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888B1 - 코스트다운모드수행여부판정장치및그방법 - Google Patents

코스트다운모드수행여부판정장치및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888B1
KR100282888B1 KR1019960079374A KR19960079374A KR100282888B1 KR 100282888 B1 KR100282888 B1 KR 100282888B1 KR 1019960079374 A KR1019960079374 A KR 1019960079374A KR 19960079374 A KR19960079374 A KR 19960079374A KR 100282888 B1 KR100282888 B1 KR 10028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tage
shift
opening amount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026A (ko
Inventor
조영신
도규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8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888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코노미모드 및 파워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수단과; 변속 레버에 의하여 설정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단 감지 수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감지 수단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 수단과; 현재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이면서,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이고,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아이들 상태에 해당하고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된 경우에는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자동 변속 차량에 있어서,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 수행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보다 정화한 시점에서 코스트 다운 모드를 수행하여 정지전시의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이 발명은 코스트 다운 모드(coast down mode) 수행 여부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지전시에 변속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 수행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 차량은 엔진 성능 및 운전 상황에 맞추에 가장 적절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시프트 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며, 4단 자동 변속 차량은 고출력 엔진의 동력 성능에 대응하여 충분한 신뢰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저연비, 저소음 상태의 주행을 하는 이카노미(economy) 모드와, 보다 스포티한 주행을 하는 파워 모드인 2가지 주행 모드가 추가되어 있다.
상기의 시프트 패턴은 기관에 걸리는 부하 즉, 스로틀 밸브의 열린 정도와 차의 속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변속점을 중심으로 변속 패턴이 변화하게 되며, 상기 변속점은 자동 변속 차량의 레인지에 따라 다르다.
첨부한 도5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시프트 패턴과는 달리 2속에서 1속으로 의 다운 시프트시에 변속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시프트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자동 변속 차량에 있어서,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수행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시점에서 코스트 다운 모드를 수행하여 정지전시의 변속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이코노미 모드 및 파워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수단과;
변속 레버에 의하여 설정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단 감지 수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감지 수단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 수단과;
현재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이면서,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이고,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아이들 상태에 해당하고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된 경우에는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인 경우에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인 경우에 스로틀 밸브 개도량을 감지하여 아이들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된 경우에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라 변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루어진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시프트 패턴도이고,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 판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4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 판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5는 종래의 시프트 패턴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시프트 패턴도이고,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 판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4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 판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첨부한 도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의 구성은, 이코노믹 모드 및 파워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10)와, 변속 레버에 의하여 설정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단 감지부(20)와, 가속 페달에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부(30)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감지부(40)와, 엔진 구동에 따른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50)와, 상기 감지부(10∼ 5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현재 주행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 수행 여부를 판정하는 변속 제어부(60)와, 상기 변속 제어부(6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해당 마찰 요소로 유압을 공급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드 선택부(10)는 운전석에 장착되어 이코노믹 모드와 파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속단 감지부(20)는 변속 레버에 의하여 접점 상태가 P, R, N, D. 2, L단으로 가변되어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상기 변속부(70)는 마찰 요소 및 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어 다수의 마찰 요소로 유압을 작용시키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감지부(40)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 수행 여부를 판단 하기 위하여, 먼저 첨부한 도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의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에서 운전자가 저연비, 저소음 상태의 주행을 하기 위하여 이카노미 모드나, 또는 보다 스포티한 주행을 하기 위하여 파워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현재 설정된 변속단이 주행단인 "D"단 또는 "2"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0).
현재 차량이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으로 설정되어 2속에서 1속으로의 다운 시프트가 발생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는, 기관에 걸리는 부하 즉,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한다(S130).
스로틀 밸브 개도량 감지부(30)는 가속 페달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60)는 감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이 아이들 상태인 "0"에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40).
상기에서 감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0"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다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S150), 상기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된 경우에는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여야 하는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나 파워 모드이면서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으로 설정되어 있고,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아이들 상태이면서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된 경우에는, 첨부한 도5에 도시되어 있는 시프트 패턴이 아닌 첨부한 도2에 도시되어 있는 코스트 다운 모드에 해당하는 시프트 패턴에 따라 변속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와 달리 첨부한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루틴에 따라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주행 모드와 변속한 설정 그리고 스로틀 밸브 개도량에 따라 아이들 여부를 판단한 다음(S21∼S230), 엔진 회전수 감지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현재 옌진 구동에 따른 엔진 출력단의 회전수를 감지한다 (S240).
상기 제어부(60)는 엔진 회전수 감지한 다음 감지되는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조건에 해당하는 가를 판단하고(S250), 현재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이면서 변속단이 "D"단 또는 "2"이고 그리고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아이들 조건인 "0"에 해당하고,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라 변속 동작을 제어한다(S260).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 변속 차량에 있어서,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 수행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시점에서 코스트 다운 모드를 수행하여 정지전시의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4)

  1. 이코노미 모드 및 파워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수단과, 변속 레버에 의하여 설정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단 감지 수단과, 브레이트 페달의 작동을 갑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감지 수단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변속 차량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모드가 현재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원 모드이면서, 상기 변속단 감지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이고, 상기 스로틀 개도량 감지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아이들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감지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된 경우에는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
  2. 이코노미 모드 및 파워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수단과, 변속 레버에 의하여 설정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단 감지 수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감지 수단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변속 차량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현재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이고, 상기 변속단 감지 수단으로 입력된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이고, 상기 스로틀 개도량 감지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아이들 상태에 해당하고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른 변속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장치.
  3.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인 경우에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인 경우에 스로틀 밸브 개도량을 감지하여 아이들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된 경우에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라 변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 방법.
  4.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 모드가 이코노미 모드 또는 파워 모드인 경우에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단이 "D"단 또는 "2"단인 경우에 스로틀 밸브 개도량을 감지하여 아이들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여,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상태에 해당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코스트 다운 모드에 따라 변속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스트 다운 모드 수행 여부 판정방법.
KR1019960079374A 1996-12-31 1996-12-31 코스트다운모드수행여부판정장치및그방법 KR10028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374A KR100282888B1 (ko) 1996-12-31 1996-12-31 코스트다운모드수행여부판정장치및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374A KR100282888B1 (ko) 1996-12-31 1996-12-31 코스트다운모드수행여부판정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026A KR19980060026A (ko) 1998-10-07
KR100282888B1 true KR100282888B1 (ko) 2002-06-22

Family

ID=6642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374A KR100282888B1 (ko) 1996-12-31 1996-12-31 코스트다운모드수행여부판정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8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026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1596B2 (en) Shift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860006364A (ko) 자동변속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KR100282888B1 (ko) 코스트다운모드수행여부판정장치및그방법
KR20030044096A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344108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279473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스포츠 모드 제어방법
KR100250312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듀티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285454B1 (ko) 정지전 2속에서 1속으로의 다운 시프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70046538A (ko) 자동변속차량의 변속 적합도 판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279472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스포츠 모드 제어방법
KR100335917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파워 모드 제어 방법
KR100250311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다운 시프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89485B1 (ko) 자동차 자동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방법
KR100264569B1 (ko) 아이들시의 다운 시프트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76900B1 (ko) 최적 시프트 패턴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279468B1 (ko) 킥다운 스위치 고장시 변속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0158150B1 (ko) 자동변속 차량의 감속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60183B1 (ko) 차량 정지전 업시프트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308962B1 (ko) 고지에서자동변속기의킥다운변속제어장치및그방법
KR19990059786A (ko) 컷백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521137Y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S6179058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1099307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0002320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0295848B1 (ko) 자동변속기의변속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