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586B1 -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586B1
KR100279586B1 KR1019930020276A KR930020276A KR100279586B1 KR 100279586 B1 KR100279586 B1 KR 100279586B1 KR 1019930020276 A KR1019930020276 A KR 1019930020276A KR 930020276 A KR930020276 A KR 930020276A KR 100279586 B1 KR100279586 B1 KR 10027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everse
optical sensor
turned
j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606A (ko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3002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586B1/ko
Publication of KR95000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586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는 한개의 반사판과 광센서를 사용하게 되어 테이프가 주행상태인지 정지상태인지만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가 정지하면 테이프가 끝까지 돌아갔다고 판단하여 플레이모드에 따라 정지되거나 오토리버스시키게 되어 테이프잼(Tape Jam)이 발생하게 되면 더욱 테이프잼 상황을 악화시켜 테이프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방향과 역방향의 테이블 주행상태를 판단하는 분사판과 광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테이프가 정방향으로 주행할 시 테이프잼(Tape Jam) 상황이 발생하면 방향전화명령을 주어 테이프를 역방향으로 주행시켜 테이프잼을 해제시킨 다음 다시 방향전환명령을 주어 원래의 방향으로 주행토록 하고, 테이프잼이 일정회수 이상 발생하면 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켜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토록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정치 및 방법을 창안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상태 검출 장치도.
제2도는 제1도에 대한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대한 신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도.
제5도는 제4도에 대한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에 대한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2, 2′ : 핀치롤러
3, 3′ : 캡스턴롤러 4, 4′ : 릴기어
5, 5′ : 기어 6, 11, 11′ : 반사판
7, 12, 12′ : 광센서 8, 13 : 마이크로 컴퓨터
9 : 모터 10 : 헤드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Tape Jam)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주행시킬 경우 주행중에 테이프가 롤러에 엉키는 테이프잼 (Tape Jam)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상태 검출 장치이고, 제2도는 종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상태 검출 장치 블럭도로서,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정방향 핀치롤러(2), 역방향 핀치롤러(2′)와 각각 압착되어 회전하면서 테이프(1)를 추출하는 정방향 캡스턴 롤러(3) 및 역방향 캡스턴롤러(3′)와, 상기 정방향 핀치롤러(2)와 정방향 캡스턴 롤러(3) 및 역방향 핀치롤러(2′)와 역방향 캡스턴롤러(3′) 사이에서 추출되는 테이프(1)를 각기 감는 정방향 릴기어(4), 역방향 릴기어(4′)와, 상기 정방향 릴기어(4) 및 역방향 릴기어(4′)와 각기 맞물려 회전하는 정방향기어(5), 역방향기어(5′)와 상기 역방향기어(5′)와 일체로 되어 회전하면서 광을 통과시키는 반사판(6)과, 상기 반사판(6)을 통해 광을 송,수신하여 피크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7)와, 상기 광센서(7)에서 출력되는 피크신호를 입력받아 테이프(1)의 주행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정,역방향 릴기어(4)(4′)를 회전시키는 모터(9)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8)로 구성하며, 미설명부호 10은 테이프(1)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헤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동작을 첨부한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테이프(1)가 정방향(FWD)으로 주행할 경우 정방향 핀치롤러(2)와 캡스턴롤러(3)는 압착되어 회전하면서 테이프(1)를 뽑아내고, 이 테이프는 정방향 릴기어(4)측의 권취릴(미도시)에 감기게 된다.
이때 역방향 릴기어(4′)측의 공급릴(미도시)에 감겨 있는 테이프가 풀려지면서, 그 역방향 릴기어(4′)와 맞물려 있는 역방향기어(5′)가 회전하고 이와 일체로 된 반사판(6)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광센서(7)의 발광부가 광을 반사판(6)으로 발광하면 광센서(7)의 수광부는 반사판(6)에 의해 반사하는 광을 수광하여 마이크로컴퓨터(8)로 피크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8)는 피크신호가 발생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광센서(7)의 온/오프를 판단하는데 광센서(7)가 “온”되어 피크신호가 발생하면 역방향기어(5′)가 회전상태임을 판단하고 “오프”되어 피크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역방향기어(5′)가 정지상태임을 판단한다.
