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040B1 - 수송채변용기 - Google Patents

수송채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040B1
KR100278040B1 KR1019940702849A KR19940702849A KR100278040B1 KR 100278040 B1 KR100278040 B1 KR 100278040B1 KR 1019940702849 A KR1019940702849 A KR 1019940702849A KR 19940702849 A KR19940702849 A KR 19940702849A KR 100278040 B1 KR100278040 B1 KR 10027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filter
trans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543A (ko
Inventor
우라따다께오
우라노히로미
아사노신이찌로
기꾸찌다쓰노리
아오다시게루
하야시히로아끼
이찌가와요시하루
Original Assignee
타다오 구로쯔미
에이켄 카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558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658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17356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688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2358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717621B2/ja
Application filed by 타다오 구로쯔미, 에이켄 카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타다오 구로쯔미
Publication of KR95070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01N33/528Atypical element structures, e.g. gloves, rods, tampons, toilet pap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 G01N2001/005Packages for mailing or similar transport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통형상의 용기본체와, 채변막대를 구비한 뚜껑과, 용기본체내의 분리벽과, 여과필터와, 여과액의 적하부 등으로 되었고, 용기본체내의 단차부와 적하부의 단면 등에 의하여 필터의 외주부를 끼워두어 고정된 수송채변용기이다. 본 용기는 필터의 유효 여과 면적율이 높다. 또, 본 용기는 수송이 용이하고, 예컨대 우편의 수단 예컨대 우편봉투내에 수납함에 따라서 송부 및/또는 반송할 수 있으므로 이용 가치가 크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수송채변용기
[기술분야]
본 발명은 수송채변용기, 더욱 상세하게는 수송이 용이하고, 예컨데 우편의 수단, 예컨데 우편봉투내에 수납함에 따라서 송부 및/또는 반송할 수 있는 채변용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분변은 뇨와 마찬가지로 비침습성(侵襲性) 검사시료로서 가장 적합하고, 그러기 때문에 몇가지인가의 검사에서 시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검사중에서도 분변속의 잠혈(occult blood)의 검출은 소화기질환, 특히 소화관출혈의 스크라이닝법으로서 주지되어 있으며, 소화관의 궤양 및 암등의 출혈성질환의 진단상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분변속의 잠혈의 검출법으로서는, 최근 보고된 면역학적인 반응원리에 기초한 검출법(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9-125064 호 공보 참조) 이 종래의 과이액(guaiac) 시약을 이용한 검출법에 비하여 특이성이나 감도의 점에서 뛰어나 있어, 전술한 질환의 새로운 스크리이닝법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그런데, 면역학적인 반응원리에 기초한 분변속의 잠혈의 검출법을 실시하기 위하여는, 사전에 정량적으로 분변을 채취하여 이것을 적당한 액체로 현탁시켜서 일정한 분변현탁액을 조정하여 둘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면역학적 검출시약은 예상할 수 있는 검체(檢體) 즉 분변의 양에 따른 감도를 얻을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검분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감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반대로 피검분변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수송, 예컨데 우송함에 불편하고, 또 지나치게 많은 피검분변은 악취의 근원이 된다. 또한, 검사종료 후에 여분의 검체(피검분변)을 처분하는 경우에도 문제를 발생한다.
이와같은 불합리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종래 여러가지의 분변채취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62-69160 호 공보에는 선단부근에 노치부, 요부, 혹은 관통구멍이 형성된 채변막대를 구비한 분변채취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62-69190 호 공보에 기재된 분변채취용기를 사용하면, 분변시료채취시에 분변을 채변막대로 찔러뚫을때에 채변막대의 선단부근에 형성된 노치부, 요부 혹은 관통구멍에 대략 일정한 양의 분변시료를 보유하게 되므로, 분변의 채취량을 어느정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채변막대의 선단구조만으로 분변채취량을 제어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예컨대 분변의 물리적 성상에 따라서는, 그 채취량에 과부족이 생길 경우도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62-69190 호 공보에 기재된 분변채취용기의 불합리를 해소한 분변채취용기로서는, 예컨대 실용신안 공개 소 64-42454 호 공보에 기재된 제 18 도에 나타낸 분변채취용기를 들수 있다. 이 분변채취용기는, 분변을 현탁시키기 위한 액체 (1) 를 수납할 수 있는 용기본체 (2), 선단부근에 노치부, 요부, 또는 관통구멍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채변막대 (3) 를 구비하고 또한 용기본체 (2) 에 밀봉할 수 있는 수단을 개재하여 연결할 수 있는 뚜껑 (4), 및 내부에 필터 (5) 를 구비한 적하부(dropping pipet) (6) 로 되었고, 뚜껑 (4), 용기내부를 적어도 2 실로 구획하는 분리벽 (7), 및 이 분리벽 (7) 을 관통하는 채변막대 (3) 등으로 형성된 스토우커부 (8) 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중에서 그밖에 (9) 는 구멍, (10) 은 노치부를 뜻한다.
제 18 도에 나타낸 분변채취용기에 있어서는, 채변막대 (3) 를 피검체인 분변에 찔러뚫어서 선단부에 어느정도의 양의 분변을 채취한 다음, 채변막대 (3) 를 분리벽 (7) 의 구멍 (9) 을 관통시켜서 용기본체 (2) 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여분의 분변을 구멍 (9) 에 의하여 마찰시켜 자를수 있으며, 그 결과 노치부 (10) 에 일정량의 분변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그런데, 분변채취용기의 수송에 있어서는, 우편봉투 [예컨대 정형(定型)] 의 수단으로 송부 및/또는 반송할 수 있으면 실용상 매우 편리하지만, 우편봉투로 수송하는 경우에는 통상 어떤 제약이 있다. 예컨대, 일본에 있어서는 봉투의 두께가 10 mm 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그러나, 예컨대 제 18 도에서 한예를 나타낸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64-42454 호 공보에 기재된 분변채취용기에 있어서는 용기본체(z) 의 형상은 가늘고 긴 형상은 아니고, 직경이 10 mm 를 초과하기 때문에, 일본에 있어서는 우편봉투 (정형) 의 수단에 따라서 송부 및/또는 반송할 수 없다고 하는 불합리가 있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64-42454 호 공보에 기재된 분변채취용기의 불합리를 해소한 분변채취용기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병 2-140468 호 공보에 기재된 제 19 도에 나타낸 수송채변용기를 들수 있다. 이 수송채변용기는 액체 (11) 를 넣은 용기본체 (12) 의 선단에 적하부 (13) 를 설치하여, 용기본체 (12) 의 후단을 뚜껑 (14) 으로 밀폐하였고, 뚜껑 (14) 에는 용기본체 (12) 내에 삽입하는 채변막대 (15) 를 부착하여서 되는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 (12) 를 가늘고 길게 성형하였으며, 용기본체(12) 의 내부에는 용기본체(12) 내를 2분할하고, 또한 채변막대 (15) 를 그 외주에 미끄러져 마찰하도록 삽통하는 구멍 (16) 을 구비한 고무마개 (17) 를 고정하여, 뚜껑 (14) 을 고정하고, 뚜껑 (14) 을 용기본체 (12) 에 0 링 (18)을 개재하여 밀어넣도록 성형하였으며, 채변막대 (15) 의 선단에는 나선형홈 (19) 을 설치하고, 적하부 (13) 의 내부에는 몰트필터 (20) 와 필터 (21) 를 설치한 것이다.
분변채취용기 이외에, 예컨대 EP-175326 이나 USP 5246669 에도 필터를 구비한 분변채취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 2-140468 호 공보에 기재된 분변채취용기는, 용기본체 (12) 의 바깥지름이 9 mm 정도이기 때문에 일존에 있어서는 우편봉투 (정형) 의 수단으로 송부 및/또는 반송할 수 있다. 그러나, 용기본체 (12) 가 가늘고 길게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적하부 (13) 의 선단부의 바깥지름은 더욱 작아져서, 몰트필터 (20) 및 필터 (21) 의 여과면적 (유효직경) 을 충분히 크게 잡을 수 없다.
그런데, 검사체인 분변속에는, 미입자 형상의 것이나 뮤우신 (mucin) 질이라고 일컬어지는 점액상의 것을 함유한 분변이 있고, 이러한 분변은 용기속의 그 현탁액으로 부터 필터를 통하여 검사를 위한 시료를 일정량 들어내는 경우에, 필터로 여과하기 어려우므로 난출변 (難出便) 또는 난투변 (難透便) 이라고 호칭하게 된다.
피검배변의 검사를 위하여는 통상 그 현탁액으로 부터 필터를 통하여 검사를 위한 시료를 4 적 (drop) 들어낼 필요가 있다. 또, 액적시료의 채취에 실패한다거나, 재검사를 하는 경우등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들어낼 수 있는 액적시료에는 어느정도 여유가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연이나, 전술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64-42454 호 공보 및 실용신안 공개 평 2-140468 호 공보에 기재된 분변채취용기에 따라서는, 검체가 난출변 또는 난투변일 경우에는, 검사를 위한 시료를 충분한 얄을 들어내는 것이 곤란하였다.
