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507B1 -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507B1
KR100278507B1 KR1019980034276A KR19980034276A KR100278507B1 KR 100278507 B1 KR100278507 B1 KR 100278507B1 KR 1019980034276 A KR1019980034276 A KR 1019980034276A KR 19980034276 A KR19980034276 A KR 19980034276A KR 100278507 B1 KR100278507 B1 KR 10027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formula
cationic monomer
inorganic coagu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2095A (ko
Inventor
한성욱
Original Assignee
한성욱
주식회사그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욱, 주식회사그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한성욱
Priority to KR101998003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5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095A/ko
Priority to EP99938641A priority patent/EP1161468A1/en
Priority to AU53080/99A priority patent/AU5308099A/en
Priority to PCT/KR1999/000462 priority patent/WO2000011052A1/en
Priority to US09/762,507 priority patent/US6531531B1/en
Priority to JP2000566320A priority patent/JP2002523533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0Aqueous medium with the aid of macromolecular disper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60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nitro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4Aqueous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고분자 응집제로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의 제조에 있어서, 무기응집제를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하므로써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이 폐수처리의 탈수용 고분자 응집제로 사용될 경우 플록의 함수율을 낮추어, 폐수처리 후 수득되는 탈수 케이크의 매립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은, 아크릴아미드, 음이온성 단량체, 양이온성 단량체, 양이온성 단량체의 중합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무기응집제들을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에 음이온염을 일부 가한 후, 중합시켜 고분자량의 고분자물질을 형성시킨 후, 여기에 잔여의 음이온염을 더 혼합시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플록의 함수율을 낮추어 플록의 탈수에 의하여 생성되는 탈수 케이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므로써 매립 또는 소각 등의 처리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기 고분자 응집제로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의 제조에 있어서, 무기응집제를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하므로써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이 폐수처리의 탈수용 고분자 응집제로 사용될 경우 플록의 함수율을 낮추어, 폐수처리 후 수득되는 탈수 케이크의 매립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 등과 같이 폐수 중에 포함된 고형분을 제거하는 문제가 환경오염의 예방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갈수록 증가하는 산업폐기물과 도시하수 슬러지를 줄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슬러지의 감량은 쓰레기매립지의 절약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폐기물처리에 소요되는 열에너지의 절약을 가능케 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매립용 슬러지를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처리설비의 높은 설치비용과, 지속적인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운전비용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경제적 부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으로는 폐수처리용에 있어서 응집제에 의한 응집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응집제에 의한 응집기술은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 중에 응집제를 첨가하므로써 콜로이드입자의 응집을 촉진하고, 부유입자의 자료를 크게 하고, 침강속도 혹은 부상속도를 변경시켜 분리처리하는 기술로서, 금속수산화물을 갖는 폐수에서는 음이온계의 응집제를, 황화물이나 점토 등을 갖는 폐수에서는 양이온계 응집제를, 그리고 중성부근에서는 음이온계 유기응집제가 응집에 의한 제거에 효과적이다.
최근,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하여 응집시키는 기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고분자 응집제는 폐수처리에서 콜로이드성 물질의 처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입자의 전하를 중화, 집합시키는 고분자량의 약품의 총칭으로서, 알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말레인산공중합물염, 폴리아크릴아미드부분가수분해염 등의 음이온성 고분자 응집제, 수용성아닐린수지염산염, 폴리티오요소염산염, 폴리에틸렌아미노트리아졸, 폴리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키토산, 폴리에틸렌아민, 비닐피리딘공중합물염 등의 양이온성 고분자 응집제 및 녹말, 수용성요소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등의 비이온성 고분자 응집제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들 고분자 응집제들은 콜로이드입자와 고분자물질 간의 분자간 힘의 작용에 의한 가교작용에 의하여 플록(flock)을 형성하여 응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대개 수만 내지 천만 정도의 고분자량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용적으로 제품화된 것으로는 원료로서 4급 아크릴레이트단량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를 공중합용 원료로 사용하거나, 3급 아크릴레이트를 아크릴아미드와 공중합시킨 후, 마니히반응을 시킨 것들이 소개되고 있다.
