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539B1 -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의 면역원으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의 면역원으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539B1
KR100279539B1 KR1019980701561A KR19980701561A KR100279539B1 KR 100279539 B1 KR100279539 B1 KR 100279539B1 KR 1019980701561 A KR1019980701561 A KR 1019980701561A KR 19980701561 A KR19980701561 A KR 19980701561A KR 100279539 B1 KR100279539 B1 KR 10027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l
sant1
nse
mice
immunogen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321A (ko
Inventor
겐나로 실리베르토
로코 사비노
리카르도 코르테세
Original Assignee
리카르도 코르테스
이스티투토 디 리세르쉐 디 비올로지아 몰레콜라레 피. 안젤레티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카르도 코르테스, 이스티투토 디 리세르쉐 디 비올로지아 몰레콜라레 피. 안젤레티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리카르도 코르테스
Publication of KR1999004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08Antigens related to auto-immune diseases; Preparations to induce self-toler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05Inorganic adjuv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특정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형 시토킨의 과도한 생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억제에 사용되는 제약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장 넓은 범위에서 특정 야생형 시토킨에 대해 작용하고 이 시토킨의 과도한 생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에서 시토킨을 중화시킬 수 있는 항체를 생성시키는 면역원으로서, 야생형 시토킨의 수용체 길항제인 특정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의 용도로 이루어진다. 제4도는 인간 인터루킨 6으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가 야생형 인터루킨 6을 인식하여 그 생물학적 활성을 중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Description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의 면역원으로서의 용도
본 발명은 특정 야생형(wildtype) 시토킨의 수용체 길항제이면서 동시에 야생형 시토킨의 과도한 생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에서 야생형 시토킨의 생물학적 활성을 중화시킬 수 있는 야생형 시토킨에 대한 항체를 생성시키는 면역원(immunogen)으로서의 특정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mutein)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인간 이터루킨 6 (hIL-6)가 나선형 시토킨의 종류에 속하는 18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폴리펩티드라는 사실은 공지된 사실이다. 인터루킨 6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다기능성 시토킨이다. 인터루킨 6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 예를 들면 면역계의 세포, 간세포, 신장 세포, 조혈 간세포, 케라티노사이트 및 뉴런에 대한 분화 및 성장 인자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hIL∼6의 과도한 생성은 많은 질병, 예를 들면 만성 자기면역 질환, 전신계 홍반성 낭창, 골수종/형질세포종, 폐경기 후의 골다공증 및 암 악액질을 야기한다.
따라서, 상기 특정 질병에서 일반적으로 야생형 시토킨, 특히 hIL-6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할 필요성이 예방 및 치료의 측면에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용도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다른 이점을 제공하고, 이것은 하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특정 야생형 시토킨의 과도한 생성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야생형 시토킨의 변이체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대상은 야생형 시토킨의 과도한 생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 치료용 제약 화합물, 또는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야생형 시토킨의 변이체를 1 이상 함유하는 상기 질병 예방용 백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 화합물은 예를 들면 제약상 허용되는 비히클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비히클 및 제제화 방법의 예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에 기재되어 있다. 효과적인 투여에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들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의 유효량을 함유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약 화합물은 투여 대상의 질병, 체중,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적절한 양으로 투여된다. 다른 고려 인자로는 투여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 화합물은 매우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피하, 국소, 경구 및 근육내 투여할 수 있다.
활성 성분으로서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을 1종 이상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화합물은 통상적인 투여 비히클 중의 매우 다양한 형태로 치료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약 화합물은 정제, 캡슐제, 환제, 분말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연고제, 용액제, 현탁액제, 시럽제 및 에멀젼제의 형태로 경구 투여되거나 또는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정맥내, 복강내, 피하, 폐색 여부 불문한 국소, 또는 근육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모든 투여 형태는 제약 분야의 숙련가에게 잘 알려져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은 비독성의 유효량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 활성 성분의 1일 투여량은 성인의 경우 1일당 0.01 내지 1000 m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의 유효량은 일반적으로 약 0.001 내지 약 100mg/kg(체중)/일의 투여량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으로 구성되는 활성 성분은 통상 목적 투여 형태에 적합하게 선택되는 적합한 희석제, 부형제 또는 제약 비히클(일반적으로 “비히클”로 칭함)과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의 제제화는 당업계의 숙련가에게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백신은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주사가능 형태로 제제화된다. 제제는 에멀젼화되거나 활성 성분은 리포좀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활성 면역원 성분은 할성 성분과 상용성인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종종 혼합된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는 물,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에탄올 등 및 이들의 조합물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백신은 소량의 추가의 물질, 예를 들면 습윤제 또는 에멀젼화제, pH 환충제, 및(또는) 백신의 효용성을 증가시키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은 예를 들면 근육내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투여 방법에 적합한 다른 제제로는 좌제 및 경구 제제를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1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0%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일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고 본 발명에 참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 특성, 잇점 및 가능한 용도에 대한 보다 분명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는 특정 상황을 기술할 것이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야생형 hIL-6을 사용한 정상 및 NSE/hIL-6트랜스제닉(transgenic) 마우스에 대한 면역접종 실험 결과는 나타낸 것이다.