이와같이 마이크로컴퓨터(8)는 역방향기어(5′)의 상태에 따라 정방향릴기어(4)를 구동하는 모터(9)를 제어하게 된다.
제3도는 마이크로컴퓨터(8)의 신호 흐름도로서, 다음과 같이 모터(9)를 제어한다.
먼저, 테이프(1)가 재생(Play)중인지를 판단하여(S1) 재생중이면 광센서(7)가 “온”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2) 이때, 상기 광센서(7)가 “온”되어 있으면 테이프(1)가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상태이고, 광센서(7)가 “오프”되어 있으면, 즉 테이프(1)의 주행이 정지하여 광센서(7)가 피크신호를 발생하지 못하면 테이프(1)가 완전히 감겨졌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재생모드 (Play Mode)가 단방향 재생모드()인가를 판단하는데(S3), 단방향 주행모드이면 정지모드(stop mode)로 가서 시스템을 정지시키고(S4) 양방향 주행모드()이면 오토리버스모드(Auto Reverse Mode)로 가서 테이프(1)를 역방향으로 주행시킨다.(S5)
한편, 상기에서 테이프(1)가 재생중이 아니면(S1) 정지모드(Stop Mode)로 가서 시스템을 정지시키게 된다.(S4)
그러나, 이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는 테이프의 상태가 정지 또는 주행상태인지 만을 판단하게 되어 테이프가 정지상태일 경우 무조건 테이프가 완전히 감긴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프잼 (Tape Jam)상황이 발생하면 정방향 릴기어(4)가 정지하게 되고 테이프(1)는 정방향 핀치롤러(2)에 엉키게 되는데, 이때 역방향 릴기어(4′)는 회전하므로 광센서(7)는 계속 피크신호를 발생하게 되어 모터(9)는 계속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잼 (Tape Jam)현상은 더욱 심화되어 테이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방향기어(5)와 역방향기어(5′)측에 반사판과 광센서를 각각 형성하여 그 광센서에서 발생되는 피크신호에 따라 테이프잼 (Tape Jam)현상이 판단되며, 벙방향 진행시 테이프잼이 발생하면 테이프를 역방향 진행시켜 테이프잼을 제거한 후 다시 정방향 진행시키고, 역방행 진행시 테이프잼이 발생했다면 상기와 반대로 정방향 진행 후 다시 역방향 진행시켜 테이프잼(Tape Jam)에 의한 테이프 손상을 방지토록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구성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블럭도로서, 상기한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방향 핀치롤러(2), 역방향 핀치롤러(2′)와 각각 압착되어 회전하면서 테이프(1)의 주행을 진행하는 정방향 캡스턴롤러(3) 및 역방향 캡스턴롤러(3′)와, 정방향으로 진행되는 테이프(1)를 감는 정방향릴기어(4) 및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테이프(1)를 감는 역방향 릴기어(4′)와 상기 정방향 릴기어(4)와 맞물려 회전하는 정방향기어(5)와 일체로 되어 광을 반사시키는 정방향 반사판(11)과, 상기 역방향 릴기어(4′)와 맞물려 회전하는 역방향 기어(5′)와 일체로 되어 광을 반사시키는 역방향 반사판(11′)과, 상기 정방향, 역방향 반사판(11)(11′)으로 광을 각각 발생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피크신호를 발생하는 정방향 광센서(12) 및 역방향 광센서(12′)와, 상기 정방향, 역방향 광센서(12)(12′)에서 출력되는 피크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판단하여 정방향, 역방향 릴기어(4)(4′)를 회전시키는 모터(9)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3)로 구성한 것으로, 미설명부호 10은 종래와 동일한 헤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재생키를 누르면 정방향(FWD)이나 역방향으로 테이프(1)가 진행하고, 진행방향에 따라 정방향 릴기어(4), 역방향릴기어(4′)가 회전하면 정방향, 역방향기어(5)(5′)가 회전하므로 그와 일체로 된 정방향 반사판(11)과 역방향 반사판(11′)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방향 반사판(11)과 역방향 반사판(11′)이 회전하면 정방향 광센서(12)와 역방향 광센서(12′)는 피크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13)로 출력한다. 