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076B1 -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076B1
KR100292076B1 KR1019990008119A KR19990008119A KR100292076B1 KR 100292076 B1 KR100292076 B1 KR 100292076B1 KR 1019990008119 A KR1019990008119 A KR 1019990008119A KR 19990008119 A KR19990008119 A KR 19990008119A KR 100292076 B1 KR100292076 B1 KR 10029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ng
signal
monitor
lyr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074A (ko
Inventor
이승자
Original Assignee
이승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자 filed Critical 이승자
Priority to KR101999000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0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노래 연주기 1대에 노래 가사를 부르는 자막모니터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정보검색모니터를 동시에 설치하여 노래자막 및 정보를 동시에 이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서, 그로 인해 매일 마다 변화하고 증가하는 새로운 신곡의 곡명을 찾고자 할 때 인쇄물에 의존하던 방식을 노래 연주 시스템에서 신속하게 찾아 선택하여 노래를 부를 수 있고, 노래 연주기의 이용자가 즐겨 부르는 노래의 가수에 대한 궁금한 정보(사진, 취미, 출생지, 히트곡, 기타)를 빠르고 손쉽게 얻을 수 있으며, 희망가수의 컨서트 계획, 신곡들의 발표, 히트순위 등의 내용을 노래연주 시스템으로 제공받음으로서, 이용자의 노래와 가수 정보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게임 및 일반정보를 포함하는 물론 다양한 정보검색도 지원하여 새로운 노래 연주 시스템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A KARAOKE SYSTEM HAVING DUAL MONITOR}
본 발명은 노래 연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래의 가사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되는 자막모니터와 선곡, 가수정보, 콘서트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정보검색모니터를 포함하여 노래 자막과 각종 정보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래연주기의 보급에 확산되어 지고 있으며, 실제로 노래방을 찾는 대중 분포도 젊은이 등의 중심으로 남녀노소의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 폭이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어디서나 노래방을 쉽게 찾을 수 있고, 또 그 이용도 휠씬 자유롭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종래의 노래 연주 시스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이용자가 부르고자 하는 곡을 선택하는 키입력부(101)와, 키입력부(101)의 키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곡을 반주하기 위한 반주신호를 발생하는 노래연주기(102)와, 노래연주기(102)로부터 발생되는 곡의 가사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03)와, 이용자가 부르는 오디오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104)와, 이 마이크(104)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상기 반주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스피커(10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노래 연주 시스템에 있어, 이용자가 키입력부(101)를 통해 부르고자 하는 곡의 번호를 입력시키면, 곡의 번호에 대응되는 키입력신호가 노래연주기(102)로 공급되면, 노래연주기(102)는 곡에 대응되는 반주신호와 곡의 가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반주신호는 스피커(105)를 통해 증폭된 후 출력되며, 상기 영상신호는 모니터(103)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104)를 통해 이용자가 노래를 부르면, 이 노래의 오디오신호는 노래연주기(102)로 공급되며, 노래연주기(102)는 이 오디오신호와 반주신호를 믹서한 후 증폭한다. 이 증폭신호는 스피커(105)를 통해 출력된다.
이러한 종래의 노래방 기기에 있어서, 매일 변화되고 증가되는 새로운 곡명을 찾을 때에는 노래방에 비치되어 있는 인쇄물을 이용하여야 하고, 이러한 인쇄물로부터 부르고자 하는 곡의 번호를 찾기 위해서는 곡의 제목, 또는 가수의 이름 등의 기본 정보들을 이용자가 알고 있어야 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알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선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곡의 가사를 디스플레이하는 자막모니터와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 예를 들어 노래 연주 시스템 이용자가 즐겨 부르는 노래의 가수에 대한 정보, 회망가수의 컨서트 계획, 신곡 발표, 히트순위 기타 등등, 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검색모니터를 설치하여 노래 자막과 선곡에 대한 정보들을 동시에 이용자에게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수와 노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게임 및 일반정보들을 저장하여 정보 검색의 편리성을 지원하는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곡을 위한 정보 등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검색키보드와, 상기 정보검색키보드로부터 선택된 곡을 반주하기 위한 코러스신호 및 반주신호를 다수의 채널로 발생하는 노래반주제어부와, 외부 영상로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외부영상입력제어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보들을 수신하기 위한 외부통신제어부와, 상기 외부통신제어부를 통해 공급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노래연주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반주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입력부와,상기 노래연주제어부로부터 공급된 곡의 가사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정보검색키보드를 이용하여 선곡하고자 하는 곡을 선택하기 위하여 저장부 및 외부통신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신호를 출력시키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가사신호를 받아 저장한 후 저장된 가사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제1씨알티제어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정보신호를 