제2(a)도 및 제2(b)도는 Sant1로 약칭되는 변이체 형태 (돌연변이 Tyr 31 Asp, Gly 35 Phe, Ser 118 Arg, Val 121 Asp, Gln 175 Ile, Ser 176 Arg, Gln 183 Ala를 함유하고 hIL-6의 길항제임)를 사용한 정상 및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대한 면역접종 실험 결과는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Sant1에 대하여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의 야생형 IL-6 인식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야생형 인터루킨 6의 변이체인 Sant1로 면역접종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의 야생형 인간 인터루킨 6의 생물학적 활성 중화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5(a)도 및 제5(b)도는 실시예 7에서 실시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실시예 11에서 실시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hIL-6 및 Sant1을 사용한 hIL-6에 대한 면역 내성(immune tolerance)을 갖는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면역접종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는 쥐의 신경 특이적 에놀라제 유전자 프로모터의 조절 하에 마우스의 게놈 내에 통합된 인간 인터루킨 6의 cDNA를 갖는다.
상기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군당 5마리)를 재조합 인간 IL-6을 사용하여 면역접종하고, 대조군으로서 동일한 어미에게서 태어났지만 트랜스제닉되지 않은 마우스를 사용하여 내성 이론을 확인하였다. 또한, 5마리의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로 이루어진 군을 7개의 돌연변이 (Tyr 31 Asp, Gly 35 Phe, Ser 118 Arg, Val 121 Asp, Gln 175 Ile, Ser 176 Arg, Gln 183 Ala)를 함유하는 IL-6의 변이체 형태, 즉 Sant1 (인체 세포에 대해 잔류 생물학적 활성을 갖지 않고 hIL-6 수용체 길항제로서 작용함)로 면역접종하였다. 이 경우에도 역시 동일한 어미에게서 태어났지만 트랜스제닉되지 않은 마우스 5마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면역접종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시간 0에서 혈액 시료 (면역전 시료)를 각각의 트랜스제닉 및 비트랜스제닉 마우스로부터 차례로 채취한 후 완전 프로인트 보조제 (Complete Freund Adjuvant, CFA)의 존재 하에 항원 (마우스의 군에 따라 야생형 hIL-6 또는 Sant1) 100㎍을 복강내(IP) 투여하여 각각의 마우스를 면역접종하였다. 제1 면역접종 10일 후에 혈액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 1). 제1 면역접종 20일 후에 불완전 프로인트 보조제 (Incomplete Freund Adjuvant, IFA)의 존재 하에 항원 100㎍을 다시 사용하여 제2 면역접종을 실시하고 (제1 부스터(booster)), 10일 후에 (제1 면역접종 30일 후에) 제2 혈액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 2). 최종적으로, 제1 면역접종 40일 후에 IFA의 존재 하에 항원 100㎍을 다시 사용하여 제3 면역접종을 실시하고 (제2 부스터), 10일 후에 (제1 면역접종 50일 후에) 제3 혈액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 3).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각각의 혈액 시료로부터 대응하는 혈청을 제조하였다.
“ELISA”법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을 사용하여 면역접종에 사용된 항원에 대하여 작용하는 항체가 제2 및 제3 시료로부터 수득한 혈청에 존재하는지를 시험하였다. 이를 위해서 상기 종류의 실험을 위해 특별히 제조된 배양 평판(ELISA 평판) 중의 웰(well)의 기저부에 면역접종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항원을 비공유결합 방식으로 결합시켰다. 1x PBS 중에 10㎕/ml로 용해시킨 항원 용액 100㎕를 코팅되는 각각의 웰 중에서 14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여 항원을 고정시켰다 (“코팅(coating)”으로 명명된 조작). 항원 고정 후에 1x PBS 중의 0.8% BSA(소 혈청 알부민) 용액을 각각의 웰 중에서 4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여 웰 내부의 플라스틱을 단백질로 코팅하였다 (“차단(blocking)”으로 명명된 조작). “차단” 용액의 제거 후에 적당하게 희석된 각각의 혈청 100㎕를 실온에서 90분 동안 각 웰중에서 따로따로 배양하였다. 이 단계 동안에 웰의 기저부에 고정된 항원에 대한 어떤 항체가 혈청 중에 존재한다면 이들 항체는 항원 자체에 결합할 것이고 이에 의해 웰의 기저부에 결합될 것이다. 90분 동안의 배양 후에 혈청을 웰로부터 제거하고 적절하게 세척한 후에 마우스 항체에 작용하는 토끼 항체를 함유하는 1x PBS중의 0.8% BSA 100㎕를 각 웰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50분 동안 계속 배양하였다. 이 단계 동안에 마우스 항체가 웰의 기저부에 고정된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하였다면 이들 마우스 항체는 토끼 항체에 의해 인식되어 이 항체에 결합될 것이고 따라서 토끼 항체는 웰의 기저부에 고정될 것이다. 또한, 다코사(DAKO)에서 제조하여 시판하는 마우스 항체 (상기 실험에서 PBS/BSA 중에 1:100의 비율로 희석 사용됨)에 작용하는 토끼 항체는 효소 양고추냉이 퍼록시다제에 공유결합된다. 50분 동안 배양한 후에 토끼 항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제거한 후 웰을 적절하게 세척하였다. 이 때, 양고추냉이 퍼록시다제에 대한 기질 (TBM: 3,-3',-5,-5'-테트라메틸-벤지딘-디클로라이드)을 함유하는 용액 100㎕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효소는 기질을 450 nm에서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생성물로 전환시키고 이와같은 전환량은 ELISA판독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웰 중에서 분광광도계에 의한 450 nm에서의 흡광도 측정치로 계산할 수 있다. 실험을 적정하게 수행한 경우에는 흡광도 (즉 흡수된 광의 양)은 효소의 양에 비례하고, 이것은 혈청에 본래 존재하는 항원에 작용하는 마우스항체의 양에 비례하는 토끼 항체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흡광도 측정치는 혈청에 존재하는 항원에 작용하는 마우스 항체의 양에 대한 추정치를 제공한다. 이것은 항원에 작용하는 마우스 항체가 상기 반응 사슬의 제한 인자인 경우에 들어맞는다. 따라서, 적절한 조건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조사되는 각 혈청에 대하여 면역접종에 사용된 항원에 대한 마우스 항체의 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지만 반응계를 포화시킬 정도로 높지는 않는 특정 희석물이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조사되는 각각의 혈청에 대한 일련의 희석물 (1:33 내지 1:8100)을 사용하는 것이 권고된다.