이때 정,역방향 광센서(12)(12′)에서 피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정,역방향 광센서(12)(12′)는 온상태이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는 피크신호를 입력받아 테이프잼(Tape Jam)상황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정방향 주행시 테이프잼(Tape Jam)이 발생하면 정방향 핀치롤러(2)에 테이프(1)가 감겨 정방향 릴기어(4)는 정지하나 역방향릴기어(4′)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는 모터(9)로 방향전환명령(Direction)을 주어 상기 역방향릴기어(4′)를 반대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정방향 핀치롤러(2)와 캡스턴롤러(3)의 간격은 떨어지고 역방향 핀치롤러(2′)와 캡스턴롤러(3′)는 서로 붙어 테이프(1)를 주행시키므로서 상시 테이프(1)는 역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방향 핀치롤러(2)에 형성된 테이프잼(Tape Jam)상황이 해제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13)가 다시 모터(9)로 방향전환명령(Direction)을 주어 테이프(1)를 원래의 방향(정방향)으로 주행하게 함으로써 테이프잼(Tape Jam)형성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테이프(1)가 정방향 주행이 아닌 역방향 주행인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시키면 역방판 핀치롤러(2′)에 형성되는 테이프잼(Tape Jam)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을 마이크로컴퓨터(13)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변수 R1를 0으로 리세트(Reset)한 다음 정방향(FWD) 주행인지를 판단한다(S10, S11). 이때 정방향진행이면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여(S12) 온되면 테이프(1)는 정상적으로 주행됨을 판단하고, 오프이면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한다(S13).
이때 상기 역방향 광센서(12′)가 오프되면 테이프(1)가 끝까지 다 돌아간 것으로 판단하여 테이프 주행모드를 판단한다(S14).
테이프 주행모드가 단방향 재생모드()이면 테이프 주행을 정지시키고(S5) 양방향 주행모드()이면 테이프를 오토리버스(Auto Reverse)시킨다(S16).
한편, 상기에서 정방향 광센서(12)가 오프이고, 역방향 광센서(12′)가 온이면(S12, S13), 정방향에서 테이프잼(Tape Jam)상황이 시작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변수(R1)에 +1을 하고 그 변수(R1)가 3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17~S18). 이때 변수(R1)가 3보다 작으면 방향전환명령(Direction)을 주어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여 온되면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한다(S19~S21).
상기에서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면 다시 방향전환명령(Direction)을 주어(S22)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테이프(1)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상기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여(S23) 온되면 테이프잼(Tape Jam)이 해제되어 테이프(1)가 정상적으로 주행함을 인식하고,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지 않으면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3).
이때, 상기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지 않고(S12),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면 테이프잼(Tape Jam) 상황이 다시 시작된 상태로 상기한 방법을 반복 수행한다. 이러한 반복 수행이 3회 이상 수행되면 즉, 변수(R1)가 3보다 크게 되면 카세트 테이프 혹은 데크 메카니즘에 이상이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테이프(1)의 주행을 정지시킨다(S15).
또한, 정방향 테이프잼 상황이 시작된 이후의 루틴에서 테이프(1)를 역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첫번째 방향전환명령(Direction)(S19)을 수행한 후에 정방향 광센서(12)가 온이고, 역방향 광센서(12′)가 온이 아니면(S20, S21)양방향 즉 정방향 및 역방향에서 모두 테이프잼(Tape Jam)이 발생하는 상황이므로 조속히 테이프(1)의 주행을 정지시킨다(S15).
