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166B1 - 액정 표시 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166B1
KR100278166B1 KR1019980000226A KR19980000226A KR100278166B1 KR 100278166 B1 KR100278166 B1 KR 100278166B1 KR 1019980000226 A KR1019980000226 A KR 1019980000226A KR 19980000226 A KR19980000226 A KR 19980000226A KR 100278166 B1 KR100278166 B1 KR 10027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ecu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388A (ko
Inventor
오-이데 도시오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8007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부의 기판 간격을 보지하면서, 상하도통부의 전기적 접속상태를 양호한 액정표시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공통기판 20상의 세그멘트 기판 10과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상하 도통부 23의 위치를 세그멘트 기판 10상의 외부접속단자 12와 대향하는 공통기판 20상의 프레컷트 관통공 22의 위치로 부터 4mm 이내로 함으로써, 세그멘트 기판 10과 공통기판 20의 접착을 위한 압력을 낮게 하더라도 상하 도통부의 접속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으며, 상하 기판 간격을 필요한 두께로 보지하면서 액정표시를 양호한 것으로 할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셀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 기판액정표시 셀의 상하도통부(導通部)의 위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 액정 표시 소자는 실장형태의 단순화를 위해 외부 접속단자를 일측의 기판에만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외부 접속단자가 설해져 있지 않는 기판측 전극패턴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상하도통용 전극간에 은(銀) 페이스트를 끼우는 방법등이 이용되어 있었으나, 표시 도트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상하도통부의 좁은 피치화가 요구되며, 현재는 예를들어 일본 특개평 4-83227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액정표시소자 외주의 실부내에 금속도금한 수지성 입자 등의 도전재를 분산하고 상하 도통부를 실내부에 설하여 상하 전극간의 도통을 도모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을 기판으로 이용하는 액정 표시소자는 경량이고 얇으며 또한 떨어진 경우에도 파열되지 않는다는 잇점이 있어 소형 액정표시 소자에서 실용화되어 있다.
플라스틱 필름 기판액정표시 셀에 실부내에 도전재를 분산하는 상하 도통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액정 표시 셀의 제조시에는 도전재와 전극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되도록 상하도통부에 충분한 하중을 부여한 상태에서 실제(seal 劑)를 경화한다.
이때 액정표시 셀의 두께를 균일하게 보지하기 위해 스페이서를 플라스틱 필름 기판에 산포한다.
그러나 상하기판의 양측으로부터 큰 면하중을 받으면, 실제가 없는 부분에서는 기판 간격을 보지하기 위해 미리 산포된 스페이서 만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되어 스페이서가 플라스틱 필름기판에 혼입되어 필요한 기판간격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실부내에 도전재를 분산하는 상하 도통방식을 이용하는 플라스틱 필름 기판 액정표시 셀에 있어서, 상하도통부에는 도전재와 전극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양호하고 표시부에서는 필요한 기판 간격이 얻어지는 액정 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세그멘트 기판과 공통기판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세그멘트 기판과 공통기판의 각 셀전극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
이다.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세그멘트 기판
12...외부접속단자
13, 23...상하도통부
20...공통기판(common substrate)
22...프레컷트 관통공(precut hole)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측표면에 표시용전극을 갖는 1쌍의 필름기판간에 액정을 끼워넣고, 각각의 필름 기판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얻기 위해 외부 접속단자를 설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하 도통부 및 상기 제1 기판의 외부접속단자와 대향하는 장소에 프레컷트(precut) 관통공을 갖는 제2 기판으로 되는 액정표시 셀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상하 도통부를 상기 프레컷트 광통공의 단부로부터 4mm 이내에 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측표면에 표시용 전극을 갖는 1쌍의 필름 기판상에 액정을 끼우고, 각각의 필름기판이 외부로 부터 전력을 얻기 위해 외부 접속단자를 설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하 도통부 및 그 제1 기판의 외부접속 단자와 대향하는 장소에 프레컷트 관통공을 갖는 제2 기판으로 되는 액정표시 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상하 도통부를 상기 프레컷트 관통공의 단부로부터 4mm 이내에 설하고 상기 1쌍의 필름 기판에 압력을 가하여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편면(片面)에 투명 전극막 2, 3이 형성된 2장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기판(두께 150㎛)를, 1장의 기판 20이 복수의 액정 표시 소자의 공통측전극 패턴으로 되도록 나아가 1장의 기판 10이 복수의 액정 표시소자의 세그멘트측 전극 패턴으로 되도록, 석판 인쇄물을 이용하여 패터닝한다. 그후 배향제 도포, 소성 및 래핑공정을 실시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기판 10, 20에는 복수의 셀을 양기판에서 동일한 크기로 되도록 작성하고, 복수의 세그멘트 전극 패턴이 형성된 세그멘트 기판 10에는 각각의 셀 11에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부 접속단자 12를 설한다.
