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779B1 -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779B1
KR100279779B1 KR1019980060575A KR19980060575A KR100279779B1 KR 100279779 B1 KR100279779 B1 KR 100279779B1 KR 1019980060575 A KR1019980060575 A KR 1019980060575A KR 19980060575 A KR19980060575 A KR 19980060575A KR 100279779 B1 KR100279779 B1 KR 100279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ly means
frame
pulley
sequenti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097A (ko
Inventor
정희곤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8006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7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스 기계에 고장 발생시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패널이 여러개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립라인으로 상기 패널이 계속적인 공급이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22)과 수평 프레임(24)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작업실 바닥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하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패널(70)의 받침부재(26)가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차례로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패널(70)이 공급될 수 있게 한 프레임체(20); 상기 프레임체(20)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되어 온 상기 패널(70)을 상부로 공급하는 배출수단(30); 상기 배출수단(30)에 의해 상기 패널(70)을 공급 받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상승하면서 차례로 공급하는 순차공급수단(80);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체(20)에 설치되는 상승수단(40);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의 내측에 설치하여 고속으로 상승시키는 신속공급수단(50); 상기 순차공급수단(80)과 상기 신속공급수단(50)에 의해 상부로 올려진 상기 패널(70)을 잡아 조립 라인으로 공급하는 행거수단(90); 및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이 상승된 상태에서 자중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본 발명은 패널 리프팅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지그 위로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패널을 올리게 되고, 상기 패널은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순차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체의 최상부에 위치된 받침부재로부터 채워 그 아래 방향으로 계속 공급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산라인에서는 프레스 기계의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에 강판 소재를 넣고 왕복 압축 운동하여 성형, 접합, 분리 등의 영구 변형시키는 프레스 공정을 거쳐 도어나 후드와 같은 패널 완성품을 얻게 된다.
이렇게 제작 완료된 패널은 작업장 바닥으로 설치된 이송 장치에 의해 조립라인으로 전달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작업장 바닥의 지그에 올려진 패널은 별도로 구비된 패널 리프팅장치로써 작업장 천정의 행거장치까지 전달하게 되는 바, 이때 사용하는 패널 리프팅장치에 대한 대략적인 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드롭 리프트 방식(Drop lift type)의 패널 리프팅장치(A)에 있어서, 작업장의 바닥으로부터 천정에 이르기까지 세워 설치되고, 상단에는 가로대(B1)가 돌출된 포스트부재(B); 상기 포스트부재(B)에 후단부가 설치되어 승강 또는 하강 작동되는 리프트 프레임(C1)과, 상기 리프트 프레임(C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위치된 패널(70)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퍼(C2)가 구비된 리프팅부재(C); 상기 가로대(B1)에 회전 작동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풀리(D1)와, 상기 포스트부재(B)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견인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D2)와, 상기 리프트 프레임(C1)으로부터 상기 풀리(D1)를 거쳐 상기 구동모터(D2)에 연결된 리프트 체인(D3)이 구비된 구동부재(D)로 이루어진다.
즉, 프레스 기계의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에 강판 소재를 위치한 상태에서 왕복 압축 운동하여 성형, 접합, 분리 등의 영구 변형시켜 도어 인너패널, 도어 아우터 패널과 같은 패널 완성품을 생산한 다음, 상기 패널(C3)은 작업장 바닥으로 설치된 이송부재(도시안됨)에 의해 상기 패널 리프링장치(A)의 하부로 위치된 지그(도시안됨) 상에 올려 놓게 된다.