고분자 응집제에 의한 응집작용은 고분자 응집제의 선상 중합도, 즉 분자량과 이온밀도에 의해 좌우될 수 있고, 중합도는 중합의 조건에 의해서, 이온밀도는 양이온성 단량체의 몰비에 의해서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높은 중합도를 가진 고분자 응집제는 큰 플록을 형성하고, 이온밀도가 높은 고분자 응집제는 형성되는 플록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양이온성 단량체는 전량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중합도와 이온밀도는 상관관계가 있어 분자량이 큰 고분자 응집제는 이온밀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 폐수에 적합한 고분자 응집제를 찾기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중합도와 이온밀도에서 조절될 수 밖에 없었고, 보다 높은 이온밀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양이온성 단량체를 높은 몰비로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고분자 응집제의 단독투입으로 형성된 플록은 플록내에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게 되고, 이 플록을 압착, 탈수시 플록 자체의 보습성으로 인해 함수율 감소에는 한계가 있다.
고분자 응집제에 의하여 형성되는 플록에서의 함수율은 매립될 탈수 케이크(플록을 압축시켜 수득되는 고형의 덩어리)의 양을 감소시키는 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플록의 함수율을 감소시켜 탈수 케이크의 매립, 소각 등에 소요되는 자원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슬러지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은, 아크릴아미드, 양이온성 단량체, 음이온성 단량체, 양이온성 단량체의 중합체 및 무기응집제들을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에 음이온염을 일부 가한 후, 중합시켜 고분자량의 고분자물질을 형성시킨 후, 여기에 잔여의 음이온염을 더 혼합시켜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은, 단량체로서 아크릴아미드 1 내지 25중량%, 음이온성 단량체 0 내지 2중량%, 양이온성 단량체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혼합물 1 내지 30중량%, 중합체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0.5 내지 5중량%, 음이온염 15 내지 25중량%, 무기응집제 3 내지 20중량%, 분산안정제 0.05 내지 2중량%, 중합촉매 0.001 내지 0.1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 R3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그룹이고, A1은 산소원자(O) 또는 NH이고, B1은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그룹 또는 하이드로프로필렌그룹이고, X1은 음이온성 대이온이다.
상기 식에서,
R4는 H 또는 CH3이고, R5, R6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그룹이고, R7은 H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그룹이고, A2는 산소원자(O) 또는 NH이고, B2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그룹 또는 하이드로프로필렌그룹이고, X2는 음이온성 대이온이다.
이는 종래의 수용성 고분자 응집제가 단순히 양이온성 단량체와 음이온성 단량체의 혼합물을 중합한 고분자 중합체의 분산액만을 포함함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무기응집제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고분자 중합체의 중합에 있어서, 양이온성 단량체와 음이온성 단량체의 혼합물에 양이온성 단량체의 중합체를 더 포함시켜 고분자 응집제에서의 고분자물질의 중합도를 더 높인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단량체로 사용된 아크릴아미드와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타콘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양이온성 단량체로 사용된 상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상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혼합물은 상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상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가 9 : 1 내지 1 : 9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상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 및 중합체로서의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공중합체들은 본 발명에서 고분자물질을 구성하는 원료로서 이 양이온성 단량체의 함량이 높을수록 이온밀도가 높아져 형성되는 플록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단량체와 중합체들의 사용량은 응집시 형성되는 플록의 크기와 강도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고분자물질이 형성되도록 실험적으로 결정된 수치이다.
