 전기히터의 발열시 통풍현상에 의해 바이메탈스위치(719)의 배설부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⑥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체가 일체로 형성된 상판(41)을 채용한 곤로를 예로들어 설명했지만, 국물받이접시장착구가 개설된 상판본체와 상기 국물받이접시장착구의 주연에 외주연이 자유로이 착탈되도록 재치되는 국물받이접시에 의해 형성된 상판(국물받이접시를 분리할 수 있는 방식의 상판)을 채용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곤로본체가 고온상태로 되었을 때 온도검지수단의 출력으로 가열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체케이스가 과열상태로 방치되는 일이 없어 곤로설치부 및 그 주변의 벽면이 열적손상을 받는 문제가 방지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통풍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이 온도검지수단의 온도검지부에 확실하게 접촉되므로 정밀도 높은 온도검지를 행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청구항 5의 발명도 높은 정밀도의 온도검지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전열판의 흡열기능이 향상되므로 통기로의 온도검지 정밀도가 한층 높아진다.

Claims (6)

  1. 곤로본체의 상단개구를 덮는 상판 상면의 요부 내에서 발열하는 가열원과,
    곤로본체로부터 상기 요부 내로 이어지며 상기 가열원의 발열시의 통풍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는 통기로와,
    상기 통기로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과,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검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되면 상기 가열원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온도검지부는 상기 통기로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지수단은 상기 요부의 구성벽에 형성되며 상기 통기로의 하류단이 되는 공기토출구의 근방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온도검지부는 상기 통기로 내로 연장된 전열판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판은 상기 요부의 구성벽에 형성되며 상기 통기로의 하류단이 되는 공기토출구의 근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6.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판의 표면에는 열교환용 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KR1019980028527A 1997-07-15 1998-07-15 곤로 KR100286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9749 1997-07-15
JP18974997A JP3418092B2 (ja) 1997-07-15 1997-07-15 コン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69A KR19990013869A (ko) 1999-02-25
KR100286741B1 true KR100286741B1 (ko) 2001-04-16

Family

ID=1624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527A KR100286741B1 (ko) 1997-07-15 1998-07-15 곤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18092B2 (ko)
KR (1) KR100286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015B1 (ko) * 2005-12-13 2013-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레인지
KR101003791B1 (ko) * 2010-06-10 2010-12-24 박승형 가스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7466A (ja) 1999-02-12
KR19990013869A (ko) 1999-02-25
JP3418092B2 (ja) 200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741B1 (ko) 곤로
US3619564A (en) Self-cleaning oven with temperature limiting protection system
JP3163264B2 (ja) ガスこんろ
KR850002168Y1 (ko) 조리기
JP3595432B2 (ja) コンロ
JP2009180400A (ja) グリル付きガスこんろ
JPH11211090A (ja) コンロ
CN220852223U (zh) 一种中心火盖、燃烧器以及灶具
JP5203257B2 (ja) 加熱調理器
JP2640708B2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H10253074A (ja) ガスコンロ
CN212537922U (zh) 一种燃气灶
JPH10160168A (ja) ハロゲン電気ストーブ
JP2001201054A (ja) ガスこんろの異常過熱防止構造
JPH0722600Y2 (ja) 給湯器の安全装置
JPH09101030A (ja) 調理用焜炉の被加熱物温度検知装置
JPH06147647A (ja) 燃焼装置
JPS5920806Y2 (ja) ガス炊飯器
JP2005172332A (ja) バーナ
JP2005164086A (ja) ガスコンロ
JPH0648274Y2 (ja) 給湯器の安全装置
JP2504678Y2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H08606Y2 (ja) 燃焼機器の過熱防止装置
JP2019219066A (ja) ガスコンロ
JPH0740836Y2 (ja) 燃焼機器の過熱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