일반적인 정상 마우스 및 일반적인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대한 야생형 IL-6 (wt IL-6) 면역접종 실험 결과를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하였다. 제1(a)도에서 알 수 있듯이, 정상 마우스는 혈청이 1:8100으로 희석된 경우에도 시그날을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항-wtIL-6 항체를 다량 생성하였다. 그 반대로, 제 1(b)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제닉 마우스는 훨씬 소량의 항체를 생성하였다: 사실상 신호는 제2 시료에서 채취한 혈청을 1:300의 비율로 희석한 경우 및 제3 시료에서 채취한 혈청을 1:2700으로 희석한 경우에 소멸된다. 모든 동물에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인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면역접종전 혈청의 가장 높은 판독치보다 0.5 0.D.450높은 판독치를 제공하는 혈청의 희석율을 통상 “역가”로 명명하였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제2 및 제3 시료의 역가를 각각 정상 마우스 및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대해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제2(a)도 및 제2(b)도는 각각 일반적인 정상 마우스 및 NSE/hIL-6트랜스제닉 마우스에 대한 IL-6 변이체인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 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두 종의 마우스는 모두 다량의 항-Sant1 항체를 생성시켰다. 사실상, 혈청이 1:8100으로 희석된 경우에도 비교적 강한 시그날을 검출할 수 있다. 제2(a)도 및 제2(b)도 제2 및 제3 시료의 역가를 정상 마우스 및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대해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표 1은 상기 실험 동안 접종된 모든 마우스의 제2 및 제3 시료에 대한 역가데이터(상기한 바와 같이 계산함)를 요약한 것이다.
[표 1]
Sant1의 면역원성
wtIL-6 항원을 접종한 마우스에 있어서 동물 사이에 차이는 있지만 비트랜스제닉 마우스에는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수득한 것보다 평균적으로 10 내지 20배 더 강한 wtIL-6에 대한 항체 반응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것은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인간 hIL-6의 면역 내성이 생성되었음을 입증한다.
이와 반대로, Sant1 항원이 접종된 마우스에 있어서는 동물 사이에 차이는 있지만 비트랜스제닉 마우스에는 평균적으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수득한 것과 동일한 항체 반응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것은 hIL-6에 도입되어 Sant1을 생성시키는 7개의 돌연변이가, 그렇지 않다면 hIL-6에 내성을 보일 것인 면역계에 대하여 변이체 Sant1을 완전히 외부 단백질로 만들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2]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의 혈청에서 발생한 항체는 Sant1 뿐만 아니라 야생형 hIL-6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Sant1에 대하여 마우스에 의해 생성된 항체가 Sant1 자체 뿐만 아니라 야생형 hIL-6 (wt hIL-6)도 인식할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가설은 다시 ELISA 시험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가 ELISA 평판 웰의 기저부에 고정된 동일한 변이체 Sant1을 인식하여 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한 후에, 제2 실험에서 야생형 IL-6을 ELISA 평판 웰의 기저부에 비공유적으로 결합시켰다. 웰의 플라스틱이 BSA로 포화되는 단계 후에, wtIL-6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ant1로 면역접종된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혈청의 회석물을 웰에 첨가하였다. 예를들면, 제3도는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대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ant1 및 야생형 IL-6에 대해 수득된 항체 반응은 지극히 유사하다. 달리 표현하면, 제3 시료가 1:8100의 비율로 희석된 경우에도 웰의 기저부에 고정된 wtIL-6에 결합한 항체의 존재를 제3 시료의 혈청에서 검출할수 있다.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가 야생형 IL-6을 사용하여 직접 면역접종된 경우에는 야생형 IL-6 자체에 대한 항체 반응이 훨씬 낮고 실질적으로 1:8100으로 희석된 혈청 중에서 항-wtIL-6 항체를 검출할 수 없다(제1도 참조). 다른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는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마우스와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실시예 3]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에서 발생한 항체는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도 중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하였지만 야생형 IL-6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가 야생형 IL-6 자체의 생물학적활성도 중화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야생형 IL-6의 고려되는 생물학적 활성은 인간 Hep3B 혈종 세포에서 교차(C)-반응성 단백질 유전자 프로모터에 의한 전사를 자극하는 능력이었다. 전사 자극 효능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Gregory, B., Savino, R. and Ciliberto, G., J. Immunological Methods, 170, 47-56, 1994).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4 및 #5(두 마우스 모두 Sant1로 면역접종됨)로부터 채취한 제3 시료에서 수득한 혈청의 연속적인 희석물의 존재 하에 야생형 IL-6 4 ng/ml을 사용하여 인간 Hep3B혈종 세포를 자극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4도에 도시하였다. 제4도에서 1:100으로 희석된 두 개의 혈청은 모두 인간 혈종 세포에 대한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을 4 ng/ml에서 거의 완전히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야생형 hIL-6에 대한 교차 반응성 항체 반응의 발생이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혈청에서 측정된 야생형 hIL-6의 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hIL-6 농도는 “R&D 시스템스(Systems)”사에서 시판하는 키트를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정확하게 사용하여 “샌드위치” ELISA시험에 의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면역접종전 시료 및 제3 시료 모두에서 발견된 hIL-6의 농도를 Sant1로 면역접종된 트랜스제닉 마우스 4마리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요약하였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Sant1 자체와 wtIL-6을 모두 인식하는 강한 항체 반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R&D 시스템사에서 시판하는 ELISA “샌드위치” 키트를 사용하여 NSE/hIL-6 마우스의 혈청에서 검출될 수 있는 hIL-6의 농도를 평균 500배 이상 저하시킨다.
