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811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811B1
KR100285811B1 KR1019970060963A KR19970060963A KR100285811B1 KR 100285811 B1 KR100285811 B1 KR 100285811B1 KR 1019970060963 A KR1019970060963 A KR 1019970060963A KR 19970060963 A KR19970060963 A KR 19970060963A KR 100285811 B1 KR100285811 B1 KR 100285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ess
projection piece
contacting
contact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566A (ko
Inventor
노부유키 스즈키
히데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1669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858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4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종래에 있어서의 전자기기는 커버의 압접용 돌기편에 의하여, 그 대향하는 압접용 돌기편이 존재하지 않는 변(邊)이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압접용 돌기편의 측판에의 접촉이 약해져, 약간의 진동 등에 의하여 노이즈를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방부를 가지는 금속제의 프레임체와, 주변에 압접용 돌기편을 가지는 커버와, 프레임체와 커버의 어느 한쪽에 볼록부, 다른쪽에 오목부를 구비하고, 프레임체의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커버를 프레임체에 씌우고, 압접용 돌기편을 프레임체에 압접함과 동시에, 볼록부와 오목부의 측면을 탄성접촉시킨 것이므로, 압접용 돌기편이, 압접용 돌기편이 없는 쪽으로 당겨져, 압접용 돌기편의 프레임체에의 접촉을 강하게 할 수 있어, 진동 등에 의한 노이즈가 없고, 또 이에 의하여 커버의 비틀림이 규제되어 상품가치가 향상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텔레비젼 튜너, 모듈레이터 등의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체에의 커버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전자기기는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형 금속제의 프레임체(20)는 서로 대향하는 측판(21, 22)과, 경사지게 대향하는 위치에 절결부(23a, 24a)가 설치된 서로 대향하는 측판(23, 24)과, 한쪽끝단에 설치된 개방부(20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프레임체(20)내에는 전자 회로부품(도시생략)이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절결부(23a, 24a)에는 전자회로를 외부로 도출하기 위한 단자판(도시생략)이 설치된다.
또, 직사각형상의 금속제로 이루어진 커버(25)는, 그 대향하는 변(25a, 25b)과에 서로 대향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설치된 압접용 돌기편(26, 27)과, 또 하나의 대향하는 변(25c와 25d)에 경사진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여 설치된 압접용 돌기편(28, 29)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경사져 향하게 설치된 압접용 돌기편(28, 29)은 상기 절결부(23a, 24a)에는 합치되지 않고, 벗어난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25)는 프레임체(20)의 개방부(20a)를 커버하도록 프레임체 (20)에 씌워, 커버(25)의 압접용 돌기편(26, 27, 28, 29)을 각각 프레임체(20)의 측판(21, 22, 23, 24)에 탄성접촉시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체(20)에 설치된 커버(25)는 도 8로부터 알수 있듯이 커버(25)의 대향하는 변(25c과 25d)에 있어서, 압접용 돌기편(28과 29)은 경사져 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접용 돌기편(28)이 대향하는 변(25d)측 및 압접용 돌기편 (29)이 대향하는 변(25c)측에 압접용 돌기편이 없다.