EP-175326 에 기재된 분변채취용기는 필터를 구비한 분변채취용기의 초기의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분변채취용기에는 분변의 정량채취기구가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또 용기본체가 크기 때문에 수송, 특허 우송함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USP 5246669 에 기재된 분변채취용기는 분변의 정량채취기구를 구비한 신형의 분변채취용기이다. 분변채취용기는 분변채취용의 막대를 용기본체내에 삽입하는 경우의 용기본체내의 압력상승을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USP 5246669 에는 수송 특히 우송에 편리하도록 분변채취용기를 작게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최대의 문제, 즉 필터의 유효여과면적이 작아져서 충분한 여과액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 및 그 해결수단에 관하여는 하등검토 및 시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간편한 사용성을 구비하여, 적당량의 분변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고, 또, 수송함에 편리하고, 바람직하게는 우송의 수단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우편봉투의 수단으로 용이하게 송부 및/또는 반송할수 있으며, 또한 여하한 성상의 분변에 있어서도 그 현탁액으로 부터 필터를 통하여 검사를 위한 액적시료를 충분한 양 용이하게 들어낼 수 있는 수송채변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설명]
즉,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 [ 1) 이라 칭한다] 는 분변을 현탁시키기 위한 액체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통상의 용기본체와, 선단부근에 분변을 채취하기 위한 분변채취수단이 설치되어 용기본체내에 통축방향으로 삽입하는 채변막대를 구비하고 또한 용기본체의 일단부를 밀폐할 수 있는 뚜껑과, 용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기본체내부를 구획함과 동시에 채변막대를 삽통시키는 경우에 여분의 분변을 제거할 수 있는 분리벽과, 용기본체의 타단부근방에 설치되어 분변을 현탁시킨 액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필터의 바깥쪽의 용기본체의 타단부에 끼워져서 필터에 의하여 여과된 액체를 적하할 수 있는 적하부등으로 된 수송채변용기로서, 용기본체의 타단부의 내벽면에는 필터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단차부가 설치되었고, 필터는 단차부와 적하부의 단면등에 의하여 필터의 양단면의 외주부가 끼워두게됨에 따라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다음의 것을 들수 있다.
2) 전술한 단차부가 용기본체의 안지름을 확대함에 따라서 설치된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3) 단차부가 용기본체의 안지름을 축소함에 따라서 설치된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4) 스토퍼링을 사용하여 용기본체의 안지름이 축소되어 있는 3)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5) 필터가 무균여과용 필터로 된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6) 필터가 2 종류 이상의 필터를 적층함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7) 필터의 단차부와 맞닿는 면이 단차부에서 더욱 뚜껑방향으로 볼록형으로 돌출하고 있는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8) 적하부의 내부의 여과된 액체의 유로에 새로히 별도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9) 적하부가 수송채변용기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본체의 외주면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플랜지를 구비한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0) 뚜껑이 수송채변용기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본체의 외주면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플랜지 또는 루울렛 (roulette) 을 구비한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1) 용기본체의 내벽면이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리·화학적 처리를 실시한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2) 전술한 물리·화학적 처리가 물리적 처리인 1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3) 물리적처리가 코로나 방전처리인 12)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4) 물리·화학적 처리가 화학적 처리인 1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5) 화학적 처리가 수산화리튬 처리인 14)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6) 용기본체의 내벽면의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기본체가 방담제(防曇制) 를 함유하는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7) 분리벽이 용기본체의 내벽면을 안쪽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중앙부에 채변막대를 삽입하는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형성된 통형부로 된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8)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이 내벽면의 일부를 안쪽으로 돌출시켜서 볼록링 형상이 형성되고, 또한 채변막대의 볼록링 형상으로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링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17)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19) 채변막대의 용기본체내의 일정위치에의 삽입전에 분리벽에 위하여 구획되는 용기본체의 내부를 통상 압력으로 하도록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하여 분리벽의 원주면에 채변막대의 원주면에 대하여 기밀하게 맞무는 분변을 긁어내는 용도의 플랜지가 설치되었고, 채변막대의 원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분리벽에 대항하여 형성되어 있는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20) 플랜지가 분리벽의 자유단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19)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21) 채벽막대의 원주면에 형성된 오목부가 채벽막대의 원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노치홈인 19)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22) 채변막대의 원주면에 형성된 오목부가, 채변막대의 원주면을 전체원주면에 잇따라서 노치한 지름의 축소부인 19)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23) 용기본체내의 필터의 안쪽에 적하부와의 사이에서 필터를 끼워두어 고정하는 링형상의 스토퍼부재가 여과면과 접하여 설치되었고, 링 형상의 스토퍼부재가 통형의 용기본체의 내부에 연통하는 상방개구단 및 필터의 여과면에 접하는 하방개구단을 구비한 유입부를 구비하고 있어, 유입부의 통지름 방향의 단면적이 상방개구단에서 하방개구단에 대하여 점차 증대되어 있으며, 또한 링형상의 스토퍼부재의 외주벽과 통형의 용기본체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현탁액속의 고체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침전시키기 위한 침적부 (浸積部) 가 형성되어 있는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24) 스토퍼부재의 원주벽에 스토퍼부재의 유입부와 침적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통지름 방향에 대하여 개구한 유입구멍이 관통 설치되어 있는 23)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25) 스토퍼부재의 상방개구단의 단면부에 통지름 방향에 대하여 개구한 유입구멍으로서 빗모양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23)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26) 스토퍼부재의 상방개구단이 폐쇄되었고, 또한 상단부 부근의 원주벽에 통지름 방향에 대하여 개구한 유입구멍으로서의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23)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27) 스토퍼부재의 상방개구단의 하방개구단에 대한 통지름 방향의 단면적비가 1/3 이하인 23)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28) 필터의 적하부와 반대측 표면의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에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적이 용기본체의 통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의 최대치에 대하여 적어도 50 % 이상인 1) 기재의 수송채변용기.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의 용기본체의 형상은 분변을 희망하는 농도로 현탁시키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양의 액체를 수납할수 있는 체적과, 뚜껑을 부착하였을때, 이에 고정된 채변막대가 받칠수 없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라면, 원통형, 각통형 등,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용기본체의 크기는 사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최대지름이 작은 (폭이 좁은) 편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10 mm 이하), 수송함에 편리하도록 최대지름을 적당히 선택한다.
수송수단으로서는 누구라도 용이하고도 값싸게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우송의 수단, 특히 우편봉투 (바람직하기는 정형의 우편봉투) 로 송부 및/또는 반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용기본체의 최대지름은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가 사용되는 나라의 우편관련의 규칙에 따라서 허용될 수 있는 최대지름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용기본체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등의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면, 용기본체내의 분변현탁액을 밀어내기 쉬우므로 바람직한 형편이다.
뚜껑에 구비할 수 있는 채변막대의 형상은 선단부근에 분변을 채취하기 위한 분변채취수단,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노치부, 요부 또는 관통구멍중의 적어도 하나를 설치한 것이라면 특히 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채변막대의 재질도 합성수지, 유리, 금속, 세라믹등, 분변속으로 용이하게 찔러넣을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지닌 것이라면 임의의 것을 사용할수 있으나, 용기본체측의 분리벽과의 사이에 기밀한 맞비빔면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용기본체에 사용되는 전술한 각종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본체의 일단부의 뚜껑으로 밀폐하기 위하여 용기본체 및/또는 뚜껑에 설치하는 수단으로서는 나사맞춤식이나 맞끼움식등의 관용의 수단을 들수 있다. 또, 뚜껑에 설치되는 채변막대에는 뚜껑을 용기본체에 완전히 나사맞춤 또는 끼워 맞춘 위치에서 분리벽에 맞무는 스토퍼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변을 현탁시키기 위한 액체로서는, 생리식염수나 각종 완충제를 포함하여도 좋은 완충액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 범위내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 아니면, 필요에 따라서 색소, 방부제, 악취소멸제, 안정제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완충제로서는 중성영역의 pH 를 보유하는 완충제, 예컨대 HEPES, PIPES, TES, MOPS 등이 사용되며, pH 는 분석대상성분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Nacl 을 0.9 % 농도로 되도록 가하여 등장액으로 할수도 있다. 안정제로서는 검사대상이 잠혈일 경우에는 소의 혈청알부민, 오보알부민 및 난백알부민 등의 단백질을 안정제로서 첨가한다. 사용량은 약 0.1 ~ 10 % w/v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본체내에 넣을 수 있는 액량은 분변의 소요현탁액 농도에 의하여 조제한다. 예컨대, 채변막대의 채취부에 5 mg 의 분변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액량을 2 ml으로 함에 따라 400 배의 희석률을 얻을 수 있다.
분리벽은, 예컨대 용기본체의 내벽면을 안쪽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다른 부재 예컨대 일정성상의 고무덮개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적하부는 적당한 천공수단을 이용하여 그 선단부에 천공하거나 또는 그 선단부를 절단하는등하여 적하구를 설치하였을때에 분변현탁액을 필터로 통하여 적하 할 수 있다고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적당히 선택한다. 그러므로, 적하부의 선단의 단면은 천공하기 쉽도록 엷게 성형하여 두는 것이 편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하구는 천공 이외에 돌출시킨 부분에 상처를 부쳐두어 이 상처의 부분에서 접음에 따라 설치할수도 있다.