상기에서 음이온염은 상기 단량체들이 염용액에서는 용해될 수 있으나, 중합된 고분자물질은 염용액에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고분자물질을 미립화하여 쉽게 작은 입자로 석출되도록 하므로써 분산액으로 제조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음이온염으로는 암모늄설페이트, 염화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인산수소암모늄, 인산수소나트륨 또는 인산수소칼륨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염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합반응 중에 일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음이온염의 1/2 이상이 혼합되어 반응중에 투입되고, 잔여량이 완료된 후, 투입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안정적인 고분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데 적절하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상기에서 무기응집제는 특히 본 발명에서 최초로 도입된 개념으로서, 플록내에 탈수가 진행되어 플록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탈수 케이크의 함수율 자체를 낮추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기응집제의 이러한 탈수기능은 무기응집제가 플록의 패치응집(Patch flocculation)을 촉진시켜 플록의 밀도를 높여 탈수시의 함수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같은 중합도의 고분자 응집제에서 이온밀도를 높이는 결과가 되어 고분자 응집제의 플록의 강도와 밀도를 높이고, 그에 따라 함수율을 낮추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상기 무기응집제는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황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인산수소암모늄 또는 인산수소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응집제가 1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함수율의 저감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될 수 있으며, 반대로 1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고분자 응집제의 분산상태를 저해하여 제품의 보존안정성을 저해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응집제로서의 고분자물질 및 무기응집제들은 분산안정제로서의 비이온성계면활성제와 글리세린 등에 의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이온성계면활성제의 입체적인 장애와 양이온성 단량체 또는 이들의 중합체로부터 중합된 고분자물질은 자체의 고하전에 의한 반발력으로 인해 석출된 고분자물질의 입자들은 분산 안정성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수용성 고분자 중합체의 분산액으로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이온성계면활성제가 유효 고형분 농도대비 0.2중량% 미만으로 존재하는 경우, 수득된 분산액의 분산 안정성이 낮아 보관 중 쉽게 변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계면활성제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계면활성제와 함께 글리세린이 0 내지 10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이 10중량%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도 수득되는 분산액에서의 물성의 큰 차이없이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고, 특히 분산액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들을 상기 음이온성 단량체들과 함께 중합시키는 중합촉매로서는 라디칼촉매의 일종인 아조비스계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아조비스계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촉매는 0.001 내지 0.1중량%의 양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중합촉매가 0.0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촉매효과가 낮아져 중합반응이 지속되지 않거나 고중합도의 불용성 고분자물질이 제조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0.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중합반응시의 발열이 심하고, 수득율이 낮으며, 저중합도의 고분자물질이 얻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의 조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은 점도 1,000cps 이하, pH 3 이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 분산액의 1%수용액은 점도가 40cps 이상, 이온밀도 1.0meq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기보관시의 제품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척도로서 원심분리실험에서 1,8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켰을 때 침전물이 전체 중량의 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의 제조방법은,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반응용기에 단량체로서 아크릴아미드 1 내지 25중량%, 음이온성 단량체 0 내지 2중량%, 양이온성 단량체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혼합물 1 내지 30중량%, 중합체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0.5 내지 5중량%, 음이온염 15 내지 25중량%의 일부, 무기응집제 3 내지 20중량%, 분산안정제 0.05 내지 2중량%, 중합촉매 0.001 내지 0.1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를 혼합한 반응혼합물을 투입하고, 반응용기 내부를 질소로 퍼지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약 30rpm 이상의 속도로 교반시키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상기 반응혼합물을 30 내지 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고, 중합촉매 0.001 내지 0.1중량%를 가하는 가촉매단계; 중합이 개시되면 3 내지 6시간 동안 상기 반응혼합물을 상기 온도범위로 유지시키는 온도유지단계; 상기 시간의 경과 후, 상기 가촉매단계에서 사용된 중합촉매 0.001 내지 0.1중량%를 더 가하여 미반응의 잔존 단량체들을 제거하는 단량체제거단계; 및 상기 중합촉매를 가한 후 3 내지 10시간 경과 후, 나머지 일부의 음이온염을 투입하고, pH를 4이하로 조절한 후, 수득된 반응생성물을 40 내지 100메쉬의 범위의 체에 통과시키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고분자 분산액의 원료들이 투입된 반응용기의 내부를 단량체의 반응성의 유지를 위하여 질소로 퍼지시키면서 교반시켜 원료들을 균질하게 혼합시킨다. 이때 고분자 분산액의 원료들 중 특히 음이온염은 전체 사용량 중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약 1/2 이상이 투입될 수 있으며, 잔여량은 중합이 완료된 후에 투입될 수 있다. 이는 분산액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실험적으로 확인된 사실이다.