세그멘트 기판 10 각각의 셀 11상에는 액정 표시소자의 영역 외측에 전극을 연장하여 외부 접속단자의 일부 12a로 되게 한다.
나머지 외부 접속단자 12b는 액정표시소자 영역의 외측에서 전극을 연장하여 복수의 공통전극 패턴이 형성된 공통기판 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상하도통부 13을 형성한다.
액정 표시 소자 영역의 외측에는 외주 실로 되는 실 제(seal 劑)를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인쇄한다. 실제 중에는 표면에 금코팅된 수지로 이루어진 도전성 입자(입경 8㎛)를 분산한다.
또한 공통기판 20 각각의 셀 21상에는 액정 표시소자의 영역외측에 전극을 연장하여 세그멘트 기판 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하 도통부 23을 형성한다. 액정표시 소자 영역의 외측에는 세그멘트 기판 10과 중첩된 때 세그멘트 기판 10상의 외부접속단자 12가 노출하도록 각 셀 21상의 대향하는 위치에 짧은 형태의 프레컷트 관통공 22를 형성한다. 공통기판 20상에는 요구되는 셀캡을 얻기 위한 캡제(평균 입경 7.6㎛)를 산포한다.
상하도통부 23의 위치는 프레컷트 관통공 22의 단부로부터 2mm로 되게 전극 패턴을 설계한다.
나아가 공통기판 20과 세그멘트 기판 10을 합하고, 합쳐진 기판 1을 표면이 평활한 유리판과 실리콘 고무로된 (두께 3mm) 풍선사이에 끼우고 풍선에 압력 1.5(kgf/㎠)의 공기를 넣고 합쳐진 기판 1을 가압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실을 경화한다.
합쳐진 기판 1을 절단한 후에 액정을 봉입하고, 복수의 결정표시 셀을 얻는다.
상기에 의해 액정표시 셀을 작성하면 상하 도통부 13, 23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양호하게 되며, 구동전압을 인가한때의 표시 상태는 양호한다. 또한 표시부의 상하 기판 간격은 필요한 값으로 된다. 상기 합친 기판 1을 가압할 때 가압하는 압력을 높이면 표시부의 상하 기판간격이 좁게 되며, 가압하는 압력을 낮추면 상하 도통부 13, 23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액정 표시악화로 이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로서 열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였으나 자외선 경화형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도 좋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리 판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실제를 경화한다.
이하, 비교예를 설명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하 도통부 23의 위치를 프레컷트 관통공 22의 단부로 부터 5mm 등이 되도록 전극 패턴을 설계하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정표시 셀을 작성하였다.
이같이 하여 작성한 액정표시 셀은 상하 도통부 13, 23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불균일이 있어 구동전압의 인가시 상하도통부 13, 23을 통해 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의 표시 농도가 전극에 의해 다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합친 기판 1을 가압시 풍선의 공기압을 2.5(kgf/㎠)로 한 경우에는 상하 도통부 13, 23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양호하게 되었으나, 표시부의 상하기판 간격은 필요값 보다 0.2㎛ 정도 적게 되었다.
또한 양호한 결과를 얻기위해 상하 도통부 23의 위치를 프레컷트 관통공 22의 단부로 부터 4mm 위치로 하였다.