받아 저장한 후 저장된 정보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제2씨알티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씨알티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받아 제1 및 제2씨알티제어부의 출력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영상합성기로 구비되는 노래연주기; 상기 노래연주기의 영상합성기로부터 합성된 가사신호 및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자막모니터; 및 상기 노래연주기의 영상합성기에서 출력된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정보검색모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노래 연주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니터의 노래 연주 시스템을 보인 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4는 도 2에서 정보검색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보인 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에서 정보검색모니터 및 자막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보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정보검색키보드 12 : 노래연주제어부
13 : 외부영상입력제어부 14 : 외부통신제어부
15 : 저장부 16 : 마이크입력부
17 : 중앙처리부 19 : 오디오출력부
20 : 제1씨알티제어부 21 : 제2씨알티제어부
22 : 영상합성기 200 : 노래 연주 시스템
201 : 마이크 202 : 노래연주기
203 : 외부영상입력기 204 : 스피커
205 : 외부통신부 206 : 자막모니터
207 : 정보검색모니터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노래 연주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시키는 마이크(201)와, 선곡된 반주신호와 마이크(20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신호,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신호, 및 선곡된 곡의 가사신호를 출력하는 노래 연주기(201)와, 노래 연주기(202)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입력기(203)와, 노래 연주기(202)의 출력신호를 증폭시킨 후 증폭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04)와,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통신부(205)와, 노래 연주기(202)의 가사신호 및 상기 외부입력기(203)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자막모니터(206)와, 상기 노래 연주기(202)의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검색모니터(207)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노래 연주기(202)는 선곡을 위한 정보들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검색키보드(11)와, 정보검색키보드(11)로부터 선택된 곡을 반주하기 위한 코러스신호 및 반주신호를 다수의 채널로 발생하는 노래반주제어부(12)와, 상기 영상입력기(2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영상입력제어부(13)와, 상기 외부통신부(205) 공급되는 상기 정보들을 수신하기 위한 외부통신제어부(14)와, 상기 외부통신제어부(14)를 통해 공급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15)와, 상기 노래반주제어부(12)로부터 발생되는 반주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입력부(16)와, 상기 노래반주제어부(12)의 반주신호와 음성신호를 받아 톤, 에코, 밸런스, 및 음량, 등을 조절한 후 오디오신호를 증폭시켜 증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선곡된 곡의 가사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정보검색키보드로부터 공급되는 키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저장부(15) 및 상기 외부통신제어부(14)를 통해 수신된 정보신호를 출력시키는 중앙처리부(17)와, 상기 중앙처리부(17)의 증폭신호를 출력시키는 오디오 출력부(19)와, 상기 중앙처리부(17)에서 출력되는 가사신호를 받아 저장한 후 저장된 가사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제1씨알티제어부(20)와, 상기 중앙처리부(17)에서 출력되는 정보신호를 받아 저장한 후 저장된 정보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제2씨알티제어부(21)와, 상기 제1 및 제2씨알티제어부(20)(21)의 출력신호를 받아 제1 및 제2씨알티제어부(20)(21)의 출력신호(C)(I)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V)를 합성하는 영상합성기(22)로 구비되고, 이러한 노래 연주기(200)의 영상합성기(22)의 출력측에는 상기 영상합성기(22)로부터 합성된 정보신호(I)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V)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정보검색모니터(207)와, 상기 영상합성기(22)로부터 합성된 가사신호(C) 및 영상신호(V)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자막모니터(206)가 각각 접속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용자가 노래 연주기(202)의 정보검색키보드(11)를 통해 정보검색키를 선택하면, 이 정보검색키에 대응되는 키입력신호는 중앙처리부(17)에 공급되고, 중앙처리부(17)는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된 정보신호를 출력하고, 정보신호는 제2씨알티처리부(21)에 공급되며, 이러한 정보신호를 받은 제2씨알티처리부(21)는 이 정보신호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고, 이 처리된 정보신호는 영상합성기(22)를 통해 정보검색모니터(207)에 공급된다. 여기서, 이 정보검색모니터(20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이전에 선곡되어 노래연주제어기(12)로부터 공급되는 반주신호와 마이크입력부(16)로부터 공급되는 음성신호는 중앙처리부(17)에 공급되고, 이러한 반주신호와 음성신호를 받은 중앙처리부(17)는 이들 신호들을 증폭시켜 증폭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노래연주기(12)로부터 공급되는 반주신호에 대응되는 가사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연주신호를 받은 오디오출력부(19)는 증폭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가사신호를 받은 제1씨알티제어부(20)는 이 가사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고, 처리된 가사신호는 영상합성기(22)에 공급된다.
상기 영상합성기(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V) 및 가사신호(C)를 합성시키며, 이러한 합성된 영상신호(V) 및 가사신호(C)는 자막모니터(206)를 통해 출력된다.