용기본체의 타단부의 내벽면에 필터를 연결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단차부에서 용기본체의 안지름을 확대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용기 본체의 살을 엷게함에 따른 방법이나 용기본체의 살두께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바깥지름을 확대함에 따른 방법이다.
용기본체의 타단부의 내벽면에 필터를 연결고정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단차부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안지름을 축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용기본체의 살두께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하는 (예컨대 볼록부분을 설치하는) 방법이나, 용기본체의 살두께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용기본체내에 다른 부재 예컨대 스토퍼링을 끼워붙임에 따른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에 사용하는 필터는 검사의 경우에 장해로 되는 미소화 고형분의 여과를 목적으로 하여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분석대상물질에 대하여 불활성의 것이면 좋고, 소재가 특히 한정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스폰지나 여과지 등의 다공성물질, 혹은 유리솜이나 탈지면등의 섬유성물질등을 들수 있다. 소정의 가는구멍지름을 구비한 유리솜필터, 박막거르개등의 무균여과용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필터는 1 종류로 된것이였어도 좋고, 또는 2 종류 이상의 필터를 적층함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필터의 여과면 즉, 단차부와 맞닿는 면은 평면이였어도 좋고, 또는 단차부에서 다시금 뚜껑본체 방향으로 볼록형상으로 돌출하고 있으면 유효여과 면적이 증대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의 필터의 볼록형상부의 형상은 예컨대 1 개 또는 여러개의 반구형상, 반타원체형상, 원추형상, 각추형상등으로 된것이였어도 좋다.
적하부의 내부의 여과된 액체의 유로에, 또한 다른 필터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필터는 적하부의 선단에 천공등으로 적하구를 설치하여 분변현탁액을 적하할때에, 분변현탁액이 확실히 여과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또 이 필터는, 여과기능 이외에 용기본체 내에 설치하는 필터의 지지체로서 기능하게 할수도 있다.
용기본체는 강도나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는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렇게 하면 수송채변용기가 넘어지기 쉽게 된다. 그런고로, 수송채변기용기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하부에 용기본체의 외주면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플랜지를 형성하여도 좋다. 플랜지의 형상은 수송채변용기의 넘어짐을 방지할수 있는 형상이면 좋고, 특히 한정할 수 없으나 예컨대 4 각 형상, 5 각 형상, 6 각 형상, 별형상 등, 또는 이러한 변형 예컨대 각을 없앤 형상등이였어도 좋다.
또,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플랜지 또는 루울렛을 뚜껑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적하부와 뚜껑의 양쪽으로 넘어짐의 방지형상을 설치하여도 좋다.
용기본체는 상당히 가늘고 긴 형상이 되므로 내벽면이 물반발성이면 분변을 현탁시키기 위한 액체가 내벽면 전체를 적시지 않아서, 부분적으로 체류하여 전체를 잘 교반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내벽면의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벽면에 물리·화학적 처리를 하던가 또는 용기본체재질이 방담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물리·화학적 처리는 또한 물리적처리와 화학적처리로 나뉘어져서 통상 어느한쪽의 처리를 하지만 양쪽처리를 병용하여도 좋다.
물리적처리의 예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처리를 들수 있다. 코로나 방전처리의 조건은 가장 적합한 습윤성을 얻을수 있도록 적당히 선택한다.
화학적처리의 예로서는, 적합한 화약약제에 의한 처리 예컨대 수산화 리튬 처리를 들수 있다. 수산화리튬처리의 조건은, 가장 적합한 습윤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적당히 선택한다.
융기본체재질속에 혼합하는 방담제의 예로서는, 모노글리세틴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혹은 이러한 혼합물로 된 계면활성제를 들수 있다. 또, 필요하다면 계면활성제에 다시금 아미드계열활성제나 실리카계열활성제를 첨가한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방담제와 용기본체재료는 용기본체 성형전에 미리 드라이블렌드, 용융블렌드, 혹은 마스터 배치블렌드 등, 임의의 방법으로 혼합할 수 있다.
용기본체의 내벽면을 안쪽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중앙부에 채변막대를 삽입하는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전술한 분리벽을 통형으로 형성하면, 용기본체와 분리벽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서 형편이 좋다.
이러한 경우,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이 내벽면의 일부를 안쪽에 돌출시켜서 볼록링형상을 형성하고, 또한 채변막대의 이 볼록링형상에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링형상을 형성하여 볼록링형상과 오목링형상이 맞닿도록 하면, 채변막대의 맞비빔부인 관통구멍과 채변막대 사이에 설치되는 죔쇠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경시변화에 의한 죔쇠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 분리벽의 원주면에 채변막대의 원주면에 대하여 기밀하게 맞무는 분변을 끓어내기용의 플랜지가 설치되어, 채변막대의 원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분리벽의 플랜지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긴 오목부분이 분리벽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면, 채변막대를 용기본체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용기본체내부의 공기를 적당히 탈출케하여 용기본체내부의 압력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공기구멍기능에 대하여는, 이와같은 구조의 외에, 예컨대 선행기술로의 인용한 USP 5246669 에 개재된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수송채변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뚜껑과 일체인 채변막대의 선단에 분변을 채취한 다음, 이 선단부를 용기본체의 내부로 향하여 삽입한다. 채변막대의 선단원주면의 분변은 분리벽을 통과하는 경우에 긁어뜯게되고, 나선줄기 홈속에 남겨진 일정량의 분변이 밀봉된 용기본체의 액체에 현탁시켜서 피검시료로 된다. 이 수송채변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탁액을 밀봉한 상태에서 수송 (예컨대 우송) 할수 있고 검사시에는 적하부의 살이 엷은 부분을 파열하여 현탁액을 필터를 통하여 외부에 적하시킨다.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는, 분리벽의 원통원주면에 설치된 분변 긁어내기용의 플랜지에 대하여 채변막대가 그 원주면에 기밀하게 맞물리면서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양부재는 플랜지의 정상부만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그것들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은 극히 작고, 분변을 원활하게 긁어내면서 가벼운 저항감으로 채변막대가 용기본체내에 삽입된다. 또, 분리벽의 플랜지와 채변막대의 원주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도, 슬라이딩시에 플랜지 부분으로 지름방향에 밀리게 되는 분리벽의 반동력에 의하여 채변막대 외주면과의 맞물림이 증대되어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는, 채변막대가 분리벽을 통과하는 경우에 그 소정위치에의 삽입직전의 위치에서 원주면에 설치한 오목부가 용기본체의 분리벽에 설치한 플랜지에 대향한다. 여기에서 오목부의 축방향 길이는 플랜지의 그것보다 길므로, 분리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용기본체의 내부의 공간은 채변막대의 원주면의 오목부와 분리벽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의하여 서로 연통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용기본체의 내부는 바깥공기와 연통되어서 대기압상태로 된다. 따라서 채변막대가 그후 다시금 용기본체내의 소정위치까지 약간 삽입되어서 분리벽과의 사이에 기밀한 밀봉을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용기본체내의 기압은 대략 대기압에서 유지된다. 즉, 채변막대에 형성한 오목부는 그 용기본체내로의 삽입시에 공기구멍으로서 가능하여 용기본체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여 액체가 그 검사시에 파열과 동시에 가압에 의하여 적하부로 부터 비산하여 외부를 오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용기본체를 가늘게 하면 결과적으로 내부공간의 체적이 작아지게되고, 채변막대의 삽입에 의한 압력상승의 영향은 커진다. 그런고로 이와 같은 공기구멍기구를 갖고있지 않는 경우에는, 천공시에 내용물의 분출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더우기, 분리벽에 설치하는 플랜지는 채벽막대의 맞물어 슬라이딩할때에 채변막대의 외주면에 대하여 보다 큰 반동력을 미치게 하여 밀봉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가급적 분리벽의 자유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벽막대의 원주면에 축방향으로 잇따라서 형성되는 오목부는 분리벽의 전체축 방향길이보다도 큰 길이를 갖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오목부는 채변막대의 원주면을 부분적으로 큰 지름면에 평행하게 노치함에 따라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오목부는 채변막대의 원주면은 소정축 방향의 길이만큼 전체둘레에 걸쳐서 절삭하여 지름의 축소부를 형성함에 의하여서도 얻을수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채변막대의 노치홈 그렇지 않으면 지름의 축소부의 축방향단부와 본래의 외주면이 인접하는 단차부분에는, 채변막대의 삽입시에 그 요부와 분리벽과의 닿음을 완화하도록 테이퍼가공을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내의 필터의 안쪽에, 적하부 사이에서 필터를 끼워두어 고정하는 링형상의 스토퍼부재가 여과면과 접하여 설치되었고, 링형상의 스토퍼 부재가 통형의 용기본체의 내부에 연통하는 상방 개구단 및 필터의 여과면에 접하는 하방개구단을 지닌 유입부를 구비하고 있어, 유입부의 통지름 방향의 단면적이 상방개구단에서 하방개구단에 대하여 점차 증대되어 있고, 또한 링형상의 스토퍼부재의 외주벽과 통형의 용기본체의 내주벽 사이에 현탁액속의 고체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침전시키기 위한 침적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송채변용기를 사용하면, 분변속의 고체물에 의한 여과물의 피복을 방지할수 있고, 여과액의 적하량이 안정하므로 바람직하다.
