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815B1 -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815B1
KR100282815B1 KR1019970075585A KR19970075585A KR100282815B1 KR 100282815 B1 KR100282815 B1 KR 100282815B1 KR 1019970075585 A KR1019970075585 A KR 1019970075585A KR 19970075585 A KR19970075585 A KR 19970075585A KR 100282815 B1 KR100282815 B1 KR 10028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airbag
seat belt
unit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630A (ko
Inventor
장경배
박만수
Original Assignee
윤장진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진,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윤장진
Priority to KR101997007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81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815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측정부(20)와,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안전벨트감지부(30)와, 상기 안전벨트감지부(30)에서 출력되는 운전자의 움직임신호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2마이컴(40)과, 상기 제2마이컴(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1마이컴(60)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50)와, 상기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한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마이컴(60)과, 상기 제1마이컴(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에어백과 안전벨트를 점화시키는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70)와,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7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에어백과 안전벨트를 구동시켜 차량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안전벨트 구동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움직임에 의해 안전벨트의 조임과 느슨함에 따라 차량충돌시 안전벨트의 점화속도를 자동조절하고, 운전자가 에어백에 근접된 경우 에어백을 구동시키지 않음으로써, 2차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운전자와 승객의 부상을 막고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행중인 운전자의 움직임을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통해 위치파악한후, 차량충돌시 운전자의 운전위치에 따라 에어백과 안전벨트의 동작시간을 제어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운전자를 2차충돌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장치에서는 대부분의 운전자와 승객이 운행중 다양한 움직임으로 인해 안전벨트를 느슨하게 매거나 또는 안전벨트를 조여매는 경우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차량충돌시 에어백의 구동은 운전자와 승객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항상 정자세에 있다는 가정하에 동작되었으며, 또한 안전벨트를 조여주는 장치도 운전자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길이만을 조여주도록 동작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종래의 에어백은 운전자와 승객이 에어백에 근접된 위치에 있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고 에어백이 구동되어 운전자나 승객은 에어백 구동시의 팽창속도에 의한 2차충돌로 인해 치명적인 부상을 당하게 되고, 또한 안전벨트를 조여주는 장치도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일정한 길이만을 조여주게 됨으로써, 차량충돌시 차량내부의 2차충돌에 의해 운전자나 승객이 치명적인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안전벨트감지부의 제1안전벨트감지부와 제2안전벨트감지부에서 감지한 각각의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통해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한후, 차량 충돌시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인 위치에 따라 제1마이컴에서 에어백과 안전벨트의 동작시간을 제어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을 2차충돌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는,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측정부와;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안전벨트감지부와; 상기 안전벨트감지부의 신호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안전벨트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운전자의 움직임신호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2마이컴과; 상기 제2마이컴의 신호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2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1마이컴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한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마이컴과; 상기 제1마이컴의 신호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에어백과 안전벨트를 점화시키는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와;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의 신호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에어백과 안전벨트를 구동시켜 차량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안전벨트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방법은, 안전벨트의 변화된 길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운전위치를 파악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제1단계(S1)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정상위치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S2)와; 상기 제2단계(S2)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정상위치인 경우, 에어백/안전벨트를 정상적인 시간에서 동작시키는 제3단계(S3)와; 상기 제2단계(S2)를 수행한후, 운전하는 운전위치가 정상위치가 아닌경우,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의자쪽으로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S4)와; 상기 