이 때문에, 압접용 돌기편(28)은 측판(23)에의 탄성접촉에 의하여, 대향하는 변(25d)에 화살표 X방향으로 변(25c)측으로, 또 압접용 돌기편(29)은 측판(24)에의 탄성접촉에 의하여 대향하는 변(25c)을 화살표 Y방향으로 변(25d)측으로 당겨져, 커버(25)는 비틀어진 상태가 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 기기는 커버(25)의 압접용 돌기편(28, 29)에 의하여 그 대향하는 변(25c, 25d)이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압접용 돌기편(28, 29)의 측판(23, 24)에의 접촉이 약해져, 약간의 진동 등에 의하여 노이즈를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커버(25)는 비틀림이 생기기 때문에 외관상의 보기가 나빠서 상품가치를 떨어지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립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전자 기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전자 기기의 상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체 2, 3, 4, 5 : 측판
4a, 5a : 절결부 6 : 개방부
7, 8 : 볼록부 9 : 커버
9a, 9b, 9c, 9d : 변 10, 11, 15, 16 : 압접용 돌기편
12, 13 : 오목부 14 : 경사부
17 : 커넥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의 해결수단으로서, 개방부를 가지는 금속제의 프레임체와, 주변에 압접용 돌기편을 가지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체와 상기 커버의 어느 한쪽에 볼록부, 다른 쪽에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체에 씌워서, 상기 압접용 돌기편을 상기 프레임체에 압접함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의 측면을 탄성접촉시킨 구성으로 했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임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볼록부를 설치하고, 또 상기 커버에는 상기 압접용 돌기편사이에 상기 오목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했다.
또, 제 3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임체에는 개방부측에 상기 오목부를 설치하고, 또 상기 커버에는 상기 압접용 돌기편에 상기 볼록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했다.
또 제 4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오목부의 선단부에 경사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했다.
또, 제 5해결수단으로서,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상기 커버를 가지고, 그 커버의 대향하는 2변의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한 쪽의 위치에만 상기 압접용 돌기편이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와의 탄성접촉시 상기 압접용 돌기편의 프레임체에의 압접이 강해지도록 한 구성으로 했다.
(실시예)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를, 도 1∼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텔레비젼 튜너, 모듈레이터 등의 프레임체(1)는 박스형 금속제로 구성되고, 이 프레임체(1)는 서로 대향하는 측판(2, 3)과, 경사 대향의 위치에 절결부(4a, 5a)가 설치된 서로 대향하는 측판(4, 5)과, 한쪽끝단에 설치된 개방부(6)와, 상기 측판(2, 3)의 개방부(6)측에 있어서, 측판(2, 3)을 바깥쪽으로 잘라 세워 설치된 볼록부(7, 8)를 가지고 있다.
또, 여기서는 저부의 어떤 프레임체(1)를 나타냈으나, 양단이 개방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이 프레임체(1)내에는 전기회로부품(도시생략)이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절결부(4a, 5a)에는 전자회로를 외부로 도출하기 위한 단자판(도시생략)이 설치된다.
또, 직사각 형상의 금속제로 이루어진 커버(9)는, 그 대향하는 변(9a와 9b)에 서로 대향하여 아래로 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압접용 돌기편(10, 11)과, 이 압접용 돌기편(10)사이 및 압접용 돌기편(11)사이에 설치된 오목부(12, 13)와, 1개의 압접용 돌기편(10, 11)의 선단부에 설치된 경사부(14)와, 그리고 또 하나의 대향하는 변(9c와 9d)에 경사지게 아래로 향하여 설치된 압접용 돌기편(15, 16)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경사지게 설치된 압접용 돌기편(15, 16)은 상기 절결부(4a, 5a)에는 합치하지 않고 빗나간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고, 또 오목부(12, 13)에 인접하는 1개의 압접용 돌기편(10과 11)에 설치된 경사부(14)는 각각 볼록부(7, 8)와 대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9)는, 프레임체(1)의 개방부(6)를 덮도록 프레임체(1)에 씌운다.
이 때,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접용 돌기편(10)의 경사부(14)는 측판(2)에 설치된 볼록부(7)에, 또 압접용 돌기편(11)의 경사부(14)는 측판(3)에 설치한 볼록부(8)에 당접한다.
이 상태에서, 커버(9)를 프레임체(1)에 밀어 넣으면, 압접용 돌기편(10, 11, 15, 16)은 각각 측판(2, 3, 4, 5)에 압접한 상태로, 커버(9)가 프레임체(1)의 끝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아래쪽으로 이동(도 4B 참조)시켜 커버(9)를 프레임체(1)에 부착 한다.
