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145B1 -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 - Google Patents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145B1
KR100282145B1 KR1019980040660A KR19980040660A KR100282145B1 KR 100282145 B1 KR100282145 B1 KR 100282145B1 KR 1019980040660 A KR1019980040660 A KR 1019980040660A KR 19980040660 A KR19980040660 A KR 19980040660A KR 100282145 B1 KR100282145 B1 KR 10028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 song
song
music
butt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515A (ko
Inventor
김현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1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새로 나온 노래나 신인가수의 경우 정확한 제목과 이름을 모르고, 또 노래목록집에 대체로 나와있는 가사는 방송이나 음반 판매소에서 주로 들을 수 있는 클라이막스 부분이 아닌 첫 소절이기 때문에 노래목록집을 아무리 뒤지더라도 찾지 못하고 포기하고 마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메모리에 신곡에 대한 클라이막스 부분을 저장해두고, 신곡버튼이 누러졌을 경우 별도의 메모리로 부터 신곡에 대한 클라이막스 부분을 재생하도록 함과 동시에 화면에는 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 가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신곡을 간편하게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
본 발명은 최근에 유행하는 노래를 노래 목록집의 목록을 일일이 찾아 선택하지 않고 가라오케 시스템을 이용하여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한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클라이막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곡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가라오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래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 노래 번호의 상승 및 하강시버튼기 위한 상승/하강 버튼,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 삭제 버튼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원격조정기(1)와, 상기 원격조정기(1)에서 출력되는 원격조정신호를 받아들이는 원격조정신호 수신부(2)와, 가라오케 시스템에 부착되어 상기 원격조정기(1)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부(3)와, 가라오케를 위한 다양한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와, 가라오케의 동작상태의 음악 데이터 정보를 비롯한 여러 가지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와, 디지탈 음악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악신호로 전환하여 주는 음악 합성부(6)와, 상기 각 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7)와, 상기 음악 합성부(6)에서 전송된 음악신호와 마이크로폰(10)을 통해 입력된 음성 입력신호를 혼합하고, 이 혼합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9)를 통해 출력하는 증폭기(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각 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74)와, 음악 재생을 위한 각 부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씨피유(71)와, 다양한 음악 제목에 대한 가수이름, 가사, 해당번호 등을 저장하는 롬(72)과, 상기 씨피유(71)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73)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을 비롯한 업소나 가정에서 가라오케 시스템을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노래 제목, 가수 이름, 번호, 노래 첫부분의 가사가 수록된 노래목록집의 목록을 일일이 훑어본다.
훑어보다가 부르고 싶은 노래나 많이 부르는 애창곡의 번호를 원격조정기(1) 또는 가라오케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부(3)의 숫자버튼를 이용하여 누른다.
가령 원격조정기(1)를 통해 해당번호를 누른 경우에는 원격조정기(1)에서 해당번호에 대응하는 원격조정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는 원격조정신호 수신부(2)에서 수신하여 제어부(7)의 입출력포트(74)를 통해 씨피유(71)로 전달된다.
그리고 스위치부(3)를 통해 번호를 누른 경우에는 그 번호에 해당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7)의 입출력포트(74)를 통해 상기 씨피유(71)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씨피유(71)는 롬(72)으로 부터 가사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메모리부(4)로 부터 음악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이후에 상기 씨피유(71)는 음악 합성부(6)를 제어하여 가사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를 합성하여 음악 반주를 만들고, 이 만들어진 반주에 해당하는 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이렇게 아날로그로 변환된 신호를 음악 합성부(6)가 제어부(7)의 입출력포트(74)를 통해 씨피유(71)로 전송한다.
상기 씨피유(71)는 음악 합성부(6)로 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증폭기(8)로 전송한다.
이에따라 상기 증폭기(8)는 음악 합성부(6)의 반주신호와 마이크로폰(1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신호를 합성한다.