제4단계(S4)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의자쪽으로 위치된 경우, 안전벨트를 정상위치보다 늦게 조여주고, 에어백은 정상위치에서 보다 빨리 동작시키는 제5단계(S5)와; 상기 제4단계(S4)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위치가 의자쪽이 아닌 경우, 운전자의 위치가 전방의 에어백쪽으로 위치됐음을 판단하고, 운전자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S6)와; 상기 제6단계(S6)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운전자가 에어백쪽으로 향해있음을 판단하여 안전벨트를 빠르게 구동시키고, 에어백은 늦게 동작시키는 제7단계(S7)와; 상기 제6단계(S6)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운전자와 에어백 사이가 많이 근접해 있음을 판단하여 에어백은 구동시키지 않고 안전벨트만 구동시키는 제8단계(S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운전자의 운전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방법을 보여주는 제어흐름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원부 20 : 가속도측정부
30 : 안전벨트감지부 40 : 제2마이컴
50 : 인터페이스 60 : 제1마이컴
70 :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 80 : 에어백/안전벨트 구동부
31 : 제1안전벨트 감지부 32 : 제2안전벨트 감지부
71 : 제1에어백 점화부 72 : 제2에어백 점화부
73 : 제1안전벨트 점화부 74 : 제2안전벨트 점화부
81 : 제1에어백 구동부 82 : 제2에어백 구동부
83 : 제1안전벨트 구동부 84 : 제2안전벨트 구동부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0)에서는 제1마이컴(60)에 전원을 공급하고, 가속도측정부(20)에서는 상기 제1마이컴(60)에 측정된 자차량의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며, 안전벨트감지부(30)에서는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제2마이컴(40)에 출력하고, 상기 제2마이컴(40)에서는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제1마이컴(60)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1마이컴(60)에서는 입력받은 신호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70)에 출력하고,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70)에서는 구동신호를 에어백/안전벨트 구동부(80)에 출력하며,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구동부(80)에서는 에어백과 안전벨트를 동작시켜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감지부(30)에 있어서,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안전벨트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운전위치를 파악하는 제1안전벨트감지부(31)와, 승객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안전벨트를 감지하여 승객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안전벨트감지부(32)로 구성되어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70)에 있어서, 상기 제1마이컴(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석의 에어백을 점화하는 제1에어백 점화부(71)와, 상기 제1마이컴(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승객의 에어백을 점화하는 제2에어백 점화부(72)와, 상기 제1마이컴(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자의 안전벨트를 점화하는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와, 상기 제1마이컴(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승객의 안전벨트를 점화하는 제2안전벨트 점화부(74)로 구성되어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구동부(80)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백 점화부(7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운전석의 에어백을 동작시키는 제1에어백 구동부(81)와, 상기 제2에어백 점화부(7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승객의 에어백을 동작시키는 제2에어백 구동부(82)와, 상기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운전석의 안전벨트가 동작하여 조여지는 제1안전벨트 구동부(83)와, 상기 제2안전벨트 점화부(7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승객의 안전벨트를 동작시켜 조여주는 제2안전벨트 구동부(84)로 구성되어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전벨트감지부(30)의 제1안전벨트감지부(31)에서는 안전벨트의 변화되는 길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제2마이컴(40)으로 출력하고, 제2안전벨트감지부(32)에서는 안전벨트의 변화되는 길이를 감지하여 승객의 움직임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여 제2마이컴(4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2안전벨트감지부(31,32)에서 파악된 운전자나 승객의 위치상태를 보면, 도 1 에 도시된 ①과 같이 안전벨트가 아주 느슨하게 매여 운전자나 승객의 위치가 에어백쪽으로 아주 가까이 근접된 경우와, 도 1 에 도시된 ②와 같이 안전벨트의 길이가 짧게 매여져 운전자나 승객의 위치가 에어백과 떨어져 있는 경우와, 안전벨트의 길이가 적당하게 매여 운전자나 승객의 위치가 정상위치인 경우(즉, 도 1 에 도시된 ①과②사이의 정위치.)와, 안전벨트가 느슨하게 매인 경우로 도 1 에 도시된 ①의 위치보다는 적게 에어백쪽으로 이동된 경우등 4개의 경우가 안전벨트 감지부(30)의 제1안전벨트 감지부(31)와 제2안전벨트 감지부(32)를 통해 감지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4개의 경우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제2마이컴(40)은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제1마이컴(60)의 신호입력단에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임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원부(10)와 가속도측정부(20)는 제1마이컴(60)의 또다른 신호입력단에 전원과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한편, 차량충돌시 도 1 에 도시된 ①의 경우와 같이, 운전자와 승객의 위치가 에어백과 아주 가까이 근접된 상태에서 감지신호가 제2마이컴(40)을 통해 제1마이컴(60)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1마이컴(60)에서는 제1에어백 점화부(71)와 제2에어백 점화부(7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이로인해 상기 제1에어백 구동부(81)와 제2에어백 구동부(82)가 구동되지 않아 에어백은 동작되지 않으며, 상기 제1마이컴(60)에서는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와 제2안전벨트 점화부(74)로는 정상점화 시간보다 빨리 점화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와 제2안전벨트 점화부(74)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제1안전벨트 구동부(83)와 제2안전벨트 구동부(84)에서는 