[표 2]
NSE/hIL-6 마우스의 혈청에서 검출될 수 있는 hIL-6의 농도 저하
[실시예 4]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는 또한 체내에서의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도 중화시킬 수 있다.
IL-6이 간에 의한 일련의 단백질 (“급성상(acute phase) 단백질”로 칭함)의 생성을 유도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서 SAA로 약칭되는 혈청 아밀로이드 A는 급성 사건 동안 강하고 신속한 증가를 보인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하고 wtIL-6에 교차반응할 수 있는 항체가 hIL-6의 주사 후에 마우스 SAA(mSAA)의 증가 억제도로서 측정되는,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을 체내에서도 중화시킬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혈액 시료 (이하, 주사전 시료로 칭함)를 비면역접종된 (대조군) NSE/hIL-6 마우스, wt hIL-6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 및 Sant1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로부터 채취하였다. 시험 동물을 회복시킨 후에 hIL-6 10 ㎍을 복강내 주사하였다. 주사 9시간 후에 제2 혈액 시료 (이하 주사후 시료로 칭함)를 양군의 동물로부터 채취하였다. “바이오소스 인터내석날(Biosource International)”사에서 시판하는 키트를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정확하게 사용하여 “샌드위치” ELISA 시험에 의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주사전 시료 및 주사후의 시료의 mSAA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요약하였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물 사이에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hIL-6 10㎍을 주사한 비면역접종된 마우스에서 혈청내 SAA 농도의 상당한 증가가 측정되었고 이러한 증가는 동일한 양의 hIL-6을 주사한 Sant1 면역접종 마우스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Sant1 자체와 wtIL-6을 모두 인식하고 인간 혈종 세포에 대한 wt hIL-6의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을 중화시킬 수 있는 강한 항체 반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hIL-6의 주사에 의해 유도되는 mSAA의 체내 농도 증가를 억제한다. 즉,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hIL-6의 체내 생물학적 활성도 중화시킨다. 야생형 hIL-6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소량의 항 hIL-6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고 (실시예 1), 이것은 야생형 hIL-6으로 면역접종된 마우스가 비면역접종된 대조군 마우스에서 관찰되는 것과 비교할만한 혈청내 SAA 농도 증가를 보이기 때문에 hIL-6의 주사에 의해 유도되는 mSAA 농도의 증가를 체내에서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표 3]
[실시예 5]
보조제로서의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hIL-6 및 Sant1을 사용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면역접종
상이한 항원은 상이한 보조제 중에 제제화되는 경우에 상이하게 작용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Gupta, R. K. and Siber, G. R., Vaccine, 13, 1263-1276, 1995).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면역접종 실험에서 사용된 완전 (또는 불완전) 프로인트 보조제는 부작용, 대체로 주사 부위에서의 국소 반응, 예를 들면 육아종 및 포낭형성 때문에 인체에 사용될 수 없다 (Gupta, R. K. and Siber, G. R., Vaccine, 13, 1263-1276, 1995).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인간에 대한 면역접종에 통상 사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Sant1 및 wt hIL-6에 대한 고역가의 항체를 사용할 때 유사한 면역 반응이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현재 매우 우수한 안전성 기록을 가지면서 인체에 통상 사용되는 보조제이기 때문에 수산화알루미늄을 선택하였다 (Gupta, R. K. and Siber, G. R., Vaccine, 13, 1263-1276, 1995).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8 내지 10마리로 이루어진 군(동일한 어미에게서 태어난 비트랜스제닉 마우스 10마리를 대조군으로 사용)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면역접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각 주사당 총 용량 100㎕(수산화알루미늄 100 ㎍) 중에 1 mg/ml로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항원 100 ㎍(Sant1 또는 야생형 hIL-6)을 복강내 주사하여 면역접종하였다. 제2 혈액 시료 (제2 주사 또는 제1 부스터 후에 채취) 및 제3 시료 (제3 주사 또는 제2 부스터 후에 채취)에 대하여 면역접종에 사용된 항원에 대한 항체의 존재 여부를 실시예 1에서 기술한 “ELISA”에 의해 시험하였다.