상기 가촉매단계에서는 상기 반응혼합물에 중합촉매, 예를 들면 중합반응을 촉매하는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아조비스계 촉매나 암모늄퍼설페이트와 같은 산화환원촉매를 가하여 상기 반응혼합물 중에 포함된 상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 상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 및 음이온성 단량체들을 중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반응혼합물은 중합반응이 개시될 수 있는 30 내지 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속의 온도유지단계에서는 발열반응인 중합반응에서 반응온도를 30 내지 5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필요에 따라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이 온도유지단계는 중합반응이 완료되는 시간인 3 내지 6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이후, 단량체제거단계에서는 중합되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 단량체들을 완전히 중합시키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상기 중합촉매를 더 가하여 역시 30 내지 50℃의 온도범위에서 3 내지 10시간 유지시켜 고분자 응집제에서 플록을 형성하는 고분자물질의 분산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고분자물질의 분산액에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투입되지 않고 잔류시킨 잔여의 음이온염을 투입하고, pH를 4이하로 조절한 후, 수득된 반응생성물을 40 내지 100메쉬의 범위의 체에 통과시켜 완제품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분자 분산액의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분산액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보존성이 저하되고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아크릴아미드 50%수용액 138.941g,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벤질클로라이드 4급화 단량체(80%) 126.761g,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클로라이드 4급화 단량체(80%) 36.401g,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클로라이드 4급화 중합체(20%) 20.0g,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중합체(40%) 5.0g, 암모늄설페이트 131.707g,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서 아로마틱에톡실레이트 2.0g, 글리세린 6.0g,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10%) 160.0g 및 순수 304.897g을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5구플라스크에 투입하고, 플라스크 내부를 질소로 퍼지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약 200rpm의 속도로 교반시킨 후, 46℃로 가열시키고, 상기 온도에 도달한 후, 아조비스계 중합촉매로서 일본국 와코사의 브이-50 0.04g을 가하고, 3 내지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시간의 경과 후, 다시 상기 브이-50 0.04g을 더 가하여 3 내지 10시간 경과 후, 암모늄설페이트 68.293g을 투입하고, pH를 4.0으로 조절한 후, 수득된 반응생성물을 60메쉬의 체에 통과시켜 고분자 분산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아크릴아미드 50%수용액 190.211g,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벤질클로라이드 4급화 단량체(80%) 102.270g,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단량체(60%) 38.463g,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클로라이드 4급화 중합체(20%) 10.0g,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중합체(40%) 10.0g, 암모늄설페이트 122.892g,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서 아로마틱에톡실레이트 2.0g, 글리세린 10.0g, 황산제이철(8%) 100.0g 및 순수 337.055g을 혼합하여 반응혼합물로 사용하고, 아조비스계 중합촉매로서 일본국 와코사의 브이에이-044(VA-044) 0.10g을 가하고, 중합온도를 37℃로 유지하고, 중합완료 후 첨가되는 음이온염을 염화암모늄 77.108g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고분자 분산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아크릴아미드 50%수용액 34.305g,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벤질클로라이드 4급화 단량체(80%) 203.432g,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클로라이드 4급화 단량체(80%) 87.627g,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클로라이드 4급화 중합체(20%) 18.75g,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중합체(40%) 15.625g, 암모늄설페이트 116.747g,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서 아로마틱에톡실레이트 2.0g,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10%) 125.0g 및 순수 332.261g을 혼합하여 반응혼합물로 사용하고, 아조비스계 중합촉매로서 일본국 와코사의 브이에이-044(VA-044) 0.10g을 가하고, 중합온도를 35℃로 유지하고, 중합완료 후 첨가되는 음이온염을 염화암모늄 63.253g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고분자 분산액을 수득하였다.