정상동작시 보다 빨리 안전벨트를 조여주도록 동작되어, 차량충돌시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2차충돌의 부상으로 부터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차량충돌시 도 1 에 도시된 ②의 경우와 같이 운전자와 승객의 위치가 에어백과 떨어져 있는 경우, 제1마이컴(60)에서는 제1에어백 점화부(71)와 제2에어백 점화부(72)에 정상점화 시간보다 빨리 점화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와 제2안전벨트 점화부(74)로는 정상점화 시간보다 늦게 점화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에어백 점화부(710와 제2에어백 점화부(7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은 제1에어백 구동부(81)와 제2에어백 구동부(82)에서는 정상동작시 보다 빨리 에어백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와 제2안전벨트 점화부(7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은 제1안전벨트 구동부(83)와 제2안전벨트 구동부(84)에서는 정상동작시 보다 늦게 안전벨트를 조여주도록 동작되어 충돌시 2차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차량충돌시 상기 제1안전벨트 감지부(71)와 제2안전벨트 감지부(72)로 부터 에어백쪽을 향한 감지신호가 제2마이컴(40)을 통해 상기 제1마이컴(60)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1마이컴(60)에서는 제1에어백 점화부(71)와 제2에어백 점화부(72)에 정상점화 시간보다 늦게 점화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와 제2안전벨트 점화부(74)로는 정상점화 시간보다 빠르게 점화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에어백 점화부(71)와 제2에어백 점화부(72)로 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제1에어백 구동부(81)와 제2에어백 구동부(82)에서는 정상동작시 보다 늦게 에어백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와 제2안전벨트 점화부(74)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1안전벨트 구동부(83)와 제2안전벨트 구동부(84)에서는 정상동작시 보다 빨리 안전벨트를 조여주도록 동작되어 2차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차량충돌시 상기 제1안전벨트 감지부(71)와 제2안전벨트 감지부(72)로 부터 운전자나 승객의 위치가 정상상태인 감지신호가 제2마이컴(40)을 통해 상기 제1마이컴(60)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1마이컴(60)에서는 상기 제1에어백 점화부(71)와 제2에어백 점화부(72)에 정상적인 시간에 점화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와 제2안전벨트 점화부(74)에서도 정상적인 시간에 점화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에어백 점화부(71)와 제2에어백 점화부(72)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제1에어백 구동부(81)와 제2에어백 구동부(82)에서는 에어백을 정상시간에 동작시키고, 제1안전벨트 점화부(73)와 제2안전벨트 점화부(74)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제1안전벨트 구동부(83)와 제2안전벨트 구동부(84)에서는 안전벨트를 정상시간에 조여주도록 동작되어 2차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방법을 설명하면, 안전벨트의 변화된 길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운전위치를 파악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제1단계(S1)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정상위치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S2)와; 상기 제2단계(S2)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정상위치인 경우, 에어백/안전벨트를 정상적인 시간에서 동작시키는 제3단계(S3)와; 상기 제2단계(S2)를 수행한후, 운전하는 운전위치가 정상위치가 아닌경우,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의자쪽으로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S4)와; 상기 제4단계(S4)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의자쪽으로 위치된 경우, 안전벨트를 정상위치보다 늦게 조여주고, 에어백은 정상위치에서 보다 빨리 동작시키는 제5단계(S5)와; 상기 제4단계(S4)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위치가 의자쪽이 아닌 경우, 운전자의 위치가 전방의 에어백쪽으로 위치됐음을 판단하고, 운전자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S6)와; 상기 제6단계(S6)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운전자가 에어백쪽으로 향해있음을 판단하여 안전벨트를 빠르게 구동시키고, 에어백은 늦게 동작시키는 제7단계(S7)와; 상기 제6단계(S6)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운전자와 에어백 사이가 많이 근접해 있음을 판단하여 에어백은 구동시키지 않고 안전벨트만 구동시키는 제8단계(S8)로 동작되어, 운전자나 승객의 위치에 따라 에어백과 안전벨트를 제어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운전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은, 특히, 운전자의 움직임에 의해 안전벨트의 조임과 느슨함에 따라 차량충돌시 안전벨트의 점화속도를 자동조절하고, 운전자가 에어백에 근접된 경우 에어백을 구동시키지 않음으로써, 2차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운전자와 승객의 부상을 막고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측정부와;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안전벨트감지부와; 상기 안전벨트감지부의 신호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안전벨트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운전자의 움직임신호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2마이컴과; 상기 제2마이컴의 신호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2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1마이컴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한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마이컴과; 상기 제1마이컴의 신호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에어백과 안전벨트를 점화시키는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와;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의 신호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에어백과 안전벨트를 구동시켜 차량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안전벨트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안전벨트감지부는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안전벨트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운전위치를 파악하는 제1안전벨트 감지부와, 승객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안전벨트를 감지하여 승객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2안전벨트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 장치.