이어, 작업자는 자동 라인상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D2)에 전원을 온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D2)는 정회전되어 상기 리프트 체인(D3)을 풀어줌으로써, 상기 리프트 체인(D3)의 선단으로 연결된 리프팅부재(C)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기 시작한다. 즉, 상기 리프트 프레임(C1)은 상기 포스트부재(B)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하강하여 앞서 지그 위에 올려진 상기 패널(C3)에 근접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리프팅부재(C)에 구비된 스토퍼가 도면에 미도시 된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패널(C3)을 잡아주게 된다. 이어, 상기 구동모터(D2)는 역회전되어 상기 리프트 체인(D3)을 잡아 당기게 되고, 상기 리프트 체인(D3)은 상부의 상기 풀리(D1)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부재(C)를 상부로 잡아당겨 상승시키게 되면서, 상기 리프팅부재(C)의 리프트 프레임(C1)은 상기 스토퍼부재를 타고 상승된 후 상부의 행거(도시안됨)에 근접되고, 이에 상기 행거는 상기 리프팅부재(C)의 상기 패널(C3)을 전달받아 조립 라인으로 이송시키도록 했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상기 프레스 기계를 이용한 패널 완성품의 제작 과정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작업이 정지되면, 상기 패널 적재장치(A)는 물론, 이후의 행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는 조립 라인의 작업 공정시 정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프레스 기계에 고장 발생시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패널이 여러개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립라인으로 상기 패널이 계속적인 공급이 가능한 것은 물론, 프레스 기계가 정상적으로 재차 작동하게 되면, 신속이동부재에 의해 신속히 비어있는 프레임체의 받침부재에 패널을 적재함에 따라, 프레스 기계의 고장시에도 조립 라인에 계속적으로 패널을 공급할 수 있어 재가동율 향상에 따른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프레스 기계로 제작된 패널을 조립 공정에 전달하는 패널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작업실 바닥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하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패널의 받침부재가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차례로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패널이 공급될 수 있게 한 프레임체; 상기 프레임체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되어 온 상기 패널을 상부로 공급하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상기 패널을 공급 받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상승하면서 차례로 공급하는 순차공급수단; 상기 순차공급수단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체에 설치되는 상승수단; 상기 순차공급수단의 내측에 설치하여 고속으로 상승시키는 신속공급수단; 상기 순차공급수단과 상기 신속공급수단에 의해 상부로 올려진 상기 패널을 잡아 조립 라인으로 공급하는 리프팅수단; 및 상기 순차공급수단이 상승된 상태에서 자중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서 배출수단만을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널 리프팅장치 20 : 프레임체
22 : 수직 프레임 24 : 수평 프레임
26 : 받침부재 30 : 배출수단
32 : 몸체 34 : 패널안착부
36 : 제1 에어실린더 38 : 가이드봉
40 : 상승수단 42 : 구동모터
44 : 제1 풀리 46 : 제2 풀리
48 : 상승체인 50 : 신속공급수단
52 : 랙기어 54 : 피니언기어
56 : 이동구 58 : 제2 에어실린더
60 : 하강수단 62 : 제3 풀리
64 : 제4 풀리 66 : 하강체인
68 : 무게추 70 : 패널
80 : 순차공급수단 90 : 행거수단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부호 "1"은 본 발명의 패널 리프팅장치이다.
상기 패널 리프팅장치(10)는 프레임체(20), 배출수단(30), 상승수단(40), 신속공급수단(50), 하강수단(60) 및 순차공급수단(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체(20)는 수직 프레임(22)과 수평 프레임(24)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작업실 바닥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하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패널(70)의 받침부재(26)가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차례로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패널(70)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배출수단(30)은 상기 프레임체(20)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되어 온 상기 패널(70)을 상부로 공급한다.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은 상기 배출수단(30)에 의해 상기 패널(70)을 공급 받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상승하면서 차례로 공급한다. 즉, 상기 프레임체(20)에 차례로 설치된 상기 받침부재(26)에 상기 패널(70)을 적제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프레임체(20)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받침부재(26)로부터 적재하여 그 하부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26)는 상기 패널(70)이 아래에서 위로 올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패널(70)이 받침부재(26)에 올려졌을 경우 작동되어 상기 패널(70)을 아래로부터 받쳐주는 것이다.
상기 상승수단(40)은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체(20)에 설치된다.
상기 신속공급수단(50)은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의 내측에 설치하여 고속으로 상승시킨다.
상기 행거수단(90)은 상기 순차공급수단(80)과 상기 신속공급수단(50)에 의해 상부로 올려진 상기 패널(70)을 잡아 조립 라인으로 공급한다.
상기 하강수단(60)은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이 상승된 상태에서 자중으로 하강시킨다.