상기한 실시예들로부터 수득된 고분자 분산액의 경우, 플록의 함수율이 무기응집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고분자 분산액들에 비하여 2% 이상 저하되는 결과를 나타냄을 탈수시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라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용성 분산액과 비교예로서 상용화된 고분자 응집제(무기응집제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 고분자 분산액)를 형상별로 3종 즉, 분말상 응집제(비교예 1), 에멀젼상 응집제(비교예 2) 및 분산액상 응집제(비교예 3)들을 사용하여 시료로서 pH 6.8, 슬러지농도 5,500ppm의 분뇨폐수의 잉여오니 슬러지에 대한 응집효과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응집효과에 대한 실험은 500ml 비이커에 메스실린더를 이용하여 시료를 500ml씩 계랑하여 각각 따른 후 피펫이나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고분자 응집제 용액을 투입량만큼 주입하고 100rpm으로 교반하면서 플록의 발달상태를 육안관찰하였다. 플록이 더 이상 발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교반을 멈추고 플록의 크기를 측정한 다음 다시 300rpm으로 10초간 강교반하여 교반에 의해 파괴된 플록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구 분 투입량 (mg/l) 플록크기 (mm) 플록강도 (mm) 여액의 슬러지농도 (ppm)
실시예 250 4 - 5 2 - 3 25
비교예 1 50 4 - 5 1 - 2 75
비교예 2 120 5 - 6 1 - 2 50
비교예 3 400 4 - 5 1 - 2 65
실험예 2
시료로서 pH 7.2, 슬러지농도 18,000ppm의 피혁폐수의 탈수 슬러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투입량 (mg/l) 플록크기 (mm) 플록강도 (mm) 여액의 슬러지농도 (ppm)
실시예 1,000 5 - 6 3 - 4 30
비교예 1 250 6 - 7 2 - 3 100
비교예 2 600 7 - 8 2 - 3 85
비교예 3 1,500 5 - 6 2 - 3 90
실험예 3
시료로서 pH 7.5, 슬러지농도 8,000ppm의 식품폐수의 탈수 슬러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투입량 (mg/l) 플록크기 (mm) 플록강도 (mm) 여액의 슬러지농도 (ppm)
실시예 300 3 - 4 2 - 3 5
비교예 1 60 3 - 4 1 - 2 25
비교예 2 120 4 - 5 1 - 2 20
비교예 3 500 4 - 5 1 - 2 45
상기한 실험예들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플록크기가 종래의 고분자 응집제들에 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로 형성되면서도 플록강도가 비교적 우수하고, 여액에서의 슬러지농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우수한 플록형성에 의한 슬러지 제거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지를 포함하는 플록의 함수율을 낮추어 플록의 탈수에 의하여 생성되는 탈수 케이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므로써 매립 또는 소각 등의 처리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제조되는 무기응집제가 포함된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은 제지공정에서 효과적인 탈수촉진제와 보류향상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무기응집제에 의한 패치응집이 보강되어 플록이 작고 단단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백상지, 인쇄용지, 라이너지와 판지 등의 탈수촉진제 및 보류향상제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문용지와 서적용지 등 박엽지용 보류향상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반응용기에 단량체로서 아크릴아미드 1 내지 25 중량%, 음이온성 단량체 0 내지 2 중량%, 양이온 단량체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혼합물 1 내지 30 중량%, 중합체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양이온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0.5 내지 5 중량%, 음이온염 15 내지 25 중량%, 무기응집제 3 내지 20 중량%, 분산안정제 0.05 내지 2 중량% 및 잔량으로서 순수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반응혼합물을 투입하고, 반응용기 내부를 질소로 퍼지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약 3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상기 반응혼합물을 20 내지 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고, 중합촉매를 유효고형분 농도대비 0.001 내지 0.1 중량%를 가하는 중합 전처리단계; 중합이 개시되면 3 내지 6시간 동안 상기 반응혼합물을 상기 온도범위로 유지시키면서 반응 혼합물을 중합시키는 중합단계; 상기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중합 전처리단계에서 사용된 중합촉매를 유효 고형분 농도대비 0.001 내지 0.1 중량%를 더 가하여 미반응의 잔존 단량체들을 완전히 중합시키는 후중합단계; 및 상기 중합촉매를 가한 후 3 내지 10시간 경과 후, pH를 4 이하로 조절한 후, 수득된 반응생성물을 40 내지 100 메쉬의 범위의 체에 통과시키는 후처리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 R3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그룹이고, A1은 산소원자(O) 또는 NH이고, B1은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그룹 또는 하이드로프로필렌그룹이고, X1은 음이온성 짝이온이고,
    [화학식 2]
    상기식에서, R4는 H 또는 CH3이고, R5, R6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그룹이고, R7은 H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그룹이고, A2는 산소원자(O) 또는 NH이고, B2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그룹 또는 하이드로프로필렌그룹이고, X2는 음이온성 짝이온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염은 암모늄설페이트, 염화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인산수소암모늄, 인산수소나트륨 또는 인산수소칼륨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이온염이고, 상기 혼합단계에서 약 1/2 이상을 투입하고, 잔여량의 음이온염을 중합이 완료된 후처리 단계에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페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응집제는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황산알루미늄 또는 폴리황산철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페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의 제조방법.