수송채변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뚜껑과 일체인 채벽막대이 하방의 선단에 분변을 채취한 다음, 이 선단부를 용기본체의 내부로 향하여 삽입한다. 채변막대의 선단원주면의 분변은 분리벽을 통과하는 경우에 긁어떼어지게되어, 나선 줄기홈속에 남겨진 일정량의 분변이 밀봉된 용기본체의 액체로 현탁되어서 피검시료로 된다. 이 수송채변용기는 현탁액을 밀봉한 상태에서 수송 (예컨대 우송) 할수 있어, 검사시에는 적하부의 살이 엷은 부분을 파열하여 현탁액을 필터를 통하여 외부에 적하시킨다.
수송채변용기에서는 채변막대의 홈에 수용된 분변이 용기본체내의 현탁액매속에 용해 및 분산되지만, 이러한 경우 분변속의 고체물은 링형상의 스토퍼부재의 중앙구멍부분에 형성되는 유입부와 스토퍼부재의 외주벽과 용기본체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침적부의 각각에 있어서 액속에 침강한다.
수송채변용기에서는, 스토퍼부재의 유입부의 통지름방향의 개구단면적을 상방개구단에서 여과면에 접하는 하방개구단측에 대하여 점차 크게 (따라서 침적부의 통지름 방향의 단면적을 하방보다도 상방에서 보다 크게) 하고 있으므로, 분산된 고체물이 유입부속으로 침강하는 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또, 현탁액의 분산고체물이 스토퍼부재의 유입부에 도입되어 장시간 조용히 두었을 경우, 여과면에 침착하는 고체물은 이 지름의 확대비에 따라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침전하게 되므로, 동일량의 고형물에 대하여 여과면에 침적하는 두께 (높이) 가 보다 감소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분변의 검사시에 용기본체를 압착하면, 내부의 현탁액이 스토퍼 부재의 유입부에서 필터를 통하여 적하부를 통하여 적하한다.
또한 계속 용기본체의 압착에 의하여 유입부의 상방의 용기본체 및 침적부 상부의 현탁액이 유입부에 도입되는 경우에는, 용기본체를 조용히 둘때에 이러한 부분의 현탁액으로 부터 이미 어느정도 고체물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필터에 의한 여과의 경우에 여과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따라서 수송채변용기에서는 여과면으로의 고형물의 침착이 적으므로 채변시료의 분석의 경우에 있어서의 현탁액의 적하시의 여과효율이 향상하고, 도한 시료의 성상에 따라서 적하량에 커다란 불균형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안정한 감도에서의 분석시험이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수송채변용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형상의 스토퍼부재의 유입부의 상방개구단의 통지름 방향의 단면적을 하방 개구단의 단면적의 1/3 이하로 작게함과 동시에, 그 환형원주벽에 유입부와 침적부를 연통시키는 지름방향의 유입구멍이 형성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본체를 완전히 압착하기 이전에 대형의 고형물이 유입부의 상단개구를 폐쇄하였을 경우에도, 현탁액을 이 유입구멍으로부터 계속 유입부에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은 형태에서는 고체물이 액매속에 분산하는 경우에 그 일부가 지름방향의 유입구멍을 통하여 유입부내에 들어오게 되지만, 비교적 비중이 큰 고체물은 침강시에 수평방향으로 확산하는 일은 거의 없고, 스토퍼 부재주변의 침적부에 그대로 침강하므로, 현탁액 생성시에 있어서도 이미 어느정도의 고/액분리가 발생하여 필터면에 침착하는 고형물의 양이 더욱 감소한다. 이러한 효과는 지름방향의 유입구멍만을 남기고 상방개구단의 정상면을 완전히 폐쇄하도록 한 형태의 경우 더욱 현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 필터의 적하부와 반대측 표면의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에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적이 용기본체의 통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의 최대치에 대하여 적어도 50 % 이상인 수송채변용기는 특히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채변용기의 구조에서는, 필터의 표면적 (유효여과면적) 은 용기본체 단면적의 최대치에 대하여 30 - 40 % 으로 하는 것이 한계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에 따라 필터의 유효여과 면적률을 50 % 이상으로 할수 있었다. 50 % 이상의 필터의 유효여과 면적률을 얻음에 따라서, 용기본체가 가느다란 경우였어도, 높은 여과율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육안에 의한 관찰로 투명에 가까운 여과액을 얻기 위하여 작은 메시의 필터를 채용하였을 경우, 가능한한 커다란 필터의 유효여과면적률을 확보하지 않으면 필터의 눈막힘을 일으키기 쉬우나,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는, 용기본체가 가늘 경우에 있어서도 필터의 눈막힘을 일으키기 어렵다.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는, 용기본체의 타단부의 내벽면에는 필터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단차부가 설치되었고, 필터는 단차부와 적하부의 단면에 의하여 필터의 양단면의 외주부를 끼워둠에 따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의 안지름과 직경이 대략같은 유효여과면적의 커다란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채변할때의 조작성이나 밀봉성에 뛰어나고 또한 검사의 경우의 조작으로 현탁액을 분출, 비산하는 염려가 없는 다루기 용이한 수송채변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본체내에 수용한 분변시료의 현탁액을 필터로 여과하여 적하하는 경우에 분변시료의 성상여하에 의하지 않고, 여과면으로의 고체물의 침착에 의한 여과효율의 저하가 적고, 항상 일정량의 여과액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정된 분석감도를 얻을 수 있는 수송채변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수송채변용기의 설명도.
제2도는 제1도의 수송채변용기를 길이방향에서 본 양단부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 근방의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 근방의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의 수송채변용기의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 근방의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몰트필터의 확대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의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 근방의 확대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 [제8a도] 및 실시예 6 [제8b도] 의 각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를 제7도의 C방향에서 본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 의 수송채변용기의 분리벽근방의 확대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8 의 수송채변용기의 종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나타낸 수송채변용기의 분리벽과 채변막대의 맞무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제10도에 나타낸 수송채변용기의 분리벽과 채변막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13도는 제10도에 나타낸 수송채변용기의 분리벽과 채변막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14도는 제10도에 나타낸 수소어채변용기의 분리벽과 채변막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9 의 수송채변용기의 종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수송채변용기에 설치하는 링형상 스토퍼 부재의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7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수송채변용기에 설치하는 링형상 스토퍼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8도는 종래의 분변채취용기의 한 예의 설명도.
제19도는 종래의 수송채변용기의 한 예의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상태]
다음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수송채변용기글 뜻한다. 도면중에서 (22) 는 액체, (23) 는 용기본체, (24) 는 채변막대, (25) 는 뚜껑, (26) 은 분리벽, (27) 은 몰트필터, (28) 은 유리섬유필터, (29) 는 폴리우레탄 스폰지 필터, (30) 은 적하부 (滴下部), (31) 은 오목부, (32) 는 플랜지, (32') 는 뚜껑 플랜지, (32") 는 뚜껑 루울렛을 뜻한다. 본 예에서는 플랜지 (32) 는 (6 각 형상), 또 뚜껑 (25) 에도 뚜껑플랜지 (32') (6 각 형상) 그렇지 않으면 뚜껑 루울렛 (32") (블록형상 모두 3 개) 을 설치하였다. 용기본체 (23) 의 내벽면을 코로나 방전처리 또는 수산화 리튬처리하면 내벽면의 습윤성을 향상하므로 피검체인 분변을 액체 (22) 에 현탁하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제 2 도에 제 1 도의 수송채변용기를 길이방향에서 본 단면을 뜻한다. 즉, 제 2 도(a)는 제 1 도를 A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며, 제 2 도(b)는 제 1 도를 B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더우기 제 2 도(a)는 뚜껑 (25) 에 뚜껑 플랜지 (32')를 설치한 경우와 뚜껑 (25) 에 뚜껑 루울렛(32")를 설치하였을 경우의 2 가지를 합쳐서 뜻한다.
또, 제 3 도에 제 1 도의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 근방의 확대도를 뜻한다. 사용시에 격벽 (33) 에 구멍을 내고 용기본체 (23) 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분변을 현탁한 액체 (22) 는 몰트필터 (27), 유리솜필터 (28) 및 폴리우레탄 스폰지필터 (29) 를 순차통과하여 격벽 (33) 에 뚫은 구멍으로 부터 여과된 액적의 형태로 꺼낼 수 있다.