이렇게 음악신호와 음성입력신호를 합성한 후 증폭기(8)는 외부에서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증폭하여 스피커(9)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여기서 사용자가 자신이 부르고 싶은 노래제목을 찾기까지의 동작을 도 2에 의거하에 살펴보면, 먼저 노래제목을 찾는다.(S21)
상기 노래제목을 아는 경우에는 노래제목을 노래목록집에서 찾고, 찾은 노래제목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한다.(S25)
그런데 상기 S21에서 노래제목을 모르는 경우에는 가수이름을 찾는다.(S22)
상기에서 가수이름을 아는 경우에는 가수이름을 찾은 다음 노래제목과 노래 첫부분의 가사를 보고 노래제목을 찾은다음 그 노래제목의 번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노래제목과 가수이름을 모르는 경우에는 노래 첫부분의 가사를 찾는다.(S23)
가령 노래 첫부분의 가사를 아는 경우 노래목록집을 처음부터 훑어가면서 노래제목을 알아내고, 그 알아낸 노래제목의 번호를 선택한다.
그런데 노래제목도 모르고, 가수이름도 모르고, 노래 첫부분의 가사도 모르는 경우 노래 찾기를 포기한다.(S25)
결국, 가라오케 시스템을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고자 할 때, 보통 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 첫부분의 가사가 수록된 노래목록집의 목록을 일일이 훑어보고 부르고 싶은 노래를 찾아 그 번호를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된 번호를 누르면, 가라오케 시스템에서는 해당 노래의 반주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래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른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소비자가 많이 부르는 애창곡이나 관심있는 가수의 이름은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새로 나온 노래나 신인가수의 경우 정확한 제목과 이름을 모르고, 또 노래목록집에 대체로 나와있는 가사는 방송이나 음반 판매소에서 주로 들을 수 있는 클라이막스 부분이 아닌 첫 소절이기 때문에 노래목록집을 아무리 뒤지더라도 찾지 못하고 포기하고 마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곡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가라오케 시스템의 신곡 서치 방법을 제공합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곡에 대한 클라이막스 데이터를 별도의 메모리에 구비하여, 신곡에 대한 노래와 함께 신곡에 관련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신곡을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한 가라오케 시스템의 신곡 서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가라오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가라오케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의 신곡 서치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격조정기 20 : 원격조정신호 수신부
30 : 스위치부 40 : 제1메모리부
50 : 제2메모리부 60 : 표시부
70 : 음악 합성부 80 : 제어부
90 : 증폭기 100 : 스피커
110 : 마이크로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곡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신곡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신곡의 클라이막스 부분에 해당하는 일정 시간만큼 신곡 순서대로 재생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재생하면서 선택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3단계와, 상기에서 선택버튼 입력시 제2단계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가라오케 연주모드로 진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곡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신곡버튼 입력시 최근 몇 개월간의 신곡으로 부터 노래를 찾을 것인지 기간을 설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기간동안의 신곡의 클라이막스 부분에 해당하는 일정 시간만큼 순서대로 재생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재생하면서 선택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4단계와, 상기에서 선택버튼 입력시 제3단계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가라오케 연주모드로 진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가라오케 시스템의 신곡 서치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신곡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신곡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신곡에 대한 노래의 클라이막스 부분에 해당하는 일정 시간만큼 순서대로 재생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재생하면서 선택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3단계와, 상기에서 선택버튼 입력시 제2단계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가라오케 연주모드로 진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격조정기(10) 또는 스위치부(30)에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여 그 버튼 선택시 신곡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신곡버튼과, 가라오케를 위한 다양한 음악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기간동안 발표된 신곡들에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제1메모리부(40)와, 상기 제1메모리부(40)에 갱신된 신곡의 클라이막스 부분들만 별도로 모은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부(50)와, 신곡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가라오케의 동작상태의 음악 데이터 정보를 비롯한 여러 가지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0)와, 상기 제1메모리부(40) 또는 제2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음악 합성부(70)와, 상기 음악 합성부(70)에서 출력되는 음악신호와 마이크로폰(11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신호를 합성하여 스피커(100)를 통해 출력하는 증폭기(90)와, 상기 신곡버튼 또는 신곡버튼 이외의 버튼 입력시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부(80)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을 비롯한 업소나 가정에서 가라오케 시스템을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노래 제목, 가수 이름, 번호, 노래 첫부분의 가사가 수록된 노래목록집의 목록을 뒤져 부르고 싶은 노래의 번호를 원격조정기(10) 또는 가라오케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부(30)의 숫자버튼를 이용하여 누른다.
