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831B1 - 대차의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의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831B1
KR100285831B1 KR1019980017700A KR19980017700A KR100285831B1 KR 100285831 B1 KR100285831 B1 KR 100285831B1 KR 1019980017700 A KR1019980017700 A KR 1019980017700A KR 19980017700 A KR19980017700 A KR 19980017700A KR 100285831 B1 KR100285831 B1 KR 10028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ail
trolley
guide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339A (ko
Inventor
박옥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8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의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피 고정체인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대해 이격 설치되되 설정된 이송경로를 유지하며 복선으로 배열된 레일;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 대해 이격되며 바닥면에 대해 접촉되는 바퀴가 그 하측에 축설되고 상측에 피 보관물이 놓여지는 재치판이 각각 프레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대차의 본체; 및 상기 레일과 상기 프레임의 요소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에 대해 상기 본체가 롤링되는 수단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조립 및 생산라인에서 다량의 피 이송품들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피 이동장소에 대해 정확하게 이동 및 정지시키는 시간을 단축한다.

Description

대차의 가이드 장치
본 발명은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생산라인에서 다량의 피 이송품들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피 이동장소에 대해 정확하게 이동 및 정지시키는 시간을 단축하는 대차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대차(臺車)(또는 손수레)는 도 1과 같이, 각종 산업 분야에서 생산되어 콘베이어 벨트 시스템 등과 같은 이송장치(T)를 이용하여 운반된 다양한 부품 및 조립품들을 정렬한 상태에서 또다른 부품 결합라인 및 적재라인과 같은 피 이동장소로 옮길 때 사용하는 것이다.
즉, 대차는 그 본체(10)를 유지하는 다수개의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상측에 고정된 재치판(12) 그리고 프레임(11)의 하측에 축설되는 바퀴(13)로 대별된다.
일반적으로, 바퀴(13)는 구름동작을 하면서도 대차의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설된다.
또, 프레임(11)의 적당한 높이에는 본체(10)를 운반시 파지하는 손잡이(20)가 배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문자 "C"는 피 이송품이다.
따라서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된 재치판(12)에 대해 다량의 피 이송품 들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피 이동장소로 운반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차는 특히 생산라인에서 재치판의 상측에 다량의 피 이송품들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피 이동장소로 운반시킬 때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원하는 이동장소까지 정확하게 대차를 이동시킨 후, 정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차를 사용하게 되는 생산라인 및 조립라인 등의 바닥면은 단순히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서 구름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대차의 바퀴에는 자전 및 공전하려는 힘이 동시에 부여된다.
따라서, 다량의 피 이송품을 대차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또다른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피 이동장소로 정확하게 이동시킨후, 정지시키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대차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대차에 대해 다량의 피 이송품들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또다른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피 이동장소에 대해 정확하게 이동 및 정지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대차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롤링수단의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롤링수단의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롤링수단의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롤링수단의 제4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대차의 본체 11 ; 프레임
12 ; 재치판 13 ; 바퀴
30 ; 레일 100 ; 롤링수단
110 ; 롤러 120 ; 가이드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 고정체인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대해 이격 설치되되 설정된 이송경로를 유지하며 복선으로 배열된 레일;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 대해 이격되며 바닥면에 대해 접촉되는 바퀴가 그 하측에 축설되고 상측에 피 보관물이 놓여지는 재치판이 각각 프레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대차의 본체; 및 상기 레일과 상기 프레임의 요소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에 대해 상기 본체가 롤링되는 수단이 구비된 대차의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가이드 장치의 전체적인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로써,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링수단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100"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대차의 본체(10)는 다수개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상측에 고정된 재치판(12)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의 하측에 축설되는 바퀴(13)로 대별되는데 이들 구성은 상술했던 일반적인 대차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본체(10)는 종래와 같이 단독적으로 손수레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될 수 있지만, 궤도의 기능을 하기 위해 생산 및 조립라인등의 바닥면에 복선으로 배열된 레일(30)에 유기적으로 설치되어, 그 레일을 이송매체로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사용됨이 바람직 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본체(10)의 하측에 배치된 프레임(11)과, 그 본체(10)가 설치되는 레일(30)의 사이에는, 레일(30)에 대해 본체(10)의 이동시 그 이동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롤링수단(100)이 구비된다는 점이다.
상기 롤링수단(100)은 도 3과 같이, 상기 레일(30)의 양측에 대해 그 외주면의 일부가 일부 노출되도록 다수개의 롤러(110)를 축설하고, 상기 레일(30)과 상응하는 상기 프레임(11)의 하측에는 상기 롤러(110)에 대해 접촉되는 가이드 판(120)을 설치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판(120)은 상기 프레임(11)의 하방 양측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롤러(110)에 대해 면 접촉되고, 그 사이에 형성된 상측면은 바닥면에 대해 접촉된 상기 바퀴(13)에 의해 레일(30)의 상측면과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그들 사이에서 상호간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롤링수단(100)은 도 4와 같이, 상기 레일(30)의 상측에 대해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다수개의 롤러(110)를 축설하고, 상기 레일(30)과 상응하는 상기 프레임(11)에는 상기 롤러(110)에 대해 접촉되는 가이드 판(120)을 수직으로 설치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별도의 도면표현은 생략하였지만, 롤러(110)는 레일(30)의 상측면과 양측면에 대해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롤링수단(100)은 도 5 내지 도 6 과 같이, 레일(30)의 상측면과 양측면을 평탄하게 구비하고, 프레임(11)의 하측 또는 내,외 어느 일측에는 레일(30)의 평탄면에 대해 구름 접촉하는 롤러(110)를 설치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30)은 그 궤도가 시작되는 위치와 끝나게 되는 위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위치에는 복선으로 구성된 레일(30)의 양단부 폭이 점차 좁아지며 협소해지도록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본체를 이동시 레일(30)에 대해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대차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된 재치판(12)에 대해 다량의 피 이송품(도시하지 않음)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설정된 다른 장소로 옮길때에는 도 2의 일점화살표와 같이, 복선으로 구비된 레일(30)을 사이에 두고 본체(10)를 굴려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체(10)를 이동시키게 되면, 본체(10)의 하방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 판(120)의 내측면(또는 상측면)은 레일(30)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된 롤러(110)와 구름 접촉되며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자연스럽게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본체(10)의 이동은 작업자의 인위적인 힘과 바퀴의 구름동작에 의해 가능한 것이고, 상기 롤러(110)와 가이드판(120)은 피 이송품을 이송하는 본체(10)가 설정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구속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 안내해주는 가이드의 기능만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피 이송품을 본체에 대해 올려놓은 상태에서 원하는 이송위치까지 본체를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킨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도 3 내지 도 4의 제1,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5 내지 도 6을 참조로 상술한 제3, 4 실시예를 사용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슴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별도의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별도의 도시,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적당한 높이에는 이동시 파지하는 손잡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량의 피 이송품들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피 이동장소에 대해 정확하게 이동 및 정지시킴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5)