[실시예 2]
제 4 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 근방의 확대도를 뜻한다. 본 예는 몰트필터 (27) 의 상부에 스토퍼링 (34) 을 설치한 것이외는 실시예 1의 수송채변용기와 같다. 스토퍼링 (34) 은 예컨대 용기본체 (23) 의 재료와는 상이한 더욱 강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용기본체(23)의 단차부에 끼워맞추도록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함에 따라 사용시에 용기본체 (23) 를 손가락으로 눌렀을 경우, 몰트필터 (27) 및 유리솜필터 (28)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 5 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 근방의 확대도를 뜻한다. 본 예에서는 평균 가는 구멍지름 0.3 ㎛ 의 유리솜필터 (35) 의 앞에 프레필터로서 (흑색) 몰트필터 (36) 를 배치하였다. 유리솜필터 (35) 및 몰트필터 (36) 는 용기본체 (37) 의 단차부와 적하부 (38) [6 각 형상의 플랜지 (39) 및 격벽 (40) 을 갖는다] 에 의하여 끼워두고 있다.
제 6 도는 몰트필터 (36) 의 확대도이다. 몰트필터 (36) 는 블록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두께 5.5 mm 의 것을 용기본체 (37) 의 단차부와 적하부 (38) 에 의하여 가압함에 따라 두께 3.3 mm 로 압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볼록부 및 그에 이어지는 부분인 부분 (1) 에 비하여 부분 (11) 의 편이 보다 치밀하게 압축된다. 그러기 때문에 사용시에 격벽 (40) 에 구멍을 내어 용기본체 (37) 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분변을 현탁한 액체 (41) 는 몰트필터 (36) 의 부분 (1) 에서 거칠게 여과되고, 따라서 몰트필터 (36) 의 부분 (11) 에서 중정도로 여과되고, 다시금 유리솜필터 (35) 를 사용하여 고도로 여과되어서 격벽 (40) 에 뚫린 구멍으로 부터 여과된 액적의 형태로 꺼낼 수 있다.
[실시예 4]
제 7 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 근방의 확대도를 뜻한다. 본 예는 적하부 (38) 의 내부에 폴리우레탄 스폰지필터 (42) 를 충전한 것 이외는 실시예 3의 수송채변용기와 같다. 폴리우레탄 스폰지필터 (42) 에 의하여 사용시에 용기본체 (37) 를 손가락으로 눌렀을 경우의 유리솜필터 (35) 의 변형에 의한 여과정밀도의 불균형이나 유리솜필터 (35) 의 일정위치로 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및 6]
제 8 도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 5 [제 8 도 (a)] 및 실시예 6 [제 8 도 (b)]의 각 수송채변용기의 적하부를 제 7 도의 C방향에서 본 도면을 뜻한다. 실시예 5 및 6의 수송채변용기는 플랜지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는 실시예 4의 수송채변용기와 같다. 즉, 실시예 5의 수송채변용기에서는 제 8 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하부 (43) 는 각부를 떼어낸 4각 형상의 플랜지 (44)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실시예 6의 수송채변용기에서는 제 8 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하부 (45) 는 5각 형상의 플랜지 (46)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7]
제 9 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수송채변용기의 분리벽 근방의 확대도를 뜻한다. 본 예에서 분리벽 (47) 에 철부 (48) 를 형성하였고, 또 채변막대 (49) 에 요부 (50) 를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수송채변용기와 같다. 본 예의 수송채변용기에 있어서는 요부 (50) 에 철부 (48) 가 밀고 들어가기 때문에 분리벽 (47) 의 간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 경시변화에 의한 간섭의 감소가 없다.
[실시예 8]
제 10 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수송채변용기를 뜻한다. 도면중에서 (51) 은 원통형의 용기본체, (52) 는 뚜껑, (53) 은 용기본체 (51) 와 뚜껑 (52) 의 나사맞춤부, (54) 는 용기본체 (51) 의 내주벽에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중심구멍 부분을 구비한 분리벽, (56) 은 뚜껑 (2) 의 하면에 일체로 설치된 채변막대, (56A) 는 그 선단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분변을 수용하기 위한 나선줄기홈이고, (54A) 는 분리벽 (54) 의 원통벽의 원주면에 채변막대 (56) 의 원주면에 대하여 기밀하게 맞물도록 설치된 플랜지이다. (57) 은 필터이며, 몰트필터 (57A) 및 유리솜필터 (57B) 로 되어 있다. (55) 는 적하부, (55A) 는 적하부에 형성한 살이 엷은 부분, (58)은 필터 고정용의 스토퍼링, (59) 는 채변막대 (56) 의 강하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이다. 채변막대 (56) 의 외주면의 분리벽 (54) 의 플랜지 (54A)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축방향으로 잇따라서 요부로서의 노치홈 (56B) 이 형성되어 있다. 노치홈 (56B) 의 축방향 길이는 플랜지 (54A) 를 포함한 분리벽 (54) 전체의 축방향 길이 보다도 크다.
제 11 도는 실시예 (8) 의 수송채변용기의 분리벽 (54) 의 근바이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분리벽 (54) 은 합성수지제의 용기본체 (51) 의 내주면에 일체 성형으로 동심형상의 원통벽으로서 형성되었고, 그 중앙부에 채변막대 (56) 를 끼워 넣어 통과시키는 중심구멍부분을 갖고 있다. 또, 원통벽은 그 내주면에 긁어내는 용도의 플랜지 (54A) 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채변막대 (56) 의 외주면에는 그 축방향에 잇따라서 공기 유통용의 요부로서의 노치홈 (56B)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축방향의 길이를 분리벽 (54) 의 축방향의 길이 보다 약간 길게 하여 채변막대 (56) 의 나중에 설명하는 제 13 도에 나타낸 삽입위치에서 용기본체 (51) 의 분리벽 (54) 의 상하의 공간의 사이에 공기유통로가 확실하게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 노치홈 (56B) 의 지름방향의 깊이는 분리벽 (54) 의 플랜지 (54A) 가 맞물때의 반동력에 의한 노치홈 (56B) 속에서 지름방향으로 변위하였을 경우에도 이것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채변용기에 있어서는 미리 2.0cc의 수용액을 충전한 용기본체 (51) 에 대하여 선단의 나선줄기홈 (56A) 에 분변을 채취한 채변막대 (56) 를 분리벽 (54) 의 중심구멍부분을 통하여 삽입한다. 선단부에 부착한 분변은 분리벽 (54)의 플랜지 (54A) 로 긁어 떨어지게 되어 나선줄기홈 (56A) 의 내부에 일정량의 분변이 남게 된다.
채변막대 (56) 를 제 12 도에 나타낸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는 채변막대 (56) 와 분리벽 (54) 의 원통주벽에 형성한 플랜지 (54A) 가 분리벽 (54) 의 탄성변형하에 기밀하게 접합하고 있으므로 용기본체 (51) 의 분리벽 (54) 의 하방의 액체(S)를 수용하는 공간의 기압은 채변막대 (56) 가 삽입된 부분의 체적에 따라서 기압 이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금 채변막대 (56) 를 제 13 도에 나타낸 위치까지 삽입하면, 채변막대 (56) 의 노치홈 (56B) 이 분리벽 (54) 의 플랜지 (54A) 에 대응한다. 이 노치홈(56B) 의 축방향 길이는 분리벽 (54) 의 플랜지 (54A) 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크며, 또한 분리벽 (54) 의 플랜지 (54A) 의 정상부와 노치홈 (56B) 의 저벽 사이에는 충분한 간극이 남겨져 있으므로 양자의 사이에는 용기본체 (51) 의 분리벽 (54) 의 상하 공간을 연통시키는 도면속의 화살표 (P) 방향의 공기유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위치에서는 용기본체 (51) 는 뚜껑 (52) 과 완전히 나사맞춤되어 있지 않으므로 용기본체내의 과압상태의 공기가 채변용기의 외부에 방출되어서 용기본체 (51) 의 내부압력이 대기압으로 저하한다.
따라서, 뚜껑 (52) 을 용기본체 (51) 에 대하여 나사맞춤부 (53) 에 잇따라서 회전운동시키면 용기본체 (51) 와의 나사맞춤에 따라 채변막대 (56) 가 제 14 도의 위치까지 강하하여 그 외주면과 분리벽 (54) 의 내주면의 플랜지 (54a) 사이가 재차 접합하고, 용기본체 (51)의 내부의 액체 (S)가 완전히 밀폐된다.
이때, 채변막대 (56) 는 나사맞춤한 만큼의 길이만큼 더욱 진입하나, 그에 의한 압력의 상승은 근소하다. 이 경우, 채변막대(56) 에 설치한 스토퍼(59) 가 분리벽 (54)의 상단에 맞닿아서 채변막대 (56) 의 그 이상의 강하를 억제하므로 뚜껑 (52)을 잘못하여 무리하게 회전운동시켜서 용기본체 (51) 내에 과도하게 밀고 들어가서 그로 인하여 나사맞춤부분 (53)이나 분리벽 (54) 등을 변형 내지는 파손시킬 염려는 없다.
또, 채변막대 (56) 는 분리벽 (54) 의 원통주벽에 대하여 그 플랜지 (54A) 의 부분만으로 미끄럼 접합하므로 채변막대 (56) 를 삽입하는 경우의 슬라이딩 저항은 비교적 작아서 시료 채취성이 향상하고, 또한 분리벽 (54) 과 채변막대 (56) 사이의 밀봉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분변의 현탁액을 용기본체 내에 밀봉한 채변용기는 수송 예컨대 우송등의 수단에 의하여 일정한 검사기관에 계출되어 검사함에 있어서는 적하부 (55) 의 살이 엷음 (55A) 을 파열구등으로 관통시킨다. 따라서, 가용성의 합성수지로 된 용기본체 (51) 의 주벽을 압착함에 따라서 내부의 액체 (S)가 필터 (57)를 통하여 외부에 적하되어 검사에 제공된다.