KR1019980034276A 1998-08-24 1998-08-24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27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276A KR100278507B1 (ko) 1998-08-24 1998-08-24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EP99938641A EP1161468A1 (en) 1998-08-24 1999-08-19 Method and composition of a hydrophilic polymer dispersion containing an inorganic flocculant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AU53080/99A AU5308099A (en) 1998-08-24 1999-08-19 Method and composition of a hydrophilic polymer dispersion containing an inorganic flocculant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PCT/KR1999/000462 WO2000011052A1 (en) 1998-08-24 1999-08-19 Method and composition of a hydrophilic polymer dispersion containing an inorganic flocculant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US09/762,507 US6531531B1 (en) 1998-08-24 1999-08-19 Method and composition of a hydrophilic polymer dispersion containing an inorganic flocculant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JP2000566320A JP2002523533A (ja) 1998-08-24 1999-08-19 廃水処理に使用される無機凝集剤含有親水性ポリマー分散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276A KR100278507B1 (ko) 1998-08-24 1998-08-24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095A KR19980082095A (ko) 1998-11-25
KR100278507B1 true KR100278507B1 (ko) 2001-03-02

Family

ID=1954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276A KR100278507B1 (ko) 1998-08-24 1998-08-24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31531B1 (ko)
EP (1) EP1161468A1 (ko)
JP (1) JP2002523533A (ko)
KR (1) KR100278507B1 (ko)
AU (1) AU5308099A (ko)
WO (1) WO20000110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87B1 (ko) 2007-04-20 2010-07-05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수성 용액으로부터 인산염을 제거하는 방법
KR101535996B1 (ko) * 2013-04-25 2015-07-13 (주)기륭산업 코스모트로픽 염을 이용해 생성된 양이온성 수분산성 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입자를 함유한 w/o형 에멀젼 고분자 응집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347A (ko) * 2001-06-30 2003-01-10 황석훈 중금속 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US7091273B2 (en) 2002-05-07 2006-08-15 Akzo Nobel N.V.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 dispersion
US20050137540A1 (en) * 2003-12-23 2005-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acteria removing wipe
CA2569099C (en) * 2004-05-07 2011-07-12 Marc S. Theisen Composite fiber environmental filtration media containing flocculant
US8039550B2 (en) 2005-05-20 2011-10-18 Akzo Nobel N.V.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 dispersion and a polymer dispersion
AU2006324458B2 (en) 2005-12-13 2011-03-3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Water-based polymers for use as friction reducers in aqueous treatment fluids
US7271134B2 (en) * 2005-12-13 2007-09-1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Water-based polymers for use as friction reducers in aqueous treatment fluids
US7232793B1 (en) 2005-12-13 2007-06-1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Water-based polymers for use as friction reducers in aqueous treatment fluids
US20070142262A1 (en) * 2005-12-15 2007-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acteria capturing treatment for fibrous webs
US7985209B2 (en) * 2005-12-15 2011-07-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ound or surgical dressing
US8871232B2 (en) 2007-12-13 2014-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indicating wipe for removing bacteria from a surface
US8865632B1 (en) 2008-11-10 2014-10-21 Cesi Chemical, Inc. Drag-reducing copolymer compositions
AU2010305308A1 (en) * 2009-10-06 2012-05-03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Method for enhancing biological water treatment
RU2453504C2 (ru) * 2010-05-31 2012-06-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Иркут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локулянт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02642904B (zh) * 2012-04-24 2014-04-09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处理造纸废水的絮凝剂及其制备方法