  1. 조립 및 생산라인에서 대차를 원하는 장소까지 운반시키는데 필요한 대차의 이송안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면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는 1 쌍의 레일과; 상기 대차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그리고 가이드판에서 자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링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레일은 측방으로 개방되며, 그 안에 롤링 수단의 롤러가 수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가이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방향으로 개방되며, 그 안에 롤링 수단의 롤러가 수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가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롤링수단의 롤러는 가이드판에서 자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레일은 그 상면 또는 측면 중 어느 한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레일 상면에 구름 운동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가이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그 시작 위치와 끝나는 위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양단부가 폭이 안쪽으로 좁아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의 가이드 장치.
KR1019980017700A 1998-05-15 1998-05-15 대차의가이드장치 KR10028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700A KR100285831B1 (ko) 1998-05-15 1998-05-15 대차의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700A KR100285831B1 (ko) 1998-05-15 1998-05-15 대차의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339A KR19990085339A (ko) 1999-12-06
KR100285831B1 true KR100285831B1 (ko) 2001-04-16

Family

ID=3751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700A KR100285831B1 (ko) 1998-05-15 1998-05-15 대차의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610B1 (ko) * 1999-10-02 2001-12-12 장병우 카트 운송설비의 카트 이송장치
KR100654815B1 (ko) * 2005-11-30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이송장비
KR102327642B1 (ko) * 2021-05-12 2021-11-17 퍼스트 유한회사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339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025711T3 (es) Puesto de carga y descarga para camiones y contenedores.
JPS63117810A (ja) 貨物用の搬送デツキ
JP2000079878A (ja) キャリア式搬送装置
KR100285831B1 (ko) 대차의가이드장치
JP7437632B2 (ja) 台車式搬送装置
JP2003160047A (ja) 搬送装置
JPH05116530A (ja) レール式搬送装置の方向切換装置
JP2001260870A (ja)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H09290914A (ja) 仕分装置
JP2549863Y2 (ja) 搬送物積載搬送車
JP2005161379A (ja) プレス間用搬送装置
JP2546441Y2 (ja) 搬送車上のコンベヤのフローティング装置
JPH0110294Y2 (ko)
JP7002173B2 (ja) 移載装置
JP2000355275A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S598570A (ja) 物品搬送台車
JP2771007B2 (ja) 台車搬送装置
KR100343979B1 (ko) 승객 컨베이어의 생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이송용 대차
JPH0687519A (ja) 搬送装置
JPH1159859A (ja) コンベヤの走行台車
SU1252254A1 (ru) Горизонтально-замкнутый конвейер
JPH05262223A (ja) 搬送装置
JPS6324058Y2 (ko)
GB2032873A (en) Conveying Articles Round Bends by Means of Diverging Conveyor Tracks
JPH1159858A (ja) チェーンコンベ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