[실시예 9]
제 15 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수송채변용기의 종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면중에서 (60) 은 원통형의 용기본체, (61) 은 뚜껑, (62) 는 용기본체 (60) 와 뚜껑 (61) 의 나자맞춤부분, (63) 은 뚜껑 (61) 의 하면에 일체를 들이워 설치된 채변막대, (63A) 는 그 선단에 형성된 일정량의 분변을 수용하기 위한 나선줄기홈, (63B) 는 채변막대의 원주면에 설치된 공기구멍으로서의 홈, (64) 는 용기본체 (60) 의 하단에 설치된 적하부, (64A) 는 적하부에 형성한 살이 엷은 부분이며, 이것들은 어느 것도 합성수지의 성형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65) 는 필터이며, 몰트필터 (65A), 유리솜필터 (65B) 로 되어 있다. (66) 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의 소토퍼링이며, 필터(65) 의 상방에서 용기본체 (60) 내에 동심형으로 끼워붙여져 있으며, 하방의 적하부 (64) 와의 사이에 필터 (65) 를 고정 유지 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에 도면중에서 (68) 은 용기본체 (60) 의 내주벽에 일체가 되도록 동심형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분리벽이며, 채변막대 (63) 의 삽입시에 그 외주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나선줄기홈 (63A) 내에 수용된 일정량의 분변 이외의 부분을 긁어 모으도록 되어 있다. (69) 는 채변막대 (63) 의 외주에 설치한 스토퍼이며 채변막대 삽입시의 과잉하게 밀고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링 (66) 은 제 15 도의 단면도 및 제 16 도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 (66A) 에서 폐쇄되어 하방으로 필터 (65) 의 여과면에 접하는 하단 개구부 (66B) 를 지녔고, 그 내부에 상단부 (66A) 에서 하단 개구부 (66B) 의 방향으로 점차 지름이 확대하는 현탁액의 유입부 (66C) 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링 (66)의 외주벽과 용기본체 (60) 의 내주벽과의 사이에는 침적부(67) 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링 (7) 의 상단부 (66A) 의 근방의 주벽에는 내부의 유입구 (66C) 와 침적부 (67) 를 용기본체 (60) 의 지름방향으로 연통시키는 유입구멍으로서의 다수의 관통구멍(66D)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채변용기에 있어서는 미리 2.0cc의 수용액을 충전한 용기본체 (1)에 대하여 선단의 나선줄기홈 (4A) 에 분변을 채취한 채변막대 (4) 를 분리벽 (9) 의 중심구멍부분을 통하여 삽입한다. 선단부에 부착한 분변은 분리벽 (9)의 구멍벽면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긁어 모으게 되어 나선줄기홈 (4A) 의 내부에 일정량이 분변이 남게 된다.
이러한 경우, 채변막대 (63)의 주위에 설치한 스토퍼 (69)가 용기본체 (60)에 대한 뚜껑 (61)의 나사맞춤부분 (62)에 의한 소정 삽입위치에서 분리벽 (68)의 상단 어깨부분에 맞닿아서 채변막대 (63)의 그 이상의 강하를 억제하므로, 뚜껑(61)을 잘못하여 무리하게 회전운동시켜서 용기본체 (60)내에 과도하게 밀어넣고, 그에 따라서 나사맞춤부분 (62) 이나 분리벽 (68)등을 변형 또는 파손될 염려는 없다.
채변막대 (63) 의 선단의 나선줄기홈 (63A) 이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 (60) 에 수용된 수용액에 침입되면 나선줄기홈 (63A) 속에 보유되어 있던 분편이 수용액속으로 용해 및 현탁되어서 일정농도의 시험시료 (액체 S)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용액속에 현탁한 고체물은 용기본체 (60) 의 내부를 서서히 하방으로 침강하지만 스토퍼링 (66) 의 그 상단부(66A)에서 닫쳐져 있으므로 대부분의 고체물은 링(66)의 외주벽과 용기본체 (60) 의 내주벽 사이의 침적부 (67) 의 저부에 침전한다. 일부의 고체물은 스토퍼링 (66) 의 주벽의 관통구멍 (66D) 을 통하여 유입부 (66C) 내부의 현탁액속으로 분산한다. 그러나, 비중의 비교적 큰 고체물은 그 하방에의 침강속에 있어서는 지름방향에는 분산하기 어려우므로 유입부 (66C)에는 고체물은 거의 유입하지 않는다.
또, 극히 일부의 고체물이 유입부 (66C) 내부의 현탁액속으로 분산하였다 하여도 유입부 (66C)는 필터 (65) 의 여과면에 접하는 하단 개구부 (66B) 측으로 지름이 확대되어 있으므로 유입한 고체물은 커다란 면적에서 여과면에 확산되어 침적층의 높이 (두께)는 지름의 확대에 따라서 현저히 감소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분변의 현탁액을 용기본체내에 밀봉한 채변용기는 수송 예컨대 우송등의 수단으로 소정의 검사엔진에 닿게 되고, 검사함에 있어서는 적하부 (64) 의 살이 엷음 (64A) 을 파열구등으로 관통시킨다. 따라서, 가요성의 합성수지로 된 용기본체 (60) 의 주벽을 압착함에 따라서 내부의 현탁액 (액체 S)이 필터 (65) 에서 적하부 (64) 를 통하여 외부로 적하되어 검사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현탁액속의 고체물은 대부분이 침적부 (67)의 저부에 침전하여 필터 여과면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필터효율은 시료분변의 성상(性狀)에 의하지 않고 양호하며, 또한 일정한 것으로 되어 분석시험에 있어서 얻을수 있는 적하량은 분석시료로서 충분하고, 또한 각 용기 사이에서 거의 불균형이 없다.
실시예 9의 수송채변용기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9의 스토퍼링을 설치한 채변용기 및 실시예 1 의 수송채변용기르 사용하여 필터의 여과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난투병 5종류의 시료에 대하여 실시예 9에 기재한 절차와 같은 절차로 현탁액에 대한 적하 실험을 실시할 수 있었던 적하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결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토퍼링을 사용한 실시예 1의 수송채변용기에서는 적하수가 적고, 또 변의 종류에 따라서 적하수에 불균형이 있다 (단, 실용산은 충분하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9의 스토퍼링을 사용한 수송채변용기에서는 한층 많은 적하수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시료에 걸쳐서 9~11적의 적하수를 얻게 되어 적하수의 불균형이 적다.
더우기, 스토퍼링의 형태로서는 실시예 9의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개량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스토퍼링으로서는 제 16 도에 나타낸 구조의 외에 제 1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부 (66C)의 상방단부 (66A)를 개구하여 그 주연부에 빗형상의 노치부 (66E)를 설치하여 지름방향의 유입구멍으로 하여도 좋다.이 경우에도 스토퍼링 (66)의 하방의 개구단부 (66B)의 면적을 상방 개구부 (66A) 및 노치부 (66A)의 합계 보다도 충분히 크게 (66A + 66D 가 66B의 1/3이하)함에 따라 대략 같은 적하수의 증대 및 적하량 안정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성능 비교시험]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 [제 1 도에 나타낸 실시예 1의 수송채변용기 (제 19도)에 나타낸 실개평 2-140468 호 공보에 기재된 수송채변용기 : 종래품] 등을 사용하여 난출변(難出便) 에서의 적하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요약한다.
표 2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은 종래품에 비하여 필터의 여과면적이 크기 때문에 여과효율이 대단히 향상하고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는 용기본체의 타단부의 내멱면에는 필터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단차부가 설치되었고, 필터는 단차부와 적하부의 단면에 의하여 필터의 양단면의 외주부를 끼워둠에 따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의 안지름과 직경이 대략 같은 유효 여과면적의 커다란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의 수송채변용기에 비하여 필터의 여과면적이 크기 때문에 여과효율이 대단히 향상하였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를 난출변에 대하여 사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그 현탁액으로 부터 필터를 통하여 검사를 위한 시료를 충분한 양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는 간편한 사용성을 구비하여 적당량의 분변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고, 또 수송이 용이하고, 우송 예컨대 우편봉투의 수단에 의하여 송부 및/또는 반송할 수 있으므로 분변검사의 정밀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는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고, 분변의 성상에 따른 세밀한 설계변경을 할 수 있으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고, 실용상 매우 편리하다.