이 때, 볼록부(7, 8)에 당접한 경사부(14)에 의하여, 도 2에 있어서, 커버(9)의 상부는 화살표 C방향으로, 또 하부는 화살표 D방향으로 끌어 당겨지고, 그리고 오목부(12, 13)의 측면인 압접용 돌기편(10, 11)의 측면에 볼록부(7, 8)가 탄성 접촉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커버(9)의 대향하는 2변(9c, 9d)의 대향하는 위치, 즉 변(9c)측에 설치된 압접용 돌기편(15)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변(9d)측에는, 압접용 돌기편이 없고, 또, 변(9d)측에 설치된 압접용 돌기편(16)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변(9c)측에는 압접용 돌기편이 없기 때문에, 볼록부(7, 8)에 의하여 압접용 돌기편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커버(9)를 끌어당겨 커버(9)에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프레임체(1)내에 전기 회로(도시생략)를 외부에 도출하기 위한 커넥터(17)가 수용되고, 커버(9)는 변(9c)을 제외한 변(9a, 9b, 9d)에 압접용 돌기편(10, 11, 16)을 설치하고, 이 커버(9)를 커넥터(17)의 상부를 제외한 프레임체(1)의 개방부(6)에 씌움과 동시에, 프레임체(1)에 설치한 볼록부(7, 8)를 각각 커버(9)의 오목부(12, 13)의 측면에 탄성 접촉시킨 것이다.
이에 의하여, 압접용 돌기편(16)을, 압접용 돌기편이 존재하지 않는 변(9c)측에 당겨지도록 한 것이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압접용 돌기편(10, 11)에 도시생략했으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사부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프레임체(1)에, 경사부(14)를 가지는 오목부(12, 13)를 설치하고, 또 커버(9)에는 압접용 돌기편(10, 11)에 볼록부(7, 8)를 설치하여, 이 볼록부(7, 8)를 오목부(12, 13)의 측면에 탄성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 볼록부(7, 8)는 압접용 돌기편 이외의 장소에 설치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부를 가지는 금속제의 프레임체와, 주변에 압접용 돌기편을 가지는 커버와, 프레임체와 커버의 어느 한 쪽에 볼록부, 다른 쪽에 오목부를 구비하고, 프레임체의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커버를 프레임체에 씌우고, 압접용 돌기편을 프레임체에 압접함과 동시에, 볼록부와 오목부의 측면을 탄성접촉시킨 것이기 때문에, 압접용 돌기편이, 압접용 돌기편이 없는 쪽으로 끌어당겨져 압접용 돌기편의 프레임체로의 접촉을 강하게 할 수 있어, 진동 등에 의한 노이즈가 없고, 또 이에 의하여 커버의 비틀림이 규제되어 상품가치가 향상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프레임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볼록부를 설치하고, 또 커버에는 압접용 돌기편사이에 오목부를 설치한 구성, 또는, 프레임체에는 개방부측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또 커버에는 압접용 돌기편에 볼록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한 커버의 위치규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오목부의 선단부에 경사부를 설치함으로써, 볼록부의 오목부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커버를 가지고, 그 커버의 대향하는 2변의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한쪽의 위치에만 압접용 돌기편이 형성되어 볼록부와 오목부와의 탄성 접촉시, 압접용 돌기편의 프레임체에의 압접이 강해지도록 했기 때문에, 특히 대향하는 2변의 대향하는 위치에 압접용 돌기편이, 한 쪽만 또는 비대칭으로 존재할 때, 커버의 위치규제가 되어 압접용 돌기편의 프레임체에의 접촉을 강하게 할 수 있어 노이즈가 없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개방부(6)를 가지며 측판(2~5)으로 형성된 금속제 프레임체(1)와,
    주변에 압접용 돌기편(10 ·11·15 ·16)을 가지는 커버(9)와,
    상기 측판(-2·3)과 상기 압접용 돌기편(10·11)의 어느 한쪽에 볼록부 (7·8), 다른쪽에 오목부(12·13)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체(1)의 개방부(6)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커버(9)를 상기 프레임체(1)에 씌우고,