즉, 노래 연주기(202)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신호(I)는 정보검색모니터(207)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가사신호(C) 및 영상신호(V)는 자막모니터(206)에 디스플레이되며, 여기서, 정보검색모니터(207)의 정보신호(I) 및 자막모니터(206)의 가사신호(C) 및 영상신호(V)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이용자가가 정보검색키보드(11)의 소정키를 이용하여 정보검색모니터(23)에 디스플레이된 메뉴중 선곡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선곡메뉴에 대응되는 키입력신호를 받은 정보처리부(17)는 노래연주제어부(12)로부터 공급되는 가사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선곡을 하기 위한 '연도별', '장르별', '최신곡', 및 '기타' 등의 서치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문자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문자신호와 가사신호 및 영상신호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검색모니터(207) 및 자막모니터(206)에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정보검색키보드(11)의 소정키가 이용하여 '가수정보'메뉴가 선택되면, 이 가수정보키에 대응되는 키입력신호를 받은 중앙처리부(17)는 가수정보모드를 실행한다. 즉, 노래연주기(202)로부터 출력되는 가수에 대한 정보가 정보검색모니터(207)에 디스플레이되고, 노래연주기(202)로부터 공급되는 가사신호 및 영상신호는 자막모니터(206)에 디스플레이되며, 여기서, 정보검색모니터(207) 및 자막모니터(207)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이용자에 의해 영상입력제어부(13)의 소정키가 선택되면, 이러한 소정키에 대응되는 키입력신호를 받은 중앙처리부(17)는 정보신호 및 가사신호를 출력하고, 이러한 정보신호 및 가사신호는 제1씨알티제어부(20)에 공급된다.
상기 제1씨알티제어부(20)는 정보신호 및 가사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고, 이 처리된 정보신호 및 가사신호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와 합성된 후 자막모니터(206)에 공급되며, 자막모니터(206)는 정보신호, 가사신호 및 영상신호를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정보검색모니터(207)는 정보검색키보드(11)를 통해 선택된 메뉴를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가수정보, 콘서트정보, 새로운 곡, 등의 정보신호는 외부통신제어부(14)를 통해 수신되며, 외부통신제어부(14)를 통해 수신된 다양한 정보신호를 받은 중앙처리부(17)는 이러한 다양한 정보신호를 저장부(15)에 저장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매일 마다 변화되고 증가하는 신곡의 곡명을 찾을 때 노래 연주시스템의 정보검색모니터 및 정보검색키보드를 통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부른 가수에 대한 정보, 희망가수의 콘서트 정보, 신곡발표, 및 히트노래 등의 정보, 및 게임 등 오락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선곡을 위한 정보 등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검색키보드와, 상기 정보검색키보드로부터 선택된 곡을 반주하기 위한 코러스신호 및 반주신호를 다수의 채널로 발생하는 노래반주제어부와, 외부 영상로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외부영상입력제어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보들을 수신하기 위한 외부통신제어부와, 상기 외부통신제어부를 통해 공급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노래반주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반주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입력부와,상기 노래반주제어부로부터 공급된 곡의 가사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정보검색키보드를 이용하여 선곡하고자 하는 곡을 선택하기 위하여 저장부 및 외부통신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신호를 출력시키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가사신호를 받아 저장한 후 저장된 가사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제1씨알티제어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정보신호를 받아 저장한 후 저장된 정보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제2씨알티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씨알티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받아 제1 및 제2씨알티제어부의 출력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영상합성기를 구비하는 노래연주기(202)와,
    상기 노래연주기(202)의 영상합성기로부터 합성된 가사신호 및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자막모니터(206)와,
    상기 노래연주기(202)의 영상합성기에서 출력된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정보검색모니터(20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모니터(206)는 정보검색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신호와 가사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정보검색모니터(207)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정보신호 이외의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KR1019990008119A 1999-03-11 1999-03-11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KR10029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119A KR100292076B1 (ko) 1999-03-11 1999-03-11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119A KR100292076B1 (ko) 1999-03-11 1999-03-11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074A KR20000060074A (ko) 2000-10-16
KR100292076B1 true KR100292076B1 (ko) 2001-06-01

Family

ID=1957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119A KR100292076B1 (ko) 1999-03-11 1999-03-11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810A (ko) * 2002-07-04 2004-01-13 주식회사 오성미디컴 영상가요반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074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3438A (en) Entertainment apparatus for producing orchestral music accompaniment and a selected background video
JP4500730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電子早見本装置
JP3703926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292076B1 (ko) 듀얼 모니터를 가지는 노래 연주 시스템
JP2000122671A (ja) 多機能ネットワ―クカラオケ装置
JP4418396B2 (ja) 電子早見本装置
JP2002116774A (ja) カラオケ装置
JP3589099B2 (ja) カラオケ装置
JP5709782B2 (ja) カラオケ演奏モード設定システム
JPH1091176A (ja) 楽曲検索装置および楽曲再生装置
JP2797643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282145B1 (ko) 신곡 서치가능한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의 신곡 서치 방법
KR100404393B1 (ko) 노래반주기기의외부기기에의한연주장치와연주제어방법
JPH043566A (ja) 音楽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JP3079941B2 (ja) カラオケ装置
JP3561075B2 (ja) 楽音再生装置
JPH05241585A (ja) カラオケルームの演奏管理システム
KR0135827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가사 선택 및 삭제 기능 수행방법
KR0141208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JPH09288490A (ja) 楽音再生装置
KR19990075806A (ko) 문자선곡이 가능한 노래방시스템(음악 연주 시스템)
JP2006162915A (ja) 音楽再生装置
KR0178753B1 (ko) 등록기능을 갖는 영상노래반주장치
JPH08137481A (ja) カラオケ装置
JPH11119786A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