모든 시험 동물에 대해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인 측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동일한 동물로부터 채취한 면역접종전 혈청의 가장 높은 판독치보다 0.5 O.D.450높은 판독치를 제공하는 혈청의 희석율을 통상 “역가”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역가는 제1(a)도, 제1(b)도, 제2(a)도 및 제2(b)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야생형 hIL-6 및 Sant1로 면역접종된 정상 마우스 및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대해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면역접종 실험에서 수득한 항원에 대한 항체의 양(역가)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면역접종 실험에서 수득한 항체의 양보다 더 높았고, 실제로 알루미늄 보조제가 혈청 항체의 유도를 위한 보조제라는 사실은 현재 통상적인 기술의 일부이다 (Gupta, R. K. and Siber, G. R., Vaccine, 13, 1263-1276, 1995). 보다 구체적으로는, wt hIL-6 항원으로 면역접종된 마우스에 있어서 (동물 사이에 차이는 있지만) 비트랜스제닉 마우스에는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수득한 것보다 평균적으로 12 내지 18배 더 강한 wt IL-6에 대한 항체 반응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것은 트랜스제닉 마우스가 보조제로서의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인간 hIL-6 항원이 주사된 경우에도 인간 IL-6에 대한 면역 내성을 생성시켰음을 입증한다. 이와 반대로,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 항원으로 면역접종된 마우스에 있어서는 이 경우에도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면역접종 실험에서와 같이 평균적으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수득한 것과 동일한 항체 반응이 비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것은 (hIL-6에 도입되어 Sant1을 생성시키는) 7개의 돌연변이가 변이체 Sant1을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경우에도 완전히 일부 단백질로 만들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표 4a]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및 야생형 대조군 마우스에 복강내 주사된 Sant1 및 wt hIL-6의 면역원성
[표 4b]
[실시예 6]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의 혈청에서 발생한 항체는 Sant1과 야생형 hIL-6을 모두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 마우스에서 Sant1에 대하여 발생한 항체가 야생형 hIL-6 (wt hIL-6)과 교차반응할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시험은 실시예 2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실시하였다. 항체 역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a)도, 제1(b)도,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산하였고 수득한 데이터를 표 5에 기록하였다.
[표 5]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복강내 주사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혈청의 hIL-6에 대한 교차 반응성
또한, 수산화알루미늄을 면역접종용 보조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Sant1 및 야생형 hIL-6에 대한 항체 역가는 유사하였다.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야생형 hIL-6으로 면역접종한 경우에 야생형 hIL-6 자체에 대해 작용하는 항체 반응은 훨씬 낮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제3 혈액 시료에서 wt hIL-6에 대한 평균 역가는 wt hIL-6으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의 군에서 737이고 (실시예 5 참조), 이에 비해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의 군에서 wt hIL-6에 대한 항체 역가는 평균 22800(13배)이다.
[실시예 7]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는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도 중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l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하였지만 야생형 hIL-6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가 야생형 hIL-6 자체의 생물학적 활성도 중화시킬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야생형 IL-6의 고려되는 생물학적 활성은 인간 Hep3B 혈종 세포에서 C-반응성 단백질 유전자 프로모터에 의한 전사를 자극하는 능력이었다. 전사 자극 효능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Gregory, B., Savino, R. and CilibeFto, G., J. Immunological Methods, 170, 47-56, 1994). 야생형 IL-6 4 ng/ml을 사용하여 인간 Hep3B 혈종 세포를 자극하고, 이러한 정도의 자극을 100%로서 설정하고 Sant1과 야생형 hIL-6에 의해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제3 혈액 시료에서 수득한 혈청의 연속적인 희석물의 존재 하에 야생형 hIL-6 4 ng/ml으로 자극하였다. 후자의 경우에 전사 자극의 정도는 야생형 hIL-6 4 ng/ml만을 사용하여 배양한 혈종 세포에서 수득한 자극에 대한 비율로서 표현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하였다. 제5도에서 1:400으로 희석된 모든 마우스의 혈청은 인간 혈종세포에 대한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을 4 ng/ml에서 거의 완전히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첨가된 hIL-6의 인간 혈종 세포에 대한 생활성을 중화시키는 능력은 CFA로 면역접종된 동물에서보다 수산화알루미늄으로 면역접종된 동물의 혈청에서 훨씬 높았다(실시예 3 참조 및 제4도와 제5(a)도 비교).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야생형 hIL-6으로 면역접종한 경우에 수득된 매우 소량의 항 hIL-6 항체는 인간 혈종 세포에 대한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을 억제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제5(b)도 참조).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야생형 hIL-6에 대한 교차 반응성 면역 반응의 발생이 Sant1 및 야생형 hIL-6에 의해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혈청에서 측정된 야생형 hIL-6의 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hIL-6 농도는 두 군의 마우스의 면역접종전 시료 및 제3 시료 모두에서 실시예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요약하였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Sant1 자체와 wt hIL-6을 모두 인식하는 강한 항체 반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혈청에서 검출될 수 있는 hIL-6의 농도를 평균 약 1,400배 저하시킨다. 동일한 보조제 중에 제제화된 야생형 hIL-6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혈청에서 검출될 수 있는 hIL-6의 농도를 단지 약간 저하시킨다(상기 1,400배에 비해 단지 3배에 불과함).
[표 6]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 및 wt hIL-6으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의 혈청에서 검출될 수 있는 hIL-6의 농도 저하
[실시예 8]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로 NSE/hIL-6 마우스에서 생성된 항체는 wt hIL-6의 생물학적 활성을 체내에서도 중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하였지만 wtIL-6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가, 실시예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hIL-6의 주사에 의해 마우스에서 유도되는 마우스 SAA (mSAA)의 혈청내 농도 증가로서 측정되는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을 체내에서도 중화시킬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로 면역접종되지 않은 NSE/hIL-6 마우스 (대조군) 및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에 대해 실시예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요약하였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물 사이에 차이는 있지만 hIL-6 10㎍을 주사한 비면역접종된 마우스에서는 평균적으로 혈청내 SAA 농도의 5 내지 6배 증가가 측정되었다.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로 면역 접종되고 동일한 양의 hIL-6을 주사한 마우스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표 7]
hIL-6 주사 후에 Sant1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및 대조군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검출가능한 mSAA의 농도 증가
따라서,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Sant1 자체와 wtIL-6을 모두 인식하고 인간 혈종 세포에 대한 wt hIL-6의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을 중화시킬 수 있는 강한 항체 반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hIL-6의 주사에 의해 유도되는 mSAA의 체내 농도 증가를 억제한다. 즉,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hIL-6의 체내 생물학적 활성도 중화시킨다.