이때에는 합친 기판 1을 가압하는 압력이 표시부의 상하기판 간격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적은 경우에도 상하 도통부 13, 23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합친 기판 1을 가압시 프레컷트 관통공 22의 주위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상하 도통부 23은 프레컷트 관통공 22에 가까운 정도로 양호한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상하 도통부 23의 위치를 프레컷트 관통공 22의 단부로 부터 4mm 이내의 위치로 하면 기판의 접착을 위해 가압하는 압력을 낮게 할 수가 있으며, 상하 기판 간격을 요구되는 두께로 보지하면서 상하도통부 13, 23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하고 액정표시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 셀의 공통기판의 상하 도통부가 프레컷트 관통공의 단부로 부터 4mm 이내의 위치로 하는 것으로써, 세그멘트 기판과 공통 기판의 접착을 위해 가압하는 압력을 낮게 하여도 상하 도통부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으며, 상하 기판간격을 필요한 두께로 보지하면서 액정 표시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 셀의 공통기판의 상하도통부가 프레컷트 관통공의 단부로 부터 4mm 이내의 위치에 설한 것으로써, 상하도통부의 전기접속을 양호하게 보지하면서 세그멘트 기판과 공통기판의 접착을 위해 가압하는 압력을 낮게 하여 액정표시 셀을 제조할 수가 있으며, 상하 기판 간격을 필요한 두께로 보지한 양호한 액정표시 셀을 제조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내측표면에 표시용전극을 갖는 1쌍의 필름 기판사이에 액정을 넣고, 각 필름기판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얻기 위한 외부 접속단자를 설한 제1 기판과, 그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하 도통부 및 그 제1 기판의 외부접속단자와 대향하는 부위에 프레컷트 관통공을 갖는 제2 기판으로되는 액정표시 셀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상하 도통부를 상기 프레컷트 관통공의 단부로 부터 4mm 이내에 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셀
  2. 내측표면에 표시용전극을 갖는 1쌍의 필름 기판사이에 액정을 넣고, 각 필름기판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얻기 위해 외부 접속단자를 설한 제1 기판과, 그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하 도통부 및 그 제1 기판의 외부 접속단자와,
    대향하는 부위에 프레컷트 관통공을 갖는 제 2 기판으로 되는 액정 표시셀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상하 도통부를 상기 프레컷트 관통공의 단부로부터 4mm 이내에 설하고, 상기 1쌍의 필름 기판에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 제조방법.
KR1019980000226A 1997-01-08 1998-01-07 액정 표시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278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01022A JPH10197887A (ja) 1997-01-08 1997-01-08 液晶表示セルおよび液晶表示セル製造方法
JP9-1022 1997-01-08
JP09-001022 1997-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388A KR19980070388A (ko) 1998-10-26
KR100278166B1 true KR100278166B1 (ko) 2001-01-15

Family

ID=1148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226A KR100278166B1 (ko) 1997-01-08 1998-01-07 액정 표시 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198521B1 (ko)
JP (1) JPH10197887A (ko)
KR (1) KR100278166B1 (ko)
CN (1) CN110593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8110B2 (ja) * 2000-06-15 2004-10-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131773A (ja) * 2000-10-26 2002-05-09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
EP1347630A3 (en) * 2002-03-20 2004-11-03 Ricoh Company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76276B1 (ko) * 2008-12-02 2014-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223A (en) * 1979-07-17 1981-02-12 Asahi Glass Co Ltd Electrochromic display element
JPS5974528A (ja) * 1982-10-21 1984-04-27 Seiko Epson Corp 表示パネル用上下導通剤
JPH01302227A (ja) * 1988-05-31 1989-12-06 Asahi Glass Co Ltd カラー液晶表示素子及び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3167527A (ja) * 1989-11-28 1991-07-19 Asahi Glass Co Ltd カラー液晶表示素子及び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3264916A (ja) * 1990-03-15 1991-1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US5861929A (en) * 1990-12-31 1999-01-19 Kopin Corporation Active matrix color display with multiple cells and connection through substrate
JPH04365015A (ja) * 1991-06-12 1992-12-17 Idemitsu Kosan Co Ltd 液晶表示パネルの電極接続方法
JPH08328031A (ja) * 1995-06-02 1996-12-13 Sharp Corp フルカラー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98521B1 (en) 2001-03-06
KR19980070388A (ko) 1998-10-26
CN1190194A (zh) 1998-08-12
USRE41176E1 (en) 2010-03-30
JPH10197887A (ja) 1998-07-31
CN1105937C (zh) 200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14446A (ja) 回路基板の接続構造及び該接続構造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の実装方法
KR100278166B1 (ko) 액정 표시 셀 및 그 제조방법
JPH08179348A (ja) 液晶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07323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표시장치의 전원공급단자 및 그 제조방법
JP3544616B2 (ja) 液晶表示装置
JPS6152629A (ja) 平面型表示パネルの電極端子取出し構造
JPH0822015A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法
KR100399747B1 (ko) 도전성접착제를채용한액정표시장치
JP3276459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法
JP4166111B2 (ja) 強誘電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4798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法
JPH05249483A (ja) 液晶表示装置
JP3323018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H08201833A (ja) 液晶表示素子
JPS61167976A (ja) 液晶表示装置
JPH027701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導電接続方法
JPH0641266Y2 (ja) 液晶パネル構造
JPS6155872A (ja) 多端子の半田付構造
JPS63299242A (ja) 半導体装置の接続方法
JP2003005208A (ja) 液晶表示パネルの積層方法
JPH08429U (ja) 液晶パネル構造
JPH09120080A (ja) 液晶パネル構造
JPH04280036A (ja) フラット形表示装置
JP2006210831A (ja) Icチップ
JPH05297398A (ja) 電極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