상기 배출수단(30)은 상기 프레임체(20) 하부의 작업장 바닥으로 설치되는 몸체(32); 상기 몸체(3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선단의 패널안착부(34)를 상승 및 하강 작동시키는 제1 에어실린더(36); 상기 패널안착부(34)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32)에 관통 안내되는 가이드봉(38)으로 이루어진다. 특, 상기 패널(70)이 얹혀진 패널안착부(34)를 상기 제1 에어실린더(36)를 작동시켜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38)은 상기 패널안착부(34)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승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승수단(40)은 상기 프레임체(2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견인력을 발생하기 위해 회전 작동되는 구동모터(42); 상기 프레임체(20)의 상부 중앙과 우측편에 설치되어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1 풀리(44) 및 제2 풀리(46); 및 상기 구동모터(42)에 선단이 연결되어 제1 풀리(44)와 제2 풀리(46)를 거쳐 방향이 전환되어 후단이 상기 순차공급수단(80)에 연결된 상승체인(48)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42)의 회전이 시작되면, 상기 상승체인(48)은 상기 제1 풀리(44)와 제2 풀리(46)로써 방향이 전환되면서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을 상기 프레임체(20)에서 상승시키는 것이다.
상기 신속공급수단(50)은 상기 프레임체(20)의 각 수직 프레임(22) 내측으로 설치되고, 일측 표면에는 랙기어(52)가 형성되는 수직 안내봉(59); 상기 랙기어(52)와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기어(54)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도록 각각의 상기 수직 안내봉(59)에 설치된 상기 패널(70)이 신속히 상승되도록 설치되는 이동구(56) 및 상기 수직 안내봉(59)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안내봉(59)을 상승시키는 제2 에어실린더(58)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속공급수단(50)은 상기 프레임체(20)의 중간으로 상기 패널(70)이 적재되지 않고 빈 공간으로 남아 있음을 감지했을 경우 순차적으로 상승되지 않고 신속히 상승시켜 빈 공간의 받침부재(26)에 상기 패널(70)을 적재하는 것이다.
상기 하강수단(60)은 상기 프레임체(20)의 상부 중앙과 좌측편에 설치되어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재3 풀리(62) 및 제4 풀리(64); 상기 순차공급수단(8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재3 풀리(62)와 제4 풀리(64)를 거쳐 방향이 전환되는 하강체인(66); 및 상기 하강체인(66)의 타단에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을 하강시키는 무게추(68)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강수단(60)은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이 최상단으로 상승된 상태로 있다가 통상의 감지센서의 신호와 동시에 상기 무게추(68)의 자중으로 강제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프레스 기계의 작업으로 생산된 패널이 상기 패널 리프팅장치(10)의 하부에 놓여진 지그 위로 올려지게 되면, 상기 패널(70)은 상기 배출수단(30)에 의해 상승되고, 이렇게 상승된 상기 패널(70)은 상기 순차공급수단(80)에 의해 상기 프레임체(20)의 최상부로에 위치된 받침부재(26)로부터 채워 그 아래 방향으로 계속 공급함으로써, 상기 프레스 기계에 고장 발생시 상기와 같이 상기 프레임체(20)에 상기 패널(70)이 여러개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립라인으로 상기 패널(70)이 계속적인 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생산성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프레스 기계를 이용하여 제작 완료된 상기 패널(70)은 작업장 바닥으로 설치된 이송장치(도시안됨)에 의해 이송된 후, 본 발명의 상기 패널 리프팅장치(10)의 하부에 설치된 지그(도시안됨)에 올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그에 올려진 패널은 배출수단(30)에 의해 상승 이동되는 바, 그 작동 상태를 볼 때, 상기 제1 에어실린더(36)가 작동되어 상기 패널(70)과 함께 상기 패널안착부(34)가 상승되어 상기 순차공급수단(80)으로 전달한다.