[실시예 9]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고 피내 투여 경로로 투여된 hIL-6 및 Sant1을 사용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면역접종
상기 실시예 5, 6, 7 및 8은 인체에 사용하기 적합한 보조제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hIL-6의 변이형 (Sant1)을 사용하여 시험관내 및 체내 모두에서 hIL-6 생활성을 중화시킬 수 있는 wt hIL-6 자체에 대한 강한 항체 반응을, 그렇지않으면 wt hIL-6에 내성인 동물에서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시예 5에서 설명한 면역접종 실험에서 항원은 인간 면역접종에 일반적인 투여 경로가 아닌 복강내 주사되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Sant1 및 wt haIL-6에 대한 높은 역가의 항체를 사용한 유사한 면역 반응이 인간 면역접종에 사용되는 투여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것이다.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8 내지 9마리로 이루어지는 군 (동일한 어미에게서 태어난 비트랜스제닉 마우스 10마리를 대조군으로 사용)에 대하여 통상의 방법에서 설명되는 수종의 백신 투여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인간에 대한 피하(S.C.) 투여 경로에 대응하는 마우스에 대한 피내(I.D.) 투여 경로로 투여하여 면역접종하였다. 다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면역접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각 주사당 총 용량 100㎕(수산화알루미늄 100㎍)에 1 mg/ml로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항원 (Sant1 또는 야생형 hIL-6) 100 ㎍을 사용하였다. 제2 혈액 시료 (제2 주사 또는 제1 부스터 후에 채취) 및 제3 혈액 시료 (제3 주사 또는 제2 부스터 후에 채취)에 대하여 면역접종에 사용된 항원에 대한 항체의 존재 여부를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 “ELISA”에 의해 시험하였다.
모든 시험 동물에 대해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인 측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동일한 동물로부터 채취한 면역접종전 혈청의 가장 높은 판독치보다 0.5 0.D.450높은 판독치를 제공하는 혈청의 희석율을 통상 “역가”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역가는 제1(a)도, 제1(b)도, 제2(a)도 및 제2(b)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야생형 hIL-6 및 Sant1로 면역접종된 정상 마우스 및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대해 측정하였다.
wt hIL-6 항원으로 면역접종된 마우스에 있어서 (동물 사이에 차이는 있지만) 비트랜스제닉 마우스에는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수득한 것보다 평균적으로 40 내지 50배 더 강한 wt IL-6에 대한 항체 반응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있고, 이것은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인간 hIL-6 항원이 피내 투여 경로로 투여된 경우에도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인간 IL-6에 대한 면역 내성이 발생하였음을 입증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 항원으로 면역접종된 마우스에 있어서는 이 경우에도 실시예 1 및 5에서 설명한 면역접종 실험에서와 같이 평균적으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수득한 것과 대등한 항체 반응이 비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것은 (hIL-6에 도입되어 Sant1을 생성시키는) 7개의 돌연변이가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투여 경로에 의해 주사된 경우에도 변이체 Sant1을 완전히 외부 단백질로 만들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표 8a]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및 야생형대조군 마우스에 피내 주사된 Sant1 및 wt hIL-6의 면역원성
[표 8b]
[실시예 10]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의 혈청에서 발생한 항체는 Sant1 뿐만 아니라 야생형 hIL-6도 모두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된 Sant1의 피내 투여 경로에 의한 주사로 면역접종된 NSE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가 야생형 hIL-6 (wt hIL-6)과 교차반응할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시험은 실시예 2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실시하였다. 항체 역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a)도, 제1(b)도,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한 바에 따라 계산하였고 수득한 데이터를 표 9에 기록하였다.
[표 9]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주사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혈청의 wt hIL-6에 대한 교차 반응성
수산화알루미늄을 피내 투여 경로를 통한 면역접종용 보조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Sant1 및 야생형 hIL-6에 대한 항체 역가는 유사하였다.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야생형 hIL-6으로 면역접종한 경우에 야생형 hIL-6 자체에 대한 항체 반응은 훨씬 낮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제3 혈액 시료에서 wt hIL-6에 대한 평균 역가는 wt hIL-6으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의 군에서 139이고 (실시예 9 참조), 이에 비해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의 군에서 wt hIL-6에 대한 평균 역가는 9400(70배)이다.