특히,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중에서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의 실질적인 밀봉 부분이 분리벽의 플랜지와 채변막대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채변막대의 삽입력의 감소, 분변의 시료채취성의 향상 및 밀봉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채변막대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공기유통로로서의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채변막대의 용기본체내로의 삽입에 따라서 현탁액을 충전한 공간의 압력을 삽입과정의 완료직전에 대기압으로 저하시킬 수 있으며, 적하부를 파열하였을 때에 용기본체로 부터 현탁액이 과잉의 압력에 의하여 분출 비산하여 주위를 오염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수송채변용기중에서 필터의 여과면에 접하는 속이 빈 파이프형의 스토퍼부재를 용기본체 보다도 지름이 작은 동심형상으로 형성하여 스토퍼 부재의 외주벽과 용기본체의 내주벽 사이에 현탁액속의 고체물을 분리침전시키기 위한 침적부를 형성함과 도잇에 이 스토퍼부재의 지름방향단 면적을 상단에서 하단의 여과면 개구단부에 대하여 점차 크게 한 것은 용기본체내에서 분변의 현탁액이 생성되는 경우에 필터 여과면에 침적(沈積)하는 고체물의 두께(높이)가 감소되어서 여과효율이 향상하고, 그에 따라서 적하수가 증대하고, 또한 불균형이 감소하여 검사할 경우의 분석감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특히, 스토퍼부재의 유입부에 주벽을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입구멍을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현탁액속을 침강하는 고체물의 대부분이 그대로 침적부에 침전하여 지름방향의 유입구멍으로 부터 유입부내의 현탁액속으로 분산하는 것이 거의 없으므로 여과면으로의 고체물의 침적이 현저히 감소된다.

Claims (28)

  1. 분변을 현탁시키기 위한 액체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통형상의 용기본체와, 선단부근에 분변을 채취하기 위한 분변채취수단이 설치되었고, 용기본체내에 통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채변막대를 구비하였으며, 또한 용기본체의 일단부를 밀폐할 수 있는 뚜껑과, 용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기본체 내부를 구획함과 동시에 채변막대를 삽통시키는 경우에 여분의 분변을 제거할 수 있는 분리벽과, 용기본체의 타단 부근방에 설치되어 분변을 현탁시킨 액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필터의 바깥쪽의 용기본체의 타단부에 끼워져서 필터로 여과된 액체를 적하할 수 있는 적하부등으로 된 수송채변용기로서, 용기본체의 타단부의 내벽면에는 필터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단차부가 설치되었고, 필터는 단차부와 적하부의 단면등에 의하여 필터의 양단면의 외주부를 끼워둠에 따라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단차부가 용기본체의 안지름을 확대함에 따라서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단차부가 용기본체의 안지름을 축소함에 따라서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스토퍼링으로 용기본체의 안지름이 축소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필터가 무균여과용 필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2 종류 이상의 필터를 적층함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필터와 단차부와 맞닿는 면이 단차부에서 더욱 뚜껑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돌출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적하부의 내부의 여과된 액체의 유로에 또 다른 필터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적하부가 수송채변용기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 본체의 외주면 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플랜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뚜껑이 수송채변용기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본체의 외주면 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한 플랜지 또는 로울렛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내벽면이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리, 화학적 처리를 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물리, 화학적 처리가 물리적 처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물리적 처리가 코로나 방전처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물리, 화학적 처리가 화학적 처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화학적 처리가 수산화리튬 처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내벽면의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기본체가 방담제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분리벽이 용기본체의 내벽면을 안쪽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중앙부에 채변막대를 삽입하는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형성된 통형상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이 내벽면의 일부를 안쪽으로 돌출시켜서 볼록링형상이 형성되었고, 또한 채변막대의 이 볼록링형상에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링형상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19. 제1항에 있어서, 채변막대의 용기본체내의 소정위치에의 삽입전에 분리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용기본체의 내부를 대기압이 되도록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하여 분리벽의 원주면에 채변막대의 원주면에 대하여 기밀하게 맞무는 분변 시료채취용의 플랜지가 설치되었고, 채취막대의 원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분리벽의 플랜지의 축방향 길이 보다도 긴 오목부가 분리벽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플랜지가 분리벽의 자유단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채변막대의 원주면에 형성된 요부가 채변막대의 원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노치홈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채변막대의 원주면에 형성된 요부가 채변막대의 원주면을 전체 원주면에 잇따라서 잘라낸 지름의 축소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3. 제1항에 있어서, 용기본체내의 필터의 안쪽에 적하부와의 사이에서 필터를 끼워두어 고정하는 링형상의 스토퍼부재가 여과면과 접하여 설치되었고, 링형상의 스토퍼부재가 통형상의 용기본체의 내부에 연통하는 상방 개구단 및 필터의 여과면에 접하는 하방 개구단을 지닌 유입부를 구비하고 있어, 유입부의 통지름 방향의 단면적이 상방 개구단에서 하방 개구단에 대하여 점차 증대되어 있고, 또한 링형상의 스토퍼부재의 외주벽과 통형상의 용기본체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현탁액속의 고체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침전시키기 위한 침적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스토퍼부재의 주벽에 스토퍼부재의 유입부와 침적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통지름 방향에 대하여 개구한 유입구멍이 관통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스토퍼부재의 상방 개구단의 단연부에 통지름 방향에 대하여 개구한 유입구멍으로서 빗형상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6. 제23항에 있어서, 스토퍼부재의 상방 개구단이 폐쇄되고, 또한 상단부 부근의 주벽에 통지름 방향에 대하여 개구한 유입구멍으로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7. 제23항에 있어서, 스토퍼부재의 상방 개구단의 하방 개구단에 대한 통지름 방향의 단면적비가 1/3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28. 제1항에 있어서, 필터의 적하부와 반대측의 표면의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에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적이 용기본체의 통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의 최대치에 대하여 적어도 5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채변용기.
KR1019940702849A 1992-12-18 1993-12-17 수송채변용기 KR100278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55816A JP2665867B2 (ja) 1992-12-18 1992-12-18 輸送採便容器
JP92-355816 1992-12-18
JP93-173566 1993-06-22
JP5173566A JP2668815B2 (ja) 1993-06-22 1993-06-22 輸送採便容器
JP93-235853 1993-08-30
JP5235853A JP2717621B2 (ja) 1993-08-30 1993-08-30 輸送採便容器
PCT/JP1993/001833 WO1994015212A1 (en) 1992-12-18 1993-12-17 Feces pick-up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543A KR950700543A (ko) 1995-01-16
KR100278040B1 true KR100278040B1 (ko) 2001-03-02

Family

ID=2732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849A KR100278040B1 (ko) 1992-12-18 1993-12-17 수송채변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14341A (ko)
EP (1) EP0638803B1 (ko)
KR (1) KR100278040B1 (ko)
CN (1) CN1053741C (ko)
DE (1) DE69330461T2 (ko)
ES (1) ES2157974T3 (ko)
TW (1) TW235237B (ko)
WO (1) WO19940152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07B1 (ko) * 2009-02-24 2012-03-23 박정규 채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5709A1 (de) * 2002-02-12 2003-08-28 Schebo Biotech Ag Probenvorbereitungsvorrichtung und hierauf aufbauender Testgerätesatz
US5882942A (en) * 1995-02-15 1999-03-16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for sampling feces
US6299842B1 (en) 1999-03-05 2001-10-09 Meridian Bioscience, Inc. Biological sampling and storage container utilizing a desiccant
US6780160B2 (en) 2002-07-25 2004-08-24 Akfa Scientific Designs, Inc. Specimen collection and application apparatus
US6921370B2 (en) * 2002-07-25 2005-07-26 Alfa Scientific Designs, Inc. Specimen collection and storage and transport device and method
CN2718561Y (zh) * 2003-07-11 2005-08-17 艾康生物技术(杭州)有限公司 用于取样签的保护套
US20080124714A1 (en) * 2004-05-14 2008-05-29 Exact Sciences Corporation Method for Stabilizing Biological Samples for Nucleic Acid Analysis
JP4319590B2 (ja) * 2004-07-12 2009-08-26 アルフレッサファーマ株式会社 採便容器
US7592315B2 (en) * 2004-11-02 2009-09-22 Schering Corporation Peptide viral entry inhibitors
US20090117660A1 (en) * 2005-04-30 2009-05-07 Oakville Hong Kong Co., Limited Devices and methods for sample collection and analysis
US8062901B2 (en) 2005-04-30 2011-11-22 Alere Switzerland Gmbh Devices and methods for sample collection and analysis
US7908935B2 (en) * 2005-12-16 2011-03-22 Nipro Corporation Feces collection container
US7665374B2 (en) * 2006-03-10 2010-02-23 Butler University Surface-coated solid-phase microextraction device
CN201096654Y (zh) * 2007-06-28 2008-08-06 万华普曼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采便器
US7718125B2 (en) * 2007-07-25 2010-05-18 Dana Products Inc. Sterilization challenge specimen holder
US7790105B2 (en) * 2007-07-25 2010-09-07 Dana Prodicts, Inc. Sterilization challenge specimen holder
US8771615B2 (en) * 2008-04-24 2014-07-08 Toyo Seikan Kaisha, Ltd. Compound container and pouring-out method
DE102008057866B4 (de) * 2008-11-18 2012-06-28 Gaudlitz Gmbh Stuhlprobennahmevorrichtung
US8562919B2 (en) * 2008-12-12 2013-10-22 Kyowa Medex Co., Ltd. Feces sampling container
CN201404734Y (zh) * 2009-04-28 2010-02-17 厦门市毕恩生物技术有限公司 底部控制式标本过滤容器
CN102230851B (zh) * 2011-03-22 2016-08-03 万华普曼生物工程有限公司 双滴头采集装置及其使用方法
US9149258B2 (en) 2011-04-15 2015-10-06 John Wan Collection device with double outpu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TUD20110130A1 (it) * 2011-08-10 2013-02-11 Alifax Holding S P A Dispositivo per il prelievo di campioni fecali, e relativo procedimento
CA2845572C (en) * 2011-08-16 2019-10-29 Exact Sciences Corporation Sample collection device
EP2617362B1 (en) 2012-01-20 2019-04-10 Bühlmann Laboratories AG Sample extracting, diluting and discharging device
CN102564796A (zh) * 2012-02-24 2012-07-11 万华普曼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粪便采集器
CN102798542B (zh) * 2012-08-22 2014-06-18 浙江大学 一种大便采样和隐血自测器
DE102012109457B4 (de) 2012-10-04 2014-09-25 Immundiagnostik Ag Probenröhrchen für Stuhltests
US9907541B2 (en) 2013-08-26 2018-03-06 Eiken Kagaku Kabushiki Kaisha Stool collection container
CA2924297C (en) * 2013-10-10 2021-10-26 Eiken Kagaku Kabushiki Kaisha Feces sampling container
US9737180B2 (en) 2014-02-28 2017-08-22 Brandie Allesa Banner Toilet with urine diversion and method for waste reuse
WO2015177004A1 (en) * 2014-05-21 2015-11-26 Orion Diagnostica Oy Sampling and assay kit, sample holder and method
CN105092279B (zh) * 2014-05-21 2019-09-24 艾博生物医药(杭州)有限公司 一种样本收集装置
FR3022025B1 (fr) * 2014-06-04 2018-03-16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Ensemble de prelevement et de transport de nano-objets contenus dans des aerosols, a cassette a ouverture securisee lors du prelevement.