CN102963969B (zh) * 2012-12-11 2014-01-08 常州大学 一种高效污水处理絮凝剂及其制备方法
CN104292386B (zh) * 2014-09-26 2016-11-16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用于压裂返排液絮凝处理的复合絮凝剂及其制备方法
JP6764665B2 (ja) 2016-03-17 2020-10-07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方法、帯電防止剤及び親水化処理剤
JP2017196577A (ja) * 2016-04-28 2017-11-02 友岡化研株式会社 廃水の処理方法及び廃水処理剤
WO2018059846A1 (en) * 2016-09-29 2018-04-05 Unilever N.V. Water purification composition for clarifying greywater
KR102115717B1 (ko) * 2020-04-09 2020-05-27 미주엔비켐 주식회사 고몰수 에멀젼 유기고분자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에멀젼 고분자 응집제
CN115432908B (zh) * 2022-09-15 2023-12-26 北京尚水清源水处理技术有限公司 污泥脱水药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481A (ko) * 1995-09-28 1997-04-28 로버트 에이. 밀러 천연수 정화용 콜로이드 실리카/고분자 전해질의 혼합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8711B2 (ja) 1988-07-29 1997-10-27 ダイヤフロック株式会社 紙・パルプ廃水の凝集処理方法
DE69413883T2 (de) 1993-06-04 1999-07-01 Nalco Chemical Co Dispersionspolymerisationsverfahren
AU8024794A (en) 1993-12-09 1995-06-15 Nalco Chemical Company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water soluble polymer dispersion
US6133368A (en) 1993-12-09 2000-10-17 Nalco Chemical Company Seed process for salt dispersion polymer
JP2991611B2 (ja) * 1994-03-24 1999-12-20 日本下水道事業団 無機凝集剤と両性高分子凝集剤を併用する汚泥の脱水方法
US5837776A (en) 1996-03-20 1998-11-17 Nalco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water soluble anionic dispersion polymers
US5750034A (en) 1996-11-01 1998-05-12 Nalco Chemical Company Hydrophilic dispersion polymers for the clarification of deinking process wat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481A (ko) * 1995-09-28 1997-04-28 로버트 에이. 밀러 천연수 정화용 콜로이드 실리카/고분자 전해질의 혼합물
US5667697A (en) * 1995-09-28 1997-09-16 Nalco Chemical Company Colloidal silica/polyelectrolyte blends for natural water clarif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87B1 (ko) 2007-04-20 2010-07-05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수성 용액으로부터 인산염을 제거하는 방법
KR101535996B1 (ko) * 2013-04-25 2015-07-13 (주)기륭산업 코스모트로픽 염을 이용해 생성된 양이온성 수분산성 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입자를 함유한 w/o형 에멀젼 고분자 응집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31531B1 (en) 2003-03-11
AU5308099A (en) 2000-03-14
WO2000011052A1 (en) 2000-03-02
KR19980082095A (ko) 1998-11-25
JP2002523533A (ja) 2002-07-30
EP1161468A1 (en)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507B1 (ko) 무기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용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AU710781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queous dispersion polymers
US6398967B2 (en) Method of clarifying water using low molecular weight cationic dispersion polymers
WO2013153004A1 (en) New cationic polymers
CA2418483C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dewatering sewage sludges
AU2001289803A1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dewatering sewage sludges
AU7600296A (en) High performance polymer flocculating agents
US5807489A (en) High performance polymer flocculating agents
US9321869B2 (en) Cationic polymers
CA2210865A1 (en) Cationic polymer composition for sludge dewatering
US5597490A (en) DADMAC/vinyl trialkoxysilane copolymers for treatment of food processing wastes
JP5952593B2 (ja) 廃水処理方法
JP6166637B2 (ja) 有機凝結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廃水処理方法
JP5866096B2 (ja) 廃水処理方法
WO2001070634A1 (en) Very high molecular weight cationic dispersion polymers for dewatering animal farm wastewater
EP0082571B1 (en) A method for clarifying coal liquors with water-soluble,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s having low concentration of cationic moieties
JPH11156400A (ja) 汚泥脱水剤
JP5878409B2 (ja) 有機凝結剤を用いる廃水処理方法
CA2235006A1 (en) High performance polymer flocculating agents
JPS62176590A (ja) 汚水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