[실시예 11]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주사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는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도 중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주사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가 야생형 hIL-6 자체의 생물학적 활성을 중화시킬 수도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야생형 IL-6의 고려되는 생물학적 활성은 인간 Hep3B 혈종 세포에서 C-반응성 단백질 유전자 프로모터에 의한 전사를 자극하는 능력이었다. 전사 자극 효능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Gregory, B., Savino, R. and Ciliberto, G., J. Immunological Methods, 170, 47-56, 1994). 실시예 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야생형 hIL-6 4 ng/ml을 사용하여 인간 Hep3B 혈종 세포를 자극하고, 이러한 정도의 자극을 100%로서 설정하고 Sant1 및 야생형 hIL-6의 피내 투여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제3 혈액 시료에서 수득한 혈청의 연속적인 희석물의 존재 하에 야생형 hIL-6 4 ng/ml으로 자극하였다. 후자의 경우에 전사 자극의 정도는 4 ng/ml의 야생형 hIL-6만을 사용하여 배양한 세포에서 수득한 자극에 대한 비율로서 표현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하였다. 제6도에서 1:400으로 희석된 모든 마우스의 혈청은 인간 혈종 세포에 대한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을 4 ng/ml에서 80% 이상 억제함을 알 수 있다.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야생형 hIL-6으로 면역접종한 경우에, 수득된 매우 소량의 항 hIL-6항체는 인간 혈종 세포에 대한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을 억제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6(b)도 참조).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야생형 hIL-6에 대한 교차 반응성 항체 반응의 발생이 Sant1과 야생형 hIL-6에 의해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혈청에서 측정된 야생형 hIL-6의 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hIL-6 농도는 두 군의 마우스의 면역접종전 시료 및 제3 시료에 대하여 실시예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요약하였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주사된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Sant1 자체와 야생형 hIL-6을 모두 인식하는 강한 항체 반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혈청에서 검출될 수 있는 hIL-6의 농도를 평균 약 350배 저하시킨다. 이와 대조적으로, 동일한 보조제 중에 제제화된 야생형 hIL-6자체를 사용한 면역접종은 혈청에서 검출될 수 있는 hIL-6의 농도를 단지 약간 저하시킬 뿐이다 (상기 350배에 비해 단지 2.4배에 불과함).
[표 10]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주사된 Sant1 및 wt hIL-6으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의 혈청에서 검출될 수 있는 hIL-6의 농도 저하
[실시예 12]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주사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에서 생성된 항체는 체내에서의 wt hIL-6의 생물학적 활성도 중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주사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발생한 항체가, 실시예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hIL-6의 주사에 의해 마우스에서 정상적으로 유도되는 마우스 SAA(mSAA) 농도의 증가인 야생형 hIL-6의 생물학적 활성의 하나를 체내에서도 중화시킬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주사된 Sant1로 면역접종된 NSE/hIL-6 마우스에 대해 실시예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득한 수치를 실시예 4 (표 3) 및 8 (표 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실험의 대조군으로서의 면역접종되지 않은 마우스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11에 요약하였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물 사이에 차이는 있지만 비면역접종된 마우스에서 hIL-6 주사에 의해 야기된 SAA 농도의 7배 증가는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 제제화되어 피내 주사된 Sant1로 면역접종된 마우스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표 11]
hIL-6주사 후에 Sant1 면역접종된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 및 대조군 NSE/hIL-6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혈청에서 검출가능한 mSAA의 농도 증가
따라서, 인체에 사용하기 적합한 보조제 및 투여 경로에 의한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Sant1 자체와 wt hIL-6을 모두 인식하고 인간 혈종 세포에 대한 wt hIL-6의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을 중화시킬 수 있는 강한 항체 반응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hIL-6의 주사에 의해 유도되는 mSAA의 체내 농도 증가를 억제한다. 즉, 상기 Sant1을 사용한 면역접종은 hIL-6의 체내 생물학적 활성도 중화시킨다.

Claims (10)

  1. 인간 인터루킨 6 (hIL-6)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Tyr31Asp, Gly35Phe, Ser118Arg, Val121Asp, Gln175Ile, Ser176Arg 및 Gln183Ala의 7개의 아미노산에서 치환이 일어난 hIL-6 뮤테인의 면역원적 유효량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hIL-6의 과도한 생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만성 자기면역 질환, 전신계 홍반성 낭창, 골수종/형질세포종, 폐경기 후의 골다공증 및 암 악액질 중에서 선택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습윤제, 에멀젼화제, pH 완충제 또는 면역원성 조성물의 효용성을 증가시키는 보조제(adjuvant) 중에서 선택된 부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hIL-6 뮤테인의 유효량이 0.1 내지 100 mg인 면역원성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면역원이 수산화알루미늄 중에 1mg/ml로 제제화된 면역원성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정제, 캡슐제, 환제, 분말제, 과립제, 엘렉시르제, 연고제, 용액제, 현탁액제, 시럽제, 좌제 또는 에멀젼제 중 선택된 형태로 제제화 된 면역원성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주사 제제인 면역원성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경구 제제인 면역원성 조성물.