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에어백/안전벨트 점화부는, 상기 제1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자의 에어백을 점화하는 제1에어백 점화부와, 상기 제1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승객의 에어백을 점화하는 제2에어백 점화부와, 상기 제1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자의 안전벨트를 점화하는 제1안전벨트 점화부와, 상기 제1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승객의 안전벨트를 점화하는 제2안전벨트 점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안전벨트 구동부는, 상기 제1에어백 점화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운전자의 에어백을 동작시키는 제1에어백 구동부와, 상기 제2에어백 점화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승객의 에어백을 동작시키는 제2에어백 구동부와, 상기 제1안전벨트 점화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운전자의 안전벨트를 동작시키는 제1안전벨트 구동부와, 상기 제2안전벨트 점화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승객의 안전벨트를 동작시키는 제2안전벨트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5. 안전벨트의 변화된 길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운전위치를 파악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제1단계(S1)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정상위치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S2)와; 상기 제2단계(S2)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정상위치인 경우, 에어백/안전벨트를 정상적인 시간에서 동작시키는 제3단계(S3)와; 상기 제2단계(S2)를 수행한후, 운전하는 운전위치가 정상위치가 아닌경우,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의자쪽으로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S4)와; 상기 제4단계(S4)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운전위치가 의자쪽으로 위치된 경우, 안전벨트를 정상위치보다 늦게 조여주고, 에어백은 정상위치에서 보다 빨리 동작시키는 제5단계(S5)와; 상기 제4단계(S4)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위치가 의자쪽이 아닌 경우, 운전자의 위치가 전방의 에어백쪽으로 위치됐음을 판단하고, 운전자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S6)와; 상기 제6단계(S6)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운전자가 에어백쪽으로 향해있음을 판단하여 안전벨트를 빠르게 구동시키고, 에어백은 늦게 동작시키는 제7단계(S7)와; 상기 제6단계(S6)를 수행한후, 운전자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운전자와 에어백 사이가 많이 근접해 있음을 판단하여 에어백은 구동시키지 않고 안전벨트만 구동시키는 제8단계(S8)를 반복 수행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방법.
KR1019970075585A 1997-12-27 1997-12-27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 KR10028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585A KR100282815B1 (ko) 1997-12-27 1997-12-27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585A KR100282815B1 (ko) 1997-12-27 1997-12-27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630A KR19990055630A (ko) 1999-07-15
KR100282815B1 true KR100282815B1 (ko) 2001-04-02

Family

ID=6617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585A KR100282815B1 (ko) 1997-12-27 1997-12-27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440B1 (ko) * 2019-03-27 2024-04-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전개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63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5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 rearward facing child restraining seat
CA215122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eployment signal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during a side impact crash
KR100282815B1 (ko) 안전벨트의 길이변화를 이용한 운전자 보호장치 및 방법
US20040182630A1 (en) Occupant crush protection system
JPH1134794A (ja) 乗員保護装置
JPH11157413A (ja) 乗員保護装置
KR20070060569A (ko) 조수석 에어백 전개 제어방법
JP3512058B2 (ja) 乗員保護装置
KR0128075Y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0164346B1 (ko)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WO1999003711A1 (en) Weight responsive supplemental restraint computer system
KR19990002364A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GB2369708A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safety device
KR100224246B1 (ko)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JPH0834310A (ja) 車両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100285498B1 (ko) 에어백 전개 제어방법
KR100194440B1 (ko) 자동차의 추락시 제어회로
KR100369546B1 (ko) 차량상태에따른조수석의에어백제어방법
KR200180956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0210930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전개 시스템
KR10019455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작동방법
KR20040098388A (ko) 시트 벨트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1029480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KR20010100606A (ko) 에어백 전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9288U (ko) 조수석 에어백 작동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