FR3035317B1 (fr) * 2015-04-24 2019-06-14 Maat Pharma Dispositif de prelevement de micro-organismes, kit de prelevement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procede de prelevement mettant en œuvre un tel dispositif
US10054522B1 (en) * 2015-05-15 2018-08-21 Colleen Kraft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pecimen preparation
US10228307B2 (en) 2015-09-29 2019-03-12 Biofunctions, Inc. Dissolvable sample collection matr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6763873B2 (ja) * 2015-11-05 2020-09-30 栄研化学株式会社 フィルタ付き注出部材
EP3521797B1 (en) * 2016-09-30 2021-06-23 FUJIFILM Corporation Nozzle and dispensing container
US10080551B2 (en) * 2017-01-13 2018-09-25 Shimadzu Corporation Stool collection container
CN106680477B (zh) 2017-02-14 2019-03-01 杭州诺辉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取样及隐血检测一体化装置
US10772610B2 (en) * 2017-02-22 2020-09-15 Hangzhou D2 Technology CO., LTD. Sample collection detector
WO2019023218A1 (en) * 2017-07-24 2019-01-31 Epitope Diagnost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FECAL SAMPLE AND EXTRACTING ANALYTE
US11293839B2 (en) * 2018-08-16 2022-04-05 Epitope Biotechnology Co., Ltd. Device for fecal sample collection and extraction
CN109212184B (zh) * 2018-09-08 2022-08-26 苏州承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步法钙卫蛋白快速检测试剂盒
CN109212183B (zh) * 2018-09-08 2022-08-26 苏州承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步法粪便血红蛋白快速检测试剂盒
CN109212186B (zh) * 2018-09-08 2022-08-26 苏州承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步法胃蛋白酶原ⅱ快速检测试剂盒
EP3629017B1 (en) 2018-09-28 2023-08-30 Immundiagnostik AG Pickup-safe stool collection tube
WO2023025913A1 (en) 2021-08-27 2023-03-02 Immundiagnostik Ag Stool collection and extraction system for human microbiom analysis
WO2023173002A2 (en) * 2022-03-11 2023-09-1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agnostic tes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anti‑fogging agents
CN116773277B (zh) * 2023-08-21 2023-10-31 成都亿联云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用污水环境监测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0268A (en) * 1965-10-23 1972-02-08 Hugh J Davis Method and device for biopsy specimen collecting and handling
US3421858A (en) * 1965-12-07 1969-01-14 Hewlett Packard Co Sampling apparatus
US3732981A (en) * 1970-09-01 1973-05-15 Bio Rad Laboratories Filtration column
US4066646A (en) * 1976-12-23 1978-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Diagnostic device and housing therefor
US4148732A (en) * 1977-04-05 1979-04-10 Burrow Clovis E Bacteria filter unit
US4453927A (en) * 1979-02-07 1984-06-12 Gesco International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filtration of blood
US4426295A (en) * 1981-09-28 1984-01-17 Evans Deborah A Cell suspension chamber process
JPS5954962A (ja) * 1982-09-22 1984-03-29 Fuji Photo Film Co Ltd 多層分析材料
JPS59125064A (ja) * 1983-01-05 1984-07-19 Eiken Kagaku Kk 免疫学的ラテツクス凝集反応をもちいた糞便中のヘモグロビンの検出方法および該方法に使用する試薬
JPS6173054A (ja) * 1984-09-17 1986-04-15 メデイカル テクノロジ− コ−ポレ−シヨン 試料調整用小瓶
US4889256A (en) * 1984-11-13 1989-12-26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 and elastic closure
US4859610A (en) * 1985-06-05 1989-08-22 Synbiotics Corporation Immunoassay incubation device
JPS6269160A (ja) * 1985-09-24 1987-03-30 Kawasaki Steel Corp 鋼材の相分率測定方法
US4849173A (en) * 1987-07-24 1989-07-18 Chang Mao Kuei Excrement examination unit
JP2548943B2 (ja) * 1987-08-07 1996-10-30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光学活性化合物
WO1989006360A1 (en) * 1988-01-11 1989-07-13 Elmex Ltd. Stool sampling tube suitable for automatic processing
US5286454A (en) * 1989-04-26 1994-02-15 Nilsson Sven Erik Cuvette
JPH02140468U (ko) * 1989-04-28 1990-11-26
US5124041A (en) * 1989-07-28 1992-06-23 Applied Biosystems, Inc. Biomolecule sample immobilization
JPH04140635A (ja) * 1990-10-02 1992-05-14 Dainabotsuto Kk マルチスティック法による検体抽出法
JPH0726701Y2 (ja) * 1991-03-08 1995-06-14 東洋製罐株式会社 検体採取容器
JPH0527671U (ja) * 1991-04-20 1993-04-09 東洋濾紙株式会社 検体採取キツト
JPH0593722A (ja) * 1991-06-06 1993-04-16 Dainabotsuto Kk 糞便試料および検体試料容器
JPH0527671A (ja) * 1991-07-20 1993-02-05 Takeshi Oriide ロー版画
JPH0534340A (ja) * 1991-07-26 1993-02-09 Nissho Corp 採便容器
US5149506A (en) * 1991-08-09 1992-09-22 Sage Products, Inc. Stool collection and transport device
JP2733639B2 (ja) * 1992-04-22 1998-03-30 日本商事株式会社 検体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07B1 (ko) * 2009-02-24 2012-03-23 박정규 채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8803B1 (en) 2001-07-18
KR950700543A (ko) 1995-01-16
WO1994015212A1 (en) 1994-07-07
CN1094164A (zh) 1994-10-26
TW235237B (ko) 1994-12-01
ES2157974T3 (es) 2001-09-01
DE69330461D1 (de) 2001-08-23
DE69330461T2 (de) 2001-11-08
US5514341A (en) 1996-05-07
CN1053741C (zh) 2000-06-21
EP0638803A4 (en) 1996-05-15
EP0638803A1 (en) 1995-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040B1 (ko) 수송채변용기
FI84763B (fi) Provbehandlingsinstrument foer utfoerande av diagnostiska tester.
CA2085741C (en) Liquid specimen container and attachable testing modules
EP0468672A1 (en) Urine testing module with cytology cup
KR100473123B1 (ko) 여과 및 추출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방법
JPH076978B2 (ja) ピストン型フィルタ、ディスペンサバイアル
CA20847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ytology and microbiological testing
US51607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separating particles from fluid for medical diagnosis
US8529469B2 (en) Fecal examination method and collection container
WO200006101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fecal antigen specimens
US20040025603A1 (en) Test tube insert
JPS62153725A (ja) ペースト状試料物質用の検査容器
US4981654A (en) Unitary centrifuge tube and separable dispensing receptacle
JP2668815B2 (ja) 輸送採便容器
JP2665867B2 (ja) 輸送採便容器
CA2245153C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2717621B2 (ja) 輸送採便容器
US20220000456A1 (en)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USRE39457E1 (en) Liquid specimen container and attachable testing modules
JPH04140635A (ja) マルチスティック法による検体抽出法
JPH0749344A (ja) 糞便採取容器の使用方法
WO2004014556A9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sediment from a fluid sa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