    상기 압접용 돌기편(10·11·15·16)을 상기 측판(2·2)에 압접함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7·8)와 상기 오목부(12·13)의 측면을 탄성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2·3)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볼록부(7·8)를 설치하고, 또 상기 커버에는 상기 압접용 돌기편(10·11) 사이에 상기 오목부(12 ·1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2·3)에는 개방부쪽에 상기 오목부(12·13)를 설치하고, 또 상기 압접용 돌기편(10·11)에는 안쪽에 상기 볼록부 (7·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2·13)의 선단부에 경사부(1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상기 커버(9)를 가지며, 상기 커버의 대향하는 2 변의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한쪽 위치에만 상기 압접용 돌기편(16)이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7·8)와 상기 오목부(12·13)의 탄성접촉시, 상기 압접용 돌기편(16)의 측판(5)으로의 압접이 강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상기 커버(9)를 가지며, 상기 커버의 대향하는 2 변의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한쪽 위치에만 상기 압접용 돌기편(16)이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7·8)와 상기 오목부(12·13)의 탄성접촉시, 상기 압접용 돌기편(16)의 측판(5)으로 압접이 강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19970060963A 1996-11-20 1997-11-19 전자기기 KR100285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24538 1996-11-20
JP32453896A JP3179719B2 (ja) 1996-11-20 1996-11-20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566A KR19980042566A (ko) 1998-08-17
KR100285811B1 true KR100285811B1 (ko) 2001-05-02

Family

ID=1816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963A KR100285811B1 (ko) 1996-11-20 1997-11-19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79719B2 (ko)
KR (1) KR100285811B1 (ko)
CN (1) CN10883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1140B2 (ja) * 2000-03-31 2009-10-0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5032747A (ja) * 2003-07-07 2005-02-03 Alps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カバー取付構造
JP4170862B2 (ja) * 2003-09-05 2008-10-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回路ユニット
WO2014020761A1 (ja) * 2012-08-03 2014-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シャーシ組付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9496A (ja) * 1989-03-01 1990-09-12 Maspro Denkoh Corp 電子機器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9496A (ja) * 1989-03-01 1990-09-12 Maspro Denkoh Corp 電子機器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7104A (zh) 1998-07-08
JP3179719B2 (ja) 2001-06-25
KR19980042566A (ko) 1998-08-17
JPH10150286A (ja) 1998-06-02
CN1088326C (zh)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7044A (en) Casing for electronic devices
US4681389A (en) Lock pin for mounting board-mount type connector on board
JPH08145019A (ja) 板状物品のケース内固定構造
US4747019A (en) Feedthrough capacitor arrangement
KR100285811B1 (ko) 전자기기
JPH07245147A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US6056600A (en) Shielded connector
JP3077136B2 (ja) 組み付け部品のロック構造
JP3296539B2 (ja) スピーカーの入力端子の接続構造
JP4359741B2 (ja) 電気部品の実装装置
JPH09321462A (ja) 電子回路装置
KR200394959Y1 (ko)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 커버
JPH06310881A (ja) プリント配線板と筐体との接地接続ならびに位置決め取り付け構造
KR100666112B1 (ko)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 커버
JPH08315921A (ja) フィルタ内蔵型ピンコネクタ
JP3324261B2 (ja) 高周波装置のケース
JPH10190272A (ja) シールドケース
JP3196865B2 (ja) 制御機器のソケット
JP4212012B2 (ja) コネクタ
JPH0666092U (ja) シールドケース
JP2504985Y2 (ja) 高周波回路装置
JPH0541077U (ja) フローテイング型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H1154961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とケースとの電気的接続構造
KR20070063632A (ko) 튜너
JPH11312504A (ja) 電池ホルダーの実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