이어,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은 상기 패널(70)을 적재한 상태로 있다가, 상기 상승수단(40)의 구동에 따라 상승 작동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42)가 구동되어 상기 상승체인(48)을 잡아 당겨주게 되면, 상기 상승체인(48)은 상기 제1 풀리(44) 및 제2 풀리(46)에 의해 방향이 변환되면서,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로 있다가 상기 프레임체(20)에 설치된 받침부재(26)로 상기 패널(70)이 얹혀지지 않은 것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은 정지하여 상기 받침부재(26) 상에 위치한 상태로 정지하고, 이 순간 상기 받침부재(26)는 회동 작동되어 아래로부터 상기 패널(70)을 받쳐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상기 패널(70)은 상기 프레임체(20)에 설치된 받침부재(26)에 올려지는 것이고, 이러한 과정은 상기 프레임체(20)의 최상단에 위치된 받침부재(26)로부터 하부 방향에 위치된 상기 받침부재(26)에 연속해서 채워지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강수단(60)은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이 상기 프레임체(20)의 최상단 받침부재(26)의 위치에 있는 경우라면, 작동되지 않지만, 바로 그 하부로 이동될 경우에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록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하강수단(60)에 설치된 상기 무게추(68)는 자중에 의해 하강 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무게추(68)에 타단이 연결된 하강체인(66)은 상기 재3 풀리(62) 및 제4 풀리(64)에 의해 연속적으로 방향이 변환되면서, 상기 하강체인(66)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을 아래 방향으로 계속해서 하강시켜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체(20)의 상부에서는 도면에서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작업장 천정에 순환식으로 설치된 행거(도시안됨)에 의해 차례로 들어 올려진 후 작업장에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프레스 기계의 고장 발생시 상기 패널(70)은 상기 패널 리프팅장치(10)의 하부에 설치된 지그에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못할 경우라도, 상기 프레임체(20)의 받침부재(26)에는 상기 패널(70)이 많은 개수로 적재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렇게 적재된 상기 패널(70)의 개수만큼 시간적 여유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행거에 의한 상기 패널(70)을 조립라인에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프레스 기계를 정비하여 다시 앞서와 같은 상기 패널(70)의 공급 작업을 수용할 때, 상기 프레임체(20)에는 이미 행거에 의해 조립 라인으로 이송된 상기 패널(70)의 개수만큼 비어 있는 상태로 된다. 다시말해, 상기 프레임체(20)의 상기 받침부재(26)에는 상기 패널(70)이 얹혀지지 않은 빈 공간으로 남기 때문에, 이때 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신속공급수단(50)이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신속공급수단(50)에 구비된 상기 제2 에어실린더(58)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의 상기 패널(70)을 상기 이동구(56)에 의해 적재하여 신속하게 상기 패널(70)이 얹혀진 상기 받침부재(26)의 아래에까지 신속하게 상승한 후, 상기 받침부재(26)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패널(70)을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체(20)의 받침부재(26)에는 상부로부터 비어있는 것이 없이 상부로부터 아래에 차례로 적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에 따르면, 패널 리프팅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지그 위로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패널을 올리게 되고, 상기 패널은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순차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체의 최상부로에 위치된 받침부재로부터 채워 그 아래 방향으로 계속 공급함으로써, 상기 프레스 기계에 고장 발생시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패널이 여러개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립라인으로 상기 패널이 계속적인 공급이 가능한 것은 물론, 프레스 기계가 정상적으로 재차 작동하게 되면, 신속이동부재에 의해 신속히 비어있는 프레임체의 받침부재에 패널을 적재함에 따라, 프레스 기계의 고장시에도 조립 라인에 계속적으로 패널을 공급할 수 있어 재가동율 향상에 따른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5)

  1.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패널을 이송하는 패널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22)과 수평 프레임(24)을 종,횡으로 배열하고, 내부에는 하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패널(70)의 받침부재(26)가 상부에서 하부까지 차례로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패널(70)이 공급될 수 있게 한 프레임체(20);
    상기 프레임체(20)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상기 패널(70)을 상부로 공급하는 배출수단(30);