  9. 제1항, 제2항, 제7항 및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 내지 95% 함량의 면역원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25% 내지 70% 함량의 면역원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R1019980701561A 1995-09-01 1996-08-22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의 면역원으로서의 용도 KR100279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95RM000589A IT1277926B1 (it) 1995-09-01 1995-09-01 Uso di muteine di citochine naturali come immunogeni per la preparazione di composizioni farmaceutiche per curare o prevenire
ITRM95A000589 1995-09-01
PCT/IT1996/000164 WO1997009064A1 (en) 1995-09-01 1996-08-22 Use of muteins of wild-type cytokines as immunog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321A KR19990044321A (ko) 1999-06-25
KR100279539B1 true KR100279539B1 (ko) 2001-02-01

Family

ID=1140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561A KR100279539B1 (ko) 1995-09-01 1996-08-22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의 면역원으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706261B1 (ko)
EP (1) EP0858345B1 (ko)
JP (1) JP3157837B2 (ko)
KR (1) KR100279539B1 (ko)
CN (1) CN1138562C (ko)
AT (1) ATE226446T1 (ko)
AU (1) AU703300B2 (ko)
CA (1) CA2229045C (ko)
DE (1) DE69624498T2 (ko)
DK (1) DK0858345T3 (ko)
ES (1) ES2183007T3 (ko)
HK (1) HK1015708A1 (ko)
IT (1) IT1277926B1 (ko)
MX (1) MX9801550A (ko)
PT (1) PT858345E (ko)
RU (1) RU2182014C2 (ko)
WO (1) WO1997009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25984A1 (es) * 1999-10-07 2002-12-26 Maxygen Aps Polipeptidos oligomericos de cadena simple
FR2812813B1 (fr) * 2000-08-09 2004-11-26 Neovacs Utilisation d'immunogenes pour traiter ou prevenir au sein des tumeurs malignes les dereglements immunitaires induits par des facteurs extracellulaires
IL161672A0 (en) * 2004-04-29 2004-09-27 Yeda Res & Dev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y of chemotherapy-induced neuropathy
FR2978964B1 (fr) 2011-08-09 2015-02-20 Conservatoire Nat Arts Composition vaccinale anti-il-6
WO2015024148A1 (zh) * 2013-08-23 2015-02-26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异源动物细胞因子突变体疫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2512A1 (en) * 1992-07-23 1994-02-03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Carboxy terminal il-6 mutei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7654B1 (fr) 1991-06-17 1995-11-17 Pasteur Merieux Serums Vacc Composes a effet immunogene anti-cytokine, a effet immunogene anticytostatique ou a effet vaccinal anti-infection a hiv.
IT1263022B (it) * 1992-11-06 1996-07-23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Interleuchina-6 mutante con attivita' biologica migliorata rispetto all'interleuchina-6 selvatica.
IT1261787B (it) * 1993-06-23 1996-06-03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Metodologia per la selezione di superagonisti, antagonisti e super- antagonisti di ormoni del cui complesso recettoriale fa parte gp 130.
WO1997010338A1 (en) 1995-09-12 1997-03-20 Chiron Corporation Improved interleukin-6 receptor antagoni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2512A1 (en) * 1992-07-23 1994-02-03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Carboxy terminal il-6 mute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03300B2 (en) 1999-03-25
MX9801550A (es) 1998-05-31
KR19990044321A (ko) 1999-06-25
ITRM950589A0 (it) 1995-09-01
CN1138562C (zh) 2004-02-18
JP3157837B2 (ja) 2001-04-16
ES2183007T3 (es) 2003-03-16
ATE226446T1 (de) 2002-11-15
DE69624498D1 (de) 2002-11-28
EP0858345A1 (en) 1998-08-19
AU6942896A (en) 1997-03-27
RU2182014C2 (ru) 2002-05-10
DK0858345T3 (da) 2003-02-24
DE69624498T2 (de) 2003-06-18
US6706261B1 (en) 2004-03-16
JPH10511111A (ja) 1998-10-27
CA2229045C (en) 2005-10-25
CN1198098A (zh) 1998-11-04
EP0858345B1 (en) 2002-10-23
WO1997009064A1 (en) 1997-03-13
CA2229045A1 (en) 1997-03-13
IT1277926B1 (it) 1997-11-12
HK1015708A1 (en) 1999-10-22
PT858345E (pt) 2003-02-28
ITRM950589A1 (it) 199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heeler et al. A Th1-inducing adjuvant, MPL®, enhances antibody profiles in experimental animals suggesting it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efficacy of allergy vaccines
Uyttenhove et al. Development of an anti‐IL‐17A auto‐vaccine that prevents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P0666760B2 (en) VACCINE COMPRISING PART OF CONSTANT REGION OF IgE FOR TREATMENT OF IgE-MEDIATED ALLERGIC REACTIONS
US20020090379A1 (en) Inducing antibody response against self-proteins with the aid of foreign t-cell epitopes
US20030003440A1 (en) Novel CCR5 epitope and antibodies against it
JPH10503749A (ja) IgEアンタゴニストを用いる寄生虫感染症の治療法
JP2646114B2 (ja) ガンマインターフェロンに対する拮抗物質を用いるmhc関連自己免疫疾患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投与形態
JP2002537403A (ja) IgEのC−イプシロン−3またはC−イプシロン−4ドメイン由来のエピトープまたはミモトープ、その拮抗薬、及びそれらの治療的使用
KR100279539B1 (ko) 야생형 시토킨의 뮤테인의 면역원으로서의 용도
US9675679B2 (en) Vaccin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diposity
US9005627B2 (en) Contiguous overlapping peptides for treatment of ragweed pollen allergy
US20040030106A1 (en) Novel compounds and process
KR102017905B1 (ko) Ifn 알파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US20040028650A1 (en) Method for making cytokine specific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7029686B2 (en) Variants of Phleum pratense allergenic proteins
KR100587944B1 (ko) 보강제 및 HBV 백신 성분인 B형 간염 바이러스의pre S단백질
US20040115220A1 (en) Vaccine
WO2024111633A1 (ja) タンパク質に対する抗体の作製
JP2002540217A (ja) イヌアレルギー用ペプチドワクチン
EP1624063B1 (en) Chimeric gene encoding the antigenic determinants of four proteins of L. infantum
EP3845556A1 (fr) Conjugue immunogene destine a induire une reponse immunitaire dirigee contre l interleukine-6
JP4388175B2 (ja) 非特異的IgE産生促進剤
JP2003533542A (ja) T細胞結合リガンド、それを含むペプチド構築物およびそれらの免疫障害を処置するため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