한편, 상기 정방향(FWD)주행 판단시(S11) 정방향 주행이 아니면 상기에서 설명한 경우에서 정방향 광센서(12)와 역방향 광센서(12′)의 온 판단상태를 서로 바꾸어 판단하여 역방향 주행에 따른 동작(S30~S39)을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에 있어 정,역방향 반사판(11)(11′)및 정, 역방향 광센서(12)(12′) 대신 착자된 2개의 자석판과 홀(hall)소자를 센서로 사용하여 상기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크에 정방향과 역방향에 따른 각각의 반사판과 광센서를 사용하여 테이프잼 상황을 체크함으로써 테이프잼에 따른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데크 메카니즘의 이상동작시 조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정방향, 역방향 핀치롤러(2)(2′)와 각각 압착되어 회전하면서 테이프(1)를 주행시키는 정방향, 역방향 캡스턴롤러(3)(3′)와, 진행되는 테이프(1)를 정방향, 역방향에 따라 감는 릴을 각각 회전시키는 정방향, 역방향 릴기어(4)(4′)와, 상기 정방향, 역방향 릴기어(4)(4′)와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정방향, 역방향 기어(5)(5′)로 구성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기어(5)와 일체로 되어 광을 반사시키는 정방향 반사판(11) 및 상기 역방향기어(5′)와 일체로 되어 광을 반사시키는 역방향 반사판(11′)과, 상기 정,역방향 반사판(11)(11′)으로 광을 각각 발생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피크신호를 발생하는 정방향, 역방향 광센서(12)(12′)와, 상기 정,역방향 광센서(12)(12′)에서 발생하는 피크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판단하여 상기 정방향, 역방향 릴기어(4)(4′)를 회전하는 모터(9)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3)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2. 변수(R1)를 리세트하고 테이프(1)가 정방향(FWD) 주행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S10, S11), 상기 제1단계에서 정방향(FWD) 주행이면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여 온되지 않으면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S12, S13), 상기 제2단계에서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지 않으면 테이프 주행모드를 판별하여 단방향 주행모드이면 테이프 주행을 정지시키고, 양방향 주행모드이면 오토리버스시키는 제3단계와(S14~S16), 상기 제2단계에서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면 테이프잼(Tape Jam)상황임을 인지하여 상기 변수(R1)에 “+1”을 한후 상기 변수(R1)가 3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S17, S18), 상기 제4단계에서 변수(R1)가 3보다 크지 않으면, 방향전환명령(Direction)을 주어 테이프를 역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S19, S20), 상기 제5단계에서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면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여 온되면 방향전환명령(Direction)을 주어 테이프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킨 다음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제6단계와(S21~S23), 상기 제6단계에서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면 테이프잼(Tape Jam) 상황이 해제됨을 인식하여 테이프(1)를 정상 주행시키고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지 않으면 상기 제2단계 루틴의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들어가는 제7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정방향(FWD) 주행이 아니면 상기 설명상의 정방향 광센서(12)와 역방향 광센서(12′)의 온상태를 서로 바꾸어 판단하여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8단계(S30~S3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방법.
  3. 제3항에 있어서, 제4단계에서 변수(R1)의 3보다 크면 테이프잼 상황이 빈번이 발생함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혹은 데크 메카니즘에 이상이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테이프 주행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6단계에서 정방향 광센서(12)가 온되고 역방향 광센서(12′)가 온되지 않으면, 양방향이 모두 테이프잼 상황이 일어남을 판단하여 테이프 주행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방법.
KR1019930020276A 1993-09-28 1993-09-28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27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276A KR100279586B1 (ko) 1993-09-28 1993-09-28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276A KR100279586B1 (ko) 1993-09-28 1993-09-28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606A KR950009606A (ko) 1995-04-24
KR100279586B1 true KR100279586B1 (ko) 2001-02-01

Family

ID=6682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276A KR100279586B1 (ko) 1993-09-28 1993-09-28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5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606A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586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잼 방지 장치 및 방법
US5117317A (en) Magnetic tape recording device which positions the beginning of the magnetic tape adjacent a recording head
JPH0627007Y2 (ja) ロ−デイング制御装置
JP2000156002A (ja) テ―プレコ―ダ装置
US69292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peed i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98139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50009778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구동불량 경보/제어방법
JPH0643858Y2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のダビング装置
EP1022734A2 (en) Tape-like medium running device
KR015965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되감기 모드에 따른 테이프의 슬랙방지 방법
JPH10275372A (ja) 記録再生装置の制御方法
JP3043168B2 (ja) 磁気録音再生装置
US6282047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53242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8092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36978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10008050B1 (ko) 테이프 주행계 이탈현상 인식방법
JPH05225660A (ja) 磁気テープスレッディング機構
JPH0532532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0106064A (ja) テープレコーダ
JPH03683B2 (ko)
JP2007257788A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KR19980084503A (ko) 브이시알의 슬로우 브레이크 자동 조정방법
JPH02249160A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
JPS5911559A (ja) テ−プ走行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