    상기 배출수단(30)에 의해 상기 패널(70)을 공급 받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상승하면서 차례로 공급하는 순차공급수단(80);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체(20)에 설치되는 상승수단(40);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차공급수단(80)보다 빠르게 상기 패널(70)을 이송시키는 신속공급수단(50);
    상기 순차공급수단(80)과 상기 신속공급수단(50)에 의해 상부로 올려진 상기 패널(70)을 잡아 조립 라인으로 공급하는 행거수단(90); 및
    상기 순차공급수단(80)이 상승된 상태에서 자중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수단(60)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30)은
    상기 프레임체(20) 하부에 설치되는 몸체(32);
    상기 몸체(3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선단의 패널안착부(34)를 상승 및 하강 작동시키는 제1 에어실린더(36); 및
    상기 패널안착부(34)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32)에 관통 안내되는 가이드봉(38)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수단(40)은
    상기 프레임체(2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견인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2);
    상기 프레임체(20)의 상부 중앙과 우측편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1 풀리(44) 및 제2 풀리(46); 및
    상기 구동모터(42)에 선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풀리(44)와 제2 풀리(46)를 거쳐 방향이 전환되어 후단이 상기 순차공급수단(80)에 연결된 상승체인(4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속공급수단(50)은
    상기 프레임체(20)의 각 수직 프레임(22) 내측으로 설치되고, 일측 표면에는 랙기어(52)가 형성되는 수직 안내봉(59);
    상기 랙기어(52)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4)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구(56); 및
    상기 수직 안내봉(59)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안내봉(59)을 상승시키는 제2 에어실린더(58)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수단(60)은
    상기 프레임체(20)의 상부 중앙과 좌측편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3 풀리(62) 및 제4 풀리(64);
    상기 순차공급수단(8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3 풀리(62)와 제4 풀리(64)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하강체인(66); 및
    상기 하강체인(66)의 타단에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상기 순차 공급수단(80)을 하강시키는 무게추(6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KR1019980060575A 1998-12-30 1998-12-30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KR100279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575A KR100279779B1 (ko) 1998-12-30 1998-12-30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575A KR100279779B1 (ko) 1998-12-30 1998-12-30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097A KR20000044097A (ko) 2000-07-15
KR100279779B1 true KR100279779B1 (ko) 2001-02-01

Family

ID=1956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575A KR100279779B1 (ko) 1998-12-30 1998-12-30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219B1 (ko) * 2002-04-12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널 리프터
KR101940140B1 (ko) * 2017-02-28 2019-01-18 (주)신우에이엔티 배터리 팩 제조 설비용 사이드 플레이트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097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2957B1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sheet material
CN116038869B (zh) 一种双模混凝土压力成型装置及方法
CN111618131A (zh) 一种内部整形的汽车钢圈整形生产线
KR100279779B1 (ko) 자동차 생산 라인의 패널 리프팅장치
CN113232940A (zh) 一种能与包装机灌料管相配合上袋的自动上袋机
CN114347344A (zh) 一种自动开合模机构及开合模方法
CN210679416U (zh) 连续保压机
CN110102992B (zh) 一种适用钢丝球自动拉松处理的方法
CN216785586U (zh) 一种机械加工用自动上料装置
CN219057701U (zh) 一种自动放料装置
CN114570848B (zh) 一种多机联动线及其操作方法
JP3295004B2 (ja) 低高型プレス装置
CN214163980U (zh) 一种用于生产墙纸墙贴的自动吸塑成型机
CN111267271B (zh) 脱模辅助力可控的硫化机
JPH0622771B2 (ja) パネル部品組立ラインにおける搬送装置
CN216658407U (zh) 一种手模注浆自动取坯设备
JP3048773U (ja) 打抜き機に於ける下刃中空部の開閉機構
CN216966084U (zh) 一种多机联动线
CN215625277U (zh) 山楂木、果丹皮揭片用浆片取放输送装置
CN218227809U (zh) 一种吹塑机自动放罐口装置
CN215799649U (zh) 一种稳定升降的皮具加硫机真空发生装置
CN111267272B (zh) 硫化机中模脱模方法
CN209906624U (zh) 一种3d曲面玻璃模具的自动开合模装置
CN211681103U (zh) 自动上下料装备和自动上下料机
KR0165087B1 (ko) 평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