그러면 제어부(80)의 씨피유(81)가 노래를 인식하고, 그 노래에 대한 반주를 출력하기 위하여 롬(72)으로 부터 가사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제1메모리부(40)로 부터 음악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이후에 상기 씨피유(81)는 음악 합성부(70)를 제어하여 가사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를 합성하여 음악 반주를 만들고, 이 만들어진 반주에 해당하는 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이렇게 아날로그로 변환된 신호를 음악 합성부(70)가 제어부(80)의 입출력포트(84)를 통해 씨피유(81)로 전송한다.
상기 씨피유(81)는 음악 합성부(70)로 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증폭기(90)로 전송한다.
이에따라 상기 증폭기(90)는 음악 합성부(70)의 반주신호와 마이크로폰(11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신호를 합성한다.
이렇게 음악신호와 음성입력신호를 합성한 후 증폭기(90)는 외부에서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증폭하여 스피커(100)를 통해 출력한다.
신곡을 추가하려면 일반적으로 일정 기간동안 발표된 신곡들에 해당하는 음악데이터를 갱신하여 제1메모리부(40)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제2메모리부(50)는 각 가수가 부르는 신곡들의 일정시간의 클라이막스 부분에 해당하는 리듬 데이터 뿐만아니라 가수의 목소리 그대로인 멜로디 데이터들을 모아 저장하게 된다.
즉, 일정기간 동안 발표된 각 신곡의 클라이막스 부분들만 별도로 모은 음악 데이터가 제2메모리부(50)에 저장된다.
이때 사용자가 새로 나온 노래를 부르고자 하는데, 신인가수의 이름이나 정확한 제목을 모를 경우, 사용자는 원격조정기(10) 또는 스위치부(30)에 구비되어 있는 신곡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신곡에 해당하는 신호가 제어부(80)의 입출력포트(84)를 통해 씨피유(82)로 전송된다.
이에따라 상기 씨피유(82)는 사용자가 노래제목과 가수이름을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제2메모리부(50)에 별도로 저장해있는 신곡에 대한 일정시간의 음악 데이터들을 읽어들여 음악 합성부(7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음악 합성부(70)는 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전환하여 증폭기(90)를 통해 소리 데이터로 출력되어 차례대로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신곡의 제목, 가수이름과 해당가사 등의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6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그 신곡의 정보를 차례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신곡의 정보를 잘 모르는 경우더라도, 각 신곡이 그 클라이막스 부분에 해당하는 일정 시간만큼 재생되는 동안 소리 데이터와 화면에 나타나는 문자 데이터를 통해 그 신곡들 중 원하는 신곡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신곡에 대한 클라이막스 부분에 해당하는 소리가 들릴 때 사용자는 듣고 있다가 자신이 찾고자 하는 노래일 경우에는 원격조정기(10)와 스위치부(30)를 통해 선택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씨피유(81)는 선택버튼이 선택된 신곡을 알아내고, 그 알아낸 신곡에 대한 음악데이터를 제1메모리부(40)로 부터 읽어들이고, 롬(82)으로 부터 가사 데이터를 읽어들여 음악 합성부(70)로 전송한다.
상기 음악 합성부(70)는 전송된 가사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를 합성하여 음악 반주를 만들고, 이 만들어진 반주에 해당하는 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이렇게 아날로그로 변환된 신호를 음악 합성부(7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증폭기(90)로 전송한다.
이에따라 상기 증폭기(90)는 음악 합성부(70)의 반주신호와 마이크로폰(11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신호를 합성한다.
이렇게 음악신호와 음성입력신호를 합성한 후 증폭기(90)는 외부에서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증폭하여 스피커(100)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같은 동작을 수행할 때, 씨피유(81)는 도 4에서와 같이 신곡버튼이 입력되면 제2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신곡에 대한 클라이막스 부분에 해당하는 음악을 재생하고, 이렇게 재생하다가 선택버튼이 입력되면 현재 재생하고 있는 음악을 가라오케 연주모드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2메모리부(50)에 신곡에 대한 클라이막스 부분을 저장해둘 때 1월의 신곡, 2월의 신곡, 3월의 신곡,.... 등으로 분류해 놓고, 사용자로 하여금 찾고자 하는 노래가 몇월의 나온 노래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거나 일정기간(1월부터 3월까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신곡들의 클라이막스 부분을 들으면서 화면으로 정보를 얻게 되어 신곡을 빨리 찾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래제목과 가수이름을 잘 모르는 신곡을 찾고자 할 경우 신곡버튼을 누르면 별도의 메모리에 신곡에 대한 클라이막스 부분과 화면에는 그 신곡에 대한 노래제목, 가수이름, 가사 등을 나타내어 사용자가 찾을 수 있도록 하여 노래목록집을 일일이 찾지 않고도 간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격조정기 또는 스위치부에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여 그 버튼 선택시 신곡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신곡버튼과, 가라오케를 위한 다양한 음악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기간동안 발표된 신곡들에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제1메모리부와, 상기 제1메모리부에 갱신된 신곡의 클라이막스 부분들만 별도로 모은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부와, 상기 제1메모리부 또는 제2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악 합성부와, 상기 음악 합성부에서 출력되는 음악신호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신호를 합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증폭기와, 상기 신곡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신곡버튼 또는 신곡버튼 이외의 버튼 입력시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2. 신곡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신곡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신곡의 클라이막스 부분에 해당하는 일정 시간만큼 신곡 순서대로 재생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재생하면서 선택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3단계와, 상기에서 선택버튼 입력시 제2단계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가라오케 연주모드로 진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의 신곡 서치 방법.
  3. 신곡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신곡버튼 입력시 최근 몇 개월간의 신곡으로 부터 노래를 찾을 것인지 기간을 설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기간동안의 신곡의 클라이막스 부분에 해당하는 일정 시간만큼 순서대로 재생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재생하면서 선택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4단계와, 상기에서 선택버튼 입력시 제3단계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가라오케 연주모드로 진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의 신곡 서치 방법.
KR1019980040660A 1998-09-29 1998-09-29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 KR10028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60A KR100282145B1 (ko) 1998-09-29 1998-09-29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60A KR100282145B1 (ko) 1998-09-29 1998-09-29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15A KR20000021515A (ko) 2000-04-25
KR100282145B1 true KR100282145B1 (ko) 2001-02-15

Family

ID=1955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60A KR100282145B1 (ko) 1998-09-29 1998-09-29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356B1 (ko) * 2002-06-12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노래선곡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15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9631B2 (ja) カラオケ装置
JP4500730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電子早見本装置
KR100457052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노래반주/음악연주 서비스 장치 및그 방법
JPH1152966A (ja) 音楽演奏システム
KR100282145B1 (ko)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
JP4574299B2 (ja) 音楽再生装置
JPH1091173A (ja) 楽音再生装置
JP2001209389A (ja) 携帯電話を用い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6048808A (ja) オーディオ装置
JPH1091176A (ja) 楽曲検索装置および楽曲再生装置
JP4384062B2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3300553B2 (ja) カラオケ装置
JPH09212181A (ja) カラオケ装置
JPH09297593A (ja) カラオケ装置及びこの選曲方法
JP4456566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292076B1 (ko)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KR20000063101A (ko) 영상 노래 반주기가 내장된 유, 무선 마이크의 곡목선택방법
JP4337726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872842B2 (ja) 楽音再生装置
JP2006162915A (ja) 音楽再生装置
KR19990075806A (ko) 문자선곡이 가능한 노래방시스템(음악 연주 시스템)
JPH1063284A (ja) 楽音再生装置
KR20020020456A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JPH09292892A (ja) 楽音再生装置
JP2002169568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